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1636B1 -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 Google Patents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1636B1
KR102281636B1 KR1020190107432A KR20190107432A KR102281636B1 KR 102281636 B1 KR102281636 B1 KR 102281636B1 KR 1020190107432 A KR1020190107432 A KR 1020190107432A KR 20190107432 A KR20190107432 A KR 20190107432A KR 102281636 B1 KR102281636 B1 KR 102281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disposed
extension panel
gear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664A (ko
Inventor
전의식
주영조
송병록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디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디디디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0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1636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1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1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8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electric motor for adjusting the seat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60N2002/0236
    • B60N2002/02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 프레임에 배치된 익스텐션 패널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설치 브래킷,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설치 브래킷과 결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설치 브래킷에 배치된 기어박스, 상기 구동축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어박스에서 상기 구동축과 동력 연결된 작동바 및 상기 작동바의 일단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한다.
따라서,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익스텐션 패널을 쿠션 프레임 상에서 인출시켜 시트쿠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시트쿠션의 길이 연장으로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므로 최적으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and seat cush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는 착석 시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시트쿠션, 탑승자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시트백, 그리고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자동차 시트에서 시트쿠션은 일정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그 크기를 조절할 수 없으므로 다양한 신체적 조건을 가진 탑승자에게 최적의 편안함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즉, 다리가 긴 탑승자인 경우 허벅지를 충분히 지지하여 주지 못하므로 탑승자의 불편함이 가중되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시트쿠션의 일부분을 전방으로 돌출 연장시키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64690호 (2016.10.0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16224호 (2015.04.23.)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배치되는 익스텐션 패널을 이동시키는 작동 메커니즘을 구비함으로써, 시트쿠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는, 쿠션 프레임에 배치된 익스텐션 패널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과 연결되는 설치 브래킷,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설치 브래킷과 결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설치 브래킷에 배치된 기어박스, 상기 구동축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어박스에서 상기 구동축과 동력 연결된 작동바 및 상기 작동바의 일단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는, 상기 설치 브래킷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쿠션 프레임과 결합된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치 브래킷은, 상기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모터 브래킷 및 상기 기어박스와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기어박스 브래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 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가 위치하는 배치공간을 갖는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바는 상기 배치부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는, 치차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제1 치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려 있으며 상기 작동바와 연결된 제2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2 치차의 내부를 관통하며 상기 작동바와 상기 제2 치차의 내부는 서로 맞물려 치차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2 치차의 회전으로 상기 작동바는 회전하면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은 상기와 같이 기재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있는 쿠션 프레임, 상기 쿠션 프레임이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익스텐션 패널 및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직선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쿠션 프레임과 연결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익스텐션 패널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쿠션 프레임에는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이동 방향을 따라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의 연결 브래킷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상기 익스텐션 패널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익스텐션 패널을 쿠션 프레임 상에서 인출시켜 시트쿠션의 길이를 연장할 수 있다. 시트쿠션의 길이 연장으로 탑승자의 다리를 지지하므로 최적으로 운전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다르면, 기어박스의 제1 치차와 제2 치차가 맞물리면서 작동바가 직선 이동하여 익스텐션 패널이 쿠션 프레임의 상면에서 직선 이동하여 시트쿠션의 길이가 조절되므로 시트쿠션의 길이를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익스텐션 패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도 4의 기어박스와 기어박스 브래킷의 분해도.
도 6은 도 5의 기어박스 내부를 나타낸 기어박스 단면도.
도 7은 작동바의 위치에 따른 익스텐션 패널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익스텐션 패널이 쿠션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익스텐션 패널이 쿠션 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는 본 발명의 실시예인 시트쿠션에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가 적용된 시트쿠션 위주로 설명한다.
그러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시트쿠션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익스텐션 패널이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도 2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의 기어박스와 기어박스 브래킷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기어박스 내부를 나타낸 기어박스 단면도이며, 도 7은 작동바의 위치에 따른 익스텐션 패널의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익스텐션 패널이 쿠션 프레임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b)는 익스텐션 패널이 쿠션 프레임에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임.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시트쿠션(1)은 익스텐션 구동 장치(50), 사이드 프레임(10), 쿠션 프레임(30), 익스텐션 패널(40) 및 프레임(60)을 포함하며,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시트쿠션(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다.
사이드 프레임(10)은 자동차의 실내 바닥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20)에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쿠션 프레임(30)은 사이드 프레임(10)의 선단에 배치되어 시트쿠션(1)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쿠션 프레임(30)의 상면에는 익스텐션 패널(40)이 배치되어 있다. 익스텐션 패널(40)은 시트쿠션(1)의 길이를 연장하여 탑승자의 허벅지를 지지할 수 있다.
익스텐션 패널(40)은 쿠션 프레임(30)의 상면에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쿠션 프레임(30)의 하면에는 익스텐션 패널(40)을 이동시키는 익스텐션 구동 장치(50)가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쿠션 프레임(30)과 익스텐션 패널(40)의 사이에는 익스텐션 패널(40)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도시하지 않음)이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60)은 쿠션 프레임(30)의 하면에 위치하여 익스텐션 패널(40)의 직선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60)의 양단은 쿠션 프레임(30)과 결합되어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10)의 후단에는 탑승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시트백(도시하지 않음)이 연결될 수 있으며, 시트백과 사이드 프레임(10)을 연결하는 부분에는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 조절부(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백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이드 프레임(10), 쿠션 프레임(30), 시트백 및 헤드레스트의 세부 구조는 널리 공지된 자동차용 시트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이하 상세한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 내지 도 7을 더 참고하면, 익스텐션 구동 장치(50)는 설치 브래킷(51), 구동모터(52), 기어박스(53), 작동바(54) 및 연결 브래킷(55)을 포함하며, 쿠션 프레임(30)의 아래에 배치되어 익스텐션 패널(40)을 직선 이동시킨다.
설치 브래킷(51)은 모터 브래킷(511) 및 기어박스 브래킷(512)을 포함한다.
모터 브래킷(511)과 기어박스 브래킷(512)의 쿠션 프레임(30)의 아래에 위치하여 일측이 프레임(60)과 연결되어 있다. 모터 브래킷(511)과 기어박스 브래킷(512)의 타측은 프레임(6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동모터(52)는 모터 브래킷(511)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모터(52)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의 제어로 정회전 또는 역 회전할 수 있다.
기어박스 브래킷(512)은 고정부(512a) 및 배치부(512b)를 포함하며 모터 브래킷(511)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있다. 고정부(512a)와 배치부(512b)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512a)는 프레임(60)과 결합되어 있다. 배치부(512b)는 고정부(512a)에서 프레임(60)의 전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구동모터(52)와 마주한다. 배치부(512b)에는 배치공간(513)이 형성되어 있다. 구동모터(52)의 구동축(521)은 배치공간(513)으로 삽입되어 있다.
기어박스(53)는 하우징(531), 제1 치차(532) 및 제2 치차(533)를 포함한다.
하우징(531)은 배치공간(513)에 배치되어 기어박스 브래킷(512)과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531)의 내부에는 치차공간(531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치차(532)는 치차공간(531a)에 위치하여 익스텐션 패널(40)의 직선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531)은 제1 치차(532)의 양단을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한다. 제1 치차(532)의 외부 둘레에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치차(532)는 웜 휠을 포함한다.
제1 치차(532)의 내부는 관통되어 있으며 구동축(521)은 제1 치차(532)의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제1 치차(532)의 내부와 구동축(521)이 접하는 부분은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제1 치차(532)와 구동축(521)은 키(도시하지 않음) 결합될 수 있다. 구동모터(52)의 구동으로 구동축(521)이 회전하면 제1 치차(532)는 치차공간(531a)에서 회전할 수 있다.
제2 치차(533)는 치차공간(531a)에 위치하여 제1 치차(532)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2 치차(533)는 익스텐션 패널(4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제2 치차(533)의 양단은 하우징(531)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제2 치차(533)의 내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관통되어 있으며, 내부 둘레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치차(533)의 외부 둘레에는 제1 치차(532)의 치차와 맞물리는 치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제1 치차(532)가 회전하면 제2 치차(533) 또한 회전한다. 제2 치차(533)는 웜을 포함한다.
작동바(54)는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제2 치차(533)의 내부를 관통하며 익스텐션 패널(40)의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작동바(54)의 외부 둘레에는 제2 치차(533)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나사와 결합되는 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바(54)의 양단은 기어박스 브래킷(512)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작동바(54)는 제2 치차(533)의 회전으로 나사가 서로 맞물리면서 직선 이동할 수 있다.
연결 브래킷(55)은 작동바(54)와 익스텐션 패널(40)을 연결하고 있다. 연결 브래킷(55)은 쿠션 프레임(30)을 관통한다. 작동바(54)가 연결 브래킷(55)을 통해 익스텐션 패널(4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작동바(54)는 제2 치차(533) 회전 시 제2 치차(533)를 따라 회전하지 않고 직선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쿠션 프레임(30)에는 연결 브래킷(55)이 관통하는 관통홀(3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31)은 익스텐션 패널(40)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다음은 위에서 설명한 시트쿠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익스텐션 패널(40)이 쿠션 프레임(30)의 상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트쿠션(1)의 길이를 연장시키고자 하는 경우 제어부를 통해 구동모터(52)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52)의 작동으로 구동축(521)에 의해 제1 치차(532)가 회전하면서 제2 치차(533)가 회전한다. 제2 치차(533)가 회전할 때 제2 치차(533)의 내부 둘레에 형성된 치차와 작동바(54)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치차가 맞물린다. 작동바(54)는 구동축(521)과 수직한 방향으로 직선 이동한다. 작동바(54)의 직선 이동으로 연결 브래킷(55)이 움직이면서 익스텐션 패널(40)은 쿠션 프레임(30)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해 이동한다. 익스텐션 패널(40)의 이동으로 시트쿠션(1)의 길이는 연장된다. 익스텐션 패널(40)의 이동으로 시트쿠션(1)의 길이를 탑승자의 신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시트쿠션 10: 사이드 프레임
20: 가이드 레일 30: 쿠션 프레임
31: 관통홀 40: 익스텐션 패널
50: 익스텐션 구동 장치 51: 설치 브래킷
511: 모터 브래킷 512: 기어박스 브래킷
512a: 고정부 512b: 배치부
513: 배치공간 52: 구동모터
521: 구동축 53: 기어박스
531: 하우징 531a: 치차공간
532: 제1 치차 533: 제2 치차
54: 작동바 55: 연결 브래킷
60: 프레임

Claims (7)

  1. 쿠션 프레임에 배치된 익스텐션 패널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쿠션 프레임과 결합된 프레임,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모터 브래킷과 상기 모터 브래킷과 이웃하게 배치되어 일측이 상기 프레임과 연결되어 있는 기어박스 브래킷을 포함하는 설치 브래킷,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모터 브래킷과 결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 브래킷에 배치된 기어박스, 상기 구동축과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기 기어박스에서 상기 구동축과 동력 연결된 작동바 및 상기 작동바의 일단과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연결하는 연결 브래킷을 포함하며,
    상기 기어박스 브래킷은 상기 프레임의 일부분을 감싸 고정하는 고정부, 그리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기어박스가 위치하고 상기 작동바가 관통하는 배치공간을 갖는 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배치공간에 배치되어 있고 치차 공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구동축과 연결된 제1 치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치차와 맞물려 있고 상기 작동바와 연결된 제2 치차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바는 상기 제2 치차를 관통하고 상기 작동바와 상기 제2 치차의 내부는 서로 치차 결합되어 맞물려 있으며, 상기 제2 치차의 회전으로 상기 작동바는 직선 이동하고,
    상기 연결 브래킷은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이동 방향을 상기 쿠션 프레임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여 상기 익스텐션 패널과 연결되어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정의되어 있는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사이드 프레임,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 배치되어 있는 쿠션 프레임,
    상기 쿠션 프레임이 직선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된 익스텐션 패널 및
    상기 익스텐션 패널의 직선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쿠션 프레임과 연결된 프레임
    을 포함하며,
    상기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는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익스텐션 패널을 직선 이동시키는
    시트쿠션.
  7. 삭제
KR1020190107432A 2019-08-30 2019-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102281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32A KR102281636B1 (ko) 2019-08-30 2019-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432A KR102281636B1 (ko) 2019-08-30 2019-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64A KR20210027664A (ko) 2021-03-11
KR102281636B1 true KR102281636B1 (ko) 2021-07-27

Family

ID=75143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432A KR102281636B1 (ko) 2019-08-30 2019-08-30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163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1545B1 (ko) * 2014-11-25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US9821692B2 (en) 2013-11-19 2017-11-21 Jaguar Land Rover Limited Deployable leg res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10B1 (ko) * 2008-09-22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516224B1 (ko) 2009-08-12 2015-04-30 주식회사다스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664690B1 (ko) 2015-05-20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쿠션 익스텐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1692B2 (en) 2013-11-19 2017-11-21 Jaguar Land Rover Limited Deployable leg rest assembly
KR101601545B1 (ko) * 2014-11-25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664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08632B1 (en) Vehicle seat device
US20090236891A1 (en) Motion converting drive mechanism and vehicle sea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120025582A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JPH0583412B2 (ko)
KR102281636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102309253B1 (ko) 이중 기어를 이용한 시트쿠션 익스텐션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쿠션
KR102485357B1 (ko) 차량용 시트 장치
JP2005306322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0127710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931452B2 (ja) パワー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JP3750522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6248447A (ja) 自動車の着座姿勢調整装置
KR100196165B1 (ko) 시트 암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KR200154689Y1 (ko) 차량용헤드레스트위치조절장치
KR200141659Y1 (ko) 자동차 프런트 시트 높이조절장치
KR19980022842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90034578A (ko) 높낮이 조절형 아암레스트
JPH0454447B2 (ko)
KR20220069246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KR0140760Y1 (ko) 승용차의 리어시이트 등받이 허리받침 조절장치
KR20010063456A (ko) 자동차용 시트 백 측부 조절 장치
JPH07111927A (ja) サイドサポート付シート装置
KR100318077B1 (ko) 자동차용 암 레스트를 이용한 리어 시트의 센터 헤드레스트 자동 높이 조절 장치
KR19980030369A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시트의 아암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