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50001618Y1 -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618Y1
KR850001618Y1 KR2019830009270U KR830009270U KR850001618Y1 KR 850001618 Y1 KR850001618 Y1 KR 850001618Y1 KR 2019830009270 U KR2019830009270 U KR 2019830009270U KR 830009270 U KR830009270 U KR 830009270U KR 850001618 Y1 KR850001618 Y1 KR 8500016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scillator
phase
transistor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92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란 스테클리 스티븐
리우벤 바라반 알빈
Original Assignee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제이·노오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6/039,883 external-priority patent/US4228463A/en
Application filed by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에드워드 제이·노오턴 filed Critical 알 씨 에이 코퍼레이션
Priority to KR20198300092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6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6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618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5Synchronising circuits with arrangements for extending range of synchronisation, e.g. by using switching between several time consta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 H03L7/093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frequency- or phase-detection arrangement including the filtering or amplification of its output signal using special filtering or amplification characteristics in the loop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12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 H04N5/126Devices in which the synchronising signals are only operative if a phase difference occurs between synchronising and synchronised scanning devices, e.g. flywheel synchronising whereby the synchronisation signal indirectly commands a frequency gener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을 실시한 텔레비젼 수상기의 구성을 동작중에 생기는 각종 파형의 진폭대 시간관계와 더불어 도시한 부분블록 개략회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명에 유효한 위상제어루프 여파기중의 등가전압 및 저항치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위상제어루프 여파기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회로도.
본 고안은 텔레비젼 수평 발진기의 위상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젼 표시장치의 라스터는 표시될 비데오 신호와 관련된 수직 및 수평 동기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주파수에서 수직 및 수평의 양방향으로 주사된다. 합성 비데오 신호는 잡음 성분을 포함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보통은 텔레비젼 장치에 위상 고정 루프형의 내잡음성 장치를 설치하되, 이 장치에서는 위상 감지형 검파기 및 저역여파기를 가진 궤환루프에 제어가능한 수평주파수 발진기와 비데오 신호에 관련하는 수평동기 펄스들간의 위상차를 나타내는 펄스를 발생시키고, 위상검파기에 의해 발생된 펄스는 저역 여파기에 의해 여파되게 한다. 이때 저역 여파기의 출력단은 발진기의 제어 입력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발진기의 주파수는 평균등기 펄스 주파수와 동등하게 유치된다.
텔레비젼 표시장치에는 비데오 재생장치 또는 테이프 레코더로부터의 합성 비데오 신호를 공급하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되는데, 이같은 비데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테이프를 횡단하여 기계적으로 주사하는 복수의 재생헤드가 사용되고 그 일반식에서는 이들 두 헤드가 수직필드의 주기와 동등한 기간동안 테이프를 교대로 주사하고 이 경우 표시될 정보의 손실 또는 파손을 피하기 위해, 제1헤드의 주사종료와 동시에 제2헤드에 의해 필드주사가 연속 개시되게 한다. 그러나, 만일에 기록시에 있어서의 테이프 장력 및 테이프 이송량과 비교하여 재생시에 있어서의 테이프 장력 및 테이프 이송량이 다르게 될 경우에는 특히 주사헤드의 절환이 행해지는 기간중에 기록시에 비교해서 재생시에 일련의 연속하는 수평 동기 펄스간의 시간차가 초래되고, 그 결과로써 수평 발진기를 동기화하고 또한 라스터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수평동기 펄스의 위상에 불연속부, 즉, 계단형 변화가 초래되게 된다. 이같은 계단형 변화는 보통 수직 주사 기간의 종료 이전에 있어서의 다섯줄의 수평선에 발생한다.
이같은 계단형 위상변화는 발진기의 위상의 변화되어 발진기 가동기신호의 다른 위상에 적용되게 하는 식으로 위상 고정루프가 수평 발진기를 제어하게 하나. 보통은 위상 고정루프의 저역 여파기의 이득특성이 수직귀선 기간의 종료전에 발진기와 동시신호들간의 완전한 동기를 위한 충분한 비율로 발진기가 변하는 것을 막기 때문에, 그 결과로써, 표시되는 비데오에 왜곡이 생긴다.
미합중국 특허 제 3,740,489호에 의하면 사용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외부 스위치를 제공하여 비데오 원으로서 테이프 레코더가 필요할 경우 외부 스위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위상고정 루프의 저역 여파기의 특성을 변화시켜 위상고정 루프의 이득을 변화시키므로써, 발진기가 다보 빠른 속도로 새로운 위상쪽으로 변하게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는 스위치의 조정을 잊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결과 전술한 비데오 왜곡이 생기게 되고 텔레비젼 수상기의 수평 동기가 잡음의 영향을 더욱 받게 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3,846,584호에는 하나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기간동안 저역 여파기를 위상고정 루프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144,544호에서는 스위칭 장치로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미터 통로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미합중국 특허 제 4,093,963호에서는 스위칭 장치로서 한쌍의 역병렬 접속 상보성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를 사용하고 있다.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는 양방향 전류의 절환에 사장되는 경우에 있어서 각 도통 방향에 대해 전압 강하가 같지않게 되는데, 이같은 문제점은 베이스 구동이 일방향성이고, 트랜지스터들의 특성이 일반적으로 정합될 수 없고 듀리 사이클이 비대칭을 이루므로 이들 트랜지스터들을 역병렬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서도 해결될 수 없으며, 트랜지스터 스위치 온 기간중에는 위상검파기에 의해 발생되어 절환형 여파기에 인가되는 양방향성 전류의 순정류 작용이 생기고, 이 정류된 신호는 수평 발진기와 수평동기 신호의 상대위상에 의존하지 않고, 대신에 스위치의 온 시간 대 오프 시간의 비에 의해 결정된 전하를 여파기 캐패시터에 충전한다. 따라서, 수평 발진기 위상제어 루프 여파기의 시정수를 변화시키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의 온으로부터 오프로의 변이에 의해 과도전압이 발생되어, 이 과도전압에 대해 여파기 캐패시터가 응동하고 수평발진기가 불필요한 동작을 일으켜 키네스코우프에 표시되는 수직선이 굴곡을 일으키게 된다.
위상제어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가능한 발진기는 주파수 제어단자와 발진 출력 단자를 가지며, 위상 검파기는 수평 동기신호원 및 발진기의 출력단자에 결합되어 등기 신호와 발진 출력간의 주파수 및 위상의 차를 나타내는 출력신호를 발생하고, 제어가능한 여파기는 위상검파기의 출력단자와 발진기의 주파수 제어장치에 결합되어 부궤환루프를 폐쇄하고 출력신호를 여파하여, 발진기가 동기 신호와 동기되게 하는 발진기 제어전압을 생성하며, 또한 제어 가능한 여파기는 여파기의 시정수가 주기적으로 변하게 하는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데,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장치는 동작시에 제어전압을 교란시켜 동기화 작용이 교란되게 하는 제1의 전압 오프 셋트를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제1의 전압 오프 셋트와 동등한 크기를 가진 제2의 전압 오프 셋트를 발생시켜 제어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에 의해 동기화 작용의 교란을 극소화시킨다.
제1도는 외부 비데오원으로부터의 신호와 전송되거나 또는 방송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적용된 텔레비젼 수상기의 일부를 도시한다. 제1도에서, 안테나(10)는 텔레비젼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튜너 I. F 증폭기 및 비데오 검파장치(12)는 안테나(10)에 결합되어 전송된 신호로부터 데비오 변조신호를 재생하도록 성된다. 비데오 신호는 선택스위치(14)의 단자(14a)로부터 취출된다. 외부 비데오 잭 (16)은 스위치(14)의 단자(14b)에 결합된다. 스위치(14)에 의해 선택된 비데오 신호는 동기신호 분리기(18)의 입력에 인가된다. 분리기(18)는 합성비데오로부터 파형(19)으로 도+시된 바와같은 수평동기 펄스를 분리하여 위상 검파기(20)의 한 입력을 형성하는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에 공급한다. 위상검파기(20)는 에미터결합 트랜지스터(24) 및 (26)을 포함하는데, 이들 트랜지스터의 에미터는 제항(29)에 의해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24) 및 (26)의 베이스들은 B+및 접지간에 결합되고 저항(30, 32)을 포함하는 저항성 분압기(28)로부터 직류 바이어스 전압을 수신한다. 트랜지스터(24) 및 (26)의 베이스들은 각각 저항(34) 및 (36)에 의해 분압기(28)상의 탭에 결합된다. 전류밀터회로(38)는 트랜지스터(24)의 콜렉터에 결합된 입력과 트랜지스터(26)의 콜렉터에 결합된 출력을 갖고서 트랜지스터(26)의 콜렉터에 위상 비교기(20)의 고임피던스 출력단자를 형성하기 위해 자동 싱글 엔디드 변환기로서 사용된다. 그의 출력임피던스는 저항(41)에 의해 표현된다.
비교기(20)의 출력은 여파기 입력점(43)과 접지간에 결합된 고주파 롤오프 캐패시터(42)를 포함하는 여파기(40)의 입력에 결합된다. 여파기(40)는 또한 접합점(43) 및 접지간에서 저항(46a)과 더불어 직렬접속을 형성하되, 접합점 (45)에 결합된 일단과 접합점(43)에 결합된 타단을 가지는 저주파 평균화 캐패시터(44)를 포함한다. 임피던스 설정저항(48)은 접합점(43)으로부터 수평발진기(50)의 저임피던스 입력에 결합된다.
수평발진기(50)는 여파기(40)로부터의 입력에 위해 위상 및 주파수가 제어되어 도시되지 않는 키네스코프와 관련된 수평편향권선(54)에 편향전류를 유동시키는 수평편향회로(52)에 인가되는 수평주파수 펄스를 발생시킨다. 편향권선(54)내의 편향전류의 흐름으로부터 야기되는 평향전압은 권선(54)에 합된결적 분기(56)에 인가된다. 적분기(56)는 맥동하는 편향전압으로부터 파형(57)으로 도시된 수평주파수 톱니파 신호 전압을 형성하여, 결합 캐패시터(58)를 통해 위삽검파기(20)의 트랜지스터(26)의 베이스에 인가한다. 톱니파 신호(57)는 위상검파기(20)내에서 수평동기 펄스와 비교되고, 이 위상 검파기는 톱니파 신호(57) 및 수평동기 펄스(19)간의 주파수 및 위상차를 나타내는 전류펄스를 발생한다.
동기신호 분리기(18)는 스위치(14)에 의해 선택된 합성 비데오 신호로부터 수직 동기신호(62)를 분리시킨다. 수직동기 신호는 수직동기 펄스에 동기되어 발진되는 수직 주파수 발진기(60)에 인가된다. 발진기(60)로부터의 수직주파수 펄스는 수직편향 증폭기(64)의 입력에 인가되고, 수직편향 증폭기(64)의 출력은 키네스코프와 관련된 수직편향권선(66)을 구동시킨다. 전류 감지저항(68)은 권선(66)과 직렬 경합되고 증폭기(64)의 입력에 궤환전압을 공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증폭기(64)의 출력(A)에 생기는 전압은 미분 및 경합회로(80)를 통하여 단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인가된다. 멀티바이브레이터(70)는 수직귀선 펄스위 후연에 의해 비안정 상태로 셋트되고 재차 안정상태로 될때까지 대략 14밀리 세컨드의 지연시간을 가진다. 수직주사기간의 지속기간은 대략 16밀리 세컨드이므로 멀티바이브레이터(70)는 수직귀선기간의 종료에 선행하는 약 2밀리세컨드의 기간동안 그의 안정상태에서 저출력신호를 발생시킨다. 멀티바이브레이터(70)의 출력은 NPN 트랜지스터(92)를 포함하는 제어가능한 스위치(90)에 공급되는데 트랜지스터(92)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콜렉터는 저항(47)을 통해 접합점(45)에 접속된다. 수직귀선과 귀선소거기간의 일부를 포함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70)의 안정상태 기간동안, 트랜지스터(92)는 비도통되고, 저항(47)은 저항(46a)과 병렬접속상태로 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과기(40)의 캐패시터(44)와 직렬의 저항치는 여과기(40)의 고속상태를 나타내는 최대이다. 수직귀선기간 부근의 루프의 고속상태에서, 루프는 입력신호의 계단형 변화에 신속히 응동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92)는 수직주사기간의 대부분에 걸쳐 저항(47)과 저항(46a)이 병렬접속되게끔 도통되므로 그에 의해 캐패시터(44)의 직렬저항치는 감소되고, 여파기(40)의 응답속도를 저항시켜서 양호한 내잡음 특성을 나타낸다.
상기 설명엡서는 텔레비젼 장치의 구성이 전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4,144,544호의 설명과 유사하다. 개패시터(44)는 캐패시터(42)보다 크고, 위상검파기(20)에 의해 발생된 전류의 주부분은 캐패시터(44)를 통하여 흐르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정상적인 동작시에는 위상검파기(20)으로부터 어떤 극성의 맥동전류가 흐른다. 즉, 트랜지스터(24)의 전류밀러회로(38) 또는 트랜지스터(26)가 강하게 도통되어 여파기를 통해 어떤 전류를 흘린다. 이 전류의 일부는 여파기를 통해 트랜지스터(92)를 통과한다. 밀러회로(38)가 도통될때, 여파기 및 트랜지스터(92)를 통해 흐르는 전류의 방향은 트랜지스터(92)의 정상도통 방향이고, 트랜지스터(92)의 클렉터는 접지에 대해 양 10분의 2 볼트의 정극성으로 된다. 트랜지스터(26)가 여파기 캐패시터(44) 및 트랜지스터(92)를 통하여 도통될때, 트랜지스터(92)의 클렉터-베이스 접합은 순바이어스 되고, 베이스-에미터 접합도 멀티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순바이어스 된다. 트랜지스터(92)의 베이스는, 트랜지스터(26) 및 필터(40)를 통한 전류가 멀티바이브레이터(70)로부터 트랜지스터(92)에 공급되는 바이어스 전류에 대해 작게 유지되는 한, 접지에 관해 1vbe 정극성을 유지한다. 트랜지스터(92)가 그의 반전모드로 작동될때, 콜렉터-에미터 단자 양단에는 정상모드로 작동할때 발생된 것과 다른 오프셋트 전압이 발생된다. 따라서 정상적인 작동시에, 위상검파기(20)에 의해 발생되는 전류는 각 극성에서 동일한 크기를 가질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92)의 콜렉터 전압은 접지에 대해 영이 아닌 평균치를 가지는 두 전압간에서 교번한다.
트랜지스터(92)의 콜렉터에서의 평균 오프셋트 전압은 저항(46a) 및 (47)로 구성되는 분압기에 의해 분압되고 캐패시터(42) 및 (44)에 의해 여파되어 오프셋트 전압을 발생한다. 따라서 캐패시터42) 및 (44)는 수직주사 기간동안 트랜지스터(92)에 의해 발생된 오프셋트 전압을 향해 충전되고, 트랜지스터(92)가 턴오프되는 기간동안 영을 향해 방전된다. 이것에 의해 접합점(43) 수평발진기(50)에 인가되고 발진기(50)에 불필요한 응답을 일으키는 변동하는 전압오프 셋트가 접합점(44)에 발생되어 그 결과 키네스코프상에 표시되는 수직선의 굴곡이 생기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저항(46a)이 B+와 접합점(45)간에 경합된 저항(46b)을 포함하는 저항성분압기(46)의 일부로서 구성된다. 저항(46a) 및 (46b)의 값은 분압기(46)의 실효저항값이 고속상태에 있어서 캐패시터(44)와 직렬로 소망의 저항치가 되도록 선택된다. 분압비는 트랜지스터(92)의 콜렉터에서 발생되고, 평균 오프셋트 전압과 분압기(46)의 탭전압이 동일하게 되도록 선택된다. 제2도에서, 캐패시터(44)는 회로점(43)에 접속된다. 회로점(43)으로부터 먼쪽에 있는 캐패시터(44)의 단부는 회로점(45)에 경합된다. 회로점(45)은 저항(47)에 의해 오프셋트 전압을 나타내는 전압원(292)에 접속된다. 회로점(45)는 저항(246)을 통해 전압원(293)의 일단에 접속되는데, 전압원(293)의 타단은 접지된다. 저항(246) 및 전압원(293)는 각각 분압기(46)의 실효임피던스 및 등가전원을 나타낸다.
전압원(92) 및 (293)의 전압이 같은 한, 저항(47) 또는 (246)내에는 평균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전압원(292) 및 (293)의 내부임피던스는 영이므로, 저항(47)을 포함하는 지로가 회로에 존재하는 기간중에는 캐패시터(44)를 통해 접지로 흐르는 교류전류는 저항(47) 및 (246)의 병렬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트랜지스터(92)가 비도통되는 기간동안, 전압원(292)는 제2도의 회로에서 제거되는 것으로 생각해도 좋다. 이 상태에서 캐패시터(44)를 통하여 접지로 흐르는 전류에 대해 저항(246)만이 임피던스를 나타낸다. 그러나, 회로점(45)에서의 전압은 전압원(293)의 존재로 인해 변환되지 않는다. 따라서, 캐패시터(44) 및 여파기의 다른 부분은 트랜지스터(92)의 스윗칭에 의한 과도전압에 좌우되지 않고, 발진기(50)의 동기는 교란되지 않는다.
제3도에서, 오프셋트 전압은 부극성으로 저항(47)의 임피던스 대신에 이용되는 분압기에 의해 발생된다. 회로점(45)은 여파기(40)가 고속응답성을 갖게 하는데 적합한 고저항성을 가지는 저항(346)에 의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92)의 콜렉터는 회로점(45)에 직접 접속된다. 트랜지스터(92)의 에미터는 접지되지 않고 분압기(347)의 탭점에 경합된다. 분압기(347)는 부전압원(B-)과 접지간에 결합된 저항(347a) 및 (347b)를 포함한다. 분압기(347)의 실효임피던스는 여파기(40)의 지속동작에 필요한 저항(47)의 저항치와 동등하다. 분압기(347)의 탭점전압은 트랜지스터(92)에 의해 발생된 오프셋트 전압과 동등한 크기의 역극성으로 선택되고 그에 따라 접합점(45)에서의 전압 오프셋트는 제거된다.
본 고안의 특정한 실시예에 있어서, 트랜지스터(92)가 비도통될때 캐패시터(44)와 직렬의 저항은 대략 3900옴이고, 저속상태에서 캐패시터(44)의 직렬저항은 대략 350옴이 바람직하다. 스윗칭 트랜지스터에 의해 발생된 오프셋트 전압의 평균치를 0.1볼트로 하고 B+를 10볼트로 하면 제1도의 각소자의 성분치는 다음과 같다.
저항 46a : 3980옴, 46b : 394킬로옴, 47 : 390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함은 본 분야의 숙련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예를 들면, 포화트랜지스터의 콜렉터와 같은 임의의 저임피던스 전원을 분압기(347) 대신에 스윗칭 트랜지스터에미터에 결합할 수 있다. 저항(46b) 대신에 전류원을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전류원의 출력임피던스를 분압기 리임피던스를 계산하는데 사용된다. 이론적으로 말해서 B+값이 적절하다면 전류원은 저항(46a) 대신에 사용될 수 있다. 고유의 오프셋트에 의하거나 비대칭 즉 비선형도통 특성(정류)에 의해 오프셋트 전압을 발생하는 어떤 종류의 스윗칭 장치도 수정될 수 있다.

Claims (1)

  1. 수평동기 신호원과 ; 주파수 제어 입력단자 및 발진출력단자를 갖는 제어가능한 발진기와 ; 수평동기신호원과 발진기의 출력단자에 결합되어 동기신호와 발진출력간의 주파수 및 위상의 차를 나타내는 출력신회를 발생하는 위상검파기와 ; 위상검파기의 출력단자와 발진기의 주파수 제어단자에 결합되어 부궤환위상제어루프를 폐쇄하고 출력신호를 여파하여 발진기가 동기신호와 동기되게 하는 발진기 제어전압을 생성하기 위해, 여파기의 시정수가 주기적으로 변하게 하는 제어가능한 임피던스 장치를 포함하는 제어가능한 여파기를 구비하되, 제어가능한 임피던스장치가 그의 동작기간의 일부에서 제어전압을 방해하여 동기화작용을 교란하게 되는 오프셋트 전압을 발생하는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오프셋트 전압과 동등한 크기의 상쇄 오프셋트 전압의 발생을 위해 회로점(45) 및 제어가능한 스위치(90)에 분압기(46 ; 347) 및 바이어스 전압원(B+; B-)을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장치.
KR2019830009270U 1979-05-17 1983-10-31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KR8500016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9270U KR850001618Y1 (ko) 1979-05-17 1983-10-31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6/039,883 US4228463A (en) 1979-05-17 1979-05-17 Switched AFPC loop filter with offset voltage cancellation
KR1019800001942A KR830004009A (ko) 1979-05-17 1980-05-17 오프셋트전압을 제거한 스위치된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주파수제어루프
KR2019830009270U KR850001618Y1 (ko) 1979-05-17 1983-10-31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US39883 1987-04-2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942A Division KR830004009A (ko) 1979-05-17 1980-05-17 오프셋트전압을 제거한 스위치된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주파수제어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1618Y1 true KR850001618Y1 (ko) 1985-07-31

Family

ID=27348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9270U KR850001618Y1 (ko) 1979-05-17 1983-10-31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61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48544A (en) Switched vertical deflection system
JPH06105178A (ja) ラスタ走査crt表示装置用偏向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US4634939A (en) Circuit synchronized by a signal at a deflection frequency
JP3617669B2 (ja) テレビジョン偏向装置
JPS6111023B2 (ko)
US4228463A (en) Switched AFPC loop filter with offset voltage cancellation
US4227123A (en) Switching amplifier for driving a load through an alternating-current path with a constant-amplitude, varying duty cycle signal
EP0272900B1 (en) Sawtooth generator
KR850001618Y1 (ko) 텔레비젼 수평발진기 위상제어 장치
KR0137274B1 (ko) 비디오 표시장치의 수직 편향회로
IE41941B1 (en) Deflection system such as for television receivers including a switched mode vertical (field) deflection circuit
KR930011507B1 (ko) 라인 레이트 게이팅 펄스 발생기를 구비한 텔레비젼 수상기
US4737691A (en) Television apparatus for generating a phase modulated deflection current
US5703445A (en) Sawtooth generator with disturbance signal rejection for a deflection apparatus
KR100296433B1 (ko) 편향장치에서선택가능한리트레이스기울기를갖는톱니파신호발생기
US5089755A (en) Vertical deflection circuit
KR950009652B1 (ko) 편향회로
EP0455146B1 (en) Parabolic voltage generating circuit
JP3333216B2 (ja) 水平偏向システム
EP0024860A2 (en) Dual standard television vertical deflection system
EP0242123B1 (en) Television deflection apparatus
KR970003018B1 (ko) 수평편향회로
KR900006303Y1 (ko) 모니터화상의 좌.우 수평이동장치
KR890005832Y1 (ko) 무신호시 온 스크린 안정화 회로
KR0137166B1 (ko)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