KR102485357B1 - 차량용 시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5357B1
KR102485357B1 KR1020220091637A KR20220091637A KR102485357B1 KR 102485357 B1 KR102485357 B1 KR 102485357B1 KR 1020220091637 A KR1020220091637 A KR 1020220091637A KR 20220091637 A KR20220091637 A KR 20220091637A KR 102485357 B1 KR102485357 B1 KR 1024853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horizontal
bracket
hol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곤오토모빌
Priority to KR1020220091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53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5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5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차량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1)와, 상기 시트(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등받이(2)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1)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되, 시트(1)와 일직선을 이루거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12)로 구성되어 있는 설치프레임(1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직부(12)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가이드홀(21a)이 각각 구비된 두 개의 가이드블록(21)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평부(11)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 휠연결축(41)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휠(40)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횔연결축(41)이 끼워지는 축삽입홀(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휠수용부(51)와, 상기 휠수용부(51)의 양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져 휠연결축(4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수평이동부(52)로 구성되어 있는 직선이동부재(50)와; 연결브라켓(61)을 통해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양측 수평이동부(52)에 양측이 연결되어 있어 수평이동부(52)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62)이 다수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레일이동부재(6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설치부재(60)와;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에 브라켓(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레일이동부재(63)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가이드레일(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2)에는 상기 연결봉(62)이 끼워지는 연결봉체결홀(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탑승차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는 이동하거나 기울지 않은 상태에서 등받이만을 좌우로 이동시켜 코너링시 탑승자의 상체가 등받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허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등받이의 거동을 위한 장치가 등받이 하부와 시트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되는 휠연결축에 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휠수용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장치{sheet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실내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착석할 수 있도록 시트가 설치된다.
이러한 시트는 필요에 따라 독립적인 세퍼레이트(separate)식 시트나, 벤치(bench) 식이 적용된다.
그런데 자동차가 어느 정도 가속이 붙은 상태에서 코너링을 할 경우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어 자동차가 선회하는 방향으로 치우치게 되어 차내에 탑승한 탑승자도 자동차와 마찬가지로 기울어지게 된다.
이 경우 시트는 고정된 상태에서 탑승자만이 자동차가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같이 쏠리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으로 인해 탑승자의 척추, 옆구리 등에 부담을 주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 "자동차용 코너링 적응형 시트"(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44674호, 특허문헌 1)와 같은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한 기술은 원심력 센서와 접속된 ECU의 제어 신호로 구동되는 구동모터에 의해 쿠션의 탄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쿠션 내에 텐션밴드를 구비하여 자동차의 코너링 시 시트에 착석한 운전자를 포함한 탑승자가 시트를 벗어나지 않고 선회하려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기울도록 하여 시트의 평형이 유지되도록 하여 승차감 및 안전운행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상기한 특허문헌 1은 텐션 밴드를 이용하여 시트쿠션의 좌우 높이를 조절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기술의 경우 등받이는 통상적으로 시트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시트쿠션의 좌우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탑승자의 몸이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하여, 시트 내부에 텐션밴드와 같은 구성요소가 설치됨으로 인해 시트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둔부의 이물감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다.
또다른 기술로, "코너링시 유동되는 자동차의 프런트시트"(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02625호, 특허문헌 2)에는 시트쿠션의 하부에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이 설치됨으로써 원심력에 따라 시트가 같이 유동되도록 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시트는 차량 설계시 에어백, 핸들 등 여러 요소의 설계에 반영되는 기본적인 사항일 뿐만 아니라, 뒷자석의 경우 시트가 좌우로 유동하는 경우 코너링시 탑승자들이 한쪽 방향으로 몰리면서 차량 무게 중심을 한쪽으로 치우치게 해 차량 전복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KR 10-0444674 (2004.08.06) KR 20-1999-0002625 (1999.01.25)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탑승차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는 이동하거나 기울지 않은 상태에서 등받이만을 좌우로 이동시켜 코너링시 탑승자의 상체가 등받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허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등받이의 거동을 위한 장치가 등받이 하부와 시트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되는 휠연결축에 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휠수용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더하여, 휠연결축의 설치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수평 왕복 이동 거리를 선택적으로 가감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 여건에 관계 없이 범용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설치프레임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이동부재가 이 가이드레일에 삽입됨과 더불어, 직선이동부재에 슬롯홀이 형성되고 고정브라켓에는 이 슬롯홀에 끼워지는 보조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을 원할하게 가이드하여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 가이드블록은 암수 한 쌍을 볼트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량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1)와, 상기 시트(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등받이(2)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1)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되, 시트(1)와 일직선을 이루거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12)로 구성되어 있는 설치프레임(1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직부(12)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가이드홀(21a)이 각각 구비된 두 개의 가이드블록(21)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평부(11)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 휠연결축(41)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휠(40)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횔연결축(41)이 끼워지는 축삽입홀(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휠수용부(51)와, 상기 휠수용부(51)의 양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져 휠연결축(4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수평이동부(52)로 구성되어 있는 직선이동부재(50)와; 연결브라켓(61)을 통해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양측 수평이동부(52)에 양측이 연결되어 있어 수평이동부(52)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62)이 다수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레일이동부재(6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설치부재(60)와;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에 브라켓(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레일이동부재(63)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가이드레일(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2)에는 상기 연결봉(62)이 끼워지는 연결봉체결홀(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회전휠(40)에는 휠연결축(41)이 체결되는 축삽입홀(42)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어 휠연결축(41)의 설치 위치를 회전휠(40) 중심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 고정브라켓(20), 구동모터(30), 회전휠(40) 및 직선이동부재(50)는 시트(1)의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1a)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1a)의 벽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1)이 관통하되, 연결브라켓(61)의 좌우 이동 거리만큼의 너비를 갖는 브라켓관통홀(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a)의 표면에는 연결브라켓(61)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가이드홀(81)이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차단부재(8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관통홀(1b)이 항시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횔연결축(41)에는 축삽입홀(51a) 둘레의 휠수용부(51) 벽면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베어링(4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수평이동부(5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슬롯홀(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상기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슬롯홀(52a)에 끼워지는 보조베어링(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1)은 상기 고정브라켓(20)에 볼트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가이드홀(21a)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블록(21b)과;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진 수평이동부(52)를 커버링하며 상기 메인블록(21b)의 상하 양측에서 볼트 결합되는 커버블록(21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탑승차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는 이동하거나 기울지 않은 상태에서 등받이만을 좌우로 이동시켜 코너링시 탑승자의 상체가 등받이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탑승자의 허리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등받이의 거동을 위한 장치가 등받이 하부와 시트의 경계 지점에 위치하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 하나의 모터를 이용하여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되는 휠연결축에 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휠수용부와의 마찰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휠연결축의 설치 위치 조정이 용이하여 수평 왕복 이동 거리를 선택적으로 가감함으로써 차량의 실내 공간 여건에 관계 없이 범용적으로 설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설치프레임 일측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이동부재가 이 가이드레일에 삽입됨과 더불어, 직선이동부재에 슬롯홀이 형성되고 고정브라켓에는 이 슬롯홀에 끼워지는 보조베어링이 설치됨으로써 직선이동부재의 이동을 원할하게 가이드하여 이동이 원할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 가이드블록은 암수 한 쌍을 볼트 조립식으로 구성되어 조립과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가 벤치형 좌석에 적용된 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가 독립 좌석에 적용된 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의 주요 구성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회전휠의 작동에 따른 휠연결축의 변화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휠연결축의 변화에 따른 등받이의 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에서 보조베어링이 구비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차량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1)와, 상기 시트(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등받이(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시트(1)는 고정된 채 등받이(2)만이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장치는 크게 설치프레임(10), 고정브라켓(20), 구동모터(30), 회전휠(40), 직선이동부재(50), 연결봉설치부재(60) 및 가이드레일(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설치프레임(10)은 상기 시트(1)의 저부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거나, 상기 시트(1)의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1a) 내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설치프레임(10)은 구동모터(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시트(1)와 일직선을 이루거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20)을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부(1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12)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고정브라켓(2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설치프레임(10)의 수직부(12)에 설치되어 있으며, 수직 판상의 형태를 취하고,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에 볼트 등을 통해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브라켓(20)의 좌우 양측에는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두 개의 가이드블록(21)이 설치되어 있다.
두 가이드블록(21)에는 수평으로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가이드홀(2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블록(21)은 가이드홀(21a)에 직선이동부재(5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브라켓(20)에 볼트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가이드홀(21a)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블록(21b)과,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진 수평이동부(52)를 커버링하며 상기 메인블록(21b)의 상하 양측에서 볼트 결합되는 커버블록(21c)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구동모터(30)는 모터설치브라켓(31)을 통해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평부(11)에 볼팅 등의 방법으로 체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30)에는 미도시된 감속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회전휠(40)은 중앙이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어 구동모터(30) 작동에 의해 회전 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 휠연결축(41)이 설치되어 있다.
휠연결축(41)은 회전휠(40)의 회전운동을 직선이동부재(50)의 직선운동으로 가변시키기 위해 설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회전휠(40)의 표면으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횔연결축(41)에는 축삽입홀(51a) 둘레의 휠수용부(51) 벽면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베어링(41a)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휠연결축(41)은 그 자체로 회전휠(40)과 일체를 이루지 않고 조립식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휠(40)에는 휠연결축(41)이 체결되는 축삽입홀(42)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형성되어 있고, 휠연결축(41)의 일부가 이 축삽입홀(42)을 관통한 채 내외측에 너트가 체결됨으로써 조립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더하여, 휠연결축(41)의 수평 방향 변위를 가감할 수 있도록 이러한 축삽입홀(42)은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휠연결축(41)의 설치 위치를 회전휠(40) 중심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직선이동부재(5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휠수용부(51)와 수평이동부(52)로 구성되어 있다.
휠수용부(51)는 상기 횔연결축(41)이 끼워지는 축삽입홀(51a)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 축삽입홀(51a)은 회전휠(40)에 연결된 채 회전하는 휠연결축(41)의 상,하 변위를 모두 수용할 정도가 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취한다.
수평이동부(52)는 이러한 휠수용부(51)의 좌우 양측에 연결되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수평이동부(52)는 전술한 가이드홀(21a)에 끼워져 휠연결축(41)이 회전하면서 휠수용부(51)의 벽면을 좌우 양측으로 밀게 됨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수평이동부(52)의 단부측에는 연결봉설치부재(60)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브라켓(61)의 일측이 볼트 결합되도록 볼트체결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볼트체결홀들로부터 휠수용부(51)로 향하는 부분에는 장방형의 슬롯홀(5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술한 고정브라켓(20)에 상기 슬롯홀(52a)에 끼워지는 보조베어링(22)이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을 이중으로 가이드하고, 가이드홀(21a)의 벽면 마모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연결봉설치부재(6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연결브라켓(61)을 통해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양측 수평이동부(52)에 양측이 연결된다.
이에 따라 수평이동부(52)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더하여, 연결봉설치부재(6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62)이 다수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연결봉(62)은 연결봉설치부재(60)로부터 상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으며, 등받이(2)에는 상기 연결봉(62)이 끼워지는 연결봉체결홀(2a)이 형성되어 있어 등받이(2)가 끼움 결합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
한편, 등받이(2) 내부에 열선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전선이 인입되어야 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62)이 내부가 빈 관체로 이루어질 경우 연결봉(62) 내부를 전선의 통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봉(62)이 연결되기 위한 등받이(2)의 종류나 크기 등에 관계없이 범용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연결봉설치부재(6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의 연결봉설치홀(6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봉(62)이 휘는 등의 변형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연결봉설치부재는 두 개의 길이부재(60a)가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게 이루어지고, 단부 및 중간이 서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연결봉(62)의 지지 지점이 두 길이부재(60a)에 각각 형성된 두 개의 연결봉설치홀(64) 벽면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더하여, 이러한 연결봉설치부재(60)의 하부에는 레일이동부재(63)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가이드레일(70)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직부(12)에 브라켓(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레일이동부재(63)가 삽입되어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도 4에는 회전휠(40)의 회전에 의해 횔연결축(41)이 휠수용부(51) 내부 벽면을 좌우 양측으로 밀어 직선이동부재(50)를 좌우 양측으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작동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도 4와 같은 작동에 의해 연결봉설치부재(60)가 좌우양측으로 이동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연결봉(62)은 등받이(2)를 수평 방향으로 양 옆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설치프레임(10), 고정브라켓(20), 구동모터(30), 회전휠(40) 및 직선이동부재(50)는 시트(1)의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1a) 내부에 위치하게 할 경우 하우징(1a)의 벽면에는 브라켓관통홀(1b)이 형성되어야 하며, 이 브라켓관통홀(1b)은 연결브라켓(61)의 좌우 이동 거리만큼 좌우방향의 폭이 연결브라켓(61)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 경우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브라켓관통홀(1b)을 통해 하우징(1a) 내부로 유입되어 부품 사이에 낄 경우 작동을 방해하고,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1a)의 벽면에는 상기 브라켓관통홀(1b)을 전체적으로 덮으면서 연결브라켓(61)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가이드홀(81)이 중간에 형성되어 있어, 연결브라켓(61)이 끼워진 채 좌우로 이동 가능한 관통홀차단부재(80)가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관통홀(1b)이 항상 차단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차단부재(80)는 하우징(1a)의 벽면에 대해 레일 결합 구조로 연결되어 보다 원할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은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됨은 자명하며, 제어부의 작동을 위해 종래 문헌으로 알려진 각종 센싱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장치는 단순히 코너 주행시의 원심력에 따른 신체 기울어짐이 발생할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실내 자리 배치 변경, 탑승자의 등 부분에 대한 마사지 기능 등 다양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더불어, 독립형 시트나 벤치형 시트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1 : 시트 1a : 하우징
1b : 브라켓관통홀 2 : 등받이
2a : 연결봉체결홀 10 : 설치프레임
11 : 수평부 12 : 수직부
20 : 고정브라켓 21 : 가이드블록
21a : 가이드홀 21b : 메인블록
21c : 커버블록 22 : 보조베어링
30 : 구동모터 31 : 모터설치브라켓
40 : 회전휠 41 : 휠연결축
41a : 베어링 42 : 축삽입홀
50 : 직선이동부재 51 : 휠수용부
51a : 축삽입홀 52 : 수평이동부
52a : 슬롯홀 60 : 연결봉설치부재
60a : 길이부재 61 : 연결브라켓
62 : 연결봉 63 : 레일이동부재
64 : 연결봉설치홀 70 : 가이드레일
71 : 브라켓 80 : 관통홀차단부재
81 : 가이드홀

Claims (5)

  1. 차량 탑승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1)와, 상기 시트(1)의 후방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진 등받이(2)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1)와 일측이 연결되어 있되, 시트(1)와 일직선을 이루거나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는 수평부(11)와, 상기 수평부(11)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직부(12)로 구성되어 있는 설치프레임(1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직부(12)에 설치되어 있으며, 서로 수평으로 일직선을 이루는 가이드홀(21a)이 각각 구비된 두 개의 가이드블록(21)이 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브라켓(20)과;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수평부(11)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30)와;
    상기 구동모터(30)에 연결되어 있어 회전 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되, 일측에 휠연결축(41)이 설치되어 있는 회전휠(40)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휠연결축(41)이 끼워지는 축삽입홀(5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휠수용부(51)와, 상기 휠수용부(51)의 양측으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져 휠연결축(41)의 회전 운동에 따라 수평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진 수평이동부(52)로 구성되어 있는 직선이동부재(50)와;
    연결브라켓(61)을 통해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양측 수평이동부(52)에 양측이 연결되어 있어 수평이동부(52)와 함께 수평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길이 방향을 따라 등받이(2)와 연결하기 위한 연결봉(62)이 다수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 레일이동부재(63)가 설치되어 있는 연결봉설치부재(60)와;
    상기 설치프레임(10)의 일측에 브라켓(71)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부에 상기 레일이동부재(63)가 삽입되어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가이드레일(7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등받이(2)에는 상기 연결봉(62)이 끼워지는 연결봉체결홀(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휠(40)에는 휠연결축(41)이 체결되는 축삽입홀(42)이 구동모터(30)와 연결되는 중심으로부터 외주면을 향해 서로 이격된 채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어 휠연결축(41)의 설치 위치를 회전휠(40) 중심을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조정하여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프레임(10), 고정브라켓(20), 구동모터(30), 회전휠(40) 및 직선이동부재(50)는 시트(1)의 골격을 이루는 하우징(1a)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1a)의 벽면에는 상기 연결브라켓(61)이 관통하되, 연결브라켓(61)의 좌우 이동 거리만큼의 너비를 갖는 브라켓관통홀(1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1a)의 표면에는 연결브라켓(61)의 중간 부분이 끼워지는 가이드홀(81)이 중간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홀차단부재(80)가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브라켓관통홀(1b)이 항시 차단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횔연결축(41)에는 축삽입홀(51a) 둘레의 휠수용부(51) 벽면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베어링(41a)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직선이동부재(50)의 수평이동부(5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장방형의 슬롯홀(52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브라켓(20)에는 상기 수평이동부(52)의 수평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슬롯홀(52a)에 끼워지는 보조베어링(22)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블록(21)은 상기 고정브라켓(20)에 볼트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가이드홀(21a)이 형성되어 있는 메인블록(21b)과;
    상기 가이드홀(21a)에 끼워진 수평이동부(52)를 커버링하며 상기 메인블록(21b)의 상하 양측에서 볼트 결합되는 커버블록(21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0220091637A 2022-07-25 2022-07-25 차량용 시트 장치 KR102485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37A KR102485357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용 시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637A KR102485357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용 시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5357B1 true KR102485357B1 (ko) 2023-01-09

Family

ID=8489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637A KR102485357B1 (ko) 2022-07-25 2022-07-25 차량용 시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535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02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시트의 균형 유지장치
KR19990002625U (ko) 1997-06-28 1999-01-25 양재신 코너링시 유동되는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KR100444674B1 (ko) 2002-04-10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코너링 적응형 시트
KR20190111312A (ko) * 2018-03-22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KR102137663B1 (ko) * 2019-01-30 2020-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시트
KR20220045861A (ko) * 2020-10-06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102A (ko) * 1996-11-15 1998-08-05 박병재 차량용 시트의 균형 유지장치
KR19990002625U (ko) 1997-06-28 1999-01-25 양재신 코너링시 유동되는 자동차의 프런트시트
KR100444674B1 (ko) 2002-04-10 2004-08-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코너링 적응형 시트
KR20190111312A (ko) * 2018-03-22 2019-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및 차량용 시트를 이용한 착석 자세 제어 방법
KR102137663B1 (ko) * 2019-01-30 2020-07-24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안전시트
KR20220045861A (ko) * 2020-10-06 2022-04-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 조절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69903B (zh) 具有高度调节装置的车辆座椅
KR101155733B1 (ko) 좌석
US20060131945A1 (en) Vehicular seat
KR102527253B1 (ko) 차량용 시트 트랙 장치
CN103723061A (zh) 用于控制腰部支撑件的致动器系统
CN112744136A (zh) 车辆座椅装置
JPH0583412B2 (ko)
KR102244747B1 (ko) 차량용 무중력 시트
KR102485357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US10532669B2 (en) Vehicle seat
US11618351B2 (en) Device for tilting seat cushion of fold and dive seat
JP4544198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GB2442583A (en) Vehicle seat head restraint with movable lateral portions
KR20220065469A (ko) 시트 쿠션프레임의 결합구조
JP7473819B2 (ja) 車両用シート
EP4011694A1 (en) Seat frame
CN113135132A (zh) 车载座椅装置
KR102281636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19990001460U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각도 가변장치
JP7292808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KR0120863Y1 (ko)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JP2006021715A (ja) 回転式車両用シート
KR100371545B1 (ko) 차량용 시트의 사이드 서포트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