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3079Y1 -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13079Y1
KR0113079Y1 KR2019950011479U KR19950011479U KR0113079Y1 KR 0113079 Y1 KR0113079 Y1 KR 0113079Y1 KR 2019950011479 U KR2019950011479 U KR 2019950011479U KR 19950011479 U KR19950011479 U KR 19950011479U KR 0113079 Y1 KR0113079 Y1 KR 0113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llumination
control
illuminance
unit
contro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14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391U (ko
Inventor
최광남
Original Assignee
박규직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규직, 현대엘리베이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규직
Priority to KR20199500114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13079Y1/ko
Publication of KR96003739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39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13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13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26Constructional features, e.g. walls assembly, decorative panels, comfort equipment, thermal or sound insulation
    • B66B11/0233Ligh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3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조명등의 조도조절신호로 입력하는 조도조절신호 입력부(50)와, 상기 조도조절신호 입력부(50)에서의 인체접촉감지에 의한 출력신호를 인가 받아서 그 인가된 신호를 기초로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2), 상기 제어부(5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부(54) 및, 상기 가변저항부(54)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5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여, 사람손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조도조절신호로 인식하여 조명등을 제어하므로 단순히 인체의 접촉만으로 조도조절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어 조명등의 제어가 간단해지며, 조도조절버튼의 구조가 평면구조로 되어 있어 외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조명등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의 내부를 나태내는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의 구성에서 조도조절버튼을 나태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조도조절신호입력부 52 : 제어부
54 : 가변저항부 56 : 조명부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조도 조절용 버튼에 사람손이 접촉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조명등 제어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용 스위치(SW21)가 온 된 상태에서 상용교류전원(21)이 입력되면 릴레이(A)가 동작하여 그 접점(A1b)(A2b)은 오프되고 접점(A2a)은 온이 되므로서 평상시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25)에 전원 인가되어 엘리베이터 카내부를 조명토록 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변압기(22)를 통해 변압된 교류전원이 정류장치(23)를 거쳐 정류되어 저항(R20)을 통해 축전지(20)를 충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릴레이(A)의 접점(A1b)(A2b)은 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축전지(20)의 방전경로는 차단되어 비상등(24)은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정전시에는 상용의 교류전원(21)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릴레이(A)가 오프되어 그 접점(A1b)(A2b)은 온되고, 접점(A2a)은 오프되므로서 조명등(25)은 소등되고, 축전지(20)로부터 접점(A1b)과 저항(R21) 제너다이오드(D21)를 통해 트랜지스터(Q20)의 베이스에 바이어스 전압으로 인가하게 되므로 트랜지스터(Q20)가 온되는데, 이때 제너다이오드(D21)는 축전지(20)의 방전 전압의 하한값 이상에서 오프되는 과방전 방지용이다.
이와 같이 트랜지스터(Q20)가 온이되면 릴레이(B)가 온이되므로 그 접점(B1a)이 온되어 비상등(24)이 축전지(20)의 전원이 공급됨으로서 비상등은 점등되는 것이다.
그리고 축전지(20)의 방전전압이 과방전되는 소정 전압 이하로 낮아지게 되면 제너다이오드(D21)가 오프되어 트랜지스터(Q20)가 오프되므로 릴레이(B)가 오프되어 그 접점(B1a)이 오프되므로서 비상등(24)은 소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도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에서는 조명용 스위치(SW21)의 조작에 의해 조명등(25)이 온/오프되도록 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 카내의 밝기에 따라 그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카내에 설치된 조명등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는 조명기기 들이 현재 개발, 생산되어 있지만, 그 조명기기들의 조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외부로 돌출설치되어 있는 조도조절용 스위치를 손으로 잡고 좌우로 돌려 목적하는 조도로 맞춰질 때 까지 조절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외부로 돌출설치된 조도조절용 스위치로 인하여 외관상에 문제가 있고 사용자가 직접 손으로 잡고 돌려야 하는 불편함 등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조도 조절용 버튼에 사람손이 접촉함에 따라 엘리베이터 카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조명등의 조도가 조절되도록 하며, 그 조도조절용버튼은 평면구조로 설치하고 그 평면구조의 버튼은 접촉(Touch)식 버튼으로 구성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는,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조명등의 조도조절신호로 입력하는 조도조절신호입력수단과,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수단에서의 인체접촉감지에 의한 출력신호를 인가받아서 그 인가된 신호를 기초로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 상기 제어수단의 출력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수단 및, 상기 가변저항수단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수단은 엘리베이터의 카내부에 인체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평면구조의 조도조절버튼 및 상기 조도조절버튼의 인체 접촉 유/무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로 구성하고, 상기 조도조절버튼은 외곽부분이 외부와 절연되도록 설치하여 인체의 접촉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도조절버튼은 조명등의 조도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하이조도버튼과 조명등의 조도를 줄이도록 조절하는 로우조도버튼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카내에 설치된 조도조절 신호입력수단의 조도조절버튼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그 손이 접촉되어 있는 시간동안 트랜지스터가 통전되어 그 출력신호를 제어수단에 입력시키게 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트랜지스터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시간에 비례하는 제어신호를 가변저항수단에 인가하는 바, 예컨데 조명등의 조도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하이조도버튼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상기 제어수단에서는 그 누르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조명수단에 걸리는 저항이 점차 작아지도록 제어하여 조도를 높여주고, 조명등의 조도를 줄이도록 조절하는 로우조도버튼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상기 제어수단에서는 그 누르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조명수단에 걸리는 저항이 점차 커지도록 제어하여 조도를 낮춰 어둡게 하여 주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의 블럭 구성도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50은 인체(예컨데, 사람 손가락)의 접촉을 감지하여 조명등의 조도조절신호로 입력하는 조도조절신호입력부로서, 그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는 제3도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카내부(100)에 인체가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평면구조의 조도조절버튼(50A,50B)과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의 인체접촉 유/무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50C)로 구성하고,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은 제4도(A)와(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부분은 외부와 절연되도록 절연체(50-1)로 구성하고 인체가 접촉되는 부분인 안쪽부분은 전도체(50-2)로 구성하여 인체의 접촉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은 조명등의 조도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하이조도버튼(50A)과 조명등의 조도를 줄이도록 조절하는 로우조도버튼(50B)으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참조부호 52는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에서의 인체접촉에 따른 출력신호를 인가받아서 그 인가된 신호를 기초로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이고, 54는 상기 제어부(5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저항(R)의 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부이며, 56은 상기 가변저항부(54)의 저항(R)값 변화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즉,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부(5)의 조도조절버튼(50A,50B) 및 트랜지스터(50C)는 전도체에 사람의 손이 접촉되었을 때 전류가 사람의 몸을 통해 대지로 흘러가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며, 상기 제어부(52)는 전도체에 사람손이 접촉되었을 때 사람손을 통해 전류가 대지로 흘러가는 것을 감지하여 이것을 기초 신호로 입력받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토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저항부(54)는 조명부(56) 양단에 가변저항(R)을 걸고 상기제어부(52)의 제어신호에 따라 그 가변저항(R)의 저항값이 가변하여 조명부(56)의 조도를 조절한다.
이어, 상기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엘리베이터 카(100)내에 설치된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의 조도조절버튼(50A,50B)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그 손이 접촉되어 있는 시간동안 트랜지스터(50C)가 통전되어 그 출력신호를 제어부(52)에 입력시키게 되고, 상기 제어부(52)는 상기 트랜지스터(50C)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시간에 비례하는 제어신호를 가변저항부(54)에 인가하는바, 예컨데, 조명부(56)의 조도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하이조도버튼(50A)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상기 제어부(52)에서는 그 누르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조명부(56)에 걸리는 가변저항(R)의 저항값이 점차 작아지도록 제어하여 조명부(56)의 조도를 높여주고, 조명부(56)의 조도를 줄이도록 조절하는 로우조도버튼(50B)을 손으로 누르고 있으면 상기제어부(52)에서는 그 누르고 있는 시간에 비례하여 조명부(56)에 걸리는 가변저항(R)의 저항값이 점차 커지도록 제어하여 조명부(56)의 조도를 낮춰 어둡게 하여 주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살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사람손의 접촉을 감지하고 이를 조도조절신호로 인식하여 조명등을 제어하므로 단순히 인체의 접촉만으로 조도조절신호를 입력시킬 수 있어 조명등의 제어가 간단해지며, 조도조절버튼의 구조가 평면구조로 되어 있어 외형이 단순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인체의 접촉을 감지하여 조명등의 조도조절신호로 입력하는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와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에서의 인체접촉감지에 의한 출력신호를 인가받아서 그 인가된 신호를 기초로 조도를 조절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52), 상기 제어부(52)의 출력신호에 따라 저항값이 가변되는 가변저항부(54) 및 상기 가변저항부(54)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조도가 조절되는 조명부(56)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조절신호입력부(50)는 엘리베이터의 카내에 인체를 접촉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평면구조의 조도조절버튼(50A,50B) 및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의 인체 접촉 유/무에 따라 스위칭되는 트랜지스터(50C)로 구성하고,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은 외곽부분이 외부와 절연되도록 설치하여 인체의 접촉에 의해서만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도조절버튼(50A,50B)은 조명부(56)의 조도를 높이도록 조절하는 하이조도버튼(50A)과 조명등의 조도를 줄이도록 조절하는 로우조도버튼(50B)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카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KR2019950011479U 1995-05-26 1995-05-26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KR0113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479U KR0113079Y1 (ko) 1995-05-26 1995-05-26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1479U KR0113079Y1 (ko) 1995-05-26 1995-05-26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91U KR960037391U (ko) 1996-12-16
KR0113079Y1 true KR0113079Y1 (ko) 1998-04-14

Family

ID=19414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1479U KR0113079Y1 (ko) 1995-05-26 1995-05-26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130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391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0481B1 (en) Lighting controller
JP2006120571A (ja) 照明装置
CA2196638A1 (en) Light sensitive dimmer switch circuit
KR20170046837A (ko) 스마트 스위치 시스템
KR0113079Y1 (ko) 엘리베이터 가내의 조명등 제어장치
JPH11204273A (ja) 照明装置
JP3736025B2 (ja) 照明装置
JPH0785975A (ja) 照明装置
KR100202841B1 (ko) 렌지후드용 조명점등장치
JP3788332B2 (ja) 照明装置およびこの照明装置を有する照明器具
KR200157434Y1 (ko) 전등 자동 점멸장치
JPH10162964A (ja) 照明制御装置
JPH1140374A (ja) 照明制御装置
JP2000277273A (ja) 照明制御装置
KR200346209Y1 (ko) 등화장치용 센서 회로
KR101893705B1 (ko)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JPH05109489A (ja) 照明装置
JPH07288882A (ja) リモコン送信機
JP2003187986A (ja) 照度センサ付き照明器具
JPH10209842A (ja) 熱線式自動スイッチ
KR200279309Y1 (ko) 인체검지 절전형 형광등기구
JPH1050484A (ja) 住宅照明装置およびシステム住宅
JP3409334B2 (ja) 照明装置
CN116095918A (zh) 发光单元的控制方法、发光装置、灯具及照明系统
JP2572318Y2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