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01440A1 -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01440A1
WO2023101440A1 PCT/KR2022/019266 KR2022019266W WO2023101440A1 WO 2023101440 A1 WO2023101440 A1 WO 2023101440A1 KR 2022019266 W KR2022019266 W KR 2022019266W WO 2023101440 A1 WO2023101440 A1 WO 202310144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anut sprout
sprout extract
gold nano
inflammatory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926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기철
김연주
Original Assignee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기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황기철 filed Critical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310144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0144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6Inorganic salts, minerals or trace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20Ingredients acting on or related to the structure
    • A23V2200/25Nanoparticles, nano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5Inorganic Compounds
    • A23V2250/156Mineral combination
    • A23V2250/1568Gol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Definitions

  • composition compris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Skin as a physical barrier that protects the body agains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tecting internal organs from physical and chemical stimuli such as ultraviolet rays and maintaining homeostasis.
  • the skin is composed of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fat.
  • the epidermis of the skin is mostly composed of keratinocytes, which form keratin and produce various cytokines to respond to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known to be involved.
  • dermal keratinocytes When dermal keratinocytes are exposed to environmental and physiological factors, an inflammatory response occurs and various inflammatory cytokines and chemokines are secreted, which reduces the proliferation rate of keratinocytes and speeds up the recovery of damaged skin. Decrease. Therefore, proliferation of skin keratinocyt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flammatory skin diseases, and is closely related to skin diseases such as skin aging, atopic dermatitis, and psoriasis.
  • Macrophages which play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innate and adaptive immune responses, remove pathogens by phagocytosis when pathogens pass through the epithelial barrier. Macrophages produce pro-inflammatory cytokines (TNF- ⁇ interleukin (IL)-6), chemokines (IL-8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and inflammatory enzymes (iNOS2 (inducible It is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by producing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COX)-2).
  • IL-6 interleukin-6
  • chemokines IL-8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 iNOS2 inducible It is involved in the immune response by producing inflammatory mediators including nitric oxide synthase) and cyclooxygenase (COX)-2).
  • Lipopolysaccharide is a substance that causes oxidative stress and is a kind of constituent material present in the cell wall of Gram-negative bacteria. It is known that it causes the secretion of cytokines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signal transduction process of macrophages or monocytes and induces the activity of the hypothalamus and adrenal cortex to generate NO. In particular, LPS amplifies the body's inflammatory response, and when macrophages are stimulated with LPS, a large amount of NO produced by the expression of iNOS serves as a mediator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Therefore, controlling inflammation and maintaining an appropriate level of the immune response are very important to prevent these diseases.
  • LPS Lipopolysaccharide
  • Peanuts are a representative high-fat, high-protein health food. It is native to the South American continent centered on Brazil, and it is estimated that it was introduced to Korea around 1780 (Jeongjo’s 4th year), and it is believed that full-scale cultivation took place after the flowering period. Peanut is a natural health food that is three times higher in lipid than general soybeans and rich in various nutrients such as 13 kinds of vitamins and 26 kinds of minerals. In the United States, about 56% of peanut consumption is used to make peanut butter, and the rest is roasted and used for snacks or confectionery. In Europe, peanuts are widely used for milking.
  • Peanut sprouts refer to crops harvested within an appropriate period, for example, between 4 and 12 days after germination of peanuts using a culture medium.
  •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nd based on this,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compris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including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oduc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a peanut sprout extract and a gold salt,
  • the concentration of the gold salt is 0.1 to 10 mM.
  • the concentration of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characterized in that 0.1 to 10mg / m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hibiting inflammation, including the step of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smetic meth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a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comprising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peanuts Arachis hypogaea
  • peanuts Arachis hypogaea
  • peanut sprout refers to crops sprouted by germinating peanuts.
  • the peanut sprout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as being a peanut sprout whole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eanut sprouts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such as directly grown or commercially available.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a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mixing the peanut sprout extract and gold sal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extract refers to an extract obtained by extraction of the peanut sprouts, a diluted or concentrated solution of the extract, a dried product obtained by drying the extract, a crude or purified product of the extract, or a mixture thereof, It includes the extract itself and extracts of all formulations that can be formed using the extract.
  •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extract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 Non-limiting examples of the extraction method include vacuum low temperature extraction, hot water extraction, ultrasonic extraction, filtration, reflux extraction, supercritical extraction, subcritical extraction, high temperature extraction, high pressure extraction, solvent extraction, etc., which are alone It may be performed or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ethods may be performed.
  • a vacuum low-temperature extraction method was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ype of extraction solvent used to extract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tracting an extract from natural products, that is, conventional temperature and pressure It can be extracted using conventional solvents under the conditions of
  •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water, C 1 to C 4 lower alcohol, n-hexane, ethyl acetate, acetone, acetonitrile, butyl acetate, 1,3-butylene glycol, methylene chloride, and a mixture thereof It may be extracted with one solv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olvents, a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wat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pared extract may then be filtered or concentrated or dried to remove the solvent, and both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drying may be performed.
  • filtration may use filter paper or a vacuum filter
  • concentration may use a vacuum vacuum concentrator or vacuum rotary evaporat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drying may be performed by vacuum drying, vacuum drying, boiling drying, spray drying, freeze drying,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number of extractions may be carried out one or more times, but as the extraction continues, the yield of the active ingredient significantly decreases, so it may not be economical to repeat the extraction five times or more. Accordingly, the number of extractions is preferably 1 to 5 tim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s 0.1 to 500 ug / ml, 0.1 to 400 ug / ml, 0.1 to 300 ug / ml, 1 to 500 ug / ml, 1 to 400 ug / ml, 1 to 300 ug/ml, 5 to 500 ug/ml, 5 to 400 ug/ml, 5 to 300 ug/ml, 10 to 500 ug/ml, 10 to 400 ug/ml, 10 to 300 ug/ml, 50 to 500 I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at a concentration of ug/ml, 50 to 400 ug/ml, 50 to 300 ug/ml, or 50 to 200 ug/m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atisfies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but is not limited thereto: (a) suppression of NO production; (b) inhibition of IL-6 production; (c) inhibition of TNF- ⁇ production; and (d) inhibition of ROS produ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compris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anti-inflammatory refers to an action of inhibiting or reducing inflammation, and may be used to include prevention, improvement, or therapeutic activity of inflammatory diseases.
  • the inflammatory disease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ammatory collagen vascular disease, glomerulonephritis, inflammatory skin disease, sarcoidosis, retinitis, gastritis, hepatitis, enteritis, arthritis, pneumonia, pancreatitis, sepsis, cystitis, nephritis, and neuritis. It m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inflammatory skin disease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topic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eczema, and psoriasi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suitabl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 the excipient may be, for exampl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diluent, a binder, a disintegrant, a lubricant, an adsorbent, a moisturizer, a film-coating material, and a controlled release additive.
  • compos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powders, granules, sustained-release granules, enteric granules, solutions, eye drops, elsilic agents, emulsions, suspensions, spirits, troches, perfumes, and limonadese, respectively,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 tablets, sustained-release tablets, enteric tablets, sublingual tablets, hard capsules, soft capsules, sustained-release capsules, enteric capsules, pills, tinctures, soft extracts, dry extracts, fluid extracts, injections, capsules, perfusate It can be formulated and used in the form of external preparations such as warning agents, lotions, pasta agents, sprays, inhalants, patches, sterile injection solutions, or aerosols, and the external agents are creams, gels, patches, sprays, ointments, and warning agents.
  • lotion, liniment, pasta, or cataplasma may have formulations such as the like.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oligosaccharid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diluents or excipients such as commonly used fillers, extenders, binders, wetting agents, disintegrants, and surfactants.
  • Additives for the liquid formul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water, dilute hydrochloric acid, dilute sulfuric acid, sodium citrate, sucrose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sorbitol fatty acid esters (tween esters), polyoxyethylene monoalkyl ethers, lanolin ethers, Lanolin esters, acetic acid, hydrochloric acid, aqueous ammonia, ammonium carbonate, potassium hydroxide, sodium hydroxide, prolamine, polyvinylpyrrolidone, ethyl 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and the like may be used.
  • a solution of white sugar, other sugars, or a sweetener may be used, and aromatics, coloring agents, preservatives, stabilizers, suspending agents, emulsifiers, thickeners, etc. may be used as necessary.
  • Purified water may be used in the emul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emulsifiers, preservatives, stabilizers, fragrances, etc. may be used as needed.
  • Suspension ag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cacia, tragacantha,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sodium alginate, hydroxypropylmethylcellulose (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etc. Agents may be used, and surfactants, preservatives, stabilizers, colorants, and fragrances may be used as needed.
  • Injec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distilled water for injection, 0.9% sodium chloride injection, IV injection, dextrose injection, dextrose + sodium chloride injection, PEG, lactated IV injection, ethanol, propylene glycol, non-volatile oil-sesame oil , solvents such as cottonseed oil, peanut oil, soybean oil, corn oil, ethyl oleate, isopropyl myristate, and benzene benzoate; solubilizing agents such as sodium benzoate, sodium salicylate, sodium acetate, urea, urethane, monoethylacetamide, butazolidine, propylene glycol, twins, nijuntinamide, hexamine, and dimethylacetamide; buffers such as weak acids and their salts (acetic acid and sodium acetate), weak bases and their salts (ammonia and ammonium acetate), organic compounds, proteins, albumin, peptone, and gums; tonicity agents such as sodium chlor
  • the supposito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cacao butter, lanolin, witapsol, polyethylene glycol, glycerogelatin, methylcellulose, carboxymethylcellulose, a mixture of stearic acid and oleic acid, subanal, cottonseed oil, peanut oil, palm oil, cacao butter + Cholesterol, Lecithin, Lannet Wax, Glycerol Monostearate, Tween or Span, Imhausen, Monolen (Propylene Glycol Monostearate), Glycerin, Adeps Solidus, Buytyrum Tego-G -G), Cebes Pharma 16, Hexalide Base 95, Cotomar, Hydroxycote SP, S-70-XXA, S-70-XX75 (S-70-XX95), Hyde Hydrokote 25, Hydrokote 711, Idropostal, 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Massa-MF, Masupol, Masupol-15, Neos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contain at least one excipient,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etc. ) or by mixing lactose and gelatin.
  • excipients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etc.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aromatics, and preservatives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ized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vent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formulations, and suppositories.
  •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as non-aqueous solvents and suspending agents.
  •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dministered in a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 pharmaceutically effective amount means an amount sufficient to treat a disease with a reasonable benefit / risk ratio applicable to medical treatment, and the effective dose level is the type of patient's disease, severity, activity of the drug, I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factors including sensitivity to the drug, administration tim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excretion rate, duration of treatment, drugs used concurrently, and other factors well known in the medical fiel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as an individual therapeutic agent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therapeutic agents, may be administered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with conventional therapeutic agents, and may be administered single or multiple tim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factors, it is important to administer an amount that can obtain the maximum effect with the minimum amount without side effects, which can be easily determin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by various routes. All modes of administration can be envisaged, eg oral administra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intraven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paraspinal space (intrathecal) injection, sublingual administration, buccal administration, intrarectal insertion, vaginal It can be administered by intraoral insertion, ocular administration, otic administration, nasal administration, inhalation, spraying through the mouth or nose, dermal administra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ype of drug as an active ingredient together with various related factors such as the disease to be treated, the route of administration, the age, sex, weight and severity of the disease of the patient.
  • subject means a subject in need of treatment of a disease, and more specifically, a human or non-human primate, mouse, rat, dog, cat, horse, cow, etc. of mammals.
  • administration means providing a give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ubject by any suitable method.
  • prevention refers to any action that suppresses or delays the onset of a desired disease
  • treatment means that a desired disease and its associated metabolic abnormalities are improved or treated by administration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actions that are beneficially altered, and “improvement” means any action that reduces a parameter associated with a desired disease, eg, the severity of a symptom, by administration of a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compris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formul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kin lotion, skin softener, skin toner, astringent, lotion, milk lotion, moisture lotion, nutrient lotion, massage cream, nutrient cream, mist, moisture cream, hand cream, hand lotion, foundation, It may be in the form of essence, nutritional essence, pack, soap, cleansing foam, cleansing lotion, cleansing cream, cleansing oil, cleansing balm, body lotion, or body cleanser.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si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ater-soluble vitamins, oil-soluble vitamins, high-molecular peptides, high-molecular polysaccharides, and sphingolipids.
  • Any water-soluble vitamin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incorporated into cosmetics, but examples include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B6, pyridoxine, pyridoxine hydrochloride, vitamin B12, pantothenic acid, nicotinic acid, nicotinic acid amide, folic acid, vitamin C, and vitamin H. salts (thiamine hydrochloride, sodium ascorbate, etc.) or derivatives (sodium ascorbic acid-2-phosphate, magnesium salt of ascorbic acid-2-phosphate, etc.) included Water-soluble vitamins can b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 microbial transformation method,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microbial culture, an enzymatic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 any useful vitamin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formulated into cosmetics, but examples thereof include vitamin A, carotene, vitamin D2, vitamin D3, vitamin E (d1-alpha tocopherol, d-alpha tocopherol), and their derivatives (palmitic acid).
  • the useful vitamins can be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microbial transformation, purification from microbial culture, enzymatic or chemical synthesis.
  • Any polymer peptide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incorporated into cosmetic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ollagen, hydrolyzed collagen, gelatin, elastin, hydrolyzed elastin, and keratin.
  • Polymer peptides can be purified and obta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a purification method from a culture medium of microorganisms, an enzyme method, or a chemical synthesis method, or can be used after being purified from natural products such as pig or cow dermis or silkworm silk fibers.
  • the polymeric polysaccharide may be any material as long as it can be incorporated into cosmetic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hydroxyethyl cellulose, xanthan gum, sodium hyaluronate, chondroitin sulfate or salts thereof (sodium salt, etc.).
  • chondroitin sulfate or a salt thereof can be used after being purified from mammals or fish.
  • sphingolipid can be used as long as it can be incorporated into cosmetics,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eramide, phytosphingosine, and sphingoglycolipid. Sphingolipids can be purified by conventional methods or obtained by chemical synthesis from mammals, fish, shellfish, yeast, or plants.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above essential ingredients, other ingredients normally formulated in cosmetics may be blended as necessary.
  • ingredients that may be added include fats and oils, humectants, emollients, surfactants,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organic powders, ultraviolet absorbers, preservatives, bactericides, antioxidants, plant extracts, pH adjusters, alcohols, pigments, fragrances, A blood circulation accelerator, a cooling agent, an antiperspirant, purified water, etc. are mentioned.
  • oil and fat component examples include ester oils, hydrocarbon oils, silicone oils, fluorine oils, animal fats and vegetable oils.
  • ester oils include glyceryl tri-2-ethylhexanoate, cetyl 2-ethylhexanoate, isopropyl myristate, but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ethyl stearate, octyl palmitate, isocetyl isostearate, and stearic acid.
  •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examples include hydrocarbon-based fats and oils such as squalene, liquid paraffin, alpha-olefin oligomer, isoparaffin, ceresin, paraffin, liquid isoparaffin, polybuden, microcrystalline wax, and vaseline.
  • silicone oils include polymethylsilicone, methylphenylsilicone, methylcyclopolysiloxane, octamethylpolysiloxane, decamethylpolysiloxane, dodecamethylcyclosiloxane, dimethylsiloxane/methylcetyloxysiloxane copolymer, dimethylsiloxane/methylstealoxysiloxane copolymer, alkyl Modified silicone oil, amino modified silicone oil, etc. are mentioned.
  • fluorine-based fats and oils examples include perfluoropolyether and the like.
  • Animal or vegetable oils include avocado oil, almond oil, olive oil, sesame oil, rice bran oil, birdflower oil,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algae oil, palm kernel oil, palm oil, castor oil, sunflower oil, grape seed oil , cottonseed oil, palm oil, kukui nut oil, wheat germ oil, rice germ oil, shea butter, moonshine colostrum, marker damian nut oil, meadowsweet oil, egg yolk oil, beef tallow, horse oil, mink oil, orange raffia oil, jojoba oil , animal or plant fats and oils such as candelilla wax, carnaba wax, liquid lanolin, and hydrogenated castor oil.
  • avocado oil almond oil, olive oil, sesame oil, rice bran oil, birdflower oil, soybean oil, corn oil, rapeseed oil, algae oil, palm kernel oil, palm oil, castor oil, sunflower oil, grape seed oil , cottonseed oil, palm oil, kukui nut oil, wheat germ
  • moisturizer examples include water-soluble low-molecular moisturizers, fat-soluble molecular moisturizers, water-soluble polymers, and oil-soluble polymers.
  • Cholesterol, cholesterol ester, etc. are mentioned as a fat-soluble low-molecular moisturizer.
  • water-soluble polymers include carboxyvinyl polymer, polyaspartate, tragacanth, xanthan gum, methyl cellulose, hydroxymethyl cellulose, hydroxyethyl cellulose, hydroxypropyl cellulose, carboxymethyl cellulose, water-soluble chitin, chitosan, dextrin, and the like.
  • the fat-soluble polymer examples include polyvinylpyrrolidone/eicosene copolymer, polyvinylpyrrolidone/hexadecene copolymer, nitrocellulose, dextrin fatty acid ester, and high molecular silicone.
  • emollient agent examples include long-chain acyl glutamic acid cholesteryl ester, hydroxystearic acid cholesteryl, 12-hydroxystearic acid, stearic acid, rosin acid, lanolin fatty acid cholesteryl ester, and the like.
  • surfactant examples include nonionic surfactants, anionic surfactants, cationic surfactants, and amphoteric surfactants.
  • Nonionic surfactants include self-emulsifying glycerin monostearate, propylene glycol fatty acid esters, glycerin fatty acid esters, polyglycerin fatty acid esters,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E (polyoxyethylen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E sorbitan fatty acid esters, POE Glycerin fatty acid ester, POE alkyl ether, POE fatty acid ester, POE hydrogenated castor oil, POE castor oil, POE ⁇ POP (polyoxyethylene ⁇ polyoxypropylene) copolymer, POE ⁇ POP alkyl ether, polyether modified silicone, lauric acid alkanolamides, alkylamine oxides, hydrogenated soybean phospholipids, and the like.
  • Anionic surfactants include fatty acid soaps, alpha-acyl sulfonates, alkyl sulfonates, alkyl allyl sulfonates, alkyl naphthalene sulfonates, alkyl sulfates, POE alkyl ether sulfates, alkyl amide sulfates, alkyl phosphates, POE alkyl phosphates, and alkyl amide phosphates.
  • alkyloylalkyl taurine salts alkyloylalkyl taurine salts, N-acylamino acid salts, POE alkyl ether carboxylate salts, alkyl sulfosuccinic acid salts, sodium alkyl sulfoacetate, acylated hydrolyzed collagen peptide salts, perfluoroalkyl phosphate esters, and the like.
  • Amphoteric surfactants include carboxybetaine type, amidebetaine type, sulfobetaine type, hydroxysulfobetaine type, amide sulfobetaine type, phosphobetaine type, aminocarboxylate type, imidazoline derivative type, amideamine type, etc. An amphoteric surfactant etc. are mentioned.
  • organic and inorganic pigments silicic acid, silicic anhydride, magnesium silicate, talc, sericite, mica, kaolin, bengala, clay, bentonite, titanium-coated mica, bismuth oxychloride, zirconium oxide, magnesium oxide, zinc oxide, titanium oxide, aluminum oxide inorganic pigments such as calcium sulfate, barium sulfate, magnesium sulfat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iron oxide, ultramarine blue, chromium oxide, chromium hydroxide, calamine and complexes thereof; Polyamide, polyester, polypropylene, polystyrene, polyurethane, vinyl resin, urea resin, phenolic resin, fluororesin, silicon resin, acrylic resin, melamine resin, epoxy resin, polycarbonate resin, divinylbenzene/styrene copolymer, organic pigments such as silk powder, cellulose, CI pigment yellow and CI pigment orange, and composite pigments of these in
  • organic powder examples include metal soaps such as calcium stearate; Alkyl phosphate metal salts, such as zinc sodium cetylrate, zinc laurylrate, and calcium laurylrate; polyvalent metal salts of acyl amino acids such as N-lauroyl-beta-alanine calcium, N-lauroyl-beta-alanine zinc, and N-lauroyl glycine calcium; polyvalent metal salts of amide sulfonic acids such as N-lauroyl-taurine calcium and N-palmitoyl-taurine calcium; N-epsilon-lauroyl-L-lysine, N-epsilon-palmitoylizine, N-alpha-paritoylolnithine, N-alpha-lauroylarginine, N-alpha-hardened beef fatty acid acylarginine, etc.
  • metal soaps such as calcium stearate
  • Alkyl phosphate metal salts such
  • N-acyl basic amino acids such as N-lauroylglycylglycine
  • alpha-amino fatty acids such as alpha-aminocaprylic acid and alpha-aminolauric acid
  • polyethylene polypropylene, nylon, polymethyl methacrylate, polystyrene, divinylbenzene/styrene copolymer, tetrafluoroethylene, and the like.
  • UV absorbers examples include para-aminobenzoic acid, ethyl para-aminobenzoate, amyl para-aminobenzoate, octyl para-aminobenzoate, ethylene glycol salicylate, phenyl salicylate, octyl salicylate, benzyl salicylate, butylphenyl salicylate, homomenthyl salicylate, and benzyl cinnamate.
  • Bactericides include hinokitiol, triclosan, trichlorohydroxydiphenyl ether, chlorhexidine gluconate, phenoxyethanol, resorcin, isopropylmethylphenol, azulene, salicylic acid, zincophylthione, benzalkonium chloride, photosensitizer So No. 301, mononitroguacol sodium, undecyrenic acid, etc. are mentioned.
  • antioxidants examples include butylhydroxyanisole, propyl gallic acid, and elisorbic acid.
  • pH adjuster examples include citric acid, sodium citrate, malic acid, sodium malate, fumaric acid, sodium fumalate, succinic acid, sodium succinate, sodium hydroxide, and sodium monohydrogenphosphate.
  • alcohol examples include higher alcohols such as cetyl alcohol.
  • blending components that may be added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any of the above ingredients can be blended within a range not impairing the 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0.01 to 5% by weight percent or 0.01 to 3% based on the total weight. Can be formulated in % weight percentage.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otion, paste, cream or gel, animal fiber, vegetable fiber, wax, paraffin, starch, tracanth,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as a carrier component can be used
  •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an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 May contain a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 a solvent, solvat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a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3-butyl glycol oil, fatty acid esters of glycerol, polyethylene glycol or sorbitan.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 a liquid diluent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an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a suspending agent such as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lin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ide, bentonite, agar or tracanth and the like may be used.
  •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carrier components aliphatic alcohol sulfate,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isethionate, imidazolinium derivative, methyl taurate, sarcosinate,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s, alkylamidobetaines,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i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may be used.
  • a health functional food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including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food” means a natural product or processed product containing one or more nutrients, preferably means a state that can be eaten directly through a certain degree of processing process, and usually means As, it means to include all health functional foods, beverages, food additives and beverage additives.
  • the "functional food” is the same term as 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 medicine processed to efficiently display bioregulatory functions in addition to nutritional supply, It means a food with high medical effect, and can be manufactured into tablets, capsules, pills, granules, powders, liquids, flakes, pastes, syrups, gels, jellies, bars, or film formulations.
  • “function” means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regulating nutrients for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or physiological functions.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ed as a food additive, it can be added as it is or used together with other foods or food ingredients, and can be appropriately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 the mixing amount of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prevention, health or therapeutic treatment). In general, when preparing food or beverage,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15% by weight or less, or 1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raw material. However, in the case of long-term intake for the purpose of health and hygiene or health control, the amount may be less than the above range, and since there is no problem in terms of safety,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in an amount greater than the above range.
  • Examples of foods to which the above substances can be added include meat, sausages, bread, chocolates, candies, snacks, confectionery, pizza, ramen, other noodles, gums, dairy products including ice creams, various soups, beverages, tea, drinks, There are alcoholic beverages and vitamin complexes, and includes all health functional foods in a conventional sense.
  • the health beverag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various flavoring agents or natural carbohydrates as additional components, like conventional beverages.
  • the aforementioned natural carbohydrates are monosaccharides such as glucose and fructose, disaccharides such as maltose and sucrose, polysaccharides such as dextrins and cyclodextrins, and sugar alcohols such as xylitol, sorbitol and erythritol.
  • natural sweeteners such as thaumatin and stevia extract, or synthetic sweeteners such as saccharin and aspartame may be used.
  • the proportion of the natural carbohydrate is generally about 0.01-0.20 g, or about 0.04-0.10 g per 100 mL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various nutrients, vitamins, electrolytes, flavors, colorants, pectic acid and its salts, alginic acid and its salts, organic acids, protective colloidal thickeners, pH adjusters, stabilizers, preservatives, glycerin, alcohols, A carbonation agent used in carbonated beverages and the like may be contained.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fruit flesh for preparing natural fruit juice, fruit juice beverages and vegetable beverages. These components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The ratio of these additives is not critical, but is generally selected in the range of 0.01-0.20 parts by weight per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have an advantage of having a more excellent effect by ingesting it in the form of inner beauty food.
  • the inner beauty refers to food referred to as 'eating cosmetics or beauty food', which absorbs various ingredients good for the skin into the body and changes the skin constitution to a healthy one. You can select and consume the inner beauty food that suits your individual skin condition and lifestyle. For example, when cosmetics containing the cosmetic composition and inner beauty food containing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re mixed, the effect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sing only cosmetics or drugs, resulting in a more effective anti-inflammatory effect. may have advantage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mixing the peanut sprout extract and gold salt,
  • the concentration of the gold salt is 0.1 to 10 mM.
  • the concentration of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characterized in that 0.1 to 10mg / mL, gold nano-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peanut sprout extract.
  • the gold salt is 0.1 to 10mM, 0.1 to 8mM, 0.1 to 6mM, 0.1 to 4mM, 0.5 to 10mM, 0.5 to 8mM, 0.5 to 6mM, 0.5 to 4mM, 1 to 10mM, 1 to 8mM, 1 to 6 mM, 1 to 4 mM, 1 to 3 mM, or 2 mM gold nano-concent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prepar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eanut sprout extract is 0.1 to 10mg / mL, 0.1 to 8mg / mL, 0.1 to 6mg / mL, 0.1 to 4mg / mL, 0.5 to 10mg / mL, 0.5 to 8mg / mL, 0.5 to 6mg / mL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0.5 to 4 mg/mL, 1 to 10 mg/mL, 1 to 8 mg/mL, 1 to 6 mg/mL, 1 to 4 mg/mL, 1 to 3 mg/mL, or 2 mg/mL It may be included in manufacturing,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mixing temperature may be 50 to 100 °C, 50 to 90 °C, 50 to 80 °C, 60 to 100 °C, 60 to 90 °C, 60 to 80 °C, 65 to 75 °C, or 70 °C , but not limited thereto.
  • the mixing time may be 5 to 50 minutes, 5 to 40 minutes, 5 to 30 minutes, 10 to 50 minutes, 10 to 40 minutes, 10 to 30 minutes, 15 to 25 minutes, or 20 minutes, Not limited to this.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prepared by the above preparation method may be for anti-inflammatory us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hibiting inflamm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 inflammatory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se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for producing a drug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inflammatory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meth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inflammation, comprising administering a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a subject in need thereof.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ffects of inhibiting NO production, IL-6 production, TNF- ⁇ production, and ROS production, and thus has an anti-inflammatory effec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od composition, or cosmetic composition having the above physiological activity.
  • FIG. 1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optimal gold salt concentration (FIG. 1a), concentr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FIG. 1b), temperature (FIG. 1c), and time (FIG. 1d) in preparing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t is shown
  • Figure 2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cytotoxic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and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 RAW264.7 cells.
  • Figure 3 shows the results confirming the NO (nitric oxide)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peanut sprout extract and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 RAW264.7 cells.
  • Figure 4 show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IL-6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 RAW264.7 cells.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TNF- ⁇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 RAW264.7 cells.
  • Figure 6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ROS inhibitory effect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 RAW264.7 cells.
  • the extract was extracted from peanut sprout outpost using a vacuum low-temperature extraction process.
  • the external temperature is set to 120 °C with a heat medium double jacket on dried peanut sprouts
  • the temperature is set so that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reduced pressure is extracted at 60 °C
  • the vacuum is set to cool and condense the evaporated water vapor in the internal vacuum state to obtain an extract
  • a peanut sprout extract having excellent physiological activity of a small molecule was secured.
  • water wa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by combining gold nanoparticles with peanut sprout extract.
  • gold salt Sigma-Aldrich Gold(III) chloride trihydrate (HAuCl 4 3H 2 O), CAS number 16961-25-4) was added at various concentrations of 0.5 to 3 mM to 1 mg/mL peanut sprout extract. and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 the absorbance is measured at 300 to 800 nm because the maximum absorption wavelength is shown at 400 to 600 nm.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a.
  • the prepared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exhibited the maximum absorbance value at 546 nm, and in particular, the highest absorbance value at a concentration of 2 mM gold salt.
  • peanut sprout extract was added at a concentration of 1 to 5 mg/mL to a concentration of 2 mM gold salt and treated at room temperature for 20 minute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ure 1b.
  • the highest absorbance value was shown at 2 mg/mL of peanut sprout extract. Therefore, it means that gold nanoparticles are best produced at a concentration of 2 mg/mL of peanut sprout extract and 2 mM of gold salt.
  • the highest absorbance value was exhibited at 70° C., and the highest absorbance value was obtained at 20 minutes of treatment time.
  • Raw 264.7 cells were dispens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to 3 ⁇ 10 5 cells/mL in a 96-well culture plate, and cultured for 12 hours to attach the cells to the plate. Thereafter, LPS 1 ⁇ g / mL and peanut sprout extract or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were simultaneously tre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3.125 to 100 ⁇ g / mL) and cultured for 24 hours, and then the supernatant was removed to measure cytotoxicity.
  • PS extract peanut sprout extract
  • PS AuNPs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 Raw 264.7 cells were dispens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to 3 ⁇ 10 5 cells/mL in a 96 well culture plate, and cultured for 12 hours to attach the cells to the plate.
  • LPS 1 ⁇ g/mL and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or peanut sprout extract were simultaneously treated at various concentrations (3.125 to 100 ⁇ g/mL)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the end of the culture, 50 ⁇ L of the cell culture supernatant was recovered by centrifugation at 900 rpm for 5 minutes.
  • the peanut sprout extract did not inhibit the NO production ability.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hibits NO produc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has an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 the ability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to produce IL-6, an anti-inflammatory cytokine was confirmed. Specifically, Raw 264.7 cells were dispensed by adjusting the concentration to 3 ⁇ 10 5 cells/mL in a 96 well culture plate, and cultured for 12 hours to attach the cells to the plate. Then, 100 ⁇ g/mL of peanut sprout extract and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25 to 100 ⁇ g/mL) and incubated for 1 hour. Thereafter, 20 ⁇ L of TNF- ⁇ /IFN- ⁇ was treated and cultured for 24 hours.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decreased the production of IL-6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 particular, at a concentration of 100 ⁇ g/mL, inhibition was superior to that of dexamethasone (DE), a positive control (PC). As the effect was shown, the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was confirmed.
  • DE dexamethasone
  • PC positive control
  • TNF- ⁇ inhibitory effect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was confirmed. Specifically, the secretion level of TNF- ⁇ was estimated using an ELISA kit (R&D Systems, Minneapolis, MN, USA)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RAW 264.7 macrophages (1 x 10 4 cells/well) were seeded in a 96-well plate, treated with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and then stimulated with 1 ⁇ g/ml LPS for 24 hours. Thereafter, the supernatant was collected and measured with a commercially available ELIZA kit to determine the level of these cytokines.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hibited TNF- ⁇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 particular, at a concentration of 100 ⁇ g/mL, it showed a better inhibitory effect than the positive control (PC), DE. , It confirmed the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 the ROS inhibitory effect of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was confirmed. Specifically, after treatment with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for 24 hours, the cells were incubated with oxidative stress and superoxide detection reagents at 37° C. for 30 minutes. Cellular ROS/(Mito-SOX) Detection Assay Kit (Abcam, Cambridge, UK) with oxidative stress (green) and superoxide detection reagents was used to detect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release and mitochondrial superoxide (Mito-SOX) SOX, Abcam, Cambridge, UK (red) was detected. Fluorescence was measured using LSM 510 and 510 META laser scanning microscopes (Leica, Wetzlar, Germany).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 the gold nano-peanut sprout extract inhibited RO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and in particular, at a concentration of 100 ⁇ g/mL, it showed a better inhibitory effect than DE, a positive control (PC), It confirmed the excellent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nano-peanut sprout extra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IL-6 생산 억제, TNF-α 생산 억제, 및 ROS 생산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등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에 대해 신체를 보호하는 물리적 장벽으로서 자외선 등의 물리적, 화학적 자극으로부터 내부 장기를 보호하며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특히 피부의 표피는 피부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대부분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각질을 형성하고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을 생산하여 면역반응 및 염증반응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각질형성세포가 환경적 및 생리적 요인에 의해 노출이 되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chemokine)을 분비하게 되고 이는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 속도를 감소시켜 손상된 피부의 회복 속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염증성 피부질환에서 피부각질형성세포의 증식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피부노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등과 같은 피부질환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염증(Inflammation)은 신체가 스스로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인 반응이지만, 통제하지 않으면 류모티스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동맥경화(atherosclerosis), 및 천식(asthma) 등과 같은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선천적 및 적응성 면역반응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식세포는 병원체가 상피 장벽을 통과할 때, 식균 작용으로 병원체를 제거한다. 대식세포는 전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TNF-α IL(interleukin)-6), 케모카인(IL-8 및 MCP(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및 염증 효소(inflammatory enzymes; iNOS2(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및 COX(cyclooxygenase)-2)를 포함한 염증 매개체를 생성함으로써 면역 반응에 관여한다. LPS(Lipopolysaccharide)는 산화적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물질로서, 그람 음성균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구성물질의 일종이다. 대식세포나 단핵구의 신호전달 과정의 활성으로 인한 사이토카인 분비의 원인이 되며 시상하부, 부신피질 등의 활성을 유도하여 NO를 생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LPS는 신체 염증 반응을 증폭시키며, 대식세포가 LPS로 자극될 때 iNOS가 발현되어 생성된 많은 양의 NO는 염증반응 매개물질의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염증을 조절하고 적절한 수준의 면역 반응을 유지하는 것이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땅콩은 대표적인 고지방, 고단백 건강식품이다. 브라질을 중심으로 한 남미대륙이 원산지인데, 우리나라에는 1780년(정조 4년)을 전후하여 도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개화기 이후 본격적인 재배가 이루어진 것으로 여겨진다. 땅콩은 일반 콩보다 지질이 3배가량 높고, 13종의 비타민과 26종의 무기질 등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연 건강식품이다. 미국에서는 땅콩 소비량의 약 56%가 땅콩버터 제조에 이용되고, 나머지는 볶아서 간식용으로 만들거나 제과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땅콩을 착유용으로 많이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볶아서 먹는 볶음 땅콩 형태로 가공되어 반찬이나 간식거리로 많이 사용되고, 제과제빵의 재료, 기호식품, 환자 건강식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이용되고 있다. 땅콩새싹은 땅콩을 배양액을 이용하여 발아시킨 후, 적절한 기간, 예를 들어 4 내지 12일 사이에 수확한 작물을 의미한다.
현재까지 금나노-땅콩새싹 추물물의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검증하여 식품 조성물, 약학적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는 바,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땅콩새싹 추출물과 금염(gold salt)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금염의 농도는 0.1 내지 10mM; 및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는 0.1 내지 1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미용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땅콩(Arachis hypogaea)"은 콩과에 속하는 1년생 초본 식물로서, 일반 콩보다 지질이 3배가량 높고, 13종의 비타민과 26종의 무기질 등 각종 영양성분이 풍부하게 함유된 천연 건강식품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땅콩새싹(peanut sprout)"은 땅콩을 발아시켜 새싹이 난 상태의 작물을 말한다.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은 땅콩새싹 전초 추출물인 것으로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땅콩새싹은 직접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땅콩새싹 추출물과 금염(gold salt)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추출물"은 상기 땅콩새싹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의 추출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에 따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추출 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진공저온 추출법, 열수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여과법, 환류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아임계 추출법, 고온 추출, 고압 추출, 용매 추출법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진공저온 추출법을 이용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을 추출하는 데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천연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은 물,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용매로 추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된 추출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농축은 진공 감압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건조, 동결건조법 등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추출 횟수는 1회 이상 실시할 수 있으나, 추출이 계속될수록 활성 성분은 수득량이 현저히 감소되므로 5회 이상 반복 실시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않을 수 있다. 이에, 추출 횟수는 1 내지 5회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0.1 내지 500 ug/ml, 0.1 내지 400 ug/ml, 0.1 내지 300 ug/ml, 1 내지 500 ug/ml, 1 내지 400 ug/ml, 1 내지 300 ug/ml, 5 내지 500 ug/ml, 5 내지 400 ug/ml, 5 내지 300 ug/ml, 10 내지 500 ug/ml, 10 내지 400 ug/ml, 10 내지 300 ug/ml, 50 내지 500 ug/ml, 50 내지 400 ug/ml, 50 내지 300 ug/ml, 또는 50 내지 200 ug/ml 농도로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하기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NO 생성 억제; (b) IL-6 생성 억제; (c) TNF-α 생성 억제; 및 (d) ROS 생성 억제.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항염증"은 염증을 억제하거나 감소시키는 작용을 의미하며, 염증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활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증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방광염, 신장염, 및 신경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예를 들어, 희석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흡착제, 보습제, 필름-코팅 물질, 및 제어방출첨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서방형 과립제, 장용과립제, 액제, 점안제, 엘실릭제, 유제, 현탁액제, 주정제, 트로키제, 방향수제, 리모나아데제, 정제, 서방형정제, 장용정제, 설하정, 경질캅셀제, 연질캅셀제, 서방캅셀제, 장용캅셀제, 환제, 틴크제, 연조엑스제, 건조엑스제, 유동엑스제, 주사제, 캡슐제, 관류액, 경고제, 로션제, 파스타제, 분무제, 흡입제, 패취제, 멸균주사용액, 또는에어로졸 등의 외용제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외용제는 크림, 젤, 패치,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멘트제, 파스타제 또는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올리고당,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환제, 트로키제의 첨가제로 옥수수전분, 감자전분, 밀전분, 유당, 백당, 포도당, 과당, 디-만니톨, 침강탄산칼슘, 합성규산알루미늄, 인산일수소칼슘, 황산칼슘, 염화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정제 라놀린,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알긴산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카올린, 요소, 콜로이드성실리카겔,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1928, HPMC 2208, HPMC 2906, HPMC 2910, 프로필렌글리콜, 카제인, 젖산칼슘, 프리모젤 등 부형제; 젤라틴, 아라비아고무, 에탄올, 한천가루, 초산프탈산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포도당, 정제수, 카제인나트륨,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메칠셀룰로오스, 미결정셀룰로오스, 덱스트린, 히드록시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히드록시메칠셀룰로오스, 정제쉘락, 전분호,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 옥수수전분, 한천가루, 메칠셀룰로오스, 벤토나이트, 히드록시프로필스타치,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알긴산나트륨,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칼슘, 구연산칼슘, 라우릴황산나트륨, 무수규산, 1-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덱스트란, 이온교환수지, 초산폴리비닐, 포름알데히드처리 카제인 및 젤라틴, 알긴산, 아밀로오스, 구아르고무(Guar gum), 중조, 폴리비닐피롤리돈, 인산칼슘, 겔화전분, 아라비아고무, 아밀로펙틴, 펙틴, 폴리인산나트륨, 에칠셀룰로오스, 백당, 규산마그네슘알루미늄, 디-소르비톨액, 경질무수규산 등 붕해제; 스테아린산칼슘, 스테아린산마그네슘, 스테아린산, 수소화식물유(Hydrogenated vegetable oil), 탈크, 석송자, 카올린, 바셀린, 스테아린산나트륨, 카카오지, 살리실산나트륨, 살리실산마그네슘, 폴리에칠렌글리콜 4000, 폴리에칠렌글리콜 6000, 유동파라핀, 수소첨가대두유(Lubri wax), 스테아린산알루미늄, 스테아린산아연, 라우릴황산나트륨, 산화마그네슘, 마크로골(Macrogol), 합성규산알루미늄, 무수규산, 고급지방산, 고급알코올, 실리콘유, 파라핀유, 폴리에칠렌글리콜지방산에테르, 전분, 염화나트륨, 초산나트륨, 올레인산나트륨, dl-로이신, 경질무수규산 등의 활택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액제의 첨가제로는 물, 묽은 염산, 묽은 황산, 구연산나트륨, 모노스테아린산슈크로스류, 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톨지방산에스텔류(트윈에스텔), 폴리옥시에칠렌모노알킬에텔류, 라놀린에텔류, 라놀린에스텔류, 초산, 염산, 암모니아수, 탄산암모늄, 수산화칼륨, 수산화나트륨, 프롤아민, 폴리비닐피롤리돈, 에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럽제에는 백당의 용액, 다른 당류 혹은 감미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방향제, 착색제, 보존제, 안정제, 현탁화제, 유화제, 점조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제에는 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유화제, 보존제, 안정제, 방향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현탁제에는 아카시아, 트라가칸타,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나트륨, 미결정셀룰로오스, 알긴산나트륨, 히드록시프로필메칠셀룰로오스(HPMC), HPMC 1828, HPMC 2906, HPMC 2910 등 현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보존제, 안정제, 착색제, 방향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사제에는 주사용 증류수, 0.9%염화나트륨주사액, 링겔주사액, 덱스트로스주사액, 덱스트로스+염화나트륨주사액, 피이지(PEG), 락테이티드 링겔주사액,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비휘발성유-참기름, 면실유, 낙화생유, 콩기름, 옥수수기름, 올레인산에칠, 미리스트산 이소프로필, 안식향산벤젠과 같은 용제;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나트륨, 초산나트륨, 요소, 우레탄, 모노에칠아세트아마이드, 부타졸리딘, 프로필렌글리콜, 트윈류, 니정틴산아미드, 헥사민, 디메칠아세트아마이드와 같은 용해보조제; 약산 및 그 염(초산과 초산나트륨), 약염기 및 그 염(암모니아 및 초산암모니움), 유기화합물, 단백질, 알부민, 펩톤, 검류와 같은 완충제; 염화나트륨과 같은 등장화제; 중아황산나트륨(NaHSO3), 이산화탄소가스, 메타중아황산나트륨(Na2S2O5), 아황산나트륨(Na2SO3), 질소가스(N2),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과 같은 안정제; 소디움비설파이드 0.1%, 소디움포름알데히드 설폭실레이트, 치오우레아,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아세톤소디움비설파이트와 같은 황산화제; 벤질알코올, 클로로부탄올, 염산프로카인, 포도당, 글루콘산칼슘과 같은 무통화제; 시엠시나트륨, 알긴산나트륨, 트윈 80, 모노스테아린산알루미늄과 같은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좌제에는 카카오지, 라놀린, 위텝솔,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로젤라틴, 메칠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스테아린산과 올레인산의 혼합물, 수바날(Subanal), 면실유, 낙화생유, 야자유, 카카오버터+콜레스테롤, 레시틴, 라네트왁스,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롤, 트윈 또는 스판, 임하우젠(Imhausen), 모놀렌(모노스테아린산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아뎁스솔리두스(Adeps solidus), 부티룸 태고-G(Buytyrum Tego-G), 세베스파마 16 (Cebes Pharma 16), 헥사라이드베이스 95, 코토마(Cotomar), 히드록코테 SP, S-70-XXA, S-70-XX75(S-70-XX95), 히드록코테(Hydrokote) 25, 히드록코테 711, 이드로포스탈 (Idropostal), 마사에스트라리움(Massa estrarium, A, AS, B, C, D, E, I, T), 마사-MF, 마수폴, 마수폴-15, 네오수포스탈-엔, 파라마운드-B, 수포시로(OSI, OSIX, A, B, C, D, H, L), 좌제기제 IV 타입 (AB, B, A, BC, BBG, E, BGF, C, D, 299), 수포스탈 (N, Es), 웨코비 (W, R, S, M ,Fs), 테제스터 트리글리세라이드 기제 (TG-95, MA, 57)와 같은 기제가 사용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게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복용, 피하 주사, 복강 투여, 정맥 주사, 근육 주사, 척수 주위 공간(경막내) 주사, 설하 투여, 볼점막 투여, 직장 내 삽입, 질 내 삽입, 안구 투여, 귀 투여, 비강 투여, 흡입, 입 또는 코를 통한 분무, 피부 투여, 경피 투여 등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치료할 질환,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및 질환의 중등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와 함께 활성성분인 약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개체"란 질병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쥐 (rat),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예방"이란 목적하는 질환의 발병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치료"란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그에 따른 대사 이상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하고, "개선"이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목적하는 질환과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미스트,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핸드로션,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클렌징오일, 클렌징밤, 바디로션 또는 바디클렌저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피리독신, 염산피리독신, 비타민 B12, 판토텐산, 니코틴산, 니코틴산아미드, 엽산, 비타민 C, 비타민 H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염(티아민염산염, 아스코르빈산나트륨염 등)이나 유도체(아스코르빈산-2-인산나트륨염, 아스코르빈산-2-인산마그네슘염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수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유용성 비타민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비타민 A, 카로틴, 비타민 D2, 비타민 D3, 비타민 E(d1-알파 토코페롤, d-알파 토코페롤)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들의 유도체(팔미틴산아스코르빈, 스테아르산아스코르빈, 디팔미틴산아스코르빈, 아세트산 dl-알파 토코페롤, 니코틴산 dl-알파 토코페롤 비타민 E, DL-판토테닐알코올, D-판토테닐알코올, 판토테닐에틸에테르 등) 등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성 비타민에 포함된다. 유용성 비타민은 미생물 변환법, 미생물의 배양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콜라겐, 가수 분해 콜라겐, 젤라틴, 엘라스틴, 가수 분해 엘라스틴, 케라틴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 펩티드는 미생물의 배양액으로부터의 정제법, 효소법 또는 화학 합성법 등의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 취득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 돼지나 소 등의 진피, 누에의 견섬유 등의 천연물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분자 다당으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크산탄검, 히알루론산나트륨,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나트륨염 등)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콘드로이틴 황산 또는 그 염 등은 통상 포유 동물이나 어류로부터 정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스핑고 지질로서는 화장품에 배합 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되지만, 예를 들어 세라미드, 피토스핑고신, 스핑고당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스핑고 지질은 통상 포유류, 어류, 패류, 효모 또는 식물 등으로부터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정제하거나 화학 합성법에 의해 취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품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유지 성분으로서는 에스테르계 유지, 탄화수소계 유지, 실리콘계 유지, 불소계 유지, 동물 유지, 식물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에스테르계 유지로서는 트리2-에틸헥산산글리세릴, 2-에틸헥산산세틸, 미리스틴산이소프로필, 미리스틴산부틸, 팔미틴산이소프로필, 스테아르산에틸, 팔미틴산옥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부틸, 리놀레산에틸, 리놀레산이소프로필, 올레인산에틸, 미리스틴산이소세틸, 미리스틴산이소스테아릴, 팔미틴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세바신산디에틸, 아디핀산디이소프로필, 네오펜탄산이소알킬,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릴, 트리2-에틸헥산산트리메틸롤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르산트리메틸롤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펜타엘리슬리톨, 카프릴산세틸, 라우린산데실, 라우린산헥실, 미리스틴산데실, 미리스틴산미리스틸, 미리스틴산세틸, 스테아르산스테아릴, 올레인산데실, 리시노올레인산세틸, 라우린산이소스테아릴, 미리스틴산이소트리데실, 팔미틴산이소세틸, 스테아르산옥틸, 스테아르산이소세틸, 올레인산이소데실, 올레인산옥틸도데실, 리놀레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프로필, 2-에틸헥산산세토스테아릴, 2-에틸헥산산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헥실, 디옥탄산에틸렌글리콜, 디올레인산에틸렌글리콜, 디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카프린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릴산프로필렌글리콜, 디카프린산네오펜틸글리콜, 디옥탄산네오펜틸글리콜, 트리카프릴산글리세릴, 트리운데실산글리세릴, 트리이소팔미틴산글리세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글리세릴, 네오펜탄산옥틸도데실, 옥탄산이소스테아릴, 이소노난산옥틸, 네오데칸산헥실데실, 네오데칸산옥틸도데실, 이소스테아르산이소세틸, 이소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르산옥틸데실, 폴리글리세린올레인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이소스테아르산에스테르, 시트르산트리이소세틸, 시트르산트리이소알킬, 시트르산트리이소옥틸, 락트산라우릴, 락트산미리스틸, 락트산세틸, 락트산옥틸데실, 시트르산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에틸, 시트르산아세틸트리부틸, 시트르산트리옥틸, 말산디이소스테아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 2-에틸헥실, 숙신산디2-에틸헥실, 아디핀산디이소부틸, 세바신산디이소프로필, 세바신산디옥틸, 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콜레스테릴, 올레인산디히드로콜레스테릴, 이소스테아르산피트스테릴, 올레인산피트스테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세틸,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스테아릴, 12-스테알로일히드록시스테아르산이소스테아릴 등의 에스테르계 등을 들 수 있다.
탄화 수소계 유지로서는 스쿠알렌, 유동 파라핀, 알파-올레핀올리고머, 이소파라핀, 세레신, 파라핀, 유동 이소파라핀, 폴리부덴,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와셀린 등의 탄화 수소계 유지 등을 들 수 있다.
실리콘계 유지로서는 폴리메틸실리콘, 메틸페닐실리콘, 메틸시클로폴리실록산, 옥타메틸폴리실록산, 데카메틸폴리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실록산, 디메틸실록산ㆍ메틸세틸옥시실록산 공중합체, 디메틸실록산ㆍ메틸스테알록시실록산 공중합체, 알킬 변성 실리콘유, 아미노 변성 실리콘유 등을 들 수 있다.
불소계 유지로서는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동물 또는 식물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르몬드유, 올리브유, 참깨유, 쌀겨유, 새플라워유, 대두유, 옥수수유, 유채유, 행인(杏仁)유, 팜핵유, 팜유,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포도종자유, 면실유, 야자유, 쿠쿠이너트유, 소맥배아유, 쌀 배아유, 시아버터, 월견초유, 마커데이미아너트유, 메도홈유, 난황유, 우지(牛脂), 마유, 밍크유, 오렌지라피유, 호호바유, 캔데리러왁스, 카르나바왁스, 액상 라놀린, 경화피마자유 등의 동물 또는 식물 유지를 들 수 있다.
보습제로서는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 지용성 분자 보습제, 수용성 고분자, 지용성 고분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세린, 글루타민, 솔비톨, 만니톨, 피롤리돈-카르복실산나트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B(중합도 n=2 이상), 폴리프로필렌글리콜(중합도 n=2 이상), 폴리글리세린B(중합도 n=2 이상), 락트산, 락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저분자 보습제로서는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폴리아스파라긴산염, 트라가칸트, 크산탄검,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수용성 키틴, 키토산, 덱스트린 등을 들 수 있다.
지용성 고분자로서는 폴리비닐피롤리돈ㆍ에이코센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ㆍ헥사데센 공중합체, 니트로셀룰로오스, 덱스트린지방산에스테르, 고분자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에몰리엔트제로서는 장쇄아실글루타민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히드록시스테아르산콜레스테릴,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로진산, 라놀린지방산콜레스테릴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계면 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자기 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지방산에스테르, POE 솔비트지방산에스테르, POE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POE 알킬에테르, POE 지방산에스테르, POE 경화피마자유, POE 피마자유, POEㆍPOP(폴리옥시에틸렌ㆍ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 POEㆍPOP 알킬에테르, 폴리에테르변성실리콘, 라우린산알카놀아미드, 알킬아민옥시드, 수소첨가대두인지질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지방산비누, 알파-아실술폰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알릴술폰산염, 알킬나프탈렌술폰산염, 알킬황산염, POE 알킬에테르황산염, 알킬아미드황산염, 알킬인산염, POE 알킬인산염, 알킬아미드인산염, 알킬로일알킬타우린염, N-아실아미노산염, POE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알킬술포아세트산나트륨, 아실화 가수분해 콜라겐펩티드염, 퍼플루오로알킬인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염화알킬트리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브롬화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세토스테아릴트리메틸암모늄, 염화디스테아릴디메틸암모늄, 염화스테아릴디메틸벤질암모늄, 브롬화베헤닐트리메틸암모늄, 염화벤잘코늄, 스테아르산디에틸아미노에틸아미드, 스테아르산디메틸아미노프로필아미드, 라놀린 유도체 제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양성 계면 활성제로서는 카르복시베타인형, 아미드베타인형, 술포베타인형, 히드록시술포베타인형, 아미드술포베타인형, 포스포베타인형, 아미노카르복실산염형, 이미다졸린 유도체형, 아미드아민형 등의 양성 계면 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및 무기 안료로서는 규산, 무수규산, 규산마그네슘, 탤크, 세리사이트, 마이카, 카올린, 벵갈라, 클레이, 벤토나이트, 티탄피막운모, 옥시염화비스무트, 산화지르코늄, 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황산칼슘, 황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산화철, 군청, 산화크롬, 수산화크롬, 칼라민 및 이들의 복합체등의 무기 안료;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비닐수지, 요소수지, 페놀수지, 불소수지, 규소수지, 아크릴수지, 멜라민수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수지,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실크파우더, 셀룰로오스, CI 피그먼트옐로우, CI 피그먼트오렌지 등의 유기 안료 및 이들의 무기 안료와 유기 안료의 복합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유기 분체로서는 스테아르산칼슘 등의 금속비누; 세틸린산아연나트륨, 라우릴린산아연, 라우릴린산칼슘 등의 알킬인산금속염;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칼슘, N-라우로일-베타-알라닌아연, N-라우로일글리신칼슘 등의 아실아미노산 다가금속염; N-라우로일-타우린칼슘, N-팔미토일-타우린칼슘 등의 아미드술폰산 다가금속염; N-엡실론-라우로일-L-리진, N-엡실론-팔미토일리진, N-알파-파리토일올니틴, N-알파-라우로일아르기닌, N-알파-경화우지지방산아실아르기닌 등의 N-아실염기성아미노산; N-라우로일글리실글리신 등의 N-아실폴리펩티드; 알파-아미노카프릴산, 알파-아미노라우린산 등의 알파-아미노지방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스티렌, 디비닐벤젠ㆍ스티렌 공중합체, 사불화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파라아미노벤조산, 파라아미노벤조산에틸, 파라아미노벤조산아밀, 파라아미노벤조산옥틸, 살리실산에틸렌글리콜, 살리신산페닐, 살리신산옥틸, 살리신산벤질, 살리신산부틸페닐, 살리신산호모멘틸, 계피산벤질,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톡시에틸, 파라메톡시계피산옥틸, 디파라메톡시계피산모노-2-에틸헥산글리세릴, 파라메톡시계피산이소프로필, 디이소프로필ㆍ디이소프로필계피산에스테르 혼합물, 우로카닌산, 우로카닌산에틸,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술폰산 및 그 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 디히드록시메톡시벤조페논디술폰산나트륨, 디히드록시벤조페논, 테트라히드록시벤조페논,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4,6-트리아닐리노-p-(카르보-2'-에틸헥실-1'-옥시)-1,3,5-트리아진,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살균제로서는 히노키티올, 트리클로산, 트리클로로히드록시디페닐에테르, 크로르헥시딘글루콘산염, 페녹시에탄올, 레조르신,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아줄렌, 살리칠산, 진크필리티온, 염화벤잘코늄, 감광소 301 호, 모노니트로과이어콜나트륨, 운데시렌산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알코올로서는 세틸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지만, 총중량에 대하여 0.01-5% 중량 백분율 또는 0.01-3% 중량 백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로션,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품"이란 영양소를 한 가지 또는 그 이상 함유하고 있는 천연물 또는 가공품을 의미하며, 바람직하게는 어느 정도의 가공 공정을 거쳐 직접 먹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하며, 통상적인 의미로서, 건강기능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및 음료 첨가제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하며, 정제, 캡슐제, 환제, 과립제, 분말, 액제, 편상(flake), 페이스트, 시럽제, 겔, 젤리, 바(bar), 또는 필름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 본 발명의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원료에 대하여 15 중량% 이하, 또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및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및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및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및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20g, 또는 약 0.04-0.10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01-0.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건강기능성 식품은 이너뷰티 푸드(inner beauty) 형태로 섭취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효과를 갖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너뷰티(inner beauty)는 '먹는 화장품 또는 뷰티 푸드'로 일컬어지는 푸드로, 피부에 좋은 여러 가지 성분을 몸속으로 흡수시켜 피부 체질을 건강하게 바꾸는 식품을 지칭하며, 피부 타입에 맞는 화장품을 고르듯 피부 컨디션과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개개인에게 맞는 이너뷰티 푸드를 선택하여 섭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과 상기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너뷰티 푸드를 혼용할 경우, 화장품 또는 약제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효과가 월등히 높아져 더욱 효과적인 항염증 효과를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땅콩새싹 추출물과 금염(gold salt)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금염의 농도는 0.1 내지 10mM; 및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는 0.1 내지 1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금염은 0.1 내지 10mM, 0.1 내지 8mM, 0.1 내지 6mM, 0.1 내지 4mM, 0.5 내지 10mM, 0.5 내지 8mM, 0.5 내지 6mM, 0.5 내지 4mM, 1 내지 10mM, 1 내지 8mM, 1 내지 6mM, 1 내지 4mM, 1 내지 3mM, 또는 2mM 농도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은 0.1 내지 10mg/mL, 0.1 내지 8mg/mL, 0.1 내지 6mg/mL, 0.1 내지 4mg/mL, 0.5 내지 10mg/mL, 0.5 내지 8mg/mL, 0.5 내지 6mg/mL, 0.5 내지 4mg/mL, 1 내지 10mg/mL, 1 내지 8mg/mL, 1 내지 6mg/mL, 1 내지 4mg/mL, 1 내지 3mg/mL, 또는 2mg/mL 농도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온도는 50 내지 100℃, 50 내지 90℃, 50 내지 80℃, 60 내지 100℃, 60 내지 90℃, 60 내지 80℃, 65 내지 75℃, 또는 7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시간은 5 내지 50분, 5 내지 40분, 5 내지 30분, 10 내지 50분, 10 내지 40분, 10 내지 30분, 15 내지 25분, 또는 20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상기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항염증용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염증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약제를 생산하기 위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미용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NO 생성 억제, IL-6 생산 억제, TNF-α 생산 억제, 및 ROS 생산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바, 항염증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생리활성을 가지는 약학적 조성물, 식품 조성물, 또는 화장료 조성물 등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최적의 금염 농도(도 1a),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도 1b), 온도(도 1c), 및 시간(도 1d)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RAW264.7 세포에서 땅콩새싹 추출물 및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세포독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RAW264.7 세포에서 땅콩새싹 추출물 및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NO(nitric oxide)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RAW264.7 세포에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IL-6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RAW264.7 세포에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TNF-α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RAW264.7 세포에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ROS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땅콩새싹 추출물 및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 제조 방법
추출물은 땅콩새싹 전초를 진공저온 추출공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땅콩새싹 건채에 열 매체 이중자켓으로 외부온도 120℃설정 시, 감압내부온도가 60℃로 추출되게 온도를 설정하고, 진공 설정을 하여 내부 진공상태에서 증발된 수증기를 냉각 및 응축하여 추출물을 획득하는 과정으로써 저분자의 생리활성이 우수한 땅콩새싹 추출물을 확보하였다. 상기 실험 과정에서 추출용매는 물을 사용하였다.
땅콩새싹 추출물에 금나노를 결합시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최적조건을 확립하였다. 먼저, 1 mg/mL 땅콩새싹 추출물에 금염(gold salt, Sigma-Aldrich Gold(Ⅲ) chloride trihydrate (HAuCl4 3H2O), CAS number 16961-25-4)을 0.5 내지 3 mM의 다양한 농도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금나노 미립자가 만들어지면 400 내지 600 nm에서 최대 흡수 파장을 나타내게 되므로 300 내지 8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a에 나타내었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조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546 nm에서 최대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금염 2 mM 농도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를 바탕으로 금염 2 mM 농도에 땅콩새싹 추출물을 1 내지 5 mg/mL 농도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20분간 처리하였다. 그 결과는 도 1b에 나타내었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땅콩새싹 추출물 2 mg/mL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땅콩새싹 추출물 2 mg/mL과 금염 2 mM 농도에서 금나노 미립자가 가장 잘 생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후, 최적 온도와 최적 시간을 설정하기 위해 60℃, 70℃, 80℃, 및 90℃에서 처리 시간을 10분, 20분, 및 30분으로 설정하여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1c 및 1d에 나타내었다.
도 1c 및 1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온도는 70℃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으며, 처리시간은 20분에서 가장 높은 흡광도 값을 나타내었다.
이후, 최적 조건으로 만들어진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순수 분리하기 위해 13,000rpm으로 20분 동안 4℃에서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후 상등액은 제거하고 pellet은 증류수로 세척한 후, 같은 방식으로 원심분리를 진행하였다. 이를 2회 반복하였다. 회수된 pellet에 1mL의 증류수를 넣어 녹이고, 4℃에 보관하여 추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 결과를 통해, 2 mg/mL 땅콩새싹 추출물에 2 mM 금염을 첨가하여 70℃에서 20분간 처리하는 것이 최적의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 확인
2.1. RAW264 .7 세포에 대한 세포 독성 확인
땅콩새싹 추출물(PS extract) 및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PS AuNPs) 시료의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culture plate에 3Х105 cells/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분주하고, 12 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그 후, LPS 1μg/mL과 땅콩새싹 추출물 또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3.125 내지 100μg/mL)로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세포 독성을 측정하고자 상등액을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100 μL씩 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180분간 반응시키고 57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땅콩새싹 추출물과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모든 농도에서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2.2.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의 NO(nitric oxide) 생성능 억제 효과 확인
대식세포주 Raw 264.7 세포에 대한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염증반응 매개물질인 NO의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culture plate에 3Х105 cells/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분주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LPS 1μg/mL과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또는 땅콩 새싹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3.125 내지 100μg/mL)로 동시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9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세포 배양액 상등액을 50 μL를 회수하였다. 그런 다음, Griess Reagent 50μL을 첨가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30분간 반응시키고, 배양 상등액에서 유도 분비된 NO의 함량을 570nm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땅콩새싹 추출물은 NO 생산능을 억제하지 않았다. 반면에,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NO 생산능을 억제하는 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2.3.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의 IL-6 억제 효과 확인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에 의한 항염증 관련 사이토카인인 IL-6 생성능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Raw 264.7 세포를 96 well culture plate에 3Х105 cells/mL의 농도로 조정하여 분주하고 12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플레이트에 부착시켰다. 그런 다음, 땅콩새싹 추출물 100μg/mL 및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다양한 농도(25 내지 100μg/mL)로 처리하고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TNF-α/IFN-γ를 20μL씩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종료 후, 9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여, 5배 희석한 세포 배양 상등액을 100 μL를 회수하였다. 그 후, IL-6 ELISA kit를 이용하여 제조사(BD bioscience)의 지침에 따라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IL-6의 생산을 감소시켰으며, 특히 100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인 DE(dexamethasone)보다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2.4.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의 TNF -α 억제 효과 확인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에 의한 TNF-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TNF-α의 분비 수준은 제조자의 지시에 따라 ELISA 키트(R&D Systems, Minneapolis, MN, USA)를 사용하여 추정하였다. RAW 264.7 대식세포(1 x 104 세포/웰)를 96-웰 플레이트에 시딩하고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처리한 다음 1μg/ml LPS로 24시간 동안 자극하였다. 그 후, 이들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해 상등액을 수집하여 시판되는 ELIZA kit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TNF-α를 억제시켰으며,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인 DE보다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2.5. 금나노 - 땅콩새싹 추출물의 ROS 억제 효과 확인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에 의한 ROS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4시간 동안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처리 후, 세포를 37℃에서 30분 동안 산화 스트레스 및 슈퍼옥사이드 검출 시약과 함께 배양하였다. 산화 스트레스(녹색) 및 초과산화물 검출 시약이 포함된 Cellular ROS/(Mito-SOX) 검출 분석 키트(Abcam, Cambridge, UK)를 사용하여 세포 내 활성산소종(ROS) 방출 및 미토콘드리아 초과산화물(Mito-SOX, Abcam, Cambridge, UK. 빨간색)을 검출하였다. 형광은 LSM 510 및 510 META 레이저 스캐닝 현미경(Leica, Wetzlar,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는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농도의존적으로 ROS를 억제시켰으며, 특히 100 μg/mL의 농도에서는 양성대조군(positive control, PC)인 DE보다 우수한 억제 효과를 나타낸 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의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5)

  1.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하기 특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것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a) NO 생성 억제;
    (b) IL-6 생성 억제;
    (c) TNF-α 생성 억제; 및
    (d) ROS 생성 억제.
  3.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 질환은 염증성 장질환, 염증성 콜라겐 혈관 질환, 사구체신염, 염증성 피부 질환, 유육종증, 망막염, 위염, 간염, 장염, 관절염, 폐렴, 췌장염, 패혈증, 방광염, 신장염, 및 신경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피부 질환은 아토피성 피부염, 접촉성 피부염, 습진, 및 건선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은 진공저온 추출법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8.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9. 땅콩새싹 추출물과 금염(gold salt)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금염의 농도는 0.1 내지 10mM; 및
    상기 땅콩새싹 추출물의 농도는 0.1 내지 10mg/m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온도는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시간은 5 내지 5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은 항염증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3.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억제 방법.
  14.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 방법.
  15.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미용 방법.
PCT/KR2022/019266 2021-11-30 2022-11-30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310144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168914 2021-11-30
KR10-2021-0168914 2021-11-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1440A1 true WO2023101440A1 (ko) 2023-06-08

Family

ID=8661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9266 WO2023101440A1 (ko) 2021-11-30 2022-11-30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081979A (ko)
WO (1) WO2023101440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9930A (ja) * 2001-04-23 2004-09-30 ニュクリスト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炎症性皮膚状態の治療のための金属の使用
KR20170012989A (ko) * 2015-07-27 2017-02-0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393B1 (ko) * 2018-03-14 2019-08-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10066212A (ko) * 2019-11-28 2021-06-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KR102298042B1 (ko) * 2018-12-24 2021-09-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4546B1 (ko) 2019-12-10 2021-12-03 대한민국 수벌번데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529930A (ja) * 2001-04-23 2004-09-30 ニュクリスト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炎症性皮膚状態の治療のための金属の使用
KR20170012989A (ko) * 2015-07-27 2017-02-06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또는 황사로부터 발생하는 피부손상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1393B1 (ko) * 2018-03-14 2019-08-13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금속 나노입자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2298042B1 (ko) * 2018-12-24 2021-09-03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20210066212A (ko) * 2019-11-28 2021-06-07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1979A (ko) 2023-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49880A1 (ko) 오이, 가지 및 달팽이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661179B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568108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55744A1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2255795A1 (ko) 락토바실러스 세균 유래 세포외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3101440A1 (ko)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WO2021230677A1 (ko) 신규 폴리페놀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진균용 조성물
WO2022019640A1 (ko) 그래핀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78625B1 (ko) 후베리아 페루비아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258379B1 (ko) 생리활성물질 유도제를 이용하여 주름조개풀의 항염증, 미백, 또는 주름개선능을 증가시키는 방법
KR102320424B1 (ko) 백합 추출물 및 삼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및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WO2020166868A1 (ko) 로치아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20220083148A (ko) 개소시랑개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245067A1 (ko) RORα의 활성자 JC1-40을 포함하는 근감소증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
WO2022255746A1 (ko)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러스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
WO2018155933A1 (ko) 아쿠아포린-3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6,7-디메톡시-2,2-디메틸-2h-크로멘 및 이의 용도
KR102453622B1 (ko) 레드 마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육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3149791A1 (ko) 적소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부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22255784A1 (ko) 락토바실러스 람노수스 유래 소포 및 이의 용도
WO2022164183A1 (ko) 락토바실러스 커베투스 유래 세포밖 소포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양모 촉진용 조성물
WO2022211547A1 (ko) 파라코커스 속 세균 유래 나노소포 및 이의 용도
KR102293562B1 (ko) 흰물싸리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639701B1 (ko) 칼시뉴린 억제제 및 맥문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알러지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면역억제용 조성물
WO2023149785A1 (ko) 금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부종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72651B1 (ko) 좀쉬땅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0179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