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7874Y1 -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 Google Patents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7874Y1
KR0117874Y1 KR2019940025707U KR19940025707U KR0117874Y1 KR 0117874 Y1 KR0117874 Y1 KR 0117874Y1 KR 2019940025707 U KR2019940025707 U KR 2019940025707U KR 19940025707 U KR19940025707 U KR 19940025707U KR 0117874 Y1 KR0117874 Y1 KR 01178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ignal
decoder
clock signal
sc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7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2900U (ko
Inventor
신영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257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7874Y1/ko
Publication of KR960012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78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787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74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2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 H03K19/173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using specified components using elementary logic circuits as components
    • H03K19/1733Controllable logic circuits
    • H03K19/1737Controllable logic circuits using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달라지는 외부 수평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분주하여 출력하는 수평카운터와, 분주된 클럭신호를 버퍼링하여 수직제어클럭신호로 발생하고 수평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평디코더와,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제어클럭신호에 동기하여 계수하는 수직카운터와, 수직카운터를 통해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제어클럭신호를 계수하고 디코딩하고 노말스캔/더블스캔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캔모드의 수직시작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디코더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노말스캔과 더블스캔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제 1A 도 내지 제 1C 도는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시의 복합영상신호파형과 수직유효시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 2A 도 내지 제 2E 도는 노말스캔시의 수평유효시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 3A 도 내지 제 3E 도는 더블스캔시의 수평유효시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신호파형도.
제 4 도는 본 고안에 의한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의 블럭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수직디코더의 상세 블럭도.
본 고안은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 겸용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의 디스플레이장치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바, 구동제어회로는 스캔방식에 따라 노말스캔방식과 더블스캔방식이 있다. NTST텔레비젼 방송방식의 텔레비젼방송신호는 주사선이 525/프레임이고 비월주사방식이므로 한 필드당 주사선은 262.5개이다. 이중 귀선신호구간 및 등화펄스구간등을 제외한 유효주사선수는 242-243개가 된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되는 주사선수를 통상 240개로 하고 있는 데, 이와같이 한 필드당 주사선수를 240개로 하는 주사방식을 노말스캔방식이라 한다.
그러나, 디스플레이장치의 대화면화가 진행되어감에 따라 고화질화가 요구되었고 이에 수직해상도를 두배로 높여 주사선수가 484-486개인 더블스캔방식이 소개되었다.
그러나, 종래에는 노말스캔방식과 더블스캔방식을 각각의 전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가 집적회로칩으로 제작되어 판매되기때문에 사용자는 별도의 구동제어회로를 각각 구성하지 않으면 안되었고 이에 사용상 불편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방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달라지는 외부 수평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분주하여 출력하는 수평카운터와, 분주된 클럭신호를 버퍼링하여 수직제어클럭신호로 발생하고 수평구동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수평디코더와,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수직제어클럭신호에 동기하여 계수하는 수직카운터와, 수직카운터를 통해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제어클럭신호를 계수하고 디코딩하고 노말스캔/ 더블스캔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캔모드의 수직시작신호를 발생하는 수직디코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디코더는 수직카운터에서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검출신호에 의해 리세트되어 입력되는 수직제어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제 1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카운터의 제 2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제 1 디코더와 제 2 디코더의 출력을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선택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수직유효시작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노말스캔과 더블스캔을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상 매우 편리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 1A 도는 노말스캔시의 NTST방식의 텔레비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내며 제 1B 도는 더블스캔시의 NTST방식의 텔레비젼 신호의 파형을 나타낸다. 제 1C도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에서부터 유효비디오시작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노말스캔이나 더블스캔이나 마찬가지로 유효데이타의 시작위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제 3C 도의 상승엣지)으로부터 15 내지 17 수평라인의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즉, 노말스캔이나 더블스캔이나 1필드는 즉 15.75킬로헤르츠로 동일하고 유효데이타의 시작위치도 동일하다. 그러나, 제 1A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노말스캔시에는 유효 주사선 242라인 중 240라인을 선택하여 1라인당 63.49마이크로초로 640*240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스캔라인을 구동제어한다면, 제 1B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더블스캔시에는 유효주사선 480라인을 선택하여 1라인당 31.745마이크로초로 640*480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수직스캔라인을 구동제어한다. 즉, 노말스캔의 1라인마다 더블스캔시에는 2라인을 스캔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더블스캔시에도 노말스캔시와 동일하게 유효데이타의 시작위치를 지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 2A 도는 노말스캔시의 복합 비디오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고 제 2B 도는 수평동기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2C 도는 클램프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2D 도는 수평유효시작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2E 도는 CPV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제 3A 도는 더블스캔시의 복합 비디오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고 제 3B 도는 수평동기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3C 도는 클램프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3D 도는 수평유효시작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며, 제 3E 도는 CPV 신호파형을 도시한 것이다. 즉, 수평구동 제어신호들은 노말스캔이나 더블스캔이나 동일한 신호형태를 가지며, 단지 더블스캔시의 각 신호들의 주파수가 노말스캔시의 각 대응하는 신호들의 주파수보다 2배 빠르다는 것만 다르다. 그러므로, 수평디코딩은 단지 외부 클럭신호의 주파수를 노말스캔 주파수로 할것인지 아니면 더블스캔 주파수로 할 것인지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대응하는 수평구동 제어신호들이 발생되게 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의한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는 노말스캔 또는 더블스캔모드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달라지는 외부 수평클럭신호(ECLK)를 입력하여 400분주하여 분주된 클럭신호(DCLK)를 출력하는 수평카운터(10)와, 분주된 클럭신호(DCLK)를 버퍼링하여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로 발생하고 클럭신호(DCLK)를 디코딩하여 수평유효시작신호(SDS)를 발생하여 수평디코더(20)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하여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에 동기하여 계수하는 수직카운터(30)와, 수직카운터(30)를 통해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의 선단으로부터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를 계수하고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노말스캔/더블스캔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캔모드의 수직유효시작신호(GDS)를 발생하는 수직디코더(40)를 포함한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수직디코더(40)는 수직카운터(30)에서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검출신호(V)에 의해 리세트되어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를 계수하는 카운터(42)와, 이 카운터(42)의 제 1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44)와 카운터(42)의 제 2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46)와 제 1 디코더(44)와 제 2 디코더(46)의 출력을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48)와, 선택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수직유효시작신호(GDS)로 출력하는 출력버퍼(50)를 가진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노말스캔모드로 선택되면, 선택신호(SEL)는 '하이'상태로 되고 외부 클럭신호(ECLK)의 주파수가 6.3메가헤르츠로 수평카운터(10)에 입력되어 400분주되어 15.75킬로헤르츠의 분주된 클럭신호(DCLK)로 발생된다. 이에 수평디코더(20)에서는 분주된 클럭신호(DCLK)를 입력하여 제 2B 도 내지 제 2E 도에 도시된 파형을 만들어 내고 15.75킬로헤르츠의 수평유효시작신호(SDS)를 발생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소스 구동신호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카운터(30)에서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하고 수직동기신호(VSYNC)의 선단검출신호(V)를 발생하며 이에 수직디코더(40)에서는 15.75헤르츠의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를 계수하고 제 1 디코더(44)에서는 16계수치를 디코딩하고 이 디코딩신호가 멀티플렉서(48) 및 출력버퍼(50)를 통해 수직유효시작신호(GDS)로 출력되게 된다. 이 수직유효시작신호(GDS)는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게이트구동신호로 제공된다. 이 때, 제 2 디코더(46)의 출력은 멀티플렉서(48)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다.
더블스캔모드로 선택되면, 선택신호(SEL)는 '로우'상태로 되고 외부 클럭신호(ECLK)의 주파수가 12.6메가헤르츠로 수평카운터(10)에 입력되어 400분주되어 31.5킬로헤르츠의 분주된 클럭신호(DCLK)블 발생한다. 이에 수평디코더(20)에서는 31.5킬로헤르츠의 클럭신호(DCLK)를 입력하여 제 3B 내지 제 3E 도에 도시된 파형을 만들어 내고 31.5킬로헤르츠의 수평유효시작신호(SDS)를 발생하여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소스구동신호로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수직카운터(30)에서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하고 수직동기신호(VSYNC)의 선단검출신호(V)를 발생하며 이에 수직디코더(40)에서는 31.55킬로헤르츠의 수직제어 클럭신호(VCLK)를 계수하고 제 2 디코더(46)에서는 34계수치를 디코딩하고 이 디코딩신호가 멀티플렉서(48) 및 출력버퍼(50)를 통해 수직유효시작신호(GDS)로 출력되게 된다. 이 수직유효시작신호(GDS)는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부의 게이트구동신호로 제공된다. 이 때, 제 1 디코더(44)의 출력은 멀티플렉서(50)에 의해 선택되지 않는다.
따라서, 노말스캔모드나 더블스캔모드나 모두 동일 시작위치에서 수직유효시작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노말스캔과 더블스캔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겸용가능하기때문에 별도의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칩을 구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가 칩을 사용하는 액정 디스플레이 스캔방식에 맞도록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다.

Claims (2)

  1. 노말스캔 및 더블스캔에 대응하여 주파수가 달라지는 외부 수평클럭신호를 입력하여 소정 분주하여 상기 분조된 클럭신호를 출력하는 수평카운터 ;
    상기 분주된 클럭신호를 버퍼링하여 수직제어클럭신호로 발생하고 상기 클럭신호를 디코딩하여 수평유효시작신호를 발생하는 수평디코더 ;
    외부로부터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여 상기 수직제어클럭신호에 동기하여 계수하는 수직카운터 ; 및
    상기 수직카운터를 통해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으로부터 상기 수직제어클럭신호를 계수하고 상기 계수된 값을 디코딩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노말스캔/더블스캔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스캔모드의 수직유효시작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디코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디코더는 상기 수직카운터에서 공급되는 수직동기신호의 선단검출신호에 의해 리세트되어 상기 입력되는 수직제어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카운터와, 이 카운터의 제 1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상기 카운터의 제 2 계수치를 입력하여 디코딩하는 제 2 디코더와, 상기 제 1 디코더와 제 2 디코더의 출력을 상기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와, 선택된 신호를 버퍼링하여 상기 수직유효시작신호(GDS)로 출력하는 출력버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KR2019940025707U 1994-09-30 1994-09-30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KR01178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707U KR0117874Y1 (ko) 1994-09-30 1994-09-30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707U KR0117874Y1 (ko) 1994-09-30 1994-09-30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00U KR960012900U (ko) 1996-04-17
KR0117874Y1 true KR0117874Y1 (ko) 1998-05-15

Family

ID=19394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707U KR0117874Y1 (ko) 1994-09-30 1994-09-30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787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756B2 (en) 2005-06-30 2013-07-0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storing recording mater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hipping destination of the printer for respective shipping destination area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756B2 (en) 2005-06-30 2013-07-09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inting control apparatus storing recording materi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a shipping destination of the printer for respective shipping destination are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2900U (ko)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9593A (ko) 텔레비전 수신기의 보조 데이타 디코더에 관한 예비 오퍼레이션을 제공하는 시스템
KR0117874Y1 (ko)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KR100234395B1 (ko) 다양한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기능들을 수행하는장치 및 방법
US7649530B2 (en) Mode-selecting apparatus,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selecting a mode in display unit
US4788540A (en) Raster scan image data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means for reducing flickering
JP2925777B2 (ja) 液晶プロジェクタの歪み補正回路
US7280091B2 (en) Analog front-end circuit for digital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0120574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방법 및 회로
JPH0787391A (ja) 信号波形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0123726B1 (ko)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100521268B1 (ko)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JPH0981081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KR930006886Y1 (ko) Vcr의 기록 일시정지시 경과시간 화면 표시회로
JP3710358B2 (ja) 画面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
KR940017870A (ko) 윈도우 신호 발생장치
JPS5857751B2 (ja) 陰極線管デイスプレイ装置
KR0166758B1 (ko) Vga영상신호를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0157452B1 (ko) 액정판넬구동제어장치
KR19980075241A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JP3244422B2 (ja) 走査線変換回路
KR950004106B1 (ko) 화상조절회로
JPH05210359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100335064B1 (ko) 모니터의 영상 제어장치
KR900001586B1 (ko) 2주파수 구동법에 의한 액정셔터 구동회로
KR940010735A (ko) 주화면 크기에 관계없이 부화면 신호를 일정화면비로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