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200247A1 -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 Google Patents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200247A1
WO2023200247A1 PCT/KR2023/004933 KR2023004933W WO2023200247A1 WO 2023200247 A1 WO2023200247 A1 WO 2023200247A1 KR 2023004933 W KR2023004933 W KR 2023004933W WO 2023200247 A1 WO2023200247 A1 WO 20232002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onomer composition
aromatic diol
diol compound
recycled plastic
synthes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493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현영
박준범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3004430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30146992A/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2357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23154A/ja
Priority to US18/292,301 priority patent/US20240218149A1/en
Priority to CN202380012847.9A priority patent/CN117651733A/zh
Priority to EP23788596.7A priority patent/EP4345127A1/en
Publication of WO20232002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200247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6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inorgan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7/00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7/01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placing functional groups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xy groups, e.g. by hydrolysis
    • C07C37/055Preparation of compounds having hydroxy or O-metal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replacing functional groups bound to a six-membered aromatic ring by hydroxy groups, e.g. by hydrolysis the substituted group being bound to oxygen, e.g. ether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9/00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07C39/12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 C07C39/15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hydroxy or O-metal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polycyclic with no unsaturation outside the aromatic rings with all hydroxy groups on non-condensed rings, e.g. phenylphenol
    • C07C39/16Bis-(hydroxyphenyl) alkanes; Tris-(hydroxyphenyl)alk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8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 C08J11/22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J11/2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organic material by treatment with organic oxygen-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9/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carbonates;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Definitions

  • the example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weight ratio of the derivative impurity of the aromatic diol compound in the monomer composition for recycling plastic synthesis of the above embodiment is not greatly limited, and for exampl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alysis may be used. You can.
  • HPLC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the specific methods, conditions, equipment, etc. of the HPLC can be applied to various previously known contents without limitation.
  • the recycled bisphenol A monomer composition was dissolved in Acetonitrile (ACN) solvent at 1w% under normal pressure and 20 ⁇ 30 °C conditions, and then subjected to Waters HPLC using UG 120 (4.6mm I.DX 50mm). It can be measured through the system (e2695 separation module, 2998 PDA detector).
  • the monomer composition for recycling plastic synthesis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 may have a color coordinate b* value of 0.01 to 2, 0.5 to 1.2, or 0.58 to 1.02. That is, the monomer composition for recycling plastic synthesis of the embodiment has a lower limit numerical range of the color coordinate b* value of 0.01 or more, or 0.5 or more, or 0.58 or more, or 0.6 or more, or 0.7 or more, or 0.8 or more, or 0.9 or more, or It may be 1.0 or more, and the upper limit numerical range may be 2 or less, or 1.2 or less, or 1.02 or less. By combining the upper and lower numerical ranges, the lower to upper numerical ranges can also be satisfied.
  • a carbonate precursor may be used as the comonomer.
  • the carbonate precursor include phosgene, triphosgene, diphosgene, bromophosgene, dimethyl carbonate, diethyl carbonate, dibutyl carbonate, dicyclohexyl carbonate, diphenyl carbonate, ditoryl carbonate, bis(chlorophenyl) carbonate, m -Cresyl carbonate, dinaphthyl carbonate, bis(diphenyl) carbonate, or bishaloformate may be mentioned.
  • Examples of the reaction process of the monomer composition and comonomer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s for synthesizing the polycarbonate-based resin are not greatly limited, and various previously known polycarbonate production methods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 a molded article containing the recycled plastic of the other embodiment can be provided.
  • the content regarding the recycled plastic includes all the content described in detail in the other embodi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10 % 이하이고, 색좌표 b*가 0.01 내지 2 이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관련 출원(들)과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2022년 4월 13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2-0045959호 및 2023년 4월 4일자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3-0044308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와 우수한 광학물성을 갖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는 열가소성 고분자로, 우수한 투명성, 연성 및 상대적으로 낮은 제조비용 등 우수한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이다.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이지만, 폐처리시 환경과 건강에 대한 우려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현재 물리적인 재활용 방법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 경우 품질 저하가 동반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적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의 화학적 분해란, 폴리카보네이트의 분해를 통해 모노머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예를 들어, 비스페놀 A(Bisphenol A; BPA))를 수득한 후, 이를 다시 중합에 활용하여 고순도의 폴리카보네이트를 얻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화학적 분해에는 대표적으로 열분해, 가수분해 및 알코올 분해가 알려져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알코올 분해이지만, 메탄올 분해의 경우 인체에 유해한 메탄올을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에탄올의 경우 고온 고압 조건이 필요하며 수득율이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와 우수한 광학물성을 갖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확보할 수 있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그리고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에서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10 % 이하이고, 색좌표 b*가 0.01 내지 2 이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식 1]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 (%) = (HPLC 상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피크 면적 / HPLC 상 전체 피크 면적) X 100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유기 용매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글리콜계 화합물과 무기염기 촉매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단계에서 형성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또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된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인 언급이 없는 한,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제 1' 및 '제 2'와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상기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는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된" 이라는 용어는 중수소;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히드록시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 이미드기; 아미드기; 1차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술폰산기; 술폰아미드기; 포스핀옥사이드기; 알콕시기; 아릴옥시기; 알킬티옥시기; 아릴티옥시기; 알킬술폭시기; 아릴술폭시기; 실릴기; 붕소기;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아르알킬기; 아르알케닐기; 알킬아릴기; 알콕시실릴알킬기; 아릴포스핀기; 또는 N, O 및 S 원자 중 1개 이상을 포함하는 헤테로고리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 또는 비치환되거나, 상기 예시된 치환기 중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2 이상의 치환기가 연결된 치환기"는 바이페닐기일 수 있다. 즉, 바이페닐기는 아릴기일 수도 있고, 2개의 페닐기가 연결된 치환기로 해석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기는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1가의 작용기로,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고, 상기 직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지쇄 알킬기의 탄소수는 3 내지 20이다. 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n-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n-부틸, 이소부틸, tert-부틸, sec-부틸, 1-메틸-부틸, 1-에틸-부틸, 펜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ert-펜틸, 헥실, n-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4-메틸-2-펜틸, 3,3-디메틸부틸, 2-에틸부틸, 헵틸, n-헵틸, 1-메틸헥실, 옥틸, n-옥틸, tert-옥틸, 1-메틸헵틸, 2-에틸헥실, 2-프로필펜틸, n-노닐, 2,2-디메틸헵틸, 1-에틸-프로필, 1,1-디메틸-프로필, 이소헥실, 2-메틸펜틸, 4-메틸헥실, 5-메틸헥실, 2,6-디메틸헵탄-4-일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킬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의 예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렌기는 알케인(alkane)으로부터 유래한 2가의 작용기로, 이들은 2가의 작용기인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알킬기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쇄형, 또는 분지형으로서,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부틸렌기, sec-부틸렌기, tert-부틸렌기, 펜틸렌기, 헥실렌기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될 수 있으며,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의 예시는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고리(fused ring)는 2개 또는 그 이상의 탄소 고리 또는 복소 고리로 구성되어 있는 다환계에 있어, 서로 인접하는 고리끼리 각각 2개의 원자만을 공유하고 있는 고리식 구조를 말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하나 이상』이란, 예를 들어, "1, 2, 3, 4 또는 5, 특히 1, 2, 3 또는 4, 보다 특히 1, 2 또는 3, 보다 더 특히 1 또는 2"를 의미한다.
1.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10 % 이하이고, 색좌표 b*가 0.01 내지 2 이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식 1]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 (%) = (HPLC 상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피크 면적 / HPLC 상 전체 피크 면적) X 100
본 발명자들은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되었음에도 신규 합성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수준으로 높은 순도와 불순물이 현저히 감소되는 특징과 함께 우수한 광학적 물성을 만족함에 따라, 이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합성시 우수한 물성 구현이 가능함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에 의해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한 조성물을 고순도로 얻어낼 수 있는 기술적 특장점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를 진행한 결과, 방향족 디올 화합물이 함유된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이 함께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 비스 (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4-히드톡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케톤,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페놀Z), 2,2-비스(4-히드록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브로모페닐)프로판 , 2,2-비스(4-히드록시-3-클로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회수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얻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를 진행한 결과, 방향족 디올 화합물도 함께 얻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의 회수와는 별도로 외부에서 신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첨가시키는 경우는 본원 발명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범주에 포함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되었다는 것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상기 해중합반응은 산성, 중성, 염기성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특히, 염기성(알칼리) 조건하에서 해중합반응을 진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해중합반응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글리콜계 화합물 존재 하에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상한 수치범위가 10 % 이하, 또는 5 % 이하, 또는 1 % 이하, 또는 0.5 % 이하, 또는 0.43 % 이하일 수 있고, 하한 수치범위가 0.01 % 이상, 또는 0.05 % 이상, 또는 0.1 % 이상, 또는 0.15 % 이상, 또는 0.2 % 이상, 또는 0.25 % 이상, 또는 0.3 % 이상, 또는 0.35 % 이상, 또는 0.40 %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수치범위와 하한 수치범위를 조합하여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의 일례를 들면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0.01%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식1에 따르면,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의 단위인 %는 HPLC 상 피크면적비율로서, 면적%를 의미한다.
상기 식1에서 HPLC 상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피크 면적은,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각각의 피크 면적 합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가 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의 2종 혼합물인 경우, 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각각의 피크 면적 합계를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MHE-BPA]은 HPLC retention time 2.84 분 피크를 나타내며,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BHE-BPA]는 HPLC retention time 2.61 분 피크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유도체 불순물 중량 비율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분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HPLC의 구체적인 방법, 조건, 장비 등은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내용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다만, 일례를 들어 설명하면, 상압, 20 ~ 30 ℃ 조건에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1w%로 Acetonitrile(ACN)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UG 120 (4.6mm I.DX 50mm)를 사용하여 Waters HPLC 시스템 (e2695 separation module, 2998 PDA detector)을 통해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① Column: UG 120 (4.6mm I.DX 50mm), ② Column Temp: 40 ℃, ③ Injection volume: 10㎕, ④ Flow: THF:ACN:water=15:15:70, volume=1.23ml/min (total=10min), ⑤ Detector: 245nm 조건에서 측정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주요 회수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 이외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유도체 불순물의 비율이 극히 감소되어, 이를 이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합성시 우수한 물성 구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b* 값이 0.01 내지 2, 또는 0.5 내지 1.2, 또는 0.58 내지 1.02일 수 있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b* 값의 하한 수치범위가 0.01 이상, 또는 0.5 이상, 또는 0.58 이상, 또는 0.6 이상, 또는 0.7 이상, 또는 0.8 이상, 또는 0.9 이상, 또는 1.0 이상일 수 있고, 상한 수치범위가 2 이하, 또는 1.2 이하, 또는 1.02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수치범위와 하한 수치범위를 조합하여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 값이 94 내지 99, 또는 95 내지 98, 또는 96 내지 98, 또는 96.554 내지 97.207일 수 있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 값의 하한 수치범위가 94 이상, 또는 95 이상, 또는 96 이상, 또는 96.3 이상, 또는 96.554 이상, 또는 96.6 이상, 또는 96.9 이상, 또는 97.2 이상일 수 있고, 상한 수치범위가 99 이하, 또는 98 이하, 또는 97.207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수치범위와 하한 수치범위를 조합하여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도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a*가 0.01 내지 1.5, 또는 0.1 내지 1, 또는 0.10 내지 0.23일 수 있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a* 값의 하한 수치범위가 0.01 이상, 또는 0.1 이상, 또는 0.12 이상, 또는 0.14 이상, 또는 0.16 이상, 또는 0.18 이상, 또는 0.2 이상, 또는 0.22 이상일 수 있고, 상한 수치범위가 1.5 이하, 또는 1 이하, 또는 0.23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수치범위와 하한 수치범위를 조합하여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도 만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색좌표"란, CIE(국제조명위원회, Commossion International de l'Eclairage)에서 규정한 색상 값인 CIE Lab 색 공간에서의 좌표를 의미하며, CIE 색 공간에서의 임의의 위치는 L*, a*, b* 3가지 좌표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여기서, L*값은 밝기를 나타내는 것으로 L*=0이면 흑색(black)을 나타내며, L*=100 이면 백색(white)을 나타낸다. 또한, a*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적색(pure red)과 순수한 녹색(pure green)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내며, b*값은 해당 색좌표를 갖는 색이 순수한 황색(pure yellow)과 순수한 청색(pure blue) 중 어느 쪽으로 치우쳤는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상기 a*값은 -a 내지 +a의 범위를 가진다. a*의 최대값(a* max)은 순수한 적색(pure red)을 나타내며, a*의 최소값(a* min)은 순수한 녹색(pure green)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b*값은 -b 내지 +b의 범위를 가진다. b*의 최대값(b* max)은 순수한 황색(pure yellow)을 나타내며, b*의 최소값(b* min)은 순수한 청색(pure blue)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b*값이 음수이면 순수한 청색에 치우친 색상이며, 양수이면 순수한 황색에 치우친 색상을 의미한다. b*=50과 b*=80을 비교하였을 때, b*=80이 b*=50보다 순수한 황색에 가깝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b* 값이 2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상이 지나치게 황색으로 치우쳐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b* 값이 0.01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상이 지나치게 청색으로 치우쳐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L* 값이 94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게 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a* 값이 1.5 초과로 지나치게 증가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상이 지나치게 적색으로 치우쳐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a* 값이 0.01 미만으로 지나치게 감소하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상이 지나치게 녹색으로 치우쳐 컬러특성이 불량하게 된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L*, a*, b*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플라스틱 분야의 다양한 컬러특성 측정방법을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색좌표 L*, a*, b* 값을 측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들면, HunterLab UltraScan PRO Spectropho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모드로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수율이 하한 수치범위가 90% 이상, 또는 92% 이상, 또는 93% 이상, 또는 94% 이상, 또는 95% 이상, 또는 96% 이상일 수 있고, 상한 수치범위가 100 % 이하, 또는 98 % 이하, 또는 97 % 이하, 또는 96.4%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상한 수치범위와 하한 수치범위를 조합하여 하한 내지 상한의 수치범위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수율이 90% 이상으로 높아지는 것은 후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수율을 측정하는 방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하기 식 2를 통해 계산할 수 있다.
[식 2]
수율(%) = W1/W0
상기 식 2에서, W0 는 100% 분해 시 수득되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 질량이고, W1는 실제 수득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질량이다.
상기 식 2에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질량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질량 측정방법을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며, 일례를 들면 저울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서 주요 회수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수율이 90% 이상으로 극히 증가되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 대한 재활용 공정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후술하는 다양한 재활용 플라스틱(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제조 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일부 소량의 기타 첨가제,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첨가제나 용매의 종류는 크게 한정되지 않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회수공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다양한 물질을 제한없이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후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의해 얻어진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해중합 반응 이후, 주요 회수 목표물질인 방향족 디올 화합물 만을 고순도로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여과, 정제, 세척, 건조 공정을 거쳐 얻어진 결과물에 해당한다.
2.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유기 용매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글리콜계 화합물과 무기염기 촉매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단계에서 형성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온화한 조건에서 폴리카보네이트를 글리콜계 화합물로 분해시켜 순도 높은 모노머인 비스페놀 A를 안정적으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는 합성을 통해 생산된 신규 폴리카보네이트, 재생공정을 통해 생산된 재생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폐기물 등 다양한 형태, 종류에 관계없이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은 글리콜 화합물, 또는 이의 유도체 화합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은 알킬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글리콜의 구체적인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 알려진 다양한 알킬렌글리콜을 제한없이 사용가능하나, 일례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글리콜이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디프로필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프로필카보네이트, 또는 이들의 2종 이상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 메틸렌 클로라이드를 이용할 경우 폴리카보네이트에 대한 용해 특성이 개선되어 반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 유기 용매, 폴리카보네이트의 중량비율이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일례를 들면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 : 폴리카보네이트 간 중량비가 10 : 1 내지 1 : 10, 또는 1 : 1 내지 1 : 10, 또는 1 : 1 내지 1 : 5, 또는 1 : 1 내지 1 : 2, 또는 1 : 1.1 내지 1 : 2, 또는 1 : 1.2 내지 1 : 2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기 용매 : 폴리카보네이트 간 중량비가 10 : 1 내지 1 : 10, 또는 10 : 1 내지 1 : 1, 또는 10 : 1 내지 2 : 1, 또는 5 : 1 내지 2 : 1, 또는 3 : 1 내지 2 : 1, 또는 3 : 1 내지 2.5 : 1, 또는 10 : 1 내지 5 : 1, 또는 7 : 1 내지 5 : 1, 또는 7 : 1 내지 6 : 1일 수 있다.
또한, 유기 용매 : 글리콜계 화합물 간 중량비가 20 : 1 내지 1 : 20, 또는10 : 1 내지 1 : 10, 또는 1 : 1 내지 10 : 1, 또는 2 : 1 내지 10 : 1, 또는 2 : 1 내지 5 : 1, 또는 3 : 1 내지 4 : 1, 또는 10 : 1 내지 20 : 1, 또는 10 : 1 내지 15 : 1, 또는 11 : 1 내지 13 : 1, 또는 12 : 1 내지 13 : 1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범위 내의 글리콜계 화합물과 유기 용매가 혼합됨으로써 필요한 수준의 중합체의 단위체화(Depolymerization) 반응이 진행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무기염기 촉매는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또는 0.1 중량부 내지 1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함량 범위의 무기염기 촉매를 포함함으로써 경제성 있는 촉매 반응을 진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무기염기 촉매는 염기성을 가진 비이온성 무기화합물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NaOH)일 수 있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무기염기 촉매를 사용함에 따라, 온화한 조건 하에서 분해반응이 진행될 수 있고, 경제성이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혼합액에 글리콜계 화합물과 무기염기 촉매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는, 20 ℃ 내지 100 ℃, 또는 50 ℃ 내지 100 ℃, 또는 60 ℃ 내지 100 ℃, 또는 70 ℃ 내지 100 ℃, 또는 70 ℃ 내지 90 ℃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또는 1시간 내지 12시간, 또는 1시간 내지 8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은 기존의 가압/고온 공정 대비 온화한(Mild) 공정 조건이며, 상기 조건 하에서 교반을 수행함으로써 가압/고온 공정 대비 온화한(Mild) 공정에서 공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70 ℃ 내지 90 ℃에서 1 내지 12시간동안 교반 시 재현성 및 인정성 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상기 교반 단계에서 형성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반 단계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결정화 용매에 투입하여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정화 용매를 투입하고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형성하는 구체적인 장비, 조건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방향족 디올 화합물(비스페놀A)을 회수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온 다양한 재결정 공정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결정화 용매의 일례를 들면, 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에서, 구체적인 여과 장비, 조건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종래 방향족 디올 화합물(비스페놀A)을 회수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어온 다양한 여과 공정이 제한없이 적용가능하다. 상기 여과의 일례를 들면, 감압여과를 사용할 수 있다.
3. 재활용 플라스틱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에 대한 내용은 상기 일 구현예와 다른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각각 모두 포함한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에 해당하는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스페놀A 등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과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또는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단량체로서 합성되는 다양한 플라스틱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며, 보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며, 방향족 디올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포함한 단량체의 중합반응 또는 공중합 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반응 생성물을 총칭한다.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만을 사용하여 얻어진 1종의 카보네이트 반복단위를 함유하는 경우 단독 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로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2종 이상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2종 이상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을 사용하거나, 방향족 디올 화합물 1종 및 카보네이트 전구체 1종 이외에 기타 디올 1종 이상을 사용하여 2종 이상의 카보네이트가 함유되는 경우 공중합체가 합성될 수 있다. 상기 단독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는 분자량 범위에 따른 저분자 화합물, 올리고머, 고분자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에서, 공단량체로는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의 구체적인 예로 포스겐, 트리포스겐, 디포스겐, 브로모포스겐,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디부틸 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 카보네이트, 디페닐 카보네이트, 디토릴 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 카보네이트, m-크레실 카보네이트, 디나프틸카보네이트, 비스(디페닐) 카보네이트 또는 비스할로포르메이트를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를 합성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 공정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알려진 다양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이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다만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의 일례를 들면,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를 포함한 조성물을 중합하는 단계를 포함한 폴리카보네이트 제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합은 계면 중합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계면 중합시 상압과 낮은 온도에서 중합 반응이 가능하며 분자량 조절이 용이하다.
상기 중합 온도는 0 ℃ 내지 40 ℃, 반응 시간은 10분 내지 5시간일 수 있다. 또한, 반응 중 pH는 9 이상 또는 11 이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폴리카보네이트의 중합에 사용되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일례로 메틸렌클로라이드, 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은 산결합제의 존재 하에 수행할 수 있고, 상기 산결합제로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금속 수산화물 또는 피리딘 등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시 폴리카보네이트의 분자량 조절을 위하여, 분자량 조절제의 존재 하에 중합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페놀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 p-tert-부틸페놀, p-쿠밀페놀, 데실페놀, 도데실페놀, 테트라데실페놀, 헥사데실페놀, 옥타데실페놀, 에이코실페놀, 도코실페놀 또는 트리아콘틸페놀을 들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중합 개시 전, 중합 개시 중 또는 중합 개시 후에 투입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는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100 중량부 대비 0.01 내지 10 중량부, 또는 0.1 내지 6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분자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의 촉진을 위하여, 트리에틸아민,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n-부틸포스포늄 브로마이드 등의 3차 아민 화합물, 4차 암모늄 화합물, 4차 포스포늄 화합물 등과 같은 반응 촉진제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4. 성형품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내용은 상기 다른 구현예에서 상술한 내용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을 공지된 다양한 플라스틱 성형방법을 제한없이 적용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성형방법의 일례를 들면 사출 성형, 발포 사출 성형, 블로우 성형, 또는 압출 성형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예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스틱을 사용하는 다양한 성형품에 제한없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성형품의 일례를 들면, 자동차 부품, 전기전자제품, 통신제품, 생활용품, 건축 소재, 광학 부품, 외장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은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 외에, 필요에 따라 산화방지제, 가소제, 대전방지제, 핵제, 난연제, 활제, 충격보강제, 형광증백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및 염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형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로, 상기 다른 구현예의 재활용 플라스틱과 첨가제를 믹서를 이용하여 잘 혼합한 후에, 압출기로 압출 성형하여 펠릿으로 제조하고, 상기 펠릿을 건조시킨 다음 사출 성형기로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의 화학적 분해에 의한 재활용을 통해 회수된 고순도와 우수한 광학물성을 갖는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이 제공될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250 ml 3구 플라스크(3-neck flask)에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80 g, 및 폴리카보네이트 30 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g 및 촉매로 수산화나트륨(NaOH) 0.05g를 투입하고 70 ℃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폴리카보네이트 : 메틸렌 클로라이드 : 에틸렌글리콜 : 수산화나트륨 = 30 : 80 : 22 : 0.05의 질량비)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결정화된 비스페놀 A를 감압여과하여 비스페놀 A를 수득하여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 메틸렌 클로라이드 : 에틸렌글리콜 : 수산화나트륨 = 30 : 200 : 16 : 0.16의 질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250 ml 3구 플라스크(3-neck flask)에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80 g, 및 폴리카보네이트 30 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27g 및 촉매로 수산화나트륨(NaOH) 0.05g를 투입하고 70 ℃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폴리카보네이트 : 메틸렌 클로라이드 : 프로필렌글리콜 : 수산화나트륨 = 30 : 80 : 27 : 0.05의 질량비)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결정화된 비스페놀 A를 감압여과하여 비스페놀 A를 수득하여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1에서 폴리카보네이트 : 메틸렌 클로라이드 : 에틸렌글리콜 : 수산화나트륨 = 30 : 200 : 20 : 0.16의 질량비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
비교예1
250 ml 3구 플라스크(3-neck flask)에 폴리카보네이트 20 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에틸렌글리콜(Ethylene glycol) 22g 및 촉매로 수산화나트륨(NaOH) 0.05g를 투입하고 130 ℃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결정화된 비스페놀 A를 감압여과하여 비스페놀 A를 수득하여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2
250 ml 3구 플라스크(3-neck flask)에 메틸렌 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60 ml, 메탄올 30 ml 및 수산화나트륨(NaOH) 0.6 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폐 폴리카보네이트 30 g을 투입하고 4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결정화된 비스페놀 A를 감압여과하여 비스페놀 A를 수득하고,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3
250 ml 3구 플라스크(3-neck flask)에 톨루엔(Toluene) 60 ml, 메탄올 30 ml 및 수산화나트륨(NaOH) 0.6 g을 투입하고 교반하였다.
이후 폐 폴리카보네이트 30 g을 투입하고 60 ℃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생성물을 물에 투입하고, 결정화된 비스페놀 A를 감압여과하여 비스페놀 A를 수득하고,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 또는 부산물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1. 색좌표(L*, a*, b*)
상기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에 대하여 HunterLab UltraScan PRO Spectrophotometer 장비를 이용하여 반사 모드로 분석하였다.
2. BPA 유도체(MHE-BPA, BHE-BPA) 불순물 비율
상압, 20 ~ 30 ℃ 조건에서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을 1w%로 Acetonitrile(ACN) 용매에 용해시킨 다음, UG 120 (4.6mm I.DX 50mm)를 사용하여 Waters HPLC 시스템 (e2695 separation module, 2998 PDA detector)을 이용하여 비스페놀A(BPA)의 순도를 분석하였다.
상기 전체 HPLC 피크면적 100%에 대하여, BPA 유도체(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MHE-BPA],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BHE-BPA]) 불순물의 피크면적비율(단위 : %)을 하기 식1과 같이 측정하였다.
[식1]
BPA 유도체 불순물 비율 (%) = (HPLC 상 비스페놀A 유도체 피크 면적 / HPLC 상 전체 피크 면적) X 100.
상기 식1에서 HPLC 상 비스페놀A 유도체 피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고, 상기 식1에서 HPLC 상 비스페놀A 유도체 피크면적은 MHE-BPA, BHE-BPA 각각의 피크 면적의 총합이다.
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MHE-BPA] : retention time 2.84 분 피크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BHE-BPA] : retention time 2.61 분 피크
또한, HPLC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HPLC 조건>
① Column: UG 120 (4.6mmI.DX50mm)
② Column Temp: 40℃
③ Injection volume: 10㎕
④ Flow: THF:ACN:water=15:15:70, volume=1.23ml/min (total=10min)
⑤ Detector: 245nm
3. BPA 수율
반응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가 100% 분해되었을 때 생성되는 BPA의 무게를 측정하고, 수득한 BPA 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식 2와 같이 BPA의 수율을 산출하였다.
[식 2]
수율(%) = W1/W0
상기 식 2에서, W0 는 100% 분해 시 수득되는 BPA 질량이고, W1는 실제 수득한 BPA 질량이다. 구체적으로, 약 100 g의 폴리카보네이트가 분해될 경우, 이론상 100% 분해 시 수득되는 BPA의 질량이 89 g이다. 실제 수득한 BPA의 질량이 80 g라면, 수율은 80/89 * 100 = 90%이다.
실험예 측정 결과
구분 L* a* b* BPA 유도체 불순물 비율 (%) BPA 수율(%)
실시예1 96.554 0.20 0.77 0.10 93.2
실시예2 97.207 0.10 0.58 0.05 96.4
실시예3 96.874 0.23 0.81 0.12 94.1
실시예4 96.904 0.23 1.02 0.43 95.4
비교예1 - - - 22.9 -
비교예2 91.95 2.667 3.847 - 85
비교예3 91.73 2.554 3.457 - 86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6.554 내지 97.207, a*가 0.10 내지 0.23, b*가 0.58 내지 1.02를 나타내어 우수한 광학 물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BPA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0.05 % 내지 0.43 %로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비스페놀A 수율이 93.2% 내지 96.4%로 높게 측정되었다.
반면, 비교예 1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BPA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22.9 %로 실시예 대비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3에서 얻어진 재활용 비스페놀A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1.73 내지 91.95, a*가 2.554 내지 2.667, b*가 3.457 내지 3.847을 나타내어 실시예 대비 불량한 광학 물성을 나타내었고, 비스페놀A 수율이 85% 내지 86%로 실시예보다 낮게 나타났다.

Claims (16)

  1.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포함하고,
    하기 식1에 의한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이 10 % 이하이고,
    색좌표 b*가 0.01 내지 2 이고,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식 1]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불순물 비율 (%) = (HPLC 상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피크 면적 / HPLC 상 전체 피크 면적) X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1에서 HPLC 상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피크 면적은, 1종 이상의 방향족 디올 화합물 유도체 각각의 피크 면적 합계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의 유도체는 모노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 및 비스하이드록시에틸-비스페놀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L*이 94 내지 99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은 색좌표 a*가 0.01 내지 1.5 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은 상기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회수에 사용된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에서 회수된 것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7. 유기 용매에 폴리카보네이트를 첨가하여 혼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액에 글리콜계 화합물과 무기염기 촉매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 및
    상기 교반 단계에서 형성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콜계 화합물은 알킬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톨루엔,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디메틸 카보네이트, 에틸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디프로필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 : 글리콜계 화합물 간 중량비가 20 : 1 내지 1 : 20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기 촉매는 폴리카보네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되는 것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염기 촉매는 수산화나트륨(NaOH) 또는 수산화칼륨(KOH)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에 글리콜계 화합물과 무기염기 촉매를 첨가하고 교반하는 단계는,
    20 ℃ 내지 100 ℃에서 1시간 내지 30시간 교반하는 것인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 단계에서 형성된 방향족 디올 화합물을 수득하는 단계는,
    상기 교반 단계에서 얻어진 생성물을 결정화 용매에 투입하여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방향족 디올 화합물 결정을 여과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의 제조방법.
  15. 제1항의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및 공단량체의 반응생성물을 포함하는, 재활용 플라스틱.
  16. 제15항의 재활용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성형품.
PCT/KR2023/004933 2022-04-13 2023-04-12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232002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73462A JP2024523154A (ja) 2022-04-13 2023-04-12 再生プラスチック合成用単量体組成物、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再生プラスチック、および成形品
US18/292,301 US20240218149A1 (en) 2022-04-13 2023-04-12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prepration method thereof, and recycled plastic,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CN202380012847.9A CN117651733A (zh) 2022-04-13 2023-04-12 再生塑料合成用单体组合物、其制备方法及使用其的再生塑料、模制产品
EP23788596.7A EP4345127A1 (en) 2022-04-13 2023-04-12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zing recycled plastic,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nd recycled plastic and molded product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45959 2022-04-13
KR10-2022-0045959 2022-04-13
KR1020230044308A KR20230146992A (ko) 2022-04-13 2023-04-04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KR10-2023-0044308 2023-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0247A1 true WO2023200247A1 (ko) 2023-10-19

Family

ID=88330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4933 WO2023200247A1 (ko) 2022-04-13 2023-04-12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218149A1 (ko)
EP (1) EP4345127A1 (ko)
JP (1) JP2024523154A (ko)
WO (1) WO202320024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530A4 (en) * 2021-09-13 2024-04-24 Lg Chem, Ltd.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RECYCLED PLASTIC THEREOF AND MOLDED PRODUC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333A (ko) * 2005-04-20 2008-01-23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폐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방향족 디히드록시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 수용액을 얻는 방법
KR20210082708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케이티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20023451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알코올 분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8333A (ko) * 2005-04-20 2008-01-23 테이진 카세이 가부시키가이샤 폐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로부터 방향족 디히드록시화합물의 알칼리 금속염 수용액을 얻는 방법
KR20210082708A (ko) * 2019-12-26 2021-07-06 주식회사 케이티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성형품
KR20220023451A (ko) * 2020-08-21 2022-03-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촉매를 이용한 폴리카보네이트의 알코올 분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EO MISEON, BEOMSIK KIM, YOUIN PARK, MYUNGWAN HAN: "Synthesis of Bishydroxyethyl Ether of Bisphenol A(BHE-BPA) Through the Depolymerization of Polycarbonate",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KOREAN INSTITUTE OF CHEMICAL ENGINEERS, KR, vol. 48, no. 2, 30 April 2010 (2010-04-30), KR , pages 164 - 171, XP093099052, ISSN: 0304-128X *
QUARANTA EUGENIO, MINISCHETTI CLARA CASTIGLIONE, TARTARO GIUSEPPE: "Chemical Recycling of Poly(bisphenol A carbonate) by Glycolysis under 1,8-Diazabicyclo[5.4.0]undec-7-ene Catalysis", ACS OMEGA, ACS PUBLICATIONS, US, vol. 3, no. 7, 31 July 2018 (2018-07-31), US , pages 7261 - 7268, XP055844580, ISSN: 2470-1343, DOI: 10.1021/acsomega.8b01123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209530A4 (en) * 2021-09-13 2024-04-24 Lg Chem, Ltd. MONOMER COMPOSITION FOR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RECYCLED PLASTIC THEREOF AND MOLDED PRODUCT
EP4209531A4 (en) * 2021-09-13 2024-05-01 Lg Chem, Ltd. MONOMER COMPOSITION FOR THE SYNTHESIS OF RECYCLED PLASTIC MATERIAL,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ECYCLED PLASTIC MATERIAL USING SAME AND MOLDED PRODU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18149A1 (en) 2024-07-04
EP4345127A1 (en) 2024-04-03
JP2024523154A (ja) 2024-06-28
TW202346248A (zh) 2023-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3197A2 (en) Polymeric thermoplastic compositions having excellent resistance to moisture and oxygen transmission and sheet which are made of these polymeric thermoplastic compositions
WO2023200247A1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15041441A1 (ko)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물품
WO2020055178A1 (ko) 디올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00244A1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12060516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WO2013047955A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4092243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WO2013100288A1 (ko)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폴리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WO2023200245A1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16195312A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106653A1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23038269A1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13042827A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 제조방법
WO2021112473A1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광학 제품
WO2020032723A1 (ko)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34584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KR20230146992A (ko) 재활용 플라스틱 합성용 단량체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재활용 플라스틱, 및 성형품
WO2018182328A1 (ko)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필름
WO2024106998A1 (ko) 재활용 고리형 카보네이트 조성물의 제조방
WO2021045527A1 (ko) 디올 화합물, 폴리카보네이트 및 이의 제조방법
TWI858656B (zh) 合成再生塑膠之單體組成物、其製備方法以及使用其之再生塑膠與模製產品
WO2022086231A1 (ko) 폴리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WO2023018136A1 (ko)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WO2024172319A1 (ko) 폴리에스테르 수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7346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885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885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788596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228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80012847.9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92301

Country of ref document: 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