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0631Y1 -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 Google Patents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0631Y1
KR200260631Y1 KR2020010032553U KR20010032553U KR200260631Y1 KR 200260631 Y1 KR200260631 Y1 KR 200260631Y1 KR 2020010032553 U KR2020010032553 U KR 2020010032553U KR 20010032553 U KR20010032553 U KR 20010032553U KR 200260631 Y1 KR200260631 Y1 KR 2002606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eat
chair
pair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5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환
Original Assignee
김선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환 filed Critical 김선환
Priority to KR20200100325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06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06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0631Y1/ko
Priority to PCT/KR2002/001981 priority patent/WO2003034870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4Seat parts with dou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14Seat parts of adjustable shape; elastically mounted ; adaptable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Abstract

본 고안은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앉는 씨트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한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하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서로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Chair Having Separate Seat}
본 고안은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앉는 씨트가 한 쌍으로 분할되어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따라 간격 조절이 가능한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의 척추는 경추, 흉추, 요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요추의 끝에 붙어있는 것이 꼬리뼈(尾骨)이다.
상기 꼬리뼈는 과도한 노동이나 오랜 시간 동안 앉아 있을 경우에 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이러한 통증을 미추통(coccygodinia)이라고 한다.
다시 말하면, 미추통은 항문 뒤쪽의 꼬리뼈 부근이 움직일 때 이 부위가 아픈 질환으로 꼬리뼈 단독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며, 여성이 남성보다 2배정도 많은데, 오래 않아 있어야 하는 공장 근로자, 비서 등의 직업을 가진 사람에게서 자주 발생한다.
그리고, 눈길에 미끄러져 엉덩방아를 찢는 등 꼬리뼈에 충격을 준 일이 있거나 직업이나 취미상 꼬리뼈 쪽에 계속해서 자극을 주는 경우(승마 등), 감자 분만, 난산 등의 산과적 병력, 척추의 관절염이나 질환 등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원인이 있는 사람들에서 꼬리뼈에 붙어있는 근육들의 긴장이나 수축이 심할 때 통증이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요추통의 치료를 위해 진통제나 근육 이완제를 복용할 수도 있고, 그래도 호전되지 않으면 꼬리뼈 주변의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해 국소 마취제나 스테로이드를 주사할 수도 있으며, 환자는 척추 주위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운동을 하는 것이 좋고, 잘못된 자세를 교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특히, 꼬리뼈를 잘라내는 수술을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것은 방사선 검사상 꼬리뼈 부위에 확실한 병변이 있을 경우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미추통의 원인이 확연하여 그에 적당한 치료를 통하여 완치되는 일부 경우를 제외하고는 미추통의 반복 재발에 따른 고통으로 일상 생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치질은 항문과 직장에 정맥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의미하며, 즉 항문과 하부 직장내 또는 주변의 확장되고 불룩해진 혈관을 의미한다.
치질은 위치에 따라 외치질과 내치질의 2종류가 있는데, 외치질은 항문 근처에서 발생하고 매우 민감한 조직으로 싸여 있으며, 혈전이 생기면 통증이 심한 부종이 생길 수 있다. 외치질은 딱딱하고 민감한 덩어리로 만져지며 파열되면 출혈이 발생한다.
내치질은 치상선 아래 항문 내에서 생기며 통증 없는 출혈과 배변시 돌출이 가장 흔한 증상이다. 그러나, 내치질도 완전한 탈출 현상(항문 입구에서 돌출 되어 밀어도 안쪽으로 돌아오지 않을 경우)은 심한 통증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치질 환자의 경우에도 그 병세가 심할 경우에는 의자에 앉아 있지 못할 정도로 환부의 통증이 심하기 때문에 자유로운 일상 생활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미추통 환자나 치질 환자와 같이 엉덩이 근처에 압박이 가해지면 심한 통증을 수반하는 환부가 있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앉아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의자가 고안되어 있지 않아서 많은 미추통 또는 치질 환자가 고통 속에서 작업을 해야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미추통이나 치질 환자와 같이 엉덩이에 통증이 발생하는 사람이 앉아도 환부를 자극하지 않아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베이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씨트 및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씨트 및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연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씨트부 11 : 베이스
13 : 베이스 레일 14 : 고정핀
15 : 씨트 17 : 팔걸이
19 : 등받이 20 : 높이 조절부
30 : 스탠드 31 : 지지부
32 : 캐스터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서로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를 제공한다.
상기 베이스는 그 상부면에 적어도 한 쌍의 베이스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씨트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씨트 레일과, 상기 베이스 레일과 씨트 레일을 고정시켜 주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씨트는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면 다른 한쪽도 반대 방향으로 같은 거리를 이동시켜 주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씨트의 하부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타단에 원형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치합 결합되는 한 쌍의 연동 바와, 상기 한 쌍의 연동 바에 형성된 원형 기어의 축이 고정되며, 그 하부면에 전후로 제 1연동 레일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연동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가 직선 이동을 하게 해 주는 제 2연동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거나, 상기 베이스의중심에 그 회전축이 고정된 연동 기어와, 상기 연동 기어에 대향 치합되면서 각각 하나의 씨트에 그 일단부가 고정된 한 쌍의 랙 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의 양측단이나 상기 한 쌍의 씨트 각 일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팔을 걸을 수 있는 팔걸이와,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자동차의 씨트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등받이를 더 포함하여, 자동차용 씨트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엉덩이 중심 부분에 환부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의 환부에 통증이 가해지지 않게 해주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가능하게 해준다.
(실시예)
이하에 상기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면, 도 1은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서 베이스의 상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에서 씨트 및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씨트 및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에서 연동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는 사무실이나 가정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일반 의자와 같은 제 1구조(도 1에 나타낸 경우와 같은 구조)와 자동차 씨트와 같은 경우와 같이 특수한 공간 환경에 적용되는 제 2구조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으나, 본 고안에서는 제 1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의자의 경우에 사용자가 앉는 씨트부(10)와 편리한 이동 및 상기 씨트부(10)의 높낮이 조절 기능을 가지는 스탠드(30)로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3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씨트부(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하여 에어 실린더 또는 나사식 구조와 같이 높이 조절이 가능한 높이 조절부(20)와, 상기 높이 조절부(20)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지지부(31)와, 상기 지지부(31)의 하단에 장착되는 다수의 캐스터(32)로 구성된다.
상기 씨트부(10)는 상기 높이 조절부(20)의 상단에 그 중심이 고정되는 베이스(11), 상기 베이스(11) 위에 좌우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15)와, 팔걸이(17), 등받이(1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1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상부면에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그 전후에 한 쌍의 베이스 레일(13)이 형성되어 있으며, 앞쪽의 베이스 레일에는 고정핀(14)이 삽입되는 제 1고정구멍(1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팔걸이(17)가 씨트(15)에 장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베이스(11)의 양단에 장착될 수도 있다.
상기 한 쌍의 씨트(15a, 15b)는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하며, 좌우로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15a, 15b)의 전후에 상기 베이스 레일(13)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씨트 레일(16)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고정구멍(14a)에 대응하여 고정핀(14)이 삽입되어, 상기 고정핀(14)에 의하여 씨트(15a, 15b)가 상기 베이스(11)에 대하여 이동이 불가능하게 고정시켜 주기 위한 제 2고정 구멍(14b)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에 장착되어 좌우 이동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15a, 15b)는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따로 따로 이동하여 상기 높이 조절부(2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서로 다른 위치에 고정될 수도 있지만, 사용상의 편의를 위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쪽의 씨트를 이동시키면 다른 한 쪽의 씨트도 같은 간격을 유지하면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부(21)를 상기 씨트(15a, 15b)의 하부면에 장착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연동부(21)는 구조적으로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으며, 본 고안에서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 1실시예와, 도 5에 나타낸 제 2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제 1실시예의 연동부(21)는 상기 각 씨트(15a, 15b)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고정부(23a, 23b)와, 상기 각 씨트(15a, 15b)의 이동 거리에 따른 길이를 가지는 연결 바(22a, 22b)와, 상기 연결 바(22a, 22b)의 타단에 기어부가 형성된 치합부(24a, 24b)로 이루어진 한 쌍의 연동 바(22)와; 상기 한 쌍의 치합부(24a, 24b)를 서로 치합시켜 주며, 그 하부면에 전후로 제 1연동 레일(26a,26b)이 형성된 결합부(26)와; 상기 한 쌍의 치합부(24a, 24b)의 중심을 상기 결합부(26)에 고정시켜 주는 기어 축(25a, 25b)과; 상기 베이스(11)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26)에 형성된 제 1연동 레일(26a, 26b)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26)가 직선 이동을 하게 해 주는 제 2연동 레일(27a, 27b)로 구성된다.
연동부(21)의 제 2실시예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1)의 중심에 그 회전축이 고정된 연동 기어(42)와, 상기 연동 기어에 대향 치합되면서 각각 하나의 씨트(15a, 15b)에 그 일단부가 고정된 한 쌍의 랙 기어(40a, 40b)로 구성된다.
상기 연동부(21)의 제 2실시예는 상기 제 1실시예에 비하여 그 구성이 간단하게 구성되면서 동일한 작용을 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는 사용자의 신장에 따라서 상기 높이 조절부(20)를 이용하여 상기 씨트(15a, 15b)의 높이를 조절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사용 의도에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씨트(15a, 15b) 중에서 어느 한 쪽의 씨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나머지 다른 한 쪽의 씨트도 상기 연동부(21)에 의하여 연동하면서 서로의 간격이 조절된다.
적당한 간격으로 이동되면 고정핀(14)을 상기 제 1 및 제 2고정 구멍(14a, 14b)에 삽입하여 베이스 레일(13)과 씨트 레일(16)을 서로 고정시켜 준다.
상기와 같이 씨트(15a, 15b)의 간격이 벌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씨트에 앉으면 엉덩이 중심에 있는 환부(미추통이나 치질에 의한 환부)가 씨트(15a, 15b)에닿지 않아서 환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미추통이나 치질 환자 등이 통증을 느끼지 않는 상태에서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쾌적한 기분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실시예 설명에서는 일반 사무실용 의자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에 따른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는 자동차 씨트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구성 요소 중에서 스탠드(30) 부분과 팔걸이(17) 등을 제외한 베이스(11), 씨트(15a, 15b), 연동부(21), 등받이(19)만의 구성을 이용하여 자동차에 적용한다.
자동차에 본 고안에 따른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의 바닥에 설치된 슬라이딩 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되는 레일을 상기 베이스(11)의 하부면에 고정시켜서 장착하면 기존의 자동차 의자와 동일한 원리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을 자동차 씨트로 적용하여 사용하면, 씨트의 중간 부분이 분할되어 있기 때문이 하절기 등과 같이 더운 계절에는 자동차의 송풍 덕트에서 나오는 바람이 엉덩이 부분까지 용이하게 전달되어, 땀 때문에 운전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씨트를 2피스로 분할하여 좌우 이동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엉덩이 중심 부분에 환부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도 환부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아서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동안 의자에 앉아서 작업을 가능하게 해준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로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0)

  1. 상하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위에 설치되어 서로의 간격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씨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씨트는 어느 한쪽을 이동시키면 다른 한쪽도 반대 방향으로 같은 거리를 이동시켜 주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각 씨트의 하부면에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타단에 원형 기어가 형성되어 서로 치합 결합되는 한 쌍의 연동 바와, 상기 한 쌍의 연동 바에 형성된 원형 기어의 축이 고정되며, 그 하부면에 전후로 제 1연동 레일이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에 형성된 연동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가 직선 이동을 하게 해 주는 제 2연동 레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중심에 그 회전축이 고정된 연동 기어와, 상기 연동 기어에 대향 치합되면서 각각 하나의 씨트에 그 일단부가고정된 한 쌍의 랙 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면에 형성된 적어도 한 쌍의 베이스 레일과, 상기 한 쌍의 씨트 하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레일에 결합되어 슬라이딩되는 적어도 한 쌍의 씨트 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와 씨트를 서로 고정시켜 주는 고정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7. 제 1항∼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양측단이나 상기 한 쌍의 씨트 각 일단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팔을 걸을 수 있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8. 제 1항∼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후단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등을 받쳐 주는 등받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9. 제 1항∼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부면에 장착되어지지해 주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10. 제 1항∼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그 하부면에 자동차의 씨트 레일과 슬라이딩 결합되는 슬라이딩 레일과, 등받이를 더 포함하여, 자동차용 씨트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KR2020010032553U 2001-10-24 2001-10-24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KR2002606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53U KR200260631Y1 (ko) 2001-10-24 2001-10-24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PCT/KR2002/001981 WO2003034870A1 (en) 2001-10-24 2002-10-23 Chair having separat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553U KR200260631Y1 (ko) 2001-10-24 2001-10-24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0631Y1 true KR200260631Y1 (ko) 2002-01-12

Family

ID=19710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553U KR200260631Y1 (ko) 2001-10-24 2001-10-24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260631Y1 (ko)
WO (1) WO200303487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18B1 (ko) 2005-10-14 2006-12-06 김선환 골반 보호용 의자
KR101606580B1 (ko) * 2014-10-30 2016-03-28 김두복 회전식 양변기
KR20160114369A (ko) * 2015-03-24 2016-10-05 삼원에프에이 (주) 족욕 겸용 좌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20864B1 (no) 2004-05-14 2006-02-06 Sinvent As Stolsete med innbydes bevegelige setedeler
DE102006020671B4 (de) * 2006-05-04 2017-04-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In seiner Breite verstellbarer Sitz,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e
GB2450368B (en) * 2007-06-21 2009-08-05 John Maurello Hemorrhoid treatment device
DE102010020503A1 (de) * 2010-05-14 2011-11-17 Josef Glöckl Sitzvorrichtung mit beweglichem Sitz
DE202011000125U1 (de) * 2011-01-18 2012-04-20 Stefan Thurmaier Gebärstuhl
EP3085342A4 (en) 2013-12-17 2017-08-23 Microdesign Limited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863Y1 (ko) * 1993-12-31 1998-07-15 전성원 차량의 앞좌석 폭 조절장치
KR200254711Y1 (ko) * 2001-08-17 2001-11-24 정관영 등받이폭 조절이 가능한 등받이 지지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918B1 (ko) 2005-10-14 2006-12-06 김선환 골반 보호용 의자
KR101606580B1 (ko) * 2014-10-30 2016-03-28 김두복 회전식 양변기
KR20160114369A (ko) * 2015-03-24 2016-10-05 삼원에프에이 (주) 족욕 겸용 좌욕기
KR101671872B1 (ko) 2015-03-24 2016-11-02 삼원에프에이 (주) 족욕 겸용 좌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34870A1 (en) 2003-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4918B1 (ko)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260631Y1 (ko) 분할된 씨트를 구비한 의자
JP3723327B2 (ja) 内外診兼用診療台
KR101285459B1 (ko) 안락좌석
EP0622998B1 (en) Shower sitting structure
Hunt Herman et al. Seating and positioning to manage spasticity after brain injury
KR20120063988A (ko) 자세 교정용 방석
KR100826365B1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FR2442049A1 (fr) Chaise posturale
Rappl et al. Seating evaluation: Special problems an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KR20090048281A (ko) 변위 각도 설정 기능을 갖는 골반 보호용 의자
KR200327985Y1 (ko) 양분된 시트를 갖는 의자
US4921304A (en) Chair
KR20040010486A (ko) 양분된 시트를 갖는 의자
CN101530267B (zh) 托腰保健座垫
CN101088434A (zh) 一种用于腹部依托/支撑的椅靠
CN109363403A (zh) 一种充水式球型座椅
CN216797510U (zh) 一种适用于坐骨承载的坐便圈
CN212233789U (zh) 一种适于男性人体工程学的椅垫椅背组合装置
KR200258149Y1 (ko) 체형 의자
KR200180448Y1 (ko) 목욕용 보조의자
KR100784433B1 (ko) 체중이동변화에 대응가능한 시트분리형 의자
KR101438755B1 (ko) 척추 직립 장치
KR200306659Y1 (ko) 좌변기용 보조의자
CN211382474U (zh) 一种积极心理治疗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410

Effective date: 200503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