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3726B1 -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3726B1
KR0123726B1 KR1019940025095A KR19940025095A KR0123726B1 KR 0123726 B1 KR0123726 B1 KR 0123726B1 KR 1019940025095 A KR1019940025095 A KR 1019940025095A KR 19940025095 A KR19940025095 A KR 19940025095A KR 0123726 B1 KR0123726 B1 KR 012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ertical
control signal
horizontal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003A (ko
Inventor
신영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2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3726B1/ko
Publication of KR9600130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0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3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21/00Details of pulse counters or frequency dividers
    • H03K21/38Starting, stopping or resetting the cou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elevision System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평카운터; 수평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평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수평제어신호를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평디코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평디코더에서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직카운터; 수직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직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수직제어신호를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직디코더; 방송방식 선택신호 및 스킵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가 노말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제2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제어신호가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되고 또한 매 화면마다 리세트되는 시기가 스크롤되도록 수평 및 수직디코더를 제어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2방송방식을 제1방송방식의 주사선수에 맞도록 디스플레이 하면서도 전 화면이 표시되므로 화질이 개선되고 다양한 스킵모드를 사용자가 임의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제1도는 NTST 방송방식의 주사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2도는 PAL 방송방식을 NTST 방송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준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도는 PAL방송방식을 NTST 방송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1/8라인스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PAL 방송방식을 NTST 방송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1/6라인스킵 및 화면 스크롤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
제6도는 제5도의 제어수단의 상세회로도.
제7도는 제6도의 신호발생부의 상세회로도.
제8도는 제7도의 제1카운터의 1/6라인스킵시의 파형도.
제9도는 제7도의 제2카운터의 1/6라인스킵시의 파형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1/6라인스킵시의 필드 스크롤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NTST/PAL 겸용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위성방송이 증가됨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방송방식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장치가 액정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한 경우에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
제1방송방식인 NTST 방식의 텔레비젼 방송신호와 제2방송방식인 PAL 방식의 텔레비젼 방송신호는 주사선의 수가 525와 625로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하나의 디스플레이장치에 겸용으로 표시하기 위해서는 어느 하나의 방송방식의 주사선수를 다른 하나의 방송방식의 주사선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 하지 않으면 안된다. 즉, NTST 방식은 한 프레임당 525개의 주사선을 가지며 비월주사방식이므로 한 필드당 262.5개의 주사선을 가지게 된다.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62.5개 중 유효비디오구간인 240여개(241 또는 242)만이 표시되게 된다. 그러나, PAL 방식은 625주사선을 가지며 필드당 312.5개의 주사선을 가지게 된다. 그러므로, 유효비디오구간은 287개 또는 288개이다.
따라서,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NTST방식이 주표시모드이면 625주사선을 가진 PAL 방식의 신호의 주사선을 525개로 변환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러한 주사선변환방식으로 제2도에 도시한 상하 일부 주사선들을 스킵하는 표준방식, 제3도에 도시한 8번째 주사선을 스킵하는 1/8라인스킵방식, 7번째 주사선을 스킵하는 1/7라인스킵방식, 6번째 주사선을 스킵하는 1/6라인스킵방식 등이 있다. 표준방식은 화면의 상하 각각 23 내지 24개의 주사선이 잘려 나가게 되어 전화면을 나타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라인스킵방식은 화면을 일정 주기마다 라인을 고정적으로 자르기 때문에 NTST 방식의 화면에 비하면 화질이 현저하게 떨어지고 자르는 비율을 사용자가 임의로 조정할 수 없었다.
통상적으로, 기존의 듀얼방송방식 겸용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제어용 집적회로장치들은 표준방식이나 여러가지 라인스킵방식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의 라인스킵방식을 선택할 수 없었고 자르는 라인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항상 똑같은 부분이 잘리게 되므로 화질이 떨어지며 전체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르는 라인이 필드 또는 프레임마다 스크롤되어 자르는 라인이 매 화면마다 다르게 함으로써 화질을 개선하고 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의 라인스킵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제2방송방식을 제1방송방식의 주사선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평카운터; 수평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평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수평제어신호를 소정 라인 스킵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평디코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수평디코더에서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직카운터; 수직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직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수직제어신호를 소정 라인스킵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직디코더; 방송방식 선택신호 및 라인스킵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1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가 노말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제2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제어신호가 소정 라인스킵주기마다 리세트되고 또한, 매 화면마다 리세트되는 시기가 스크롤 되도록 수평 및 수직 디코더를 제어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 화면마다 라인스킵위치가 달라지게 되므로 종래의 고정방식에 비해 화질이 개선되고 전 화면이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또한, 제어수단은 제2방송방식의 라인스킵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라인스킵 선택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동기분리기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여 매 프레임마다는 2분주된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고 매 필드마다는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입력부; 수직디코더에서 제공되는 수직제어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동기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2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및 방송방식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제2방송방식 제어신호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 출력부를 구비한다.
신호발생부는 선택된 소정 라인스킵주기마다 수직디코더에서 제공되는 수직제어신호를 계수하여 대응하는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카운터; 동기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선택된 소정 라인스킵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 ; 및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2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선택기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은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장치의 집적회로화를 용이하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세4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PAL 방송방식의 주사선변환방식은 1/6라인스킵방식에서 제1필드에서는 6, 12, 18, …라인들이 스킵되고 제2필드에서는 5, 11, 17, …라인들이 스킵되며, 제3필드에서는 4, 10, 16, …라인들이 스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6필드마다 반복적으로 라인스킵되는 위치가 상방향으로 스크롤되게 된다. 그러므로 스킵되는 라인들은 디스플레이되는 시간중에서 1/6만큼만 안보이게 되는 것이고 그 위치가 스크롤되기 때문에 시각적으로는 잔상효과에 의해 마치 전화면이 다 보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둘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원리는 1/7, 1/8, 1/9, 1/10라인스킵방식들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1/7인 경우에는 280개를 7라인마다 1라인씩 스킵하며 나머지 8개를 상하로 4개씩 자르며, 1/8인 경우에는 274개를 8라인마다 1라인씩 스킵하며 나머지 14개를 상하로 7개씩 자르며, 1/9인 경우에는 270개를 9라인마다 1라인씩 스킵하며 나머지 18개를 상하로 9개씩 자르며, 1/10인 경우에는 266개를 10라인마다 1라인씩 스킵하며 나머지 22개를 상하로 11개씩 자르게 된다. 그러므로 1/6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상하로 몇 라인씩 잘리게 되나 상하로 각각 23∼24개씩 자르는 표준방식과 고정 라이스킵방식에 비해서는 보다 많은 비디오구간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화질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5도를 참조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원리를 실행하기 위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인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100)는 수평카운터(10), 수평디코더(20), 동기신호분리기(30), 수직카운터(40), 수직디코더(50) 및 제어수단(60)을 포함한다. 액정 디스플레이장치(200)는 액정패널(210), 수평드라이버(220) 및 수직드라이버(230)를 포함한다.
수평카운터(10)에서는 클럭신호(CLK)가 계수되고 그 계수치가 출력되며, 수평디코더(20)에서는 수평카운터(10)의 계수치가 디코딩되어 수평스타트신호(STH)와 수평제어신호(CPH : carry pulse horizantal)가 발생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DS)에 응답하여 PAL 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상기 수평스타트신호(STH')가 소정라인스킵주기마다 예컨대, 6, 7, 8, 9, 10 라인마다 리세트되게 된다. 이때에는 수평드라이버(220)에 데이타가 래치되지 않게 된다. 동기분리기(30)에서는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복합영상신호(C.V)로부터 수직동기신호(V)가 분리된다. 수직카운터(40)에서는 분리된 수직동기신호(V)에 응답하여 수평디코더(20)에서 공급되는 클럭신호가 계수된다. 수직디코더(50)에서는 수직카운터(40)의 계수치가 디코딩되어 수직스타트신호(STV)와 수직제어신호(CPV' : carry pulse vertical)가 발생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DS)에 응답하여 PAL 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수직제어신호(CPV')를 소정 주기마다 예컨대, 6, 7, 8, 9, 10라인마다 리세트되도록 한다. 제어수단(60)에서는 방송방식 선택신호(N/P) 및 라인스킵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NTST 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20,50)가 노말 동작되도록 하고, PAL 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수평 및 수직디코더(20,50)에서 출력되는 수평스타트신호(STH) 및 수직제어신호(CPV)가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되고 또한, 매 화면마다 리세트되는 시기가 스크롤되도록 수평 및 수직디코더(20,50)를 제어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DS)가 발생된다.
제6도를 참조하면, 제어수단(60)은 PAL 방송방식의 라인스킵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라인스킵 선택신호(SEL)를 디코딩하는 디코더(62)와, 동기분리기(30)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V)를 입력하고 프레임/필드선택신호(F/f)에 응답하여 매 프레임마다는 2분주된 수직동기신호를 출력신호(W)로 발생하고 매 필드마다는 수직동기신호를 출력신호(W)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입력부(64)와, 수직디코더(50)에서 제공되는 리세트안된 수직제어신호(W)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동기신호 입력부(64)의 출력신호(W)를 선택된 소정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PAL 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66)와, 방송방식 선택신호(N/P)에 응답하여 PAL 방송방식 제어신호(X)의 출력여부를 결정하여 방송방식 제어신호(DS)를 출력하는 출력부(68)를 포함한다. 이러한 리세트신호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디코더(20)의 수평스타트신호(STH)의 출력래치(22)의 리세트단자와 수직디코더(50)의 수직제어신호(CPV')의 출력래치(52)의 리세트단자에 제공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신호발생부(66)는 수직디코더(50)에서 제공되는 수직제어신호(CPV)를 선택된 라인스킵 주기마다 계수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카운터(70)와, 동기신호 입력부(64)의 출력신호(W)를 선택된 라인스킵 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72)와,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PAL 방송방식 제어신호(X)를 발생하는 신호선택부(74)를 포함한다. 제1카운트(70)는 10개의 D형 플립플롭과 논리게이트들로 구성되고 라인스킵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6진, 7진, 8진, 9진 또는 10진 모드로 카운팅 동작이 가변되는 카운터이다. 선택된 라인스킵 주기에 따라 CPV 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수직스타트신호에 응답하여 선택된 카운트모드로 클럭신호를 계수하고 계수치를 리세트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제2카운터(72)는 10개의 D형 플립플롭과 논리게이트들로 구성되고 라인스킵 선택신호(SEL)에 응답하여 6진, 7진, 8진, 9진 또는 10진 모드로 카운팅동작이 가변되는 카운터이다. 선택된 라인스킵 주기에 따라 W신호를 클럭신호로 입력하여 선택된 카운트모드로 클럭신호를 계수하고 계수치를 선택제어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신호선택부(74)는 10개의 전송인버터들로 구성되고 각 전송게이트들은 대응되는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대응되는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이들 전송게이트들의 출력은 2개의 인버터로 구성된 버퍼의 입력단자에 공통 접속되어 버퍼를 통해 PAL방송방식 제어신호(X)로 출력된다. 미설명부호 POR은 제1 및 제2카운터들의 플립플롭들의 리세트신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1/6라인스킵모드의 경우를 예로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카운터(70)에서는 1/6라인스킵모드가 선택되면, 제7도의 1/6SEL신호만 로우상태로 되고 나머지들은 모두 하이 상태를 유지하므로 첫번째부터 6번째의 플립플롭들만 동작되어 STV가 하이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의 CPV의 하강엣지에서 첫번째 플립플롭의 출력이 1라인 동안 하이 상태로 되고 이어서, 다음의 플립플롭들의 출력이 차례대로 1라인씩 지연되면서 1라인 동안 하이 상태로 되게 된다. 6번째의 플립플롭의 출력이 하이 상태로 될 때, 첫번째 플립플롭의 출력이 다시 1라인 동안 하이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각 플립플롭의 출력(Q1-Q6)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또한, 제2카운터에서는 1/6라인스킵모드가 선택되면, 제7도의 1/6SEL 신호만 로우 상태로 되고 나머지들은 모두 하이 상태를 유지하므로 첫번째부터 6번째의 플립플롭들만 동작되어 STV가 하이 상태로 유지되는 동안의 W의 하강엣지에서 첫번째 플립플롭의 출력이 1필드 동안 하이 상태로 되고 이어서, 다음의 플립플롭들의 출력이 차례대로 1필드씩 지연되면서 1필드 동안 하이 상태로 되게 된다. 6번째의 플리플롭의 출력이 하이 상태로 될때, 첫번째 플립플롭의 출력이 다시 1필드동안 하이 상태로 되게 된다. 따라서, 각 플립플롭들의 출력(Q11-Q16)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신호선택부(74)에서는 제1필드에서는 Q11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전송인버터를 통해 Q1이 버퍼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리세트신호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디코더(20)의 수평스타트신호(STH)의 출력래치(22)의 리세트단자와 수직디코더(50)의 수직제어신호(CPV')의 출력래치(52)의 리세트단자에 제공된다. 따라서, 리세트신호가 인가되는 동안에는 STH나 CPV의 펄스신호가 발생되지 않게 되어 해당 라인이 스킵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필드가 바뀔 때마다, 6개의 리세트신호가 차례대로 순환되면서 선택되어 출력되게 되므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드에서는 6, 12, 18, …라인들이 스킵되고, 제2필드에서는 5, 11, 17, …라인들이 스킵되며, 제3필드에서는 4, 10, 16, …라인들이 스킵되는 방식으로 필드마다 라인스킵되는 위치가 스크롤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PAL 방송신호를 NTST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서, 매 필드 또는 프레임마다 라인스킵되는 위치를 다르게 함으로써 전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고 화질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3)

  1. 제2방송방식을 제1방송방식의 주사선수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평카운터; 상기 수평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평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상기 수평제어신호를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평디코더; 상기 클럭신호에 동기하여 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기; 상기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수평디코더에서 공급되는 클럭신호를 계수하는 수직카운터; 상기 수직카운터의 계수치를 디코딩하여 수직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방송방식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방송방식 선택시에는 상기 수직제어신호를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시키는 수직디코더; 방송방식 선택신호 및 스킵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디코더가 노말동작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2방송방식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수평 및 수직디코더에서 출력되는 수평 및 수직제어신호가 소정 주기마다 리세트되고 또한, 매 화면마다 리세트되는 시기가 스크롤되도록 상기 수평 및 수직 디코더를 제어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제2방송방식의 스킵타입을 선택하기 위한 상기 스킵선택신호를 디코딩하는 디코더; 상기 동기분리기에서 출력되는 수직동기신호를 입력하여 매 프레임마다는 2분주된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고 매 필드마다는 수직동기신호를 발생하는 동기신호 입력부; 상기 수직디코더에서 제공되는 수직제어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동기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2방송방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 및 상기 방송방식 선택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2방송방식 제어신호의 출력여부를 결정하는 방송방식 제어신호 출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수직디코더에서 제공되는 수직제어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리세트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카운터; 상기 동기신호 입력부의 출력신호를 선택된 소정 주기마다 계수하여 선택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제2카운터; 및 상기 선택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리세트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여 제2방송식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선택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방송방식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KR1019940025095A 1994-09-30 1994-09-30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KR0123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095A KR0123726B1 (ko) 1994-09-30 1994-09-30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095A KR0123726B1 (ko) 1994-09-30 1994-09-30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03A KR960013003A (ko) 1996-04-20
KR0123726B1 true KR0123726B1 (ko) 1997-11-26

Family

ID=19394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095A KR0123726B1 (ko) 1994-09-30 1994-09-30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37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003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5173B1 (ko) 화면분할 기능을 갖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
KR900007406B1 (ko)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제어장치
US6384867B1 (en) Video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video signals of a plurality of types with different specifications
KR970019574A (ko) 더블스크린을 이용한 정보 및 외부신호 표시장치
JP2006330730A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60047515A (ko) 동기화 신호 발생기, 비디오 변환 회로, 동기화 신호 발생방법 및 비디오 변환 방법
US5012339A (en) Field discrimination circuit
KR960007545B1 (ko) 주화면위치 보상회로 및 그 방법
KR0123726B1 (ko) 듀얼방송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제어 장치
US4788540A (en) Raster scan image data display controller including means for reducing flickering
JP2000101947A (ja) 情報表示装置及び情報表示方法
US4524387A (en) Synchronization input for television receiver on-screen alphanumeric display
KR100568179B1 (ko) 디스플레이시스템 및 그 동기신호 변환방법
JP2925669B2 (ja) 同期信号発生装置
KR950004106B1 (ko) 화상조절회로
US6433829B1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setting up vertical blanking signal of television set
KR0166758B1 (ko) Vga영상신호를 액정패널에 표시하는 방법 및 장치
KR0117874Y1 (ko) 노말스캔/더블스캔 겸용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제어회로
KR20000074972A (ko) 아날로그/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오에스디 표시장치
SU1202075A1 (ru) Телевизионный синхрогенератор
KR0157452B1 (ko) 액정판넬구동제어장치
KR100220695B1 (ko) 피디피 텔레비젼에서의 적응적인 수직 블랭크 발생장치
KR0129516B1 (ko) 다중 동기 대응 주파수 판별회로
KR840002745Y1 (ko) 수직동기신호를 이용한 시청시간 tv 표시회로
KR100200365B1 (ko) 엔티에쓰씨/팔 겸용 행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