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40206A1 -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40206A1
WO2022240206A1 PCT/KR2022/006785 KR2022006785W WO2022240206A1 WO 2022240206 A1 WO2022240206 A1 WO 2022240206A1 KR 2022006785 W KR2022006785 W KR 2022006785W WO 2022240206 A1 WO2022240206 A1 WO 202224020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extract
liver
acanthopanax
derivative
hydroxycitr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7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수의
김문옥
류형원
오세량
김두영
이재원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055720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154023A/ko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ublication of WO202224020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4020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1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two or more hydroxy groups, e.g. gluco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4Acanthopanax or Eleuther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8Clusiaceae, Hypericaceae or Guttiferae (Hypericum or Mangosteen family), e.g. common St. Johns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6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liver or gallbladder disorders, e.g. hepatoprotective agents, cholagogues, litholytics

Abstract

본 발명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 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본 출원은 2021년 5월 12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061558호, 2022년 5월 4일에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2-0055720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간은 내장기관에서 중요한 대사 작용을 비롯하여 글리코겐 저장, 적혈구 분해, 혈장 단백질 합성 및 해독 작용과 같은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간은 이물질 섭취에 의한 피해를 막는 1차 방어기관이기 때문에 간 기능이 떨어짐으로써 바이러스나 여러 가지 약물 등에 의해 심한 질환을 일으킬 수 있다. 간에 대하여 독성을 가지는 약물들은 간 질환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며 심한 간 질환 중 대략 절반 정도가 약에 의해 발생하며 대부분이 만성적인 간 질환으로 된다.
에탄올(ethanol)은 술의 주성분으로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인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다양하며 광범위하여 그 대사 과정과 독성 발현 특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상기 알콜의 대사 결과, 지방산이 많이 만들어져 간에 지방이 축적되는데 이를 '알콜성 지방간'이라고 한다. 이 알콜성 지방간은 특히 만성 질환으로 진행하는 경우가 많은데, 알콜성 간염이 10-35%에서, 간경변증이 8-20%에서 발생한다고 한다.
한편, 비알콜성 간 손상은 간에 유해할 정도로 인정되는 알콜 섭취 병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간 조직 검사에서 알콜성 간염의 특징적인 소견인 지방성 변화(fatty change, steatosis)와 소엽성간염(lobular hepatitis, steatohepatitis)등을 나타내는 경우를 말한다. 비알콜성 간 질환에 대한 치료의 원칙은, 식사 요법이나 운동요법 등의 생활 습관의 개선이지만,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은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에 있어서는, 간경변 간세포암으로 진전될 가능성이 높은 점에서, 보다 적극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병태 발증진행에 중요하다고 생각되고 있는 산화 스트레스나 인슐린 저항성 등의 개선을 목표로 한 치료도 시도되고 있지만, 충분한 과학적 근거가 확립된 치료법이 없는 것이 현실이다.
국내의 간 기능 개선제로는 커큐민을 주성분으로 한 울금, 실리마린을 주성분으로 한 엉겅퀴과에 속하는 밀크시슬 등은 항산화 비타민과 플라보노이드를 주성분으로 하며, 민들레 뿌리와 헛개나무 열매로 만든 제품들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현재 식약청에서 간 기능 개선 관련 기능성 원료는 헛개나무, 표고버섯 균사체 및 밀크시슬 세 품목으로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다양한 간 질환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면서 부작용이 적은 신규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Chiisanogenin)을 병용하면 각각의 물질을 단독으로 투여할 때와 비교하여 간 기능 개선 효과에 있어서 상승작용(synergic effect)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로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는 인도와 남부 아시아 지역에서 수세기 동안 돼지고기 및 생선의 산미제(souring agent) 및 카레 등의 향신료로 사용되어 왔으며, 국내에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은 '식품공전'에 따라 체중조절용 조제식품에 부원료(최소량 5% 이하를 사용하여야 하나, 1일 섭취량 6 g을 초과할 수 없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국 등 외국에서는 500~4500 ㎎/일의 섭취량 수준에서 식이보충제 또는 식품원료 등으로 판매되고 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섭취는 일부 섭취자에게서 급성 간 독성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어 투여 용량 및 투여 주기에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기도 한다.
한편, 오갈피(Acanthopanacis Cortex)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관목식물로, 잎이 다섯 개로 갈라져 있다. 오갈피의 종류로는 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 HARMS),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et MAX.) SEEM.), 왕가시오갈피 (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KITAGAWA) 등 15종이 한국에 존재하며, 오래 전부터 한방에서는 독성과 부작용이 없다는 상약으로 분류하여 뿌리와 목질부(가지)를 약재로 사용하여 왔고, 잎, 열매 및 꽃도 약용 부위로 사용할 수 있다. 오갈피의 잎에는 치사노사이드 (chiisanoside)가 함유되어 있으며, 뿌리에는 오갈피 배당체인 아칸토사이드 B, D (Acanthoside B, D) 뿐만 아니라 지링긴(sylrgin), 쿠마린 배당체 등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오갈피에는 면역성을 높여주는 수용성 다당체가 함유되어 있다. 오갈피는 맛이 맵고 쓰며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고, 간경, 신경에 작용하여 풍습을 없애고 기를 돋우며 정수를 불러준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오로(오장이 허약하여 생기는 허로병)와 칠상(남자가 허약해서 생기는 일곱 가지 증상)을 보해 주며, 다리를 잘 쓰지 못하는 데에 사용되고, 신체의 기를 높여주고, 정력을 좋게 해주며, 정신을 맑게 하고, 의지력을 높게 하며, 몸이 가벼워지고 늙는 것을 방지하고, 몸 안의 나쁜 피를 맑고 깨끗이 다스려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허리 척추가 쑤시는 통증, 남자 음위증, 낭습, 여자음양증 등의 여러 가지 증상을 치료해준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갈피는 오갈피속(Acanthopanax)의 식물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et MAX.) SEEM.),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 HARMS), 왕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KITAGAWA), 지리산오갈피나무(Acanthopanax chiisanense NAKAI), 섬오갈피나무 (Acanthopanax koreanum NAKAI), 털오갈피나무(Acanthopanax rufinerve NAKAI), 서울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oulense NAKAI), 당오갈피 (Acanthopanax sieboloians) 및 오가나무(Acanthopanax sieboldianum MAKINO)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갈피 추출물은 전술한 오갈피속 식물 단독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et MAX.) SEEM)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꽃, 잎, 뿌리, 열매, 줄기, 뿌리껍질, 줄기껍질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천연으로부터 추출 및 분리하여 수득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로부터 추출한 것이며, 예를 들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의 조추출물,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또는 비극성용매 가용 추출물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로부터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적절한 용매로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기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나, 예를 들어, 정제수, 알코올(메탄올(methanol),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부탄올(butanol) 등을 포함하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acetone), 에테르(ether), 벤젠(benzene), 클로로포름(chloroform),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메틸렌클로라이드(methylene chloride), 헥산(hexane) 및 시클로헥산(cyclohexane) 등의 각종 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v/v) 내지 90%(v/v)의 에탄올(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는 10%, 20%, 30%, 40%, 50%, 60%, 70%, 80% 또는 90%의 에탄올(주정)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 추출물은 상기 열수 추출 또는 용매 추출법으로 추출된 1차 추출물을,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추출물을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hin layer chromatography),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등과 같은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추가로 정제된 분획을 얻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및/또는 오갈피 추출물은 추출, 분획 또는 정제의 각 단계에서 얻어지는 모든 추출액, 분획 및 정제물, 그들의 희석액, 농축액 또는 건조물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조성물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경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과 오갈피 추출물을 각각 제조한 후 혼합하여 상기 조성물이 제조될 수 있고, 또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와 오갈피를 혼합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상기 조성물이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사노게닌(Chiisanogenin)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1
본 발명에서 상기 치사노게닌은 오갈피속 식물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로부터 분리하거나,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화학적 합성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오갈피 추출물을 헥산:아세톤 용매로 (헥산:아세톤 4:1 -> 1:1(w/v))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순차적으로 4개의 분획물을 수득한 후, 이 중 두 번째 분획을 다시 메탄올:물 4:1(w/v) 용매로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여 2개의 소분획물 수득하고, 이의 두 번째 분획에서 상기 화학식 1의 치사노게닌을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서 상기 치사노게닌은 상기 화학식 1이 화합물뿐만 아니라,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가능한 용매화물, 수화물, 라세미체 및 입체이성질체를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의 용어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란 치사노게닌과 동일한 모핵 구조를 갖는 화합물 또는 배당체로서 간 질환 개선 효과가 있는 화합물은 제한없이 포함되나, 그 예로 치사노사이드(chiisanoside), 22-alpha-하이드로치사노사이드, 22-alpha-하이드로치사노게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치사노게닌의 병용투여는 각각의 물질 단독투여와 비교해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간 기능 개선에 상승효과(synergic effect)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모델에서 간 조직 내 중성지방 축적을 저해하고, 혈청 내 LDL 수치를 개선하며, 간 조직 내 FAS mRNA 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이 간 독성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에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을 병용함으로써 각각의 물질이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거나 부작용의 발생 가능성이 매우 낮은 용량의 투여로도 목적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코올성 간 손상,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의해 발생되는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상승효과(synergic effect)'라는 용어는 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각 성분이 병용 투여될 때 발생되는 효과가, 단일 성분으로서 단독으로 투여될 때 발생되는 효과의 합보다 더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병용 투여(administered in combination)'라는 용어는 각 추출물 또는 성분이 대상에 함께 투여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 추출물 또는 성분이 함께 투여된다는 것은 원하는 치료 효과를 얻기 위해서, 각 성분을 동일한 시간에 또는 임의의 순서로 또는 상이한 시간에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두 성분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성분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보다 우수한 항지방간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오갈피 추출물 혼합 또는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을 혼합시켰을 때 단독처리에 비해 우수한 항지방간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오갈피 추출물 1:1 중량비 혼합 또는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 3:1의 중량비로 혼합시켰을 때 각기 다른 그 어떤 비율로 혼합한 경우보다 가장 우수한 항지방간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i) 및 (ii)는 1:0.005 내지 50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i) 및 (ii)는 1:0,005, 1:0,006, 1:0,007, 1:0,008, 1:0,009,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i)의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ii)의 오갈피 추출물은 1:0.005 내지 2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05 내지 5.0의 중량비, 더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3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2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서, 상기 (i)의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ii)의 치사노게닌은 1:0.005 내지 10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0.1 내지 0.5의 중량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i) 및 (ii)가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의 형태로 제제화되거나 또는 개별적인 조성물(separate composition)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개별적인 조성물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이들을 제제화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범용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i) 및 (ii)는 동시에(simultaneous), 개별적(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된 각 성분이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조성물로 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한 성분을, 다른 성분이 투여되기 전, 후 및/또는 다른 성분과 함께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순서 즉, 어떤 것을 어느 시점에서, 동시에, 개별적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할 것인지의 여부는 의사나 전문가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투여 순서는 많은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i) 및 (ii)만을 함유하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함께 적합한 형태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모든 종류의 용매, 분산매질, 수중유 또는 유중수 에멀젼, 수성 조성물, 리포좀, 마이크로비드 및 마이크로좀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는 예컨대, 경구 투여용 담체 또는 비경구 투여용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담체는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유도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경구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약물전달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경구 투여용 담체는 물, 적합한 오일, 식염수, 수성 글루코오스 및 글리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안정화제 및 보존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안정화제로는 아황산수소나트륨, 아황산나트륨 또는 아스코르브산과 같은 항산화제가 있다. 적합한 보존제로는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메틸-또는 프로필-파라벤 및 클로로부탄올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택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제제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는 것을 참고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조성물은 사용목적 내지 양상에 따라 함량은 크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1~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와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i) 및 (ii)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0.1 내지 99.9 중량%로 포함하고, 담체를 99.9% 내지 0.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상기 화합물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이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이란 음성 대조군에 비해 그 이상의 반응을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바람직하게는 간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에 충분한 양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효한 양으로는 0.001 내지 1000 mg/kg b.w./day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 1 내지 2000mg/kg b.w./day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질환 및 이의 중증정도,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상태, 성별, 투여 경로 및 치료기간 등과 같은 여러 인자에 따라 적절히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내 투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투여 경로에 따라 경구 투여용 또는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 제형화 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분말, 과립, 정제, 환제, 당의정제, 캡슐제, 액제, 겔제, 시럽제, 슬러리제, 현탁액 등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용 제제는 활성성분을 고체 부형제와 배합한 다음 이를 분쇄하고 적합한 보조제를 첨가한 후 과립 혼합물로 가공함으로써 정제 또는 당의정제를 수득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및 말티톨 등을 포함하는 당류와 옥수수 전분, 밀 전분, 쌀 전분 및 감자 전분 등을 포함하는 전분류, 셀룰로즈,메틸 셀룰로즈,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및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즈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즈류,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등과 같은 충전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가교결합 폴리비닐피롤리돈, 한천, 알긴산 또는 나트륨 알기네이트 등을 붕해제로 첨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및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제의 경우에는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으로 제형화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모든 제약 화학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처방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총 유효량은 단일 투여량(single dose)으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으며, 다중 투여량(multiple dose)으로 장기간 투여되는 분할 치료 방법(fractionated treatment protocol)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부프로펜 및 덱사메타손의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경로 및 치료 횟수뿐만 아니라 환자의 연령, 체중, 건강 상태, 성별, 질환의 중증도, 식이 및 배설율 등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환자에 대한 유효 투여량이 결정되는 것이므로,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당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절한 유효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i) 및 (ii)가 단일제제의 형태로 투여가 될 경우에는 1일 투여량이 상기한 각 성분의 최대 허용치 또는 그 이하가 되도록 배합 비율을 적절하게 선택한 제제를 조제하여, 그 배합 제제를 1일에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보이는 한 그 제형, 투여 경로 및 투여 방법에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i) 및 (ii)의 병용비율, 투여용량 및 투여시기는 환자의 통증정도, 약물에 대한 환자의 감수성,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통상의 기술자가 선택하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i) 및 (ii) 두 성분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단독 투여에 비하여 상승된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약물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또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서,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상기 유형의 식품 조성물은 당 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말한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형 또한 건강기능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간 질환 개선 또는 치료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건강기능식품으로는 상기 (i) 및 (ii)가 포함된 차, 쥬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물질 또는 활성 성분과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0.3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mL당 일반적으로 약 0.01~0.04g, 바람직하게는 약 0.02~0.03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른 적절한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세탄올, 스테아릴알콜, 유동파라핀, 솔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의학적 조성물은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신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에 투여된 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된 방출을 제공할 수 있도록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을 사용하여 제형화될 수 있고, 제형은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용액, 시럽, 에어로졸, 연질 또는 경질 젤라틴 캅셀, 좌제, 멸균 주사용액, 멸균 외용제 등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의학적 조성물은 동물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100m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고,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구성 이외에, 식품의 기준 및 규격('식품공전')에 기재된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식품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식품첨가물을 사용할 수 있고, 식품으로 사용가능한 식품 원료 또는 식품첨가물이 아니더라도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 별표 1의 단미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 별표 2의 보조사료의 범위에 해당하는 원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은 '사료 등의 기준 및 규격'에 따른 보조사료 중 추출제일 수 있고, 상기 보조사료를 포함하는 배합사료일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경우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의 함량은 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나타내는 함량이면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예를 들어 0.1 내지 99 중량%, 0.5 내지 95 중량%, 1 내지 90 중량%, 2 내지 80 중량%, 3 내지 70 중량%, 4 내지 60 중량%, 5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사료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인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는 섭취 동물의 상태, 체중, 질병의 유무나 정도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들 들어 1일 투여량을 기준으로 1 내지 5,000 mg,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0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0 mg,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 mg,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 mg일 수 있고, 투여 횟수는 특별히 한정할 필요는 없으나 1일 3회 내지 1주일에 1회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조절할 수 있다.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유효량'이란 개체에게 투여하였을 때, 간 질환의 개선, 치료, 검출, 진단 또는 간 질환의 억제 또는 감소 효과를 나타내는 양을 말하며, 상기 '개체'란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개체는 상기 효과가 필요한 환자(patient)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치료'는 간 질환 또는 간 질환으로 인한 증상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괄적으로 지칭하고, 이는 상기 질환을 치유하거나, 실질적으로 예방하거나, 또는 상태를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질환으로부터 비롯된 한 가지 증상 또는 대부분의 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치유하거나 예방하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을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함유하는(including)" 또는 "특징으로 하는(characterized by)"과 동일한 의미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또는 방법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추가적인 구성 성분 또는 방법의 단계 등을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용어 "로 이루어지는(consisting of)"이란 별도로 기재되지 않은 추가적인 요소, 단계 또는 성분 등을 제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는(essentially consisting of)"이란 조성물 또는 방법의 범위에 있어서, 기재된 물질 또는 단계와 더불어 이의 기본적인 특성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물질 또는 단계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오갈피 추출조건(용매, 온도)에 따른 치사노게닌 수율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2는 오갈피 추출물로부터 치사노게닌을 수득하는 분획단계를 도식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물질의 제조
(1)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의 제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Garcinia Cambogia extract)은 사빈사 코리아 코퍼레이션이 유통하는 원료(Batch No. C150292E)를, HCA는 크로마덱스(ASB-00008387-250)에서 구매하여 이용하였다.
(2) 오갈피 추출물의 제조
분쇄된 오갈피 잎(학명: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Rupr. & Maxim.), 바우처번호: KRIB 0079085-0079086, 입수처: 충남 천안시 수신면) 3 g을 병에 넣고 상기 용매 조건에 해당하는 용매 100 mL을 넣고 워터 배스(water bath) 내 하기 온도조건으로 5시간 추출 후 상온에서 한 시간 식혔다. 필터페이퍼(advantec NO.2, 5 μm)에서 필터 후 농축하고 50%(30, 60℃ 샘플), 100% MeOH (90℃ 샘플) 용매 30 mL을 정밀하게 측정하여 추출물을 완전히 녹이고 동일한 방법으로 1회 반복 추출하여 시린지 필터(advantec, 0.2 μm)후 UPLC로 분석하였다. 수득한 추출물(30 mg/mL)을 이용하여 반응표면분석법을 실시하였다.
에탄올 농도(30%, 60%, 90%) 및 추출 온도(30℃, 60℃, 90℃)를 달리하여 9종의 추출물을 최종 수득하였고, 이의 치사노게닌 함량을 건조원물에 대해 확인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특정 추출 조건에서 원물의 치사노게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모든 농도의 에탄올 용매에서 60℃추출 온도 조건이 치사노게닌 함량을 가장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미니탭 18(minitab 18 (Eretec Inc))을 이용하여 반응표변분석법 통계 분석한 결과 60℃에서 60% 에탄올이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3) 치사노게닌의 분리
오갈피 잎 15.0 kg에 대하여 80% 메탄올을 이용하여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3회 반복하여 용매 추출을 하였다. 상기 추출물 2.9 kg에 대하여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P.)를 수행하여 4개의 분획물을 얻었다(fr1 내지 fr4). 이 때 사용된 용매는 헥산:아세톤을 4:1에서 1:1(W/V)의 비율로 하였다. 4개의 분획물 중 Fr.2(28.38g)을 메탄올:물 4:1(W/V) 용매로 오픈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를 실시하여 2개의 소분획물(Fr.2-1. Fr.2-2)을 얻어 하기 물성치를 갖는 리그난 구조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1(Fr.2-2, Chiisanogenin, 13.0 g)을 수득하였다(도 2).
[화학식 1]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2
White amorphous powder; [α]25D +7.8 (c 0.1, CH3OH); HRESI-MS: m/z 483.3176 [M-H]- (calcd for C30H43O5, 483.3110); For 1H NMR (500 MHz, pyridine-d5) δH: 3.72 (1H, d, J = 8.0 Hz, H-1), 2.82 (1H, dd, J = 8.0, 15.0 Hz, H-2a), 3.12 (1H, d, J = 15.0 Hz, H-2b), 2.84 (1H, m, H-5), 1.85 (1H, m, H-6a), 1.49 (1H, m, H-6b), 1.43 (1H, m, H-7a), 1.20 (1H, m, H-7b), 2.75 (1H, d, J = 9.0 Hz, H-9), 4.61 (H, d, J = 9.0 Hz, H-11), 2.58 (1H, m, H-12a), 1.56 (1H, m, H-12b), 2.89 (1H, m, H-13), 1.15 (1H, m, H-15a), 1.75 (1H, m, H-15b), 2.55 (1H, m, H-16a), 1.79 (1H, m, H-16b), 1.68 (1H, s, H-18), 3.52 (1H, dd, J = 5.0, 11.0 Hz, H-19), 2.19 (1H, m, H-21a), 1.47 (1H, m, H-21b), 2.25 (1H, s, H-22a), 1.54 (1H, s, H-22b), 5.02 (1H, s, H-23a), 5.13 (1H, s, H-23b), 1.87 (3H, s, H-24), 0.99 (3H, s, H-25), 1.00 (3H, s, H-26), 1.07 (3H, s, H-27), 4.64 (1H, m, H-29a), 4.94 (1H, d, J = 2.0 Hz, H-29b), 1.69 (3H, s, H-30); 13C NMR (125 MHz, pyridine-d5) δC: 70.8 (C-1), 39.1 (C-2), 173.4 (C-3), 148.0 (C-4), 49.8 (C-5), 25.5 (C-6), 32.7 (C-7), 41.9 (C-8), 44.4 (C-9), 44.3 (C-10), 75.7 (C-11), 32.9 (C-12), 35.6 (C-13), 42.5 (C-14), 29.9 (C-15), 33.9 (C-16), 56.7 (C-17), 49.9 (C-18), 48.1 (C-19), 150.8 (C-20), 31.1 (C-21), 37.6 (C-22), 114.2 (C-23), 23.8 (C-24), 19.3 (C-25), 18.1 (C-26), 14.0 (C-27), 179.1 (C-28), 110.9 (C-29), 19.2 (C-30).
상기 추출물 및 분획물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ACQUITYTM UPLC(Ultra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및 CAD(Charged Aerosol Detector) 검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분획물들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이때, 용매 A는 0.1% FA(Formic acid)/DW를 사용하였으며, 용매 B는 0.1% FA/ACN(acetonitrile) 용매를 이용하였으며, 하기 표 1과 같은 구배(Gradient)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하기 표 2와 같은 CAD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시간(min) Flow(㎖/min) %A %B
0.00 0.400 90 10
1.20 0.400 90 10
3.00 0.400 70 30
4.00 0.400 65 35
9.00 0.400 30 70
11.00 0.400 0 100
13.10 0.400 0 100
13.20 0.400 90 10
15.00 0.400 90 10
구분 조건
Filter 2.0
Data Rate 20 Hz
컬럼은 ACQUITY UPLC® BEH C18 1.7 ㎛, 2.1 X 100 ㎜를 사용하였다. 상기 추출물은 1 ㎎/㎖ 농도로 5 ㎕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간 기능 개선 효능 평가
(1) 실험 방법
1)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 모델
1-1) 시료의 처리 방법
8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를 2주간 기본사료(AIN-76A diet)로 적응시킨 후 10주령부터 Diet Induced Obesity Diet Formulas (D12451) 60 kcal% HFD식이를 2주간 섭취하여 평균 체중이 28g 이상일 될 때, 투여량의 단독 시료(가르시니아 추출물,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 및 이의 복합 시료를 HFD식이와 10주간 병행하여 투여하였다.
1-2) 비알코올성 지방간 동물 모델 분석
고지방식 섭취로 간 내 축적된 중성지방 함량이 가르시니아 추출물 또는 오갈피 추출물, 치사노게닌 단독 투여군에 비해 복합조성물에 의해 저해되는지를 분석하였다. 간에 침착된 지방함량을 측정하고자 0.1 g의 간을 균질화하여 상층액에서 중성지방 (triglyceride, TG) 함량을 생화학 자동 분석기 (Hitachi-720, Hitachi Medical,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혈청 내 LDL (Low-density lipoprotein) 측정을 위해 실험동물로부터 분리한 혈장을 생화학 자동 분석기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각 실험동물로부터 적출한 간에서 FAS (fatty acid synthase) 유전자 발현 양상은 RNAsolB (Tel-Test) 용액을 사용하여 RNA를 추출한 뒤 One-step SYBR Green PCR kit(AB science)를 사용하여 cDNA 합성 및 real-time PCR 분석을 진행하였다. PCR을 위한 Primer는 Forward 5'-CTGAGATCCCAGCACTTCTTGA-3'(서열번호 1) 와 Reverse 5'-GCCTCCGAAGCCAAATGAG-3' (서열번호 2)를 사용하였다. Real time quantitative PCR은 Applied Biosystems 7500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USA)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2)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NASH) 동물 모델
2-1) 시료의 처리 방법
8주령 수컷 C57bl/6J 마우스를 NASH 유도 식이 사료 (#A06071302 diet)로 8주 동안 공급하고, 9주부터는 투여량의 단독 시료(가르시니아 추출물,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 및 이의 복합 시료를 NASH 식이 사료(#A06071302 diet)와 8주간 병행하여 투여하였다.
2-2)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 모델 분석
비알콜성 지방간염(NASH)유도 동물 모델을 이용한 가르시니아 추출물(고시형원료, 60% HCA)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각각 또는 혼합물의 비임상 투여농도별 효능 검증을 위하여 NASH 유도 식이사료 (#A06071302) 공급에 의한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C57bl/6J 생쥐모델에서 간 조직 손상의 바이오마커인 AST(aspartate aminotransferase, 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와 ALT(alanin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의 혈청 내 변화를 관찰하여 하기 표 11 과 표 12에 각각 나타내었다. 또한, 간 섬유화의 바이오마커인 hydroxyproline의 간조직 내 변화를 관찰한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3) 지방산 유도 세포 내 지방 축적실험
인체 간 유래 HepG2 세포주는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ATCC, VA, USA)에서 구입하였다. HepG2 세포 배양은 5% 이산화탄소가 공급되는 배양기에서 37℃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은 10% 소태아혈청 (Fetal bovine serum, FBS)과 1% 항생제 (Penicillin-streptomycin, Gibco)가 포함된 MEM (Gibco Cat No. 11095-098) 배지를 사용하였다. HepG2 세포는 96-well 플레이트에 1 X 104 cells/well가 되도록 심은 후 24 시간 후 세포 내 지방축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150 μM oleic acid (Sodium oleate, Sigma, USA)를 24 시간 처리하였다. 약물처리군은 oleic acid를 처리하기 1 시간 전 처리하였다. 실험이 완료되면 4% formaldehyde로 10분간 세포를 고정하고 PBS 버퍼로 2회 세척한다. BODIPY 490/503 (Invitrogen Corporation, NY, USA)를 포함한 용액을 더하여 실온에서 30 분간 배양하였으며 이때 형광염료 BODIPY의 최종 농도는 2 μg/ml로 하였다. 반응 종료 후 PBS 버퍼로 3회 세척하고, 최소량의 PBS만 남은 상태에 SpectraMax M4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기 (Molecular Devices, USA)로 형광을 수치화 하였다. 이 때, excitation wavelength는 485 nm로 하였고 emission은 525 nm을 각기 사용하였다. 실험은 최소한의 빛만 허용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포일로 빛을 차단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6 및 7에 나타내었다.
본 실험조건에서 세포생존율의 확인은 CCK-8(Dojindo) 키트에서 설명한 방법대로, 배지 90 ㎕에 CCK-8 용액을 10 ㎕ 혼합하여 웰 당 100 ㎕씩 첨가하였고, 최소 30분에서 1시간까지 반응시킨 후,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음성 대조군을 100%로 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8 및 9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학식 1]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3
4) 알코올성 간 손상 회복 효능 분석
인체 유래 간암 세포주인 HepG2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소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을 10% 첨가한 DMEM 배지(WEKGEBE, Korea)를 배지로 사용하여 1Х106 cells/well 의 농도로 현탁하여 60mm Dish(Thermo Fisher Scientific)에 접종하여 24시간 동안 세포를 배양하였다. 24시간 후 알콜성 간 손상을 유도하기 위해 10% FBS가 함유된 DMEM 배지에 Ethyl alcohol(Sigma aldrich) 0.4M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알콜성 간손상 중 약물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배지를 교환 시 약물을 함께 처리하였다. 간 손상 회복은 5 mg/ml MTT Solution(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Sigma Aldrich)을 각 Dish 당 100 mg/ml의 농도가 되도록 첨가하여 30분 배양하였다. 이후 MTT soluction을 제거하고 생성된 fomazan을 2 ml DMSO에 녹인 후 96well plate에 100 ㎕씩 옮겨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장률 상기 수학식 1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낸 바와 같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방법에 따라 수행된 각 실험결과를 하기 표 3 내지 9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4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병용 처리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특히 가르시니아 추출물:오갈피 추출물의 중량비가 60:15 내지 15:22.5인 구간에서 병용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5
상기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은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병용 처리했을 때 시너지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으며, 특히 가르시니아 추출물:치사노게닌의 중량비가 30:4.8 내지 15:5.4 구간에서 병용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6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7
한편, 상기 표 5와 6은 각각 상기 표 3 및 4의 실험과 동일한 조건에서 세포생존율을 보여주는 결과로, 본 실험의 조건에서 약물의 처리에 의해 세포생존율의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세포 실험결과를 기초로, 가장 우수한 병용효과를 나타낸 함량비로 실험군을 구성하여 이하 in vivo 효능 평가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8
상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지방식 섭취로 간 내 축적된 중성지방 함량이 가르시니아 추출물 또는 오갈피 추출물, 치사노게닌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복합조성물에 의해 감소 효과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09
상기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HFD 투여에 의해 증가된 혈청 내 LDL 수치가 가르시니아 추출물 또는 오갈피 추출물, 치사노게닌 (Chiisanogenin)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복합조성물에 의해 감소 효과가 유의적으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10
상기 표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동물로부터 적출한 간에서 FAS의 유전자 발현을 나타내는 결과로 가르시니아 추출물 또는 오갈피 추출물, 치사노게닌 (Chiisanogenin) 단독 투여군과 비교하여 복합조성물에 의해 감소효과가 유의적으로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11
상기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알코올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하는 효능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오갈피 추출물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병용 처리했을 때 간 세포 보호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12
AST는 간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는 간 손상 바이오마커이다. 상기 표 1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마우스 모델의 혈청에서 AST(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 저해 효능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혼합물 투여군이 간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13
ALT는 간 세포 내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 손상 시 혈중으로 유출되는 간 손상 바이오마커이다. 상기 표 1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마우스 모델의 혈청에서 ALT(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 저해 효능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혼합물 투여군이 간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Figure PCTKR2022006785-appb-img-000014
Hydroxyproline은 콜라겐의 주 구성성분으로 간 섬유화의 바이오마커이다. 상기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동물 모델의 간 조직 내에서 hydroxyproline 저해 효능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혼합물 투여군이 간보호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표 11 내지 표 1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추출물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각각을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비교하여 병용 처리했을 때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관련 지표들의 개선 효과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의 병용투여군에서는 각각의 물질 단독투여군과 비교하여 현저히 향상된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성물은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 또는 치사노게닌을 병용 투여함으로써 각각의 물질 단독 투여에 비해 상승된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각 물질의 과량 투여 또는 장기 투여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임의의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Claims (15)

  1.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시니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꽃, 잎, 뿌리, 열매, 줄기, 뿌리껍질, 줄기껍질 또는 이의 혼합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갈피 추출물은 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ssiliflorus(RUPR. et MAX.) SEEM.),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RUPR. et MAX.) HARMS), 왕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var. subinermis KITAGAWA), 지리산오갈피나무(Acanthopanax chiisanense NAKAI), 섬오갈피나무 (Acanthopanax koreanum NAKAI), 털오갈피나무(Acanthopanax rufinerve NAKAI), 서울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oulense NAKAI), 당오갈피 (Acanthopanax sieboloians) 및 오가나무(Acanthopanax sieboldianum MAKINO)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을 하는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및 오갈피 추출물은 각각 독립적으로 또는 동시에 (a)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헥산 및 이들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 추출법 또는 (c) 초음파 추출법을 통해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사노게닌(Chisanogenin)은 오갈피로부터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는 단일 조성물(single composition)의 형태이거나 또는 개별적인 조성물(separate composition)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i) 및 (ii)는 동시에(simutaneous), 별도로(separate) 또는 순차적(sequential)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9.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0.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수의학적 조성물.
  11.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사료 조성물.
  12. 간 질환 치료용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의 용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14. (i) 가르시니아 캄보지아(Garcinia cambogia) 추출물, 히드록시 시트르산 (HCA, hydroxycitric acid) 또는 히드록시 시트르산의 유도체; 및 (ii) 오갈피 (Acanthopanax) 추출물, 치사노게닌(Chiisanogenin), 또는 치사노게닌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유효량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간 질환 치료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간 질환은 비알코올성 지방간, 비알코올성 지방간염, 알코올성 지방간, 알코올성 간 손상, 간염, 간 섬유화, 간 경변, 간 부전 및 간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PCT/KR2022/006785 2021-05-12 2022-05-11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4020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1558 2021-05-12
KR20210061558 2021-05-12
KR1020220055720A KR20220154023A (ko) 2021-05-12 2022-05-04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2-0055720 2022-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40206A1 true WO2022240206A1 (ko) 2022-11-17

Family

ID=84029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785 WO2022240206A1 (ko) 2021-05-12 2022-05-11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2224020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14A (ja) * 1996-12-16 1998-06-30 Ichimaru Pharcos Co Ltd ガルシニア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101105542B1 (ko) * 2010-12-10 2012-01-13 이경록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N103181557A (zh) * 2011-12-30 2013-07-03 丹东加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50055876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지방 감소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5814A (ja) * 1996-12-16 1998-06-30 Ichimaru Pharcos Co Ltd ガルシニア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及び浴用剤
KR101105542B1 (ko) * 2010-12-10 2012-01-13 이경록 슬리밍 화장료 조성물
CN103181557A (zh) * 2011-12-30 2013-07-03 丹东加捷生物科技有限公司 具有减肥功能的营养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50055876A (ko) * 2013-11-14 2015-05-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지방 감소 또는 체중 감소를 위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K, YU-HWA;KIM, HEE-YEON;LIM, SANG-HYUN;KIM, KYUNG-HEE;LEE, JEONG-HOON;KIM, YOUNG-GUK;AHN, YOUNG-SUP;: "Effects of Ethanol Extract from Leaves of Eleutherococcus senticosu on Hyperlipidemia in Ra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vol. 41, no. 3, 31 March 2012 (2012-03-31), pages 333 - 338, XP053031733, ISSN: 1226-3311, DOI: 10.3746/jkfn.2012.41.3.33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62354A2 (ko) 인삼으로부터 신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을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신규 당지질단백질 진토닌
WO2013176512A1 (en) Panax spp. plant extract with increased content ratio of ginsenoside rg3, rg5, and rk1 produced by microwave irradiation, a method of prepar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and a composition including the panax spp. plant extract
WO2020235928A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성물, 호흡기 질환 치료용 조성물 및 항노화 조성물
WO2015160219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만성폐쇄성 폐질환(copd)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2124888A2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herbal combina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diabetic peripheral neuropathy
WO2014027832A1 (ko) 대장염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4175543A1 (ko)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염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2067316A1 (ko) 테로카판계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 또는 이들의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또는 항산화용 조성물
WO2012043949A1 (ko) 화학식 1 내지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고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조성물
WO2010090498A2 (ko) 이고들빼기 추출물, 이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간 기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간 기능 개선용 건강기능 식품조성물
WO2020251253A1 (ko)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바이탈 멜론 및 이의 추출물
WO2022240206A1 (ko)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041908A2 (ko) 판두라틴 유도체 또는 보에센베르기아 판두라타 추출물의 신규한 용도
WO2015002430A1 (ko) 피스타시아 웨인마니폴리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18221922A1 (ko) 황련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육관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WO2009151236A2 (en) The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s or fractions of magnolia obovata thunb for treating and preventing inflammation disease
WO2021080297A1 (ko) 달맞이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또는 비만으로부터 유도된 대사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0143825A2 (en) Anti-arthritic agent using cyathula officinalis
WO2015105373A1 (ko) 화살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천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9198982A1 (ko) 구꼬아민 a 및 구꼬아민 b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격근 위축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2016190689A2 (ko) 근육 질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또는 근 기능 개선용 조성물
WO2013111924A1 (ko) 넓패 유래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2050601A1 (ko) 오갈피 추출물 및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비만 또는 당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7192013A1 (ko) 팥을 포함하는 근 기능 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향상용 조성물
WO2023158020A1 (ko) 느릅나무속 식물 유래 카테킨 배당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비만 및 근감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80785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