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8727Y1 -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 Google Patents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8727Y1
KR0118727Y1 KR2019950022412U KR19950022412U KR0118727Y1 KR 0118727 Y1 KR0118727 Y1 KR 0118727Y1 KR 2019950022412 U KR2019950022412 U KR 2019950022412U KR 19950022412 U KR19950022412 U KR 19950022412U KR 0118727 Y1 KR0118727 Y1 KR 01187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hock absorber
backrest
outer frame
absorb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24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669U (ko
Inventor
이민규
Original Assignee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진철, 대우중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석진철
Priority to KR20199500224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8727Y1/ko
Publication of KR970009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66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87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87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용시에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다른 장치의 작동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절첩케 한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완충시트에 등받이 접힘기능이 없어 특히, 지게차와 같은 산업차량에서 공간제약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시트(10)와 분리된 등받이(20)와 이 등받이에 고정되는 완충장치 조립체의 양측 브래킷과 고정체인 외부프레임이 볼트로 힌지결합되게 구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외부프레임에는 스냅링을 가지는 보스가 돌설되어 보스하부에 형성된 장공으로 너링손잡이의 샤프트에 고정된 걸림핀이 돌설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완충장치 조립체(3)의 브래킷구멍에 삽탈가능하도록 상기 스냅링과 걸림핀 사이에 스프링을 탄설한 구성으로 된다.

Description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제1도는 종래의 분리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완충조립체 3A, 3B: 브래킷
3a, 3b: 체결공 4: 외부프레임
41: 체결공 42: 보스
42h: 장공 42r: 스냅링
43: 스토퍼 5: 샤프트
51: 너링손잡이
본 고안은 지게차의 완충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시에 작업자에게 편리함을 주고, 다른 장치의 작동시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절첩케 한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차량인 지게차는 승용차와 달리 디젤엔진을 사용함으로 차량 진동이 심하여 완충수단을 구비한다.
이를 살펴보면 제1도에서와 같이 시트(10)와 등받이(20)가 상호 일체형으로써 등받이와 시트 배면을 따라 맞게 절곡형성된 프레임(30)이 상기 시트(10) 및 등받이(20)의 양측으로부터 볼트(B)를 체결하여 고정되고, 등받이(20) 중앙의 걸림편(40)에 프레임(30)의 하부 환봉(31) 중양에 입설된 완충대(32)를 힌지결합하고, 그 양측에 입설된 가이드봉(33)이 등받이에 고정된 가이드브래킷(23)에 삽입안내되게 하되, 외측 걸림편(24)에 상기 가이드봉 상부에 위치 고정되는 횡대(34)에 걸린 인장스프링(35)의 하단이 걸려진 결합구조로써 시트에 받는 하중이 인장스프링과 완충대의 상호 보완작용으로 흡수 완충시키도록 되는 것이다.
이러한 완충시트는 대부분의 산업차량 운전석에 활용되어 장시간 운전을 해야 하는 운전자의 운전여건을 보다 안정되게 하였다.
그러나 지게차의 경우에는 통상 지게차 운전석 하단에 형성된 후드를 후방으로 개폐시 캐빈이 장착된 지게차인 경우에는 시트등받이가 캐빈의 후방유리와 간섭을 일으키고 또한 지게차후방에 LPG탱크가 구비된 경우에도 완충시트의 등받이가 상기 LPG탱크와 간섭을 일으켜 지게차의 후드개폐에 큰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처음 조립, 설치할 때에도 협소한 공간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완충시트를 접을 수 있는 구조로 하여서 상기의 사용시 장애와 조립시 장애를 없게 함으로써 보다 편리한 완충시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시트와 분리된 등받이와 이 등받이에 고정되는 완충장치 조립체의 양측 브래킷과 고정체인 외부프레임이 볼트로 힌지결합되게 구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의 외부프레임에는 스냅링을 가지는 보스가 돌설되어 보스 하부에 형성된 장공을 너링손잡이의 샤프트에 고정된 걸림핀이 돌설되게,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어 완충장치 조립체의 브래킷 구멍에 삽탈가능하도록 상기 스냅링과 걸림핀 사이에 스프링을 탄설한 구성으로 된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에서와 같이 완충장치 조립체로써 시트의 완충을 이루는 지게차의 완충시트에 있어서, 완충장치 조립체(3)의 양측면에 각각 한쌍의 브래킷(3A, 3B)을 구비하여 내측 브래킷(3A)의 체결공(3a)을 절첩가능한 시트등받이(2)에 볼트(B)로 조립가능하게 고정하고, 외부 프레임(4)의 체결공(41)과 상기 완충장치 조립체(3)의 외측브래킷(3B)의 체결공(3b)과 역시 볼트(B)로 조립가능하게 고정되며, 이 외측브래킷(3B)의 하부구멍(H)에는 외부프레임(4)의 일측에 탄설되는 잠금수단에 의해 록킹/해제되는 샤프트(5)가 관통되게 설치된 구성으로 된다. 여기서 잠금수단은 외부프레임(4)의 일측에 돌설된 장공(42h)을 가지는 보스(42) 상부에 스냅링(42r)을 체결하고, 이 보스에는 너링 손잡이(51)를 가지는 샤프트(5)가 삽입되어 외부프레임(4) 및 완충장치 조립체(3) 외측브래킷(3B)의 구멍(H)으로 삽탈되게 함과 동시에 샤프트(5) 측방에 고정된 걸림핀(52)이 상기 보스(42)의 장공(42h)으로 돌설되어 스냅링(42r)과의 사이에 스프링(S)을 개재하는 한편, 이 외부프레임(4) 반대측의 내면에는 등받이(2)와 일체인 완충장치 조립체(3)의 후방으로의 재켜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3)가 돌설된 구성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제3도에서와 같이 샤프트(5)가 외부프레임(4)과 완충장치 조립체(3)의 브래킷(3B)의 구멍(H)으로 삽입록킹된 상태에서는 위치 고정된 외부프레임(4)과 완충장치 조립체(3) 및 등받이(2)가 일체로 움직일 수 없는 상태로써 주지의 완충장치 조립체(3)에 의한 충격완충 효과를 그대로 가지면서, 후드 개폐시나 조립공정에서의 공간확보 등을 위해 접을 때에는 너링 손잡이(51)를 잡고 당기므로써 샤프트(5)의 걸림핀(52)이 보스(42)의 장공(42h)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스프링(S)을 압축하며 샤프트(5)가 완충장치 조립체(3)의 브래킷(3B)구멍(H)으로부터 빠져나온 순간 등받이(2)와 일체로 고정된 완충장치 조립체(3)는 브래킷(3B)에 고정된 볼트(B)를 중심으로 접힘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스토퍼(43)는 이 등받이(2)의 후방으로의 재켜짐을 막는 기능을 한다.
이후 다시 사용하기 위해 등받이(2)를 복귀할 때에는 등받이(2)를 후방으로 재키면 외부프레임(4)의 스토퍼(43)에 의해 닿아 더 이상 재켜지지 않는 상태에서 외부프레임(4)의 샤프트(5)와 구멍(H)이 일치된 상태에서 너링 손잡이(51)를 놓으면 스프링(S)의 복귀력으로 잠금 원위치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완충시트의 등받이에 접힘 가능한 기술을 제공하여 산업차량인 지게차 등에 적용하여 후드개폐시 또는 차량 조립시 캐빈내의 공간확보와 부속장치와의 간섭장애를 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완충장치 조립체로서 시트의 완충을 이루는 지게차의 시트에 있어서, 완충장치 조립체(3)의 양측면에 각각 한쌍의 브래킷(3A,3B)을 구비하며 내측브래킷(3A)의 체결공(3a)을 절첩가능한 등받이(2)에 결합하고 외측브래킷(3B)의 체결공(3b)과 외부프레임(4)의 체결공(41)에 역시 볼트(B)로 결합하며, 이 외측브래킷(3B) 하부구멍(H)에는 외부프레임(4)의 일측에 탄설되는 잠금수단에 의해 록킹/해제되는 샤프트(5)가 관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수단은 외부프레임(4)의 일측에 돌설된 장공(42h)을 가지는 보스(42) 상부에 스냅링(42r)을 체결하고, 이 보스(42)에는 너링 손잡이(51)를 가지는 샤프트(5)가 삽입되어 외부프레임(4) 및 완충장치 조립체(3)의 외측브래킷(3B)의 구멍(H)으로 삽탈되게 함과 동시에 샤프트(5)의 측방에 고정된 걸림핀(52)이 상기 보스(42)의 장공(42h)으로 돌설되어 스냅링(42r)과의 사이에 스프링(S)을 개재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의 반대측 외부프레임(4)의 내면에는 등받이(2)와 일체인 완충장치 조립체(3)의 후방 재켜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43)가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KR2019950022412U 1995-08-26 1995-08-26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KR01187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412U KR0118727Y1 (ko) 1995-08-26 1995-08-26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2412U KR0118727Y1 (ko) 1995-08-26 1995-08-26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69U KR970009669U (ko) 1997-03-27
KR0118727Y1 true KR0118727Y1 (ko) 1998-07-15

Family

ID=19421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2412U KR0118727Y1 (ko) 1995-08-26 1995-08-26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872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669U (ko) 1997-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13873B2 (en) Locking device for folding seat
US6474715B2 (en) Structure for rear luggage compartment of vehicle
US4770459A (en) Lock assembly for pivotal vehicle seat
US4639037A (en) Auxiliary seat assembly for use in vehicles
US7578559B2 (en) Retractable vehicle headrest
US5716100A (en) Moment lock assembly for vehicle seat back
KR950008598Y1 (ko) 완충시트 접힘장치
EP0651957B1 (en) Impact energy absorption mechanism for recline-locking apparatuses
CN109094439B (zh) 车辆座椅和车辆
US6382699B1 (en) Tonneau cover bumper
KR0118727Y1 (ko) 지게차의 접힘 가능한 완충시트
KR200147676Y1 (ko) 자동차용 도어 스트라이커
KR200147948Y1 (ko) 자동차의 플로워 패널 보강구조
JP4706139B2 (ja) 車両のドア構造
KR100356875B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래치장치
KR0185899B1 (ko) 도난 방지 구조를 갖는 자동차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19980068125U (ko) 충격흡수용 도어 스트라이커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200144497Y1 (ko) 자동차 도어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잠금 장치
KR0185900B1 (ko) 도어 록킹 노브가 일체로 구비되는 도어 인사이드 핸들
KR0139441Y1 (ko) 자동차 트렁크 내부의 충격흡수장치
JPS6312069Y2 (ko)
JPH0511074Y2 (ko)
KR19980018092U (ko) 자동차의 차체 보강구조
KR0119231Y1 (ko) 자동차용 프론트 시트의 접힘 방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