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042B1 -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042B1
KR102298042B1 KR1020190172757A KR20190172757A KR102298042B1 KR 102298042 B1 KR102298042 B1 KR 102298042B1 KR 1020190172757 A KR1020190172757 A KR 1020190172757A KR 20190172757 A KR20190172757 A KR 20190172757A KR 102298042 B1 KR102298042 B1 KR 102298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seeds
red pepper
composition
peanut spr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202A (ko
Inventor
임병우
이영민
김인숙
Original Assignee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079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은 활성산소종(DPPH, ABTS radical)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reducing power)을 가져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우스 대식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NO(nitric oxide) 생성을 억제하고,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comprising extract of pepper seeds}
본 발명은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이다.
산소는 생명체를 유지하는 데 없어선 안 될 가장 중요한 분자다. 예를 들어, 뇌세포는 30초만 산소가 공급되지 않으면 파괴되기 시작한다. 세포 안에서 에너지를 만드는 핵심 공장 역할을 하는 기관이 ‘미토콘드리아’이다. 미토콘드리아에 운반된 산소는 사람이 영양분(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을 섭취하여 만들어진 포도당을 분해 시켜서 에너지를 생산한다. 에너지 생산과정에서 물과 이산화탄소 및 산소가 발생하는데, 이 산소를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라 한다. 활성산소종은 정상적인 세포 내 활성작용 과정에서 생성되며 세포분화, 유전자의 발현, 사이토카인에 대한 반응정도를 포함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연관되어있다. 산화스트레스는 ROS의 생성과 이를 제거하는 항산화 반응 간의 불균형으로 인해 세포 내의 ROS가 증가하여 DNA나 단백질, 지질(lipid)과 반응하여 손상시키는 현상이며 이는 노화나 심장과 관련된 질병들의 핵심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대부분의 활성산소종은 미토콘드리아의 전자 전달 사이에서 부산물로서 생성된다. 또한, ROS는 금속 촉매 산화 반응에 필요한 중간체를 형성하고 있다. 산소원자는 바깥 전자껍질의 다른 궤도에 2개의 부대 전자를 가지고있다. 이 전자 구조는 라디칼 형성의 영향을 받기 쉬운 산소를 만든다. 전자의 첨가에 의한 산소의 순차적 퇴화는 superoxide, hydrogen peroxide, hydroxyl radical, hydroxyl ion, nitric oxide 같은 ROS의 형성을 만들어 낸다.
활성산소종의 해독은 모든 호기성 생명체의 생존에 가장 중요하다. 보통 말하는 방어메커니즘의 상당수는 ROS의 제거와 생성 사이에 균형이 제공되고 이러한 필요성을 충족하도록 진화되었다. ROS의 생성과 제거의 불균형은 산화적 스트레스라고 지칭한다. 세포는 ROS의 유해한 영향을 개선하기 위한 방어 메커니즘의 다양성을 가지고있다. Superoxide dismutase(SOD)는 과산화수소(H2O2)와 산소(O2) 분자에 삽입된 두 슈퍼옥사이드 음이온의 변환을 촉매한다.
2O2+ 2H → H2O2+ O2
진핵 세포의 과산화소체에서, 카탈라아제 효소는 H2O2를 물과 산소로 변환 시키고, SOD로부터 시작된 활성산소의 해독을 완료한다.
2H2O2 → 2 H2O + O2
이러한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효소 소분자 항산화제들이 많이 있다. Glutathione은 활성산소종의 유해 효과에 대해 가장 중요한 세포 내 방어 역할을 수행한다. ROS 분자와의 반응은 Glutathione을 산화하지만, 환원 된 형태는 NADPH 의존성 환원 효소에 의해 산화 환원에서 재생된다. glutathione(GSSG)의 산화 형의 비율로 환원 형태인 reduced glutathione(GSH)은 생물의 산화 스트레스의 동적 지표이다.
염증과 관련된 면역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 있어서는 항상 건강한 상태를 보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면역반응에는 여러 가지 면역관련 세포, 면역조절인자가 관련되어 있지만, 면역계를 정상적으로 기능시키기 위해서는 충분한 영양소의 섭취가 필요하며, 일부 면역조절 인자는 환경적인 요소가 면역기능의 발현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염증의 목적은 초기 세포손상의 억제와 함께 상처 부분의 괴사된 세포 및 상처를 입은 조직을 제거함과 동시에 조직재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식세포(machrophage)는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주요 세포로 알려져있으며, 자극에 노출되거나 면역 세포들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 등에 의해 활성화되며, 감염초기에 cytokine들을 생산하여 생체방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식세포 내에서 그람음성균 세포벽의 구성성분으로 알려진 lipopolysaccharide(LPS)를 대식세포에 처리하면 toll like receptor(TLR)-4에 의해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와 NF-kB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가 유도된다.
고추와 같은 바이오 소재가 첨가되어 있는 제품 중의 미량성분이 면역조절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노화와 관련 된 질병의 발생 또는 예방에 관여하고 있는 것이 보고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천연물 유래 유효 성분에 의한 면역반응이 강하게 수식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천연자원의 면역조절효능 평가의 활용에는 면역기능의 활성화를 통한 감염 방어능을 높이는 것 뿐만 아니라, 면역기능의 저하를 동반하는 노인성 질병의 예방 치료에도 중요하다. 1970년 이후의 급격한 경제적 성장과 더불어 노인인구의 증가로 인한 염증관련 질환인 자가면역질환, 알러지, 천식 환자등이 증가하고 그 예방 및 치료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한편, 고추는 남아메리카 원산으로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오래전부터 재배하였다. 열대에서 온대에 걸쳐 널리 재배하는데, 열대지방에서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한국에는 담배와 거의 같은 시기에 들어온 것으로 보이며 한국인의 식생활에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고추씨는 고춧가루를 만드는 과정에서 고추에서 제거되어 버려지는 식품 부산물이다. 현재 천연물 소재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짐에 따라 고추씨와 같은 식품부산물에 관한 연구도 진행 되고 있는데, 국내산 고추씨만을 가지고 그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땅콩은 콩과에 속하는 일년생의 초본식물로 지방과 단백질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고열량 식품으로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식용류, 버터, 마가린, 쨈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땅콩은 천연 폴리페놀 화합물인 레스베라트롤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대표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암, 항산화 활성 물질로 항당뇨, 항노화, 심장병 예방, 다이어트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또한 활성 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뛰어난 항산화 작용을 갖고 있어, 당뇨병, 비만, 암의 예방 등 많은 유익한 건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이미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고추씨 추출물의 각종 항산화 활성 및 대식세포에서의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또한 땅콩새싹 추출물과 병용하여 사용할 경우,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25803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은 활성산소종(DPPH, ABTS radical)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reducing power)을 가져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증을 유발하는 NO(nitric oxide) 생성을 억제하고,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아질산염 소거 활성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DNA 산화적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 처리에 따른 RAW264.7세포의 생존율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NO 발생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비교예 1(땅콩새싹 추출물), 실시예 1(고추씨 추출물) 및 실시예 2(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추씨는 고추에서 씨만 따로 분리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충북 음성군의 국내 고추품종인 '피알케이스타(PR케이스타)'의 고추씨를 분리한 것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땅콩새싹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종(DPPH, ABTS radical)을 직접 제거하고 환원력(reducing power)을 가져 활성산소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산화스트레스에 의한 DNA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다(실험예 2 내지 5 및 도 1 내지 4 참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을 유발하는 NO(nitric oxide) 생성을 억제하고,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억제하여 염증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우수하다(실험예 6 내지 7 및 도 5 내지 7참조).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extract)"은 추출 대상을 적절한 침출액으로 짜내고 침출액을 증발시켜 농축한 제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추출처리에 의해 얻어지는 추출액, 추출액의 희석액 또는 농축액,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이들의 조정제물 또는 정제물일 수 있다. 상기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분야에 공지된 일반적인 추출방법, 분리 및 정제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 열탕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1) 고추씨 또는 땅콩새싹으로부터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2) 상기 추출물을 감압농축하는 단계; 및 (3) 상기 (2) 단계에서 감압농축한 추출물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또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땅콩새싹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로 추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로 사용하는 경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예로는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일 수 있으며, 건강식품의 예로는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중의 상기 조성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1 내지 90 중량부로 가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유지를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본 발명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라이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쥬스 및 과일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땅콩새싹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술한 본 발명의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화장품학적 유효량(cosmetically effective amount) 및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2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량을 만족하는 경우 부작용없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고추씨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고추씨 추출물의 제조
충북 음성군의 국내 고추 품종인 ‘PR케이스타(피알케이스타, 한국다끼이(주))’의 고추씨를 분리하여, 분리한 고추씨의 30배(wt/v%)에 해당하는 부피의 70% 에탄올로 25℃에서 2시간씩 3번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rotary evaporator(Ika, China)를 사용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80℃로 동결 건조하여 최종 고추씨 에탄올 추출물(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최종 수율(yield)은 18.9%이다.
<실시예 2>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제조
땅콩새싹 추출물은 발아한 지 8일된 땅콩새싹을 사용하였다. 땅콩새싹을 50℃ 열풍건조기에 4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땅콩새싹은 잘게 파쇄하였다. 충북 음성군의 국내 고추 품종인 ‘PR케이스타(피알케이스타, 한국다끼이(주))’의 고추씨를 분리하고, 분리한 고추씨와 건조된 땅콩새싹을 4:1의 부피비로 혼합하고, 30배의 70% 에탄올로 25℃에서 2시간씩 3번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rotary evaporator(Ika, China)를 사용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80℃로 동결 건조하여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만들었다.
<비교예 1> 땅콩새싹 추출물의 제조
땅콩새싹 추출물은 발아한 지 8일된 땅콩새싹을 사용하였다. 땅콩새싹을 50℃ 열풍건조기에 48시간 건조하였다. 건조된 땅콩새싹은 잘게 파쇄하고, 30배의 70% 에탄올로 25℃에서 2시간씩 3번 환류 추출하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rotary evaporator(Ika, China)를 사용하여 50℃ 이하에서 감압농축하고, 이 농축액을 -80℃로 동결 건조하여 땅콩새싹 추출물을 만들었다.
<실험예 1> 고추씨 추출물의 성분 분석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을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의 고추씨 에탄올 추출물에 함유된 성분을 측정하였다. Capcellpak C18 UG 120(4.6 X 250 mm, 5 μm) [Shiseido, Tokyo, Japan] column을 사용하였고, 1% Acetic acid : Acetonitrile = 3:2(v/v) 비율로 진행하였다. Flow rate는 1mL/min를 유지하였고, Injection volume은 20μL, Fluorescence Detector(Ex:280nm, Em:325nm)로 측정하였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의 고추씨 에탄올 추출물의 캡사이신(capsaicin) 함량은 68.12mg/100g of extract로 측정되어, 고추씨에는 캡사이신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최종 수율 (yield)은 18.9%이다.
Extract CAPSAICIN
(mg/100g of extract)
Yield (%)
고추씨 68.12 18.9
<참고예> 통계처리
하기 실험예의 데이터는 평균± 표준 편차(SDM)로 제시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 실시하였다. 각 군 간의 측정치 비교는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test를 실시한 후 p < 0.05의 유의수준에서 차이를 검증하였다. GraphPad Prism 5 와 Microsoft Excel 2007은 그래프의 평가와 통계에 사용하였다.
<실험예 2>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 (Electron donating abilities, EDA)은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을 200㎍/㎖ 농도로 제작하고, 각 시료용액 100㎕에 0.2 mM 농도 DPPH 용액을 100㎕씩 분주하였다. 그 후 foil로 완전히 감싼 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켜주었다. 반응 후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ELISA reader(16039400, TECAN).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라디칼 소거능의 중간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표시하는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표시하였다. 즉, DPPH 라디칼의 흡광도를 50% 줄여주는 값의 농도를 말한다.
DPPH 라디칼 IC50을 측정한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땅콩새싹 추출물은 19.11mg/㎖이고, 실시예 1의 고추씨 추출물은 13.68mg/㎖이고, 실시예 2의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경우 7.35mg/㎖로 각각 단독의 경우보다 혼합사용의 경우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ABTS +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실험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와 증류수를 혼합한 용액에 2.45mM potassium persulfate를 1:1로 혼합하여 foil로 완전히 감싸고 상온에서 12~16시간 반응시켰다. 반응한 solution을 0.01M PBS(pH 7.4)을 혼합하여 734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 되도록 하였다. 추출물의 항산화력은 라디칼 소거능의 중간 활성을 나타내는 농도를 표시하는 IC50(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으로 표시하였다. 즉, ABTS 라디칼의 흡광도를 50% 줄여주는 값의 농도를 말한다.
ABTS+ 라디칼 IC50을 측정한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땅콩새싹 추출물은 16.55mg/㎖이고, 실시예 1의 고추씨 추출물은 14.95mg/㎖인 반면, 실시예 2의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의 경우 8.85mg/㎖로 각각 단독의 경우보다 혼합사용의 경우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이 더욱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아질산염 소거활성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은 Gray와 Dugan의 실험방법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각각 0, 50, 100, 150, 200 ㎍/㎖ 농도에서 측정하였다. 각 농도별로 120㎕를 E-tube에 분주하고 NaNO2 120㎕, 0.2M Citrate buffer(pH 3.0) 960㎕와 혼합 후 37℃ waterbath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E-tube에 반응시킨 용액 200㎕, acetic acid 400㎕, Griess reagent A, B 각각 40㎕를 분주 후 15분간 상온반응 시켰다. 96 well plate에 분주 후 ELISA reader(16039400, TECAN)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을 하였다.
Scavenging activity (%) = {1-(Absorbance of treated sample - Absorbance of sample or standard)/ Absorbance of control} ×100
아질산염 소거활성 측정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추씨 추출물 또는 땅콩새싹 추출물 각각 단독의 경우보다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 혼합 사용의 경우 아질산염 소거활성이 더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활성 분석
H2O2에 의한 DNA의 산화적 손상에 대한 예방은 Tian &Hua (2005)의 실험방법을 약간 수정하여 실시하였다. 플라스미드 PBR 322 DNA(0.5㎍/㎕) 1㎕은 FeSO4 2μL(0.08 mM) 및 30%(v/v) H2O2 3㎕를 포함하는 3㎕의 증류수와 서로 다른 농도(0.25, 0.5 및 1㎎/㎖)의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 2㎕의 혼합물을 1시간 동안 37℃에서 반응시켰다. 그 후 6X DNA loading dye 2㎕가 첨가되었다. 실온에서 70V의 0.8% agarose gel electrophoresis에 반응시켰다. DNA 밴드(supercoiled, linear and open circular)는 ethidium bromide로 염색시켰고, DNA 산화를 억제하는 효과는 control 값을 기준으로 한 supercoiled monomer의 증가와 감소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DNA 손상에 대한 플라스미드 DNA 컨트롤(Con)에 비해 산화적 손상을 일으킨 군(Damage group, Dam)에서는 초나선(supercoiled) DNA가 완전히 DNA 손상에 의한 선형 형태로 변환되었으며(데이터 미도시),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에 2를 처리한 경우 모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DNA protection activity)를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실시예 2의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DNA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6> 대식세포에서 NO 발생 억제 평가
NO 생성량 측정 실험은 Griess 반응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 상측액의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배양된 RAW264.7 세포를 5×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₂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안정화시킨 후, 농도별로 희석한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시료와 LPS(1㎍/㎖)를 첨가하여 24시간 더 배양하였다. 그 후, griess A, B reagent를 이용한 방법으로, 1% sulfanilamide, 0.1% N-(1-naphtyl)ethylenediamine dihydrochloride reagent를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96 well plate에서 시료 처리 후 37℃, 5% CO2의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된 배지의 상등액을 griess(A+B) reagent와 1:1 비율로 각각 50㎕씩 혼합하여 10분간 상온에서 보관한 후 540nm에서 ELISA 측정을 통해 대조군 대비 NO 생성 억제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독성은 MTT법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96 well plate 내에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5mg/ml MTT solution이 10% 포함된 serum free 배지를 well당 각각 100ul씩 넣고 37℃, 5% CO2 incubator에 넣어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배지를 제거하고 난 뒤, DMSO를 100㎕/well로 넣어 Shaker에서 15분간 용해시켜 ELlSA reader를 이용해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을 구하여 시료의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처리에 따른 RAW264.7 세포의 세포생존률(cell viability, %)을 측정한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NO 생성 억제능을 확인한 결과,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에 2를 처리한 경우 모두 NO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실시예 2의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NO 생성 억제 활성이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의 생성 억제 활성 평가
배양된 RAW 264.7 세포에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예 2를 1시간 처리한 후 LPS 100 ng/ml를 처리하여 18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적절한 농도로 희석한 후, 사이토카인으로 코팅된 96 well plate에 50 ㎕씩 첨가하여 4℃에서 하룻밤 동안 방치시켰다. 워싱 완충액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고 100 ㎕의 비오티닐화 항체 반응액 (biotinylated antibody reagent)을 각각의 well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3회 세척한 다음, 100 ㎕의 스트렙타비딘-HRP 용액 (streptavidineHRP solution)을 각각의 well에 처리하여 1시간 동안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다시 세척 완충용액 (washing buffer)로 3회 세척하였다. 여기에 di(2-ethylhexyl)-2,4,5-trimethoxybenzalmalonate (TMB) 기질을 100 ㎕씩 처리하여 5~30분간 반응시킨 후 100 ㎕의 반응 정지용액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실시예 1 및 실시에 2를 처리한 경우 모두 LPS에 유도된 TNF-α, IL-1β 및 IL-6의 생성량을 억제하였으나, 실시예 2의 고추씨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비교예 1 또는 실시예 1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현저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추씨는 고추에서 씨만 따로 분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류킨 6(IL-6; interleukin 6), 인터류킨 1 베타(IL-1β; interleukin 1 beta) 및 일산화질소(NO)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6.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캡슐제, 환제 또는 액제 형태의 식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9.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식품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식품은 각종 드링크제, 육류, 소세지, 빵, 캔디류, 스넥류, 면류, 아이스크림, 유제품, 스프, 이온음료, 음료수, 알코올 음료, 껌, 차 및 비타민 복합제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건강식품 조성물.
  11.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12. 고추씨(Capsicum spp. seeds) 추출물 및 땅콩새싹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구성된 제형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72757A 2018-12-24 2019-12-23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98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68419 2018-12-24
KR1020180168419 2018-1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02A KR20200079202A (ko) 2020-07-02
KR102298042B1 true KR102298042B1 (ko) 2021-09-03

Family

ID=71599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757A KR102298042B1 (ko) 2018-12-24 2019-12-23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0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40A1 (ko) * 2021-11-30 2023-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40059988A (ko) 2022-10-28 2024-05-08 김상식 네오리그난을 포함하는 고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에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0758B1 (ko) * 2021-02-16 2023-10-18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803B1 (ko) 2016-02-17 2018-03-22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마가목추출물의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구경형 외. 고추씨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 37(10), 2008년, pp. 1357-1362*
윤미연. 항산화 및 미백화장품 원료로서의 땅콩새싹 추출물에 관한 연구. Korean Society for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Journal. 2016, Vol. 31(1), pp. 14-19*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1440A1 (ko) * 2021-11-30 2023-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금나노-땅콩새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KR20240059988A (ko) 2022-10-28 2024-05-08 김상식 네오리그난을 포함하는 고추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 신경세포에 항염증 활성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202A (ko) 2020-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8042B1 (ko) 고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2205201B1 (ko) 고추 추출물을 함유하는 노인성 냄새 및 노네날 제거용 조성물
KR20140086329A (ko)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흑대추의 제조방법
KR20130090988A (ko) 계피 초임계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KR102236071B1 (ko) 용암해수를 활용하여 재배한 병풀 또는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트러블 개선용 조성물
KR102337965B1 (ko) 레몬 과피 추출물과 고삼 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JP5220346B2 (ja) 皮膚化粧料
KR101718190B1 (ko) 줄의관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세포 보호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55989B1 (ko) 가용화제를 첨가한 물을 추출용매로 이용한 유용성분이 증가된 메밀 종자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메밀 종자 추출물
KR102331119B1 (ko) 흑미 추출물의 발효물 및 땅콩 새싹 추출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예방용 조성물
Lee et al. Functional properties of newly-bred'Summer King'apples.
KR101900480B1 (ko) 물여뀌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86948B1 (ko) 고로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102590758B1 (ko) 안토시아니딘 성분인 시아니딘, 델피니딘, 페튜니딘등을 함유한 빌베리 추출물의 항산화 또는 항염증용 조성물
KR102573074B1 (ko) 시르투인1 활성화제 및 시르투인1 활성화용 피부 화장료
KR102373481B1 (ko) 적과 복숭아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425047B1 (ko) 로도덴드론 알붐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064076A (ko) 고로쇠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갖는 조성물
KR20170099237A (ko) 비술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101425560B1 (ko) 엘리오카퍼스 페티오라투스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296348B1 (ko) 연꽃 추출물 또는 예덕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 항알러지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KR20180119234A (ko) 큰기름새 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용 조성물
KR20230049467A (ko) 인디안구스베리 추출물 및 새싹보리 추출물의 복합물(ib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440483B1 (ko) 알디시아 팅크토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노화방지용 조성물
KR20240082414A (ko) 청괴불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항염증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