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5461Y1 -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 Google Patents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5461Y1
KR0115461Y1 KR2019910024211U KR910024211U KR0115461Y1 KR 0115461 Y1 KR0115461 Y1 KR 0115461Y1 KR 2019910024211 U KR2019910024211 U KR 2019910024211U KR 910024211 U KR910024211 U KR 910024211U KR 0115461 Y1 KR0115461 Y1 KR 01154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signal
resistor
image
signal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242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025U (ko
Inventor
이남수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20199100242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5461Y1/ko
Publication of KR9300170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0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54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54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날로그 모니터의 영상회로에 있어서, 영상신호 증폭기의 출력 오프셋 전압에 관계없이 직류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상신호의 포화를 보상할 수 있게 한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회로에 관한 것으로, 영상신호 증폭기의 오프 셋 전압에 따른 영상신호 포화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하며, 영상신호 증폭기의 오프셋 전압은 직류 블로킹 콘덴서로 차단하고 영상신호를 인가해서, 수평동기 펄스를 이용하여 항상 일정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해 줌으로써, 영상신호 포화를 보상해 주는 것을 요지로 한다.
따라서 티브이 또는 모니터의 영상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제1도는 종래의 영상 출력 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도.
제3도는 제2도에 대한 각부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직류 기준전압 설정부 2 : 영상신호 레벨 조정부
3 : 영상 출력부 4 : 동기 극성 판별부
5 : 파형 분할부 6 : 클램핑부
7 : 레벨조정부 8 : 직류 바이어스부
IC1 : 영상신호 증폭기 4A : 동기 극성 판별기
본 고안은 아날로그 모티터의 영상 처리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신호 증폭기 자체의 출력 오프셋 전압에 따라 영상신호 포화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영상신호 증폭기의 출력 오프셋 전압에 관계없이 직류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포화문제를 보상하는데 적당하도록 한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영상 출력회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아날로그 영상 입력신호(VS)는 접지저항(R1)에 인가되게 접속되어 저항(R2)을 통하여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a)에 접속되고, 음전압(B)은 저항(R7)을 통해 가변저항(VR1)과 접속되어 저항(R6) 및 접지 콘덴서(C1)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되며, 그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아날로그 영상 입력신호(VS)단에 접속된다.
또한, 음전압(B-)은 저항(R5)을 통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에 접속되고, 그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게인 선택단자(d)는 접지저항(R8)과 접속되며, 직류 전원단자(e)는 전원전압(B+)에 접속되고, 출력단자(c)는 저항(R9)을 통해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전원전압(B+)에 접속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저항(R10)과 접속됨과 동시에 영상 출력단자(V-out)에 접속된다.
전원전압(B+)은 저항(R3)을 통하여 접지저항(R4)에 접속됨과 동시에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에 접속 구성되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영상출력 회로는 전원전압(B+)에서 저항(R3)과 접지저항(R4)의 분할비에 의해 설정된 직류전압이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저항(R5)을 통한 음전압(B-)과 합성해서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로 입력되어 상기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직류 기준전압을 설정해 주며, 아날로그 영상입력신호(VS)는 접지저항(R1)과 저항(R2)을 통해서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a)로 입력된다. 이 입력된 영상신호는 가변저항(VR1)에 의해 영상신호 레벨이 조정되는데,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영상입력 신호(VS)의 레벨이 가변되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출력단자(c)의 영상신호 레벨도 조정된다.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출력단자(c)에 출력된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직류 오프셋(offset) 전압위에 중첩되어서 저항(R9)을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그 에미터에는 동상의 신호가 출력되어 영상출력 단자(V-out)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영상 출력 회로는 영상신호 증폭기의 내부소자들의 오차에 의해 직류 오프셋 전압이 다르기 때문에 직류 오프셋 전압이 낮은 영상신호 증폭기는 영상신호 포화가 발생하지 않지만, 직류 오프셋 전압이 높은 영상신호 증폭기는 직류 오프셋 전압위에 영상신호가 합성되어서 그대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그 에미터에 동상의 신호가 출력되어 영상출력단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영상신호의 포화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영상신호 증폭기의 출력 오프셋 전압에 관계없이 직류레벨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영상신호의 포화를 보상할 수 있는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회로를 안출한 것으로, 이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회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영상 입력신호(VS)는 접지저항(R1)에 인가되게 접속함과 동시에 저항(R2)을 통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a)에 접속하고, 음전압(B-)은 저항(R7)을 통해 가변저항(VR1)의 일측에 접속하고, 타측은 접지하며, 그 가변단자는 저항(R6)을 통해 접지 콘덴서(C1)와 접속하여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에미터는 접지하며, 콜렉터는 아날로그 영상 입력신호(VS)단에 접속한다.
또한, 음전압(B-)은 저항(R5)을 통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에 접속하고, 게인 선택단자(d)는 접지저항(R8)에 접속하며, 직류 전원단자(e)는 전원전압(B+)에 접속하고, 그 출력단자(c)는 콘덴서(C2)를 통하여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한다.
상기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는 전원전압(B+)에 접속하고, 그 에미터는 접지저항(R10)과 접속하여 영상 출력단(V-out)에 접속한다.
전원전압(B+)은 저항(R3)을 통해 접지저항(R4)에 접속함과 동시에 다이오드(D1)를 통하여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에 접속한다.
수평동기 입력신호(H-Sync)는 접지저항(R11)에 인가되게 접속하여 동기 극성 판별기(4A)의 입력에 접속하고, 그 동기 극성 판별기(4A)의 출력은 콘덴서(C4) 및 저항(R12)을 통해서 접지저항(R13)과 접속하고, 그 접속점(다)을 직렬로 접속한 다이오드(D2) 및 저항 (R14)을 통해 접지저항(R15)에 접속한다.
상기 저항(R14, R15) 접속점(라)은 콘덴서(C5)를 통해 접지저항(R16)과 접속하여,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에미터는 전원전압(B-)에 접속한 저항(R9) 및 접지콘덴서(C3)에 접속함과 아울러 직렬접속의 다이오드(D3,D4)에 접속하며, 또한 상기 트랜지스터(Q3)의 콜렉터는 상기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접속하여 구성한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b)는 저항(R3)과 접지저항(R4)의 분할비에 의해 설정된 직류전압을 다이오드(D1)를 통해서 인가받음과 아울러 저항(R5)을 통한 음전압(B-)을 인가받아, 그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직류기준전압을 설정해 주고, 영상입력(VS)신호는 접지저항(R1)과 저항(R2)을 통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입력단자(a)로 입력되며, 이 입력된 영상신호는 가변저항(VR1)에 의해 영상신호 레벨이 조정된다.
상기 가변저항(VR1)에 의해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 전압을 가변함으로써 영상입력 신호(VS)의 레벨이 가변되어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출력단자(c)의 영상신호 레벨도 조정된다.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출력단자(c)의 출력 영상신호는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직류 오프셋 전압위에 중첩되어 출력되지만, 직류 블로킹용 콘덴서(C2)에 의해 직류 오프셋 전압은 차단되고, 영상 교류 성분만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이때, 영상신호 증폭기(IC1)의 직류 오프셋 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교류영상신호만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로 인가시킨다.
또한, 수평동기 입력신호(H-Symc)가 정극성이든 부극성이든 간에 제3도의 (a)와 같이 입력되면, 동기 극성 판별기(4A)에 의해 항상 제3도의 (b)와 같은 적극성 신호를 인출해서 출력하고, 이 출력신호는 콘덴서(C4)를 통해 저항(R12)과 접지저항(R13)의 분할비에 의해 제3도의 (c)와 같은 파형을 인출하고, 이 인출된 파형(c)은 다이오드(D2)를 통하면서 부의 펄스는 클램핑 시키고 정의 펄스만 저항(R14)과 접지저항(R15)의 분할비에 의해 제3도의 (d)와 같은 신호를 인출하여, 콘덴서(C5)를 통해 트랜지스터(Q3)의 베이스에 제3도의 (e)와 같은 파형을 인가한다.
이때, 트랜지스터(Q3)는 동작하여 그의 콜렉터에 제3도의 (f)와 같은 항상 일정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발생시켜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인가한다.
이 인가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은 콘덴서(C2)를 통해 인가된 교류영상신호와 합성하여 트랜지스터(Q2)를 동작시키고, 그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에는 동상의 영상신호가 인출되어 영상출력단(V-out)으로 출력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영상신호 증폭기의 직류 오프셋 전압의 크고 작음에 관계없이 직류 오프셋 전압은 직류 블로킹 콘덴서로서 차단하고 교류 영상신호만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하고, 수평동기 신호를 이용하여 트랜지스터를 동작시켜 항상 일정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 인가해 줌으로써 교류 영상신호와 합성해서 영상 출력단으로 출력되기 때문에 영상신호 증폭기의 직류 오프셋 전압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여 영상신호의 포화를 보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류 기준전압 설정부(1)에서 설정된 직류 기준전압과 영상신호 레벨 조정부(2)에 의해 조정된 영상입력신호를 영상신호 증폭기(IC1)에서 증폭하여 영상 출력부(3)로 출력하는 영상 출력회로에 있어서, 입력된 수평동기 신호(H-Sync)의 극성을 판별하여 정극성 신호를 인출하는 동기 극성 판별부(4)와, 상기 동기 극성 판별부(4)에서 인출된 정극성의 파형을 분할하는 파형 분할부(5)와, 상기 파형 분할부(6)와, 상기 클램핑부(6)에서 클램핑된 파형의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조정(7)부와, 상기 레벨조정부(7)에서 레벨조정된 파형에 의해 상기 영사출력부(3)에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하는 직류 바이어스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KR2019910024211U 1991-12-27 1991-12-27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KR01154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211U KR0115461Y1 (ko) 1991-12-27 1991-12-27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24211U KR0115461Y1 (ko) 1991-12-27 1991-12-27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025U KR930017025U (ko) 1993-07-29
KR0115461Y1 true KR0115461Y1 (ko) 1998-04-20

Family

ID=1932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24211U KR0115461Y1 (ko) 1991-12-27 1991-12-27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546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025U (ko) 1993-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23927A (en) Image signal average picture level detecting apparatus
KR0115461Y1 (ko) 영상신호의 포화 보상 회로
JPS5990473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における自動バイアス制御装置
KR100803681B1 (ko) 백 포치 클램프 회로
JP2591762B2 (ja) パラボラ状周期信号発生回路
EP0455146B1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KR930007244Y1 (ko) 화면의 왜곡 보상회로
US5105272A (en) Synchronizing signal extracting apparatus
KR920007137Y1 (ko) 수직사이즈 신호 제한회로
KR0164527B1 (ko) 동기신호의 입력 극성 제어 회로
JP2540849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910000107Y1 (ko) 음성 뮤팅 (Sound Muting) 회로
KR800000900Y1 (ko) 편향 찌그러짐 보정회로
KR100195737B1 (ko) 모니터의 afc펄스를 이용한 비디오 클램프펄스 발생회로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KR800000116B1 (ko) 수직 편향전류 발생회로 장치
JP2558662B2 (ja) 水平発振周波数安定化回路
KR900004376B1 (ko) 비데오 신호 분배시 레벨 안정회로
KR930001786Y1 (ko) 주파수별 수평편향전류 자동제어회로
KR850001618Y1 (ko)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KR920005780Y1 (ko) 수직 수평 블랭킹 보호회로
JPS5846772A (ja) 映像クランプ回路
KR900009576Y1 (ko) Tv의 고압 정격 안정회로
KR890004422Y1 (ko) 영상 차단회로
KR900008966Y1 (ko) 아날로그 dc클램프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