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27307A1 - 트레이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트레이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27307A1
WO2023027307A1 PCT/KR2022/008297 KR2022008297W WO2023027307A1 WO 2023027307 A1 WO2023027307 A1 WO 2023027307A1 KR 2022008297 W KR2022008297 W KR 2022008297W WO 2023027307 A1 WO2023027307 A1 WO 202302730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ray
area
trays
control unit
optical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829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완해
최승근
Original Assignee
최완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완해 filed Critical 최완해
Priority to CN202280057866.9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7916028A/zh
Publication of WO202302730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2730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07C5/38Collecting or arranging articles in groups

Landscapes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관리 과정을 진행할 복수의 트레이를 배치하는 트레이 준비 영역, 상기 트레이 준비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각각 광학적으로 검사하도록 형성된 광학 검사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그룹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복수의 배치 영역을 갖는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를 진행한 후에 상기 분류 제어부가 분류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상기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트레이 선별 시스템
본 발명은 트레이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 발전, 특히 전기 및 전자 산업의 기술 발전에 따라 다양한 전기 및 전자 부품이 제조 및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자제품의 사용 범위 및 능력이 향상함에 따라 필요한 기능들이 증가되고 이를 위하여 사용되는 부품의 개수 및 종류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이러한 전자 부품 등의 이동 등 취급을 용이하게 하도록 복수의 전자 부품을 배치하는 트레이를 사용한다.
전자 부품의 개수 및 종류의 다양화에 따라 이를 배치하는 트레이의 종류도 다양하게 결정된다.
이러한 트레이는 전자 부품을 배치한 상태 또는 이미 사용 후 취급의 관리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예를들면 많은 전자 부품 제조, 취급 등을 위하여 트레이를 재활용할 수 있고, 이러한 재활용을 위한 세정 기타 복수의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이 때에 상이한 종류의 트레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구체적 예를들어 트레이 재활용을 위한 트레이 종류별 선별 등의 작업을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트레이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하고, 트레이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 이상의 관리 과정을 진행할 복수의 트레이를 배치하는 트레이 준비 영역, 상기 트레이 준비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각각 광학적으로 검사하도록 형성된 광학 검사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그룹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복수의 배치 영역을 갖는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를 진행한 후에 상기 분류 제어부가 분류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상기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 검사 영역은 서로 구별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이한 영역을 검사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광학 검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제어부는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트레이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트레이 정보를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와 비교하는 매칭 제어부 및 상기 매칭 제어부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류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판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복수의 배치 영역은 각각, 복수의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트레이 수납 영역 및 상기 트레이 수납 영역으로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형성된 운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제어부는 복수의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은 트레이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향상하고, 트레이 손상이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광학 검사 영역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류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운동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이송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준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광학 검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의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제1 받침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다른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얼라인 부재를 예시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1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의 이동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9는 도 17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트레이 선별 시스템(100)는 트레이 준비 영역(110), 광학 검사 영역(120), 분류 제어부(130),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170) 및 이송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레이 준비 영역(110)은 하나 이상의 관리 과정을 진행할 복수의 트레이를 배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데, 예를들면 전자 부품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도록 복수의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는 복수의 반도체 부품을 배치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트레이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일 방향의 길이 및 이와 교차하는 방향의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트레이 정보가 표시되어 있고, 예를들면 트레이 종류, 씨리얼 번호, 제조사, 재질 또는 기타 다양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추후 이러한 트레이 정보는 트레이 분류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한번 사용한 트레이는 세척 등의 과정을 거쳐 재활용할 수 있는데, 이 때 복수 개의 트레이를 한꺼번에 모아 세척 등의 과정을 거칠 수 있고, 이러한 과정의 편의성을 위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정보대로 선별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트레이 재질, 트레이 제조 회사 기타 정보에 따라 선별한 후에 후속의 세척, 재포장 및 출하 등의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는 복수의 트레이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트레이가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적층된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복수의 적층된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가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 배치되는 복수의 트레이는 다양한 종류일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반도체 부품과 같은 전자 부품을 배치한 채 하나 이상의 공정 또는 이동 과정을 진행한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반도체 부품과 같은 전자 부품을 제거한 상태의 트레이들이 배치될 수 있고, 이러한 트레이는 추후 하나 이상의 처리 과정을 통하여 재활용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폐기 처리 과정을 진행할 수도 있다.
광학 검사 영역(120)은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각각 광학적으로 검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학 검사 영역(120)은 트레이 준비 영역(110)과 구별된 영역일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이 준비 영역(110)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광학 검사 영역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광학 검사 영역(120')은 이송 부재(121') 및 광학 검사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부재(121')는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 배치된 트레이를 광학 검사 영역(120')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이송 부재(121')는 컨베이어와 같은 연속 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송 부재(121')는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광학 검사 영역(120')으로 이동하도록 한 개의 트레이를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로서 트레이 준비 영역(110)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순차적으로 인출하는 인출 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트레이 중 최하측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인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학 검사부(125')는 광학 검사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트레이를 검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학 검사를 통하여 트레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의 일측 또는 양측에 표시된 트레이 정보를 확인하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학 검사부(125')는 OCR(optical character reader) 타입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광학 검사부(125')는 복수의 서로 구별된 광학 검사 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로 이격된 제1 광학 검사 부재(125A')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125B')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 광학 검사 부재(125A')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125B')는 일 트레이의 양측,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표시된 트레이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트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분류 제어부(130)는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하나 이상의 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광학 검사 영역(120 또는 120')을 통하여 트레이 각각의 정보를 확인하고 획득할 수 있고, 분류 제어부(130)는 이러한 트레이 정보를 분석하여 각각의 트레이를 분류할 수 있다. 예를들면 각각의 트레이는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으로 분류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분류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분류 제어부(130')는 정보 확인부(131'), 매칭 제어부(132') 또는 판단 제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 확인부(131')는 광학 검사 영역에서 광학적으로 획득한 트레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확인된 정보가 분류에 적합하지 않은 정보에 대응될 경우 광학 검사 영역을 통하여 재검사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매칭 제어부(132')는 확인된 트레이 정보를 미리 설정된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와 비교할 수 있다. 예를들면 확인된 트레이 정보를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류 정보의 각각과 비교할 수 있다.
판단 제어부(133')는 확인된 트레이 정보가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류 정보 중 어느 것에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고, 복수의 분류 정보 중 가능 동일성 또는 유사성이 높은 것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설정된 판단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광학 감사 영역을 통하여 재검사를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트레이 정보가 파악 용이하지 않은 것으로서 폐기 처리 트레이로 분류하거나, 관리의 범위를 벗어나는 관리 제외 트레이로 분류할 수도 있다.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170)는 상기 복수의 그룹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170)은 복수의 배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배치 영역은 각각 상기 트레이 정보에 따라 동일한 분류 정보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170')은 트레이 수납 영역(171') 및 운동 제어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 영역(171')는 복수의 배치 영역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트레이가 적층된 형태로 배치되도록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운동 제어부(172')는 복수의 배치 영역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운동 제어부(172')를 통하여 트레이를 트레이 수납 영역(171')으로 이송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운동 제어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운동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운동 제어부(172")는 고정 제어부(172A"), 얼라인 제어부(172B") 및 이동 제어부(172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제어부(172A")는 광학 검사 영역(120 또는 120')을 통하여 검사를 진행하고 나서 분류 제어부(130 또는 130')를 통한 분류 작업이 진행된 후에 이동된 트레이를 고정 또는 이동을 위한 지지를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이를 일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의 하면 또는 양측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제어부(172A")는 적어도 트레이가 상승 운동 시 아래로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감소 또는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얼라인 제어부(172B")는 트레이를 배치 시, 예를들면 트레이 수납 영역(171')에 배치 시에 트레이 수납 영역(171')를 벗어나거나 트레이 수납 영역(171')에 정확히 투입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등의 수납 불량을 감소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를 일면 또는 양측면에서 설정 시간 동안 지지 또는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 제어부(172A")가 지지하지 않는 영역에 대하여 얼라인 제어부(172B")가 힘을 가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동 제어부(172C")를 통하여 트레이가 트레이 수납 영역(171')에 이동될 수 있다. 예를들면 고정 제어부(172A")를 통하여 트레이를 안정적 상태를 유지한 후에 얼라인 제어부(172B")를 통하여 트레이 수납 영역(171')에 대응되는 위치를 설정한 후에 이동 제어부(172C")를 통하여 트레이 수납 영역(171')에 이동되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이동 제어부(172C")는 일 방향으로 트레이를 이동, 예를들면 적어도 트레이가 상승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송 제어부(150)는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를 진행한 후에 상기 분류 제어부가 분류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상기 분류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복수의 트레이를 일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한 개씩 이송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이송 제어부의 선택적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송 제어부(150')는 방향 이동 제어부(151'), 연속 이동 제어부(152') 및 정지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 이동 제어부(151')는 적어도 광학 검사 영역으로부터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으로 트레이를 이동할 수 있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이 준비 영역에서 광학 검사 영역으로의 트레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연속 이동 제어부(152')는 복수의 트레이가 한 개씩 또는 복수 개씩 순차적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컨베이어 타입의 운동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정지 제어부(153')는 원하는 영역에서 트레이가 정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복수의 구획 영역 중 각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트레이가 이동 중 정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트레이를 준비할 수 있고, 예를들면 재활용을 위하여 처리 전, 예를들면 세정 단계를 진행하기 전의 종류에 상관없이 적재한 형태의 트레이들을 준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광학적 검사를 용이하게 하고, 이송 부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한 개씩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 이러한 검사 후 트레이 정보를 획득하여 트레이 정보의 설정 조건에 따라 트레이들을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으로 각각 분류할 수 있다. 이러한 분류후 분류된 그룹이 위치하는 곳, 예를들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일 배치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이송 제어부를 이용하여 트레이를 대응된 배치 영역으로 용이하게 이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이한트레이 정보를 갖는 복수의 트레이들을 한 곳에 일괄적으로 준비하고 나서 검사, 정보 확인 및 이송 과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각 트레이 정보 대로 구별된 공간, 즉 복수의 배치 영역을 갖는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이 재활용 또는 기타 후처리 작업, 예를들면 트레이 세척 작업 등에 있어서 같은 트레이 정보의 트레이들끼리 일괄적으로 처리 작업을 하여 트레이를 재활용 기타 트레이 관리에 있어 편의성과 정밀성을 용이하게 향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트레이 선별 시스템(1000)는 트레이 준비 영역(PTRA), 광학 검사 영역(OVR),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 및 이송 제어부(BCU)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트레이 준비 영역(PTRA), 광학 검사 영역(OVR) 및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는 일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별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송 제어부(BCU)는 트레이 준비 영역(PTRA), 광학 검사 영역(OVR) 및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과 일 영역에서 중첩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분리 영역(VR)을 기준으로 이송 제어부(BCU)는 트레이 준비 영역(PTRA), 광학 검사 영역(OVR) 및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과 이송 제어부(BCU)는 구별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분리 영역(VR)의 상부에 트레이 준비 영역(PTRA), 광학 검사 영역(OVR) 및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이 배치되고 이송 제어부(BCU)는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도시하지 않았으나 후술하는 것과 같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의 각 영역(TRA1 내지 TRA8)에 대응되는 이동 모듈의 적어도 일 영역은 분리 영역(VR)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트레이 준비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트레이 준비 영역(PTRA)은 복수의 트레이(PTR)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트레이(PTR)가 적층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PTR)는 아직 분류 작업이 진행되지 않은 것으로 일괄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하나 이상의 지지 부재(GB)가 복수의 적층된 트레이(PTR)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각 모서리에 총 4개의 지지 부재(GB)가 배치되어 있다. 효과적인 배치 또는 효율적 구성을 위하여 지지 부재(GB)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지지 부재(GB)는 복수의 트레이(PTR)의 적층 방향을 기준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지지 부재(GB)를 일측 또는 양측에서 지지하도록 보강부(SAB1, SAB2)가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일측의 제1 보강부(SAB1) 및 이와 대향하는 다른 측의 제2 보강부(SAB2)가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 준비 영역(PTRA)은 분리 영역(VR)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분리 영역(VR)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플레이트와 유사한 격벽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 영역(VR)에 트레이 준비 영역(PTRA)에 대응된 트레이 준비 통과 영역(HTRA)이 배치될 수 있다. 준비 통과 영역(HTRA)을 통하여 하나 이상의 이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하나 이상의 트레이가 트레이 준비 영역(PTRA)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복수의 트레이(PTR)가 순차적으로 트레이 준비 영역(PTRA)으로부터 준비 통과 영역(HTRA)를 통하여 하강한 후에 이송 제어부(BCU)에 의하여 광학 검사 영역(OVR)에서의 검사를 위하여 이동될 수 있다.
도 9는 도 7의 광학 검사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광학 검사 영역(OVR)은 서로 이격된 제1 광학 검사 부재(OCV1)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OCV2)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각각 일 트레이의 양측, 구체적 예로서 트레이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양측에 대응되도록 배치되어 트레이의 가장자리에 인접한 영역에 표시된 트레이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하고 트레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광학 검사 영역(OVR)에 대응되도록 분리 영역(VR)의 일 영역에 검사 윈도우(HOV)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광학 검사를 위하여 검사 윈도우(HOV)는 광이 투과되는 영역일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개구 형태일 수 있다. 검사 윈도우(HOV)를 통하여 분리 영역(VR)의 하부에 배치된 트레이에 대하여 제1 광학 검사 부재(OCV1)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OCV2)가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이 때, 트레이의 각각에 대하여 상승 운동 없이 분리 영역(VR)의 하부에 배치된 채 검사를 진행하여 검사의 편의성을 진행하고 트레이가 상승 없이 연속적으로 광학 검사를 진행하게 되어 검사의 정밀성과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제1 광학 검사 부재(OCV1)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OCV2)가 분리 영역(VR)을 통하여 하부의 트레이와 구별된 공간에 배치되므로 오염이나 파손을 감소할 수 있고, 트레이의 손상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광학 검사 부재(OCV1) 및 제2 광학 검사 부재(OCV2)는 분리 영역(VR)의 상부면과 이격된 곳에 검사를 위한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고, 그 사이에 연결 부재 등이 배치되어 분리 영역(VR)과 연결되고 지지될 수 있다.
도 10은 도 7의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은 복수의 구획된 영역을 포함하고, 예를들면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 제2 트레이 배치 영역(TRA2), 제3 트레이 배치 영역(TRA3), 제4 트레이 배치 영역(TRA4), 제5 트레이 배치 영역(TRA5), 제6 트레이 배치 영역(TRA6), 제7 트레이 배치 영역(TRA7) 및 제8 트레이 배치 영역(TRA8)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배치 영역의 개수(8개)는 하나의 예시적 설명으로서 그보다 적거나 또는 많은 수의 배치 영역이 포함될 수도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 제2 트레이 배치 영역(TRA2), 제3 트레이 배치 영역(TRA3), 제4 트레이 배치 영역(TRA4), 제5 트레이 배치 영역(TRA5), 제6 트레이 배치 영역(TRA6), 제7 트레이 배치 영역(TRA7) 및 제8 트레이 배치 영역(TRA8)은 일 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구별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광학 검사 영역(OVR)에서 광학 검사 확인 후 분류 제어부를 통하여 복수의 트레이 각각에 대한 분류 작업이 끝나면 분류된 정보 대로 트레이는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 제2 트레이 배치 영역(TRA2), 제3 트레이 배치 영역(TRA3), 제4 트레이 배치 영역(TRA4), 제5 트레이 배치 영역(TRA5), 제6 트레이 배치 영역(TRA6), 제7 트레이 배치 영역(TRA7) 및 제8 트레이 배치 영역(TRA8) 중 하나의 영역으로 이송될 수 있고, 이송 제어부(BCU)를 통하여 이송될 수 있다.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 제2 트레이 배치 영역(TRA2), 제3 트레이 배치 영역(TRA3), 제4 트레이 배치 영역(TRA4), 제5 트레이 배치 영역(TRA5), 제6 트레이 배치 영역(TRA6), 제7 트레이 배치 영역(TRA7) 및 제8 트레이 배치 영역(TRA8)의 각각은 동일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일부 필요에 따라 변형 설계될 수 있는 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하고, 구체적 예로서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을 예시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도 10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0과 다르게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트레이를 수납하기 위한 공간을 유지하도록 복수의 지지 부재(GB)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도 10의 이송 제어부(BCU)는 다양한 방식으로 복수의 트레이를 이송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로 이송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컨베이어 타입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이송 가이드 부재, 구체적 예로서 제1 이송 가이드 부재(GCV1) 및 제2 이송 가이드 부재(GCV2)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이송 가이드 부재(GCV1) 및 제2 이송 가이드 부재(GCV2)의 길이 방향(예를들면 도면의 X축 방향)을 따라 트레이가 이송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d가 제1 이송 가이드 부재(GCV1) 및 제2 이송 가이드 부재(GCV2) 상에 배치되고, 배치된 채 일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되어 트레이를 이송할 수 있다.
복수의 트레이가 연속적으로 일 방향(도면의 X축 방향)으로 이동중에 해당 위치, 즉 분류 제어부의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영역에 도달하면 이송은 정지될 수 있다. 예를들면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의 제1 내지 제8 트레이 배치 영역(TRA1 내지 TRA8) 중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결정된 배치 영역에 오면 정지한다.
여기서는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을 예로 들어 설명하다.
판단 결과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로 분류된 트레이가 이송 중에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대응되는 영역에 도달하면, 이송은 일단 정지되고, 분리 영역(VR)의 하부에 있던 트레이는 이동 모듈(DRV)을 통하여 상승 운동하여 분리 영역(VR)의 상부에 수납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지지 부재(GB)로 정의되는 공간에 아래부터 적층되는 형태로 수납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받침 부재(STP1 내지 STP4)를 이용하여 트레이가 고정되어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복수의 지지 부재(GB)로 정의되는 공간에 아래부터 적층되는 형태로 수납된 후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더 구체적 내용은 후술한다.
이동 모듈(DRV)을 통하여 트레이를 운동 시 트레이는 고정 제어부에 배치된 채 상승 운동할 수 있고,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트레이는 이동 모듈(DRV)을 통하여 운동하기 전에 얼라인 부재(AG1, AG2)를 통하여 얼라인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개략적인 확대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분리 영역(VR)에는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대응된 제1 개구부(HR1)가 형성될 수 있고, 적어도 일 트레이보다 큰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받침 부재(STP1 내지 STP4)는 서로 구별된 영역에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받침 부재(STP1), 제2 받침 부재(STP2), 제3 받침 부재(STP3) 및 제4 받침 부재(STP4)가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제1 받침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받침 부재(STP1)는 받침 베이스(STPB), 받침 운동부(STPM)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베이스(STPB)는 예를들면 분리 영역(VR)의 일 영역에 고정될 수 있고, 받침 운동부(STPM)은 받침 베이스(STPB)에 연결된 채 일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운동축(AXT)을 기준으로 각 운동할 수 있다.
이 때, 받침 운동부(STPM)은 일 방향, 구체적 예로서 상승 운동 방향(DU)으로 각 운동할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인 하강 운동 방향(DD)로는 각 운동 불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이는 상승 시 받침 운동부(STPM)가 함께 운동하여 트레이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상승 후에는 받침 운동부(STPM)에 의하여 지지되어 트레이가 하부로 떨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효과적인 운동 및 지지를 위하여 받침 운동부(STPM)는 트레이가 상승 시 대향하는 면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고, 트레이가 상승 후에 고정시 고정되는 면이 평탄면이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받침 부재(STP2), 제3 받침 부재(STP3) 및 제4 받침 부재(STP4)도 제1 받침 부재(STP1)와 이격된 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트레이를 균형감 있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이를 아래에서부터 위를 향하도록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적층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다른 방향에서 본 예시적인 사시도이다.
예를들면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분리 영역(VR)의 하부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분리 영역(VR)의 일측, 예를들면 하부에 복수의 얼라인 부재(AG1, AG2)가 배치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제1 얼라인 부재(AG1) 및 제2 얼라인 부재(AG2)가 양측에 배치될 수 이다
제1 얼라인 부재(AG1) 및 제2 얼라인 부재(AG2)를 통하여 트레이를 얼라인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트레이를 안정적으로 상부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의 지지 부재(GB)로 정의되는 수납 영역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동 모듈(DRV)을 통하여 트레이를 운동 시 트레이가 고정 제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얼라인 부재(AG1) 및 제2 얼라인 부재(AG2)가 얼라인 공정을 수행하여 정밀한 트레이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4의 제1 얼라인 부재를 예시적으로 확대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얼라인 부재(AG1)는 일 방향, 예를들면 트레이의 측면을 지지 또는 측면에 접촉하면서 힘을 가하도록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용이한 힘의 전달을 위하여 굴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얼라인 부재(AG1)는 효과적인 운동을 통하여 트레이를 얼라인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제1 얼라인 구동부(AGD1)에 연결된 채 제1 얼라인 구동부(AGD1)를 통하여 제1 얼라인 부재(AG1)가 일 방향, 예를들면 트레이의 측면을 향하는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1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의 이동 모듈(DRV)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예를들면 도 16 내지 도 18은 도 11의 X축 방향으로 본 도면들일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도 16, 도 17 및 도 18은 트레이의 상승 운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우선 도 16을 참고하면 제1 트레이(TR1)이 표시되어 있다. 제1 트레이(TR1)는 복수의 트레이 중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대응되어 수납될 트레이를 가리키는 것일 수 있다. 예를들면 광학 검사 영역의 광학적 검사 및 분류 제어부를 통한 판단 결과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수납될 트레이로 결정된 것이 제1 트레이(TR1)일 수 있다.
제1 트레이(TR1)가 이송 제어부(BCU)를 통하여 이송되어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대응되면 이송 제어부(BCU)의 이송 동작이 정지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대응된 고정 제어부(GTR)에 제1 트레이(TR1)가 대응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스톱퍼(TP1, TP2)가 제1 트레이(TR1)에 대한 접촉을 통하여 제1 트레이(TR1)의 이송을 정지할 수 있고, 이 경우 이송 제어부(BCU)의 다른 부재, 예를들면 운동중인 제1 연속 운동부(RB1) 및 제2 연속 운동부(RB2)는 계속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제1 트레이(TR1)는 고정 제어부(GTR)로 아직 지지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동 모듈(DRV)는 고정 제어부(GTR)를 적어도 일 방향으로 이동, 예를들면 도면 기준으로 상승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모듈(DRV)는 고정 제어부(GTR)과 연결될 수 있다.
이동 모듈(DRV)는 제1 이동 유닛(SCD1) 및 제2 이동 유닛(SCD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SCD1) 및 제2 이동 유닛(SCD2)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고, 각각의 구동으로 고정 제어부(GTR)의 상승 운동의 높이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SCD1)은 고정 제어부(GTR)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SCD1)은 다양한 형태를 갖고 일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승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이동 유닛(SCD1)은 실린더 운동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압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이동 유닛(SCD1)은 제1 본체부(SB1) 및 이로부터 실린더 운동하는 복수의 운동 부재(SC11, SC12, SC13)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운동 부재(SC11, SC12, SC13) 중 적어도 한 개의 운동 부재, 예를들면 중앙 운동 부재(SC12)는 내부에 제1 본체부(SB1)의 일 영역에서 운동 제한 영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걸림부를 통하여 운동이 제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이동 유닛(SCD1)과 고정 제어부(GTR)의 사이에 제1 연결부(CST)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연결부(CST)를 통하여 제1 이동 유닛(SCD1)의 구동력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고정 제어부(GTR)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연결부(CST)는 복수의 운동 부재(SC11, SC12, SC13)와 연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본체부(SB1)로부터 제1 연결부(CST)간의 높이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다. 도 16에는 제1A 높이(H1A)를 가리키고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운동 부재(SC11, SC12, SC13)에 공통으로 연결된 연결바(BBS)가 형성될 수 있고, 연결바(BBS)가 제1 연결부(CST)에 연결될 수 있고, 추가적으로 연결바(BBS)는 한 개 이상의 층, 예를들면 도면에 도시한 대로 복수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운동 부재(SC11, SC12, SC13)의 운동시 이러한 운동의 힘을 제1 연결부(CST)에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고도 변화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SCD2)은 제1 이동 유닛(SCD1)과 연결될 수 있고, 제1 이동 유닛(SCD1)의 방향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1 이동 유닛(SCD1)에 연결된 고정 제어부(GTR)의 상승 운동의 높이를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이동 유닛(SCD2)과 제1 이동 유닛(SCD1)의 사이에 제2 연결부(CSS)가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부(CSS)를 통하여 제2 이동 유닛(SCD2)의 구동력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제1 이동 유닛(SCD1)에 전달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동력은 고정 제어부(GTR)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SCD2)은 다양한 형태를 갖고 일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또한 그 반대 방향으로 운동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승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이동 유닛(SCD2)은 실린더 운동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유압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SCD2)은 제2 본체부(SB2) 및 이로부터 실린더 운동하는 제2 운동 부재(SC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운동 부재(SC2)의 주변에 하나 이상의 연장 부재(DVV)가 배치되어 운동 부재(SC2)의 운동 시 함께 운동하여 운동 시 구동력의 균형감 있는 전달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제2 운동 부재(SC2)는 제2 연결부(CSS)에 연결된 채 제2 본체부(SB2)로부터 상승 및 하강의 실린더 운동을 할 수 있다. 제2 운동 부재(SC2)의 높이 또는 길이는 용이하게 제어될 수 있고, 이러한 길이 또는 높이는 제2 본체부(SB2)의 상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CSS)까지의 간격일 수 있다. 도 16에는 제2A 높이(H2A)를 가리키고 있다.
연장 부재(DVV)는 제2 운동 부재(SC2)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연결부(CSS)에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의 연장 부재(DVV)는 연장 지지부(PDV)에 고정될 수 있고, 복수 개의 연장 부재(DVV)는 연장 지지부(PDV)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운동 시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연장 지지부(PDV)는 연장 부재(DVV)와 함께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이송 제어부, 예를들면 제1 이송 가이드 부재(GCV1) 및 제2 이송 가이드 부재(GCV2)는 제2 플레이트부(PLT2)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이동 유닛(SCD1)은 제2 플레이트부(PLT2)의 제2 관통부(HPL2, 후술할 도 19 참조)를 관통하여 정밀하고 안정적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플레이트부(PLT2)와 이격되도록 제1 플레이트부(PLT1)가 배치될 수 있고 이들의 사이에는 복수 개의 스페이서부(SPS)가 배치되어 고정되고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제2 이동 유닛(SCD2)은 제1 플레이트부(PLT1)를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운동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연장 부재(DVV)는 제1 플레이트부(PLT1)를 관통하도록 배치된 채 운동할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복수 개의 연장 부재(DVV)와 제1 플레이트부(PLT1)의 사이에 슬리브(GDV)가 배치되어 복수 개의 연장 부재(DVV)가 슬리브(GDV)를 관통하도록 운동하여 운동의 효율성과 각 부재들의 표면 보호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7을 참고하면 고정 제어부(GTR)가 제1 트레이(TR1)를 지지하도록 상승 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이동 유닛(SCD1)이 상승 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제1 본체부(SB1)로부터 제1 연결부(CST)간의 높이가 제1B 높이(H1B)를 가리키고 있고, 도 16의 제1A 높이(H1A)보다 높은 지점을 가리키도록 제1 연결부(CST)의 고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고정 제어부(GTR)의 고도도 높아져 이에 따라 고정 제어부(GTR)의 상면이 제1 트레이(TR1)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제1 트레이(TR1)는 제1 이송 가이드 부재(GCV1) 및 제2 이송 가이드 부재(GCV2)와 이격되고 또한 제1 연속 운동부(RB1) 및 제2 연속 운동부(RB2)와 이격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 18을 참고하면 고정 제어부(GTR)가 제1 트레이(TR1)를 지지한 채 도 17보다 더 상승 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들면 분리 영역(VR)의 상부로 상승하여 받침 부재(STP1 내지 STP4)를 밀고 올라와 지지 부재(GB)의 내측으로 정의되는 수납 영역에 대응되도록 상승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상승 운동 전에 얼라인 부재(AG1, AG2)를 통한 얼라인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이동 유닛(SCD2)이 상승 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고, 제2 운동 부재(SC2)의 높이 또는 길이, 또는 제2 본체부(SB2)의 상단으로부터 제2 연결부(CSS)까지의 간격은 제2B 높이(H2B)를 가리키고 있고, 도 17의 제2A 높이(H2A)보다 높은 지점을 가리키도록 제2 연결부(CSS)의 고도가 높아지고 이에 따라 제1 이동 유닛(SCD1) 및 이에 연결된 고정 제어부(GTR)의 고도도 높아져 이에 따라 고정 제어부(GTR)에 지지된 제1 트레이(TR1)의 고도도 상승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러한 상승 운동 후에 다시 제1 이동 유닛(SCD1) 및 제2 이동 유닛(SCD2)의 제어를 통하여 고정 제어부(GTR)를 하강 운동하도록 하면 제1 트레이(TR1)도 함께 하강 운동하다가 받침 부재(STP1 내지 STP4)에 걸리게 되어 하강 운동하지 않고, 고정 제어부(GTR)만 하강 운동할 수 있다. 즉, 고정 제어부(GTR)는 받침 부재(STP1 내지 STP4)와 이격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하강 시 제1 트레이(TR1) 없이 빈 상태로 용이하게 하강할 수 있고, 후속의 제1 트레이(TR1)로 결정된 트레이들을 순차적으로 상승 운동하도록 하여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에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아래로부터 위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적층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7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9는 지지 부재(GB), 분리 영역(VR) 등은 생략하여 도시하고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고정 제어부(GTR)는 제1 트레이(TR1)를 지지한 채 상승 운동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고정 제어부(GTR)는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 및 이와 대향되는 제2 고정 제어 부재(GTRb)를 포함할 수 있고, 예를들면 각각은 제1 트레이(TR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마주보는 양측을 대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 및 제2 고정 제어 부재(GTRb)는 적어도 제1 트레이(TR1)의 하면을 지지한 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 및 제2 고정 제어 부재(GTRb)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제1 트레이(TR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중심을 포함하는 영역은 고정 제어부(GTR)에 대응됨 없이 하부에 이격 공간이 대응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 및 제2 고정 제어 부재(GTRb) 중 적어도 한 개는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 및 제2 고정 제어 부재(GTRb)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트레이(TR1)에 대한 적어도 일 시점 동안 지지의 특성을 향상할 수 있고, 예비적인 제1 트레이(TR1)의 얼라인 과정을 수행 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는 제1 고정 제어 부재 구동부(DGT)를 통하여 운동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고정 제어 부재 구동부(DGT)는 제1 연결부(CST)상에 배치되고, 제1 고정 제어 부재 구동부(DGT) 상부의 제1 고정 제어 부재 운동부(CSB)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고정 제어 부재 운동부(CSB)가 제1 고정 제어 부재 구동부(DGT)에 연결된 채 제1 고정 제어 부재 구동부(DGT)에 의하여 운동할 수 있고, 제1 고정 제어 부재 운동부(CSB)에 연결된 제1 고정 제어 부재(GTRa)가 제1 고정 제어 부재 운동부(CSB)의 운동 방향을 따라, 일 예로서 일체로 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9를 참조하면 제2 플레이트부(PLT2)는 제2 관통부(HPL2)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제1 이동 유닛(SCD1)을 포함한 상승 운동 부재의 정밀하고 안정적 운동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연장 지지부(PDV)는 그루브(GHP)를 구비할 수 있다. 그루브(GHP)는 제2 본체부(SB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연장 지지부(PDV)의 이동 시 연장 지지부(PDV)와 제2 본체부(SB2)의 간섭을 제한할 수 있고, 예를들면 서로 이격된 구조를 갖도록 그루브(GHP)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의 트레이들의 관리, 예를들면 트레이 배치 영역에의 수납을 위한 부재들을 통하여 정밀한 단계적 운동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들면 컨베이어 타입 등과 같은 이송 부재를 이용하여 일차적으로 이송한 후에 고정 부재의 고정 및 얼라인 부재를 통한 얼라인 후에 상승하여 원하는 수납 위치, 구체적 예로서 복수의 지지 부재에 걸리지 않는 그 사이의 영역에 놓일 수 있다. 이 때, 제1 이동 유닛 및 제2 이동 유닛은 구별되어 구동할 수 있고, 예를들면 순차적 운동을 할 수 있고 이러한 운동에 따라 트레이를 지지, 트레이 상승 운동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운동의 제어의 정밀성을 향상할 수 있고, 고도가 높아지는 주요 단계를 구별된 이동 유닛을 사용하여 불필요한 진동이나 제어 에러 발생을 감소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도면들은 앞서 말한 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한 개의 제1 트레이 배치 영역(TRA1)을 설명한 것이다. 다른 트레이 배치 영역(TRA2 내지 TRA8)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전체는 각각 지지 부재, 고정 제어부, 받침 부재, 얼라인 부재, 제1 이동 유닛 및 제2 이동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원하는 트레이 배치 영역에서의 정밀한 트레이 관리, 고정 및 운동을 통하여 효율적 트레이 분류 수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트레이 선별 시스템(2000)는 복수의 트레이 준비 영역(PTRA1, PTRA 2), 복수의 광학 검사 영역(OVR1, OVR2), 복수의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TRA) 및 복수의 이송 제어부(BCU1, BCU2)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하나의 분리 영역(VR)을 두고 상기 복수의 부재들이 공통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일 방향, 예를들면 일 방향(도면의 X축 방향)을 기준으로 트레이들은 이동하고, 이와 교차하는 방향 또는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트레이 준비 영역(PTRA1, PTRA 2)의 각각이 배치되고 복수의 광학 검사 영역(OVR1, OVR2)의 각각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공간상의 효율성을 확보하면서 동시에 2열로 트레이를 연속적으로 취급하여 트레이 관리 효율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트레이 선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트레이 선별 시스템(3000)은 커버부(CVU)를 포함하다. 커버부(CVU)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트레이 선별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를 보호하는 하우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관리 편의성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측면 윈도우(GD1, GD2)를 개폐 동작을 통하여 동작의 관리 및 추가 공정이나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정면 윈도우(FD) 또는 배면 윈도우(미도시)가 포함될수 있고, 다른 예로서 하부 영역, 예를들면 이송 제어부에 대응된 하측 윈도우(Bb)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트레이 선별 시스템의 다양한 부재들의 오염이나 손상을 감소하고 트레이들 관리 시 청결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의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또는 데이터 처리 등을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방법들, 소프트웨어, 상기 방법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5)

  1. 하나 이상의 관리 과정을 진행할 복수의 트레이를 배치하는 트레이 준비 영역;
    상기 트레이 준비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트레이를 각각 광학적으로 검사하도록 형성된 광학 검사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정보를 통하여 상기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복수의 그룹 중 일 그룹으로 분류하는 분류 제어부;
    상기 복수의 그룹의 각각에 대응되도록 분리된 복수의 배치 영역을 갖는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를 진행한 후에 상기 분류 제어부가 분류한 결과에 따라 복수의 트레이 각각을 상기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이송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검사 영역은 서로 구별되고 상기 트레이의 상이한 영역을 검사하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광학 검사 부재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제어부는 상기 광학 검사 영역에서 검사한 트레이 정보를 확인하는 정보 확인부, 상기 확인된 트레이 정보를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와 비교하는 매칭 제어부 및 상기 매칭 제어부의 비교를 통하여 상기 기준 트레이 분류 정보에 포함된 복수의 분류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는 판단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의 복수의 배치 영역은 각각,
    복수의 트레이를 수납하도록 형성된 트레이 수납 영역 및 상기 트레이 수납 영역으로 트레이를 이송하도록 형성된 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제어부는 복수의 트레이를 순차적으로 연속적으로 상기 트레이 분류 배치 영역으로 이송하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트레이 선별 시스템.
PCT/KR2022/008297 2021-08-25 2022-06-13 트레이 선별 시스템 WO2023027307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80057866.9A CN117916028A (zh) 2021-08-25 2022-06-13 托盘分拣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2493A KR102448602B1 (ko) 2021-08-25 2021-08-25 트레이 선별 시스템
KR10-2021-0112493 2021-08-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7307A1 true WO2023027307A1 (ko) 2023-03-02

Family

ID=8346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8297 WO2023027307A1 (ko) 2021-08-25 2022-06-13 트레이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48602B1 (ko)
CN (1) CN117916028A (ko)
WO (1) WO202302730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8834A (ko) * 2012-08-31 2014-03-10 (주)유텍시스템 사파이어 웨이퍼의 검사 및 분류를 위한 시스템
KR101772849B1 (ko) * 2017-06-30 2017-08-29 주식회사비오엠 트레이 불량검사 장치 및 불량검사 방법
KR101910914B1 (ko) * 2012-07-25 2018-10-24 김장기 Led 모듈 바 분류 장치
KR102108603B1 (ko) * 2016-10-28 2020-05-07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KR20210000330A (ko) * 2013-03-14 2021-01-04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트레이 엔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914B1 (ko) * 2012-07-25 2018-10-24 김장기 Led 모듈 바 분류 장치
KR20140028834A (ko) * 2012-08-31 2014-03-10 (주)유텍시스템 사파이어 웨이퍼의 검사 및 분류를 위한 시스템
KR20210000330A (ko) * 2013-03-14 2021-01-04 브룩스 오토메이션 인코퍼레이티드 트레이를 이송하기 위한 트레이 엔진
KR102108603B1 (ko) * 2016-10-28 2020-05-07 한미반도체 주식회사 렌즈유닛 분류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렌즈유닛 분류 시스템
KR101772849B1 (ko) * 2017-06-30 2017-08-29 주식회사비오엠 트레이 불량검사 장치 및 불량검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30556A (ko) 2023-03-06
KR102448602B1 (ko) 2022-09-29
CN117916028A (zh) 2024-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004793A1 (ko) 대상물 검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대상물 검사방법
WO2018143668A1 (ko) 소자소팅장치
WO2012112010A2 (ko) 약품 자동 입출고 관리 시스템 및 그 약품 자동 입출고 방법
WO2017142312A1 (ko) 소자검사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소자가압툴
WO2019212117A1 (ko) 케미컬 용기 자동이송장치 및 자동이송방법
WO2020027588A1 (ko) 렌즈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WO2020027395A1 (ko) 이차 전지 제조 설비 및 이를 사용한 이차 전지 제조 방법
WO2009096675A2 (en) Carrier board transfer system for handler that supports testing of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arrier board in chamber of handler
WO2023027307A1 (ko) 트레이 선별 시스템
WO2013129742A1 (en) Position sensing method of touch panel and integrated circuit
WO2015037853A1 (ko) 터치패널
WO2020213874A1 (ko) 전자부품 테스트 핸들러
WO2020032466A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WO2020242084A1 (ko) 벤딩 머신
WO2020184859A1 (ko) 반도체 칩을 전사하는 전사 장치 및 방법
WO2020213961A1 (ko) 트레이 이송 장치
WO2017122990A1 (ko) 기판 반송용 로봇
WO2020251287A1 (ko) 전자모듈 핸들러
WO2019172689A1 (ko) 비전검사모듈, 그를 가지는 소자검사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소자검사방법
WO2022010096A1 (ko)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맞춤형 물류 흐름 설계 시스템 및 방법
WO2023106773A1 (ko) 배터리 모듈 조립체의 조립 시스템 및 조립 방법
WO2021054725A1 (ko) 카메라 모듈
WO2020004868A1 (ko) 게이트 밸브 시스템
WO2022010097A1 (ko) 맞춤형 물류흐름 설계 장치 및 방법
KR102189288B1 (ko) 다이 본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6152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