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1268B1 -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1268B1
KR100521268B1 KR10-1998-0027076A KR19980027076A KR100521268B1 KR 100521268 B1 KR100521268 B1 KR 100521268B1 KR 19980027076 A KR19980027076 A KR 19980027076A KR 100521268 B1 KR100521268 B1 KR 1005212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video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7637A (ko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8-0027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1268B1/ko
Publication of KR20000007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7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12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12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2Synchronisation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other units, e.g. other display units, video-disc p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13P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5Synchronising client clock from received content stream, e.g. locking decoder clock with encoder clock, extraction of the PCR pack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8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by altering the content in the rendering process, e.g. blanking, blurring or masking an image region

Abstract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를 개시한다. 이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패널에 비디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 처리부와,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비디오 신호를 입력받아서 신호 처리하여 액정 패널에 화면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는 다기능 모드 사용을 인식하여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드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다기능 모드 감지부로부터 보간 처리 신호가 출력되면 액정 표시 제어부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중 특정 부분을 반복하여 액정 패널에 표시한다. 따라서, 비디오 다기능 모드 사용시 신호 왜곡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보간함으로서, 화면의 잡음이나 잘림 현상이 제거되어 양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used in video system}
이 발명은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다기능 모드 사용시 왜곡되는 화면을 보간하여 표시하는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막트랜지스터의 2차원적 배열로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는 각 화소마다 박막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뛰어난 표시 품질을 나타내는 반면에, 본래의 화상 신호 특성에 의해 신호의 왜곡이 발생하여 신호의 잘림 및 잡음 등의 문제점을 유발한다.
한편, 비디오에서는 재생이외에 전진 검색(forward search) 및 후진 검색(rewind search) 또는 고속 검색 등의 다기능시 비디오 신호가 왜곡됨으로써 수직 동기 신호 및 유효 화면이 줄어들게 된다.
이러한 수직 동기 신호를 기준으로 하면 신호 자체의 왜곡으로 인하여 화면 표시에는 상당한 잡음 및 화면 자체가 나오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의사 수직 동기 신호를 만들어서 이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유효 화면 자체의 신호는 줄어든 그대로 화면상에 나타난다. 이러한 신호를 음극선관(CRT:Cathod Ray Tube) 모니터로 나타낼 때에는 모니터 자체의 유효 화면 때문에 신호의 줄어든 부분, 특히 신호의 끝부분이 표시되지 않으나, 액정 표시 장치로 나타낼 때에는 유효 화면이 줄어들지 않고 그대로 나타나기 때문에 신호의 왜곡이나 줄어든 부분들이 잡음이나 신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게 된다.
예를 들어, 비디오에서 일반 모드 사용시에는 액정 표시 장치에서 왜곡이 없는 일반적인 비디오 신호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유효 화면으로 1수평 라인이 480라인(480H)일 때, 1수직 주기 동안에 480 수평 신호가 모두 액정 표시 장치 화면에 표시되기 때문에 화면에 이상이 없이 표시된다.
그러나, 비디오에서 다기능 모드 사용시에는 비디오의 서보 메커니즘(servo mechanism)의 변화, 예를 들어 비디오 테이프의 트랙 검색 등에 의하여 비디오 신호의 1수직 주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듯이, 470H로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기능 모드시 감소된 VSYNC를 기준으로 액정 표시 장치에 표시하면, 비디오 신호 자체의 감소로 인하여 신호 왜곡이 발생하기 때문에 의사 VSYNC를 만들어서 이 신호를 기준으로 출력하면 화면에 왜곡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의사 VSYNC를 기준으로 출력된 신호도 유효한 비디오 신호는 왜곡, 여기에서는 470H로 감소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유효 화면을 갖는 신호를 480H인 유효 화면으로 표시하게 되면 액정 표시 장치에는 모자라는 수평 신호만큼의 화소가 잡음 및 이상한 화면으로 나타나게 된다.
첨부한 도 2는 종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종래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신호에는 VSYNC, HSYNC, DE, MCLK, STH, LOAD 신호를 포함하여 다수의 신호들이 있다.
VSYNC 신호는 액정 표시 장치의 1수직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프레임(frame) 구별 신호이고, HSYNC 신호는 1수평 주기를 나타내는 신호로서 1라인을 구변하는 신호이고, DE 신호는 1라인의 데이터가 출력되는 동안을 나타내는 신호이고, MCLK 신호는 전체 신호의 기준이 되는 클럭이고, STH 신호는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신호선을 구동하는 소스 구동부로 데이터 입력을 시작시키는 신호이고, LOAD 신호는 소스 구동부 내의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명령 신호이다.
여기에서, STH 신호가 발생하여 데이터가 소스 구동부로 입력된 후, LOAD 신호가 입력되면 소스 구동부는 데이터를 인가하여 액정 표시 장치에 1라인이 표시되게 한다.
이와 같이, 유효 화면인 480라인이 STH 신호와 LOAD 신호에 의해 표시된다. 따라서, 왜곡된 신호일 때에도 480라인이 모두 표시된다.
결국, 액정 표시 장치의 유효 화면으로 1수평 라인이 480 수평주기(HSYNC)일 때, 다기능시 비디오 신호의 왜곡에도 불구하고 1수평 라인인 480 수평주기(HSYNC)가 모두 나타나기 때문에, 왜곡되어진 부분에 잡음이나 신호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디오 다기능 모드 사용시 신호 왜곡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보간하여 정상적으로 표시하는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은 비디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와, 비디오의 다기능 모드 사용을 인식하여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드 감지부와, 다기능 모드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보간 처리 신호에 따라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특정 부분을 반복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는 비디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R,G,B 신호와 VSYNC 신호 등을 포함한 비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0)와, 비디오의 다기능 모드 사용을 인식하여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와, 마이크로 컨트롤러(20)로부터 보간 처리 신호가 입력되면 비디오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들을 처리하여 액정 패널(40)에 정상적인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는 1수평 주기동안 STH 신호가 하나 발생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클럭 신호(CLK)를 사용한다.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에서 STH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듯이,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에서 STH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회로는 마이크로 컨트롤러(20)로부터 보간 처리 신호를 en단자로 입력받아서 카운트를 시작하고, CLK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1씩 업카운트하여 48개의 CLK가 발생하면 로우 신호를 출력하는 48업 카운터(32)와, 48업 카운터(32)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D단자로 입력받아서 CLK단자로 입력되는 CLK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출력하는 D플립플롭(34)과, D플립플롭(34)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STH 신호를 앤드시켜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36)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비디오가 다기능 모드를 사용하지 않을 때, 즉 재생 모드일 때 마이크로 컨트롤러(20)는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하지 않기 때문에 STH 신호를 지연시키는 도 4의 회로는 동작하지 않는다.
따라서, 비디오 신호 처리부(10)로부터 출력되는 R,G,B 신호와 VSYNC 신호 등은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에 의하여 도 2의 타이밍과 같은 신호, 즉 R,G,B 신호와 STH, LOAD 신호 등을 액정 패널(40)에 출력하여 정상적인 화면이 출력된다.
그러나, 비디오의 다기능 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마이크로 컨트롤러(20)는 이러한 다기능 모드 사용을 인식하여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로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한다.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10)로부터 R,G,B 신호와 VSYNC 신호 등을 입력받아서 신호처리된 R,G,B 신호와 LOAD 등의 신호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출력하지만 STH 신호만은 다르게 처리한다.
마이크로 컨트롤러(20)로부터 출력되는 보간 처리 신호는 48업 카운터(32)를 이네이블시켜서 STH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카운트하게 된다.
여기에서는 액정 패널(40)의 유효 화면을 480H로 하고, 다기능 모드시 왜곡되는 화면이 470H라고 할 때, 이 둘 사이의 차이가 10H이기 때문에 이러한 차이를 보간하기 위하여서는 48H 당 1H의 화면이 보간되면 정상적인 화면이 표시되는 것을 이용한다.
첨부한 도 5에 도시되어 있듯이, STH 신호가 48번 발생할 때까지는 정상적인 신호와 화면을 표시한다.
즉, STH 신호 발생이 48번이전이면 48업 카운터(32) 출력이 하이신호이고, 이러한 신호는 D플립플롭(34)의 하이신호 출력이되고, 앤드게이트(36)의 STH 출력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러나, STH 신호가 48번째 발생하게되면 48업 카운터(32)의 출력이 로우신호가 되고, 이것은 D플립플롭(34)의 출력으로 이어져 49번째 STH 신호가 발생되어야 할 때 D플립플롭(34)의 출력으로 인하여 앤드게이트(36)에서 STH 신호가 한 클럭동안 로우신호로 유지된다.
이 때,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30)는 액정 패널(40)의 데이터선을 구동하는 소스 구동부(도시되지 않음)로부터 데이터를 출력하라는 신호인 LOAD 신호는 정상적으로 출력하기 때문에 액정 패널(40)에 출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48번째 STH 신호에 의하여 로드된 데이터이다.
결국, 48번째의 수평 데이터가 49번째 수평주기동안에 다시 한번 표시되고, 이러한 동작이 480H 동안에 10번 반복되어 470H로 왜곡되어질 화면이 정상적인 480H 화면으로 표시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비디오 다기능 모드 사용시 신호 왜곡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을 보간하여 표시함으로서, 화면의 잡음이나 잘림 현상이 제거되어 양질의 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비록, 이 발명이 가장 실제적이며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이 발명은 상기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 및 등가물들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서 각 기능 사용시의 비디오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의 액정표시장치 컨트롤러에서 STH 신호를 지연시키기 위한 회로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신호들의 타이밍도이다.

Claims (2)

  1. 비디오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
    비디오의 다기능 모드 사용을 인식하여 보간 처리 신호를 출력하는 다기능 모드 감지부, 그리고
    상기 다기능 모드 감지부로부터 출력되는 보간 처리 신호에 따라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의 특정 부분을 반복하여 표시하는 액정표시 제어부
    를 포함하는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액정표시 제어부는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로부터 출력되는 보간 처리 신호를 입력받아서 카운트를 시작하고, 클럭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업카운트하여 특정의 수가되면 카운트 완료 신호를 출력하는 업카운터,
    상기 업카운터로부터 출력되는 카운트 완료 신호를 입력받아서 클럭 신호가 발생할 때마다 출력하는 D플립플롭, 그리고
    상기 D플립플롭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STH 신호를 앤드시켜서 출력하는 앤드게이트
    를 포함하는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KR10-1998-0027076A 1998-07-06 1998-07-06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KR1005212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76A KR100521268B1 (ko) 1998-07-06 1998-07-06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7076A KR100521268B1 (ko) 1998-07-06 1998-07-06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37A KR20000007637A (ko) 2000-02-07
KR100521268B1 true KR100521268B1 (ko) 2005-12-29

Family

ID=19543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076A KR100521268B1 (ko) 1998-07-06 1998-07-06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126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718A (ja) * 1994-03-24 1995-10-13 Sony Corp 表示システム
JPH08110764A (ja) * 1994-10-12 1996-04-30 Canon Inc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KR970050764A (ko) * 1995-12-04 1997-07-29 김광호 비디오에서 다기능시 오토트래킹 방법
KR970078412A (ko) * 1996-05-17 1997-12-12 이데이 노부유키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9980081774A (ko) * 1997-04-28 1998-11-25 이데이노부유키 비디오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기록방법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1718A (ja) * 1994-03-24 1995-10-13 Sony Corp 表示システム
JPH08110764A (ja) * 1994-10-12 1996-04-30 Canon Inc 表示制御方法及び装置
KR970050764A (ko) * 1995-12-04 1997-07-29 김광호 비디오에서 다기능시 오토트래킹 방법
KR970078412A (ko) * 1996-05-17 1997-12-12 이데이 노부유키 영상 신호 처리 장치 및 처리 방법
KR19980081774A (ko) * 1997-04-28 1998-11-25 이데이노부유키 비디오 장치, 디스플레이 방법, 기록방법 및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7637A (ko) 2000-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0321B2 (en) Image display unit
US5633687A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n interlaced image on an display
US68129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20050086357A (ko) 화상 표시 장치
US5808596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ncluding averaging and delaying circuits
EP1872358A2 (en) Display specific image processing in an integrated circuit
US7224340B2 (en) Method of processing signal of LCM timing controller
JP2975796B2 (ja) 文字表示装置
WO2007149424A2 (en) Method and system for frame insertion in a digital display system
CA1074031A (en) Display system
KR100521268B1 (ko) 비디오용 액정 표시 장치
JP2000206492A (ja) 液晶表示装置
US20100128044A1 (en) Data processing circuit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7623185B2 (en) Synchroniza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5757352A (en) Image information control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KR0142468B1 (ko) 액정 표시장치의 실효화면 중앙표시 구동 장치 및 방법
JP2006301667A (ja) 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の制御装置
KR0120574B1 (ko) 액정 표시 패널의 표시 제어방법 및 회로
JP3259627B2 (ja) 走査線変換装置
TW202105982A (zh) 接收裝置、影像紀錄系統以及降低影像紀錄系統之影像延遲的方法
JP2924842B2 (ja) 液晶表示装置
JPH0918814A (ja) 液晶表示装置
KR100707258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6630962B2 (en) Process and device for field or frame frequency conversion utilizing a dynamic calculation of the interpolation phases
KR100729451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