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4080528A1 -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 Google Patents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4080528A1
WO2024080528A1 PCT/KR2023/012243 KR2023012243W WO2024080528A1 WO 2024080528 A1 WO2024080528 A1 WO 2024080528A1 KR 2023012243 W KR2023012243 W KR 2023012243W WO 2024080528 A1 WO2024080528 A1 WO 202408052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ipe
rivet
welded
disk
w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1224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찬석
Original Assignee
박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석 filed Critical 박찬석
Publication of WO202408052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40805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0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soldering or wel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ar fusion type coupler, and specifically, by connecting the joints of the rebars by fusion welding using a coupler, the joint work is easy and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can be increased.
  • This relates to a welded rebar coupler and fastening method that can reduce construction costs due to its low manufacturing cost.
  • Reinforcing bars are used as the internal framework of concrete structures in the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fields. Since reinforcing bars are produced as standard products of a certain length, the reinforcing bars are used by joining them togeth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Butt joints and overlap joints are used. NC couplers and welded joints are mainly used for butt joints, and overlap joints are made with wire. The tying and joining method is used.
  • Figure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rebar welding method.
  • Each end of the fixed rebar 10 and the extended rebar 20 is cut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orm welded surfaces 10a and 20a, and the fixed rebar 10 and the extended rebar 20 are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method of welding reinforcing bars by filling the deposit 60 with a welding wire inserted between the spaced apart reinforcing bars 10 and 20 is known.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connecting joints of reinforcing bars by fusion welding, joint work is easy, construc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lded rebar coupler and fastening method that can reduce costs.
  • the welded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ipe with a fix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a rivet hole formed in the center, a molten solution discharge hole on the outer surface, and a welded disc and aluminum plate fixed by fitting into the fixing groov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It is made of material and consists of a rivet inserted and fixed into the rivet hole of the welded disk, an insulating ring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ipe, an upper reinforcing bar inserted from the upper end of the pipe, and a lower reinforcing bar inserted from the lower end of the pipe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rivet.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 the insulating ring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gap with the rivet.
  • the lower rebar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gap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 the weld disk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molten solution discharge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orms a round surface.
  • the fastening method of the welded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ressing a steel plate to process a welded disk, bending the welded disk into an arc shape, riveting a rivet made of aluminum into the rivet hole of the bent welded disk, Step of inserting the welded disc into the pipe and fixing it in the fixing groove, inserting the insulating ring in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and installing it while maintaining the gap with the rivet, inserting the lower reinforcing bar (120) into the lower part of the pipe (130) Installing it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t 160 while maintaining the gap (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30 (S6), insert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into the top of the pipe 130 (S7), and the step (S8) of pulling up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and generating an arc to weld it is performed sequentially.
  • the present invention connects joints of reinforcing bars by fusion welding using a coupler, thereby facilitating joint work, increas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s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There is a complex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elding strength of the rebar joint because dissimilar materials other than rebar are not included in the weld.
  •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is welded within a pipe,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fire from occurring due to welding sparks.
  • Figure 1 is a side view of a conventional rebar welding method.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lded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top view of the welded disk.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welded disk.
  • Figure 5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welded disk.
  • Figure 6 is a time series flow chart of the welded rebar coupler fastening method.
  •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elded rebar coupler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lan view of the welded disk.
  • the 'welded rebar coupler'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upler') includes a pipe 130, an insulating ring 140, a welded disk 150, and an 'aluminum rivet' (1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rivet'). ) and is organically combined with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and the lower reinforcing bar 120.
  • the pipe 130 is provided with a fixing groove 131 at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into which the welded disk 150 is inserted and fixed.
  • the welding disk 150 has the shape of a circular plat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30, and a rivet hole 151 is formed in the center into which the rivet 160 is inserted and fixed, and on the outer side is a 'molten solution discharge'.
  • a ‘hole’ 152.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ischarge hole’) is provided.
  • the welding disk 150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fixing groove 131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30.
  • the rivet 160 is made of aluminum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rivet hole 151 of the welded disk 150.
  • the rivet 160 made of aluminum has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 low melting point, and serves to continuously generate an arc.
  • the insulating ring 140 is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pipe 130, and is installed while maintaining a gap (t) of about 2 to 5 mm from the rivet 160.
  • the insulating ring 140 is a non-conductor,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gas generated when melt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arc does not penetrate the welded area, so it is desirable to space i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is inserted from the top of the pipe 130, and is pulled up while maintaining a gap sufficient to generate an arc with the rivet 160 (hereinafter referred to as 'interval for continuous arc generation').
  • 'interval for continuous arc generation' When the current is turned on, an arc is generated.
  • the gap for the continuation of the arc is maintained by an upper jig (not shown) clamping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 the lower reinforcing bar 120 is inserted from the bottom of the pipe 130 and maintains a constant gap S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30 while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rivet 160, so that the rivet 160 melts. It has the function of a passage for water to flow down.
  •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lower reinforcing bar 120, welding disk 150, and pipe 130 are made of iron, and an arc is generated by grounding a power source to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and lower reinforcing bar 120, Of course,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can be moved downward by a driving means (not shown) to maintain a distance at which the arc can continuously occur even if the rivet 160 melts and flows down during welding.
  • the rivet 160 made of aluminum is present in the welded area of the steel material, aluminum, which i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rebar, is included in the welded area and the welding strength is reduced, so the molten rivet 160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welded disk 150.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152 provided in, and the aluminum solution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152 is discharged downward through the gap S between the lower reinforcing bar 130 and the pipe 130, so that the welded portion Aluminum is removed, thereby suppressing the decrease in strength of the welded part.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a welded disk.
  •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lding disc 150 is formed in an arc shap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discharge hole 152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elding disc 150 forms a round surface (R). There is.
  • Figure 5 is a manufacturing process diagram of a welded disk
  • Figure 6 is a time-series flow diagram of a welded rebar coupler fastening method.
  • a step (S1) of processing the welded disk 150 by pressing the iron plate is performed to process the welded disk 150 in the shape of a sheet material with the rivet hole 151 and the discharge hole 152 formed thereon.
  • a step (S2) of bending the welding disk 150 into an arc shape is performed to ensure smooth discharge of the aluminum melt of the molten rivet 160.
  • a step (S3) of riveting a rivet 160 made of aluminum into the rivet hole 151 of the bent welded disk 150 is performed to fix the rivet 160 to the welded disk 150.
  • a step (S4) of inserting the welding disc 150 into the pipe 130 and fixing it to the fixing groove 131 is performed, thereby fixing the welding disc 150 to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130.
  • a step (S5) is performed in which the insulating ring 140 is insert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pipe 130 and installed while maintaining the distance t from the rivet 160.
  • the upper reinforcing bar 110 is pulled up, energized, and welded (S8), thereby completing the welding of the coupler 100.
  •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onnects joints of reinforcing bars by fusing them together by welding, thereby facilitating joint work, increasing construction efficiency,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s due to low manufacturing cost. It can have a complex effect of improving the welding strength of rebar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면에 고정홈(131)이 구비된 파이프(130), 중앙에는 리벳홀(15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용융용액 배출공(152)이 구비되며, 파이프(130)의 내면의 고정홈(131)에 끼움되어 고정된 용접원판(150),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용접원판(150)의 리벳홀(151)에 삽입 고정된 리벳(160), 파이프(130)의 상단부에 삽입된 절연링(140), 파이프(130)의 상단에서 삽입되는 상부철근(110), 파이프(130)의 하단에서 삽입되며,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하는 하부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철근의 이음부를 커플러를 이용한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음 작업이 용이하며,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로써 사용하고 있다. 철근은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으로 생성되므로,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철근을 상호 이음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맞대기 이음과 겹침이음을 사용하며, 맞대기 이음은 NC 커플러와 용접이음이 주로 사용되고, 겹침이음은 철사로 묶어서 이음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 용접방법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철근(10)과 연장철근(20)의 각 단부를 소정각도로 절단하여 용접면(10a,20a)을 형성하고, 고정철근(10)과 연장철근(20)을 소정 간격으로 이격한 다음, 이격된 양 철근(10,20) 사이에 삽입된 용접와이어에 의한 용착물(60)을 채워 철근을 용접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을 용접하는 기술은 용접면을 형성하는 공정 및 각각의 철근을 수평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가용접 또는 지그 등의 별도의 구성이 필요한 것이므로, 시공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시공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등록특허공보 제10-1023816호(2011.03.21. 공고)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음 작업이 용이하며,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용접형 철근커플러는, 내면에 고정홈이 구비된 파이프, 중앙에는 리벳홀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용융용액 배출공이 구비되며, 파이프의 내면의 고정홈에 끼움되어 고정된 용접원판,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용접원판의 리벳홀에 삽입 고정된 리벳, 파이프의 상단부에 삽입된 절연링, 파이프의 상단에서 삽입되는 상부철근, 파이프의 하단에서 삽입되며, 리벳의 저면과 접촉하는 하부철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절연링은, 리벳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부철근은, 파이프의 내면과 간극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용접원판은,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용융용액 배출공의 내면은 라운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용접형 철근커플러의 체결방법은, 철판을 프레스하여 용접원판을 가공하는 단계, 용접원판을 원호형을 벤딩하는 단계, 벤딩된 용접원판의 리벳홀에 알루미늄 재질의 리벳을 리벳팅하는 단계, 용접원판을 파이프에 삽입하여 고정홈에 고정하는 단계, 절연링을 파이프의 상단 내부에 삽입하여 리벳과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 하부철근(120)을 파이프(130) 하단 내부에 삽입하여 파이프(130) 내면과 간극(S)를 유지한 상태에서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S6), 상부철근(110)을 파이프(130) 상단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S7), 상부철근(110)을 끌어올려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단계(S8)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근의 이음부를 커플러를 이용한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음 작업이 용이한 효과,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합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철근과 다른 이종재질이 용접부에 포함되지 않아 철근 이음부의 용접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파이프내에서 용접되므로, 용접불꽃으로 인한 화재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철근 용접방법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 용접형 철근커플러의 단면도.
도 3은 용접원판의 평면도.
도 4는 용접원판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 5는 용접원판의 제조공정도.
도 6은, 용접형 철근커플러 체결방법의 시계열적 흐름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그리고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정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칭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구현 예(態樣, aspect)(또는 실시 예)들을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주지 또는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용접형 철근커플러의 단면도, 도 3은 용접원판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형 철근커플러'(100. 이하 '커플러'라 한다)는, 파이프(130), 절연링(140), 용접원판(150), '알루미늄 리벳'(160. 이하 '리벳'이라 한다)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부철근(110) 및 하부철근(120)과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파이프(130)는, 내면 중앙에 고정홈(131)이 구비되어 있어, 용접원판(150)이 끼움 고정된다.
용접원판(150)은, 파이프(130)의 내면과 대응하는 원형 판재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중앙에는 리벳홀(151)이 형성되어 리벳(160)이 삽입 고정되고, 외측면에는 '용융용액 배출공'(152. 이하 '배출공'이라 한다)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용접원판(150)은 파이프(130)의 내면에 형성된 고정홈(131)에 끼움되어 고정된다.
리벳(160)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용접원판(150)의 리벳홀(151)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알루미늄 재질의 리벳(160)은, 전기전도성이 높고, 융점이 낮으면서, 아크를 지속적으로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절연링(140)은, 파이프(130)의 상단부에 삽입되며, 리벳(160)과 2~5mm 정도의 간격(t)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된다. 절연링(140)은 비전도체로서 아크의 발생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발생되는 가스가 용접부에 침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소정 거리를 이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철근(110)은 파이프(130)의 상단에서 삽입되며, 리벳(160)과 아크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간격(이하 '아크지속발생을 위한 간격'이라 함)을 유지한 상태로 끌어올려진 상태에서 통전되어 아크가 발생된다. 상기 아크지속발생을 위한 간격은 상부철근(110)을 클램핑하는 상부지그(미도시)에 의해 유지한다.
하부철근(120)은 파이프(130)의 하단에서 삽입되어,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파이프(130)의 내면과 일정한 간극(S)을 유지함으로서, 리벳(160)이 용융되어 흘러내리는 통로의 기능을 가지게 한다.
상기 상부철근(110), 하부철근(120), 용접원판(150), 파이프(130)는 철소재이고, 상부철근(110)과 하부철근(120)에 전원을 접지하여 아크를 발생시키는 것이며, 상부철근(110)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용접시 리벳(160)이 용융되어 흘러내려도 아크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거리를 유지시킬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커플러의 용접체결을 살펴보면,
직립된 형상의 커플러(100)에 상부철근(110)과 하부철근(1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면, 리벳(160)과 상부철근(110) 사이에서 아크가 발생하여, 상부철근(110)의 저면, 하부철근(120)의 상면, 용접원판(160), 절연링(140)이 설치되지 않은 파이프(130)의 내면이 모두 용융되어 용접된다.
이때, 알루미늄 재질의 리벳(160)이 강소재의 용접부위에 존재하면, 철근과 다른 이종재질인 알루미늄이 용접부에 포함되어 용접강도가 저하되므로, 용융된 리벳(160)은 용접원판(150)의 외면에 구비된 배출공(152)을 통하여 배출되고, 배출공(152)에서 배출된 알루미늄 용액은 하부철근(130)과 파이프(130) 사이의 간극(S)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배출됨으로서, 용접부분에서는 알루미늄이 제거되어, 용접부분의 강도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음 작업이 용이한 효과,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복합적 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파이프(130) 내에서 용접이 수행되어 용접불꽃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아 용접불꽃으로 인한 화재를 예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용접원판의 다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용접원판의 다른 실시 예의 단면도 및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서는 용접원판(150)이 원호형으로 이루어진 점과 용접원판(150)의 외측면에 구비된 배출공(152)의 내면이 라운드면(R)을 형성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원호형을 가지는 용접원판(150)에 의하여 리벳(160)이 용융되어 알루미늄 용액이 흘러내릴 때, 용접원판(150)의 원호형 외면을 따라 흐르는 것이므로, 용액의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배출공(152)의 내면이 라운드면(R)을 형성하고 있는 것이므로, 용액의 배출이 더욱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작용,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하의 실시 예에서는 커플러 체결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용접원판의 제조공정도, 도 6은, 용접형 철근커플러 체결방법의 시계열적 흐름도이다.
먼저 철판을 프레스하여 용접원판(150)을 가공하는 단계(S1)를 진행하여, 리벳홀(151)과 배출공(152)이 형성된 판재형상의 용접원판(150)을 가공한다.
그 다음, 용접원판(150)을 원호형을 벤딩하는 단계(S2)를 진행하여, 용융된 리벳(160)의 알루미늄 용융액의 배출을 원활하게 구조를 가지게 한다.
그 다음, 벤딩된 용접원판(150)의 리벳홀(151)에 알루미늄 재질의 리벳(160)을 리벳팅하는 단계(S3)를 진행하여, 리벳(160)을 용접원판(150)에 고정한다.
그 다음, 용접원판(150)을 파이프(130)에 삽입하여 고정홈(131)에 고정하는 단계(S4)를 진행하여, 용접원판(150)을 파이프(130)의 내면에 고정한다.
그 다음 절연링(140)을 파이프(130)의 상단 내부에 삽입하여 리벳(160)과 간격(t)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S5)를 진행한다.
그 다음 하부철근(120)을 파이프(130) 하단 내부에 삽입하여 파이프(130) 내면과 간극(S)를 유지한 상태에서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S6)를 진행한다.
그 다음 상부철근(110)을 파이프(130) 상단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S7)를 진행한다.
그 다음 상부철근(110)을 끌어올려 통전시켜 용접하는 단계(S8)를 진행함으로, 커플러(100)의 용접체결을 완료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이음 작업이 용이한 효과,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 철근 이음부의 용접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복합적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내면에 고정홈(131)이 구비된 파이프(130),
    중앙에는 리벳홀(151)이 형성되고, 외측면에는 용융용액 배출공(152)이 구비되며, 파이프(130)의 내면의 고정홈(131)에 끼움되어 고정된 용접원판(150),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며, 용접원판(150)의 리벳홀(151)에 삽입 고정된 리벳(160),
    파이프(130)의 상단부에 삽입된 절연링(140),
    파이프(130)의 상단에서 삽입되는 상부철근(110),
    파이프(130)의 하단에서 삽입되며,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하는 하부철근(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절연링(140)은,
    리벳(160)과 간격(t)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하부철근(120)은,
    파이프(130)의 내면과 간극(S)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4.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용접원판(150)은,
    원호형으로 이루어지고, 용융용액 배출공(152)의 내면은 라운드면(R)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형 철근커플러.
  5. 철판을 프레스하여 용접원판(150)을 가공하는 단계(S1),
    용접원판(150)을 원호형을 벤딩하는 단계(S2),
    벤딩된 용접원판(150)의 리벳홀(151)에 알루미늄 재질의 리벳(160)을 리벳팅하는 단계(S3),
    용접원판(150)을 파이프(130)에 삽입하여 고정홈(131)에 고정하는 단계(S4),
    절연링(140)을 파이프(130)의 상단 내부에 삽입하여 리벳(160)과 간격(t)을 유지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S5),
    하부철근(120)을 파이프(130) 하단 내부에 삽입하여 파이프(130) 내면과 간극(S)를 유지한 상태에서 리벳(160)의 저면과 접촉된 상태로 설치하는 단계(S6),
    상부철근(110)을 파이프(130) 상단 내부에 삽입하는 단계(S7),
    상부철근(110)을 끌어올려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하는 단계S8)가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형 철근커플러의 체결방법.
PCT/KR2023/012243 2022-10-14 2023-08-18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WO202408052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914A KR20240052188A (ko) 2022-10-14 2022-10-14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KR10-2022-0131914 2022-10-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80528A1 true WO2024080528A1 (ko) 2024-04-18

Family

ID=90669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12243 WO2024080528A1 (ko) 2022-10-14 2023-08-18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52188A (ko)
WO (1) WO202408052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487A (ja) * 2003-10-03 2005-04-28 Takenaka Komuten Co Ltd ネジ鉄筋を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で接合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アークシールド体
JP2007319868A (ja) * 2006-05-30 2007-12-13 Daihen Corp スタッド、フェルール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溶接方法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2047490B1 (ko) * 2019-04-25 2019-11-2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20210047498A (ko) * 2019-10-22 2021-04-30 정하익 기능형, 배수형, 콘크리트 충진형의 철근 커플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3816B1 (ko) 2010-01-29 2011-03-21 주식회사 신화기연 철근의 용접이음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11487A (ja) * 2003-10-03 2005-04-28 Takenaka Komuten Co Ltd ネジ鉄筋を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で接合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アークシールド体
JP2007319868A (ja) * 2006-05-30 2007-12-13 Daihen Corp スタッド、フェルール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溶接方法
KR101720515B1 (ko) * 2016-11-18 2017-03-28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나사형 철근 커플러
KR102047490B1 (ko) * 2019-04-25 2019-11-2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20210047498A (ko) * 2019-10-22 2021-04-30 정하익 기능형, 배수형, 콘크리트 충진형의 철근 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2188A (ko) 2024-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8891A1 (ko)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WO2014175575A1 (ko) 철골보 접합부
WO2016032215A1 (ko) 조립식 대형 합성보
WO2024080528A1 (ko)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WO2019208936A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의 빔-거더 접합부
JP3416885B2 (ja) 鉄骨梁と鉄骨柱との溶接方法および接合構造
CN211991638U (zh) 一种防止弧状t型焊缝焊接变形的装置
CN214656272U (zh) 一种用于复杂构造狭小空间桁架桥杆件
JPH0663738A (ja) 角鋼管柱の内蔵ダイアフラムの溶接方法
JP2577527Y2 (ja) 鉄筋の溶接継手用バッキング部材
CN219260076U (zh) 一种电炉侧吹氧枪安装结构
CN206139964U (zh) 一种异型钉的螺柱焊枪
WO2018235998A1 (ko) 이중복합 전극팁을 가지는 전기저항 스폿용접기
CN217179266U (zh) 一种分体式砌筑炉厚底板
CN210238525U (zh) 一种钢围檩接触点
JP3274335B2 (ja) 棒鋼溶接用裏当て材
CN219653508U (zh) 一种纵肋错位对接结构
WO2023249375A1 (ko) Pvc 부재를 사용하는 케미컬 부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40011007A (ko) 용접플럭스를 이용한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JP2001091164A (ja) 耐火物のパネル施工方法
CN216893433U (zh) 一种免焊式走道板
JPH06198451A (ja) チタンクラッド鋼の溶接方法
CN218453916U (zh) 一种塔式起重机附墙连接件
WO2023008764A1 (ko) 내구성 향상을 위한 씨오투 미그 용접팁의 구조와 이를 체결하는 결합부재의 구조
CN219471028U (zh) 一种抗浮锚杆钢筋支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