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9010B1 -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9010B1
KR101439010B1 KR1020130026958A KR20130026958A KR101439010B1 KR 101439010 B1 KR101439010 B1 KR 101439010B1 KR 1020130026958 A KR1020130026958 A KR 1020130026958A KR 20130026958 A KR20130026958 A KR 20130026958A KR 101439010 B1 KR101439010 B1 KR 101439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munication module
module
pin
ligh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훈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90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9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9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21V23/023Power supplies in a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21K9/238Arrangement or mounting of circuit el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실시예는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의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로부터 대기전원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체결되면 상기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조명 모듈의 전원제어부에서 통신 모듈이 탑재되지 않으면 대기 전력을 생성하지 않고, 통신 모듈 탑재에 의해서 대기 전력을 생성하므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The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communication module}
본 발명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기 위해 조명장치와 유선으로 연결된 스위치를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였다. 상기와 같은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스위치에 손이 닿지 않는 어린이가 상기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데에 불편함이 있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리모컨 등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를 이용하여 조명장치를 점등 또는 소등시키거나 조명의 세기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조명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조명 시장이 다양화됨에 따라, 조명장치의 특성(색온도, 디밍값, 밝기 등)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거나,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Zigbee, WiFi, BLUETOOTH 등) 중에서 속도/거리/소비 전력 등을 고려한 통신 방식의 선택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수신/처리/전송하는 통신 모듈이 조명장치와 일체로 되어 있어 조명장치 내의 전원부 (Power Supply Unit, PSU) 고장 또는/및 조명장치 내의 LED, 일반조명기기, 제어부 등에 고장이 발생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을 포함한 조명장치를 모두 교체해야 한다.
한편,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는 조명장치의 경우, 무선통신모듈을 턴온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대기 전원을 항상 생성한다.
따라서,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가 입력되지 않더라도 대기 전원을 위해 조명장치의 전원생성이 항상 진행되어 소비 전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탈착가능한 통신 모듈을 탑재한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는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의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로부터 대기전원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체결되면 상기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조명 장치를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조명 모듈에 무선 통신 모듈을 탈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조명 모듈의 조명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을 탈착하여 보존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조명 모듈의 전원제어부에서 통신 모듈이 탑재되지 않으면 대기 전력을 생성하지 않고, 통신 모듈 탑재에 의해서 대기 전력을 생성하므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무선 컨트롤러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통신 모듈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통신 모듈의 인터페이스부의 핀구성도이다.
도 9는 도 2의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2의 조명 모듈의 전원제어부의 구성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출력부와 통신 모듈의 연결을 나타내는 상세 회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본 발명은 조명 모듈에 착탈가능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조명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명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무선 컨트롤러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은 무선컨트롤러(300) 및 조명 장치(100)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명령에 따른 제어 신호를 통신 모듈(400)에 전송한다.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리모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폰 등일 수 있다.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통신 모듈(400) 사이의 무선 네트워크는 무선 환경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조명 무선 제어로서 지그비(ZigBee), 블루투스(Bluetooth) 또는 지웨이브(Z-wave) 등의 네트워크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도 3과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는 모드 전환부(301), 메모리부(303), 전원/충전부(305), 제어부(307) 및 송/수신부(309)를 포함한다.
모드 전환부(301)는 동작 모드 전환, 예를 들어 리모콘의 일반적인 기능을 수행하다가 조명 장치(100)제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303)는 운용 및 통신 제어 프로그램/프로토콜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전원/충전부(305)는 무선컨트롤러(300)의 동작을 위하여 충전 및 전원을 제공한다.
송/수신부(309)는 제어부(307)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 명령을 설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조명 장치(100)의 통신 모듈(400)로 전송한다.
제어부(307)는 상기 메모리부(303)의 저장 데이터를 이용하여 모드 전환부(301), 전원/충전부(305) 및 송/수신부(309)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조명 장치(100)는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조명 장치(100)는 발광모듈부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500) 및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송수신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모듈(400)을 포함한다.
상기 조명 장치(100)를 구성하는 통신 모듈(400)은 도 2와 같이 조명 모듈(500)의 렌즈개구부(512)에 삽입 고정되어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착탈식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명 장치(100)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의 복수의 핀이 삽입 고정되는 렌즈개구부(512)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개구부(512)는 도 2와 같이 돌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조명 모듈(500)의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장치(100)의 통신 모듈(400)이 조명 모듈(500)과 착탈식으로 구성되어 조명 모듈(500) 중 조명부(530) 또는 제어부(520)의 전원 공급부의 교체 시에 통신 모듈(400)을 재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400)은 도 4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상기 통신 모듈(400)은 하나의 하우징로 구성되며, 하우징 안에 하나의 유닛을 이루며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부(410)는 상기 무선컨트롤러(300)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안테나부(41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조명 모듈(500)로 전송될 복수의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무선 통신부(430)는 상기 무선 네트워크의 종류에 따라 상기 안테나부(410)의 제어 신호를 분석하는 통신집적회로를 포함한다.
즉, 상기 통신 모듈(400)은 결정되어 있는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특정통신집적회로를 선택하여 통신 모듈(400) 내에 실장할 수 있다.
상기 통신집적회로는 지그비, 지웨이브,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50)는 상기 무선 통신부(43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의 출력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핀은 6개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조명 모듈(500)은 상부에 연결 단자(575)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570)와, 상기 내부 케이스(570)의 삽입부가 삽입되는 방열몸체(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방열몸체의 하면에 빛을 방출하며,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발광모듈부와, 상기 방열몸체 하부의 둘레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를 상기 방열몸체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505)와, 상기 가이드부재(505)와 발광모듈부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510), 및 상기 방열몸체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580)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510)는 통신 모듈(400)을 삽입하는 렌즈개구부(512)를 포함하며, 상기 렌즈개구부(512)를 통해 삽입되는 통신 모듈(400)은 전원제어부의 커넥터와 연결되어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의한 출력 신호를 상기 조명 모듈(500)에 전달한다.
상기 통신 모듈(400)과 조명 모듈(500)의 인터페이스는 조명 제어 방식에 따라 각 핀의 출력 신호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조명 모듈(500)에 삽입 고정되는 탈착식 통신 모듈(400)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통신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통신 모듈의 상면도 및 측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통신 모듈 내부의 인쇄회로기판의 상면도이며, 도 8은 도 4의 통신 모듈의 인터페이스부의 핀구성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실시예의 통신 모듈(400)은 안테나부(410), 무선 통신부(430) 및 인터페이스부(450)가 집적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우징(411, 431)으로 구성된다.
도 5와 같이 하우징(411, 431)은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영역을 외부로 돌출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한다.
상기 하우징(411, 431)은 안테나부(410)가 수용되는 제1 수용부(411), 및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 통신부(430)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수용부(411, 431)는 하나의 몸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제1 방향(x)에 수직인 제2 방향(z)으로 결합되는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의 결합체일 수 있다.
상기 하우징(411, 431)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이미드와 같은 리지드 타입의 플라스틱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수용부(41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460)의 안테나부(410)를 수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제3 방향(y)으로 긴 장방형의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수용부(411)는 제3 방향(y)으로의 제1폭(d1)이 20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22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6)이 6 내지 7mm, 바람직하게는 6.4 내지 6.5mm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부(41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4)는 7 내지 8mm, 바람직하게는 7.7mm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변은 모따기되어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460)은 안테나부(410)에 대응하는 안테나 영역(410a)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영역(410a)은 도 8과 같이 인쇄회로기판(46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지지기판(432) 위에 패터닝되어 있는 안테나 패턴(415)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평판 역F 안테나 형태(Planar Inverted F Antenna; PIFA) 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안테나부(410)를 평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소형 통신 모듈(400)에 집적이 가능하다.
상기 안테나 패턴(415)은 전도성 물질, 구리, 알루미늄, 니켈, 몰리브덴 등의 금속을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수용부(411)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는 제2 수용부(431)는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17 내지 18mm, 바람직하게는 17.4 내지 17.5mm일 수 있으며, 제1 방향(x)으로의 폭(d7)이 18 내지 19mm,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8.2mm일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431)의 제2 방향(z)으로의 높이(d5)는 4.5 내지 5.2mm, 바람직하게는 5mm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보다 제3 방향(y)으로의 폭(d2)이 작아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소정의 더미 공간이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가 제1 수용부(411)보다 작은 높이(d5)를 가지므로, 제2 수용부(431)는 제1 수용부(411)로부터 단차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수용부(431)는 내부에 인쇄회로기판(460)의 무선통신부(43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가지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제2 수용부(431)는 도 5와 같이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에 형성되는 공간에는 고정부(4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3)는 도 6과 같이 제1 수용부(411)와 제2 수용부(431)의 면적 차에 의해 형성되는 더미 공간에 형성되며, 제1 수용부(411)의 측면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413)는 하우징(411, 431)의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어 일단에 삼각형의 돌기를 가지므로, 조명 모듈(500)과의 삽입 시에 걸림하여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413)는 제2 수용부(431)의 양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삼각형의 돌기가 외부를 향하도록 서로 반대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수용부(431)의 공간에 삽입되어 있는 무선 통신부(43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460)의 모듈 영역(430a)은 도 7과 같이 복수의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은 내부에 상기 무선컨트롤러(300)와 송수신을 위한 무선집적회로(435)가 실장되어 있으며, 상기 무선집적회로(435)는 무선 환경에 따라 지그비, 와이파이, 지웨이브 및 블루투스 등의 무선집적회로(435)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실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에 따라 주변부의 수동소자 및 회로 구성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과 안테나 영역(410a)과의 경계 영역에는 외장형 안테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패턴(43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모듈 영역(430a)과 단자 영역(450a) 사이의 경계 영역에는 하우징(411, 431)과 인쇄회로기판(460)의 고정을 위한 함몰부(43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함몰부(436)는 하우징(411, 431) 내면에 형성되는 돌기와 결합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411, 431)의 제2 수용부(431)의 끝단으로 돌출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450)에 대응하는 인쇄회로기판(460)의 단자 영역(450a)은 도 6a와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한다.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하우징(411, 431)의 끝단으로부터 제1 방향(x)으로의 폭이 3.5 내지 4.0mm의 길이(d8)를 가지고, 제3 방향(y)으로의 폭(d3)이 15mm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지지기판(432) 위에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은 도시한 바와 같이 6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은 임의의 수효로 그루핑되며, 단자 영역(450a)은 상기 그루핑된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 사이의 지지기판(432)이 제거되어 있는 함몰부(455)를 포함한다.
상기 함몰부(455)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되는 그루핑된 핀(452a, 452b)을 제1 핀부(451), 우측의 그루핑된 핀(454a, 454b, 454c, 454d)을 제2 핀부(453)로 정의한다.
상기 제1 핀부(451) 및 제2 핀부(451)는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한다.
단자 영역(450a)이 6개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할 때, 상기 제1 핀부(451)가 2개의 핀(452a, 452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핀부(453)가 4개의 핀(454a, 454b, 454c, 454d)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서로 다른 수효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을 갖도록 그루핑함으로써 통신 모듈(400)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 사이에 함몰부(455)를 형성하여 제1 핀부(451)와 제2 핀부(453)의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 사이에 형성되는 간섭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함몰부(455)의 폭은 0.9mm 이상일 수 있으며,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과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 사이의 이격 폭은 0.8mm 이하로 설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단자 영역(450a)은 양 측변에 오목하게 함몰되어 있는 걸림홈(456)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홈(456)은 도 7과 같이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가장자리의 더미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의 일부가 함께 제거되어 걸림홈(456)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걸림홈(456)은 상기 단자 영역(450a)이 조명 모듈(500)의 커넥터(도시하지 않음)에 삽입될 때, 커넥터 내부의 벽면에 걸림하여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나의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성하는 인쇄회로기판(460)은 상기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 및 조명부(530)의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회로패턴을 달리하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선집적회로(435)의 종류와 조명제어 방식에 따라 복수의 인쇄회로기판(460)이 형성되어 있을 때, 통신 모듈(400)의 하우징(411, 431)에 특정 인쇄회로기판(460)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통신 모듈(400)을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인터페이스부(510)의 각 핀(452a, 452b, 454a, 454b, 454c, 454d)의 구성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각 핀을 도면부호 P1-P6로 정의한다.
상기 조명 장치(100)를 이루는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가 6개의 핀(P1-P6)을 포함할 때,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의 핀(P1-P6) 및 조명 모듈(500)의 인터페이스부(510)의 커넥터의 핀은 도 8과 같은 출력 신호가 설정되어 있다.
즉, 도 6a의 제2핀부(453)에 포함되는 핀(454a, 454b, 454c, 454d)을 핀(P1-P4)로 정의할 때, 제1핀(P1)은 조명제어 방식에 따른 모드 선택을 정의하는 모드제어신호(mode_sel)가 출력되고, 제2핀(P2)은 상기 통신 모듈(400)을 구동하는 기준전압(Vcc/Vdd)을 수신하고, 제3핀(P3)은 제1 접지전압(Ground1)이 수신되는 핀이고, 제4핀(P4)는 제2 접지전압(Ground2)가 송신되는 핀이다.
또한, 제1핀부(451)에 포함되는 핀(452a, 452b)을 핀(P5, P6)으로 정의할 때, 제4핀 및 제5핀(P4, P5)은 조명제어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거나, 조명제어신호의 종류를 달리 하여 송신되는 핀이다.
즉, 제1 내지 제4핀(P1-P4)은 기준전압과 관계된 핀이고, 제5 및 제6핀(P5, P6)은 제어 신호와 관계되는 핀으로서, 상기 함몰부(455)가 제4핀과 제5핀(P4, P5)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제어 방식으로 UART 방식 또는 PWM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방식에 따라 모드제어신호(mode_sel)가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설정된다.
UART 방식은 2개의 핀을 이용하여 하나는 수신으로 이용하고, 하나는 송신으로 이용되는 방식이다.
평판조명이나 비교적 제어가 많이 필요한 조명을 제어하는데 적용하며, (색 온도, Bright, Dimming등) LED 조명을 Control 하는데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때 조명 모듈(500)에는 별도의 제어 부(MCU)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나, 제어부가 없이 직접 조명 모듈(50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UART 방식으로 조명 모듈(500)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로우로 설정되고, 제5핀(P5)은 송신용, 제6핀(P6)은 수신용으로 설정된다.
한편, PWM 방식은 발광 다이오드와 같이 단순 밝기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제어 방식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조명 모듈(500)은 펄스폭의 듀티비에 의해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조명 밝기는 색온도, 밝기 및 디밍 제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PWM 방식으로 조명 모듈(500)을 제어하는 경우, 상기 모드선택신호(mode_sel)는 하이로 설정되고, 제5핀(P5)은 디밍 시에 따뜻한(Warm) 색온도를 제어하고, 제6핀(P6)은 디밍 시에 차가운(cool) 색온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색온도 제어 시 제5 및 제6핀(P5, P6)으로 동시에 제어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제3핀 및 제4핀(P3, P4)는 접지 전압을 제공하는 핀으로, 통신 모듈(400) 내에서 스위칭 소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조명 모듈을 설명한다.
도 9는 도 2의 조명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2의 조명 모듈의 전원제어부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상세 회로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조명 모듈(500)은 발명의 일 실시예인 램프용 조명 모듈로서, 상부에 연결 단자(575)를 포함하고, 하부에 삽입부(574)를 포함하는 내부 케이스(570)와, 상기 내부 케이스(570)의 삽입부(574)가 삽입되는 수납홈(555)을 포함하는 방열몸체(550)와, 상기 방열몸체(550)의 하면에 빛을 방출하며, 복수의 발광 소자(535)를 포함하는 발광모듈부(530)와, 상기 방열몸체(550) 하부의 둘레 영역에 결합되어 상기 발광모듈부(530)를 상기 방열몸체(550)에 견고히 고정시키는 가이드부재(505)와, 상기 방열몸체(550)의 외측에 외부 케이스(580)를 포함한다.
상기 방열몸체(550)는 양면에 수납홈(555,552)을 포함하여 상기 발광모듈부(530) 및 상기 전원제어부(560)를 각각 수용하며, 상기 발광모듈부(530) 또는/및 상기 전원제어부(560)에서 생성된 열을 방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열몸체(550)의 상면에는 상기 전원제어부(560)가 배치되는 상기 상부수납홈(555)이 형성되고, 상기 상면의 반대면인 하면에는 상기 발광모듈부(530)가 배치되는 하부 수납홈(5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수납홈(552)의 바닥면에는 상기 통신 모듈(400)을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부(55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방열몸체(550)의 외측면은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요철 구조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550)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방열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몸체(550)는 열 방출 효율이 뛰어난 금속 재질 또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몸체(550)의 재질은 알루미늄(Al), 니켈(Ni), 구리(Cu), 은(Ag), 주석(S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530)는 상기 방열몸체(550)의 하면에 형성된 상기 하부 수납홈(552)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530)는 기판(532)과, 상기 기판(532)에 탑재되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531)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의 빛을 각각 발광하는 적색, 녹색, 청색 또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일 수 있으나, 그 종류나 수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발광모듈부(530)는 상기 방열몸체(550)의 바닥면을 관통하는 관통홀(553)을 통해 상기 전원제어부(560)와 배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제공받음으로써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530)의 하면에는 방열판(540)이 부착될 수 있으며, 상기 방열판(540)은 상기 하부 수납홈(552)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방열판(540)에 의해 상기 발광모듈부(530)에서 생성된 열이 상기 방열몸체(550)로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530) 및 방열판(540)에는 개구부(511, 54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개구부(511, 541)는 상기 방열몸체(550)의 개구부(551)와 서로 정렬하며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각각의 개구부(511, 541, 551)가 정렬하며 형성하여 통신 모듈(400)이 동시에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발광모듈부(530)의 개구부(511)는 도 9와 같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되는 높이는 발광 소자(531)의 높이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상기 발광모듈부(530)는 상기 가이드부재(505)에 의해 상기 하부 수납홈(552)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05)는 상기 발광모듈부(530)에 탑재된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535)들이 노출되도록 개구부(501)를 가지며, 상기 발광모듈부(530)의 둘레면을 상기 방열몸체(550)의 하부 수납홈(552)에 압착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505)에는 상기 방열몸체(550) 및 상기 외부 케이스(580) 사이로 공기가 흐르도록 할 수 있는 공기 유입 구조가 형성되어 상기 조명 모듈(500)의 방열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유입 구조는 예를 들어, 상기 가이드부재(505)의 내측면과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다수의 방열홀(502) 또는 상기 가이드부재(505)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요철 구조 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05)와 상기 발광모듈부(530) 사이에는 렌즈(510) 및 보호링(52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510)는 오목 렌즈, 볼록 렌즈, 파라볼라 형태의 렌즈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선택되어 상기 발광모듈부(530)에서 방출되는 빛의 배광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510)는 형광체를 포함하여 상기 빛의 파장을 변화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렌즈(510)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제2 수용부(431)까지 삽입되는 렌즈개구부(512)를 포함한다.
상기 렌즈개구부(512)는 상부에 형성되는 각 개구부(511, 541, 551)와 정렬하며 형성된다.
상기 렌즈개구부(512)는 조명 모듈(500)의 하면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 및 제2 수납부(431)가 상기 렌즈개구부(412)를 관통하여 상기 전원제어부(560)에 연결된다.
상기 렌즈개구부(512)는 조명 모듈(500)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어 빛의 방출에 대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보호링(520)은 상기 가이드부재(505)와 상기 발광모듈부(530) 사이로 수분이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발광모듈부(530)의 외측면 및 상기 방열몸체(550)의 내측면 사이를 이격시켜 상기 발광모듈부(530)가 상기 방열몸체(550)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500)의 내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내부 케이스(570)는 하부 영역에 상기 방열몸체(550)의 상기 상부 수납홈(555)에 삽입되는 삽입부(574)와, 상부 영역에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단자(5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574)의 측벽은 상기 전원제어부(560)와 상기 방열몸체(550) 사이에 배치되어, 둘 사이의 전기적 쇼트 등을 방지함으로써 내전압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 단자(575)는 소켓(socket) 형태를 갖는 외부 전원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조명 모듈(500)에 전원이 제공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연결 단자(575)의 형태는 상기 조명 모듈(500)의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방열몸체(550)의 상부 수납홈(555)에는 상기 전원제어부(56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560)는 발광모듈부(530)와 인접하는 가장자리 영역에 통신 모듈(400)의 인터페이스부(450)가 삽입되는 커넥터(56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563)는 상기 통신 모듈(400)의 제2 수납부(431)와 인터페이스부(450)가 삽입 고정되도록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563)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511, 541, 551)와 정렬하며 상기 개구부(511, 541, 551)를 관통한 통신 모듈(400)의 복수의 핀이 상기 커넥터(563) 내부의 핀과 접촉하여 출력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전원제어부(56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제공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통신 모듈(400)로부터 출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발광모듈부(530)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통신 모듈(400)의 턴온을 위한 대기 전력을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원제어부(560)은 복수의 구동칩, 상기 발광모듈부(530)을 보호하기 위한 ESD(Electro Static Discharge) 보호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전원제어부(560)의 상세 구성은 뒤에서 설명한다.
상기 외부 케이스(580)는 상기 내부 케이스(570)와 결합되어 상기 방열몸체(550), 발광모듈부(530), 전원제어부(560) 등을 수납하고, 상기 조명 모듈(500)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외부 케이스(580)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타원형 등의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외부 케이스(580)에 의해 상기 방열몸체(550)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화상 사고 및 감전 사고를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조명 모듈(500)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 모듈(500)에 상기 통신 모듈(400)을 동글 타입(dongle type)으로 형성하여 외부에서 내부의 전원제어부(560)의 커넥터(563)로 체결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조명 모듈(500)은 통신 모듈(400)의 체결에 의해 상기 조명 모듈(500)의 대기전력생성이 진행되어 상기 통신 모듈(400)로의 대기 전력을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12를 참고하여 상기 조명 모듈(500)과 통신 모듈(400)의 체결에 따른 대기 전력 생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부(560)는 정류부(561), 제어부(562), 변압부(565), 출력부(566) 및 대기전력부(567)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부(561)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교류 전원을 수신하고, 이를 정류하여 출력단(n0)으로 출력한다.
상기 정류부(561)는 도 11과 같이 교류 전원을 수신하는 입력단, 수신한 교류 전원을 필터링하는 필터링부 및 교류 전원을 정류하여 하나의 극성을 가지는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정류기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기는 브릿지 정류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필터링부는 복수의 커패시터 및 저항으로 이루어지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정류부(561)는 입력단과 연결되어 정전기를 필터링하는 보호소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호소자는 제너 다이오드 또는 바리스터일 수 있다.
제어부(562)는 상기 정류부(561)로부터 정류된 교류 입력 전원을 수신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역률을 보상하여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칩(564)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칩(564)은 역률 보상 회로를 구현하는 집적회로로서, 변압부(565)의 1차측과 2차측의 출력을 피드백하여 VCC 전압을 수신하고 스위칭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칩(564)은 복수의 입력핀과 복수의 출력핀을 포함하며, 일 예로, 도 2와 같이 입력 핀으로 VCC 전압을 피드백하는 FB핀, 스위칭 컨트롤 신호를 수신하는 CT핀, 2차측 피드백을 받는 CON핀, 그리고 1차측 피드백을 받는 CS핀을 포함한다.
또한, 출력 핀으로 VCC 전압을 출력하는 VCC핀,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DRV핀, 제1 접지인 GND핀 및 제2 접지인 ZGND핀을 포함한다.
각각의 출력 핀 및 입력 핀에는 필터링을 위하여 커패시터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과전류를 제거하기 위한 보호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변압부(565)는 변압기 및 제어칩(564)의 DRV핀으로부터 스위칭 신호를 받아 온오프하여 변압기를 구동하는 스위칭 트랜지스터(Qs)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568)는 트랜스미터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Qs)의 온오프에 따라 전력을 저장하였다가 2차측으로 출력한다.
상세하게, 상기 변압기(568)는 정류부(561)의 출력단(n0)으로부터 전압을 받는 1차주코일(L11), 제어부(562)로 VCC 전압을 공급하는 1차서브코일(L12) 및 상기 1차주코일(L11)의 전압을 받아 변압하여 출력하는 2차코일(L2)을 포함한다.
상기 2차코일(L2) 또한 복수의 코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제어부(560)는 출력단(n0)에 입력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칩(564)의 VCC핀으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여 제어칩(564)의 구동이 시작되고, 상기 제어칩(564)이 구동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스위칭 신호가 출력되면 스위칭 트랜지스터(Qs)가 온오프되어 변압부(565)를 구동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때, 스위칭 신호는 소정의 듀티비를 가지며, 상기 듀티비를 제어하여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변압부(565)는 센싱부(569)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싱부(569)는 상기 변압기(568)의 출력 중 일부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출력에 대한 정보를 제어칩(564)의 COM핀으로 전달한다.
상기 센싱부(569)는 변압기(568)의 2차 정보를 1차측으로 전달하는 소자로서, 포토 커플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변압기(568)에서 변압되어 출력되는 전압은 출력부(566)의 입력이 된다.
출력부(566)는 변압기(568)의 출력의 역행을 방지하기 위한 복수의 다이오드(DO)가 정방향으로 형성되며, 출력 커패시터(C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력부(566)는 조명부(530)를 구동하기 위한 전압을 출력하며, 이때 통신 모듈(400)로부터 제1 및 제2핀(452a, 452b)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조명 제어 방식에 따라 PWM 신호 또는 UART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출력부(566)는 상기 통신 모듈(4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입력된 전압을 조절하여 조명부(530)의 구동 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전압은 15.9V, 전류는 410 mA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전원제어부(560)는 상기 변압기(568)에서 변압되는 전압을 수신하여 통신 모듈(400)의 대기전력을 제공하는 대기전력부(567)를 포함한다.
상기 대기전력부(567)는 통신 모듈(400)의 제2핀부(453), 즉 제3핀 내지 제5핀(454a-454c)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핀(454a)으로부터는 모드 선택 신호를 수신하고, 제4핀(454b)으로 통신 모듈(400)의 대기전압을 생성하여 제공하고, 제5핀(454c)으로 접지전압을 수신한다.
상기 대기전압은 3V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상기 대기전력부(567)와 통신 모듈(400)은 도 12와 같이 연결되어 있다.
도 12를 참고하면, 대기전력부(567)는 변압기(568)로부터 변환된 출력 전압을 수신하고, 이를 가공하여 대기전압을 생성한다.
상기 대기전력부(567)는 레귤레이터일 수 있으며, 상기 대기전력부(567)의 회로를 폐회로(close circuit)로 구성하기 위한 접지 전압을 통신 모듈(400)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대기전력부(567)와 변압기(568)의 출력단 사이에는 제1 커패시터(C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커패시터(C1)에 변압기의 출력 전압이 저장되었다가 대기전력부(567)에 전달된다.
상기 제1 커패시터(C1)는 일단이 변압기와 대기전력부(567) 사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접지되어 있다.
상기 제1 커패시터(C1)의 타단은 제6핀(454d)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신 모듈(400) 내에서 상기 제5핀(454c)과 제6핀(454d)이 스위칭 소자(SW1)에 의해 연결 또는 차단된다.
상기 스위칭 소자(SW1)는 통신 모듈(400)이 조명 모듈(500)에 삽입되면, 턴온되어 상기 제5핀(454c)과 제6핀(454d)을 연결한다.
상기 스위칭 소자(SW1)가 턴온되면, 상기 대기전력부(567)의 레귤레이터 회로가 폐회로를 이루어 대기전력부(567)에 접지 전압이 인가되므로 대기전력부(567)가 동작을 시작한다.
따라서, 통신 모듈(400) 삽입 시에 대기전력부(567)가 동작하여 대기 전압을 생성하므로 필요 시에만 대기 전압을 생성하여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통신 모듈(400)이 조명 모듈(500)에 삽입되지 않는 경우, 상기 통신 모듈(400)의 스위칭 소자(SW1)는 턴오프되어 제5핀(454c)과 제6핀(454d)을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전력부(567)의 접지 전압이 인가되지 않아 레귤레이터 회로가 개방(open)되므로 대기전력부(567)는 구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대기전력을 필요로하는 통신 모듈(400)이 결합된 상태에서만 대기전력부(567)가 구동되어 대기전력을 생성하므로 불필요한 대기전력 생성을 방지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모듈(400)과 조명 모듈(500)의 물리적인 결합에 의한 상기 스위칭 소자(SW1)의 온오프는 통신 모듈(400)의 탈착을 인지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 소자(SW1)의 온오프 전압을 생성할 수 있다.
일예로, 통신 모듈(400)의 핀 중 어느 하나에 조명 모듈(500)의 커넥터 핀과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연결하여 상기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감지 신호에 따라 스위칭 소자(SW1)를 온오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조명 장치 100
조명 모듈 500
통신 모듈 400
무선컨트롤러 300
안테나부 410
무선통신부 430
인터페이스부 450
전원제어부 560
대기전력부 567

Claims (16)

  1. 외부로 빛을 방출하는 조명부 및 커넥터를 가지는 전원제어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조명 모듈,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의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착탈식으로 결합하여, 상기 전원제어부로부터 대기전원을 수신하고,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수신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전원제어부에 전달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통신 모듈이 체결되면 상기 대기전원을 생성하고,
    상기 통신 모듈이 체결되지 않으면 상기 대기전원의 생성을 중지하는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부는,
    스위칭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집적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
    입력 전원을 변압하는 변압기 및 상기 스위칭 신호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변압기를 구동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변압부,
    상기 변압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조명부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출력부, 그리고
    상기 변압부의 출력을 받아 상기 통신 모듈의 상기 대기전원을 생성하는 대기전력부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부는 개방되어 있는 회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부는 상기 통신 모듈과의 결합에 의해 상기 개방되어 있는 회로를 폐회로로 형성하는 조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전력부는 상기 통신 모듈과의 결합에 의해 접지 전압이 인가되는 조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며, 상기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되어 상기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무선통신칩을 포함하는 모듈 기판
    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기판은
    안테나부,
    상기 안테나부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통신칩에 의해 상기 조명 모듈로 출력 신호를 생성하는 통신 모듈부,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의 인터페이스와 접촉하여 상기 출력 신호를 전송하는 복수의 핀이 형성되어 있는 인터페이스부
    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테나부를 수용하는 제1 수용부, 그리고
    상기 통신 모듈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조명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복수의 상기 출력 신호를 각각 전송하는 복수의 핀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핀은
    상기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핀 및 제2핀,
    조명 제어 방식에 따른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신호를 출력하는 제3핀,
    상기 통신 모듈의 대기 전원을 수신하는 제4핀, 그리고
    상기 대기전력부에 접지 전압을 전달하는 제5핀 및 제6핀
    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제5핀 및 제6핀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상기 통신 모듈이 상기 조명 모듈과 결합한 때 턴온되어 상기 제5핀 및 제6핀을 연결하는 조명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5핀은 상기 대기전력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6핀은 상기 전원제어부의 접지 전압과 연결되어 있는 조명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모듈은 상기 조명 모듈의 외부케이스를 관통하며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조명 장치.
  15.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칩은 지그비, 지웨이브, 와이파이 및 블루투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방식이 적용되어 있는 조명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기판 위에
    적어도 하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20130026958A 2013-03-13 2013-03-1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KR101439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58A KR101439010B1 (ko) 2013-03-13 2013-03-1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6958A KR101439010B1 (ko) 2013-03-13 2013-03-1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9010B1 true KR101439010B1 (ko) 2014-09-11

Family

ID=51759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6958A KR101439010B1 (ko) 2013-03-13 2013-03-13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90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33B1 (ko) * 2015-12-15 201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CN107883287A (zh) * 2017-10-23 2018-04-06 深圳佳比泰智能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天花灯及其控制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3816A (ja)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JP2010518570A (ja) 2007-02-12 2010-05-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モジュール、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照明モジュール
KR101237034B1 (ko) 2011-05-13 2013-02-25 (주)롬스페이스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18570A (ja) 2007-02-12 2010-05-27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制御モジュール、照明システム及び照明システムのための照明モジュール
JP2010033816A (ja) * 2008-07-28 2010-02-12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センサ脱着式照明器具
KR101237034B1 (ko) 2011-05-13 2013-02-25 (주)롬스페이스 발광다이오드 조명용 전원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6433B1 (ko) * 2015-12-15 201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기기
US9863623B2 (en) 2015-12-15 2018-01-09 Lg Electronics Inc. Lighting device
CN107883287A (zh) * 2017-10-23 2018-04-06 深圳佳比泰智能照明股份有限公司 一种智能天花灯及其控制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660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9538623B2 (en) Lighting device
US9851057B2 (en) Lighting device
US9960475B2 (en) LED lighting device and system, and antenna arrangement method
EP2461094B1 (en) Light source for illuminatio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048638A (ja) 照明装置
EP3001886B1 (en) Wireless control apparatus including communication module and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CN211925426U (zh) 一种智能灯
KR101439010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EP3576499B1 (en) Light driving device and light driving method therefor
KR102048735B1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0129490A (ja) 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150129388A (ko) 조명 장치
KR20140134182A (ko)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조명 장치
US10439719B2 (en) Lighting device, luminaire, and signboard
JP2017021961A (ja) Led照明装置
JP5923199B1 (ja) 照明装置
KR101872890B1 (ko) 조명장치용 컨버터, 그를 가지는 조명장치
CN111527345B (zh) 照明装置
US11015791B2 (en) LED lamp with communication module
JP2017107769A (ja) 照明器具
KR20140068555A (ko) 통신 모듈, 이를 포함하는 조명 장치
JP2019204614A (ja) 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