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0111A -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0111A
KR20210150111A KR1020200067072A KR20200067072A KR20210150111A KR 20210150111 A KR20210150111 A KR 20210150111A KR 1020200067072 A KR1020200067072 A KR 1020200067072A KR 20200067072 A KR20200067072 A KR 20200067072A KR 20210150111 A KR20210150111 A KR 20210150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film
fixing plate
film
aligned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0172B9 (ko
KR102390172B1 (ko
Inventor
김동환
마호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 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200067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017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0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72B1/ko
Publication of KR10239017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017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0Warn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fault detectors, stop-motions, for web-advanc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1Processing webs in splicing process
    • B65H2301/4615Processing webs in splicing process after splicing
    • B65H2301/4617Processing webs in splicing process after splicing cutting webs in splicing process
    • B65H2301/46174Processing webs in splicing process after splicing cutting webs in splicing process cutting both spliced webs separate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6Splicing
    • B65H2301/462Form of splice
    • B65H2301/4622Abutting article or web portions, i.e. edge to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5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 B65H2406/351Other elements with suction surface, e.g. plate or wall facing the surface of the handl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3/00Sensing or detecting means
    • B65H2553/40Sensing or detecting means using optical, e.g. photographic, elements
    • B65H2553/42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 B65H2701/1752Polymer film

Landscapes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제1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및 연결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CONNECTING APPARATUS AND CONNECTING METHOD USING THS SAME}
실시예는 전극필름을 연결하는 장치 및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필름 형태의 전극은 공급롤에 감긴 상태에서 롤투롤 방식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롤투롤 방식으로 전극필름을 공급하는 공정에서 현재 공급롤에 감긴 전극필름이 모두 소진되면, 신규 공급롤로 교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극필름을 계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롤에서 풀려나간 제1 전극필름의 끝단을 신규 공급롤에서 풀린 제2 전극필름의 끝단과 연결해주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러나 종래에는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연결시,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정렬을 검사하는 장치가 없었다. 따라서 제1전극필름과 제2전극필름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실시예는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는 전극 연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아래에서 설명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이나 실시 형태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목적이나 효과도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연결 장치는 제1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이동시켜 상기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연결한다.
상기 제1 전극필름을 커팅하는 제1 커팅장치; 및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커팅하는 제2 커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팅장치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절삭날 및 상기 제1 절삭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팅장치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절삭날 및 상기 제2 절삭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을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고정판을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접합되록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에 상기 제1 전극필름을 부착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상기 제2 전극필름을 부착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복수 개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복수 개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1 홀을 연결하는 제1 흡입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제2 펌프 및 상기 제2 펌프와 상기 제2 홀을 연결하는 제2 흡입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필름은 일측면에 제1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전극필름은 일측면에 제2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제1 보호필름의 제1 경계 영역과 상기 제2 전극필름과 제2 보호필름의 제2 경계 영역이 일치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판과 이격 배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접착 테이프를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상기 블록을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접착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상기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배치시키는 제2 이송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연결 방법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일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확하게 정렬할 수 있는 전극 연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패턴 전극 제작시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 고정판이 제1 전극필름을 일부 커팅하고 제2 고정판이 제2 전극필름을 일부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제2 전극필름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제1 전극필름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제2 전극필름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이미지 획득 장치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밀착시켜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접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11은 제1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와 도 13은 제2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클램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2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2 고정판이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6은 이미지 획득 장치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 및 도 20은 테이프 공급부가 블록에 점착 테이프를 배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테이프 공급부가 점착 테이프의 일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테이프 공급부가 점착 테이프의 타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블록에 점착 테이프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4는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접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제1 고정판이 제1 전극필름을 일부 커팅하고 제2 고정판이 제2 전극필름을 일부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제2 전극필름에 접착 테이프를 부착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는, 제1 전극필름(11)을 고정하는 제1 고정판(110), 제1 고정판(110)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하는 제2 고정판(210),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19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1 전극필름(11)은 하부 롤러(14)와 상부 롤러(16)에 의해 후속 작업 라인(예: 전극의 패턴을 형성하는 라인)으로 연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은 다양한 전자 제품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전극으로 제작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극필름 이외에도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다양한 박막의 교체 작업에도 응용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의 교체가 예정되면 제1 고정판(110)은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1 전극필름(11)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제1 고정판(110)과 제1 공기 흡입부(130)는 제1 흡입 채널(131)을 이용하여 연결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공기 흡입부(130)는 제1 고정판(110)의 후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공기 흡입부(130)는 다양한 흡입 펌프가 제한 없이 선택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상부 롤러(16)와 하부 롤러(14)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롤러의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고정판(110)은 제1 전극필름(11)의 고정할 수 있는 지점에 적절히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에는 제1 커팅장치(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팅장치(120)는 제1 고정판(110)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되는 제1 절삭날(121) 및 제1 절삭날(1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절삭날(121)의 이동에 의해 제1 전극필름(11)은 커팅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수평 방향일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2 고정판(210)과 가까워지는 방향(전방) 또는 멀어지는 방향(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판(110)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제1 고정판(110)은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1 고정기판(161) 상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로 6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구동부(160)는 모터와 같은 다양한 구동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과 제1 공기 흡입부(130) 및 제1 커팅장치(120)는 제1 지지 기판(150) 상에 배치되어 제1 고정모듈(100)을 구성하고, 제1 지지 기판(150)이 제1 구동부(160)에 의해 6축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전극필름(12)은 제1 전극필름(11)과 연결되어 연속적으로 후속 공정 라인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2 고정판(210)의 구성은 제1 고정판(110)과 대칭되게 제작될 수 있다. 제2 고정판(210)은 제2 공기 흡입부(230)에 연결되어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필름(12)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제2 공기 흡입부(230)는 제2 고정판(210)의 후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작업자는 제2 전극필름(12)을 제2 고정판(210)에 접촉시켜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제2 전극필름(12)을 제2 고정판(210)에 고정할 수도 있다.
제2 고정판(210)에는 제2 커팅장치(2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팅장치(220)는 제2 고정판(210)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되는 제2 절삭날(221) 및 제2 절삭날(2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팅장치(220)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은 커팅될 수 있다.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2 고정판(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판(210)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즉,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2 고정기판(261) 상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1 구동부(160) 또는 제2 구동부(26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2 구동부(260)가 생략되어도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1 고정판(110)이 이동하면서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킬 수도 있다.
제2 고정판(210)과 제2 공기 흡입부(230) 및 제2 커팅장치(220)는 제2 지지 기판(250) 상에 배치되어 제2 고정모듈(200)을 구성하고, 제2 지지 기판(250)이 제2 구동부(260)에 의해 6축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필름(11)의 일부는 제1 커팅장치(120)에 의해 커팅되고, 제2 전극필름(12)의 일부는 제2 커팅장치(220)에 의해 커팅될 수 있다.
제1 개구부(111)와 제2 개구부(21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형성된 경우 제1 커팅장치(120)가 제1 전극필름(11)을 커팅한 높이와 제2 커팅장치(220)가 제2 전극필름(12)을 커팅한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즉,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은 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전극필름(12)의 후면에 접착 테이프(13)를 붙일 수 있다. 접착 테이프(13)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부착되어 연결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3)는 일면에만 접착층이 도포될 수 있다. 따라서, 접착 테이프(13)는 제2 고정판(210)에 흡입 고정될 뿐 제2 고정판(210)에 접착되지는 않을 수 있다.
제2 전극필름(12)의 후면에 접착 테이프(13)를 부착하는 방법은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할 수도 있고, 별도의 자동화 설비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작업자가 제2 전극필름(12)을 제2 고정판(210)에서 떼어내어 제2 전극필름(12)의 후면에 접착 테이프(13)를 부착한 후 다시 제2 전극필름(12)을 제2 고정판(210)에 고정할 수 있다.
도 4는 제1 전극필름이 제1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제2 전극필름이 제2 고정판에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고정판(110)에는 복수 개의 제1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 흡입부의 제1 흡입 채널은 복수 개의 제1 홀(112)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제1 홀(1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1 전극필름(11)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전극필름(11)이 고정된 상태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1)는 제1 방향(X축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절삭날(121)은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된 후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전극필름(11)을 커팅할 수 있다.
제1 개구부(111)의 제1 방향 연장 길이는 제1 전극필름(11)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제1 절삭날(121)은 커팅 작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제1 개구부(11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은 외측면에 제1 보호필름(11a)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보호필름은 이후에 제거될 수도 있다. 제1 보호필름(11a)은 제1 전극필름(11)과 재질 및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고정판(210)에는 복수 개의 제2 홀(212)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공기 흡입부를 통해 제2 홀(212)로 공기를 흡입하여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할 수 있다.
제2 전극필름(12)은 외측면에 제2 보호필름(12a)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보호필름은 이후에 제거될 수도 있다. 제2 보호필름(12a)은 제2 전극필름(12)과 재질 및 색상이 상이할 수 있다. 제2 전극필름(12)은 후면에 접착 테이프(13)가 접착된 상태로 제2 고정판(210)에 고정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3)는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보다 돌출될 수 있다.
제2 개구부(211)는 일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절삭날(221)은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된 후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2 전극필름(12)을 커팅할 수 있다.
도 6은 이미지 획득 장치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1 고정판(110)은 제2 고정판(210)을 향해 이동하고,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1 고정판(1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이 가까워지는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고정판(110)에 배치된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가까워질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이미지 획득 장치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제1 전극필름(11)과 제1 보호필름(11a) 사이의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전극필름(12)과 제2 보호필름(12a) 사이의 제2 경계 영역(CL2)이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극필름과 보호필름의 재질 및 색상이 상이하므로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경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계 영역 이외의 다른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필름이 없는 전극필름 또는 일반적인 고분자 필름 등은 배경 이미지와 분리하여 외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경계 영역(CL2)이 일치하지 않아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전극필름(11) 및/또는 제2 전극필름(12)을 좌우로 움직여서 정렬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앞, 뒤, 좌, 우, 상, 하로 이동시키도록 제1 구동부 및/또는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경계 영역(CL2)이 일치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이미지 획득장치를 이용하여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여부를 검출하는 구성을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정렬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이미지 획득 장치 이외에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검출할 수도 있다. 레이저 센서는 제1 전극필름 또는 제2 전극필름의 폭 방향(길이 방향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제2 전극필름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절삭날과 함께 이동하면서 필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센서가 측정한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9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을 밀착시켜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접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이 완전히 밀착되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접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을 모두 이동시킬 수도 있고,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 중 적어도 하나만을 이동시켜 접합할 수도 있다.
제2 전극필름(12)의 후면에는 접착 테이프(1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밀착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은 접착 테이프(13)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연결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제1 전극필름(11) 및 제2 전극필름(12)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 이동하여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에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이 후속 공정에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11은 제1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2와 도 13은 제2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클램핑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제2 이송장치가 제2 전극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5는 제2 고정판이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는, 제1 전극필름(11)을 고정하는 제1 고정판(110), 제1 고정판(110)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하는 제2 고정판(210),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190), 제2 전극필름(12)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320), 제2 전극필름(12)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장치(310), 및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절삭날(121) 및 블록(182)이 삽입되는 제1 개구부(111) 및 제1 전극필름(11)을 흡착하는 복수 개의 제1 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공기 흡입부(130)에 연결되어 일면에 배치되는 제1 전극필름(11)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과 제1 공기 흡입부(130)는 제1 흡입 채널(131)을 이용하여 연결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공기 흡입부(130)는 제1 고정판(110)의 후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테이프 접착장치(180)는 제1 고정판(110)의 후방에 배치되는 블록(182), 블록(182)에 접착 테이프를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블록(182)을 제1 개구부(111)에 삽입시키는 제3 구동부(181)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프 접착장치(180)는 제1 고정판(110)의 제1 개구부(111)로 접착 테이프가 부착된 블록(182)을 삽입시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접합할 수 있다.
제1 커팅장치(120)는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되는 제1 절삭날(121) 및 제1 절삭날(121)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팅장치(120)에 의해 제1 전극필름(11)은 커팅될 수 있다.
제1 커팅장치(120)는 테이프 접착 장치(180)의 블록(182)이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개구부(111)가 블록(182)보다 더 길게 연장되고 제1 절삭날(121)은 제1 개구부(111)의 끝단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제1 절삭날(121)은 제1 전극필름(11)을 커팅할 때만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되고 이후에는 제1 개구부(111)에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커팅장치(120)는 테이프 접착장치(180)의 블록(182)이 제1 개구부(111)에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다양한 구조가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2 고정판(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은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1 고정기판(170) 상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2 고정판(210)은 제2 공기 흡입부(230)에 연결되어 일면에 배치되는 제2 전극필름(12)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제2 공기 흡입부(230)는 제2 고정판(210)의 후면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커팅장치(220)는 제2 고정판(210)에 제1 방향으로 형성된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되는 제2 절삭날(221) 및 제2 절삭날(221)을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팅장치(220)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은 커팅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개구부(211)는 제2 절삭날(221)이 삽입될 정도의 얇은 슬릿(slit)일 수 있다. 그러나 제1 개구부(111)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블록(182)이 삽입되어야 하므로 제1 개구부(111)의 크기는 제2 개구부(211)보다 클 수 있다.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2 고정판(210)과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2 고정기판(270) 상에서 전, 후, 좌, 우, 위, 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제1 이송장치(320)는 제2 전극필름(12)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고, 제2 이송장치(310)는 제2 전극필름(12)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 사이에 제2 전극필름(12)을 배치시킬 수 있다.
제1 이송장치(320)는 수평 프레임(323)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 이송부재(322) 및 제2 이송부재(312)에 연결된 제1 클램프(3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송장치(320)는 제2 고정판(210)의 하부에서 제2 전극필름(12)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이송장치(320)는 제2 전극필름(12)을 제2 이송장치(310)의 하부까지 이송할 수 있다.
제2 이송장치(310)는 수직 프레임(313)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2 이송부재(312) 및 제2 이송부재(312)에 연결된 제2 클램프(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 이송장치(320)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이 제2 이송장치(310)의 하부까지 이송되면 제2 이송부재(312)가 하강하여 제2 클램프(311)가 제2 전극필름(12)을 클램핑할 수 있다.
이때, 제1 클램프(321)는 제1 이송부재(322)에 축고정된 상태에서 제2 클램프(311)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은 제2 클램프(311)가 잡을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해 들어 올려질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2 클램프(311)는 제2 전극필름(12)을 수직 방향으로 들어올려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 사이에 배치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판(210)의 하부에 배치된 롤러(15)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제2 전극필름(12)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제2 이송장치의 제2 클램프(311)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어 제2 전극필름을 안전하게 클램핑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 고정판(210)은 제1 고정판(110)을 향해 이동함으로써 제1 전극필름(11)에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판(110)은 제2 공기 흡입부(230)에 의해 공기를 흡입하여 제2 전극필름(12)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제2 커팅장치(220)의 제2 절삭날(221)은 제2 개구부(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2 개구부(211)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제2 전극필름(12)의 일부를 커팅할 수 있다. 커팅된 제2 전극필름(12)은 제2 클램프(311)에 의해 별도의 수거함에 수거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이 제1 커팅장치(120)에 의해 커팅되고, 제2 전극필름(12)이 제2 커팅장치(220)에 의해 커팅됨으로써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은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과 동일 높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이미지 획득 장치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7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의 촬영된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8은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제1 구동부(160)에 의해 제1 고정판(110)은 제2 고정판(210)을 향해 이동하고, 제2 고정판(210)은 제2 구동부(260)에 의해 제1 고정판(110)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이 가까워지는 거리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제1 고정판(110)에 배치된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거리까지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가까워질 수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90)는 승하강장치(191)에 의해 제1 개구부(111)까지 승강하여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이미지 획득 장치(190)는 제1 고정판(110)에 삽입 고정될 수도 있다. 이미지 획득 장치(190)의 위치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이미지 획득 장치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제1 전극필름(11)과 제1 보호필름(11a) 사이의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전극필름(12)과 제2 보호필름(12a) 사이의 제2 경계 영역(CL2)이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전극필름과 보호필름의 재질 및 색상이 상이하므로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을 이용하여 경계 영역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경계 영역 이외의 다른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보호필름이 없는 전극필름 또는 일반적인 고분자 필름 등은 배경 이미지와 분리하여 외곽선 이미지를 추출하여 정렬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어부는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경계 영역(CL2)이 일치하지 않아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전극필름(11) 및/또는 제2 전극필름(12)을 좌우로 움직여서 정렬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앞, 뒤, 좌, 우, 상, 하로 이동시키도록 제1 구동부 및/또는 제2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은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경계 영역(CL2)이 일치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테이프 공급부가 블록에 점착 테이프를 배치시키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1은 테이프 공급부가 점착 테이프의 일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2는 테이프 공급부가 점착 테이프의 타단을 커팅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3은 블록에 점착 테이프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 및 20을 참조하면, 테이프 접착 장치(180)의 테이프 공급부(183)는 회전부재(185)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블록(182)의 가압면(182a)에 접착 테이프(13)를 부착할 수 있다.
접착 테이프(13)의 후면은 접착층이 없으나 블록(182)의 가압면(182a)에는 관통홀(18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어 접착 테이프(13)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블록(182)의 가압면(182a)에 접착 테이프(13)를 고정하는 방법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고정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테이프 공급부(183)는 접착 테이프(13)를 잡고 블록(182)의 가압면(182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보조 롤러(184)가 접착 테이프(13)를 지지할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테이프 공급부(183)의 몸체에는 고정부(183a) 및 커팅부(183b)가 내장될 수 있다. 고정부(183a)는 접착 테이프(13)를 잡은 상태에서 블록(182)의 제1 끝단(182b)까지 이동하여 접착 테이프(13)를 배치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고정부(183a)는 블록(182)의 제1 끝단(182b)에서 접착 테이프(13)를 놓고 다시 블록(182)의 제2 끝단(182c)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후, 커팅부(183b)가 제2 끝단(182c)에서 접착 테이프(13)를 커팅할 수 있다. 따라서, 도 23과 같이 접착 테이프(13)는 블록(182)의 가압면(182a)에 고정될 수 있다.
도 24는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접합시킨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어부(400)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제1 구동부(160)와 제2 구동부(260)에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테이프 접착 장치(180)의 제3 구동부(181)는 접착 테이프(13)가 고정된 블록(182)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 고정판(110)의 제1 개구부(1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블록(182)은 제1 개구부(111)를 통과하여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접착 테이프(13)를 부착할 수 있다.
제어부는 블록(182)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13)를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붙이면서 블록(192)에 인가된 공기 흡입을 중지시킬 수 있다. 이후 블록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부착된 접착 테이프(13)를 블록으로 다시 눌러줌으로써 접착 테이프(13)가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잘 부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접착 테이프(13)에 의해 연결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제1 전극필름(11) 및 제2 전극필름(12)에서 멀어져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에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이 후속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극필름(12)을 이송하는 단계, 접착 테이프(13)를 준비하는 단계,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및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에 접착 테이프(13)를 부착하는 단계가 모두 자동화되어 공정 속도가 빨라지고 정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5를 참고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결장치는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테이프 접착 장치(180)의 블록(182)에 배치된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제3 구동부(181)에 의해 블록(182)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 획득 장치(190)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예시적으로 제어부(400)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제3 구동부(181)를 제어하여 블록(182)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이미지 획득 장치(190)의 초점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연결방법은,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하는 단계(S110),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을 일치시키는 단계(S120),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 및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연결하는 단계(S14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시키는 단계(S110)는, 제1 전극필름(11)을 제1 고정판(110)에 흡입 고정하고, 제2 전극필름(12)을 흡입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공기 흡입부와 연결되어 전극필름을 흡입하여 고정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고정시키는 단계(S110)는 제1 이송부재(322)가 제2 전극필름(12)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제2 이송부재(312)가 제2 전극필름(12)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 사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제2 고정판(210)이 제1 고정판(110)을 향해 이동하여 제2 전극필름(12)을 흡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을 일치시키는 단계(S120)는 제1 커팅장치(120)의 제1 절삭날(121)을 제1 개구부(111)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1 전극필름(11)의 일부를 커팅하고, 제2 커팅장치(220)의 제2 절삭날(221)을 제2 개구부(211)의 이동 방향으로 이동시켜 제2 전극필름(12)의 일부를 커팅할 수 있다.
제1 절삭날(121)과 제2 절삭날(221)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은 일치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의 끝단과 제2 전극필름(12)의 끝단이 일치한다는 의미는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을 밀착시켰을 때 제1 전극필름(11)의 끝점과 제2 전극필름(12)의 시작점이 만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0)는 제어부(400)는 이미지 획득 장치(190)가 촬영한 이미지에서 제1 전극필름(11)과 제1 보호필름(11a) 사이의 제1 경계 영역(CL1)과 제2 전극필름(12)과 제2 보호필름(12a) 사이의 제2 경계 영역(CL2)이 정렬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영상 이미지 이용하여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경계 영역을 분리하여 검출할 수 있는 다양한 영상 처리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의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1 전극필름(11) 및/또는 제2 전극필름(12)을 좌우로 움직여서 정렬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앞, 뒤, 좌, 우, 상, 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되도록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에 이동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연결하는 단계(S140)는 제어부(400)는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이 완전히 밀착되도록 하여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을 접합할 수 있다.
제2 전극필름(12)의 후면에는 접착 테이프(13)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밀착되면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은 접착 테이프(13)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필름(11)과 제2 전극필름(12)이 연결되면 제1 고정판(110)과 제2 고정판(210)은 제1 전극필름(11) 및 제2 전극필름(12)에서 멀어져 공정을 완료할 수 있다. 이후에는 롤러의 회전에 의해 제2 전극필름(12)이 전극 패턴 공정에 공급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제1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1 고정판;
    상기 제1 고정판과 마주보게 배치되어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제2 고정판;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 장치; 및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가 획득한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연결하는 연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필름을 커팅하는 제1 커팅장치; 및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커팅하는 제2 커팅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팅장치는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1 절삭날 및 상기 제1 절삭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팅장치는 상기 제2 개구부에 삽입되는 제2 절삭날 및 상기 제2 절삭날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을 이동시키는 제1 구동부; 및
    상기 제2 고정판을 이동시키는 제2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이 접합되도록 상기 제1 구동부와 상기 제2 구동부를 제어하는 연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되도록 상기 제1 고정판 및 제2 고정판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키는 연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에 상기 제1 전극필름을 부착시키는 제1 공기 흡입부; 및
    상기 제2 고정판에 상기 제2 전극필름을 부착시키는 제2 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판은 복수 개의 제1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고정판은 복수 개의 제2 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홀과 연결되는 제1 흡입 채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 흡입부는 상기 복수 개의 제2 홀과 연결되는 제2 흡입 채널을 포함하는 연결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필름은 일측면에 제1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제2 전극필름은 일측면에 제2 보호필름이 부착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제1 보호필름 사이의 제1 경계 영역과 상기 제2 전극필름과 제2 보호필름 사이의 제2 경계 영역이 일치하는지 판단하는 연결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부는 상기 제2 개구부보다 큰 연결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판과 이격 배치되는 블록;
    상기 블록에 접착 테이프를 배치하는 테이프 공급부; 및
    상기 블록을 상기 제1 개구부에 삽입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테이프 접착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상기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결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는 상기 블록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연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블록을 이동시켜 상기 이미지 획득 장치의 초점을 조정하는 연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 이송장치; 및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고정판 사이에 배치시키는 제2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13.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전극필름의 끝단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의 끝단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정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 전극필름이 고정된 제1 고정판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이 고정된 제2 고정판을 중 적어도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정렬시키는 연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필름과 제2 전극필름을 고정하는 단계는,
    제1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평 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제2 이송부재가 상기 제2 전극필름을 수직 방향으로 이송하여 상기 제1 고정판과 제2 고정판 사이에 배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2 고정판이 상기 제1 고정판을 향해 이동하여 상기 제2 전극필름을 흡입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결 방법.
KR1020200067072A 2020-06-03 2020-06-03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KR102390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72A KR102390172B1 (ko) 2020-06-03 2020-06-03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72A KR102390172B1 (ko) 2020-06-03 2020-06-03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11A true KR20210150111A (ko) 2021-12-10
KR102390172B1 KR102390172B1 (ko) 2022-04-25
KR102390172B9 KR102390172B9 (ko) 2024-09-06

Family

ID=7886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72A KR102390172B1 (ko) 2020-06-03 2020-06-03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01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647A1 (ko) * 2022-01-06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연결 장치
WO202407613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노칭장치 및 전극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119212A1 (de) * 2022-08-01 2024-02-01 Körber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endlichen Materialbahnen
DE102022119211A1 (de) * 2022-08-01 2024-02-01 Körber Technologie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Verbinden von endlichen Materialbahn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406593B2 (ja) * 2004-10-06 2010-01-27 新日本工機株式会社 フィルム接合装置
KR101827204B1 (ko) * 2017-03-13 2018-02-07 주식회사 신한정공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3514A (ja) * 2000-02-23 2001-08-28 Shikoku Kakoki Co Ltd ロールフィルム接続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4406593B2 (ja) * 2004-10-06 2010-01-27 新日本工機株式会社 フィルム接合装置
KR101827204B1 (ko) * 2017-03-13 2018-02-07 주식회사 신한정공 롤투시트 풀림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32647A1 (ko) * 2022-01-06 2023-07-1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연결 장치
WO2024076138A1 (ko) * 2022-10-05 2024-04-11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전극 노칭장치 및 전극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0172B9 (ko) 2024-09-06
KR102390172B1 (ko) 202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0172B1 (ko)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결 방법
US20050199337A1 (en) Single sheet joining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8819929B2 (en) Component mounting method
KR20140051784A (ko) 반도체 웨이퍼의 마운트 방법 및 반도체 웨이퍼의 마운트 장치
US20090090451A1 (en) Protective tape sepa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US10157760B2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having a pickup unit simultaneously picking up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chips
JP7033878B2 (ja) 半導体製造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20070193671A1 (en) Method for affixing adhesive tape to semiconductor wafer,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TWM518818U (zh) 膠材貼合裝置
CN111319971B (zh) 极片输送装置
KR20120025857A (ko) 커버레이 가접 장치 및 방법
WO2021026815A1 (zh) 薄膜处理系统以及撕膜装置的撕膜方法
KR101079950B1 (ko) 인쇄회로기판의 가접장치
US20220353999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mposite board
KR101724093B1 (ko) 양면테이프 라미네이팅 장치
CN106827562B (zh) 揭网布装置以及麦克风组装装置
KR100967687B1 (ko) Acf부착장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의 제조장치 및 플랫패널 디스플레이
KR20030060163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용 테이프의 접착 장치 및 그 방법
CN111383983A (zh) 片状粘合材料的粘贴方法和片状粘合材料的粘贴装置
CN216610429U (zh) 加热除尘平台和贴合机
CN217389146U (zh) 背胶撕膜对位贴合机
JP2005129803A (ja) Icタグ付きシートの製造方法、icタグ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KR102686698B1 (ko) 카메라모듈 acf 본딩장치
CN214986353U (zh) 一种用于球面外壳按键位的自动化贴热熔胶膜装置
WO2022130444A1 (ja) 部品実装機およびクランプ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