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3705B1 -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 Google Patents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3705B1
KR101893705B1 KR1020170163927A KR20170163927A KR101893705B1 KR 101893705 B1 KR101893705 B1 KR 101893705B1 KR 1020170163927 A KR1020170163927 A KR 1020170163927A KR 20170163927 A KR20170163927 A KR 20170163927A KR 101893705 B1 KR101893705 B1 KR 101893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power source
power
lamp
huma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성환
Original Assignee
차성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성환 filed Critical 차성환
Priority to KR1020170163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3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3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37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7/0227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J2009/068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교류 상용전원이 입력되면 설정된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의 제1직류전원을 램프에 공급하고, 교류 비상전원이 공급되면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는 상용전원 공급시에는 인체 감지시에만 램프를 점등시켜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며 비상시에는 램프를 상시 점등시켜 비상통로 등 이동경로를 확보하면서도 컨트롤러를 이용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의 충돌없이 램프를 점등시킴에 따라 램프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램프 구동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Electric power drive circuit for a sensor lamp using controller}
본 발명은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감지센서의 인체 감지시 센서등의 램프가 점등되고 비상시에는 감지센서의 구동과 상관없이 상시 점등되어 비상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는 센서등의 구동시 컨트롤러를 이용해 제어하는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센서등은 사람의 출입이 불특정하게 이루어지는 장소인 건물의 복도, 현관, 계단 등의 천장에 설치되에 인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소정시간 동안 광원을 점등시켜 조도를 확보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센서등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 감지 센서가 본체에 구비되어 인체의 접근이 감지되면 점등되고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소등되도록 작동하는 것으로, 인체의 접근을 감지하기 위해 광센서, 열감지 센서, 적외선 감지 센서, 근접 센서 등을 이용한다.
이와 관련하여 비상 시에 센서등이 항상 점등될 수 있고 소규모의 접점 수를 구비한 스위치들에 상용 전원과 비상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이 실행될 수 있는 센서등의 전원 공급 회로가 등록특허 제10-1256963호(참고문헌)에 제안된 바 있다.
참고문헌의 전원 공급 회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건물에 설치되어 사람이 통행하는 것을 감지하는 물체 감지 스위치와, 상기 물체 감지 스위치가 온(ON)될 경우 점등하는 램프와, 외부의 교류 상용 전원과 직류의 비상 전원으로부터 선택적으로 전압을 받아서 미리 설정된 제1 직류 전압을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로 구성된 센서등의 전원 공급 회로에 있어서,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의 공급 유무에 따른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에 공급되는 전원을 상기 교류 상용 전원과 비상 전원 중에서 하나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1 스위치 및 제2 스위치와, 상기 교류 상용 전원의 공급 유무에 따른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기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로부터 출력된 미리 설정된 제3 직류 전압을 물체 감지 스위치와 상기 램프에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3 스위치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위치는 상기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의 입력용 일측 단자에 접속된 가동 접점과, 상기 교류상용 전원의 일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 접점과, 상기 비상 전원의 일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스위치는 상기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의 입력용 타측 단자에 접속된 가동 접점과, 상기 교류상용 전원의 타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 접점과, 상기 비상 전원의 타측 단자에 접속된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3 스위치는 상기 직류 안정화 전원 공급 유니트의 출력용 일측 단자에 접속된 가동 접점과, 상기 램프의 입력용 일측 단자에 접속된 제1 고정 접점과, 상기 물체 감지 스위치에 접속된 제2 고정 접점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 및 제3 스위치는 하나의 릴레이에 의해 동작되도록 하나의 모듈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스위치, 제2 스위치와 제3 스위치가 동작하더라도 물체감지스위치의 완전 절체상태가 아니어서 오작동의 우려가 높다.
특히 상기 구성에 의하면 비상 전원의 공급시 물체감지스위치의 +극성이 SMPS +극성과 항시 연결되는 회로구조 방식이기 때문에 비상전원 공급시 물체 감지스위치 출력쪽 -극성에 SMPS의 -전원이 공급되면 물체감지스위치 내부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SMPS의 효율이 떨어져 소비전력 상승 및 수명 단축을 야기하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평상시에는 감지센서의 구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기 낭비를 줄임은 물론 비상시에는 램프를 점등시켜 비상이동경로를 안내하도록 제어하되 컨트롤러를 이용해 오작동의 우려를 줄일 수 있는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교류 상용전원이 입력되면 설정된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의 제1직류전원을 램프에 공급하고, 교류 비상전원이 공급되면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램프에 공급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컨버터는 메인상시선 및 메인공통선을 통해 상기 상용전원이 입력되면 설정된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단으로 출력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제1입력단을 통해 상기 컨버터의 제1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를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도록 상기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받는 제1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며, 상기 제1입력단을 통해 제1직류전원이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제2입력단으로 비상전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비상전원을 변환한 제2직류전원을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상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원의 메인상시선에는 비상스위치의 버튼 작동시 개방되는 b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b접점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비상상시선에는 상기 비상스위치의 버튼 작동시 폐쇄되는 a접점이 연결되고; 상기 상용전원은 메인상시선 및 메인공통선을 통해 컨버터의 입력단으로 투입되어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되며, 상기 비상전원은 비상상시선 및 메인공통선을 통해 컨트롤러로 투입되며; 상기 컨트롤러는, 제1입력단을 통해 상기 컨버터의 제1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를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도록 상기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받는 제1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며, 상기 제1입력단을 통해 제1직류전원이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비상전원이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입력단으로 입력되는 제2직류전원을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상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교류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이 입력되면 설정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채널로 출력하는 컨버터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와; 상기 교류 비상전원의 공급 유무에 따른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기 교류 상용전원과 비상전원 중에 어느 하나를 상기 컨버터에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와; 상기 인체감지센서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의 직류전원을 램프에 설정시간 투입하고 교류 비상전원이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의 직류전원을 상기 램프에 상시 공급하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컨버터의 제1입력단에 연결된 가동접점과, 상기 상용전원의 메인상시선에 연결된 고정접점과, 상기 비상전원의 비상상시선에 연결된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컨버터의 제2입력단에 연결된 가동접점과, 상기 상용전원의 메인공통선에 연결된 고정접점과, 상기 비상전원의 비상공통선에 연결된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러는 제2입력단을 통해 비상전원이 투입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를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도록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점등시키며, 비상전원이 제2입력단을 통해 감지되면 비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1입력단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출력단으로 출력하여 램프를 상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스위치는 상기 컨버터 입력단의 제1입력단에 연결된 가동접점과, 상기 메인상시선에 연결된 고정접점과, 상기 비상상시선에 연결된 고정접점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위치는 상기 컨버터 입력단의 제2입력단에 연결된 가동접점과, 상기 메인공통선에 연결된 고정접점과, 상기 고정접점과 직결되며 컨트롤러의 제2입력단에 연결된 고정접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는 상용전원 공급시에는 인체 감지시에만 램프를 점등시켜 전기에너지를 절약하며 비상시에는 램프를 상시 점등시켜 비상통로 등 이동경로를 확보하면서도 컨트롤러를 이용해 상용전원과 비상전원의 충돌없이 램프를 점등시킴에 따라 램프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램프 구동시 다양한 조건에 따라 점등 및 소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컨트롤러를 이용해 램프 구동을 제어함으로서 종래 물체감지스위치에서 누설되는 전류를 차단해 컨버터의 효율을 높여줌은 물론 그에 따라 전원 구동 회로의 수명도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류 상용전원(1)이 입력되면 설정된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컨버터(100)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0)와;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100)의 제1직류전원을 램프(3)에 공급하고, 교류 비상전원(2)이 공급되면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램프(3)에 공급하는 컨트롤러(3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컨버터(100)는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상용전원(1)은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10)으로 투입되면 설정된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단(120)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은 동일한 크기의 교류전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상용전원(1)은 외부(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는 교류 220V의 전원이고 상기 비상전원(2)은 예를 들어 비상시 각 세대로 공급되는 비상발전기(2a)의 교류 220V의 전원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는 제1직류전원은 상기 컨트롤러(300)에서 변환되는 제2직류전원과 동일한 크기의 직류전원으로 예를 들어 DC 20 ~40V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용전원(1) 및 비상전원(2)과, 컨버터(100) 및 컨트롤러(300)의 제1 및 제2직류전원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체감지센서(200)는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인체감지센서(200)는 적외선 센서 이외에 적외선인체감지, 조도감지, 초음파물체감지 등으로 구성 가능하며, 이들 요소들 중 2가지 이상 복합으로 구성된 복합감지형 센서(전자식스위치) 등을 적용함도 가능하며, 이 같은 정도의 설계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00)는 제1입력단(310)을 통해 제1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320)을 통해 교류 비상전원(2)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 제1입력단(310)을 통해 공급받는 제1직류전원은 출력단(330)을 통해 출력하고, 비상전원(2)이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을 통해 컨트롤러(300)의 제2입력단(320)으로 투입되면 설정된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단(330)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컨트롤러(300)의 출력단(330)로 출력되는 제1 또는 제2직류전원은 램프(3)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제1직류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판단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3)를 설정시간(예를 들어 3 ~ 5초) 동안 점등시키도록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제1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점등시키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제1직류전원이 공급이 차단된 상태에서 비상전원(2)이 제2입력단(320)으로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유무에 상관없이 비상전원(2)을 변환한 제2직류전원을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상시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3)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탑재된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00)와 인체감지센서(200)는 다양한 안전 회로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스위치절체모듈(4) 내에 배치된다.
이하, 도 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제어 회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용전원(1)(AC220V 입력)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경우에는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1)을 입력받은 컨버터(100)는 설정된 제1직류전원(예를 들어 DC 20 ~40V)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컨트롤러(300)는 인체감지센서(200)의 신호감지여부를 감시하게 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에서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제1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점등시킨다.
한편, 상용전원(1)의 공급이 불가능해 비상발전기(2a)를 통한 비상전원(2)(AC220V 입력)이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을 통해 컨트롤러(300)의 제2입력단(320)으로 입력되면, 컨트롤러(300)는 설정된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상기 점등시킨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300)는 비상전원의 차단 또는 상용전원(1)의 공급시에 정상적으로 제1입력단(310)을 통해 공급되는 제1직류전원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유무를 감지하여 정상 작동한다.
다음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는 제1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에서 교류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 중에 어느하나를 공급받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원(1a)에서 교류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를 구분하여 컨버터(100)로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원(1a)의 메인상시선(L)과 메인공통선(N)을 통해 교류 상용전원(1)을 공급받고, 메인공통선(N)과 비상상시선(e)을 통해 교류 비상전원(2)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원(1a)의 메인상시선(L)에는 비상스위치(5)의 버튼 작동시 개방되는 b접점(5a)이 연결되고, 상기 b접점(5a)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비상상시선(e)에는 상기 비상스위치(5)의 버튼 작동시 폐쇄되는 a접점(5b)이 연결된다.
그리고 상용전원(1)은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10)으로 투입되어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되며, 비상전원(2)은 비상상시선(e)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트롤러(300)로 투입되어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정상적인 교류 상용전원(1)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30)으로 투입되어 제1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인체감지센서(200)의 신호감지여부에 따라 램프(3)를 점등시키지만,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비정상 상태로 인해 교류 비상전원(2)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관리자의 비상스위치(5) 조작에 따라 비상전원(2)은 비상상시선(e) 및 메인공통선(N)에서 컨트롤러(300)로 투입되어 제2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시켜 줌으로서 램프(3)를 점등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비상전원(2)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발전기 등이 설치되지 않거나 한전 등에서 직접 비상전원(2)이 투입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교류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이 입력되면 설정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채널(110)로 출력하는 컨버터(100)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0)와; 상기 교류 비상전원(2)의 공급 유무에 따른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기 교류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 중에 어느 하나를 상기 컨버터(100)에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와;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100)의 직류전원을 램프(3)에 설정시간 투입하고 교류 비상전원(2)이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100)의 직류전원을 상기 램프(3)에 상시 공급하는 컨트롤러(300)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각부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컨버터(100)는 교류전원이 입력되면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 작동에 따라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이 선택적으로 입력되면 설정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채널(12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은 동일한 크기의 교류전원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상용전원(1)은 외부(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로부터 각 세대로 공급되는 교류 220V의 전원이고 상기 비상전원(2)은 예를 들어 비상시 각 세대로 공급되는 비상발전기(2a)의 교류 220V의 전원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컨버터(100)에서 변환되는 직류전원은 상기 컨트롤러(300)에 입력되어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의 투입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정보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C 20 ~40V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용전원(1) 및 비상전원(2)과, 컨버터(100) 및 컨트롤러(300)의 직류전원의 크기는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는 상기 비상전원(2)의 투입여부에 따른 릴레이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을 상기 컨버터(100)에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스위치(SW1)는 상기 컨버터(100) 입력단(110)의 제1입력단(112), 상기 상용 전원(1)의 메인상시선(L), 상기 비상전원(2)의 비상상시선(e)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1스위치(SW1)는 상기 컨버터(100)의 제1입력단(112)에 연결된 가동접점(SW1_1)과, 상기 상용전원(1)의 메인상시선(L)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2)과, 상기 비상전원(2)의 비상상시선(e)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SW2)는 상기 컨버터(100)의 제2입력단(114), 상용전원(1)의 메인공통선(N), 상기 비상전원(2)의 비상공통선(n)에 접속된다. 즉, 상기 제2스위치(SW2)는 상기 컨버터(100)의 제2입력단(114)에 연결된 가동접점(SW2_1)과, 상기 상용전원(1)의 메인공통선(N)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2)과, 상기 비상전원(2)의 비상공통선(n)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3)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체감지센서(200)는 인체를 감지하는 센서로 예를 들면 적외선 센서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트롤러(300)는 제1입력단(310)을 통해 직류전원을 공급받고, 제2입력단(320)을 통해 교류 비상전원(2)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 제1입력단(310)을 통해 공급받는 직류전원은 출력단(330)을 통해 출력하고, 비상전원(2)이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을 통해 컨트롤러(300)의 제2입력단(320)으로 투입되면 컨트롤러(300)는 비상전원(2)이 투입되는 것으로 판단하여 컨트롤러(300)의 출력단(330)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램프(3)에 상시 투입하게 된다.
이때, 상기 컨트롤러(300)는 상기 제2입력단(320)을 통해 비상전원(2)이 투입되지 않는 경우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3)를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도록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점등시키며, 비상전원(2)이 제2입력단(320)을 통해 감지되면 비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유무에 상관없이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상시 점등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3)는 하나 이상의 발광다이오드(LED)가 인쇄회로기판(PCB)상에 탑재된 공지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컨트롤러(300)와 인체감지센서(200)는 물론 상기 제1 및 제2스위치(SW1,SW2)는 비상전원(2)의 투입시 이를 구동하기 위한 코일(미도시됨)과 함께 다양한 안전 회로를 포함하도록 하나의 스위치절체모듈(4) 내에 배치된다.
이에 의하면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을 통해 비상전원(2)이 코일에 투입되면 코일이 자화되어 하나의 스위치절체모듈(4)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스위치(SW1,SW2)의 가동접점들(SW1_1, SW2_1)이 고정접점들(SW1_2, SW1_3)(SW2_2, SW2_3) 사이에서 동시에 스위칭된다.
이하,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제어 회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상용전원(1)(AC220V 입력)이 투입시, 제1 및 제2스위치(SW1,SW2)의 가동접점들(SW1_1, SW2_1)이 고정접점들(SW1_2, SW2_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용전원(1)은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이 상용전원(1)을 입력받은 컨버터(100)는 설정된 직류전원(예를 들어 DC 20 ~40V)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때, 컨트롤러(300)는 인체감지센서(200)의 신호감지여부를 감시하게 되며,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에서 인체감지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제1직류전원을 설정시간(예를 들어 )동안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점등시킨 후 소등하고, 대기모드로 작동하여 인체감지센서(200)의 신호감지여부를 감시한다.
한편, 상용전원(1)의 공급이 불가능해, 비상발전기(2a)를 통한 비상전원(2)(AC220V 입력)을 투입되면 스위치절체모듈(4)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스위치(SW1,SW2)의 가동접점들(SW1_1, SW2_1)이 고정접점들(SW1_3,SW2_3)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비상전원(2)은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에서 제1 및 제2스위치(SW1,SW2)를 통해 컨버터(100)로 투입된다.
이때, 비상전원(2)(AC220V 입력)이 비상상시선(e) 및 비상공통선(n)을 통해 컨트롤러(300)의 제2입력단(320)으로도 입력되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300)는 비상상태로 판단하여 제1입력단(310)을 통해 컨버터(100)에서 입력되는 직류전원을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상기 점등시킨다.
이후 상기 컨트롤러(300)는 비상전원의 차단시에 램프(3)를 소등시키고 정상적으로 제1입력단(310)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전원이 감지되면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유무를 감지하는 대기모드로 정상 작동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의 구성도이다. 이는 제3 실시 예의 변형 예로서,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에서 교류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 중에 어느하나를 공급받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원(1a)에서 교류 상용전원(1)과 비상전원(2)를 구분하여 컨버터(100)로 공급받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원공급원(1a)의 메인상시선(L)과 메인공통선(N)을 통해 교류 상용전원(1)을 공급받고, 메인공통선(N)과 비상상시선(e)을 통해 교류 비상전원(2)을 공급받는다.
이를 위해 상기 전원공급원(1a)의 메인상시선(L)에는 비상스위치(5)의 버튼 작동시 개방되는 b접점(5a)이 연결되고, 상기 b접점(5a)의 입력단에 연결되는 비상상시선(e)에는 상기 비상스위치(5)의 버튼 작동시 폐쇄되는 a접점(5b)이 연결된다.
한편, 제1 및 제2스위치(SW1, SW2)는 상기 비상상시선(e)을 통한 비상전원(2)의 투입여부에 따른 릴레이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상용전원(1) 또는 비상전원(2)을 상기 컨버터(100)에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속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스위치(SW1)는 상기 컨버터(100) 입력단(110)의 제1입력단(112)에 연결된 가동접점(SW1_1)과, 상기 메인상시선(L)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2)과, 상기 비상상시선(e)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SW2)는 상기 컨버터(100) 입력단(110)의 제2입력단(114)에 연결된 가동접점(SW2_1)과, 상기 메인공통선(N)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2)과, 상기 고정접점(SW2_2)과 직결되며 컨트롤러(300)의 제2입력단(320)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3)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정상적인 교류 상용전원(1)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스위치(SW1,SW2)의 가동접점들(SW1_1, SW2_1)이 고정접점들(SW1_2, SW2_2)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용전원(1)은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10)으로 투입된다.
반면에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비정상 상태로 인해 교류 비상전원(2)이 입력되는 경우 관리자의 비상스위치(5) 조작에 따라 제1 및 제2스위치(SW1,SW2)의 가동접점들(SW1_1, SW2_1)이 고정접점들(SW1_3,SW2_3)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비상전원(2)은 비상상시선(e) 및 메인공통선(N)에서 제1 및 제2스위치(SW1,SW2)를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10)으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정상적인 교류 상용전원(1)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메인상시선(L) 및 메인공통선(N)을 통해 컨버터(100)의 입력단(130)으로 투입되어 직류전원으로 변환되어 인체감지센서(200)의 신호감지여부에 따라 램프(3)를 설정시간동안 점등시킨 후 대기모드로 동작하지만, 한전 등의 전원공급원(1a)으로부터 비정상 상태로 인해 교류 비상전원(2)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관리자의 비상스위치(5) 조작에 따라 비상전원(2)은 비상상시선(e) 및 메인공통선(N)에서 컨트롤러(300)로 투입되어 감지되면 비상상황으로 인지하여 컨버터(100)의 직류전원을 램프(3)에 투입하여 상시 점등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비상전원(2)을 공급하기 위한 비상발전기 등이 설치되지 않거나 한전 등에서 직접 비상전원(2)이 투입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1: 상용전원 2: 비상전원
3: 램프 4: 스위치절체모듈
100: 컨버터 200: 인체감지센서
300: 컨트롤러 e: 비상상시선
L: 메인상시선 N: 메인공통선
n: 비상공통선 SW1: 제1스위치
SW2: 제2스위치

Claims (7)

  1. 교류 상용전원(1) 또는 교류 비상전원(2)이 입력되면 설정된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채널(110)로 출력하는 컨버터(100)와; 인체를 감지하는 인체감지센서(200)와; 상기 교류 비상전원(2)의 공급 유무에 따른 릴레이 동작에 따라 상기 교류 상용전원(1)과 교류 비상전원(2) 중에 어느 하나를 상기 컨버터(100)에 공급하도록 선택적으로 접속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SW1, SW2)와;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에서 인체가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100)의 직류전원을 램프(3)에 설정시간 투입하고 교류 비상전원(2)이 감지되면 상기 컨버터(100)의 직류전원을 상기 램프(3)에 상시 공급하는 컨트롤러(300)로 구성되고;
    상기 제1스위치(SW1)는 상기 컨버터(100)의 제1입력단(112)에 연결된 가동접점(SW1_1)과, 상기 상용전원(1)의 메인상시선(L)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2)과, 상기 교류 비상전원(2)의 비상상시선(e)에 연결된 고정접점(SW1_3)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스위치(SW2)는 상기 컨버터(100)의 제2입력단(114)에 연결된 가동접점(SW2_1)과, 상기 상용전원(1)의 메인공통선(N)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2)과, 상기 교류 비상전원(2)의 비상공통선(n)에 연결된 고정접점(SW2_3)으로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제2입력단(320)을 통해 교류 비상전원(2)이 투입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인체감지센서(200)의 인체감지신호 입력에 따라 램프(3)를 설정시간 동안 점등시키도록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설정시간동안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점등시키며, 교류 비상전원(2)이 제2입력단(320)을 통해 감지되면 비상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제1입력단(310)을 통해 입력받는 직류전원을 출력단(330)으로 출력하여 램프(3)를 상시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70163927A 2017-12-01 2017-12-01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KR101893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27A KR101893705B1 (ko) 2017-12-01 2017-12-01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927A KR101893705B1 (ko) 2017-12-01 2017-12-01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3705B1 true KR101893705B1 (ko) 2018-10-04

Family

ID=63862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927A KR101893705B1 (ko) 2017-12-01 2017-12-01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3705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1047B1 (ko)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US6933678B2 (en) Emergency lighting function illumination appliance
KR101794581B1 (ko) 센서등 겸용 비상조명장치
US20020047627A1 (en) Central battery emergency lighting system
GB2412256A (en) Emergency lighting appliance having ON-OFF switching when supplied by mains electricity
WO2020101162A1 (ko) 초절전 센서등 제어장치
KR20080088016A (ko) 엘이디를 이용한 센서등
KR101723305B1 (ko) 통합모듈을 가지는 비상등 겸용 센서등
JP4606744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KR100933979B1 (ko) 비상등 겸용 센서등
KR101893705B1 (ko) 컨트롤러를 이용한 센서등의 전원 구동 회로
KR20120126911A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TWI604753B (zh) 開關裝置及開關系統
KR101901597B1 (ko) 대기전력저감 및 잔광차단 기능이 구비된 조명등기구용 컨트롤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명등기구
KR20200118977A (ko) 엘이디 센서등 제어 장치
KR200490046Y1 (ko) 3접점 릴레이를 이용한 센서등 구동 장치
KR100629483B1 (ko) 복도용 조명장치
KR101256963B1 (ko) 센서등의 전원 공급 회로
KR101934429B1 (ko) 센서등 조명제어장치
JP599748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
KR20210047161A (ko) 비상등 기능을 제공하는 센서등용 전원공급장치
KR101030506B1 (ko) 시각장애인용 음향신호기의 입출력제어장치
JP2008181769A (ja) センサ付ソケ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照明器具
KR102151979B1 (ko) 비상등 겸용 led컨버터 연동형 조명 제어 시스템
CN220965214U (zh) 一种由调光驱动供电的人体传感器的应急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