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32647A1 - 전극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극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32647A1
WO2023132647A1 PCT/KR2023/000198 KR2023000198W WO2023132647A1 WO 2023132647 A1 WO2023132647 A1 WO 2023132647A1 KR 2023000198 W KR2023000198 W KR 2023000198W WO 2023132647 A1 WO2023132647 A1 WO 202313264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region
seating
connection
electro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3/00019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우정
채승현
정형묵
왕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CN20238001391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8077077A/zh
Publication of WO202313264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326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8Attaching, e.g. pasting, the replacement web to the expiring we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a secondary battery is a battery capable of converting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and releasing it, and conversely, when electrical energy is supplied in a discharged state, it can be stored again in the form of chemical energy, that is, a battery that is charged and discharged alternately. A battery that can be repeated.
  • Secondary batteries are commonly referred to as storage batteries or accumulators because they can store electrical energy.
  • Current widely used secondary batteries include lead-acid batteries using sulfuric acid as an electrolyte, nickel-hydrogen batteries using potassium hydroxide as an electrolyte, and lithium salt solutions. There are lithium-ion batteries using as an electrolyte.
  • Such a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through an electrode process, an assembly process, and an activation process.
  • the assembly process is specifically, a notching process, a lamination process, a stacking and folding process, and a packaging process are sequentially performed.
  • a meandering electrode is inserted, a driving roller is twisted, causing meandering during driving, or a worker's mistake when manually preparing the standby electrode. Due to this, when the standby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electrode seating part in an oblique line, a phenomenon in which an alignment state is distorted occurs. As a result, electrode breakage is induc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operation rate and yield.
  • the EPC Error Position Control
  • the alignment of the driving electrodes that is, the degree of meandering of the driving electrode line was checked by disposing various sensors such as the same, and the standby electrode and the driving electrode were aligned by moving the driving electrode supply unit in the Y-axis.
  • the EPC sensor since the EPC sensor is located between the driving electrode seating part and the driving electrode supply part to check the Y-axis meandering of the driving electrode, the driving is performed from the position of the EPC sensor. If the electrodes up to the electrode seating part are not positioned on a straight line,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standby electrode and the driving electrode are not aligned when the electrodes are connec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capable of connecting a standby electrode and a driving electrode in a state in which the electrodes are accurately aligned without distortion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etween the standby electrode and the driving electrode, and an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supply unit for supplying a first electrode; a second electrode supply unit supplying a second electrode replacing the first electrode to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electrode is exhausted below a certain level; a photographing unit that captures an image of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nd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 aligning unit for aligning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and a connecting portion connecting the aligne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be connected.
  • the target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ncludes a holding portion and an uncoated portion, respectively
  • 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first boundary region between the holding portion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holding portion and the uncoated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An image may be captured of the second boundary area between the two regions.
  • the aligning unit ma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so that the first boundary area and the second boundary area lie on the same line.
  • the aligning unit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seating unit having a first seating surface on which a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is seated; a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 disposed apart from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or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having a second seating surface on which a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second electrode is seated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seating surface; and a position control unit for adjusting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mounting units.
  • the photographing unit may include a prism mirror positioned in a ga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 a first light source unit for irradiating light to the prism mirror and irradiating the reflected light to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a second light source unit for radiating light to the prism mirror so that the reflected light is radiated to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and a camera that simultaneously photographs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to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rradiated.
  • the first seating surface includes a first adsorption area adsorbing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non-adsorption area
  • the second seating surface includes a second adsorption area adsorbing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second electrode.
  • the non-adsorption area and the second absorption area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first electrode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electrode is exhausted below a certain level, the first electrode may be cut along a preset cutting line to form a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 a region to be connected of the first electrode formed after cutting may be adsorbed to the first adsorption area.
  • the cut portion of the region to be connected of the first electrode adsorbed may be located in a boundary region between the first adsorption region and the non-adsorption region in the first seating surface.
  • the connecting part may mov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part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surfaces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and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second electrode may be connected via an adhesive member.
  • first and second electrodes may be positive electrodes or negative electrodes.
  •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uses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 This application relates to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nd an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ing the same prevent breakage by accurately aligning the electrodes without misalignment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standby electrode and the driving electrode, thereby exhibiting excellent operation rate and yield.
  • FIG. 1 is a diagram showing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alignment unit of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first electrode seating part, a second electrode seating part, and a photographing part of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 FIG. 4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first electrode is seated on a first seating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5 is a view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electrode is seated on a second seating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6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ligne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connected by way of example.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n alignment unit of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 FIG.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art, the second electrode seating part, and the photographing unit of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 FIG. 4 is a view showing a first seating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is seated by way of example
  •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ectrode is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by way of example
  • FIG. 6 is aligned It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re connected by way of example.
  •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a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a second electrode supply unit 200, a photographing unit 300, an alignment unit 400, and a connection unit 500.
  •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supplies the first electrode E1.
  • the first electrode E1 may be a driving electrode.
  •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may include a first winding roll 110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E1 is wound and a first unwinding unit 120 for unwinding the first electrode E1. there is.
  • the first unwinding unit 120 may include a drive servo motor, and may be operated in a jog mode to unwind the first electrode E1 to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unit 410 described below.
  • the second electrode supply unit 200 supplies the second electrode E2 replacing the first electrode E1 to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electrode E1 is exhausted below a certain level. do.
  • the second electrode supply unit 200 may include a second winding roll 210 on which the second electrode E2 is wound and a second unwinding unit 220 for unwinding the second electrode E2. there is.
  • the second unwinding unit 220 may include a driving servo motor, and may be operated in a jog mode to unwind the second electrode E2 to the second electrode mounting unit 4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second electrode E2 may be a standby electrode.
  • the driving electrode refers to an electrode that is unwound and used earlier than the standby electrode.
  • the standby electrode refers to an electrode connected to the driving electrode and ready to be automatically replaced immediately when the driving electrode is unwound and exhausted.
  • the photographing unit 300 captures images of the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E2.
  • the portion to be connected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2 may be the ends to be unwou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cut is made during unwinding, the cut portion may be the portion to be connect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orting method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aligning unit 400 aligns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E2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 the aligning unit 400 aligns the connection target areas of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so that the electrodes do not become distorted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of the connecting unit 500 hereinafter.
  • connection part 500 connects the connection target regions of the aligne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 the connection unit 500 connects the connection targe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hereby converting the first electrode E1 supplied from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to the second electrode E2. can be replaced That is, in the first electrode supply unit 100, after the first electrode E1 is exhausted, the second electrode E2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may be supplied.
  • the electrode connecting dev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ior to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an image is taken of the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in advance, and the captured image is displayed.
  • the connection target area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based on the base,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connect the electrodes without distortion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thereby suppressing the occurrence of breakage while the electrodes are continuously supplied, and thereby As a result, it can show excellent operation rate and yield.
  • connection target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includes holding portions E11 and E21 and uncoated portions E12 and E22, respectively, and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A first boundary region E13 between the holding portion E11 and the uncoated portion E12 of the first electrode and a second boundary region E23 between the holding portion E21 and the uncoated portion E22 of the second electrode E2.
  • the first boundary region E13 may be a boundary line between the holding portion E11 and the uncoated portion E1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unwinding direction) of the first electrode E1.
  • the second boundary region E23 may also be a boundary line between the holding portion E21 and the uncoated portion E22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unwi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electrode E2.
  • the alignment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E13 and E23 coincide, and the coincident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E13 and E23 are on the same line C. can be placed on (see Figure 6).
  • the holding portion refers to a portion coated with a slurry representing polarity on a current collector included in an electrode
  • the uncoated portion refers to a portion where an electrode tab, which is a passage through which current flows, is formed on the current collector without the slurry being coated on the current collector.
  • the alignment unit 400 ma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E13 and E23 lie on the same line C. .
  • the position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can be achieved by position adjustment of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parts 410 and 420 to be described later.
  • the alignment unit 400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seating unit 410 having a first seating surface 411 on which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E1 is seated, the first electrode seating unit ( 410) and a second electrode having a second seating surface 42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P, and disposed to face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on which the connection target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E2 is seated. It may include a position adjusting unit 430 that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seating portion 420 and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s 410 and 420 .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is also referred to as a driving unit or a moving unit.
  •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ma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parts 410 and 420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E13 and E23 are placed on the same line C. there is.
  • the first electrode E1 is unwound from the first winding roll 110 so that a region to be connected can be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 the second electrode E2 is the second winding roll 210 It is unwound from and the connection target site may be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
  •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disposed at a distance 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ortion 410 and the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 420 or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And, it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along the direction of the width (W) of the electrode.
  • the photographing unit 300 is located at a distance 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ortion 410 and the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 420 or betwee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 the aligning unit 400 checks the alignment state of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hrough the captured image, and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For example, when a misalignment occur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boundary regions E13 and E23, the posi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parts 410 and 420 are adjusted throug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By adjusting,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egion to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for example, the first boundary region E13 and the second boundary region E23 to be aligned. In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s E1 and E2, since the electrodes can be accurately connected without distortion, the occurrence of breakage can be suppressed, and thus excellent operation rate and yield can be exhibited.
  • the photographing unit 300 includes a prism mirror 310 positioned at a distance P between the first electrode seating portion 410 and the second electrode seating portion 420; a first light source unit 320 for radiating light to the prism mirror 310 and irradiating the reflected light to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a second light source unit 330 for radiating light to the prism mirror so that the reflected light is radiated to a region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E2; and a camera 340 that simultaneously photographs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o which the reflected light is irradiated.
  • the photographing unit 300 can simultaneously check the alignment of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hrough the prism mirror 310, a more accurate alignment can be known.
  • different areas can be simultaneously photographed with a single photographing device, there is an advantage of simplifying the equipment.
  • the camera 340 may be a vision camera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light refracted by the prism mirror 310 and may perform photographing by a trigger signal. Since the camera 340 is disposed at the above-described position, it is possible to photograph the light refracted by the prism mirror 310, and thereby accurately check the alignment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here is.
  •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includes a first adsorption area 411A and a non-adsorption area 411B adsorbing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E1
  •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includes a second adsorption region 421A for adsorbing the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second electrode E2, an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 the non-adsorption region 411B and the second adsorption region 421A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 the first adsorption area 411A Whe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is divided into two halves in the height direction, the first adsorption area 411A may be located on the upper part and the non-adsorption area 411B may be located on the lower part. Also, when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is bisected in the height direction, the second adsorption area 421A may be positioned at a lower portion. The first and second adsorption regions 411A and 421A may adsorb a region to be connected to an electrode using an ejector or the like.
  • the first electrode E1 when the supply of the first electrode E1 is exhausted below a certain level, the first electrode E1 is cut along a preset cutting line to form a connection target portion of the first electrode E1 ( 600) may be included.
  • the cutting line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W) direction of the electrode.
  • the cutting part 600 may use a knife or laser equipment, bu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 portion to be connected of the cut first electrode E1 and a portion to be connected of the second electrode E2 may be connected. Meanwhile, the connection target portion of the second electrode E1 may be pre-cut and formed through a separate cutting device.
  •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first electrode E1 formed after cutting may be adsorbed to the first adsorption area 411A.
  • connection target regions formed by cutting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second electrode E2 may be aligned and then connected.
  •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adsorbed first electrode E1 is the first adsorption region 411A and the non-adsorption region 411B i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where the cutting portion S is formed. may be located within the boundary area of
  • a portion to be connected of the first electrode E1 located in the first adsorption area 411A and a portion to be connected of the second electrode E2 located in the second adsorption area 421A may be connected, and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 and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first to ensure that there are no gaps as much as possible in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adjacent region to be connected of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region to be connected with the second electrode E2. And it may be advantageous when considering the connectivity between the second electrodes E1 and E2.
  • connection part 500 allows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surfaces 411 and 421 to come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 the two-electrode seating parts 410 and 420 may be moved.
  • the connection unit 500 move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units 410 and 420 through the position adjusting unit 430 described above, 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 seating units 410 and 420 through a separate driving unit. 420) can be moved.
  • the adhesive member 510 may be, for example, paper tape.
  •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is performed by the connecting portion 500.
  •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connection unit 500 As another example, in a state in which a portion of the adhesive member 510 is adhered to a connection target site of the second electrode E2 seated on the second seating surface 421, the first and second seating surfaces are connected by the connection unit 500.
  • the (411, 412) are in close contact, the other area of the adhesive member 510 that is not adhered to the area to b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E2 is the area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E1 seated on the first seating surface 411.
  • the connection target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may equally be positive electrodes or negative electrodes.
  •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may be positive electrodes, or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may be negative electrodes. Since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are composed of electrodes having the same polarity, the supply of the first electrode E1 may be exhausted and replaced with the second electrode E2.
  • This application also relates to an electrode connection method.
  • An exemplary electrode connection method uses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described above. Therefore, since the details of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they will be omitted.
  •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cludes the steps of photographing an image of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E2 using the electrode connection device, based on the captured image, A step of aligning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first electrode E1 and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of the second electrode E2 and connecting the aligned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to the connection target region.
  • the electrode connection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ior to connecting the connection target regions of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1 and E2, images are taken in advance and aligned based on the captured images, so that there is no distortion between the electrodes during the connection process. By accurately aligning, the occurrence of breakage can be suppressed, and thus excellent operation rate and yield can be exhibi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ire Bond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은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정렬시킴으로써, 파단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가동률 및 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전극 연결 장치
본 출원은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란 화학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시켜 방출할 수 있고, 역으로 방전된 상태에서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면 이를 다시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다시 저장할 수 있는 전지 즉, 충전과 방전을 교대로 반복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한다.
전기에너지를 방출할 때는 전극은 다시 앞서의 상태로 회복되어 상태변화를 반복한다. 이차전지는 전기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축전지 또는 어큐물레이터라고 하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이차전지로는 황산용액을 전해액으로 하는 납축전지, 수산화칼륨을 전해액으로 하는 니켈-수소전지, 리튬염 용액을 전해액으로 하는 리튬-이온전지 등이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전극 공정, 조립 공정 및 활성화 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이때, 조립 공정은 구체적으로, 노칭 공정, 라미네이션 공정, 스태킹 및 폴딩 공정, 및 포장 공정이 순차로 수행된다.
상기 노칭 공정 중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을 자동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사행이 있는 주행 전극이 투입되거나, 주행 롤러가 틀어져 주행 중 사행이 생기거나 또는 작업자가 대기 전극을 수동으로 준비 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대기 전극이 사선으로 전극 안착부에 연결되었을 때, 정렬(align) 상태가 틀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이로 인해, 전극 파단이 유발되어 가동률 및 수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을 연결하기 전 주행 전극 공급부로부터 주행 전극을 공급하여 주행 전극 안착부에 안착시킨 상태에서, 주행 전극 공급부와 주행 전극 안착부 사이에 EPC(Edge position control) 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를 배치시켜 주행 전극의 정렬 상태, 즉, 주행 전극 라인의 사행 정도를 확인하고, 주행 전극 공급부를 Y축으로 이동시켜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을 정렬시켰다. 그러나, EPC 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정렬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 EPC 센서가 주행 전극 안착부와 주행 전극 공급부 사이에 위치하여 주행 전극의 Y축 사행을 확인하고 있으므로, EPC 센서의 위치로부터 주행 전극 안착부까지의 전극이 일직선 상에 위치하지 않는 경우, 전극 연결 시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이 정렬되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전극 연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의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정렬된 상태에서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을 연결시킬 수 있는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는 제1 전극을 공급하는 제1 전극 공급부; 일정 수준 이하로 상기 제1 전극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 공급부로 제1 전극을 대체하는 제2 전극을 공급하는 제2 전극 공급부;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는 각각 유지부 및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1 전극의 유지부와 무지부 사이의 제1 경계 영역과 제2 전극의 유지부와 무지부 사이의 제2 경계 영역을 영상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1 경계 영역과 제2 경계 영역이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제1 및 제2 전극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렬부는,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을 갖는 제1 전극 안착부; 상기 제1 전극 안착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안착면을 갖는 제2 전극 안착부; 및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부는, 제1 전극 안착부와 제2 전극 안착부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는 프리즘 미러; 상기 프리즘 미러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1 광원부; 상기 프리즘 미러를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2 광원부; 및 반사된 광이 조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동시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안착면은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1 흡착 영역과 비흡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면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2 흡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면과 제2 안착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비흡착 영역과 제2 흡착 영역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 수준 이하로 제1 전극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을 미리 설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형성하는 절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단 후 형성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상기 제1 흡착 영역에 흡착될 수 있다.
또한, 흡착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의 절단 부분이 제1 안착면 내 제1 흡착 영역과 비흡착 영역의 경계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제1 경계 영역과 제2 경계 영역이 동일 선상에 놓이면, 제1 및 제2 안착면이 밀착되도록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안착면이 밀착되면서, 접착 부재를 매개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동일하게 양전극 또는 음전극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전극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전극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1 전극을 대체하기 위한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출원의 전극 연결 방법은 상기 전극 연결 장치를 이용한다.
본 출원은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극 연결 방법은 대기 전극과 주행 전극의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정렬시킴으로써, 파단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가동률 및 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의 정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의 제1 전극 안착부, 제2 전극 안착부 및 촬영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착면에 제1 전극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착면에 제2 전극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이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를 설명하며, 첨부된 도면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가 첨부된 도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의 정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예시적인 도면이며, 도 3은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극 연결 장치의 제1 전극 안착부, 제2 전극 안착부 및 촬영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안착면에 제1 전극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안착면에 제2 전극이 안착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이 연결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는 제1 전극 공급부(100), 제2 전극 공급부(200), 촬영부(300), 정렬부(400) 및 연결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전극 공급부(100)는 제1 전극(E1)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전극(E1)은 주행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 공급부(100)는 제1 전극(E1)이 권취된 제1 권취 롤(110) 및 상기 권취된 제1 전극(E1)을 권출하는 제1 권출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권출부(120)는 구동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조그(Jog) 모드로 조작하여, 후술하는 제1 전극 안착부(410)로 제1 전극(E1)을 권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공급부(200)는 일정 수준 이하로 상기 제1 전극(E1)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 공급부(100)로 제1 전극(E1)을 대체하는 제2 전극(E2)을 공급한다. 상기 제2 전극 공급부(200)는 제2 전극(E2)이 권취된 제2 권취 롤(210) 및 상기 권취된 제2 전극(E2)을 권출하는 제2 권출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권출부(220)는 구동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조그(Jog) 모드로 조작하여, 후술하는 제2 전극 안착부(420)로 제2 전극(E2)을 권출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E2)은 대기 전극일 수 있다. 상기 주행 전극은 상기 대기 전극에 비해 먼저 권출되어 사용되는 전극을 의미한다. 상기 대기 전극은 상기 주행 전극이 권출되어 소진되면, 상기 주행 전극에 연결되어 즉시 자동으로 교체될 수 있도록 대기하는 전극을 의미한다.
상기 촬영부(300)는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는 권출되는 말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권출되는 과정에서 절단이 이루어지는 경우, 절단 부분이 연결 대상 부위가 될 수 있다. 정렬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정렬부(40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한다. 상기 정렬부(400)는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함으로써, 이하 연결부(500)의 연결 과정에서 전극의 틀어짐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500)는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함으로써, 제1 전극 공급부(100)에서 공급 소진된 제1 전극(E1)을 제2 전극(E2)으로 대체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 공급부(100)에서, 제1 전극(E1)이 모두 소진되고 나면 제1 전극(E1)과 연결된 제2 전극(E2)이 공급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전극 연결 장치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전극(E1, E2)를 연결하기 전에,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미리 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함으로써,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고, 이로써 전극의 연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는 동안 파단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가동률 및 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는 각각 유지부(E11, E21) 및 무지부(E12, E22)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300)는 제1 전극의 유지부(E11)와 무지부(E12) 사이의 제1 경계 영역(E13)과 제2 전극(E2)의 유지부(E21)와 무지부(E22) 사이의 제2 경계 영역(E23)을 영상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1 경계 영역(E13)은 제1 전극(E1)의 길이 방향(또는 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지부(E11)와 무지부(E12) 사이의 경계 라인일 수 있다. 제2 경계 영역(E23) 또한 제2 전극(E2)의 길이 방향(또는 권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유지부(E21)와 무지부(E22) 사이의 경계 라인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정렬 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 경계 영역(E13, E23)이 일치된 상태를 의미할 수 있고, 일치된 제1 및 제2 경계 영역(E13, E23)은 동일 선(C) 상에 놓일 수 있다 (도 6 참조). 상기 유지부는 전극에 포함되는 집전체 상에 극성을 나타내는 슬러리가 코팅된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 무지부는 집전체 상에 슬러리가 코팅되지 않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인 전극 탭이 형성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정렬부(400)는 상기 제1 경계 영역(E13)과 제2 경계 영역(E23)이 동일 선(C) 상에 놓이도록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위치 조절은 후술하는 제1 및 제2 안착부(410, 420)의 위치 조절로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렬부(400)는,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안착면(411)을 갖는 제1 전극 안착부(410), 상기 제1 전극 안착부(410)와 소정 간격(P) 떨어져 배치되고,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면(411)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안착면(421)을 갖는 제2 전극 안착부(420) 및 상기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조절부(430)는 구동부 또는 이동부라고도 한다. 위치 조절부(430)는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경계 영역(E13, E23)이 동일 선(C) 상에 놓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E1)은 제1 권취 롤(110)로부터 권출되어 연결 대상 부위가 상기 제1 안착면(411)에 안착될 수 있고, 제2 전극(E2)은 제2 권취 롤(210)로부터 권출되어 연결 대상 부위가 상기 제2 안착면(42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촬영부(300)는 상기 제1 전극 안착부(410)와 제2 전극 안착부(420) 사이 또는 제1 안착면(411)과 제2 안착면(421) 사이의 간격(P)에 배치되며, 전극의 폭(W)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전극 안착부(410)와 제2 전극 안착부(420) 사이 또는 제1 안착면(411)과 제2 안착면(421) 사이의 간격(P)에 촬영부(300)가 이동하는 이동 레일(440)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정렬부(400)는 촬영된 영상을 통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의 정렬 상태를 확인하고,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 예를 들어, 제1 경계 영역(E13)과 제2 경계 영역(E23) 간에 틀어짐이 발생된 경우, 위치 조절부(430)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의 위치를 조절하여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 예를 들어, 제1 경계 영역(E13)과 제2 경계 영역(E23)이 정렬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으므로, 파단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가동률 및 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촬영부(300)는, 제1 전극 안착부(410)와 제2 전극 안착부(420) 사이의 간격(P)에 위치하는 프리즘 미러(310); 상기 프리즘 미러(310)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1 광원부(320); 상기 프리즘 미러를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2 광원부(330); 및 반사된 광이 조사된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동시에 촬영하는 카메라(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부(300)는 프리즘 미러(310)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의 정렬 상태를 동시에 확인 가능하므로, 보다 정확한 정렬 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단일 촬영 장치로 서로 다른 영역을 동시에 촬영이 가능하므로, 장비를 간소화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340)는 상기 프리즘 미러(310)에 의해 굴절된 광을 촬영할 수 있는 비전 카메라(vison camera)일 수 있고, 트리거 신호에 의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340)는 전술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리즘 미러(310)에 의해 굴절된 광을 촬영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정렬 상태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제1 안착면(411)은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1 흡착 영역(411A)과 비흡착 영역(411B)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면(421)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2 흡착 영역(421A)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면(411)과 제2 안착면(421)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비흡착 영역(411B)과 제2 흡착 영역(421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안착면(411)을 높이 방향으로 이등분했을 때, 상부에 제1 흡착 영역(411A)이 위치하고, 하부에 비흡착 영역(411B)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안착면(421)을 높이 방향으로 이등분했을 때, 상기 제2 흡착 영역(421A)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흡착 영역(411A, 421A)는 이젝터(ejector) 등을 사용하여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일정 수준 이하로 제1 전극(E1)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E1)을 미리 설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를 형성하는 절단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단 라인은 전극의 폭(W)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부(600)는 나이프나 레이저 장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절단되어 형성된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2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는 별도의 절단 장비를 통해 미리 절단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절단 후 형성된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가 상기 제1 흡착 영역(411A)에 흡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는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이 각각 절단되어 형성된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한 후 연결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흡착된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는 절단 부분(S)이 제1 안착면(411) 내 제1 흡착 영역 제1 흡착 영역(411A)과 비흡착 영역(411B)의 경계 영역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흡착 영역(411A)에 위치한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흡착 영역(421A)에 위치한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연결될 수 있고, 제1 안착면(411)과 제2 안착면(421)이 서로 접촉한 상태에서, 인접한 상기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의 경계 영역에는 가급적 빈틈이 없는 것이 제1 및 제2 전극(E1, E2) 간 연결성을 고려할 때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제1 경계 영역(E13)과 제2 경계 영역(E23)이 동일 선(C)상에 놓이면, 제1 및 제2 안착면(411, 421)이 밀착되도록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500)는 전술한 위치 조절부(430)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를 이동시키거나, 별도의 구동부를 통해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410, 4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제1 및 제2 안착면(411, 412)이 밀착되면서, 접착 부재(510)를 매개로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510)는 예를 들어, 종이 테이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 부재(510)의 일부 영역이 제1 안착면(411)에 안착된 제1 전극(E1)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시킨 상태에서, 연결부(500)에 의해 제1 및 제2 안착면(411, 412)이 밀착되면, 제1 전극(E1)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되지 않은 접착 부재(510)의 다른 영역이 제2 안착면(421)에 안착된 제2 전극(E2)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되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접착 부재(510)의 일부 영역이 제2 안착면(421)에 안착된 제2 전극(E2)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된 상태에서, 연결부(500)에 의해 제1 및 제2 안착면(411, 412)이 밀착되면, 제2 전극(E2)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되지 않은 접착 부재(510)의 다른 영역이 제1 안착면(411)에 안착된 제1 전극(E1) 연결 대상 부위에 접착되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E1, E2)은 동일하게 양전극 또는 음전극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전극(E1, E2)이 양전극이거나, 제1 및 제2 전극(E1, E2)이 음전극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E1, E2)은 서로 동일한 극성의 전극으로 구성됨에 따라, 제1 전극(E1)의 공급 소진 후 제2 전극(E2)으로 대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전극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시적인 전극 연결 방법은 전술한 전극 연결 장치를 이용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전극 연결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전극 연결 장치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를 생략하기로 한다.
본 출원의 전극 연결 방법은 상기 전극 연결 장치를 이용하고,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극(E1)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극 연결 방법에 의하면, 제1 및 제2 전극(E1, E2)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기 전에, 미리 영상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정렬함으로써, 연결 과정에서 전극 간에 틀어짐 없이 정확하게 정렬시킴으로써, 파단 발생을 억제하고, 이로 인해 우수한 가동률 및 수율을 나타낼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제1 전극 공급부
200: 제2 전극 공급부
300: 촬영부
400: 정렬부
500: 연결부

Claims (13)

  1. 제1 전극을 공급하는 제1 전극 공급부;
    일정 수준 이하로 상기 제1 전극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 공급부로 제1 전극을 대체하는 제2 전극을 공급하는 제2 전극 공급부;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하는 촬영부;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하는 정렬부; 및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극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는 각각 유지부 및 무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촬영부는 제1 전극의 유지부와 무지부 사이의 제1 경계 영역과 제2 전극의 유지부와 무지부 사이의 제2 경계 영역을 영상 촬영하는, 전극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제1 경계 영역과 제2 경계 영역이 동일 선상에 놓이도록 제1 및 제2 전극의 위치를 조절하는, 전극 연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부는,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는 제1 안착면을 갖는 제1 전극 안착부;
    상기 제1 전극 안착부와 소정 간격 떨어져 배치되고,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안착되며 상기 제1 안착면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2 안착면을 갖는 제2 전극 안착부; 및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는, 전극 연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부는,
    제1 전극 안착부와 제2 전극 안착부 사이의 간격에 위치하는 프리즘 미러;
    상기 프리즘 미러로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1 광원부;
    상기 프리즘 미러를 광을 조사하여 반사된 광이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로 조사되도록 하는 제2 광원부; 및
    반사된 광이 조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동시에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전극 연결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면은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1 흡착 영역과 비흡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안착면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흡착하는 제2 흡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안착면과 제2 안착면이 서로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비흡착 영역과 제2 흡착 영역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전극 연결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일정 수준 이하로 제1 전극의 공급 소진 시, 제1 전극을 미리 설정된 절단 라인을 따라 절단하여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형성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전극 연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절단 후 형성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상기 제1 흡착 영역에 흡착되는, 전극 연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흡착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의 절단 부분이 제1 안착면 내 제1 흡착 영역과 비흡착 영역의 경계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전극 연결 장치.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 경계 영역과 제2 경계 영역이 동일 선상에 놓이면, 제1 및 제2 안착면이 밀착되도록 제1 및 제2 전극 안착부를 이동시키는, 전극 연결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 안착면이 밀착되면서, 접착 부재를 매개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가 연결되는, 전극 연결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은 동일하게 양전극 또는 음전극인, 전극 연결 장치.
  13. 제 1 항의 전극 연결 장치를 이용하는 전극 연결 방법에 있어서,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상기 제1 전극을 대체하기 위한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영상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제1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와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정렬하는 단계; 및
    정렬된 제1 및 제2 전극의 연결 대상 부위를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극 연결 방법.
PCT/KR2023/000198 2022-01-06 2023-01-05 전극 연결 장치 WO202313264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380013913.4A CN118077077A (zh) 2022-01-06 2023-01-05 电极连接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882 2022-01-06
KR1020220001882A KR20230106231A (ko) 2022-01-06 2022-01-06 전극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32647A1 true WO2023132647A1 (ko) 2023-07-13

Family

ID=8707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3/000198 WO2023132647A1 (ko) 2022-01-06 2023-01-05 전극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30106231A (ko)
CN (1) CN118077077A (ko)
WO (1) WO202313264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103891A (ja) * 2004-10-06 2006-04-20 Shin Nippon Koki Co Ltd フィルム接合方法およびフィルム接合装置
KR20120080441A (ko) * 2011-01-07 2012-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접합 장치
KR101827204B1 (ko) * 2017-03-13 2018-02-07 주식회사 신한정공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KR20210150111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6103891A (ja) * 2004-10-06 2006-04-20 Shin Nippon Koki Co Ltd フィルム接合方法およびフィルム接合装置
KR20120080441A (ko) * 2011-01-07 2012-07-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칩 접합 장치
KR101827204B1 (ko) * 2017-03-13 2018-02-07 주식회사 신한정공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KR20210150111A (ko) * 2020-06-03 2021-12-10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6231A (ko) 2023-07-13
CN118077077A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90129A1 (ko)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얼라인 검사 방법
WO2020130184A1 (ko) 이차전지의 셀 스택 제조장치
CN112490479A (zh) 二次电池的电池单元堆制造系统及方法
WO2018131843A1 (ko) 레이저 용접용 지그 어셈블리
WO2013176498A1 (ko)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제조되는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WO2014042424A1 (ko) 2차 전지 내부 셀 스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셀 스택
WO2021194284A1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CN208173734U (zh) 制片卷绕一体机
WO2022019599A1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14003485A1 (ko) 전극조립체, 전극조립체의 제조공정 및 전극조립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KR20150034329A (ko) 매거진을 이용한 전극조립체의 제조방법
WO2016089144A2 (ko) 이차 전지용 전극 조립체 제조 방법
WO2020071649A1 (ko) 배터리 셀의 테이프 부착 장치
WO2019132137A1 (ko) 이차전지의 제조시스템 및 제조방법
KR20230109680A (ko) 전극용 스페이서, 전극 스택 및 배터리, 및 그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47658A (ko) 이차전지 제조방법 및 이차전지 제조장치
WO2024053805A1 (ko) 2차전지 제조시스템
WO2020231054A1 (ko) 전극 조립체 및 이의 검사 방법
WO2023132647A1 (ko) 전극 연결 장치
CN115210157A (zh) 电极卷连接自动化设备
WO2022164237A1 (ko) 이차전지용 테이프의 부착 방법
WO2022255651A1 (ko) 이차전지의 전극 노칭 및 셀 스택 시스템
WO2023128374A1 (ko) 레이저 가공 장치 및 방법
KR20200058956A (ko) 단위 셀 제조 장치 및 방법
WO2022260245A1 (ko) 전극판 또는 단위셀 적층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373739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