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25377A -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 Google Patents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25377A
KR20230125377A KR1020220021887A KR20220021887A KR20230125377A KR 20230125377 A KR20230125377 A KR 20230125377A KR 1020220021887 A KR1020220021887 A KR 1020220021887A KR 20220021887 A KR20220021887 A KR 20220021887A KR 20230125377 A KR20230125377 A KR 20230125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parking
horizontal
turntable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진
이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주)디엠아이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주)디엠아이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아이씨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1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25377A/ko
Publication of KR20230125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53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movable platforms for horizontal transport, i.e. cars being permanently parked on palet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에 적용되는 주차 시스템으로, 유휴시간 동안 회수된 팔레트를 보관하는 팔레트 보관부가 구비되고, 팔레트의 공급 및 회수를 수행하는 수평 이송유닛이 배치된 팔레트 이송장치를 통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팔레트;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주차구역은 주차실이 복층으로 형성된 주차 구조물; 상기 리프트 구역에 구비되고 수직 이송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팔레트 이송장치; 및 상기 주차 구조물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팔레트를 수용하는 팔레트 보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Parking system with pallet supplying-collecting}
본 발명은 기계식 주차장에 적용되는 주차 시스템으로, 유휴시간 동안 회수된 팔레트를 보관하는 팔레트 보관부가 구비되고, 팔레트의 공급 및 회수를 수행하는 수평 이송유닛이 배치된 팔레트 이송장치를 통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증가에 따른 주차난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한된 부지에 주차공간을 다수 확보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계식 주차장치 및 설비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기계식 주차장 중 승강기식 주차장은 독립된 주차전용 빌딩으로 설치가 가능하고, 입출차가 용이하며 한정된 대지에서 주차장을 고층으로 설치할 수 있어 최근 주차장에 대한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지속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승강기식 주차장은 차량을 입고한 뒤 다음 입고 차량을 적재하기 위한 팔레트를 주차대기구역에 배치시켜야 한다. 이때, 기존의 승강기식 주차장은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팔레트를 검색한 뒤 승강기가 해당 팔레트를 다시 주차대기구역으로 이송해야 하므로 승강기의 이동동선이 길어져, 차량의 입출고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었다.
또한, 기존의 승강기식 주차장은 승강기에 팔레트를 적재-인출하기 위하여 각 주차실마다 팔레트의 수평이송장치(대차)가 설치되어야 하므로, 이송모터, 전자제어부 등의 전기, 기계설비가 주차층 전체에 설치됨에 따라 주차장 설비의 설치 및 관리에 많은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위와 같이 전체 주차건물에 다수의 전기, 기계설비가 설치됨에 따라 고장에 따른 유지보수 빈도가 증가하고, 유지보수 중 추락 등에 의한 사망사고의 발생확률도 증가하게된다.
일반적인 승강기식 주차장은 승강설비를 설치하기 위하여 승강설비의 하부에 지하층이 시공되고, 승강기의 이송을 위하여 승강기의 이송로는 최상층부터 지하층까지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존의 승강기식 주차장은 탑승자가 승강기에 차량을 직접 입차하고 승강기에서 퇴실한 뒤 승강기를 작동시켜 차량을 이동시키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승강기로 직접 입차하는 방식은 입차 또는 출차 시 탑승자가 실족하여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이에 대한 안전대책이 필요하다.
또한, 승강기식 주차장은 차량을 적재하는 팔레트와 이를 상하 또는 좌우로 이송하는 장치로 구성되어 팔레트가 주차실에 고정되지 않고 착탈수단에 의하여 결합되고 이송시 착탈수단을 분리하여 이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는 수시로 입출차가 이루어지는 승강기식 주차장에서 팔레트를 주차실에 견고하게 고정할 경우 입출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팔레트의 일부 부재만 주차실에 결합하고 팔레트가 이동할 때 빠르게 결합부를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위와 같이 팔레트는 주차실에 현수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측면이나 상하방향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승강기식 주차창은 지진이나 태풍 등에 의한 진동이나 강풍이 발생할 경우, 순간적으로 팔레트가 추락, 전복되거나 기울어져 적재된 차량이 추락하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들에 의하여, 구조가 복잡하지 않아서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차량을 신속하게 입출차 할 수 있는 승강기식 주차장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등록특허 10-1785325 "기계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추락 방지 장치" 2. 등록특허 10-1080016 "기계식 주차장" 3. 등록특허 10-0226063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용 케이지의 파렛트 고정장치"
본 발명은 승강기식 주차장에 적용시, 유휴시간 동안 회수된 팔레트를 보관하는 팔레트 보관부를 구비하고, 차량의 입고와 팔레트의 배치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단의 수평 이송유닛을 통하여 차량의 입출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상층에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여 팔레트를 승강기에 직접 입차시키지 않도록 구성된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과제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팔레트;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으로 구획되고, 상기 주차구역은 주차실이 복층으로 형성된 주차 구조물; 상기 리프트 구역에 구비되고 수직 이송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팔레트 이송장치; 및 상기 주차 구조물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팔레트를 수용하는 팔레트 보관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는, 본체 프레임; 및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를 적재하여 양측방향으로 전개 또는 회수되는 수평 이송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송유닛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하부에 2개 이상이 상하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 이송유닛은, 상기 팔레트의 양 측단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파지(把持)부(1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팔레트의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롤러; 및 상기 주차실의 하부에 상기 수평 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롤러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 이상에 구비된 피수용구; 및 상기 가이드 레일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피수용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피수용구와 계합하도록 형성된 수용구;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주차 구조물의 1층에는 상기 리프트 구역 일 측의 주차구역이 주차대기구역으로 대체 배치되고, 상기 주차대기구역 하부에는 지하공간에 형성된 피트(PIT) 설비가 구비되며, 상기 피트 설비는, 상기 지하공간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피트 레일; 상기 지하공간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상기 지하공간의 바닥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층 레일; 상단면이 상기 지층 레일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팔레트를 적재한 채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트 레일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턴테이블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피트 롤러; 상기 턴테이블의 상단면에 측방으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층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지층 롤러가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 를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의 이동에 따라 상기 지층 수평 플레이트가 상기 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1층의 주차대기구역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플레이트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개의 널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이 상기 리프트 구역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경우 최외측 널판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지층 레일의 연장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구역과 상기 주차대기구역 사이에 상하 개폐식의 격벽; 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제어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상기 턴테이블의 상단에 배치된 입차용 팔레트에 차량이 적재되면,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를 상기 리프트 구역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리프트 구역에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의 수평 이송유닛 중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을 전개하여 상기 입차용 팔레트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의 수평 이송유닛 중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을 전개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에서 선출(選出)한 보관용 팔레트를 상기 턴테이블의 상단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가 상승하여 지정된 주차실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도착할 경우 상기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을 전개하여 차량이 적재된 상기 입차용 팔레트를 지정된 주차실로 배치하고, 상기 턴테이블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보관용 팔레트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입차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스템 제어부는, 유휴시간 동안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가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주차실의 팔레트를 회수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로 이송하도록 팔레트 회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은 다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양측방향으로 전개 또는 회수되는 수평 이송유닛이 다단 배치된 팔레트 이송장치를 설치하여, 차량의 입고와 팔레트의 배치를 동시에 수행함에 따라 차량의 입출차를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다.
2. 팔레트의 수평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수용구에서 이탈할 경우 팔레트의 피수용구와 가이드 레일의 수용구가 계합하도록 구성되어, 지진에 의한 진동이나 강풍에 의한 횡력이 발생하더라도 팔레트가 추락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어 차량의 파손을 방지한다.
3. 주차 구조물에 팔레트 보관부를 배치하여 유휴시간 동안 회수된 팔레트를 신속하게 수평 이송유닛에 제공할 수 있어 차량의 입출차 시간을 효율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4. 상단에 팔레트를 적재하고 좌우로 이동가능한 턴테이블이 1층 주차대기구역에 구비되어, 운전자가 직접 리프트 구역에 차를 운전하여 진입하지 않도록 구성됨에 따라 리프트 구역내에서 운전자의 추락에 의한 사망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5. 주차 구조물에 팔레트 이송장치 및 이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직 이송수단 외에는 각 층의 주차실에 모터 등의 전기설비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고층의 주차 구조물에 전기설비의 수리를 위한 작업자를 투입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6. 주차대기구역의 턴테이블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1층 바닥에 형성된 개방공간을 수평 플레이트가 이동하며 커버하여 차량의 입출차 시 운전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7. 리프트 구역과 주차대기구역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차량의 입출차 시 운전자가 리프트 구역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여 인명사고를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도 1]은 주차 구조물의 리프트 구역에 팔레트 이송장치가 구비되고, 주차 구조물에 팔레트 보관부가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수평 이송유닛이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양측으로 전개되는 수평 이송유닛의 세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수평 이송유닛의 전개 과정을 단면과 평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팔레트에 피수용구와 가이드 레일에 수용구가 계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팔레트 이송장치의 수평 이송유닛이 전개되어 팔레트를 적재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7]은 주차 구조물에 지하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8]은 2개 모듈의 주차 구조물을 측방향으로 인접배치하고 1층에 공동으로 주차대기구역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팔레트가 적재된 턴테이블이 주차대기구역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팔레트가 적재된 턴테이블이 주차대기구역의 일 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도 11]는 팔레트가 적재된 턴테이블이 주차대기구역의 일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1층의 주차대기구역에 차량이 입차되어 팔레트 이송장치로 적재되는 과정을 1 내지 4의 세부 번호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4] 내지 [도 17]은 주차대기구역에 입차된 차량이 팔레트 이송장치로 적재되어 주차실로 이송되는 과정을 1 내지 4의 세부 번호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8] 내지 [도 20]은 팔레트 이송장치에 다단으로 설치된 수평 이송유닛이 차량을 적재하고 팔레트 보관부에서 팔레트를 선출하여 턴테이블에 배치하는 과정을 a 내지 c의 세부 도면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시스템 제어부에서 유휴시간 동안 팔레트 이송장치가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주차실의 팔레트를 회수하여 팔레트 보관부로 이송하도록 제어하는 과정을 a 내지 c의 세부 도면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본 발명은 「팔레트(300);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1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20)으로 구획되고, 상기 주차구역(20)은 주차실(21)이 복층으로 형성된 주차 구조물(1);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구비되고 수직 이송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팔레트 이송장치(100); 및 상기 주차 구조물(1)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팔레트(300)를 수용하는 팔레트 보관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는, 본체 프레임(11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하여 양측방향으로 전개 또는 회수되는 수평 이송유닛(120);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2개 이상이 상하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3]의 팔레트(300)에 차량이 주차된 경우를 기준으로, 차량의 문이 배치된 위치의 방향을 측방향, 폭방향, 좌우방향, 수평방향으로 칭하고, 차량의 앞면과 뒷면을 연결하는 축방향에서 출입문(80)이 설치된 방향을 전방, 전면, 그 반대방향을 후방, 후면으로 칭한다.
[도 1]은 주차 구조물(1)의 리프트 구역(10)에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구비되고, 주차 구조물(1)에 팔레트 보관부(200)가 배치된 실시예이다.
주차 구조물(1)은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1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20)으로 구획되고, 상기 주차구역(20)은 주차실(21)이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차 구조물(1)은 복수 개의 차량이 수용되므로, 내구성이 우수한 강재형강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주차 구조물(1)은 복수 개의 수직 골조 및 수평 골조로 구성되고, 일정한 높이마다 수평 골조로 구획된 주차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주차 구조물(1)은 각층에 한 개씩의 주차실(21)이 형성되고, 각 주차실(21)의 하부에 팔레트(300)를 적재하여 보관할 수 있는 가이드 레일(2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프트 구역(10)은 팔레트 이송장치(100) 및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는 수직 이송수단이 구비되고, 팔레트 이송장치(10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이송로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직 이송수단은 권취부와 전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권취부에 적용되는 전동모터는 속도, 회전방향, 정지, 동작 등을 용이하고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는 하나 이상의 팔레트(300)를 수용하여 보관하는 것으로, 팔레트(300)의 입출고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구가 개방된 수용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에 복수 개의 팔레트(300)가 수용될 경우,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는 상하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단으로 배치되어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하도록 구성된 보관 데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이 팔레트 보관부(200)의 보관 데크(210)가 다단으로 형성된 경우,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는 최상단 보관 데크(210)의 팔레트(300)가 인출된 후 전체 팔레트 보관부(200)의 보관 데크(210)가 한 층씩 위로 이동하여 상층 보관 데크(210)에서 하층 보관 데크(210)의 순서대로 차례로 팔레트(300)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관 데크(210)의 좌우길이는 팔레트(300)의 인출(引出)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팔레트(300)의 좌우길이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관 데크(210)는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팔레트(300)는 보관 데크(210)의 상면에 밀착되어 적치되므로,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팔레트(300)를 인출하기 위해서는 팔레트(300)와 보관 데크(210) 사이에 수평 이송유닛(120)이 삽입될 공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보관 데크(210)에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는 위치에 대응하도록 폭방향의 삽입홈을 형성할 경우,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기 삽입홈을 따라 전개되어 팔레트(300)의 하단에 밀착되고,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상승에 따라 팔레트(300)를 보관 데크(210)에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의 전개부 형태에 대응하여 장방형, 포크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수평 이송유닛(120)이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 프레임(110)은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가지고, 차량을 적재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철재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110)에는 수직 이송수단으로부터 인입된 승강용 케이블이 결합된다.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수평 이송유닛(120)이 2개 이상 상하배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을 상기 본체 프레임(110)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단에 수평방향으로 수평 프레임(1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평 프레임(130)을 2개 이상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수평 프레임(130)의 상단에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을 각각 설치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수평 이송유닛(120)이 상하배치된 경우, 상부에 팔레트(300)를 적재하기 위하여 각각의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양측방향으로 전개 또는 회수되는 암(Arm) 형태의 부재로 구성된 것으로, 상하 적층된 다단 부재 방식, 내측으로 적층되어 인출되는 다단 부재 방식, 관절형으로 펼쳐지는 다단 부재 방식 등 전개-회수 방식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양측으로 전개되는 수평 이송유닛(120)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다단으로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된 복수 개의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로 이루어진 수평 이송유닛(120)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3]의 실시예에 도시된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단, 중단, 하단의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로 구성되고, 상단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에는 상단 레크(123)가 구비되고, 하단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에는 하단 레크(125)가 구비된다. 또한, 상단 레크(123)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상단 피니언 기어(124), 하단 레크(125)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하단 피니언 기어(126) 및 상기 상단 피니언 기어(124)와 하단 피니언 기어(126) 사이를 연결하도록 맞물린 전달 기어(127)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수평 이송유닛(120)의 실시예는 상단 레크(123), 상단 피니언 기어(124), 전달 기어(127), 하단 피니언 기어(126), 하단 레크(125)가 모두 동시에 회전하도록 맞물려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단 피니언 기어(124), 전달 기어(127), 하단 피니언 기어(126) 중 어느 하나를 회전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시켜 회전시킬 경우, 상단 레크(123)와 하단 레크(125)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전개되어 하나의 회전 모터로 상단과 하단의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를 측방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한, 기어의 크기를 조절하여 기어비를 다르게 형성할 경우 각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의 전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단으로 전개되는 수평 이송유닛(120)의 특성상 무게중심이 일부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에 집중될 경우 수평 이송유닛(120)이 처지거나 부러질 위험이 있으므로, 상단 피니언 기어(124)나 하단 피니언 기어(126)의 기어비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수평 이송 세그먼트(121)의 전개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팔레트(300)의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3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롤러(310); 및 상기 주차실(21)의 하부에 상기 수평 롤러(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2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롤러(3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 이상에 구비된 피수용구(3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피수용구(3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피수용구(320)와 계합하도록 형성된 수용구(23);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팔레트(300)에 피수용구(320)와 가이드 레일(22)에 수용구(23)가 계합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기 팔레트(300)의 양 측단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파지(把持)부(1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이송 중 팔레트(300)가 수평 이송유닛(12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파지부(122)는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에서 팔레트(300)가 적재되는 부재의 상단에 구비된 것으로, 팔레트(300)가 적재될 경우 팔레트(300)의 좌·우측단에 각각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파지부(122)는 수평 이송유닛(12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양측의 돌출턱 사이에 팔레트(300)를 끼워넣어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2)는 기계식, 전자식으로 제어되어 양측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파지부(122)가 양측으로 이동가능 하도록 구성될 경우, 수평 이송유닛(120)의 상면에 팔레트(300)가 적재된 뒤 파지부(122)가 각각 팔레트(300)에 밀착되도록 수평이동하여 팔레트(3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22)은 상기 주차실(21)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300)를 주차실(21)에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 레일(22)은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설치 경사각은 1~1.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구(23)는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 구비된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바닥면에 하방으로 수용되는 형태의 단면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레트(300)의 전·후단에 각각 수평 롤러(310) 및 피수용구(3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수용구(320)는 상기 수용구(23)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구(23)와 계합하고, 상기 수평 롤러(3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5]의 실시예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22)은 리프트 구역(10)의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1°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져 설치되고,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300)의 수평 롤러(310)가 가이드 레일(22)의 수용구(23)에 수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진동 등에 의하여 팔레트(300)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움직일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22)은 경사지게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팔레트(300)는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때, 상기 수평 롤러(310)의 좌측에 위치한 피수용구(320)는 상기 수용구(23)와 계합되는 형태로 형성되었으므로, 상기 팔레트(300)의 피수용구(320)는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수용구(23)와 계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팔레트(300)는 상기 가이드 레일(22)에 강하게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구(23)는 평소에는 팔레트(300)의 수평 롤러(310)를 고정하여 팔레트(300)를 주차실(21)에 적재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유사시에는 진동 등에 의하여 팔레트(300)가 가이드 레일(22)을 따라 미끄러질 경우 팔레트(300)의 피수용구(320)와 계합되어 팔레트(300)의 추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수평 롤러(310)가 가이드 레일(22)의 수용구(23)에 수용될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22)은 리프트 구역(10)의 방향으로 낮아지도록 기울어져 설치되므로 수평 롤러(310)와 수용구(23)가 접하는 부분에는 경사에 의한 텐션이 지속적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용구(23)에 수용된 수평 롤러(310)는 리프트 구역(10)의 방향으로 텐션이 가해져 더욱 견고하게 수용구(23)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레일(22)의 경사각이 고정되기에 적절한 임계치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수평 롤러(310)가 임계치 이상의 텐션에 의하여 수용구(23)에서 이탈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설치 경사각은 1~1.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팔레트(300)를 적재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팔레트 이송장치(100)에서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될 경우 팔레트(300)에 적재된 차량의 하중이 수평 이송유닛(120)에 가해지므로, 수평 이송유닛(120)만으로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300)를 전개시킬 경우 수평 이송유닛(120)에 과도한 하중이 가해져 수평 이송유닛(120)의 부재가 파손될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가이드 레일(22)에 팔레트(300)의 수평 롤러(310) 일 측이 걸치도록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한 뒤, 가이드 레일(22)을 따라서 팔레트(300)가 주차실(21)로 수용되도록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시켜 수평 이송유닛(120)에 가해지는 하중을 가이드 레일(22)에 분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주차 구조물(1)의 1층에는 상기 리프트 구역(10) 일 측의 주차구역(20)이 주차대기구역(30)으로 대체 배치되고, 상기 주차대기구역(30) 하부에는 지하공간(40)에 형성된 피트(PIT) 설비(50)가 구비되며, 상기 피트 설비(50)는, 상기 지하공간(40)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피트 레일(51); 상기 지하공간(4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a)에서 상기 지하공간(40)의 바닥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층 레일(52); 상단면이 상기 지층 레일(52)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한 채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53); 상기 턴테이블(5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트 레일(51)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턴테이블(53)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피트 롤러(54);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측방으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층 레일(52)을 따라 구동하는 지층 롤러(56)가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55); 를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55)가 상기 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1층의 주차대기구역(30) 바닥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주차 구조물(1)에 지하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2개 모듈의 주차 구조물(1)을 측방향으로 인접배치하고 1층에 공동으로 주차대기구역(30)이 배치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차 구조물(1)의 1층에는 상기 리프트 구역(10) 일 측의 주차구역(20)이 주차대기구역(30)으로 대체 배치되고, 상기 주차대기구역(30) 하부에는 지하공간(40)에 형성된 피트(PIT) 설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트 설비(50)는 1층의 주차대기구역(30)의 지하공간(40)에 구비된 것으로, 피트 레일(51), 지층 레일(52), 턴테이블(53), 피트 롤러(54), 수평 플레이트(55)로 구성된다.
상기 피트 레일(51)은 상기 지하공간(40)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층 레일(52)은 상기 지하공간(4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a)에서 상기 지하공간(40)의 바닥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전방과 후방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턴테이블(53)은 상단면이 상기 지층 레일(52)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한 채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중앙에 회전모터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원형의 회전부가 구비되고, 상기 회전부의 상부 주위를 둘러싼 상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트 롤러(54)는 상기 턴테이블(5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트 레일(51)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턴테이블(53)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피트 롤러(54)는 상기 턴테이블(53) 하단의 전·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피트 레일(51)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55)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측방으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층 레일(52)을 따라 구동하는 지층 롤러(56)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평 플레이트(55)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개의 널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53)이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경우 최외측 널판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지층 레일(52)의 연장부(52b)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공간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플레이트(55)는 바닥면과 턴테이블(53)이 좌우로 이동하기 위하여 1층 바닥에 지하층과 통공되도록 형성된 개방공간을 커버하여 차량의 입출차 시 운전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도 9] 및 [도 10]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팔레트(300)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팔레트(300)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팔레트(300)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중앙에 배치된 경우, 상기 턴테이블(53)의 양측에 결합된 수평 플레이트(55)가 상기 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바닥면을 형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팔레트(300)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턴테이블(53)의 이동에 의하여 1층 바닥에 형성된 개방공간의 일부가 커버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프트 구역(10)과 상기 주차대기구역(30) 사이에 상하 개폐식의 격벽(60); 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격벽(60)은 상하 개폐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리프트 구역(10)과 주차대기구역(30)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1]는 팔레트(300)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일 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평면도(a)와 단면도(b)로 도시한 것이다.
주차대기구역(30)은 일 측 또는 양측에 리프트 구역(10)이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주차대기구역(30)의 양측에 리프트 구역(10)이 배치된 경우의 실시예로 상기 턴테이블(53)은 양측의 리프트 구역(10)에 인접 가능하도록 좌우로 이동되며, 수평 플레이트(55) 역시 상기 턴테이블(53)의 양측에 결합된다. 만약, 주차대기구역(30)의 일 측에만 리프트 구역(10)이 배치된 경우 상기 턴테이블(53)과 리프트 구역(10)이 인접하는 방향의 턴테이블(53) 상단면에만 수평 플레이트(55)가 결합 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1층의 주차대기구역(30)에 차량이 입차되어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적재되는 과정을 1 내지 4의 세부 번호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2] 및 [도 13]의 순서에 따라, 1층의 주차대기구역(30)에 차량이 입차되는 과정을 아래에 순서대로 정리한다.
[도 12] 및 [도 13]은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1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20)으로 구획된 주차건물을 1개의 모듈로 지칭할 경우, 2개 모듈의 주차 구조물(1)을 측방향으로 인접배치하고 1층에 공동으로 주차대기구역(30)이 배치된 실시예이다.
[도 12]의 (1)은 입차용 팔레트(300-In)가 주차대기구역(3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진행방향 그대로 입차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차량이 진입될 때 주차대기구역(30)의 양측에 위치한 격벽(60)이 닫힌 상태로 유지되어, 운전자는 리프트 구역(10)과 차단된다.
[도 12]의 (2)는 차량이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적재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차량을 적재한 뒤 운전자가 주차대기구역(30)에서 빠져나가면 주차대기구역(30) 양측의 격벽(60)이 개방된다.
[도 13]의 (3)은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따라 턴테이블(53)의 양측에 결합된 수평 플레이트(55)도 같이 이동된다.
[도 13]의 (4)는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가 수평 이송유닛(120)의 전개에 의하여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이송된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 이때,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선출(選出)된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적재되고, 상기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가 적재된 턴테이블(53)은 뒤이어 진입하는 입고차량의 적재를 위하여 주차대기구역(30)의 중앙으로 이동한다.
[도 13]의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대기구역(30)의 바닥면은 수평 플레이트(55)에 의하여 커버되고, 주차대기구역(30)의 양측은 격벽(60)으로 차단되어, 차량이 진입될 때에는 주차대기구역(30)은 양측벽과 바닥면이 차단된 공간으로 형성됨에 따라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입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스템 제어부(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배치된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차량이 적재되면,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선출(選出)한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상승하여 지정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도착할 경우 상기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차량이 적재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지정된 주차실(21)로 배치하고,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입차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도 21] 내지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휴시간 동안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주차실(21)의 팔레트(300)를 회수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로 이송하도록 팔레트(300) 회수 과정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회수된 팔레트(300)는 팔레트 보관부(200)에 보관되고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에 보관된 팔레트(300)를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로 칭한다.
즉, 전체 주차 구조물(1) 내부에 구비된 팔레트(300)의 갯수는 주차실(21)의 숫자만큼 구비되며, 상황에 따라 별도의 팔레트(300)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 주차 구조물(1)의 제어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팔레트(300)의 갯수는 주차실(21)의 숫자만큼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 내지 [도 17]은 주차대기구역(30)에 입차된 차량이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적재되어 주차실(21)로 이송되는 과정을 1 내지 4의 세부 번호 순서대로 도시한 실시예이다. [도 14]는 턴테이블(53)에 적재된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차량이 입차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16]은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적재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7]은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가 적재된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상승하여 지정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에 정지한 뒤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지정된 주차실(21)에 입차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도 16]에 도시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적재하는 과정은 [도 18] 내지 [도 20]에 보다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8] 내지 [도 20]은 2단으로 구성된 수평 이송유닛(120)이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실시예로, 하기에 도면 순서대로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차량이 적재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a) 도 18 :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은 왼쪽에 위치한 턴테이블(53)에서 차량이 적재된 입차용 팔레트(300-In)를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수용하고,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은 팔레트 보관부(200)에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선출할 수 있다. 상·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은 각각 순서대로 전개과정을 진행하거나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이송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하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은 동시에 전개과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관 데크(210)의 위치는 상·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동시에 전개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하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의 전개높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b) 도 19 : 팔레트 이송장치(100)는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에 입차용 팔레트(300-In)가 적재되고,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에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가 적재된 상태에서 상승할 수 있다. 이때, 팔레트 이송장치(100)는 턴테이블(53)의 상면과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의 상단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상승한 뒤 정지할 수 있다. 이후에,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적재할 수 있다.
(c) 도 20 : 상기 턴테이블(53)은 상기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중앙으로 배치되도록 수평이동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는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에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적재한 채로 지정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상승하여 입차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주차 구조물(1)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어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돌발사태에 대응하기 위하여 관리자가 스마트폰을 통하여 주차 시스템의 현황을 파악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시스템 제어부(70)가 입차되는 차량 기준으로 주차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출차 대상 차량이 적재된 팔레트(300)를 출차용 팔레트(300)로 칭하고, 입차 대상 차량이 적재될 팔레트는 입차용 팔레트(300-In)로 칭한다. 팔레트 이송장치(100)에는 수평 이송유닛(120)이 상·하단의 2단으로 구성되고, 상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 하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은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으로 칭한다.
시스템 제어부(70)는,
(a) 턴테이블(53)의 상단에 배치된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차량이 적재되는 단계,
(b)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되도록 배치시키는 단계,
(c) 주차대기구역(30)과 상기 리프트 구역(10) 사이에 설치된 격벽(60)을 개방시키는 단계,
(d)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적재시키는 단계,
(e)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선출(選出)하여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배치시키는 단계,
(f)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상승하여 지정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도착할 경우 상기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지정된 주차실(21)로 배치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시키는 단계로 주차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b)단계와 (c)단계는 동시에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70)가 출차되는 차량 기준으로 주차 시스템을 제어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시스템 제어부(70)는,
(a) 출차용 팔레트(300)가 보관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팔레트 이송장치(100)를 상승시키는 단계,
(b)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상기 출차용 팔레트(300)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로 적재시키는 단계,
(c)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하강하여 지상층까지 도착할 경우 상기 상단 수평 이송유닛(120)이 전개되어 상기 출차용 팔레트(300)를 턴테이블(53)에 적재시키는 단계로 주차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내지 (c) 단계를 진행하는 동안 시스템 제어부(70)는 주차대기구역(30)의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턴테이블(53)이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 배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c)단계에서 턴테이블(53)이 리프트 구역(10)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므로, 수평 이송유닛(120)이 상기 출차용 팔레트(300)를 턴테이블(53)로 적재할 때 이동거리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70)는 상기 출차용 팔레트(300)를 적재한 턴테이블(53)이 주차대기구역(30)의 중앙부인 소정의 출차위치에 도착한 경우, 턴테이블(53)을 180도 회전시켜 차량의 정면이 출입문(80) 방향으로 향하게 하여 출차에 용이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위의 (c) 단계에서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입차용 팔레트(300-In)가 이미 배치되어 있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70)는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를 턴테이블(53)의 상단면과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의 상단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할 때까지 하강한 뒤 정지시킬 수 있다. 그 뒤에, 상기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하단 수평 이송유닛(120)에 수용하도록 제어하여, 턴테이블(53)의 상단면이 비워짐에 따라 출차용 팔레트(300)를 적재할 수 있게 된다.
정리하자면,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다단으로 구비된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은 입차용 팔레트(300-In) 또는 출차용 팔레트(300)를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은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 또는 위와 같이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배치된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은 연속적으로 차량이 입차될 경우, 미리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여분의 팔레트(300)를 선출하여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 이송유닛(120)이 4단으로 구성된 경우,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제외하고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3개의 수평 이송유닛(120)에 미리 여분의 팔레트(300)를 보관함으로써 연속적으로 3대의 차량이 입차하는 동안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팔레트를 선출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어 더욱 신속하게 입차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입출차는 주로 출퇴근시간 등 일부 시간에 집중되어 이루어지므로,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기입력된 처리신호에 의하여 차량의 입출차 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유휴시간 동안 상기 주차 구조물(1) 내에서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주차실(21)의 팔레트(300)를 자동으로 회수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회수한 팔레트(300)를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로 이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수평 이송유닛(120)이 복수 개 설치된 경우 한번에 여러개의 팔레트(300)를 수거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에는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도 팔레트(300)의 회수에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상세하게 살펴보았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위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에서 수정 및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와 같은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1 : 주차 구조물
10 : 리프트 구역
20 : 주차구역
20a : 좌측 주차구역 20b : 우측 주차구역
21 : 주차실 22 : 가이드 레일
23 : 수용구
30 : 주차대기구역
40 : 지하공간
50 : 피트(PIT) 설비
51 : 피트 레일
52 : 지층 레일
52a : 수평부 52b : 연장부
53 : 턴테이블 54 : 피트 롤러
55 : 수평 플레이트 56 : 지층 롤러
60 : 격벽
70 : 시스템 제어부
80 : 출입문
100 : 팔레트 이송장치
110 : 본체 프레임
120 : 수평 이송유닛
121 : 수평 이송 세그먼트 122 : 파지부
123 : 상단 레크 124 : 상단 피니언 기어
125 : 하단 레크 126 : 하단 피니언 기어
127 : 전달 기어
130 : 수평 프레임
200 : 팔레트 보관부
210 : 보관 데크
300 : 팔레트
300-In : 입차용 팔레트 300-Storage : 보관용 팔레트
310 : 수평 롤러 320 : 피수용구

Claims (10)

  1. 팔레트(300);
    평면상 중앙의 리프트 구역(10)을 중심으로 양측이 각각 주차구역(20)으로 구획되고, 상기 주차구역(20)은 주차실(21)이 복층으로 형성된 주차 구조물(1);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구비되고 수직 이송수단에 의하여 상하이동되는 팔레트 이송장치(100); 및
    상기 주차 구조물(1)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팔레트(300)를 수용하는 팔레트 보관부(2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2. 제1항에서,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는,
    본체 프레임(110); 및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하여 양측방향으로 전개 또는 회수되는 수평 이송유닛(120); 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10)의 하부에 2개 이상이 상하배치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3. 제2항에서,
    상기 수평 이송유닛(120)은, 상기 팔레트(300)의 양 측단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파지(把持)부(12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4. 제1항에서,
    상기 팔레트(300)의 전·후단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팔레트(30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수평 롤러(310); 및
    상기 주차실(21)의 하부에 상기 수평 롤러(3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가이드 레일(2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5. 제4항에서,
    상기 수평 롤러(310)의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한 측 이상에 구비된 피수용구(320); 및
    상기 가이드 레일(22)의 전면 또는 후면 중 어느 한 면에서 상기 피수용구(320)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피수용구(320)와 계합하도록 형성된 수용구(2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주차 구조물(1)의 1층에는 상기 리프트 구역(10) 일 측의 주차구역(20)이 주차대기구역(30)으로 대체 배치되고,
    상기 주차대기구역(30) 하부에는 지하공간(40)에 형성된 피트(PIT) 설비(50)가 구비되며,
    상기 피트 설비(50)는,
    상기 지하공간(40) 바닥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피트 레일(51);
    상기 지하공간(40) 상부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부(52a)와 상기 수평부(52a)에서 상기 지하공간(40)의 바닥면까지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52b)를 포함하여 구성된 지층 레일(52);
    상단면이 상기 지층 레일(52)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팔레트(300)를 적재한 채로 회전가능 하도록 구성된 턴테이블(53);
    상기 턴테이블(53)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피트 레일(51)을 따라 주행하여 상기 턴테이블(53)을 좌우로 이동시키는 피트 롤러(54);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면에 측방으로 결합되고, 하단에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의해 상기 지층 레일(52)을 따라 구동하는 지층 롤러(56)가 구비된 수평 플레이트(55); 를 포함하며,
    상기 턴테이블(53)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 플레이트(55)가 상기 피트의 상부를 커버하여 상기 1층의 주차대기구역(30)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7. 제6항에서,
    상기 수평 플레이트(55)는,
    나란히 배치된 다수개의 널판이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턴테이블(53)이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근접하도록 이동할 경우 최외측 널판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지층 레일(52)의 연장부(52b)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8. 제6항에서,
    상기 리프트 구역(10)과 상기 주차대기구역(30) 사이에 상하 개폐식의 격벽(60); 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9. 제6항에서,
    시스템 제어부(7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배치된 입차용 팔레트(300-In)에 차량이 적재되면,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리프트 구역(10)의 일 측에 인접하도록 배치하고,
    상기 리프트 구역(10)에 구비된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의 수평 이송유닛(120) 중 최상단 외의 단에 위치한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에서 선출(選出)한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상기 턴테이블(53)의 상단에 적재하고,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상승하여 지정된 주차실(21)이 위치한 주차층까지 도착할 경우 상기 최상단의 수평 이송유닛(120)을 전개하여 차량이 적재된 상기 입차용 팔레트(300-In)를 지정된 주차실(21)로 배치하고,
    상기 턴테이블(53)을 수평이동시켜 상기 보관용 팔레트(300-Storage)를 지정된 위치에 배치하는 것으로 입차 과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10. 제9항에서,
    상기 시스템 제어부(70)는,
    유휴시간 동안 상기 팔레트 이송장치(100)가 차량이 입고되지 않은 주차실(21)의 팔레트(300)를 회수하여 상기 팔레트 보관부(200)로 이송하도록 팔레트(300) 회수 과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KR1020220021887A 2022-02-21 2022-02-21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KR20230125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87A KR20230125377A (ko) 2022-02-21 2022-02-21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1887A KR20230125377A (ko) 2022-02-21 2022-02-21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5377A true KR20230125377A (ko) 2023-08-29

Family

ID=87802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1887A KR20230125377A (ko) 2022-02-21 2022-02-21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25377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63B1 (ko) 1997-08-14 1999-10-15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용 케이지의 파렛트 고정장치
KR101080016B1 (ko) 2008-02-19 2011-11-0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계식 주차장
KR101785325B1 (ko) 2016-11-04 2017-10-17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추락 방지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63B1 (ko) 1997-08-14 1999-10-15 이종수 평면왕복식 주차설비용 케이지의 파렛트 고정장치
KR101080016B1 (ko) 2008-02-19 2011-11-04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기계식 주차장
KR101785325B1 (ko) 2016-11-04 2017-10-17 동양메닉스 주식회사 기계식 주차설비의 파렛트 추락 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85073C (en) Robotic parking device and handling method
WO2006086348A2 (en) Automated parking garage
EP0386170B1 (en) A multistory automobile parking facility
JP2016065436A (ja) 機械式駐車設備
KR20190052807A (ko) 리프트형 차량 주차대를 구비한 자동화 주차장
KR20230125377A (ko) 팔레트 공급-회수식 주차 시스템
KR102623229B1 (ko) 캐리어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퍼즐식 주차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2606510B1 (ko) 팔레트 운반 시스템
JP3011804B2 (ja) 中間乗入型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329099B2 (ja) 駐車装置
JP2679750B2 (ja) 立体駐車場
JP7214193B2 (ja) 自動運転車用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5469431B2 (ja) 機械式駐車設備及びその車両入出庫方法
JP279001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等
JP6679217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2578010Y2 (ja) 移送装置を具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JP4329100B2 (ja) 駐車塔の昇降機
RU2109118C1 (ru)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гараж-автостоянка
JPH09100646A (ja) 格納システム
RU42253U1 (ru)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ярусная автостоянка
JP2001032560A (ja) 上下一体化した駐車棚を設けた駐車装置
JP2004211342A (ja) トレー式機械式駐車装置の自動車の乗入部
JP2003097078A (ja) 自動駐車場装置及びパレットの支持・移動構造
JPH03100282A (ja) 立体駐車装置
JPH07324513A (ja) 立体駐車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