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6212Y1 - 자동차용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6212Y1
KR0116212Y1 KR2019950018302U KR19950018302U KR0116212Y1 KR 0116212 Y1 KR0116212 Y1 KR 0116212Y1 KR 2019950018302 U KR2019950018302 U KR 2019950018302U KR 19950018302 U KR19950018302 U KR 19950018302U KR 0116212 Y1 KR0116212 Y1 KR 01162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vehicle
car
rearview mirro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3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749U (ko
Inventor
김지홍
Original Assignee
김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홍 filed Critical 김지홍
Priority to KR20199500183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6212Y1/ko
Publication of KR9700047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7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62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6212Y1/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목적 : 차창의 무개방 및 송풍기의 무가동에도 차내의 환기와 김거림방지 및 김거림해소가 가능한 차외후사경을 이용한 자동차용 환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성 : 공지의 자동차용 차외 후사경에 있어서, 그 후사경 프레임(2)내에 차내와 차외로 통하는 배기통로(3)를 형성하고, 상기 배기통로(3)의 내측단에는 배기량조절용 배기조절구(4)를 장착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환기장치
제1도는 반사경의 일부를 절개한 본 고안의 정착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를 종단한 정면도.
제3도는 조래개부분의 절단면도.
제4도는 환기작용을 나타낸 차의 후사경의 종단측면도.
제5도는 캡과 노브의 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외 후사경 2 : 후사경 프레임
3 : 환기통로 4 : 환기조절구
본 고안은 자동차용 환기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며, 특히 차외용 후사경을 이용하여 차내의 자연환기를 구현할 수 있게 한 자동차용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를 운행하는 동안에 차내의 공기는 흡연, 먼지나 티끌, 탑승자가 호흡할 때 내뿜는 탄산가스, 습기, 악취 등으로 인하여 혼탁해지기 마련이다.
혼탁한 차내의 공기는 탑승기분을 떨어뜨리고, 호흡기질환이나 피부염 등을 유발하는 병원균, 곰팡이균 같은 세균이 서식하는 환경이 조성되어 건강에 불리하다.
또 비오는 날에 자동차를 운행하다보면 외기와 자동차의 내기와의 온도차 때문에 차창에 김이 서려서 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다.
어떤 이유에서건 차내의 공기가 혼탁해지면 송풍기를 가동하여 차내로 외기를 도입해 환기하거나, 차창을 열어서 내기를 차밖으로 보냄과 동시에 외기를 유입시켜 환기하고, 김이 서린 경우에는 에어컨을 가동하든가 차창을 열어서 차내의 온.습도를 대기의 수준과 대등하게 조작하는 방법으로 해소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운전관행이었다.
이같은 환기목적을 가진 종래의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송풍기를 작동시켜 차내로 외기를 도입하는 단순기능뿐이고 차내의 공기를 차외로 배출하는 기능은 갖고 있지 않다. 이와같이 배기기능을 갖지 아니한 자동차용 환기장치로는 환기에 만전을 기할 수 없다.
자동차의 차창이 닫힌 상태에서 송풍기를 통하여 외기를 강제로 차내로 유입해도 유입유량이 크게 늘지않는 것도 알고보면 배기구가 없기 때문이며, 차내공기의 배출이 원활치 못하고 또 차내로 유입된 외기일지라도 내기에 이내 동화되어 조기에 신선감을 상실하기 때문이다.
또, 차창에 서린 김을 에어컨의 냉기로 사라지게 하는 것은 엔진출력의 상승에 따른 연료소모를 부추길뿐 아니라 에어컨의 가동소음도 심하다.
반면에 차창을 열어서 환기를 실현하고 또 서린 김을 해소하는 것은 운전자의 입장에서 볼 때 너무 번거로운 일이고, 주행중의 바람소리와 타이어마찰음이 운전자의 피로감을 더해주며, 특히 우중에는 열린 차창으로 빗물이 들어오므로 좋지않다.
또한, 종래의 자동차장착용 송풍기는 엔진이 가동할 동안에만 작동한다.
이런 환기장치는 예컨대 혹서기에 직사광선하에서 장시간 주차할 경우에는 차내온도의 상승을 부채질하여 탑승시 매우 곤혹스럽게 느껴지고, 하절기에 차창을 닫아놓고 차내에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경우에는 산소부족으로 인하여 질식사고의 위험이 있다.
한편, 일본국 실개 소59-89710호의 자동차용 환기장치는 안팎으로 통하도록 된 후사경의 하우징내에 전동식 송풍기를 장착한 것으로, 환기량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축전지의 전력을 사용해야 하므로 특히 정차나 주차중의 환기시에는 축전지의 전력낭비가 문제되고, 환기구와 배기구가 상시 개방형이기 때문에 냉방 및 난방시 열손실이 클 뿐아니라 전동식 송풍기의 장착으로 인한 비용부담도 크다.
본 고안의 목적은 환기량의 조절이 가능하고, 무동력으로 차내환기가 가능한 자동차용 무동력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환기목적의 환기통로를 가진 공지의 후사경 프레임을 전제로 하고, 상기 배기통로의 내측단에 환기량을 조절하기 위한 환기조절구를 장착한 것을 주된 특징으로 한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거 작성함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난 바와같이, 통상의 차외 후사경(1)에 있어서, 후사경 프레임(2)의 안쪽에 환기통로(3)가 형성되어 있고, 이 환기통로(3)의 내측단에는 환기조절구(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환기통로(3)는 차내에서 차외로 통하여 형성한 일종의 관로이다.
이 환기통로(3)는 후사경 프레임(2)과 일체로 사출할 수도 있고, 유연성을 가진 합성수지관(코러게이트관을 포함한다)이나 금속관을 부착해도 된다.
상기 환기통로(3)의 외측단은 후사경 프레임(2)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전방에서 도래하여 차외 후사경(1)을 스쳐나가는 기류에 의해 일어나는 흡출작용, 즉 벤츄리관의 원리에 의한 내기의 흡출작용이 차외 후사경(1)의 경면주위 전반에 걸쳐 균등하게 나타나므로 그렇게 한다.
상기 환기조절구(4)는 오염도, 혼탁도, 김서림의 정도등 차내의 분위기에 따라 내기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환기통로(3)의 내측단의 개방정도를 결정하는 것이 주임무이다.
도면의 실시예에서는 환기조절구(4)는 환기통로(3)의 내측단에서 외측으로 조금 벗어난 곳을 가로지른 다공막(41)과, 이 다공막(41)의 안쪽(차내측)에서 다공막(41)에 대응하게 설치한 조리개(42)와, 캡(43), 그리고 캡(43)의 중앙을 관통하여 차내측으로 노출된 조리개축(42a)에 꽂힌 노브(44), 및 복귀스프링(45)으로 구성된 것으로 나타나 있다.
그 밖에도 환기공(41a)의 개방폭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기구이면 어떤 것이라도 된다.
다공막(41)의 환기공(41a)과 조리개(42)의 조절공(42b)은 동수이다. 조리개(42)를 틀어서 그 조절공(42b)으로 다공막(41)의 환기공(42a)을 어느 만큼의 폭으로 열어주는가에 따라 환기량은 달라진다.
즉, 조절공(42b)으로 환기공(42a)을 많이 열어주면 환기량이 많아 환기나 김서림의 해소시간이 빨라지고, 조절공(42a)을 적게 열어주면 환기량이 적으므로 환기나 김서림의 해소시간도 느리게 진행된다.
여하튼 차내의 분위기를 살펴가며 노브(44)로 조리개(42)를 조작하여 환기공(41a)을 넓게 또는 좁게 개방시켜 환기한다.
차창에 서린 김을 해소하거나 김서림을 예방할 경우에도 이 요령에 따른다.
조리개축(42a)의 선단은 다공막(41)의 중앙에 천공한 축공에 헐겁게 끼우고 조리개축(42a)의 후단은 캡(43)의 중앙에 천공한 축공에 헐겁게 끼워서 지탱하도록 한다.
캡(43)은 조리개축(42a)의 후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중앙에 위치한 축공 주위에 내,외기가 통과할 수 있는 통공(43a)을 갖고 있으며, 상기 환기통로(3)의 내측단에 체결한다.
또, 노브(44)는 조리개(42)를 틀어서 조절공(42b)에 의한 환기공(41a)의 개방폭을 조절할 때 차내에서 운전자나 조수석의 동승자에게 조작편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복귀스프링(45)은 자동차의 운행여부를 불문하고 조리개(42)가 항상 다공막(41)에 밀착되도록 하여 내기의 누출로 인한 차내온도의 부당한 강하, 외부습기의 부당한 차내유입을 방지하는 용도로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운행중에 차내의 환기가 요구되거나 차창에 김이 서린 경우에는 제3도와 같이 노브(44)로 조리개(42)를 틀어서 조절공(42b)으로 환기공(41a)을 개방한다.
이때, 일어나는 현상은 제4도와 같이 내기(가)는 차의 후사경(1)의 프레임(2)을 스쳐지나는 외기(나)의 빠른 흐름에 휘말려 흡출된다.
이른바 벤츄리관의 원리에 의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러한 내기의 흡출작용은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활발하다. 또, 내기의 흡출양은 곧 운전석앞에 마련된 기존의 환기구를 통한 외부공기의 유입량에 대체로 비례한다.
그러므로 차내의 신속한 환기나 차창에 서린 김을 보다 짧은 시간내에 해소하려면 주행속도를 높이든가 혹은 저속주행시에는 환기공(41a)을 넓게 연다.
한편, 상기한 바와같은 요령에 따라 환기 및 김을 해소함에 있어서 환기공(41a)이 어느 정도 열렸는지의 여부를 한 눈에 파악하려면 가늠자가 있는 것이 훨씬 편리할 것이다.
이 점을 참작하여 제5도와 같이 노브(44)에는 기준표시(a)를 하고 캡(43)의 외면에는 환기공(41a)의 열림각이나 개방정도를 가늠할 수 있는 눈금(b)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를 종합하면, 본 고안은 차외측 후사경의 프레임내에 차내에서 차외로 통하는 환기통로를 형성하고, 이 환기통로상에 환기조절구를 부착하여 환기공을 개방하면 차내의 환기가 이뤄지고, 또한 환기공의 개방폭으로 환기량을 조절토록 한 것으로, 환기조절구를 열어두면 환기통로가 개방돼 내기와 외기는 대류현상에 의하여 저절로 유통되므로 차창밀폐로 인한 차내의 산소부족, 하절기의 직사광선에 자동차를 노출시켜 주차하더라도 차내온도의 상승을 완화할 수 있다.
또, 운행중에 환기조절구로 환기공을 열어두면 후사경을 스쳐지나가는 외기의 빠른 흐름에 의하여 내기가 흡출되므로 차내의 신속한 환기, 또는 배기 및 배습과 더불어 진행되는 신선한 외기의 유입으로 내기온도의 저하를 부추켜 차창의 김서림을 해소 내지는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환기나 김서림을 해소할 때 송풍팬이나 에어컨 등과 같이 동력을 쓰는 장치는 이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연료와 축전지가 절약된다.
더구나, 우천시 자동차를 운행할 경우에 있어서도 차창을 닫은 채로 환기 및 김서림을 해소할 수 있어 비로 인한 피해도 덜어지고, 주행소음도 예상할 필요가 없다.
또, 외기의 유속, 즉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빠를수록, 환기공의 개방폭이 클수록 내지는 신속하게 흡출되고, 신선한 외기의 차내유입도 빨라지므로 담배연기나 먼지, 호흡시 발생한 탄산가스, 악취를 조기에 배출할 수 있고, 또한 김서림도 이내 해소할 수 있다.
더하여, 본 고안은 환기장치는 차외측 후사경의 프레임에 약간의 구조변경을 가하고 그 환기통로의 내측단에 간단한 구조의 환기조절구를 장착한 것으로, 제작도 수월하고 염가보급이 가능한 점도 장점이다.

Claims (1)

  1. 환기목적의 환기통로(3)를 가진 공지의 후사경 프레임(2)에 있어서, 상기 배기통로(3)의 내측단에 배기량 조절용 환기조절구(4)를 장착한 자동차용 환기장치.
KR2019950018302U 1995-07-24 1995-07-24 자동차용 환기장치 KR01162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302U KR0116212Y1 (ko) 1995-07-24 1995-07-24 자동차용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302U KR0116212Y1 (ko) 1995-07-24 1995-07-24 자동차용 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749U KR970004749U (ko) 1997-02-19
KR0116212Y1 true KR0116212Y1 (ko) 1998-04-22

Family

ID=1941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302U KR0116212Y1 (ko) 1995-07-24 1995-07-24 자동차용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62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749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875A (en) Installation for venting the interior space of a motor vehicle
JPH0788137B2 (ja) 特に自動車における内部室の通風制御装置
US2203477A (en) Ventilating system for automobiles
KR10143001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EP0558397B1 (fr) Dispositif d'admission de l'air de chauffage et de ventilation avec recyclage de l'air de l'habitacle d'un véhicule
JP2003276425A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KR0116212Y1 (ko) 자동차용 환기장치
CN111231896B (zh) 一种汽车玻璃除雾装置
KR101876069B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CN221162662U (zh) 车载除雾系统和车辆
KR10264720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5348449A (en) Airflow regulator
JPS6227444Y2 (ko)
JP2005335526A (ja) 車両用空調装置
JPS6015695Y2 (ja) 車輛用空気調和装置の排水装置
KR100356211B1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배출장치
JPS5915688Y2 (ja) 自動車の自動換気装置
KR100288295B1 (ko) 자동차의 공기조화 시스템
KR100228010B1 (ko) 자동차 앞유리 흐림 방지 기능을 가진 자동 에어컨 시스템
KR0167905B1 (ko) 자동차의 내, 외기 자동조절장치
KR0148661B1 (ko) 필름 컨베이어 방식을 이용한 자동차 내외기 조절장치
JPS6177522A (ja) 自動車の外気取入構造
KR100192493B1 (ko) 자동차의 온기를 이용한 자동가습장치
KR19990018562A (ko) 자동차의 자동환기장치
CN114714853A (zh) 防外循环自然漏风结构、空调通风系统及其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