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12457Y1 - 자동차의 풋레스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풋레스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12457Y1 KR0112457Y1 KR2019950018130U KR19950018130U KR0112457Y1 KR 0112457 Y1 KR0112457 Y1 KR 0112457Y1 KR 2019950018130 U KR2019950018130 U KR 2019950018130U KR 19950018130 U KR19950018130 U KR 19950018130U KR 0112457 Y1 KR0112457 Y1 KR 011245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vel gear
- fixed
- housing
- footrest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발 보관함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 장착형 풋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의자 후면에 신발 보관함 및 발판을 구비하여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편안하게 갈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신발 보관함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티 장착형 풋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써,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과,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와, 발을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를 회동시키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발판이 의자 후면에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풋레스트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수납함체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풋레스트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제5도는 (가) 및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풋레스트 안착부재의 자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의자 4 : 다리
20 : 이송수단 22 : 가이드 레일
24 : 가이드 홈 30 : 수납함체
32 : 로울러 34 : 수납공간
36 : 손잡이 38 : 전방벽
40 : 안착부재 42 : 지지판
44 : 손잡이 46 : 고무판
50 : 제1베벨기어 52 : 고정축
60 : 작동부 62 : 작동축
64 : 제2베벨기어 66 : 레버
68 : 랫칫휘일 70 : 압축스프링
72 : 래칫 74 : 브라켓트
본 고안은 자동차의 풋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의자 후면에 신발 보관함 및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발판을 구비한 풋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의 풋레스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장방형의 고정부(6)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부(6)의 하단에 핀(10) 결합되는 장방형의 발판(8)이 구비되어 있다. 발판(8)의 고정부(6)에 대해 예정된 각도에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승객들은 필요시 발판(8)을 회전시켜 발판(8) 상면에 발을 올려 놓아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판을 사용할 경우에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노출 시켰다.
즉, 상기와 같은 구조는 발판(8)이 항시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체형의 승객들의 요구를 충분히 수용하지 못하는 문제를 갖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키가 작은 사람의 경우에는 승객이 별도의 수단을 이용하여 발판의 위치를 변경 고정시킨 후에 발판을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승객 중에는 발판(8)을 사용할 시 신발을 벗는 경우가 종종 있는 바, 이때 버스의 갑작스러운 출발이나 정지시에 벗어 놓은 신발이 관성에 의해 이동하여 신발이 더러워지고 신발을 찾을 때에는 다른 승객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수반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버스의 의자 후면에 신발 보관함을 갖추고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을 구비하여 승객이 원하는 목적지까지 편안하게 갈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풋레스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 수단과,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와, 발을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재와, 상기 안착부재를 회동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를 본 고안에 따른 신발 보관함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크게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3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20)과, 신발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함체(30)와, 발을 위치할 수 있는 안착부재(40)와, 상기 안착부재(40)를 회동시키는 구동수단(6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수단(20)은 의자(2)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가이드홈(24)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2)을 포함하고 있다. 가이드레일(22)은 각각 의자(2)의 다리(4)에 용접 또는 볼트등에 의해 고정된다.
제3도에는 수납함체(30)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수납함체(30)는 내부에 신발등을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34)를 갖으며, 양측에 가이드홈(24)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한 쌍의 로울러(32)가 고정된다. 수납함체(30)의 전면에는 손잡이(36)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재(40)는 수납공간(34)의 상부를 개폐하는 것으로 일측이 수납함체(30)의 전면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고정축(52)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판(42)을 포함한다. 지지판(42)상에는 손잡이(44)가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판(42)의 상면에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고무판(46)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수단(60)은 제5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판(42)에 의해 회전하는 고정축(52)에는 제1베벨기어(50)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제1베벨기어(50)는 고정축(52)의 중앙에 위치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납함체(30)의 전면으로부터 수납공간(34)으로 삽입되는 작동축(62)이 회전 및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작동축(62)의 선단에는 상기 제1베벨기어(50)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64)가 고정되어 있으며, 후단 즉, 수납함체(30)의 외측에는 레버(66)가 고정되어 있다. 작동축(62)은 축방향 이동에 의해 제2베벨기어(64)가 제1베벨기어(50)에 치합되어 회전에 의해 안착부재(40)를 상승시키는 '구동위치'와 제1베벨기어(50)와 분리되어 안착부재(40)가 하강토록하는 '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또한, 수납함체(30)내에 위치하는 작동축(62)상에는 래칫휘일(68)이 고정된다. 래칫휘일(68)과 수납함체(30)의 내벽 사이에는 압축스프링(70)이 구비되어 작동축(62)이 항시 구동위치로 이동하려는 힘을 보유하게 된다.
상기 래칫휘일(68)의 상부의 수납함체(30)의 내벽에는 브라켓(74)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고, 브라켓(74)의 선단에는 래칫휘일(68)과 간섭하여 작동축(62)의 일방향 회전만을 허용하는 래칫(72)이 설치되어 있다. 래칫(72)은 작동축(62)이 구동위치에 있을 때에만 래칫휘일(68)과 간섭하도록 구성되며, 작동축(62)이 해제위치로 이동될 경우에는 작동축(62)의 회전을 허용하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신발 보관함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장착형 먼저, 제2도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함체(30)의 손잡이(36)를 앞으로 당기면 로울러(32)가 가이드레일(22)의 가이느홈(24)을 따라 슬라이드되며 앞으로 이동된다.
수납함체(30)가 이동된 상태에서, 제5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같이 레버(66)를 예정된 방향(래칫(72)이 래칫휘일(68)의 회전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작동축(62)에 고정되어 있는 래칫휘일(68) 및 제2베벨기어(64)가 회전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2베벨기어(64)와 치합되어 있는 제1베벨기어(50)가 회전하게 되고, 고정축(52)이 회전하여 안착부재(40)가 고정축(52)를 기준으로 상승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래칫휘일(68)은 래칫(72)에 의해 회전이 허용되므로 안착부재(40)의 상승을 제한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안착부재(40)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시점에서 레버(66)에서 손을 놓으면, 안착부재(40)가 자중에 의해 하강하려는 힘을 갖게 되므로 작동축(62)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작동축(62)에 고정되어 있는 래칫휘일(68) 또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나 래칫(72)이 래칫휘일(68)의 역방향 회전을 제한하므로 작동축(62)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안착부재(40)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안착부재(40)를 상승 회전시키는 것을 다른방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즉, 지지판(42)에 일체로 구성되는 손잡이(44)를 상부로 들어올리게 되면, 안착부재(40)가 고정축(52)를 회전시키며 상승되고, 고정축(52)에 연결된 제1베벨기어(50)가 회전하고, 이 제1베벨기어(50)와 치합되어 있는 제2베벨기어(64)가 회전하여 작동축(62)의 회전을 유발한다. 이때 래칫휘일(68)은 래칫(72)에 의해 회전에 제한되므로 작동축(62)이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안착부재(40)가 상승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44)에서 손을 놓으면 상기와 같은 작용에 의해 래칫(72)이 래칫휘일(68)의 회전을 제한하므로 작동축(62)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안착부재(40)가 상승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승객은 안차부재(40)상에 발을 올려 놓고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납함체(30)의 수납공간(34)은 안착부재(40)가 상승되는 것에 의해 개방되므로 신발 등을 넣어 유동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안착부재(4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제5도의 (나)도의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66)를 앞으로 당기면, 압축스프링(70)을 탄성 가압하며 작동축(62)에 고정되어 있는 제2베벨기어(64) 및 래칫휘일(68)이 함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래칫휘일(68)이 래칫(74)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제2베벨기어(64)가 제1베벨기어(50)에서 분리되므로 안착부재(40)는 자중에 의해 고정축(52)를 기준으로하강 회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풋레스트는 안착부재의 각도를 승객의 요구에 맞게 조절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고, 신발 등을 유동없이 보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 자동차의 풋레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의자 저면에 제공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22)과: 가이드레일(22)을 따라 이동하는 한 쌍의 로울러(32)를 갖추고, 상부로 개방되는 수납공간(34)이 형성된 수납함체(30)와: 수납함체(40)의 상단 전방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축상에 제1베벨기어(50)가 고정되는 고정축(52)과: 고정축(52)에 고정되어 회전시 수납공간(34)을 개폐하는 지지판(42)과, 이 지지판(42) 상면에 고정되는 고무판(46)으로 이루어진 안착부재(40)와: 수납함체(30)의 전방벽(38)에 회전이 허용되도록 관통 지지되며 선단에 상기 제1베벨기어(50)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64)가 고정되고, 후단에 레버(66)가 고정되는 것으로, 제2베벨기어(64)가: 제1베벨기어(50)와 결합하는 위치 및 분리되는 위치 사이를 직선 이동하는 작동축(62)과 제1베벨기어(64)의 후단의 작동축(62)상에 고정되며, 수납함체(40)의 전방벽(38) 내측에 고정되는 래칫(72)과 간섭되어 일방향 회전만이 허용되는 래칫휘일(68)과: 상기 래칫휘일(68)과 수납함체(30)의 전방벽(38)사이에 제공되어 제2베벨기어(64)가 항시 제1베벨기어(50)가 치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동축(62)를 탄성 지지하는 압축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풋레스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8130U KR0112457Y1 (ko) | 1995-07-22 | 1995-07-22 | 자동차의 풋레스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18130U KR0112457Y1 (ko) | 1995-07-22 | 1995-07-22 | 자동차의 풋레스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5046U KR970005046U (ko) | 1997-02-19 |
KR0112457Y1 true KR0112457Y1 (ko) | 1998-04-14 |
Family
ID=19418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18130U KR0112457Y1 (ko) | 1995-07-22 | 1995-07-22 | 자동차의 풋레스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12457Y1 (ko) |
-
1995
- 1995-07-22 KR KR2019950018130U patent/KR011245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5046U (ko) | 1997-02-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853220A (en) | Armrest for a motor vehicle sea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 an accessory | |
US7140681B2 (en) | Occupant centering ergonomic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 |
US6543848B1 (en) | Vehicular turning seat | |
JPH07213557A (ja) | 車両シ−ト構体 | |
JP4419518B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KR0112457Y1 (ko) | 자동차의 풋레스트 | |
JP3556763B2 (ja) | 鉄道車両用収納式座席 | |
JP3941751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3894169B2 (ja) | 車両用シート | |
KR100925953B1 (ko) | 시트 연동형 풋레스트 | |
JP4290499B2 (ja) | シート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 |
JPH0635769Y2 (ja) | 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KR200238671Y1 (ko) | 자동차용 다리 받침대 | |
JP4580216B2 (ja) | 座席昇降装置 | |
JPS624026Y2 (ko) | ||
JP2757693B2 (ja) | 自動車の乗員側方移動防止装置 | |
JP2561268Y2 (ja) | 座席構造 | |
JPS5848186Y2 (ja) | 自動車の後席フ−トレスト装置 | |
JPH051565U (ja) | 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 |
JPS6347142Y2 (ko) | ||
JP4069920B2 (ja) | 車両用シート | |
JPS60193731A (ja) | 自動車用シ−トのサイドサポ−ト | |
JP2988416B2 (ja) | 車両のリフタ装置 | |
JPH0211219Y2 (ko) | ||
JPS632334Y2 (ko)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