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43221A1 -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WO2023043221A1 WO2023043221A1 PCT/KR2022/013784 KR2022013784W WO2023043221A1 WO 2023043221 A1 WO2023043221 A1 WO 2023043221A1 KR 2022013784 W KR2022013784 W KR 2022013784W WO 2023043221 A1 WO2023043221 A1 WO 2023043221A1
- Authority
- WO
- WIPO (PCT)
- Prior art keywords
- fork
- vehicle
- loading
- transport
- parking lo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32258 trans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9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transport device for an automated parking lot, and more particularly, the middle portion of a fixed beam not provided with a transport fork on the upper portion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be close to the lower bottom of the vehicle, and a saddle portion is located on the bottom portion.
- an automated parking lot refers to a building installed so that a plurality of vehicles can be parked in a certain place and space as much as possible, and in order to efficiently store many vehicles in a small space, the vehicles are stored in layers by a mechanical device.
- Such an automated parking lot is configured by providing a means for moving a vehicle to be parked and a parking space for storing the moved vehicle, so that the vehicle can be easily and quickly stored and shipped.
- a conventional automated parking lot includes racks 10: 10a and 10b arranged to have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4 for each floor, and each of the racks 10 is formed.
- a plurality of loading platforms 20 installed in the parking room 14 of and supporting the parked vehicle C from the lower side, and approaching and retreating from the side of the loading platform 20 according to control and lifting or lowering the vehicle ( C) the transport device 30 for seating or withdrawing the front loading fork 22 and the rear loading fork 23 constituting the loading table 20, and the transport device 30 according to the control It consists of a stacker crane 40 driven in a multi-axis direction.
- the rack 10 has a multi-layer structure by arranging a plurality of posts 1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t intervals and then connecting neighboring posts 11 with horizontal beams 12 and 13 arranged to be orthogonal to each other. It is configured to have, and they form a parking room 14 in which the vehicle C is parked for each floor.
- this parking room 14 has a parking room height H1 between the upper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and the lower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 the loading forks 22 and 23 constituting the loading platform 20 are in the form of a bar having a thickness and width, and are erected perpendicularly on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loading platform constituting the rack 10, so that the front loading forks 22 ) and the rear loading fork 23, which support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respectively.
- At least one end of the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constituting the transport device 30 correspond to each other. It takes the form of a protruding beam protruding outward from the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so that it can overlap and enter from the side of the front loading fork 22 and the rear loading fork 23 (see Figs. 2 and 5).
- the conveying device 30 is moved by the stacker crane 40, and the base part 31 is fixed to the carriage 42 of the stacker crane through a driving means (not shown) of the loading platform 20. It has a saddle part 32 and a fixing beam 33 that approach and retreat sideway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a rear transport fork 35b are provided on top of the fixing beam 33 (FIG. 1 , see Fig. 4).
- the loading table As the saddle part 32 enters the side of 20, the side of the front loading fork 22 and the rear loading fork 23 to which the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of the fixed beam 33 correspond. It enters while overlapping in . Subsequently, when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are supported,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30 raises the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to support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C, and loads the vehicle C. As the saddle part 32 retreats to the side of the platform 20, the vehicle is lifted and separated from the parking room 14.
- this transport device 30 has a height including the height of the base portion 31, the saddle portion 32, the fixing beam 33, and the transport fork 35, as shown in FIG. 5, the parking room ( 14), when moving the vehicle C parked therein,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30 has a structure inevitably invading the upper part of the lower parking room 14 by a partial section H2.
- the transport device 30 uses the saddle part 32 to move the fixed beam 33 provided with the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closer to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loading platform.
- the saddle unit moves forward. (32) had no choice but to pass under the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 the upper surface of the saddle part 32 is loaded so that the front transport fork 35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can be lifted while contacting the front and rear wheels of the vehicle C. I had no choice but to approach while having a gap with the bottom of the large horizontal beam (13).
- a space (loss section: H2) in the range in which the above-described transport device 30 operates had to be further formed.
- the parking room height (H1) constituting the conventional automated parking lot could not be set to the optimal height structure due to the loss section (H2) outside the section where the vehicle is actually parked, and thus the space efficiency of the building is inevitably lowered. There was no problem.
- a protective plate 60 is further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upper vehicle as necessary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falling downward from the vehicle C located at the upper side and being buried in the vehicle C located at the lower side. .
- This protective plate 60 has a plate shape of a size that can completely cover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C, and is usually installed on a horizontal beam using a bolt 61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30. There was no choice but to form it on the loss section (H2) side as the lower part of (13).
- the current automated parking lot is configured to park the maximum number of vehicles in a minimum space or is being developed in a direction in which vehicles of various heights can be parked. ), eliminating the lower loss section (H2) is emerging as a top priority topic to be considered and solved in the industry above all else.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452858 (registered on October 5, 2004)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0726080 (registered on May 31, 2007)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ransports the vehicle by forming the middle part of the fixing beam,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transport fork, to protrude upward so as to be clos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positioning the saddle part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It is to provide a vehicle transport device for an automated parking lot made to maximiz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parking lot building by minimizing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beam of the loading platform to eliminate the loss section and to optimize the height of the parking lot. The purpose.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for an automated parking lot comprises a rack for forming a plurality of parking rooms for each floor to have a set height by connecting posts and horizontal beams, and configuring the parking room.
- the stacker crane moves in a multi-axis direction and approaches the side of the loading platform and While retracting, the vehicle is seated on the loading platform or taken out.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portion fixed to a carriage of a stacker crane; a saddle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and advancing or retracting in a set direction by a driving means; a fixed beam having a set thickness and width at one end of the saddle part; Including a transport fork composed of a front transport fork and a rear transport fork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beam can enter the front loading fork and the rear loading fork in an overlapping manner,
- the fixing beam includes a front fixing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front transport fork; a rear fixing information provided with the rear transport fork; While connecting the front fixing information and the rear fixing information,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intermediate fixing informat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approach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having the saddle part integr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 the saddle part is made to operate at the top of the horizontal beam of the loading platform.
- the intermediate fixing information has a larger width and a smaller thickness than the front fixing information and the rear fixing information.
- the height of the upper end of the transport fork is the same,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center to the end with an angle ⁇ .
- the transport fork has a hollow tubular shape.
-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front loading fork, rear loading fork, front carrying fork, and rear carrying fork is adjusted to be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bar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fit the arc of the front or rear wheel of the vehicle. do.
- the middle portion of the fixing beam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transport fork,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approach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and the saddle portion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 1 to 3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n example of an autom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a rack and loading stand constituting the same.
- Figure 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transport device applied to an autom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loss section occurs in the parking room according to the use of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vehicle transport device of an autom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A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of FIG. 6 approaching toward the loading table, excluding the base part.
- Fig. 7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ront transport fork.
-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vehicle carr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S. 9 and 10 are schematic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a transport fork applied to a vehicle transport device of an autom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vehicle transport device of an automated parking l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an automated parking lot removes or minimizes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portion located below the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during transport of the vehicle C, thereby reducing the loss section ( H2, Figure 5) is eliminated and the height of the parking lot is optimized to maximize the space efficiency of the automated parking lot building.
- the automated parking lot to which the vehicle conveying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nnects the post 11 and the horizontal beams 12 and 13 to have a set height so that a plurality of parking spaces 14 are provided for each floor.
- the front loading fork 22 and the rear loading fork are installed on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rack 10 constituting the rack 10 and the parking room 14 to support the vehicle C from the bottom.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the loading table 20 constituted by (23).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30 moves in a multi-axis direction according to automatic control by the stacker crane 40 and stably transports the vehicle C, the lower part of the horizontal beam 13 on the loading platform, specifically While forming the floor of the parking room 14 carrying the vehicle C, it enters from the upper part of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loading platform constituting the ceiling of the lower parking room 14 of the next floor below, and is configured to ascend, descend, and retrea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eliminate the loss section (H2, FIG. 5).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base portion 110, a saddle portion 120, a fixing beam 130, and a transport fork 150. has a structure that
- the base part 110 is a structure supported by being located on the carriage 42 (FIG. 1) of the stacker crane 40, and may have a rectangular frame or plate shape as needed, and a saddle part (described later) on the top. 120) and other components are provided on one side so as to advance or retreat toward the loading table 20.
- the driving means may have a rack and pinion structure including, for example, a driving motor, and may include a gear train structu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riving means is a component for moving other components including the saddle unit 120, and various well-known configurations may be applied,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in order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saddle part 120 is moved forward or backward by a driving means while stably supporting the fixing beam 130 and the transport fork 150 described later at the end side, and has a set width and size, preferably More specifically, it is provided to be inclu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fixing beam 130b constituting the fixing beam 130 described later.
- These saddle units 12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or two or more are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automated parking lot.
- the saddle part 120 applied to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e fixing beam 130 on its front side to move up and down, or advances or retreats, so that the loss section (H2, FIG. 5)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operation is made at the upper position of the loading table horizontal beam 13 so as to be eliminated.
- the fixing beam 130 applied to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is not in the form of a straight bar of the same height and size, but the center portion where the transport fork 150 is not provided is the lower bottom of the vehicle C in a stationary state. It has a shape protruding upward with a height (a) approaching.
- the fixing beam 130 applied to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front transport fork 150a for supporting the front wheels of the vehicle C.
- the front fixing information 130a, the rear fixing information 130c equipped with the rear transport fork 150b for supporting the rear wheels of the vehicle C, the above-described front fixing information 130a and the rear fixing information 130c It has a structure including an intermediate fixing information 130b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be close to the lower bottom surface of the vehicle C while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saddle portion 120 integrally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thereof.
- the saddle part 120 enters from the upper part of the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and ascends, descends, advances or retreats, and the loss section (H2, 5) disappears.
- the front fixing information 130a and the rear fixing information 130c are higher than the bottom end of the loading platform horizontal beam 13
- the height f2 of the front transport fork 150a and the rear transport fork 150b also increases the conventional front transport fork 35a (Fig. 5) and the rear transport fork 35b (Fig. 5). Since it can be formed lower than the height f1 of, the stability of the device can be further increased.
- the parking room height H11 formed in FIG. 8 is formed equal to the conventional parking room height H1, it is possible to park vehicles with higher garages as well as vehicles with low garages,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parking lot. You can do it.
- the protective plate 60 when installing the protective plate 60, it can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loading platform.
- the portion of the intermediate fixing information 130b of the fixing beam 130 constituting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is transferred to the vehicle C It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so as to be close to the lower bottom of the vehicle, and by locating the saddle part 120 on the bottom of the vehicle, eliminating or minimizing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portion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rizontal beam 13 of the loading platform during transport of the vehicle to reduce loss
- eliminating (H2) not only can the height of the parking lot be optimized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but also the space efficiency of the parking building can be maximized.
-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an automated parking lot moves in the multi-axis direction through the stacker crane 40 according to the automatic control of the setting and performs lifting, moving, and retreating operations, with accurate height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nsor unit such as a position sensor at a requir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located in a place.
- a sensor unit such as a position sensor at a required position so that it can be located in a place.
- the middle fixing information 130b supported by the saddle part 120 has a width larger than the front fixing information 130a and the rear fixing information 130c ( t1') and a small thickness (t2') (see FIG. 11).
- the weight can be minimized while ensuring the rigidity of the member while enabling stable operation.
- the height of the upper end is the same as needed, and the lower end is formed to extend with an angle ⁇ from the center to the end, thereby minimizing the weight. may have (see FIG. 9).
- the transport fork applied to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structure that can minimize weight by having a hollow tubular shape (see FIG. 10 ).
- the front transport fork 150a is shown as an example among elements constituting the vehicle transport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loading fork supporting the front or rear wheels of the vehicle, the rear loading fork, The front transport fork and the rear transport fork may be configured to stably support the vehicl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entral portion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bar of the peripheral portion to fit the arc of the front or rear wheels of the vehicle, if necessary.
-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140 denotes a protruding tab having a set height, and prevents interference with the loading fork during operation by allowing the transport fork 150 to have an appropriate height.
- H1, H11 Parking space h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운반포크가 구비되지 않은 고정보의 중간 부분을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저면에 새들부를 위치시킴으로 차량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최소화해 손실구간을 없애면서 주차실 높이를 최적화할 수 있게 하여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운반포크가 구비되지 않은 고정보의 중간 부분을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저면에 새들부를 위치시킴으로 차량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최소화해 손실구간을 없애면서 주차실 높이를 최적화할 수 있게 하여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에는 차량 주차공간의 부족으로 인해 교통 혼잡 및 대기오염과 더불어 주차난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야기된 지 오래이며, 특히 차량의 통행량이 많은 도심에서는 한정된 주차 공간으로 인하여 주차난이 더욱 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급증하는 주차 수요를 대처하기 위해 건물마다 주차장 설치를 의무화하는 등 주차난 해결을 위한 방법들이 시행되고 있으나 한정된 토지로 인하여 주차 시설의 확충은 한계에 도달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자동화 주차장은, 다수 대의 차량을 일정한 장소와 공간에 최대한 주차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건물을 말하는 것으로, 작은 공간에 많은 차량을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하여 차량을 기계장치에 의해 층상으로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주차장은 주차하고자 하는 차량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과, 이동이 이루어진 차량을 보관할 수 있는 주차공간을 구비하여 구성함으로 차량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입고 및 출고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일 예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종래의 자동화 주차장은 층별로 다수의 주차실(14)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랙(10: 10a, 10b)과, 이 랙(10)이 형성하는 각각의 주차실(14)에 설치되어 주차되는 차량(C)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다수개의 적재대(20)와, 제어에 따라 적재대(20)의 측면에서 접근 및 후퇴하고 승강 또는 하강되어 차량(C)을 적재대(20)를 구성하는 전방 적재포크(22)와 후방 적재포크(23) 상부에 안착시키거나 또는 그로부터 인출시키는 운반장치(30)와, 이러한 운반장치(30)를 제어에 따라 다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스태커크레인(4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랙(10)은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포스트(11)들을 간격을 두고 배치한 다음 이웃하는 포스트(11)들을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는 수평보(12, 13)들로 연결하여 다층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이들은 각각의 층별로 차량(C)이 주차되는 주차실(14)을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주차실(14)은 상부의 적재대 수평보(13)와 하부의 적재대 수평보(13) 사이의 주차실 높이(H1)를 가진다.
그리고, 적재대(20)를 구성하는 적재포크(22, 23)는 두께와 폭을 갖는 바 형태로, 랙(10)을 구성하는 적재대 수평보(13) 위에 직교하도록 세워져 전방 적재포크(22)와 후방 적재포크(23)로 구분되며 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각각 지지하게 되는데, 적어도 어느 한쪽 단부는 운반장치(30)를 구성하는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가 대응하는 전방 적재포크(22)와 후방 적재포크(23) 측면에서 중첩되어 진입할 수 있도록 적재대 수평보(13)로부터 외측으로 길게 돌출된 내민보 형태를 취한다(도 2 및 도 5 참조).
한편, 운반장치(30)는 스태커크레인(40)에 의해 이동되는데, 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42)에 베이스부(31)가 고정된 상태로 구동수단(미도시)을 통해 적재대(20)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는 새들부(32) 및 고정보(33)를 가지며, 고정보(33)의 상부에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가 구비된 구조를 가진다(도 1, 도 4 참조).
이를 통해, 적재대(20)에 주차된 차량(C)을 이동시키는 작동상태를 일 예로 설명하면, 스태커크레인에 의해 차량 운반장치(30)는 해당 주차실(14)로 이동한 후, 적재대(20)의 측면으로 새들부(32)가 진입하면서 고정보(33)의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가 대응하는 전방 적재포크(22)와 후방 적재포크(23) 측면에서 중첩되면서 진입한다. 이어서, 차량의 전륜과 후륜을 받칠 수 있는 위치가 되면 차량 운반장치(30)는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가 상승하여 차량(C)의 전륜과 후륜을 지지하고, 적재대(20)의 측면으로 새들부(32)가 후퇴하면서 차량은 들려져 주차실(14)에서 이탈되게 된다.
한편, 이러한 운반장치(30)는 베이스부(31)의 높이와 새들부(32) 및 고정보(33), 운반포크(35)를 포함하는 높이를 가지게 되는데, 도 5에서와 같이 주차실(14)에 주차되어 있는 차량(C)을 이동시키고자 할 때, 차량 운반장치(30)가 하부 주차실(14)의 상부를 일부 구간(H2) 침범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운반장치(30)는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를 구비한 고정보(33)를 적재대 수평보(13)에 근접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새들부(32)를 전진시키는데, 진입하는 새들부(32)의 전방측과 적재대 수평보(13)의 충돌(접촉)을 방지하면서 고정보(33)를 적재대 수평보(13)에 근접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새들부(32)는 적재대 수평보(13)의 하부로 지나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이후 고정보(33)가 상승하면서 전방 운반포크(35a)와 후방 운반포크(35b)가 차량(C)의 전륜과 후륜과 접촉하면서 들어올릴 수 있도록 새들부(32)의 상부면은 적재대 수평보(13)의 저면과 또한 간격을 가지면서 접근할 수 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주차실(14)의 상부는 손실 구간(H2)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도 4 및 도 5 참조).
다시 말해, 한 층을 형성하는 주차실(14)은 차량(C)이 주차되는 실 주차공간 외에 상술의 운반장치(30)가 작동하는 범위의 공간(손실구간 : H2)을 더 형성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자동화 주차장을 구성하는 주차실 높이(H1)는 실제 차량이 주차되는 구간 외 손실구간(H2)으로 인해 최적의 높이 구조로 설정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건물의 공간 효율성은 낮아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현재 자동화 주차장은 상부에 위치한 차량(C)에서 이물질이 하방으로 떨어져 하부에 위치한 차량(C)에 이물질이 묻는 것을 방지하도록 필요에 따라 상부 차량의 하부에 보호판(60)을 더 형성하기도 한다.
이러한 보호판(60)은 차량(C)의 저면을 완전히 포함할 수 있는 크기의 판 형태를 가지는데, 통상 차량 운반장치(30)의 작동에 방해되지 않도록 전산볼트(61)를 이용해 적재대 수평보(13)의 하부로 손실구간(H2) 측에 형성할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보호판(60)을 더 형성할 경우 주차실의 손실구간(H2)은 더욱 넓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현재의 자동화 주차장은 최소한의 공간에 최대한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다양한 높이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발되고 있는 바, 이러한 운반장치(30)에 의한 적재대 수평보(13) 하부의 손실구간(H2)을 없애는 것이 무엇보다 당 업계에서 고민되고 해결해야 할 최우선적인 화두로 대두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452858호 (2004.10.05. 등록)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0726080호 (2007.05.31. 등록)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상부에 운반포크가 구비되지 않는 고정보의 중간 부분을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저면에 새들부를 위치시킴으로 차량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최소화해 손실구간을 없애고 주차실 높이를 최적화할 있도록 하여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게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는, 포스트와 수평보들을 연결하여 설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층별로 다수의 주차실을 형성하는 랙과, 상기 주차실을 구성하는 랙의 적재대 수평보 위에 설치되어 차량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전방 적재포크와 후방 적재포크로 구성한 적재대를 포함하는 자동화 주차장에서, 스태커크레인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적재대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차량을 적재대 상에 안착시키거나 인출시킨다.
이때,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는, 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에 고정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설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새들부와; 상기 새들부의 단부 일측에 설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의 상부에 상기 전방 적재포크와 후방 적재포크에 중첩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전방 운반포크와 후방 운반포크로 구성한 운반포크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보는, 상기 전방 운반포크가 구비된 전방고정보와; 상기 후방 운반포크가 구비된 후방고정보와; 상기 전방고정보와 후방고정보를 연결하면서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새들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중간고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상기 새들부가 적재대 수평보의 상부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필요에 따라, 상기 중간고정보는, 전방고정보와 후방고정보 보다 큰 폭과 작은 두께를 갖는다.
또한, 일 실시예로, 운반포크는, 상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하단은 중앙에서 끝단부로 각도(α)를 가지며 연장되게 형성한다.
또한, 일 실시예로, 운반포크는, 중공을 가진 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전방 적재포크, 후방 적재포크, 전방 운반포크 및 후방 운반포크는,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높이를 주변부의 포크바 높이보다 낮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는,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에 운반포크가 구비되지 않는 고정보의 중간 부분을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저면에 새들부를 위치시킴으로 차량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최소화해 손실구간을 없애 주차실 높이를 최적화할 있도록 하여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최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 및 이를 구성하는 랙과 적재대의 일 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에 적용한 차량 운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5는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 운반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주차실에 손실구간이 발생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은 적재대 측으로 접근하는 도 6의 차량 운반장치를 베이스부를 제외하고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b는 전방 운반포크의 또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장치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에 적용하는 운반포크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100)는, 차량(C)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13)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없애거나 최소화해 손실구간(H2, 도5)을 없애고 주차실 높이를 최적화할 있도록 하여 자동화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가 적용되는 자동화 주차장은, 포스트(11)와 수평보(12, 13)들을 연결하여 설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층별로 다수의 주차실(14)을 형성하는 랙(10)과, 주차실(14)을 구성하는 랙(10)의 적재대 수평보(13) 위에 설치되어 차량(C)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전방 적재포크(22)와 후방 적재포크(23)로 구성한 적재대(2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반장치(30)는 스태커크레인(40)에 의해 자동제어에 따라 다축방향으로 이동해 차량(C)을 안정적으로 운반하는데, 적재대 수평보(13)의 하부, 구체적으로 차량(C)을 운반하는 주차실(14)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이웃하는 밑에 층의 하부 주차실(14) 천장을 구성하는 적재대 수평보(13)의 상부에서 진입하고 승하강, 후퇴하도록 이루어져 손실구간(H2, 도 5)을 없애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는, 크게 베이스부(110)와, 새들부(120)와, 고정보(130) 및 운반포크(15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베이스부(110)는 스태커크레인(40)의 캐리지(42, 도 1)에 위치되어 지지되는 구조로, 필요에 따라 사각의 프레임 또는 판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부에 후술의 새들부(120)를 포함한 타 구성요소를 적재대(20) 측으로 전진 또는 후퇴시킬 수 있도록 구동수단을 일측에 구비한다.
구동수단은, 일 예로 구동모터를 포함하여 랙과 피니언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기어트레인 구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동수단은 새들부(120)를 포함한 타 구성요소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요소로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세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새들부(120)는 단부측에 후술의 고정보(130)와 운반포크(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구동수단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운동되는 것으로, 설정의 폭과 크기를 가지는데, 바람직하게는 후술의 고정보(130)를 구성하는 중간 고정보(130b)의 저면에 포함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새들부(120)는 자동화 주차장의 크기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새들부(120)의 동작을 위한 구조 또한 구동수단에 의해 전진 또는 후퇴되면서 고정보(130)와 운반포크(15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공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는 바, 상세의 구조적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에 적용되는 새들부(120)는 그 전방측에 고정보(130)를 지지하여 승하강되거나 전진 또는 후퇴되는 바, 손실구간(H2, 도5)을 없애도록 적재대 수평보(13)의 상부 위치에서 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 차량 운반장치(100)에 적용되는 고정보(130)는 동일 높이와 크기의 일자 바 형태가 아니라, 운반포크(150)가 구비되지 않은 중앙 부분이 정지 상태의 차량(C) 하부 저면에 근접하는 높이(a)로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에 적용되는 고정보(130)는, 차량(C)의 전륜을 지지하기 위한 전방 운반포크(150a)가 구비된 전방고정보(130a)와, 차량(C)의 후륜을 지지하기 위한 후방 운반포크(150b)가 구비된 후방고정보(130c)와, 상술의 전방고정보(130a)와 후방고정보(130c)를 연결하면서 차량(C)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저면에 상술의 새들부(120)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중간고정보(130b)를 포함한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도 8을 참조하면, 새들부(120)는 적재대 수평보(13)의 상부에서 진입하여 승하강, 전진 또는 후퇴하게 되고, 주차실(14) 상부에 형성되던 손실구간(H2, 도 5)은 없어지게 된다.
또한, 새들부(120)가 적재대 수평보(13)의 상부로 진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방고정보(130a)와 후방고정보(130c)를 적재대 수평보(13)의 저면 단부보다 높은 위치에 놓을 수 있게 되고, 필요에 따라 전방 운반포크(150a)와 후방 운반포크(150b)의 높이(f2) 또한 종래의 전방 운반포크(35a, 도5)와 후방 운반포크(35b, 도5)의 높이(f1) 보다 낮게 형성할 수 있어 장치의 안정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 8에서 주차실(14)의 주차구간을 형성하는 주차실 높이(H11)를 종래의 주차실 높이(H1) 보다 낮게 형성할 있게 되는 등 필요에 따라 높이를 최적화 할 수 있게 되고, 다층 구조의 자동화 주차장의 경우 새롭게 주차실 층을 형성할 수도 있게 되어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에서 형성되는 주차실 높이(H11)를 종래의 주차실 높이(H1)와 동일하게 형성할 경우, 낮은 차고의 차량 뿐만 아니라 보다 높은 차고를 가지는 차량을 주차시킬 수 있어 주차장 활용도 또한 극대화 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보호판(60)을 설치할 경우, 적재대 수평보(13)의 저면에 바로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100)는, 차량 운반장치(100)를 구성하는 고정보(130)의 중간고정보(130b) 부분을 차량(C)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하고, 그 저면에 새들부(120)를 위치시킴으로 차량의 운반 중 적재대 수평보(13) 하부에 위치되는 차량 운반장치 부분을 없애거나 최소화해 손실구간(H2)을 없애 주차실 높이를 사용환경에 맞게 최적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차장 건물의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100)는, 설정의 자동제어에 따라 스태커크레인(40)을 통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승하강, 전진, 후퇴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정확한 높이와 장소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필요의 위치에 위치감지센서와 같은 센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100)는, 새들부(120)에 의해 지지되는 중간고정보(130b)를 전방고정보(130a)와 후방고정보(130c) 보다 큰 폭(t1')과 작은 두께(t2')를 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도 11 참조).
구체적으로 중간고정보(130b)를 구성하는 부재를 전방고정보(130a)와 후방고정보(130c) 보다 얇고 넓게 형성하여 부재의 강성이 확보되면서도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에 적용되는 운반포크는, 필요에 따라 상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하단은 중앙에서 끝단부로 각도(α)를 가지며 연장되게 형성하여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9 참조).
더불어, 본 발명의 차량 운반장치(100)에 적용되는 운반포크는, 중공을 가진 관 형상을 가져 중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도 10 참조).
한편, 도 7b를 참조하면, 도시에서는 차량 운반장치를 구성하는 요소 중 전방 운반포크(150a) 만을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 전반에서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을 지지하는 전방 적재포크, 후방 적재포크, 전방 운반포크 및 후방 운반포크는, 필요에 따라 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높이를 주변부의 포크바 높이보다 낮게 조정하도록 하여 차량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40은 설정의 높이를 갖는 돌출탭을 나타낸 것으로, 운반포크(150)가 적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작동 중 적재포크와 간섭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호의 설명]
10 : 랙
13 : 적재대 수평보
20 : 적재대
22 : 전방 적재포크
23 : 후방 적재포크
100 : 차량 운반장치
110 : 베이스부
120 : 새들부
130 : 고정보
130a : 전방 고정보
130b : 중간 고정보
130c : 후방 고정보
140 : 돌출탭
150, 150', 150" : 운반포크
150a : 전방 운반포크
150b : 후방 운반포크
H1, H11 : 주차실 높이
H2 : 손실구간
Claims (5)
- 포스트와 수평보들을 연결하여 설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층별로 다수의 주차실을 형성하는 랙과, 상기 주차실을 구성하는 랙의 적재대 수평보 위에 설치되어 차량을 하부에서 지지하도록 전방 적재포크와 후방 적재포크로 구성한 적재대를 포함하는 자동화 주차장에서, 스태커크레인에 의해 다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적재대의 측면으로 접근 및 후퇴하면서 차량을 적재대 상에 안착시키거나 인출시키는 차량 운반장치에 있어서,스태커크레인의 캐리지에 고정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구비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설정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퇴하는 새들부와; 상기 새들부의 단부 일측에 설정의 두께와 폭을 갖는 고정보와; 상기 고정보의 상부에 상기 전방 적재포크와 후방 적재포크에 중첩되게 진입할 수 있도록 전방 운반포크와 후방 운반포크로 구성한 운반포크를 포함하되,상기 고정보는,상기 전방 운반포크가 구비된 전방고정보와; 상기 후방 운반포크가 구비된 후방고정보와; 상기 전방고정보와 후방고정보를 연결하면서 차량의 하부 저면에 근접하도록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새들부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중간고정보를 포함하여;상기 새들부가 적재대 수평보의 상부에서 동작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중간고정보는,전방고정보와 후방고정보 보다 큰 폭과 작은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운반포크는,상단의 높이는 동일하고, 하단은 중앙에서 끝단부로 각도(α)를 가지며 연장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운반포크는,중공을 가진 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전방 적재포크, 후방 적재포크, 전방 운반포크 및 후방 운반포크는,차량의 전륜 또는 후륜의 원호에 맞도록 중앙부의 높이를 주변부의 포크바 높이보다 낮게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3229 | 2021-09-15 | ||
KR1020210123229A KR20230040077A (ko) | 2021-09-15 | 2021-09-15 |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43221A1 true WO2023043221A1 (ko) | 2023-03-23 |
Family
ID=85603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PCT/KR2022/013784 WO2023043221A1 (ko) | 2021-09-15 | 2022-09-15 |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30040077A (ko) |
WO (1) | WO2023043221A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4638A (ja) * | 1993-03-16 | 1994-09-20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立体駐車場 |
JPH1037512A (ja) * | 1996-07-26 | 1998-02-10 | Nissei Ltd | 機械式立体駐車装置のフォーク台車 |
JP2004211513A (ja) * | 2003-01-09 | 2004-07-29 | Shin Meiwa Ind Co Ltd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KR20060008653A (ko) * | 2004-07-23 | 2006-01-27 | 황성필 |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
KR101995125B1 (ko) * | 2017-10-12 | 2019-07-01 | 이완영 |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52858B1 (ko) | 2002-09-13 | 2004-10-20 | 이완영 |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
KR100726080B1 (ko) | 2006-04-21 | 2007-06-08 | 이완영 | 스태커크레인 캐리지 |
-
2021
- 2021-09-15 KR KR1020210123229A patent/KR2023004007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2
- 2022-09-15 WO PCT/KR2022/013784 patent/WO202304322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64638A (ja) * | 1993-03-16 | 1994-09-20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立体駐車場 |
JPH1037512A (ja) * | 1996-07-26 | 1998-02-10 | Nissei Ltd | 機械式立体駐車装置のフォーク台車 |
JP2004211513A (ja) * | 2003-01-09 | 2004-07-29 | Shin Meiwa Ind Co Ltd |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
KR20060008653A (ko) * | 2004-07-23 | 2006-01-27 | 황성필 | 이동형 팔레트를 이용한 포크식 주차설비 |
KR101995125B1 (ko) * | 2017-10-12 | 2019-07-01 | 이완영 | 자동화 주차장의 입출고용 주차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0077A (ko) | 2023-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52858B1 (ko) | 스태커크레인을 이용한 무팔레트 가대식 주차시스템 | |
EP0386170B1 (en) | A multistory automobile parking facility | |
WO2019083166A1 (ko) | 차량의 이동통로를 없앤 평면주차장의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 |
WO2021167333A1 (ko) | 높이조절이 가능한 이동식건축물 및 이의 시공방법 | |
WO2023043221A1 (ko) | 자동화 주차장의 차량 운반장치 | |
JPH06293404A (ja) | 搬送装置を備えた棚設備 | |
WO2020004887A1 (ko) | 차량을 적재하여 주차 및 출차를 실행하는 지능형 차량이송로봇 | |
WO2023195709A1 (ko) | 컨테이너 자동화창고 | |
JPH05106362A (ja) | 自動車のパーキングハウス | |
WO2023063745A1 (ko) | 단적재 리프트 장치 | |
JP2010190024A (ja) | 立体駐車装置 | |
WO2023033419A1 (ko) | 주차 시스템 | |
WO1991012397A1 (en) | Automatic multistorey parking building structure | |
JPH06212823A (ja) | 駐車装置 | |
CN1245240A (zh) | 纵横向换位垂直升降式停车设备 | |
JP3049463B2 (ja) | 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装置 | |
JPH0411089Y2 (ko) | ||
WO2016043350A1 (ko) | 모바일 데크 지지장치 | |
JP4032380B2 (ja) | 平面往復方式駐車装置 | |
CN207496670U (zh) | 一种微轨站台结构 | |
RU2634155C1 (ru) | Способ парковки автомобиля в многоярусном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м паркинге и система парковки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варианты) | |
KR970007122B1 (ko) | 고층 창고 | |
JP2675514B2 (ja) | 建築資材の揚重方法および揚重装置 | |
KR20230125377A (ko) |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 |
JPH10266613A (ja) | 立体駐車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121 |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
Ref document number: 22870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
|
NENP |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
Ref country code: DE |
|
122 |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
Ref document number: 228703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