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8891A1 -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 Google Patents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8891A1
WO2019198891A1 PCT/KR2018/011872 KR2018011872W WO2019198891A1 WO 2019198891 A1 WO2019198891 A1 WO 2019198891A1 KR 2018011872 W KR2018011872 W KR 2018011872W WO 2019198891 A1 WO2019198891 A1 WO 201919889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coupler
rebar
reinforcement
fusion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1187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영태
Original Assignee
황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영태 filed Critical 황영태
Publication of WO201919889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889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bar fusion type coupler. More specifically, the construction efficiency is simple because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joint of the reinforcing bars is welded to each other by welding.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bar fusion type coupler, which can increase the manufacturing cost and reduce construction cost as compared with conventional rebar couplers.
  • Reinforcing bars are used as the internal skeleton of concrete structures in construction and civil engineering. Since the rebar is produced as a standard product of a certain length, the reinforcing bars are used to joint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structure. Butt joints and overlapping joints are used. We have used the method of jointing.
  • welded joint has problems such as structural difficulty, productivity decrease and welded part breakdown when welding rebar one by one in construction site, and NC coupler type unit price of coupler is 5000 ⁇ 10,000 won and rebar unit price is 1 ton More than double the construction cost as a standard, and after construction, the concrete liquid flows between the joints and joints of the reinforcing bars in the coupler, an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joint effect of the rebars after construction is uncertain.
  • the overlap joint is a method of tying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s.
  • the example of the earthquake in Taiwan shows that there are no seismic effects because the bundled bars are missing.
  • the bolt and nut method can be installed at a low cost, and the construction effect is obvious, but the problem of low construction efficiency due to the hassle of heading before construction and the hassle of individual tightening work on site construction have.
  • rebar couplers having various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s a solu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bar couplers as described above.
  • Rebar coupler of the coupler for connection is coupled to the receiving groove 140 of the left and right coupling case (100, 102) as shown in FIG.
  • the elastic member 300 and the elastic member 300 which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astening member 200 and the fastening member 200 to closely adher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aterial M and apply the elastic force in one direction to the fastening member 200. Coupled between) is configured to include a support member 400.
  • the receiving groove is formed to be inclined so that when the connecting material (M) is inserted, the fastening member 2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member 40 to secure the insertion space. Move to the inlet of the case 10 is to be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rebar.
  • the conventional rebar coupler fixing method requires a processing groove so that the fastening member can be stably moved inside the coupling case, which takes a lot of processing time and is difficult, and also has fastening members in each of the receiving grooves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coupling case.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fasten the fastening member located on the upper sid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impro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and the construction is simple, by connecting the joints of the reinforcing bars to be welded by welding, the joint operation is easy by a simple method, so constructio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fusion type coupler which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structure of the fusion splicing type coupler can be reduced in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rebar coupler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by the weight of the rebar couple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inforcing bar welding type coupler.
  • the ball 30 is made of aluminum,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 of the coupler body 20 and the shield (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into the hollow 41 of 4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with the ball 30.
  • the coupler body 20 in the reinforced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dge, and has a protrusion 23 formed to surround the shield 40, on the protrusion 23 A plurality of cutouts 24 are formed.
  •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 40 in the reinforcing fusion splicer typ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mmunication portion 42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41 is formed.
  • the joint operation is easy by a simple method,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of the fusion splicer type coupler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rebar coupler,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by the light weight of the rebar coupler is effective have.
  • 1 and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rebar coupler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ebar fusion type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ebar fusion type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usion welding of reinforcing bars and reinforcing bar in the rebar fusion type coup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inforced fusion splicer type coupler 10 includes a coupler body 20, a ball 30, and a shield 40.
  • the coupler main body 20 has a cylindrical shape with a lower portion open and an upper portion closed, and has an insertion space 21 into which the rebar 10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ed lower portion, and the upper portion communicates with the insertion space 21. Coupling hole 22 is formed. In addition, the coupler main body 20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dge, and a protrusion 23 is formed to surround the shielding opening 40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a plurality of cutouts 24 are formed on the protrusions 23.
  • Ball 30 is made of aluminum,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er body 20 to serve as a catalyst when the reinforcing bar 100 and the reinforcing bar (100). At this time, the ball 3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er body 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er body 20 to protrude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coupling hole 22. Combined. This is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space 21 of the coupler body 20, and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through the hollow 41 of the shield 40 to the ball 30 This is to allow the reinforcement 100 and the reinforcement 100 to be joined by fusion bonding by applying a current to abut.
  • Shield 40 is made of a cylindrical shape of a ceramic material, serves to protect the splash water generated when the reinforcement 100 and the reinforcement 100 is bonded. Such a shield 40 is located in the protrusion 23 of the coupler body 20.
  • the shield 40 has a hollow 41 so that the reinforcing bar 100 is inserted therein, and a communication part 42 communicating with the hollow 41 is formed.
  • the joint operation is easy by a simple method, so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of the fusion splicer type coupler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rebar coupler,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by the light weight of the rebar coupler is effective have.
  • FIG. 5 describes the process of fusion-bonding the reinforcement 100 and the reinforcement 100 in the reinforcing bar fusion type coupler 10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 (a) It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space 21 of the coupler body 20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ement 100 installed on the concrete pillar of the construction site. At this time, as shown in (b) of FIG. 5,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all 3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er body 20.
  • the ball 30 of the coupler body 20 becomes a catalyst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00 and the reinforcing bars 100 are joined, and the reinforcing bars 100 and the reinforcing bars 100 are connected.
  • Part of the arc, molten water, etc. generated during contact is discharged through the cutout portion 24 of the coupler body 20 via the communication portion 42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ing opening 40, the shielding opening 40
  • the molten water generated while melting (30) is not splashed, and the reinforcement (100) and the reinforcement (100) is fusion-bonded to complete the work without injuring the worker.
  •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having an insertion space 21 into which the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through an open lower portion, the coupling hole 22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space 21 on the top A coupler body 20 formed thereon; A ball 30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2 of the coupler body 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er body 20, and includes a shield 40 formed with a hollow 41 so that the reinforcement 100 is inserted therein in the form for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the ball 30 is made of aluminum,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21 of the coupler body 20 and the shield ( The end of the reinforcement 100 inserted into the hollow 41 of 40 is in contact with the ball 30 in the form for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the coupler body 20 in the reinforced fusion splic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edge, and has a protrusion 23 formed to surround the shield 40, on the protrusion 23 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cutouts 24 is made for the practice of the invention.
  • the lower surface of the shield 40 in the reinforcing fusion splicer type coup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rm for th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that the communication portion 42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hollow 41 is formed.
  • the joint operation is easy by a simple method, so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industry in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increase efficiency.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of the fusion splicer type coupler can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rebar coupler, and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weight of the structure to be constructed by the light weight of the rebar coupler is effective It is expected to be widely used in industry in that there 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철근 커플러의 경량화로 시공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간단하고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철근은 건축이나 토목 분야에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부 뼈대로써 사용하고 있다. 철근은 일정한 길이의 규격품으로 생성되므로, 구조물의 길이에 따라 철근을 상호이음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맞대기 이음과 겹침이음을 사용하며, 맞대기 이음은 NC 커플러와 용접이음이 주로 사용되고, 겹침이음은 철사로 묶어서 이음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맞대기 이음방법 중 용접이음은 공사현장에서 철근을 한가닥씩 용접함에 구조적 어려움과 생산성 저하, 용접부위 부러짐 등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NC 커플러 방식은 커플러의 개당 단가가 5000~10,000원으로 철근단가 1톤기준으로 배이상의 시공 원가가 투입되며, 시공후 콘크리트 액체가 커플러 내에서 철근의 이음부와 이음부 사이에 유입되어 굳어져 시공후 철근의 이음 효과가 불확실한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리고 겹침이음은 철근과 철근을 묶는 방식인데, 지진으로 인해 건물이 넘어질 때 대만지진 사례의 예를 보면 묶은 철근들이 빠져버리므로 내진효과가 전혀없는 예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볼트·너트 방식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시공효과가 확실하지만 시공 전에 머리부 형성(Heading)을 해야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현장 시공시 개별조임 작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에 의해 시공 효율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철근 커플러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양한 구조를 갖는 철근 커플러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9578호(2009년 01월 23일 공개) 철근 연결장치의 철근 커플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마디돌기(1a, 2a)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길게 리브돌기(1b, 2b)가 형성된 한 쌍의 철근(1, 2)을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상기 철근의 마주보는 단부를 제1 및 제2커플러(10, 20)로 감싸고, 상기 제1 및 제2커플러(10, 20)의 양단을 각각 조임너트(31, 33)를 통한 나사 조임 등의 방법으로 조인 후 상기 조임너트(31, 33)의 체결공에 체결핀(35)을 삽입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왔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은 작업현장에서 철근들을 연결할 때 제1 및 제2커플러를 맞대고, 조임너트를 조이며, 체결핀을 삽입해야 하는 등 기능공의 수작업이 많이 요구되어 시공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고 제10-1456517호(2014년 10월 24일 등록) 연결용 커플러의 철근 커플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및 우측 결합케이스(100, 102)의 수용홈(140)에 결합되어 연결용소재(M)의 외면과 밀착고정하는 체결부재(200)와 체결부재(200) 일측에 구비되어 체결부재(200)에 일방향의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300)와 상기 탄성부재(300) 사이에 결합되어 지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철근 커플러의 작동과정을 살펴보면 결합케이스 내부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수용홈에 의해 체결부재가 슬라이딩할 수 있는 공간을 안내하게 된다. 이때 수용홈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연결용소재(M)가 삽입시 체결부재(20)가 지지부재(4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공간을 확보하며, 반대로 땡기도록 하여 체결부재(20)가 결합케이스(10)의 입구부로 이동하여 철근에 밀착 고정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철근 커플러 고정방식은 체결부재가 결합케이스 내부에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용홈을 가공해야 하므로 가공시간이 많이 걸리고 까다로운 단점이 있으며, 또한 결합케이스 내부 원주를 따라 수용홈 각각에 체결부재를 결합해야 하나 상측에 위치한 체결부재의 고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연결용소재가 체결부재에 고정된 후에도 좌,우로 유격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철근 커플러의 경량화로 시공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개방된 하부를 통해 철근(1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상기 삽입공간(21)과 연통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된 커플러 본체(20)와;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되는 볼(30)과;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철근(100)이 삽입되도록 중공(41)이 형성된 차폐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볼(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에 삽입된 철근(100)의 끝단과 상기 차폐구(40)의 중공(41)에 삽입되는 철근(100)의 끝단이 상기 볼(30)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커플러 본체(20)는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구(4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를 갖고, 상기 돌출부(23) 상에는 복수개의 절개부(24)가 형성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차폐구(40)의 하면은 상기 중공(41)과 연통되는 연통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철근 커플러의 경량화로 시공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철근과 철근을 융접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3 내지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10)는 커플러 본체(20)와, 볼(30)과 차폐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커플러 본체(20)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가 폐쇄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개방된 하부를 통해 철근(1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을 갖고, 상부는 삽입공간(21)과 연통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커플러 본체(20)는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차폐구(40)를 감싸도록 돌출부(23)가 형성된다. 이때, 돌출부(23) 상에는 복수개의 절개부(24)가 형성되어 진다.
볼(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되어 철근(100)과 철근(100)을 접합시 촉매 역할을 하도록 한다. 이때,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되는 볼(30)은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합홀(22)의 상부와 하부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 이는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을 통해 삽입되는 철근(100)의 끝단과, 차폐구(40)의 중공(41)을 통해 삽입되는 철근(100)의 끝단이 볼(30)에 맞닿도록 하여 전류를 인가하여 철근(100)과 철근(100)이 융접합을 통해 접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차폐구(40)는 세라믹 재질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철근(100)과 철근(100)을 접합시 발생하는 쇳물이 튀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차폐구(40)는 커플러 본체(20)의 돌출부(23) 내부에 위치된다. 차폐구(40)는 내부에 철근(100)이 삽입되도록 중공(41)이 형성되고, 중공(41)과 연통되는 연통부(42)가 형성된다.
커플러 본체(20)의 돌출부(23)에 절개부(24)를 형성하고, 차폐구(40)의 하면에 중공(41)과 연통되는 연통부(42)를 형성하는 것은 철근(100)과 철근(100)의 융접합시 발생하는 아크, 쇳물 등이 차폐구(40)의 연통부(42)를 거쳐 커플러 본체(20)의 절개부(24)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작업자에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철근(100)과 철근(100)의 융접합시 발생하는 아크, 쇳물 등은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과 차폐구(40)의 중공(41)을 통해 하부 또는 상부로 배출되는데 하부로 배출되는 아크, 쇳물 등은 작업자의 발 아래로 배출되므로 사고의 위험이 최소화되지만, 상부로 배출되는 아크, 쇳물 등은 작업자의 얼굴, 몸으로 배출되어 작업자가 다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커플러 본체(20)의 측면을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철근 커플러의 경량화로 시공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10)에서 철근(100)과 철근(100)을 융접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도 5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사현장의 콘크리트 기둥에 설치된 철근(100)의 상부에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을 통해 삽입시킨다. 이때,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근(100)의 상부 끝단은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된 볼(30)의 하부와 맞닿게 된다. 그리고, 도 5의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음을 위한 철근(100)을 차폐구(40)의 중공(41)을 통해 삽입시켜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된 볼(30)의 상부와 맞닿게 한다. 이후, 도 5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을 통해 삽입된 철근(100) 또는 차폐구(40)의 중공(41)을 통해 삽입된 철근(100)에 '+' 단자와, '-' 단자를 각각 연결하고, 전류를 흐르게 하면 아크가 발생하면서 철근(100)과 철근(100)은 융접합된다. 이때, 도 5의 (e)에서 보는 바와 같이 커플러 본체(20)의 볼(30)은 촉매가 되어 철근(100)과 철근(100)이 접합되도록 하고, 철근(100)과 철근(100)이 접할시 발생하는 아크, 쇳물 등의 일부는 차폐구(40)의 하면에 형성된 연통부(42)을 거쳐 커플러 본체(20)의 절개부(24)를 통해 배출되고, 차폐구(40)는 볼(30)이 녹으면서 발생하는 쇳물 등이 튀지 않도록 하며, 철근(100)과 철근(100)이 융접합되면서 작업자도 다치지 않고 작업을 완료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개방된 하부를 통해 철근(1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상기 삽입공간(21)과 연통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된 커플러 본체(20)와;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되는 볼(30)과;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철근(100)이 삽입되도록 중공(41)이 형성된 차폐구(40)를 포함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볼(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에 삽입된 철근(100)의 끝단과 상기 차폐구(40)의 중공(41)에 삽입되는 철근(100)의 끝단이 상기 볼(30)과 맞닿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커플러 본체(20)는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구(4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를 갖고, 상기 돌출부(23) 상에는 복수개의 절개부(24)가 형성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서 상기 차폐구(40)의 하면은 상기 중공(41)과 연통되는 연통부(42)가 형성되는 것을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에 의하면, 구조가 간단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에 의해 융접합(融接合)하여 연결시킴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이음 작업이 용이하므로 시공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가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의 구조가 단순하여 기존의 철근 커플러에 비해 제조단가가 저렴하여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철근 커플러의 경량화로 시공하는 구조물의 무게를 경량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가 있다는 점에서 산업상 널리 이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4)

  1. 개방된 하부를 통해 철근(100)이 삽입되는 삽입공간(21)을 갖고, 상부에 상기 삽입공간(21)과 연통되는 결합홀(22)이 형성된 커플러 본체(20)와;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결합홀(22)에 결합되는 볼(30)과;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상부에 결합되고, 내부에 철근(100)이 삽입되도록 중공(41)이 형성된 차폐구(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30)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커플러 본체(20)의 삽입공간(21)에 삽입된 철근(100)의 끝단과 상기 차폐구(40)의 중공(41)에 삽입되는 철근(100)의 끝단이 상기 볼(30)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본체(20)는 상부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차폐구(4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돌출부(23)를 갖고, 상기 돌출부(23) 상에는 복수개의 절개부(24)가 형성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구(40)의 하면은 상기 중공(41)과 연통되는 연통부(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PCT/KR2018/011872 2018-04-09 2018-10-10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WO201919889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052A KR101906921B1 (ko) 2018-04-09 2018-04-09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KR10-2018-0041052 2018-04-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891A1 true WO2019198891A1 (ko) 2019-10-17

Family

ID=63865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11872 WO2019198891A1 (ko) 2018-04-09 2018-10-10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06921B1 (ko)
WO (1) WO2019198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135B1 (ko) * 2018-12-11 2019-10-0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및 그를 이용한 철근 연결 시공방법
KR102046851B1 (ko) 2019-04-17 2019-11-20 황영태 철근 융접합용 지그
KR102047490B1 (ko) * 2019-04-25 2019-11-21 (주)대정금속 슬립방지 원터치 철근커플러
KR102135471B1 (ko) 2020-05-12 2020-07-17 황영태 철근 융접합용 자동 용접 지그장치
KR20240011007A (ko) 2022-07-18 2024-01-25 황영태 용접플럭스를 이용한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KR102564835B1 (ko) 2022-12-15 2023-08-07 황영태 철근 융접합 개량 커플링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75A (ja) * 1996-12-17 1998-06-30 Mineichi Iwamoto 棒状体の接合工法
JP2003290928A (ja) * 2003-03-27 2003-10-14 Matsuo Engineering Kk 鉄筋の突合せスタッド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337951A (ja) * 2003-05-19 2004-12-02 Takenaka Komuten Co Ltd 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に用いる鉄筋接合用アークシールド体及びそれを用いた鉄筋溶接方法
JP2004351430A (ja) * 2003-05-27 2004-12-16 Takenaka Komuten Co Ltd 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による鉄筋の定着材接合方法
JP2005111487A (ja) * 2003-10-03 2005-04-28 Takenaka Komuten Co Ltd ネジ鉄筋を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で接合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アークシールド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075A (ja) * 1996-12-17 1998-06-30 Mineichi Iwamoto 棒状体の接合工法
JP2003290928A (ja) * 2003-03-27 2003-10-14 Matsuo Engineering Kk 鉄筋の突合せスタッド溶接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4337951A (ja) * 2003-05-19 2004-12-02 Takenaka Komuten Co Ltd 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に用いる鉄筋接合用アークシールド体及びそれを用いた鉄筋溶接方法
JP2004351430A (ja) * 2003-05-27 2004-12-16 Takenaka Komuten Co Ltd 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による鉄筋の定着材接合方法
JP2005111487A (ja) * 2003-10-03 2005-04-28 Takenaka Komuten Co Ltd ネジ鉄筋をアークスタッド溶接法で接合する方法及び同方法に用いるアークシール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6921B1 (ko)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8891A1 (ko)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WO2016036104A1 (ko) 라운드 앵글 및 철근을 이용한 선조립 기둥
WO2015122615A1 (ko)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구조용 용접빔 및 이를 이용한 기둥-보의 결합구조
EP3564457B1 (en) Intermediate coupler for concrete reinforcement
WO2014175575A1 (ko) 철골보 접합부
KR102341843B1 (ko) 무해체 보거푸집
WO2018074814A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JPH09203143A (ja) 壁式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板鉛直部の 接合方法
KR100837113B1 (ko) 철근 커플러
KR20140058076A (ko) 신구콘크리트 연결 시공방법
WO2019208936A1 (ko) 선조립 철골조립체의 빔-거더 접합부
KR100380411B1 (ko) 철근 이음장치
KR101675040B1 (ko) 보강재가 결합된 개구재형 거더, 이를 이용한 교량과 그 제작 및 시공방법.
CN211572254U (zh) 一种易拆装箍筋
JP4677792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方法
KR102317467B1 (ko) 철근 연결구
WO2024080528A1 (ko) 용접형 철근커플러 및 체결방법
WO2021210815A1 (ko) 철근연결구
WO2020231133A1 (ko)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CN107268679A (zh) 闭口截面钢制管廊与混凝土现浇段连接结构
CN113585534B (zh) 一种装配式剪力墙
KR102305146B1 (ko) 철근 이음 장치
KR102738766B1 (ko) 철근 캡
KR20240011007A (ko) 용접플럭스를 이용한 철근 융접합 타입 커플러
CN218541607U (zh) 一种钢梁定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4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1442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