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911A -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911A
KR20120126911A KR1020110045042A KR20110045042A KR20120126911A KR 20120126911 A KR20120126911 A KR 20120126911A KR 1020110045042 A KR1020110045042 A KR 1020110045042A KR 20110045042 A KR20110045042 A KR 20110045042A KR 20120126911 A KR20120126911 A KR 20120126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unit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5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034B1 (ko
Inventor
최낙춘
오왕건
이주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유
(주)롬스페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유, (주)롬스페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유
Priority to KR1020110045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34B1/ko
Publication of KR20120126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니트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제어유니트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1전원부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2전원부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제2전원부로의 전력 공급 선로 상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메인 스위치와 제2전원부와 발광다이오드 모듈 사이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서브 스위치를 구비하고, 제어유니트는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에 대한 제어조건이 대기모드인지 휴지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대기모드로 판단되면 메인스위치가 스위치 온되게 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게 서브 스위치를 제어하고, 휴지모드로 판단되면 발광다이오드모듈 오프시 메인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오프가 장시간 지속될 수 있는 휴지모드에서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구동용 전원의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power supply apparatus of LED}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대기모드시 발광다이오드 모듈 구동용 전원의 가동을 차단하여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는 형광체를 적용하여 백색광을 생성하여 출사할 수 있는 구조가 알려지면서 단순 발광표시 기능 이외에 기존의 조명등을 대체할 수 있는 조명분야까지 그 응용범위가 확장되고 있다. 또한, 조명에 적합한 고출력용 발광다이오드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이용하는 장치는 신호등을 포함한 다양한 조명장치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조명영역이 넓은 대면적 또는 고휘도로 조명을 해야하는 경우 다수의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구동하기 위한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전원부는 발광다이오드모듈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직류전원을 상시적으로 생성하도록 되어 있어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오프 기간 동안 대기 전력이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모듈의 오프기간이 지속될 때의 대기전력을 줄일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는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을 입력된 제어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유니트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1전원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2전원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제2전원부로의 전력 공급 선로 상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메인 스위치와; 상기 제2전원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 사이의 전력 공급 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서브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에 대한 제어조건이 대기모드인지 휴지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대기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스위치가 스위치 온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게 상기 서브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휴지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 오프시 상기 메인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한다.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입력부와;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상기 서브 스위치를 통해 제어하는 조명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구동부 및 상기 메인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조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이상이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온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휴지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미만이면 상기 대기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부의 신호와 관계없이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되게 제어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 온 신호 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온되게 상기 조명 구동부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오프가 장시간 지속될 수 있는 휴지모드에서는 발광다이오드 모듈 구동용 전원의 가동을 중지시킴으로써 대기전력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2전원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를 나타내 보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2전원부에 대한 상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100)는 제1전원부(110), 메인 스위치(120), 제2전원부(130), 제어유니트(150) 및 발광다이오드 모듈(170) 및 서브 스위치(175)를 구비한다.
제1전원부(110)는 상용 교류전원(101)으로부터 제어유니트(150) 구동용 직류 전원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1전원부(110)는 저전력을 소모하는 제어유니트(150)에 적절한 전원변환장치 예를 들면 AC-DC 컨버터가 적용될 수 있다.
메인 스위치(120)는 상용 교류전원(101)으로부터 제2전원부(130)로 이어지는 전력공급선로 상에 설치되어 후술되는 제어유니트(150)의 제어부(153)에 제어되어 제2전원부(130)로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한다.
제2전원부(130)는 상용 교류전원(101)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직류 전원을 생성한다.
이러한 제2전원부(130)는 통상적인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로 구축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 공급선의 메인 스위치(120)를 통해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101)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131)와, 노이즈 필터(131)를 통과한 교류를 정류하는 1차 정류부(132)와, 1차 정류부(132)를 거쳐 평활된 전원을 고주파 트랜스포머(135)의 1차측 코일로의 전류도통을 펄스폭 변조방식에 의해 스위칭 하는 스위칭부(133)와, 고주파 트랜스포머(135)의 2차측 코일로 유기된 전력을 정류하여 발광다이오드 모듈(170) 구동용 직류전원을 생성하는 2차 정류부(137) 및 2차 정류부(137)의 출력전압을 검출하여 스위칭부(133)를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139)에 제공하는 피드백검출부(138)로 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은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171)가 어레이되어 있다.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은 제2전원부(130)의 2차 정류부(137)의 출력단으로부터 발광다이오드(171)로 이어지는 전력공급선 상에 마련된 서브 스위치(175)를 온/오프 구동하는 제어유니트(150)의 조명 구동부(155)에 의해 발광이 온/오프 된다.
제어유니트(150)는 메인 스위치(120)를 제어하여 제2전원부(130)로의 전원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고, 서브 스위치(175)를 통해 발광다이오드모듈(170)의 구동을 온/오프 제어한다.
제어유니트(15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에 대한 제어조건이 대기모드인지 휴지모드인지를 판단하고, 대기모드로 판단되면 메인스위치(120)가 스위치 온되게 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을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게 서브 스위치(175)를 제어하고, 휴지모드로 판단되면 메인스위치(120)가 오프되게 제어한다.
제어유니트(150)는 휴지모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150)의 구동 온신호가 수신되면 메인스위치(120)와 서브 스위치(175)를 스위치 온시켜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을 구동온시키고, 이후 휴지모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150)의 구동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스위치(120)와 서브 스위치(175)를 스위치 오프시키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유니트(150)에 대해 설정되는 대기모드와 휴지모드는 일 예로서, 하루 24시간에 대해 주간에 해당하는 오전 6시 이후부터 오후 7시까지는 휴지모드로 하고, 오후 7시 이후부터 오전 6시까지는 대기모드로 설정하고, 내장된 시계를 카운트하여 대기모드와 휴지모드를 판단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어유니트(150)는 후술되는 조도센서(161)에 의해 검출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이상이면 휴지모드로 판단하고, 설정된 기준조도 미만이면 대기모드로 판단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에 의해 후술되는 입력부(151)를 통해 대기모드와 휴지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제어유니트(150)는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모드에 따라 앞서 설명된 방식으로 메인 스위치(120)와 서브 스위치(175)를 제어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제어유니트(150)는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오프지속시간이 설정된 기준 시간을 초과하면 휴지모드로 전환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70) 구동 온신호가 수신되면 대기모드로 전환하도록 구축될 수 있다. 여기서 기준시간은 예를 들면 1시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제어유니트(150)는 발광다이오드모듈(170) 오프 지속시간이 기준시간인 1시간을 초과하면 휴지모드로 전환한다.
이러한 제어유니트(150)는 입력부(151), 제어부(153), 조명 구동부(155)를 구비한다.
입력부(151)는 발광다이오드모듈(170)의 구동 조건에 해당하는 제어 입력신호를 제어부(153)를 통해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입력부(151)는 구동조건을 조작키를 통해 제어부(153)에 입력하는 키조작 방식 또는 무선으로 제어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고 도시된 예에서는 원격 조정기(180)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온/오프 및 휘도를 조절하는 신호를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할 수 있는 예가 적용되었다.
조명 구동부(155)는 제어부(153)에 제어되어 제2전원부(130)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서브 스위치(175)를 통해 발광다이오드모듈(170)로의 전원 공급을 온/오프 스위칭 하여 발광다이오드모듈(170)을 구동한다.
조도센서(161)는 조도를 검출하여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인체감지센서(163)는 인체 유무를 검출하여 제어부(153)에 출력한다.
제어부(153)는 제1전원부(130)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입력부(151)를 통해 입력된 정보에 따라 조명 구동부(155)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을 조면 구동부(155)를 통해 제어하고, 앞서 설명된 대기모드와 휴지모드에 따라 메인 스위치(120)의 구동을 제어한다.
제어부(153)는 대기모드에서는 제2전원부(130)로 전원이 공급되게 메인 스위치(120)를 스위치온되게 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 온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발광되게 조명구동부(155)를 제어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 오프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이 발광오프 되게 조명구동부(155)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53)는 휴지모드에서는 제2전원부(130)로 전원이 차단되게 메인 스위치(120)를 스위치 오프되게 제어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 온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메인 스위치(120)를 온시키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발광되게 조명구동부(155)를 제어하고,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구동 오프에 해당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이 발광오프 되게 조명구동부(155)를 통해 서브 스위치(175)가 오프되게 제어하고, 메인 스위치(120)도 오프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153)는 조도 센서(161)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이상이면 휴지모드로 판단하도록 구축하고, 휴지모드에서 입력부(151)를 통해 발광다이오드 모듈(170)의 온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메인 스위치(120)가 오프되게 제어하고, 조도 센서(161)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 조도 미만이면 대기모드로 판단하여 입력부(151)의 신호와 관계없이 메인 스위치(120)를 스위치 온되게 제어하고, 대기모드 상태에서는 입력부(151)로부터 온 신호 또는 인체감지센서(163)의 인체 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서브스위치(175)가 스위치 온되게 조명 구동부(155)를 제어하고, 대기모드 상태에서 입력부(151)로부터 오프 신호 또는 인체감지센서(163)의 인체 미감지 신호가 수신되면 서브스위치(175)가 스위치 오프되게 조명 구동부(155)를 제어하도록 구축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에 의하면, 발광다이오드모듈(170)이 장시간 오프될 수 있는 주간에는 휴지모드로 하여 제2전원부(130)로의 공급이 차단되게 하고, 야간에는 제2전원부(130)로 전력을 공급하여 빈번한 온/오프 명령에 대해 제2전원부(130)의 잦은 온/오프에 따른 전력소비를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110: 제1전원부 120: 메인 스위치
130: 제2전원부 150: 제어유니트
170: 발광다이오드 모듈 175: 서브 스위치

Claims (3)

  1. 복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어레이된 발광다이오드 모듈과;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을 입력된 제어조건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유니트와;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제어유니트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1전원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구동용 전원을 생성하는 제2전원부와;
    상기 상용 교류전원으로부터 상기 제2전원부로의 전력 공급 선로 상에 마련되어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메인 스위치와;
    상기 제2전원부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 사이의 전력 공급 선로 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의 전력을 공급 및 차단하는 서브 스위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에 대한 제어조건이 대기모드인지 휴지모드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대기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메인스위치가 스위치 온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을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 되게 상기 서브 스위치를 제어하고, 상기 휴지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모듈 오프시 상기 메인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니트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온/오프에 대한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입력부와;
    상기 제2전원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로의 전력 공급의 온/오프를 상기 서브 스위치를 통해 제어하는 조명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온/오프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구동부 및 상기 메인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조도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에 제공하는 조도센서와;
    인체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인체감지센서;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이상이고,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온구동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휴지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메인 스위치가 오프되게 제어하고, 상기 조도 센서로부터 입력된 조도가 설정된 기준조도 미만이면 상기 대기모드로 판단하여 상기 입력부의 신호와 관계없이 상기 메인 스위치를 온되게 제어하고, 상기 대기모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의 구동 온 신호 또는 상기 인체감지센서의 인체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 모듈이 온되게 상기 조명 구동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 장치.
KR1020110045042A 2011-05-13 2011-05-13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KR101237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42A KR101237034B1 (ko) 2011-05-13 2011-05-13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5042A KR101237034B1 (ko) 2011-05-13 2011-05-13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911A true KR20120126911A (ko) 2012-11-21
KR101237034B1 KR101237034B1 (ko) 2013-02-25

Family

ID=47512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5042A KR101237034B1 (ko) 2011-05-13 2011-05-13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298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엘이디 제어 장치
CN109803467A (zh) * 2019-02-21 2019-05-24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多路led驱动装置及方法
KR102372819B1 (ko) * 2021-08-26 2022-03-10 엘젠테크 (주) 엘이디 등기구용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010B1 (ko) 2013-03-13 2014-09-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680429B1 (ko) * 2014-10-13 2016-11-2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및 스마트 산책로 조명 장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901B1 (ko) * 2004-06-23 2006-09-19 김준호 조도감지식 조명 자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110006239A (ko) * 2009-07-14 2011-01-20 고수동 태양광 발전을 이용한 가로등 제어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54298A (ko) * 2013-11-11 2015-05-20 삼성전기주식회사 엘이디 제어 장치
CN109803467A (zh) * 2019-02-21 2019-05-24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多路led驱动装置及方法
CN109803467B (zh) * 2019-02-21 2024-04-12 生迪智慧科技有限公司 多路led驱动装置及方法
KR102372819B1 (ko) * 2021-08-26 2022-03-10 엘젠테크 (주) 엘이디 등기구용 스위치 모드 전원 공급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034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0026B2 (ja) 発光装置の電源供給装置
KR101237034B1 (ko)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JP5000327B2 (ja) 可視光通信システム
KR101594699B1 (ko) 교류 전력선 통신 장치
JP2014176295A (ja) 照明装置
US8803437B2 (en) Switching mode pulsed current supply for driving LEDS
US8013540B2 (en) Light adjusting device for a light emitting diode and related light adjusting method and light emitting device
US20150130358A1 (en) Led controlling device
JP6784102B2 (ja) 照明器具
KR101734991B1 (ko) 디밍 가능한 절전형 led 조명기구
KR101232304B1 (ko) 네트워크 기능을 갖는 조명용 전원 공급 제어장치
TWI604753B (zh) 開關裝置及開關系統
US20150028757A1 (en) Single wire lighting driver control
KR101370531B1 (ko) 엘이디 조명용 전원 장치
JP2011233442A (ja) Led駆動装置
KR101823827B1 (ko) 엘이디 조명의 전원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시스템
KR20140103198A (ko) Led 디밍 제어 장치
KR101188236B1 (ko) 발광소자 조명 제어 장치
KR102620166B1 (ko) 상용 전원 및 dali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
KR102620169B1 (ko) 상용 전원 및 dali를 이용한 에너지 절감형 led 조명 제어 기능을 구비한 발라스터
KR20190128323A (ko) 대기 전력 절감 smps
JP6569344B2 (ja) Led点灯回路及びled照明装置
KR101355840B1 (ko) 엘이디 점등장치용 컨버터
KR101961850B1 (ko) LED(Light Emitting Diode) 조명 제어 장치
KR101542673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