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6613A1 -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6613A1
WO2023136613A1 PCT/KR2023/000527 KR2023000527W WO2023136613A1 WO 2023136613 A1 WO2023136613 A1 WO 2023136613A1 KR 2023000527 W KR2023000527 W KR 2023000527W WO 2023136613 A1 WO2023136613 A1 WO 202313661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spiratory
concentration
composition
v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52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선희
나창선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바이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2313661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661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using plant extracts as an active ingredient.
  • PM Particulate matter
  • the sources of fine dust can be divided into natural sources such as soil and plant pollen, and artificial sources such as fuel combustion or vehicle exhaust gas.
  • natural sources such as soil and plant pollen
  • artificial sources such as fuel combustion or vehicle exhaust gas.
  • the size and composition of fine dust is very complex and diverse, and it is known that the particle size, surface area, and chemical composition determine the health effects.
  • fine dust which is dust with a diameter of 10 ⁇ m or less, has sufficient carcinogenicity to humans, and defined fine dust as a first-class carcinogen like smoking. .
  • these fine dusts are so small that they are invisible to the naked eye, they may adversely affect health by staying in the air and penetrating the lungs through the respiratory tract or moving into the body along the blood vessels. Specifically, exposure to fine dust can cause or aggravate heart and lung-related diseases, and as a result, can affect an increase in death. In the short term, it exacerbates symptoms such as asthma attacks, acute bronchitis, and arrhythmias, and in the long term, it increases the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espiratory disease, and lung cancer.
  • Plant-derived material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y are excellent in terms of safety.
  •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materials mainly made of plants and herbal ingredients used in the private sector or in oriental medicin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 the use of the plant extracts for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stimulated by fine dust is not known, and a mechanism study thereof has not been made.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conducted a direct efficacy study on the prevention, improvement, or treatment of respiratory diseases stimulated by fine dust with the extracts.
  • the present inventors have tried to develop a 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diseases of the respiratory tract stimulated by fine dust.
  • the plant extract increases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cell
  • SOD superoxide dismutase
  • One aspect is to prevent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ula japonica extract,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Geranium nepalense extract, and Humulus japonicas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Or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improvement.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 Another aspect is to provide a quasi-drug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contain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inseng root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aspect is to prevent, improve, or treat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an effective amount of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oldenrod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is to provide a way
  • One aspect provides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eumbulcho is a perennial plant of the Asteraceae family, and may be a plant whose leaves are specified as edible parts in food raw material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the scab flower is a perennial plant of the Rosaceae family, and may be a plant whose leaves and leaves are specified as edible parts in food raw material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the Cranes grass is a perennial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Raspberry, and may be a plant whose leaves are specified as edible parts in food raw material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the Korean ginseng vine is a creeping annual herbaceous plant belonging to the family Samaceae, and may be a plant whose shoots and leaves are specified as edible parts in food raw materials notified by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 the extract is MUC5AC, TRPV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CXCL-1 (C-X-C Motif Chemokin Ligand 1), IL-1 ⁇ , MIP2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2), IL-17, Interleukin-1 ⁇ expression of respiratory/cough related genes or 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IL-1 ⁇ ), IL-8 and tumor necrosis factor- ⁇ (TNF- ⁇ ) and cyclooxygenase-2 (COX-2); or It may be to prevent, ameliorate, or treat inflammation by inhibiting activity and inhibiting the production of nitric oxide (NO), an inflammatory mediator.
  • NO nitric oxide
  • the inflammation may be inflammation due to fine dust.
  • the extract may prevent, improve or treat inflammation by increasing the activity of SOD.
  • SOD catalyzes a disproportionation reaction that converts excess oxide ions into oxygen and hydrogen peroxide, thereby removing excess active oxygen from the living body and improving the antioxidant capacity in the bronchi.
  • the inflammation may be inflammation due to fine dust.
  • prevention refers to partially or completely delaying or preventing the onset or recurrence of a disease, disorder, or its attendant symptoms, preventing the acquisition or re-acquisition of a disease or disorder, or preventing the occurrence or recurrence of a disease or disorder. Reducing the risk of acquisition.
  • the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inhibits or delays the occurrence of inflammation or inflammation-related diseases, disorders, or symptoms by administration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improve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at least reduces a parameter associated with the condition being treated, eg, the severity of a symptom.
  • treatment refers to any action that improves or beneficially alters a disease, disorder, or its attendant symptoms.
  • the respiratory disease may be a respiratory disease caused by fine dust.
  • fine dust refers to air pollutants including sulfur dioxide, nitrogen oxides, ozone, carbon monoxide,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 and various harmful heavy metals. It includes both fine dust with a size of 10 ⁇ m or less and ultrafine dust with a size of 2.5 ⁇ m or less, and is the source of exhaust fumes from burning fossil fuels such as coal/oil, vehicle exhaust, fugitive dust from construction sites, and smoke from incineration plants. works as The primary occurrence is fine dust in a solid state, and the secondary occurrence means that a gaseous substance causes a chemical reaction with other substances in the air to appear as fine dust.
  • the respiratory diseases include respiratory inflammatory pulmonary diseas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llergic rhinitis, sinusitis,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hronic bronchitis, bronchiectasis, pneumonia,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Cystic fibrosis, otitis media, pulmonary fibrosis, asthma, emphysema, sore throat, laryngitis and tonsillitis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respiratory disease may be caused by fine dust.
  •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allergic rhinitis sinusitis
  • sinusitis sinusitis
  •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 chronic bronchitis chronic bronchitis
  • bronchiectasis pneumonia
  • pulmonary tuberculosis sequelae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 Cystic fibrosis otitis media
  • the extract is 0.0001% to 99.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0.01% to 60% by weight, 0.01% to 40% by weight, 0.01% to 30% by weight, 0.01% to 30% by weight 0.01 wt% to 10 wt%, 0.01 wt% to 5 wt%, 0.05 wt% to 60 wt%, 0.05 wt% to 40 wt%, 0.05 wt% to 30 wt%, 0.05 wt% to 20% by weight, 0.05% to 10% by weight, 0.05% to 5% by weight, 0.1% to 60% by weight, 0.1% to 40% by weight, 0.1% to 30% by weight, 0.1% to 20% by weight % by weight, 0.1% to 10% by weight, 0.1% to 5% by weight, 1% to 50% by weight, 1% to 40% by weight, 2% to 40% by weight, 3% to 30% by weight 4% to 30%, 5% to 30%, 5% to 20%, 5% to 18%, 6% to 15%, 8% to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from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he whole plant, root, stem, branch, leaf, seed and fruit of Geumbulcho, Dianthus flower, cranesbill or Korean ginseng vine.
  • the whole, part of, or a material derived from the goldenrod, calico, cranesbill, or Korean ginseng used for extraction may be pulverized, minced, or suitably dried.
  • An extraction method for obtaining the extract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known extraction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Specifically, commonly used extraction methods such as cold precipitation, heat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pressure extraction, reflux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and electrical extraction may be used, and a conventional extraction device, ultrasonic crushing extractor or fractionator may be used. .
  • the dried or concentrated extrac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dried or concentrated by a known method as described above.
  • the extract may be extracted using water, alcohol, or a mixture thereof as a solvent.
  • the alcohol may be a C1 to C6 alcohol, for example a C1 to C4 alcohol.
  • the C1 to C6 alcohol may be methanol, ethanol, propanol, isopropanol, 1,3-propanediol, butanol, pentanol or hexanol.
  • the extraction is 3 to 10 (volume or weight) times the extraction solvent for each extract, for example, 3 to 7 (volume / weight) times, 3 to 5 (volume / weight) times , 5 to 10 (volume / weight) times, or 4 to 10 (volume / weight) times.
  • the solvent may be a mixture of water and alcohol, that is, an aqueous alcohol solution, for example, an aqueous ethanol solution.
  • the alcohol concentration in the alcohol aqueous solution is 1 to 99.5 (v / v)%, 10 to 99.5 (v / v)%, 1 to 70 (v / v)%, 1 to 40 (v / v)%, 5 to 25 (v/v)%, 7 to 20 (v/v)%, 5 to 25 (v/v)%, or 10 to 20 (v/v)%.
  • the term "health functional food” refers to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by using a specific ingredient as a raw material or by extracting, concentrating, refining, mixing, etc. a specific ingredient contained in a food raw material for the purpose of health supplement. It refers to food designed and processed so that it can sufficiently exert biological control functions such as biological defense, regulation of biological rhythm, prevention and recovery of disease, etc.
  •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may perform functions related to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skin damage caused by fine dust.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extract may be added include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pills, gels, jelli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tea bags, leached teas, gums, candies, and formulation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ealth drinks etc., and includes all health foods in the usu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may include various sweetener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components, as in conventional beverages.
  • the sweetener may be a natural sweetener or a synthetic sweetener.
  • the natural sweetener may be taumatin or stevia extract, and the synthetic sweetener may be saccharin or aspartame.
  •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monosaccharide, disaccharide, polysaccharide, xylitol, sorbitol or erythritol.
  • the monosaccharide may be glucose or fructose
  • the disaccharide may be maltose or sucrose.
  • the polysaccharide may be a dextrin or a cyclodextrin.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may be generally about 0.01 to 10 g, for example, about 0.01 to 0.1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include food additives acceptable in food science, and may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health functional foo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 carbonation agents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fruit flesh for prepar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 to 0.1 part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Another aspect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 Another aspect is an effective amount of a subject in need of one or more extrac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ula japonica extract, Potentilla chinensis extract, Geranium nepalense extract and Hansam vine ( Humulus japonicas ) extract.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to.
  • the extract and respiratory diseases are as described abov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mulated in a formul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blets, soft or hard capsules, pills, powders, suspensions, syrups, injections and granul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for oral or parenteral administrat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includes conventional fillers, extenders, binders, disintegrants, anti-agglomerates, lubricants, wetting agents, pH adjuster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alginic acid and its salts, pectic acid and its salts, protective chlorides, glycerin, Perfumes, emulsifiers or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includ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amples of which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and gelatin.
  •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examples of which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gum acacia, alginate, and gelatin.
  •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propylhydroxybenzoat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dextrin, calcium carbonate, propylene glycol, liquid paraffin and physiological saline.
  • the formul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method of use, and is formulated using a method well known in the art to provide rapid, sustained or delayed release of the active ingredient after administration to a mammal. It can be.
  • Formul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soft or hard capsules, pills, powders, suspensions, syrups, injections and granules, etc., and these formulations include one or more excipients such as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or lactose. , It may be prepared by mixing gelatin and the like. In addition to simple excipients,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may also be us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may be creams, lotions, ointments, warnings, liquids, aerosols, liquid extracts, elixirs, salivas, sachets, patches, or injections.
  • the method is applicable to any animal, and the animal may include livestock such as cattle, pigs, sheep, horses, dogs, and cats, as well as humans and primates.
  • the dosage of the composition for treatment, prevention, or improvement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dministration method, the age, sex, severity of the patient, the degree of absorption of the active ingredient in the body, the inactivation rate, and concomitant drugs, 0.1 mg/kg (body weight) to 500 mg/kg (body weight), 0.1 mg/kg (body weight) to 400 mg/kg (body weight), or 1 mg/kg (body weight) to 300 based on the daily active ingredient It may be administered in mg/kg (body weight), and may be administered once or divided into several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other aspect provides a quasi-drug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eventing respiratory diseases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at least one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 the extract and respiratory diseases are as described above.
  • quadsi-drugs refers to textiles, rubber products, or similar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human or animal diseases, weak or non-directly acting on the human body, and not instruments or machines.
  • Products used for the purpose of diagnosing, treating, mitigating, treating, or preventing human or animal conditions or diseases which fall under one of the following categories: It refers to items other than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and items other than instruments, machines, or devices among items used for the purpose of pharmacologically affect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humans or animals, including external skin products and personal hygiene products. can include
  • the extract When the extract is added to a quasi-drug composition, the extract may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quasi-drug ingredients, and may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 the quasi-drug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reto, but may be a personal hygiene product, an external skin preparation, a humidifier filler, a mask, an ointment, or a filter filler.
  • the personal hygiene product may be soap, wet tissue, toilet paper, shampoo, toothpaste, hair care product, air freshener gel or cleansing gel.
  •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aspect increases th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exhibits a protective effect against cell death of respiratory-related cells, and relieves inflammation to prevent, improve, or treat respiratory diseases.
  • SOD superoxide dismutase
  • Figure 1 is a graph compar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a gold bud extract, a scab flower extract, a cranesbill extract, or a hansam vine extract:
  • Figure 1 (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reatment of the goldenrod extract
  • Figure 1 (b)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cab flower extract
  • 1(c)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1 (d)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fine dust-derived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bulb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2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2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ure 2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2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vulgaris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3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3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cab flower extract;
  • Figure 3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ranesbill extract;
  • Figure 3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buddha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4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4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ure 4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4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5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in lung cancer cells according to fine dust treatment.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protective effect from fine dust-derived cell death on respiratory-related cells of goldenrod extract, scab flower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6 (a) is a graph showing the cell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geumbulcho extract
  • Figure 6 (b) is a graph showing the cytoprotective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ure 6 (c) is a graph showing the cell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fine dust-derived IL-8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eumbulcho extract, Scotch flower extract, Cranes plant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in respiratory-related cells:
  • Figure 7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7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 7(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 japonicus;
  • FIG. 7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ansam vine.
  • FIG. 8 is a diagram showing an experimental process for an in vivo experiment.
  •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 , CXCL-1, MIP2, IL-17, and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eumbulcho extract and Scatosa extract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s:
  • Figure 9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XCL-1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MIP2 according to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extracts of Geumbulcho and extracts of Tabernacle;
  • Figure 9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7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goldenrod extract and the calabash extract.
  • FIG. 10 is a graph showing the mRNA expression levels of MUC5AC, TRPV1, CXCL-1, TNF-a, and COX-2 according to treatment with extracts of ginseng chinensis and extracts of scabbard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s:
  • Figure 10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MUC5AC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gold vulgaris extract and scabium extract
  • Figure 10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RPV1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Scatosa
  • Figure 10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XCL-1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xtracts of gold buddha plant and extracts of scabbard
  • Figure 10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a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inseng chinensis and the extract of scabium chinensis
  • Figure 10 (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10 (f)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NOS-II mRNA according to the
  • Figure 11 shows the results showing the total neutrophil cell count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chinensis chinensis extract and scabium extract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
  • Figure 11 (a) is a graph showing the total neutrophil cell number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Scatosa; And Figure 11 (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total neutrophil cell number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burrito extract and scabium extract.
  •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n lung tissue damag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
  • the dried product completely dried was pulverized using a homogenizer, and 30 g of the pulverized product was added to 900 g of an extraction solvent in which ethanol and distilled water were mixed at a weight ratio of 3:7. At this time, the mixing ratio of the pulverized material and the extraction solvent was set to 30 times the weight ratio.
  • the extraction solvent mixed with the pulverized product was placed in a shaking water bath and extracted with stirring at 60° C. for 5 hours. Then, insoluble substances were removed from the material obtained by extraction using Whatman (No. 2) extraction solvent filter paper at room temperature.
  • the extract was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in a distillation apparatus equipped with a cooling condenser to completely remove the extraction solvent to obtain extracts of sagebrush, calico, cranesbill and Korean ginseng, respectively.
  • SOD Determination kit (Sigma, MO, USA) was used to confirm the superoxide disproportionate activity of the Geumbulcho extract, scabbit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of Example 1.
  • macrophage RAW264.7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the RAW264.7 cells were mixed with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 cultured in a medium at 5% CO 2 and 37°C. Then, the cultured cells were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8.0 ⁇ 10 5 cells/1.5 ml/well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200 ⁇ g/ml of fine dust (PM10) in DMEM to induce an inflammatory reaction. And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 PM10 fine dust
  • 1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an extract of gold buddha, an extract of scab, an extract of cranesbill, or an extract of hansam vine:
  • Figure 1 (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reatment of the goldenrod extract
  • Figure 1 (b)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1(c)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1 (d)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NO produc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Hansam vine treatment.
  • IL-1 ⁇ IL-1 ⁇ derived from fine dust of the goldenrod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and hansam vine extract of Example 1.
  •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was measured using an ELISA kit (Invitrogen, CA , USA).
  • RAW264.7 cells which are macrophage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the RAW264.7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 °C conditions were incubated. Then, RAW264.7 cells were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8.0 ⁇ 10 5 cells/1.5 ml/well for 24 hours, and 200 ⁇ g/ml of fine dust (PM10) was then treated with DMEM to induce an inflammatory reaction. And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24 hours, IL-1 ⁇ in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culture medium was quantified using an ELISA ki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fine dust-derived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bulb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2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2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scotch extract;
  • Figure 2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2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the above results mean that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ffective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IL-1 ⁇ , thereby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 TNF- ⁇ tumor necrosis factor- ⁇
  • RAW264.7 cells which are macrophage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the RAW264.7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 °C conditions were incubated. Then, RAW264.7 cells were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8.0 ⁇ 10 5 cells/1.5 ml/well for 24 hours, and 200 ⁇ g/ml of fine dust (PM10) was then treated with DMEM to induce an inflammatory reaction. And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24 hours, TNF- ⁇ in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culture medium was quantified using an ELISA ki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3 .
  • Figure 3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vulgaris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3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geupbulcho extract
  • Figure 3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each concentration of the scotch extract
  • Figure 3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ranesbill extract
  • Figure 3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the goldenrod extract, the scab flower extract, the cranesbill extract, and the hansam vine extract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xpression of TNF- ⁇ .
  • the extract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 ppm in each extract,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TNF- ⁇ was reduced to a level of 60 to 80% compared to the untreated control group.
  • the above results mean that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ffectively inhibits the expression of TNF- ⁇ , thereby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 macrophage RAW264.7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maintain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 ° C. cultured.
  • RAW264.7 cells were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8.0 ⁇ 10 5 cells/2.0 ml/well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200 ⁇ g/ml of fine dust (PM10) in DMEM to induce an inflammatory reaction.
  • PM10 fine dust
  •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 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synthesized into cDNA,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performed using a target template (primer) to finally evaluate the level of COX-2 gene express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4 .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derived from fine dust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old buddha extract, scab flower extract, cranesbill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4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4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each concentration of the scotch extract;
  • Figure 4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bill;
  • Figure 4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the above results mean that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ffectively inhibits COX-2 expression, thereby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lung cancer cells A549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C. And A549 cells were stabilized in a 9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2 ⁇ 10 4 cells/200 ⁇ l/well for 24 hours. Thereafter, fine dust (PM10) was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each, 3.12, 6.25, 12.5, 25, 50 or 100 ⁇ g/ml) and cultured for 24 hours.
  •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 PM10 fine dust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More specifically, each cell was treated with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olution to reach a final concentration of 0.5 mg/ml and incubated for 4 hours. After that, the solution was completely removed, and the absorbance of the plate dissolved in DMSO (dimethyl sulfoxide) was measured at 590 nm.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5 is a graph showing cell viability in lung cancer cells according to fine dust treatment.
  • A549 cells which are lung cancer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the A549 cells were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C. conditions were cultivated. Then, A549 cells were attached to a 9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1.2 ⁇ 10 4 cells/200 ⁇ l/well for 24 hours, and then treated with 100 ⁇ g/ml of fine dust (PM10) in DMEM. Then,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 PM10 fine dust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More specifically, each cell was treated with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solution to reach a final concentration of 0.5 mg/ml and incubated for 4 hours. After that, the solution was completely removed and the absorbance of the plate dissolved in DMSO was measured at 590 nm.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protective effect from fine dust-derived cell death on respiratory-related cells of goldenrod extract, scab flower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 Figure 6 (a) is a graph showing the cell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geumbulcho extract
  • Figure 6 (b) is a graph showing the cytoprotective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ure 6 (c) is a graph showing the cell prote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Hansam vine.
  • the above result means that in the case of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cytotoxicity caused by fine dust and significantly improving the survival rate of respiratory-related cell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 lung cancer cells were obtained from th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 and cultur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FBS and 1% antibiotic-antimycotic at 5% CO 2 and 37°C. .
  • A549 cells were attached to a 6-well plate at a concentration of 8.0 ⁇ 10 5 cells/2.0 ml/well for 24 hours, and DMEM was treated with 100 ⁇ g/ml of fine dust (PM10) to induce an inflammatory reaction.
  • PM10 fine dust
  • each extract of Example 1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0, 25, 50 or 100 ppm and cultured for 24 hours.
  • RNA was extracted from the cells, synthesized into cDNA,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was performed using a target template (primer) to finally evaluate the level of IL-8 mRNA gene express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7 was
  • Figure 7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fine dust-derived IL-8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eumbulcho extract, Scotch flower extract, Cranes plant extract, or Hansam vine extract in respiratory-related cells:
  • Figure 7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 Figure 7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calabash extract;
  • Fig. 7(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Cranes japonicum;
  • Figure 7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8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Hansam vine by concentration.
  • the expression of the inflammatory cytokine IL-8 mRNA which in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fine dust in lung cancer cell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inseng chinensis, the extract of the calico flower, the extract of cranesbill, and the extract of Korean ginseng vine. Confirmed. Specifically, when each extract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100 ppm, it was confirmed that the inhibitory effect of IL-8 mRNA expression was about 50 to 80% or more compared to the extract untreated control group.
  • the above result means that in the case of the extrac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by effectivel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IL-8 induced by fine dust in respiratory cells-related cells,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caused by fine dust.
  • mice 7-week-old male Balb/c mice were set into 7 groups as follows, and 8 mice per group were tested.
  • the experimental group was a group in which 200 mg/kg and 100 mg/kg of scab flower extract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ice with respiratory damage (rPM10_scortica 200mg/kg, rPM10_scortica 100mg/kg), and 200 mg/kg of geumbulcho extract, respectively.
  • 100mg/kg orally administered groups rPM10_Geumbulcho 200mg/kg, rPM10_Geumbulcho 100mg/kg were placed.
  • Intra-Nazal-Tracheal Using the injection method, 3 times at 3-day intervals (intra-nasaltracheal injection after 3 days, 6 days, and 9 days after drug administration) was injected directly into the lungs through the airway to create an animal model with respiratory damage, and injected the final fine dust mixture. They were sacrificed after 3 days.
  • IL-1 ⁇ IL-1 ⁇
  • CXCL-1 C-X-C Motif Chemokine Ligand 1
  • MIP2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 BALF bronchial alveolar lavage fluid
  • IL-17 and TNF- ⁇ expression inhibitory effect was measured using an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was separated from the bronchi of the mouse through bronchial lavage, and IL-1 ⁇ , CXCL-1, MIP2, IL-17, and TNF- ⁇ were analyzed and quantified using an ELISA kit,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9 shown in
  • Figure 9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IL-1 ⁇ , CXCL-1, MIP2, IL-17, and TNF- ⁇ according to treatment with Geumbulcho extract and Scatosa extract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
  • Figure 9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XCL-1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MIP2 according to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extracts of Geumbulcho and extracts of Tabernacle;
  • Figure 9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IL-17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9 (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goldenrod extract and the calabash extract.
  • MUC5AC mRNA, TRPV1 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mRNA, CXCL-1 mRNA, TNF- ⁇ mRNA, COX, which are respiratory/cough-related genes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Scotch flower of Example 1.
  • -2 mRNA, NOS-II (Nitric oxide synthase II) mRNA expression inhibition effect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NOS-II mRNA expression levels was confirmed using real-time-PCR.
  • lung tissue was extracted after RNA isolation using a TRIzol reagent solution (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After adding RTase, Dntp, BUFFER, and Oligo-Dt to the extracted RNA, cDNA was synthesized by reacting in a 42 °C water bath for 2 hours. After adding 2 ⁇ SYBR green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Grand Island, NY, USA), 200 nM primers, and rox dye to the synthesized cDNA, each cycle was performed at 95°C for 15 sec, 55°C for 15 sec, and 72°C for 15 sec.
  • PCR was performed using an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Grand Island, NY, USA). The expression of each gene was compared and analyzed for relative quantitative values using the housekeeping gene glyceraldehyde-3-phosphatedehydrogenase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GPDH housekeeping gene
  • Figure 10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and NOS-II mRNA according to treatment with extracts of ginseng chinensis and extracts of scabium in respiratory-related cells:
  • Figure 10 (a)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MUC5AC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gold vulgaris extract and scabium extract
  • Figure 10 (b)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RPV1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concentrations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Scatosa
  • Figure 10 (c)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XCL-1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extracts of gold buddha plant and extracts of scabbard
  • Figure 10 (d)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TNF- ⁇ mRNA according to the treatment by concentration of the extract of ginseng chinensis and the extract of scabium chinensis
  • Figure 10 (e)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COX-2 mRNA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Tabernacle
  • Figure 10 (f) is a graph showing the expression level of NOS-II mRNA according to
  • the respiratory / cough related genes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NOS-II mRNA compared to the respiratory injury group in the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the extract of Geumbulcho and the extract of Scatosa.
  • the lung tissue was fixed in 10% neutral buffered formalin for 24 hours, dehydrated with graded alcohol, embedded in paraffin to make a block, and using a microtome to make a 4 ⁇ m-thick tissue Sections were obtained and subjected to hematoxylin & eosin (H&E) staining and Masson's trichrome (M-T) staining, and then observed under optical microscope magnification.
  • H&E hematoxylin & eosin
  • M-T Masson's trichrome
  • Figure 12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ffect on lung tissue damage according to the treatment of geumbulcho extract, scab flower extract in PM10D-induced respiratory injury animal model.
  • Tablet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extracts of Example 1 in the component ratios shown in Table 2 below, and tableting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ablet manufacturing method.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pared tablets were stable under all test conditions of the formulation examples.
  •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Golden Buddha Extract 50 scabble extract 50 cranesbill extract 50 Korean ginseng vine extract 5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lactose 100 lactose 100 lactose 100 lactose 100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 Example 1 The extracts of Example 1 were mixed in the ingredient ratios shown in Table 3 below, and filled in gelatin capsules to prepare soft capsules. The prepared capsules were confirmed to be stable in all formulation test conditions.
  •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mg) Golden Buddha Extract 50 scabble extract 50 cranesbill extract 50 Hansam Vine Extract 5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corn starch 100 lactose 100 lactose 100 lactose 100 lactose 100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stearic acid 2
  • Example 1 The extract of Example 1 was mixed in the ingredient ratio shown in Table 4 below, and filled into a bottle or pouch according to a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suitable for taste to prepare a liquid formul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pared liquid preparation was stable under all formulation example test conditions.
  • the extract of Example 1. was mixed in the composition ratio shown in Table 5 below, and the jelly was prepared by filling a three-sided cloth according to a jelly manufacturing method suitable for the taste. The prepared jelly was confirmed to be stable under all formulation test conditions.
  •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g) raw material name unit weight (g) Golden Buddha Extract 2.0000 scabble extract 2.0000 cranesbill extract 2.0000 Hansam Vine Extract 2.0000 food gel 0.3600 food gel 0.3600 food gel 0.3600 food gel 0.3600 carrageenan 0.0600 carrageenan 0.0600 carrageenan 0.0600 carrageenan 0.06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calcium lactate 0.1000 sodium citrate 0.0600 sodium citrate 0.0600 sodium citrate 0.0600 complex gold extract 0.0200 complex gold extract 0.0200 complex gold extract 0.0200 complex gold extract 0.0200 Enzymatically Treated Stevia 0.0440 Enzymatically Treated Stevia 0.0440 Enzymatically Treated Stevia 0.0440 fructooligosaccharide solution 5.0000 fructooligosaccharide solution 5.0000 fructooli
  • composition ratios of Preparation Examples 1 to 4 were generally prepared as formulation examples by mixing suitable ingredients, but the mixing ratio and raw materials may be arbitrarily changed as need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초과산화물분균등화효소(SOD)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호흡기 관련 세포의 세포 치사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을 완화시켜, 호흡기 질환 예방, 개발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particulate matter: PM)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질로 대기 중에 오랫동안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이며, 입자의 직경이 10 ㎛ 이하인 먼지를 미세먼지(PM10), 2.5 ㎛ 이하인 먼지는 초미세먼지라고 한다.
미세먼지의 발생원은 흙, 식물의 꽃가루 등의 자연 발생원과 연료의 연소나 자동차 배출가스 등의 인위적인 발생원으로 나눌 수 있다. 미세먼지의 크기와 성분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며, 입자의 크기, 표면적, 화학적 조성이 건강 영향을 결정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산하 국제 암 연구소는 지름 10 ㎛ 이하의 먼지인 미세먼지가 사람에게 충분한 발암 근거가 명확하다고 보고 하며 미세먼지를 흡연과 같이 1급 발암물질로 규정하였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의 노출은 심장 및 폐 관련 질환 등을 발생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사망 증가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천식 발작, 급성 기관지염, 부정맥과 같은 증상을 악화시키고 장기적으로는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폐암 발생의 위험이 증가한다.
식물유래 소재는 안전성 측면에서 우수하여 오랫동안 이용되었으며, 특히 국 내의 경우 민간에서 이용되거나 혹은 한방에서 이용되는 식물 및 생약성분을 주로 한 기능성 소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식물 추출물들의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 치료에 대한 용도는 알려지지 않았으며, 그에 대한 기전 연구도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추출물들이 가지는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 치료에 대한 직접적인 효능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에 의해 자극된 호흡기를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노력한 결과, 식물 추출물이 초과산화물분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세포 치사에 대해 보호 효과를 나타내고, 미세먼지에 의해 유발된 염증을 완화하며, 결과적으로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금불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이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상기 딱지꽃은 장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순, 잎이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상기 이질풀은 쥐손이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잎이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상기 한삼덩굴은 삼과에 속하는 덩굴성 일년생 초본식물로, 식약처에서 고시한 식품원재료에 순, 잎이 식용가능부위로 명시되어 있는 식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MUC5AC,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CXCL-1(C-X-C Motif Chemokine Ligand 1), IL-1α, MIP2(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2), IL-17, Interleukin-1β(IL-1β), IL-8 및 Tumor necrosis factor-α(TNF-α) 및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2(cyclooxygenase-2: COX-2)와 같은 호흡기/기침 관련 유전자 또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고, 염증 매개 인자인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억제시킴으로써,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염증은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SOD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염증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SOD는 초과 산화이온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바꿔 주는 불균등화 반응을 촉매함으로서, 생체에 과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기관지 내 항산화능을 개선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염증은 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예방(prevention)"은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의 발병 또는 재발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지연시키거나 방지하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 또는 재획득을 막거나, 질환 또는 장애의 획득의 위험을 감소시키는 것을 총칭한다. 상기 예방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로 염증 또는 염증 관련 질환, 장애, 또는 증상의 발생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개선"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치료"는 질환, 장애, 또는 그의 부수적 증상이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말한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미세먼지"는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오존, 일산화탄소,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 및 다양한 유해 중금속을 포함하는 대기오염 물질로서, 눈에 보이지 않는 작은 물질로 입경이 10 ㎛ 이하의 물질인 미세먼지와 2.5 ㎛ 이하의 물질인 초미세먼지를 모두 포함하며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 연소에 의한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 현장 등에서 발생하는 비산먼지 및 소각장 연기 등이 발생원으로 작용한다. 1차적 발생은 고체상태의 미세먼지로 나타나고 2차적 발생은 가스상태의 물질이 공기 중의 다른 물질과 화학반응 일으켜 미세먼지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알레르기 비염, 부비강염, 상기도 감염증, 하기도 감염증,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후유중,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폐섬유중, 천식, 폐기종, 인후염, 후두염 및 편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미세먼지에 의해 상기 호흡기 질환이 발생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0.1 중량% 내지 5 중량%, 1 중량% 내지 50 중량%, 1 중량% 내지 40 중량%, 2 중량% 내지 40 중량%, 3 중량% 내지 30 중량% 4 중량% 내지 30 중량%, 5 중량% 내지 30 중량%, 5 중량% 내지 20 중량%, 5 중량% 내지 18 중량%, 6 중량% 내지 15 중량%, 8 중량% 내지 15 중량% 또는 7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또는 한삼덩굴의 전초, 뿌리, 줄기, 가지, 잎,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추출에 사용된 상기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또는 한삼덩굴의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는 분쇄 또는 세절되거나 적당하게 건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얻기 위한 추출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공지된 추출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침법, 가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가압추출법, 환류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전기적 추출법 등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추출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추출 후, 당업계에 공지된 여과 및/또는 농축 및/또는 동결건조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추출물의 건조물 또는 농축물은 상기와 같이 공지된 방법으로 건조 또는 농축된 것을 의미한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내지 C6 알코올, 예를 들면 C1 내지 C4 알코올일 수 있다. C1 내지 C6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은 각 추출물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부피 또는 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부피/중량)배, 3 내지 5(부피/중량)배, 5 내지 10(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부피/중량)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즉 알코올 수용액일 수 있으며, 예들 들면,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알코올 수용액에서 알코올의 농도는 1 내지 99.5 (v/v)%,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 (v/v)%, 5 내지 25 (v/v)%, 7 내지 20 (v/v)%, 5 내지 25 (v/v)%, 또는 10 내지 20 (v/v)%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건강보조의 목적으로 특정성분을 원료로 하거나 식품 원료에 들어있는 특정성분을 추출, 농축, 정제, 혼합 등의 방법으로 제조, 가공한 식품을 말하며, 상기 성분에 의해 생체방어, 생체리듬의 조절, 질병의 방지와 회복 등 생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가공된 식품을 말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손상의 예방 및 개선 등과 관련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껌, 캔디류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감미제,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미제는 천연감미제 또는 합성 감미제일 수 있다. 천연감미제는 타우마틴(taumatin) 또는 스테비아(stevia) 추출물일 수 있고, 합성감미제는 사카린(saccharin) 또는 아스파르탐(aspartame)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모노사카라이드(monosaccharide), 디사카라이드(disaccharide), 폴리사카라이드(polysaccharide), 자일리톨(xylitol), 소르비톨(sorbitol) 또는 에리트리톨(erythritol)일 수 있다. 상기 모노사카라이드는 포도당 또는 과당일 수 있고, 디사카라이드는 말토오스(maltose) 또는 수크로오스(sucrose)일 수 있다. 폴리사카라이드는 덱스트린(dextrin) 또는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일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0.01 내지 10 g, 예를 들면, 약 0.01 내지 0.1 g일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다른 양상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상은 유효량의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 및 호흡기 질환은 상기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로 이루어지는 군중에서 선택된 제제로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붕해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pH 조절제,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알긴산 및 그의 염, 펙트산 및 그의 염, 보호성 콜로라이드, 글리세린, 향료, 유화제 또는 방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담체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덱스트린, 칼슘카보네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리퀴드 파라핀 및 생리식염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사용방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포유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정제, 연질 또는 경질 캡슐제, 환제, 산제, 현탁화제, 시럽제, 주사제 및 과립제 등이 포함되고, 이러한 제제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는 크림, 로션제, 연고제, 경고제, 액제, 에어로솔제, 유동엑스제, 엘릭서, 침제, 향낭, 패취제 또는 주사제 등일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임의의 동물에 적용 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치료,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방법, 복용자의 연령, 성별, 환자의 중증도, 상태, 체내에서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률 및 병용되는 약물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며, 1일 유효성분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0.1 mg/kg(체중) 내지 500 mg/kg(체중), 0.1 mg/kg(체중) 내지 400 mg/kg(체중) 또는 1 mg/kg(체중) 내지 300 mg/kg(체중)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양상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 및 호흡기 질환은 상기한 바와 같다.
용어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섬유, 고무제품 또는 이와 유사한 것, 인체에 대한 작용이 약하거나 인체에 직접 작용하지 아니며, 기구 또는 기계가 아닌 것과 이와 유사한 것, 감염 예방을 위하여 살균, 살충 및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제제 중 하나에 해당하는 물품으로서, 사람이나 동물의 상태 또는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을 의미하며, 피부 외용제 및 개인위생용품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의약외품 조성물에 첨가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개인위생용품, 피부외용제, 가습기 충진제, 마스크, 연고제 또는 필터충진제 등일 수 있다. 상기 개인위생용품은 비누, 물티슈, 휴지, 샴푸, 치약, 모발 손질 제품, 에어프레쉬너 겔 또는 세정 겔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초과산화물분균등화효소(SOD)의 활성을 증가시키고, 호흡기 관련 세포의 세포 치사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내며, 염증을 완화시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NO 생성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1(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2(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2(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3(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3(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4(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4(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미세먼지 처리에 따른 폐암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호흡기 관련 세포에 대한 미세먼지로 유래된 세포 치사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며; 및 도 6(c)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호흡기 관련 세포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7(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7(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8은 인 비보(in vivo) 실험을 위한 실험과정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9는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L-1α, CXCL-1, MIP2, IL-17, TNF-α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b)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XCL-1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c)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MIP2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d)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7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및 도 9(e)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MUC5AC, TRPV1, CXCL-1, TNF-a, COX-2 mRNA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MUC5AC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b)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RPV1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c)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XCL-1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d)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a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e)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10(f)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S-II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총 호중구 세포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이다:
도 11(a)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총 호중구 세포수 억제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11(b)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총 호중구 세포수 억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는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폐 조직 손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제조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자생하는 식물인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을 구입하여 증류수로 세척한 다음, 햇빛이 없는 서늘한 곳에서 중량의 변화가 없을 때까지 완전히 건조시켰다.
그리고 완전히 건조된 상기 건조물을 균질화기를 사용하여 분쇄한 다음, 상기 분쇄물 30 g을 에탄올 및 증류수를 3:7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 900 g에 첨가하였다. 이때, 분쇄물 및 추출용매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30 배수로 설정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분쇄물과 혼합한 추출 용매를 진탕 항온 수조에 넣어서 60℃로 5시간 동안 교반추출하였다. 그리고 추출에 의해 얻어진 물질을 상온에서 와트만(No. 2) 추출 용매 여과지를 사용하여 불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추출물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증류장치에서 감압농축 하여 추출 용매를 완전히 제거하여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을 각각 수득하였다.
실험예 1.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 활성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초과산화물불균등화효소 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SOD Determination kit(Sigma, MO, USA)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1.의 각 추출물을 각각 희석한 후 20 ㎕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하고, 200 ㎕의 WST(Water-soluble tetrazolium salt) 용액과 20 ㎕의 효소반응 액을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웰 플레이트를 37 ℃에서 20 분동안 처리한 후, microplate reader(BioTek, VT, USA)를 이용하여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SOD 효소 활성률을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식 1]
(1-(시험군 흡광도-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공시료액 흡광도))X100
그리고, 각 추출물의 농도별 SOD 효소 활성률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농도 금불초 추출물의 SOD 효소 활성률 (%) 딱지꽃 추출물의 SOD 효소 활성률 (%) 이질풀 추출물의 SOD 효소 활성률 (%) 한삼덩굴 추출물의 SOD 효소 활성률 (%)
50 ppm 48.80 75.70 92.40 29.50
100 ppm 78.90 83.10 95.60 52.60
200 ppm 105.20 80.10 95.10 73.10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섬덩굴의 추출물 모두 SOD 효과적인 효소 활성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그 중에서도 딱지꽃 추출물 및 이질풀 추출물이 적은 농도로도 높은 SOD 효소 활성률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SOD가 초과 산화이온을 산소와 과산화수소로 바꿔 주는 불균등화 반응을 촉매함으로서, 생체에 과잉의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기관지 내 항산화능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높은 SOD 효소 활성도로 인해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 생성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NO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미세먼지로 염증 반응을 일으킨 후 NO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RAW264.7 세포를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한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8.0 × 105 cells/1.5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200 ㎍/ml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켰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다음으로, 배양 상등액을 100 ㎕씩 96 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Griess(0.1% N-(1-naphtyl) ethylenediamine, 1% sulfanilamide) 시약 100 ㎕를 혼합하고 10 분 동안 반응시킨 뒤, 발색 azo-유도체 분자의 흡광도를 540 nm에서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microplate reader, BioTek, Vermont, USA)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흡광도를 이용하여, 아질산 나트륨의 희석 범위를 각 샘플의 아질산염의 양으로 표준 곡선 변환하여 NO 생성량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 생성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섬덩굴의 추출물은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NO 생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NO 생성량이 미세먼지를 미처리한 대조군의 수준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NO 생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IL-1β 발현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IL-1β의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IL-1β의 발현량을 ELISA kit(Invitrogen,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RAW264.7 세포를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8.0 Х 105 cells/1.5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200 ㎍/ml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켰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IL-1β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2(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β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은 모두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적으로 IL-1β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미처리 대조군 대비 IL-1β의 발현을 60 내지 80 %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IL-1β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4.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TNF-α발현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의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TNF-α의 발현량을 ELISA kit(Invitrogen,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RAW264.7 세포를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8.0 Х 105 cells/1.5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200 ㎍/ml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켰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배양 배지를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의 TNF-α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3(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TNF-α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각 추출물 모두에서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미처리 대조군 대비 TNF-α의 발현을 60 내지 80 %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TNF-α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5.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COX-2 mRNA 발현 억제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COX-2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COX-2(cyclooxygenase-2) mRNA의 발현량을 실시간-PCR(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인 RAW264.7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RAW264.7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8.0 Х 105 cells/2.0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200 ㎍/ml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켰다. 그리고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내에서 RNA를 추출하여 cDNA로 합성하고, 타겟 주형(primer)을 사용하여 정량적 실시간-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COX-2 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4(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은 유의적으로 COX-2 mRNA의 발현을 저해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추출물 모두에서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미처리 대조군 대비 COX-2 mRNA의 발현을 60 내지 80 %의 수준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COX-2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여,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6. 폐암 세포에서의 미세먼지 처리에 의한 세포 독성 평가
폐암세포에서 미세먼지의 세포독성을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암세포인 A549 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A549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2 Х 104 cells/200㎕/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안정화시켰다. 이후 미세먼지(PM10)를 다양한 농도(각, 3.12, 6.25, 12.5, 25, 50 또는 100 ㎍/ml)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 정도를 측정하였다. 더 자세하게는, 최종적으로 0.5 mg/ml 농도가 될 수 있도록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용액을 각각의 세포에 처리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Dimethyl sulfoxide)로 용해시킨 플레이트를 590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도 5는 미세먼지 처리에 따른 폐암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세포 생존율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미세먼지를 100 ㎍/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미처리 대조군 대비 약 40 %가 감소한 약 60 %의 세포 생존율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미세먼지에 의해 손상된 폐암 세포에서 금불초, 딱지꽃 및 한삼덩굴 추출물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호흡기 관련 세포에 대하여 미세먼지로 인한 세포 치사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암세포인 A549 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상기 A549 세포를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A549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1.2 Х 104 cells/200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100 ㎍/ml를 처리하였다. 그 뒤,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를 통해 세포 생존 정도를 측정하였다. 더 자세하게는, 최종적으로 0.5 mg/ml 농도가 될 수 있도록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용액을 각각의 세포에 처리하고 4시간동안 배양한 후, 용액을 완전히 제거하고 DMSO로 용해시킨 플레이트를 590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도 6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호흡기 관련 세포에 대한 미세먼지로 유래된 세포 치사로부터의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6(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6(c)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세먼지의 처리에도 불고하고 각 추출물 모두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유의하게 호흡기 관련 세포 생존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미세먼지 100 ㎍/ml를 처리한 결과 미세먼지 미처리 대조군 대비 약 20 %가 감소한 약 80 %의 세포 생존율을 보였으나, 상기 미세먼지가 처리된 폐암 세포에 각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미세먼지 미처리 대조군 수준으로 세포 생존율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특히, 딱지꽃 추출물의 경우 25 ppm의 농도로도 미처리 대조군 수준으로 세포 생존율이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미세먼지에 의한 세포 독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호흡기 관련 세포의 생존율을 현저하게 개선시킴으로써,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8. 폐암 세포에서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유래된 IL-8 mRNA 발현 억제 효능 확인
호흡기 관련 세포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미세먼지로 인한 IL-8 mRNA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IL-8 mRNA의 발현량을 실시간-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암세포인 A549세포를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ATCC, MD, USA)로부터 수득하고, 10% FBS 및 1% antibiotic-antimycotic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5% CO2 및 37℃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A549 세포를 6 웰 플레이트에 8.0 Х 105 cells/2.0 ㎖/well의 농도로 24 시간 동안 부착시킨 후 DMEM에 미세먼지(PM10) 100 ㎍/ml를 처리하여 염증 반응을 일으켰다. 그 뒤, 실시예 1.의 각 추출물을 0, 25, 50 또는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세포 내에서 RNA를 추출하여 cDNA로 합성하고, 타겟 주형(primer)을 사용하여 정량적 실시간-PCR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IL-8 mRNA유전자 발현 정도를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은 호흡기 관련 세포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또는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미세먼지로 유래된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a)는 금불초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7(b)는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c)는 이질풀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d)는 한삼덩굴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8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암 세포에서 미세먼지의 처리에 따라 증가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IL-8 mRNA의 발현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이질풀 추출물 및 한삼덩굴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추출물을 100 ppm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 추출물 미처리 대조군 대비 약 50 내지 80 % 이상의 IL-8 mRNA 발현 억제 효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일 구체예에 따른 추출물의 경우, 호흡기 관련 세포에서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IL-8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9. 금불초, 딱지꽃 추출물의 생체 내 (in vivo) 효과 분석
9.1.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 제작 및 실험 디자인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생체 내 미세먼지 호흡기에 대한 효능을 분석하기 위해 먼저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을 제작하였다.
7주령된 수컷 Balb/c 마우스를 다음과 같이 7개 군으로 설정하여 각 군당 8마리씩 실험하였고, 외관 상태, 행동, 모발 상태, 호흡 상태 등 마우스의 전반적인 상태를 매일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 미세먼지혼합물로 호흡기 손상을 유도하지 않은 일반 마우스 군(rBalb/c Normal)과 미세먼지혼합물로 호흡기 손상을 유도하고 아무것도 투여하지 않은 마우스 군(rPM10_CTL)을 각각 두고, 호흡기 손상 유도된 마우스에 Dexamethasone 3mg/kg를 적용한 마우스 군(rPM10_Dexa 3mg/kg)을 양성대조군으로는 하였다. 실험군으로는 호흡기 손상 마우스에 딱지꽃 추출물을 각각 200 mg/kg, 100mg/kg 경구투여한 군(rPM10_딱지꽃 200mg/kg, rPM10_딱지꽃 100mg/kg), 금불초 추출물을 각각 200 mg/kg, 100mg/kg 경구투여한 군(rPM10_금불초 200mg/kg, rPM10_금불초 100mg/kg)을 두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흡기 손상 미세먼지(PM10)와 Disel exhaust particles (DEP)를 일정 농도로 혼합하여 4mg/ml 미세먼지혼합물 (PM10D)을 Aluminium hydroxide에 희석시켜 Intra-Nazal-Tracheal (INT) injection 방법을 이용하여 3일 간격으로 3회 (약물투여 3일 후, 6일 후, 9일 후 intra-nasaltracheal injection) 기도를 통해 폐로 직접 주입하여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을 제작하고, 최종 미세먼지 혼합물 주입 3일 후 희생시켰다.
9.2.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IL-1α, CXCL-1, MIP2, IL-17, TNF-α 발현 억제 효능 확인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의 기관지 페포 세척액(BAL fluid; BALF)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IL-1α, CXCL-1(C-X-C Motif Chemokine Ligand 1), MIP2(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2), IL-17, TNF-α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ELISA kit(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기관지 세척을 통해 마우스의 기관지로부터 기관지 폐포 세척액을 분리하였으며, 이를 이용해 IL-1α, CXCL-1, MIP2, IL-17, TNF-α를 ELISA kit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정량하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는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IL-1α, CXCL-1, MIP2, IL-17, TNF-α 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a)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9(b)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XCL-1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9(c)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MIP2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9(d)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IL-17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및 도 9(e)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호흡기 손상군에 비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α, CXCL-1, MIP2, IL-17, TNF-α의 발현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경우,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IL-1α, CXCL-1, MIP2, IL-17, TNF-α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9.3.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MUC5AC, TRPV1, CXCL-1, TNF-α, COX-2 mRNA 발현 억제 효능 확인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상기 실시예 1.의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호흡기/기침 관련 유전자인 MUC5AC mRNA,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mRNA, CXCL-1 mRNA, TNF-α mRNA, COX-2 mRNA, NOS-II(Nitric oxide synthase II) mRNA 발현 억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NOS-II mRNA 의 발현량을 실시간-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폐 조직을 TRIzol reagent 용액(Thermo 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을 이용하여 RNA 분리 후 추출하였다. 추출한 RNA를 RTase, Dntp, BUFFER, Oligo-Dt를 넣은 후 42 ℃ water bath에서 2 시간 동안 반응시켜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에 2 Х SYBR green PCR Master Mix (Applied Biosystems, Grand Island, NY, USA), 200 nM primers, rox dye를 넣은 후 각 cycle은 95℃ 15초, 55℃ 15초, 72℃ 15초의 조건으로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Grand Island, NY, USA)를 이용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각 유전자의 발현은 housekeeping 유전자 glyceraldehyde-3-phosphatedehydrogenase (GAPDH)를 internal control로 사용하여 상대적 정량 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 10은 호흡기 관련 세포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 처리에 따른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NOS-II mRNA 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a)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MUC5AC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b)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RPV1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c)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XCL-1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0(d)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TNF-α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10(e)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COX-2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및 도 10(f)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농도별 처리에 따른 NOS-II mRNA의 발현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호흡기 손상군에 비해 호흡기/기침 관련 유전자 MUC5AC mRNA, TRPV1 mRNA, CXCL-1 mRNA, TNF-a mRNA, COX-2 mRNA, NOS-II mRNA 의 발현이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경우,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MUC5AC, TRPV1, CXCL-1, TNF-a, COX-2, NOS-II mRNA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9.4.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폐 조직 손상에 대한 효능 확인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폐조직 손상에 대한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광학현미경(Light microscope, Nikon, Japan)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폐손상의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폐조직을 10% Neutral buffered formalin에 24시간 동안 고정시킨 뒤, graded alcohol로 탈수시키고 파라핀에 포매하여 block을 제작한 뒤, Microtome을 이용하여 4μm두께로 조직 절편을 얻어 hematoxylin & eosin (H&E)염색과 Masson's trichrome(M-T)염색을 실시한 다음 광학현미경 배율에서 관찰하였다.
도 12는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른 폐조직 손상에 대한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동물 모델에서 호흡기 손상군에 비해 미세먼지 복합물의 침착, 기도의 두께, 염증면역세포의 침윤과 과립구세포, 활성화된 대식세포, 콜라겐 침착 및 침윤정도가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처리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금불초 추출물, 딱지꽃 추출물의 경우, PM10D 유도 호흡기 손상 모델에서 미세먼지 복합물의 침착, 기도의 두께, 염증면역세포의 침윤과 과립구세포, 활성화된 대식세포, 콜라겐 침착 침윤정도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으로써,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제조예 1.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2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통상의 정제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정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금불초 추출물 50 딱지꽃 추출물 50 이질풀 추출물 50 한삼덩굴추출물 5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유당 100 유당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제조예 2. 캡슐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3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연질캡슐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캡슐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원료명 단위중량 (mg)
금불초 추출물 50 딱지꽃 추출물 50 이질풀 추출물 50 한삼덩굴 추출물 5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옥수수 전분 100
유당 100 유당 100 유당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스테아린산 2
제조예 3. 액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4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기호에 적합한 음료 제조방법에 따라서 과병 또는 파우치에 충전하여 액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액제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금불초 추출물 2.5050 딱지꽃 추출물 2.5050 이질풀 추출물 2.5050 한삼덩굴 추출물 2.5050
산탄검 0.0075 산탄검 0.0075 산탄검 0.0075 산탄검 0.0075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프락토올리고당액 0.7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코코넛꽃진액분말 1.0500
쌍화농축액 1.5000 쌍화농축액 1.5000 쌍화농축액 1.5000 쌍화농축액 1.5000
홍삼향 0.0450 홍삼향 0.0450 홍삼향 0.0450 홍삼향 0.0450
정제수 9.1425 정제수 9.1425 정제수 9.1425 정제수 9.1425
제조예 4. 젤리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추출물을 하기 표 5의 성분비로 혼합하고, 기호에 적합한 젤리 제조방법에 따라서 삼면포에 충전하여 젤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젤리는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원료명 단위중량 (g)
금불초 추출물 2.0000 딱지꽃 추출물 2.0000 이질풀 추출물 2.0000 한삼덩굴 추출물 2.0000
푸드겔 0.3600 푸드겔 0.3600 푸드겔 0.3600 푸드겔 0.3600
카라기난 0.0600 카라기난 0.0600 카라기난 0.0600 카라기난 0.0600
젖산칼슘 0.1000 젖산칼슘 0.1000 젖산칼슘 0.1000 젖산칼슘 0.1000
구연산나트륨 0.0600 구연산나트륨 0.0600 구연산나트륨 0.0600 구연산나트륨 0.06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복합황금추출물 0.020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효소처리스테비아 0.044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프락토올리고당액 5.0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적포도농축액 2.4000
정제수 13.9560 정제수 13.9560 정제수 13.9560 정제수 13.9560
상기 제조예 1 내지 4의 조성비는 일반적으로 적합한 성분을 혼합하여 제형예로 조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 그 배합비 및 원료를 임의로 변경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든 제형예 시험 조건에서 안정하므로 제형의 안정성에는 문제가 없었다.

Claims (14)

  1.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MUC5AC, TRPV1, CXCL-1, IL-1α, MIP2, IL-17, IL-1β, IL-8, TNF-α및 COX-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발현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초과산화물 불균등화효소(superoxide dismutase: SOD)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호흡기 염증성 폐질환, 만성 폐쇄성 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알레르기 비염, 부비강염, 상기도 감염증, 하기도 감염증, 만성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렴, 폐결핵 후유중, 급성 호흡 궁박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중이염, 폐섬유중, 천식, 폐기종, 인후염, 후두염 및 편도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01 중량% 내지 99.0 중량%로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금불초, 딱지꽃, 이질풀 또는 한삼덩굴의 전초, 뿌리, 줄기, 가지, 잎, 종자 및 열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것에서 추출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된 것인,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환제, 겔, 젤리, 현탁액, 에멀젼, 시럽제, 티백제, 침출차, 껌, 캔디류 및 건강 음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2.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 또는 예방용 의약외품 조성물.
  13. 유효량의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그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 방법.
  14. 금불초(Inula japonica) 추출물, 딱지꽃(Potentilla chinensis) 추출물, 이질풀(Geranium nepalense) 추출물 및 한삼덩굴(Humulus japonicas)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용도.
PCT/KR2023/000527 2022-01-14 2023-01-11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36613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5889 2022-01-14
KR1020220005889A KR20230109975A (ko) 2022-01-14 2022-01-14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6613A1 true WO2023136613A1 (ko) 2023-07-20

Family

ID=87279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527 WO2023136613A1 (ko) 2022-01-14 2023-01-11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09975A (ko)
WO (1) WO2023136613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652A (ko) * 2013-02-21 2014-08-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210089104A (ko) * 2020-01-07 2021-07-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781A (ko) 2020-03-20 2021-09-29 주식회사 휴럼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손상을 예방 및 개선하는 손바닥선인장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652A (ko) * 2013-02-21 2014-08-29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딱지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20210089104A (ko) * 2020-01-07 2021-07-15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참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초미세먼지로 인한 염증성 폐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NONYMOUS: "Dysentery (Hyeoncho, hand-leaf plant, forked-leaf plant, mountain-hand-leaf plant, hairy-leave plant, hairy-leave plant) - Korean Donguibogam", 20 July 2008 (2008-07-20), XP09308104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hidream.or.kr/bbs/view.php?id=dongeuibogam&no=6476&ckattempt=1> [retrieved on 20230912] *
CHEN XI, TANG SHENG-AN, LEE EUNKYUNG, QIU YULING, WANG RAN, DUAN HONG-QUAN, DAN SHINGO, JIN MEIHUA, KONG DEXIN: "IVSE, isolated from Inula japonica,suppresses LPS-induced NO production via NF-κB and MAPK inactivation in RAW264.7 cells", LIFE SCIENCE, PERGAMON PRESS, OXFORD, GB, vol. 124, 1 March 2015 (2015-03-01), GB , pages 8 - 15, XP093081031, ISSN: 0024-3205, DOI: 10.1016/j.lfs.2015.01.008 *
GO! GILRO, GO MY WAY: "[Hwansam vine benefits, how to eat it]", GOGILO BLOG, KOREA, Korea, XP00954815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s://gogilro.tistory.com/m/25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9975A (ko) 2023-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35928A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WO2011052846A1 (ko) 자생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irdous et al. Protective effect of ethanolic extract and its ethyl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Sechium edule fruits against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ic injury in rats
WO2015183027A1 (ko) 황칠 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0095911A2 (ko) 산삼 또는 인삼을 포함한 인삼류의 형성층 유래 식물줄기세포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WO2020040462A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된 호흡기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60219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79931A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177428A1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생약 조성물
WO2023136613A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080724A1 (ko) 하이드란제놀 또는 필로둘신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30134378A (ko) 식물혼합추출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손실 관련 질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69876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US20230218704A1 (en) Crude drug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respiratory diseases
KR20160021038A (ko) 측백엽 특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염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014177A1 (ko) 황칠나무 추출물 또는 상기 추출물 유래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215827A1 (ko) Sars-cov-2 3cl 프로테아제와 rdrp활성을 억제하는 지유 추출 조성물
WO2023033535A1 (en) Composition comprising horse chestnut extract
WO2024122660A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WO2024107015A1 (ko) 한약재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액순환 개선용 조성물
WO2022265281A1 (ko) 증숙생강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1-데하이드로-6-진저다이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관절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3182757A1 (ko) 뇌졸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4144265A1 (ko) 금은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245207A1 (ko) 식물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뇌신경 보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404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