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235088A1 -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 Google Patents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235088A1
WO2022235088A1 PCT/KR2022/006429 KR2022006429W WO2022235088A1 WO 2022235088 A1 WO2022235088 A1 WO 2022235088A1 KR 2022006429 W KR2022006429 W KR 2022006429W WO 2022235088 A1 WO2022235088 A1 WO 202223508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heroid
dimensional
type cell
cell aggregate
extracellular ves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64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희
성지희
신은경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엔이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엔이바이오 filed Critical (주)에스엔이바이오
Priority to JP2023568152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18396A/ja
Priority to CN202280033119.1A priority patent/CN117320733A/zh
Priority to EP22799131.2A priority patent/EP4335445A1/en
Publication of WO202223508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23508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28Bone marrow; Haematopoietic stem cells; Mesenchymal stem cells of any origin, e.g. adipose-derived stem cel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8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5Blood-borne mesenchymal stem cells, e.g. from umbilical cord bloo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4Animal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vesicle derived from a three-dimensional spheroid cell aggregate prepared by a novel manufacturing method and a method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 stem cell therapy has a risk of cell-related side effects such as vascular occlusion, mass formation, and coagulation disorder as side effects, and efficacy verification through clinical trials is still needed.
  • vascular occlusion vascular occlusion
  • mass formation vascular occlusion
  • coagulation disorder vascular occlusion
  • efficacy verification through clinical trials is still needed.
  • EV extracellular vesicles
  • Extracellular vesicles are classified into exosomes and microvesicles according to the size. Exosomes have a diameter of 30-150 nm, and microvesicles have a size of 100-1,000 nm. Extracellular vesicles are parts of the cell membrane that have fallen into the blood, and are known to mediate cell-to-cell communication because they contain both protein and nuclear components. Using extracellular vesicles instead of stem cell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biodistribution and production process as well as increasing safety by minimizing the side effects of using stem cells.
  • Brain neuroplasticity is a phenomenon in which neural pathways are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changed and reorganized.
  • damage or reduction in nerve pathways causes symptoms in dementia and many neurodegenerative diseases.
  • there is no possible treatment or method to restore the brain nerve pathways and it has not been applied to clinical practice in patients with brain diseases such as cerebral infarction and dementia.
  • physical 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are being applied to these patients, but the therapeutic effect is limit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improvement of brain neuroplasticity through promotion of new neurogenesis and restoration of neural circuits can have therapeutic effects on most brain diseases.
  • the present inventors studied a method for reducing the culture time while allowing mass production in order to produc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or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and as a result, static culture using microwells It was confirmed that by preparing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3D-static-spheroid) through 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s by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preparing an agglomer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co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through, neurological disease and damage prevention or improvement food composition provid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provides an in vitro composition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through .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b) preparing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extracellular vesicle) through the step of separating cells and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c) process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extracellular vesicle) prepared through the step (b) to the subject in need;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and injuries, including.
  • the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by the novel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neural plasticity by inducing neurogenesis, neural differentiation, or neural circuit recovery, and thus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treatment of various diseases requiring nerve regeneration.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process of preparing a 3D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therefrom.
  • 2A is a view of observing a microwell containing a 3D-dynamic-PEG spheroid culture solution.
  • 2B is a view of observing a microwell containing a 3D-static-spheroid culture medium.
  • Figure 2C is a diagram showing the area change of the aggregate according to the incubation period of 3D-static-spheroids prepared using 3D-dynamic-PEG spheroids and microwells.
  • 3 is a diagram comparing the size distribution of 3D-static-spheroids and 3D-dynamic-PEG spheroids.
  • 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LISA and Western blot to confirm the expression marker of 3D-static-spheroid EV.
  • FIG. 7 is a diagram comparing the production of 3D-static-spheroid EV, 3D-dynamic-PEG spheroid EV and 2D-EV per derived cell.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expression of miRNAs and proteins related to stroke pathophysiology and EV treatment effects that are highly expressed in 3D-static-spheroid EVs.
  •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nerve regeneration-related miRNAs highly expressed in 3D-static-spheroid EV compared to 2D-EV.
  • 10a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EV production, EV size, and EV-containing protein amount according to donors in 2D-EV and 3D-static-spheroid EV (WJ-3D EV).
  • 10b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donor variation and nerve regeneration-related miRNA expression in 2D cultured WJ-MSC, 3D cultured WJ-MSC, 2D-EV and 3D-static-spheroid EV.
  • FIG. 1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change of VEGF, BDNF, GFG, NGF, HGF, ANGP1 after 3D-static-spheroid EV treatment in neural stem cell pNSC.
  • FIG. 1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3D-static-spheroid EV nerve differentiation promoting ability by measuring the neurite length.
  • the left side of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it under a microscope, and the right side of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neurite length.
  • FIG. 14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egree of volume change of (a) cerebral infarction lesion and (b) ventricle after 3D-static-spheroid EV treatment as a control group or PBS in an animal model of cerebral infarction.
  • 15 is a view showing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degree of neurogenesis through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fter 3D-static-spheroid EV treatment in the cerebral infarction animal model.
  • FIG. 16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effect of recovering motor function loss after injection of 3D-static-spheroid EV into a cerebral infarction animal model.
  • FIG. 17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neural circuit changes after injection of 3D-static-spheroid EVs using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images on day 14 ( FIG. 17a ) and on day 28 ( FIG. 17b ).
  • DTT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 Color indicates the predominant orientation of the fibrous tube (red, left-right; green, inferior; blue, anterior and posterior).
  • PBS alone c
  • White arrows indicate increased nerve fibers in 3D-static-spheroid EV-administered animals.
  • FIG. 18 is a diagram showing resting state functional MRI results 28 days after stroke induction.
  • EV group 3D-static-spheroid EV treatment group.
  • 19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the forelimb asymmetry test (cylinder test) and the foot defect test (grid walking test) performed to confirm functional recovery according to the neural circuit generation effect of 3D-static-spheroid EV.
  • FIG. 20 shows (a) cylinder test and relative fiber density (rFD) of inner capsule, (b) cylinder test and interhemispheric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RSFC), (c) grid walking test to confirm the association between functional recovery and MRI. and rFD of the inner capsule (d) lattice walking test, interhemispheric RSFC of striatum, (e) interhemispheric RSFC of striatum, and rFD of inner capsule.
  • rFD cylinder test and relative fiber density
  • RSFC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 FIG. 2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size, roundness, and solidity of 3D spheroids manufactured after varying the diameter, depth, and number of cells per well in 3D-static-spheroid EV manufacturing.
  • 2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expression levels of miRNA-132 expressed in 3D-static-spheroid EV and 2D-EV prepared under various cond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 therapeutic pharmaceutical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cell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a cell capable of separating extracellular vesicles, and may be a cell isolated from a natural organism.
  • the cells may be derived from any type of animal or plant, including humans and non-human mammals, and may be various types of immune cells, tumor cells, and stem cells.
  • the stem cells are mesenchymal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etc. It may be a stem cell, 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or an embryonic stem cell.
  •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refers to culturing in a state in which a three-dimensional arrangement is taken in vitro, and unlike the two-dimensional culture, cell growth in three-dimensional culture causes the cells to undergo all direction, which can be more similar to the cellular environment in vivo.
  •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of step (a) can be performed by any three-dimensional cell culture technique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or example, microwell array culture, porous microsphere culture, hanging drop culture. , cell culture using low attachment plate culture, membrane-based cell-detachment culture, thermal lifting culture, centrifugation culture, semisolid medium culture, etc.
  •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may be a dynamic culture or a static culture, and more preferably a static culture.
  •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ood pharmaceutical manufacturing and Quality control standards
  • the three-dimensional (3-dimensional) culture of step (a) may be cultured for 1 to 10 days, preferably, cultured for 2 to 4 days.
  • the viability of cells present in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is maintained at a high level, and the existing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manufacturing process Compared to the culturing time is relatively short, it is possible to quickly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therefrom.
  • the three-dimensional culture of step (a) may be cultured by dispensing mesenchymal stem cells into microwells at a density of 100 to 1000 cells/well, and preferably 100 to 600 cells/well. It may be cultured by dispensing at a density, and more preferably, dispensing and culturing at a density of 100 to 500 cells/well.
  • the step of isol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in step (b) is extruding a sample containing cells or cell aggregates, sonication, cell lysis, homogenization, freeze-thaw, electroporation, chemical treatment, mechanical It can be prepared using a method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ecomposition and treatment of a physical stimulus applied externally to the cell, and preferably separation by a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 method,
  • TMF tangential flow filtration
  • MicroRNA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aming of MicroRNAs is preceded by “mir”, followed by “-” and a number. In this case, the numbers often indicate the order in which they were named. For example, mir-123 was named before mir-156 and is expected to have been identified earlier. "mir-” stands for pre-microRNA, and "miR-” with a capital letter stands for mature microRNA. Except for one or two sequences, microRNAs with almost identical sequences are named by adding a lowercase letter. For example, miR-121a and miR-121b were generated from their respective precursors, mir-121a and mir-121b, and their sequences are very similar.
  • Mature microRNAs are the same, but pre-microRNAs located at different sites on the genome are named by adding "-" and a number.
  • the pre-microRNAs mir-121-1 and mir-121-2 become the same mature microRNA (miR-121), but are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on the genome.
  • the names of microRNAs according to species are indicated on the front.
  • hsa-miR-123 is a human (Homo sapiens) microRNA
  • oar-miR-123 is a sheep (Ovis aries) microRNA.
  • 'v' stands for viral (miRNA encoded by a viral genome), and 'd' stands for Drosophila microRNA.
  • microRNA nomenclature generally follows the above criteria, but there are exceptions.
  • the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high expression of a clinically significant substance compared to known extracellular vesicles, and the clinically significant substance may be a substance exhibiting a nerve regeneration effect.
  • the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iR-27a related to nerve regeneration compared to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in three-dimensional dynamic culture an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ultured in two dimensions.
  • miR-132, miR-146a and miR-146b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gh expression, VEG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FG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d NG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may b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igh expression. More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iR-related to nerve regeneration compared to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in three-dimensional dynamic culture an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ultured in two dimensions. 27a, miR-132, miR-146a and miR-146b, VEGF, BDNF, FGF and NGF may all be highly expressed.
  • extracellular vesicles may be incorporated into cells and internalized when treated with cells, and when incorporated into cells and internalized, clinically significant substances highly expressed in extracellular vesicles are effectively delivered to cells Thus, it may be highly expressed in cells.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exhibiting the effect of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3D-static-spheroid-EV”.
  •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cultured in three-dimensional dynamic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3D-dynamic-PEG-spheroid-EV”.
  •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in three-dimensional dynamic culture of mesenchymal stem cells are limited if they are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from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in which mesenchymal stem cells are dynamically cultured in three dimensions. It may be included without, preferably, the extracellular vesicles disclosed in the Patent Registration (Application No. 10-2016-0053026,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production method).
  • two-dimensional culture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s limited if stem cells are cultur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ulture method, and extracellular vesicles isolated by a conventional extracellular vesicle separation method It may be with or without.
  • the conventional two-dimensional culture method was carried out by washing the stem cells cultured for 3 days in a cell stack with PBS, replacing them with a serum-free medium, and further culturing for 2 days.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may have an average diameter of 74.43 ⁇ 7.756 ⁇ m, and preferably have a size range of 55 to 95.0 ⁇ m, and 155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 the average diameter may be 74.43 ⁇ m and the coefficient of dispersion (CV) may be 9.59%.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higher kurtosis of size distribution compared to "spheroid-type cell aggregate in which mesenchymal stem cells are dynamically cultured three-dimensionally". Therefore, the size of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is small compared to "spheroid-type cell aggregate in which mesenchymal stem cells are dynamically cultured three-dimensionally", and may have a relatively uniform size distribution.
  • the microwell is TMSPMA (3-(Trimetoxysily) propylmethacrylate), HEA (Hydroxyethyl acrylate), GMA (Glycidyl methacrylate), EGDMA (d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HFA (Tetrahydrofurfuryl acrylate), HMAA (Hydroxymethul acrylamide), PEAcrylamide (HMAA), (Phenyl epoxyacrylate), HOFHA(6-Hydroxy-2, 2,3,3,4,4,5,5-octafluoro), EOPT(Polyethoxylated(4)pentaerythritoltetraacrylate), HPA(Hydroxypropyl acrylate), BMA(Butylmethacrlate), PETIA(Pentaerythritol triacrylate), HDDA(Hexan diol diacrylate), EGPEA(Ethyleneglycol phenylenegly
  • the microwell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diameter of 200 to 800 ⁇ m, preferably 300 to 800 ⁇ m, and more preferably 400 to 800 ⁇ m.
  • the microwell is a microwell having a flat structure without a depth, or a microwell having a depth of 100 to 1000 ⁇ m, preferably 100 to 900 ⁇ m, more preferably 200 to 900 ⁇ m can
  • the mesenchymal stem cells cultured by the structure maintain a high level of viability even after the lapse of incubation time.
  • the production yield of cell aggregates can be increased.
  • extracellular vesicles are prepared by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prod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manufacturing advantages according to static culture, clinical applicability, particularly neurogenesis, nerve It is possible to rapidly and efficiently mass-produce extracellular vesicles with improved nerve regeneration capabilities such as differentiation and neural circuit recovery.
  • conventional extracellular vesicles such as the production method of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mesenchymal stem cells in three-dimensional dynamic culture” or "2-dimensionally cultured mesenchymal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oduction method
  • the method for preparing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suitable for GMP application, so it may be particularly suitable for preparing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and damage.
  • neural plasticity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a neural pathway is structurally and functionally changed and reorganized.
  • neuroplasticity can be improved because nerve regeneration, neurogenesis induction, and neural differentiation induction can be effectively achieved by treatment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three-dimensional spheroidal cell aggregates.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neurological diseases, nerve damage, and conditions requiring nerve regeneration, and the types of diseases to which the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are Although not limited to, spinal cord injury, Parkinson's disease, stroke,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motor nerve injury, traumatic peripheral nerve injury, ischemic brain injury nerve injury, neonatal hypoxic brain injury, cerebral palsy, epilepsy, refractory It may be one or more diseases or injur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pilepsy, Alzheimer's disease, congenital metabolic nervous system disease, and traumatic brain injury.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inducing neurogenesis, inducing neural differentiation, or inducing neural circuit recovery.
  •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in order to confirm that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can induce the recovery of neural circuits,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are administered to an animal model, and MRI DTI (diffusion) -tensor image) analysis was performed, an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eural circuits were regenerated and the increase of nerve fibers was promoted.
  • MRI DTI diffusion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ppropriate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commonly used in the preparation of pharmaceutical compositions in addition to the above active ingredien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pharmaceutically active ingredients or active mixture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ulated in the form of powders, granules, tablets, capsules, suspensions, emulsions, syrups, aerosols, etc., external preparations, suppositories and sterile injection solutions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respectively.
  • Carriers, excipients and diluent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clude lactose, dextrose, sucrose, sorbitol, mannitol, xylitol, erythritol, maltitol, starch, acacia gum, alginate, gelatin, calcium phosphate, calcium silicate, cellulose, methyl cellulose,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vinyl pyrrolidone, water, methylhydroxybenzoate, propylhydroxybenzoate, talc, magnesium stearate and mineral oil.
  • Solid preparations for oral administration include tablets, pills, powders, granules, capsules, etc., and these solid preparations include at least one excipient in the composition, for example, starch, calcium carbonate, sucrose ( Sucrose) or lactose, gelatin, etc. are mixed and prepared.
  • lubricants such as magnesium stearate and talc are also used.
  • Liquid formulations for oral use include suspensions, solutions, emulsions, syrups, etc.
  • various excipients such as wetting agents, sweeteners, fragrances, preservatives, etc. may be included.
  • Formulations for parenteral administration include sterile aqueous solutions, non-aqueous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freeze-dried preparations, and suppositories.
  • non-aqueous solvent and suspending agent propylene glycol, polyethylene glycol, vegetable oils such as olive oil, and injectable esters such as ethyl oleate may be used.
  • Witepsol macrogol, Tween 61, cacao butter, laurin fat, glycerogelatin, etc. may be used.
  • the preferred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the condition and weight of the patient, the severity of the disease, the drug form, the route and duration of administration, but may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dministration may be administered once a day, or may be administered in several divided doses. The above dosage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y way.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to mammals such as rats, mice, livestock, and humans by various routes. Any mode of administration can be envisaged, for example, by oral, rectal or intravenous, intramuscular, subcutaneous, intrauterine dural or intracerebroventricular injection.
  • excipients binders, disintegrant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and the lik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ose described in documents known in the art and include those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b) preparing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extracellular vesicle) through the step of separating cells and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c) process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extracellular vesicle) prepared through the step (b) to the subject in need; It provides a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neurological diseases and injuries, including.
  • the subject is preferably a mammal, including a human.
  • a patient in need of treatment for a neurological disease a patient receiving treatment for a nerve injury or a nervous system disease, a patient who has been treated for a nerve injury or a nervous system disease, a patient who is receiving treatment for a nerve injury or a nervous system disease All patients in need are included, and patients who have undergone surgery to treat nerve damage or neurological disease may also be included.
  •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reated in combination with a drug or treatm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ther existing nerve damage or neurological disease.
  • a drug or treatment method for the treatment of other existing nerve damage or neurological disease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co-treated, it may be treated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with other drugs or treatment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rve damage or neurological diseas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contain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through, neurological disease and damage prevention or improvement food composition provides
  • the food includes in particular a health functional food.
  • Health functional food a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food manufactured and processed using raw materials or ingredients useful for the human body. It refers to ingestion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useful effects for health purposes, such as medicinal effects.
  • the health functional food may have any one form of tablets, capsules, powders, granules, liquids, and pills.
  • the food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food composition in the form of adding functional ingredients to various foods or beverages.
  • the food may have, for example, any one of beverages, powdered beverages, solids, chewing gum, tea, vitamin complexes, and food additiv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it relates to an in vitro composition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including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through .
  • the in vitro composition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for experimental purposes, and may be a composition for treating isolated cells or tissues requiring nerve regeneration due to nerve damage.
  • the in vitro composition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medium composition comprising an extracellular vesicle derived from a three-dimensional spheroidal cell aggregate, and the medium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 medium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such as a medium containing serum (eg, fetal bovine serum, horse serum and human serum).
  • the medium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example, RPMI series, EMEM, MEM, Iscove's MEM, 199 medium, CMRL 1066, RPMI 1640, F12, F10, DMEM, a mixture of DMEM and F12, Way-mo, McCoy's 5A, or a medium known in the art suitable for culturing cells in need of nerve regeneration.
  • the regeneration of nerves may be used to include both for inducing neurogenesis,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nerves, or for inducing recovery of neural circuit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comprises the steps of (a) culturing stem cells in a microwell having a diameter of 200 to 800 ⁇ m and a depth of 100 to 1000 ⁇ m (3D, 3 dimension) to prepare a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and (b) separating the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
  • three-dimensional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with excellent nerve regeneration promoting effect can be rapidly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according to GMP standards.
  •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buffer (25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0.5 % triton X-100, 1 % Na-deoxycholate, 0.1 % sodium dodecyl sulfate ( SDS) and protease inhibitors).
  • RIPA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 a total of 20 ⁇ g of protein was separated by SDS-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 and transferred to a nitrocellulose membrane (Bio-Rad, Hercules, CA, USA).
  • the nitrocellulose membrane was then subjected to histone H2A.Z, histone H3, lamin A/C, flotilin-1 (1:1,000,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 or calreticulin (1:1,000, ThermoFisher Scientific, Inc., Rockford, IL, USA) and incubated overnight at 4°C with primary antibody. After washing with Tris-buffered saline-Tween 20, the nitrocellulose membrane was horseradish peroxidase (HRP)-conjugated secondary antibody (1:1,000, anti-rabbit, Cell Signaling Technology, Beverly, MA, USA) for 2 hours. Proteins were prepared by Thermo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 was detected using a chemiluminescent substrate. The labeled protein was visualized via X-ray film (Agfa, Mortsel, Belgium).
  • HRP horseradish peroxidase
  • ELISA was performed with a commercial ki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manufacturer's manual. The following ELISA kits were used: Gentamicin (5111GEN, EuroProxima, Arnhem, Nederland), Bovine Albumin (8100, Alpha Diagnostic, San Antonio, TX, USA), Hsp70 (Abcam, Cambridge, UK), CD63, CD9 and CD81 (System Biosciences, Palo Alto, CA, USA), histone H2A.Z.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calreticulin (Mybiosource) and cytochrome C (ThermoFisher Scientific, Inc.). All kits contain standard proteins; Therefore, the amount of protein and extracellular vesicles is determined based on the standard curve of each kit.
  • RT reverse transcription
  • CFSE 5-(and-6)-Carboxyfluorescein Diacetate, Succinimidyl Ester labeling dye (c-1157, Invitrogen)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s instructions. Excess dye was removed by ultracentrifugation at 100.000 g for 1 hour. Labeled EVs (0.4 ⁇ g/ml) were treated with human NSC cell line (ReNcells®) and cultured for 24 hours. After treatment, cells were washed twice with PBS and stained using conventional immunocytochemistry protocols. Cells were incubated overnight at 4°C with mouse anti-SMA (1:100, Sigma aldrich) antibody.
  •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incubated with a secondary antibody, DyLight-labeled anti-mouse IgG (1:200, 594nm, Abcam) antibody.
  • DyLight-labeled anti-mouse IgG (1:200, 594nm, Abcam) antibody.
  • DAPI diamidino-2-phenylindole
  • Example 1 Isola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through three-dimensional culture of mesenchymal stem cells
  • WJ-MSC Human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WJ-MSC Human umbilical cor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 WJ-MSC of the 6-passage culture step (passage 6) prepared in Example 1.1 was washed in PBS, treated with trypsin (TrypLETM Express, GIBCO, NY, USA), and reacted for 5 minutes in a CO 2 incubator. Thereafter, a fresh serum-free medium was added to neutralize the trypsin to recover the cells, and a cell pellet was obtained using a centrifuge. Then, a fresh serum-free medium was added to prepare a cell suspension, and the cells were counted.
  • 3D-static -Spheroid culture solution a 3D spheroid-type cell aggregate culture medium (hereinafter, 3D-static -Spheroid culture solution) was prepared.
  • the 3D-static-spheroid culture medium prepared in Example 1.2 was recovered, and centrifuged at 2,500 g for 10 minutes at 2,500 g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and filtered through a 0.22 ⁇ m syringe filter. Thereafter, the 3D-static-spheroid culture medium was first separated by removing the protein through a 300 kDa hollow fiber membrane (Pall, NY, USA) using a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 system, and , was purified once more with physiological saline to obtain high purity 3D-static-spheroid-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hereinafter, 3D-static-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 3D-static-spheroid EV high purity 3D-static-spheroid-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the 3D-static-spheroids prepared in Example 1.2 were analyzed for characteristics of 3D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hereinafter, 3D-static-spheroids) present in the culture medium.
  • 3D-static-spheroid culture medium prepared in Example 1.2 was used, and as a comparison group, dynamic 3D cells disclosed in the registered patent (Application No. 10-2016-0053026,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 production method)
  • a 3D mesenchymal stem cel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hereinafter, 3D-dynamic-PEG spheroid) culture solution prepared by culturing mesenchymal stem cells for 5 days was used.
  • 3D-dynamic-PEG spheroid 3D mesenchymal stem cell spheroid-type cell aggregate
  • FIGS. 2a and 2b With an optical microscope, microwells containing each culture were observed and shown in FIGS. 2a and 2b, and the area change of s
  • the size distribution of the 3D-static-spheroid prepared in Example 1.2 and the 3D-dynamic-PEG spheroid prepared in Example 3 was measured, and based on the measured size distribution data, the coefficient of dispersion, skewness (skewness) and kurtosis were analyzed.
  • Skewness is a parameter that can determine the direction and degree of inclination of the distribution from the trend of the median. The closer to 1, the longer the tail is extended to the right, and the closer to -1, the longer the distribution is to the left. In the case of a normal distribution, the skewness is 0.
  • the kurtosis is a parameter indicating the sharpness of the data distribution. If the value is positive, it means that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data points are stacked in the central part, and when the value is negative, it means that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data points are stacked in the central part. do. In the case of a normal distribution, the kurtosis is 0.
  • 3D-Dynamic-PEG Spheroids 3D-Static-Spheroids number of spheroids 154 155 Size Range 108.4 - 225.0 um 55.0 - 95.0 um size (mean ⁇ SD) 148.66 ⁇ 20.89 um 74.43 ⁇ 7.756 um Coefficient of variance 14.1% 9.59% Skewness 0.694 ⁇ 0.195 -0.745 ⁇ 0.195 Kurtosis 0.350 ⁇ 0.389 1.799 ⁇ 0.389
  • Example 4 Morphological analysis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3D spheroidal cell aggregates
  • the 3D-static-spheroid EV isolated in Example 1.3 was photographed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 to observe the shape of the EV. Specifically, 3D-static-spheroid EVs were fixed with 1% OsO 4 dissolved in 0.1M phosphate buffer (PB) for 2 hours. The EM grid was adsorbed for 1 minute with the formvar side facing down on the extracellular vesicle droplets. Then blotted with filter paper and reacted with 2% uranyl acetate for 15 seconds. Excess uranyl acetate was removed, and the EM grid was observed using a TEM (JEM-1011, JEOL, Japan), and the observation image is shown in FIG. 4 .
  • TEM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 the 3D-static-spheroid EV had a round shape, which is a typical extracellular vesicle shape.
  • Example 1.3 In order to confirm the concentration and size distribution of 3D-static-spheroid EVs isolated in Example 1.3, NTA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using NanoSight NS300 (Malvern, Worcestershire, UK) was performed. For optimal analysis, 3D-static-spheroid EVs were pre-diluted in vesicle-free phosphate buffer (PBS). The average size and concentration (particle/mL) were calculated by integrating three record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5 .
  • PBS vesicle-free phosphate buffer
  • the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3D-static-spheroid EV was 182.5 nm, and the mode diameter was 106.1 nm.
  • Example 6 Expression marker analysis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3D spheroidal cell aggregates
  • Example 1.3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expression markers.
  • Cell lysate and secretome were used as controls.
  • the cell lysate was prepared by washing the 3D-static-spheroid with PBS, and recovering the cells after treatment with trypsin, and using a centrifuge for the recovered cells to obtain a cell pellet.
  • the secretory body was prepared by isolating the EV from the culture medium, which is the supernatant, through the process of Example 1.3, and obtaining the remaining cultured secretory body.
  •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positive markers CD9, CD63, CD81 and HSP70 were quantified using ELISA, and specific contaminant protein markers such as calreticulin, histone H2A.Z, cytochrome C, albumin, and antibiotics were quantified.
  • histone H2A.Z, histone H3, lamin A/C, and calreticulin which are specific contaminant protein markers of extracellular vesicles, were quantified using Western blot, and protilin-1, an extracellular vesicle-positive marker, was quantified.
  • ELISA analysis results and Western blot results are shown in FIG. 6 .
  • 3D-static-spheroid EVs express all of the extracellular vesicle-specific positive markers CD9, CD63, CD81 and HSP70, and contaminant proteins highly expressed in cell lysates and secretome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rkers calreticulin, histone H2A.Z, histone H3, cytochrome C, albumin (BSA, bovine serum albumin), lamin A/C and antibiotics were hardly expressed.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the extracellular vesicle-positive marker Flotilin-1, which is expressed very low in the cell lysate, was expressed relatively high in 3D-static-spheroid EV.
  • Example 7 Analysis of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3D spheroidal cell aggregates
  • 3D-static-spheroid EV which is an extracellular vesicle prepared by the preparation method of Example 1, extracellular vesicle (3D-dynamic-PEG spheroid EV) isolated from the 3D-dynamic-PEG spheroid of Example 2, a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production of extracellular vesicles (2D-EV) isolated from stem cells cultured by a conventional 2D culture method.
  • 2D-EV was prepared by the following process. The stem cells cultured for 3 days in a cell stack are washed with PBS, and then cultured for 2 additional days by replacing with a serum-free medium. Recover the culture medium and continuously remove cellular debris using centrifugation and 0.2 ⁇ m filters.
  • the culture medium was first separated by removing proteins through a hollow fiber membrane using a TFF system, and purified with physiological saline once more to obtain high-purity 2D-EV.
  • the production of the prepared 3D-static-spheroid EV, 3D-dynamic-PEG spheroid EV and 2D-EV per cell was compared, and it is shown in Table 2 and FIG. 7 .
  • a sequencing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miRNA component contained in the 3D-static-spheroid EV, which is an extracellular vesicle prepared by the preparation method of Example 1, and the miRNA component contained in the 3D-static-spheroid EV was analyze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
  • 358 miRNAs including miRNAs related to stroke pathophysiology and therapeutic effects of stem cells/EVs were detected with values of normalized RC 4 or higher.
  • GO and KEGG analysis were performed on the top 50 expressed miRNAs detected.
  • GO analysis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expressed miRNAs and intracellular protein transport and phosphorylation, axon induction, brain development, glutamatergic synapses and neuronal protrusions, and DNA-binding transcriptional activator activity.
  • 3D-static-spheroid EV As KEGG pathways related to miRNAs abundant in 3D-static-spheroid EVs, pathways linked to biological functions including cancer, axon induction,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and endocytosis were identified. In particular, 3D-static-spheroid EV contained more miRNA-132 than 2D-EV, and it was confirmed that 3D-static-spheroid EV could promote new neurogenesi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MeCP2 in neural stem cells. became
  • miRNAs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were confirmed.
  • the in vitro function of miRNAs with a high level of expression change was confirmed in neural stem cells (ReNcell).
  • miR-132 induced the proliferation of neural stem cells upon transformation into neural stem cells, and miR-132-3p was confirmed to be involved in the proliferation of neural stem cells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PSD95.
  • miRNA-27a, miR-146a and miR-146b are also known to be involved in neuronal and angiogenesis.
  • the 3D-static-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 expression of miR-132, miR-27a, miR-146a and miR-146b involved in nerve regeneration as described above, so it is clinically used in the field of nerve regen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it is an extracellular vesicle that can be usefully used.
  • Stem cell therapeutics are known to have a problem with donor variation in which components differ depending on the donor.
  •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confirm that the 3D-static 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 more consistent miRNA profile without the issue of donor variation.
  • Samples from each donor were purchased from Samsung medical center (Seoul, Korea) and used. The number of EVs produced by donor, the amount of EV protein, miRNA profiles were compared. miRNA was profiling miRNA by small RNA sequencing metho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S. 10A to 10B .
  • 2D-cultured WJ-MSC-derived 2D-EV showed deviations in the amount of EV produced, size, and amount of EV-produced protein for each donor, but 3D-static-spheroid EVs differed between donors. showed consistent results without significant deviation.
  • 3D-static-spheroid EV exhibits a consistent miRNA profile without an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onor, and in particular, miR-27a-3p (1.5 times), miRNA- It was confirmed that 146a (2.3 times) and miRNA-132 (2.6 times) were more uniformly includ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miR-181b, another miRNA related to nerve regeneration, also exhibited uniform expression among donors.
  • 3D-static-spheroid EV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it was treated with target cells, neural stem cell pNSCs, for 6 hours, and then the mRNA expression level related to nerve regeneration in neural stem cells was confirmed through qPCR. did.
  • the 3D-static-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ared to WJ-2D-EV or 3D-dynamic-spheroid EV, miR-27a, miR-132, miRNAs related to nerve regeneration, It was confirmed that miR-146a and miR-146b a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contain more VEGF, BDNF, FGF, and NGF mRNA, so it can be expected to show a better effect on nerve regener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EV.
  • CFSE-labeled 3D-static-spheroid EVs were treated with human NSC cell lines (ReNcells®). Incubated for 24 hours, confirmed with a confocal microscope (LSM 700, Carl Zeiss, Germany), and at 12 hours, the expression of miR-27a-3p in ReNcells ® was confirmed by qPCR, and the result is shown in FIG. 12 . It was.
  • FIG. 12A it was confirmed that when cells were treated with 3D-static-spheroid EVs, they were incorporated into cells and internalized (internalization).
  • FIG. 12B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miR-27a-3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cells treated with 3D-static-spheroid EV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 3D-static-spheroid EVs were treated on target neurons, neurogenesis-promoting substances highly expressed in 3D-static-spheroid EVs, such as miR-27a-3p, were effectively delivered to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3D-static-spheroid EVs can be used as therapeutic agents for nerve regeneration.
  • neural differentiation capacity of two-dimensionally culture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2D-EV) and 3D-static-spheroid EV
  • 2D-EV two-dimensionally cultured stem cell-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 3D-static-spheroid EV primary culture from the cerebral cortex isolated from SD rat embryos at day 14.5
  • NGF nerve growth factor
  • the neural differentiation ability according to 2D-EV, 3D-static-spheroid EV, NGF, and basal medium treatmen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length of neurites under a microscope on the fourth day of treatment and culture,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3 .
  • PT stroke was induced in the right-hand sensorimotor cortex of 20-25 g (8-12 weeks old) adult male C57BL/6J mice (Orient Bio Inc., Seongnam, Korea). Briefly, mice were anesthetized by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of a mixture of ketamine (100 mg/kg, Yuhan, Seoul, Korea) and xylazine (10 mg/kg, Rompun®inj., Bayer, Berlin, Germany) and a stereotaxic device (KOPF Instruments). , Tujunga, CA, USA).
  • Rose Bengal solution (30 mg/kg, saline 10 mg/m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 was administered intravenously by jugular vein, after 5 min, 100 mW, 532 nm providing a 3 mm diameter illumination.
  • a diode-pumped solid-state green laser (Dongwoo Optron Co., Ltd., Gwangju) was placed 2.5mm from the side of the bregma. The laser was activated for 15 min in the region of interest (ROI) and the incision site was sutured using 6-0 monofilament sutures. During surgery, the rats were maintained at a body temperature of 37.0-37.5°C.
  • infarct lesion volume and ventricular volume were measured by T2-weighted image (T2WI) image to investigate morphological changes by MRI.
  • 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was induced using the intraluminal occlusion method.
  • 8-week-old male Sprague-Dawley rats (270-300 g) were anesthetized with 1.5% isofloran during surgery, and a heating pad was used to maintain the rat's body temperature at 37 to 37.5° C. during surgery and occlusion.
  • a round-ended 4-0 surgical monofilament nylon suture was transferred from the left common carotid artery into the lumen of the internal carotid artery until it blocked the origin of the middle cerebral artery. Reperfusion was performed 90 minutes after tMCAo.
  • 3D-static-spheroid EV of 3 doses (0.3x10 10 /rat, 1.5x10 10 /rat, 3.0x10 10 /rat) was intravenously injected into the ischemic stroke animal prepared in Example 11.3.
  •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as performed using DCX, a neuron-positive marker, and Ki67, a cell proliferation marker, as an observation index for neurogenesis in brain tissue.
  • the results of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d quantified Ki67/DCX results for each dose experimental group are shown in FIG. 15 .
  • 3D-static-spheroid EV (6x10 8 EV/mouse) was injected into the blood vessels of mice to investigate changes in brain microstructure/connectivity using DTI (diffusion-tensor imaging) did.
  • rFA rFD 14 days 28 days 14 days 28 days Internal Capsule (IC) control group 1.02 ⁇ 0.02 1.01 ⁇ 0.02 0.85 ⁇ 0.04 0.99 ⁇ 0.02 EV group 1.08 ⁇ 0.01 ** 1.09 ⁇ 0.02 * 1.22 ⁇ 0.01 ** 1.24 ⁇ 0.05 ** External Capsule (EC) control group 0.96 ⁇ 0.04 0.91 ⁇ 0.03 0.59 ⁇ 0.02 0.89 ⁇ 0.04 EV group 1.06 ⁇ 0.02 * 1.22 ⁇ 0.05 ** 0.96 ⁇ 0.01 ** 1.12 ⁇ 0.07 *
  • DTT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 Resting state functional MRI was confirmed 28 days after stroke induction in the cerebral infarction animal model prepared in Example 11.1 to see the neural circuit enhancement by the extracellular vesicles.
  •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3D-static-spheroid EV group was performed for 16 regions of interest. Six cortical and two cortical regions from the ipsilesional and contralesional aspect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18 .
  • the excellent effect of the 3D-static-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 the cell number specifications per microwell were changed from 400 cells/well to 200 cells/well. , or by changing the diameter and depth of the microwell from 500 ⁇ m ⁇ 200 ⁇ m to 500 ⁇ m ⁇ 600 ⁇ m, or 800 ⁇ m in diameter, with a flat well without depth.
  • Experimental Example 1 Experimental Example 2
  • Experimental Example 3 Number of cells per microwell (cell/microwell) 400 400 200 diameter of microwell ( ⁇ m) 500 800 4-500 depth of microwell ( ⁇ m) 600 / 200
  • WJ-MSC of the 6-passage culture step (passage 6) prepared in Example 1.1 was washed in PBS, treated with trypsin (TrypLETM Express, GIBCO, NY, USA) and reacted for 5 minutes in a CO 2 incubator. Thereafter, a fresh serum-free medium was added to neutralize the trypsin to recover the cells, and a cell pellet was obtained using a centrifuge. Then, a fresh serum-free medium was added to prepare a cell suspension, and the cells were counted.
  • the spheroid-type cell aggregate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were also averaged 0.8751, 0.8669, 0.8601, respectively, similar to the average value of the roundness of 0.8697 (CV 2.64%) of the 3D spheroid-type cell aggregate of Example 1 represents the roundness value, and similarly to 0.9488 (CV 2.64%), which is the average value of the solidity of the 3D spheroidal cell aggregate of Example 1, the spheroidal cell aggregate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also has an average value of 0.9744, 1, and 0.9752, respectively. It was confirmed that the
  • Example 1 Since it was confirmed that a spheroid-type cell aggregate having a shape similar to that of Example 1 can be prepared even under the conditions of Experimental Examples 1 to 3, extracellular vesicles were obtained by separating and obtaining additionally extracellular vesicles from them through the method of Example 1.3. It was confirmed whether the EVs also exhibited the same miRNA expression pattern. The miRNA expression pattern comparison was confirmed using the spheroid-type cell aggregate-derived extracellular vesicles prepared by the methods of Experimental Examples 1 and 2 under different microwell conditions. Expression miRNA analysis was confirmed through the same qPCR method as in Example 8.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2 . 2D-EV prepared in Example 7 and miRNA expression patterns were compared.
  • the 3D-static-spheroid EV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expression of miRNA and neurogenesis related to neurogenesis, excellent neurogenesis in vitro and in vivo , and neural circuit generation and stroke As the improvement effect is confirmed, it is expected to exhibit an excellent effect in preventing or treating various diseases requiring nerve damage and nerv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신경 재생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으로 제조된 세포외소포는 신경 생성, 신경 분화 또는 신경 회로 회복을 유도하여 신경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 재생이 필요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본 발명은 새로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조성물 및 신경 재생 촉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질환에서 줄기세포, 특히 중간엽 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를 이용한 치료법과 긍정적인 임상 결과들이 보고되어 왔다. 그러나 줄기세포치료제는 부작용으로 혈관 폐색, 종괴형성, 응고장애 등 세포관련 부작용의 위험성이 있으며, 아직까지 임상시험을 통해 효능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줄기세포의 근거리 분비(paracrine) 효과가 주변 피부세포의 재생과 혈관 재생능력이 증진을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s; EV)가 주요 근거리 분비 효과의 효능인자로 알려져 있다.
세포외소포란 크기에 따라 엑소좀(exosome)과 미세소포(microvesicle)로 분류하는데 엑소좀은 직경 30~150nm이며, 미세소포는 100~1,000nm의 크기를 갖는다. 세포외소포는 세포막 일부가 혈중으로 떨어져 나온 것으로, 단백질과 핵 성분 모두를 함유하고 있어 세포간 커뮤니케이션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줄기세포 대신 세포외소포를 사용하는 것은 줄기세포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여 안전성을 높일 뿐 아니라 생체 분포(biodistribution), 생산공정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뇌 신경가소성(brain neuroplasticity)은 신경경로가 구조 기능적으로 변화하고 재조직화되는 현상이다. 뇌경색 및 두부외상 등 뇌손상 뿐 아니라 치매 및 많은 퇴행성 신경질환에서 신경 경로의 손상 또는 감소가 증상 발생을 유발하게 된다. 현재까지 뇌 신경경로를 회복시키기 위한 가능한 치료나 방법은 없으며, 뇌경색 및 치매 등 뇌질환 환자에서 임상에 적용된 바 없다. 현재 물리치료나 행동치료 등이 이러한 환자에게 적용되고 있으나 그 치료 효과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신생신경 생성 증진 및 신경회로의 회복을 통한 뇌 신경가소성의 향상은 대부분의 뇌질환에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아직까지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세포외소포를 사용하기 위한 대량생산 및 수득방법 등이 확립되어 있지 않고, 줄기세포-유래 세포외소포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세포외소포가 가지고 있는 효능을 더욱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지지 않았다. 또한 특히 뇌 신경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포외소포에 대해서는 널리 연구된 바 없다.
따라서, 효능이 더욱 증진된 세포외소포 및 이를 이용한 새로운 치료제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또는 이로부터 유래한 세포외소포를 제조하기 위해, 대량 생산이 가능하면서, 배양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마이크로웰을 이용한 정적 배양을 통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3D-정적-스페로이드)를 제조하고, 이를 이용하여 세포외소포를 제조하면 신경 재생을 촉진하여 신경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세포외소포가 제조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경 재생능이 향상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제조하고, 이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in vitro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 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와 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새로운 방법으로 제조된 세포외소포는 신경 생성, 신경 분화 또는 신경 회로 회복을 유도하여 신경 가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신경 재생이 필요한 다양한 질환의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고, 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식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3D-동적-PEG 스페로이드 배양액이 담긴 마이크로웰을 관찰한 도이다.
도 2B는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이 담긴 마이크로웰을 관찰한 도이다.
도 2C는 3D-동적-PEG 스페로이드와 마이크로웰을 이용하여 제조한 3D-정적-스페로이드의 배양기간에 따른 응집체의 면적변화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3D-정적-스페로이드와 3D-동적-PEG 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를 비교한 도이다.
도 4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형태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도이다.
도 5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농도 및 크기 분포를 확인하기 위한 NTA(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발현 마커를 확인하기 위해, ELISA 및 웨스턴 블롯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유래 세포당 3D-정적-스페로이드 EV, 3D-동적-PEG 스페로이드 EV 및 2D-EV의 생산량을 비교한 도이다.
도 8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에서 높게 발현하는 뇌졸중 병태 생리 및 EV 치료 효과와 관련된 miRNA 및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2D-EV 대비 3D-정적-스페로이드 EV 에서 높게 발현하는 신경 재생 관련 miRNA 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a는 2D-EV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 (WJ-3D EV)에서 donor에 따른 EV 생산량, EV 크기, EV 포함 단백질 양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0b는 2D 배양 WJ-MSC, 3D 배양 WJ-MSC, 2D-EV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 에서 donor variation 및 신경 재생 관련 miRNA 발현량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신경줄기세포 pNSC 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처리한 후, VEGF, BDNF, GFG, NGF, HGF, ANGP1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가 세포 내로 내재화되는 것을 확인한 결과 (A)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처리한 세포에서 유의하게 miR-27a-3p 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한 결과(B)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 신경 분화촉진능을 신경돌기 길이를 측정하여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의 좌는 이를 현미경으로 확인한 결과, 도 13의 우는 신경돌기 길이 측정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뇌경색 동물모델에 대조군으로 PBS 또는 실험군으로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처리 후 (a) 뇌경색 병변 및 (b) 뇌실의 부피 변화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뇌경색 동물 모델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처리 후, 신경 형성 정도를 면역형광 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은 뇌경색 동물 모델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주입한 후, 운동 기능 상실 회복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a): internal Capsule, (b): External Capsule.
도 17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 주입 후 신경회로 변화를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이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를 14일차 (도 17a), 28 차 (도 17b) 에 나타낸 도이다. (a) 이미징 평면 및 색상 정보. 색상은 섬유 관의 주된 방향을 나타낸다 (빨간색, 왼쪽-오른쪽; 녹색, 열등감; 파란색, 앞뒤). 3D-정적-스페로이드 EV 로 처리한 후 14 일째에 외부 캡슐 (상부) 및 내부 캡슐 (아래) ROI로부터의 대표적인 섬유 트랙 그래프이다. (b) PBS 단독 (c) 흰색 화살표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 투여 동물에서 증가된 신경 섬유를 나타낸다.
도 18은 뇌졸중 유도 28일 후 resting state functional MRI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EV 그룹: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도 19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회로생성 효과에 따른 기능회복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한, 앞다리 비대칭 테스트 (실린더 테스트) 와 발 결함 테스트(그리드 보행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기능적 회복과 MRI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a) 실린더 테스트와 내부 캡슐의 상대 섬유 밀도 (rFD), (b) 실린더 테스트 및 interhemispheric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RSFC), (c) 그리드 보행 테스트 및 내부 캡슐의 rFD (d) 격자 보행 시험 및 striatum의 interhemispheric RSFC, (e) striatum의 interhemispheric RSFC 및 내부 캡슐의 rFD 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21 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 제조에 있어, 마이크로웰의 직경, 깊이와 웰 당 세포 수를 달리한 후 제조되는 3D 스페로이드 크기, Roundness, Solidity 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2는 다양한 조건으로 제조된 3D-정적-스페로이드 EV와 2D-EV 에서 발현되는 miRNA-132의 발현양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는 세포외소포의 분리가 가능한 세포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자연계 생물 개체로부터 분리된 세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는 인간 및 비인간 포유류를 포함하는 임의 유형의 동물, 식물 유래일 수 있고, 다양한 종류의 면역세포, 종양세포, 줄기세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만능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또는 배아줄기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차원 배양은 시험관 내에서 입체적 배치를 취하게 한 상태로 배양하는 것을 의미하며, 2차원 배양과 달리 3차원 배양 시 세포 성장은 세포로 하여금 생체 외 (in vitro)에서 모든 방향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그것은 생체 내 (in vivo)에서의 세포 환경과 더욱 유사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3차원 배양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알려진 모든 3차원 세포 배양 기술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예컨대, 마이크로웰 어레이 배양, 다공성 미립구 배양, hanging drop 배양, low attachment plate 배양, membrane 기반 cell-detachment 배양, thermal lifting 배양, 원심분리 배양, semisolid medium 배양 등을 이용한 세포 배양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3차원 배양은 동적(dynamic) 배양 또는 정적(static) 배양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정적(static)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단계의 3차원 배양을 정적(static) 배양하는 경우 진탕배양에 필요한 장치들을 필요로 하지 않아 배양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우수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제조소에서 대량 배양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3차원 (3 dimension) 배양은 1 내지 10일간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일간 배양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배양을 2 내지 4일간 배양하는 경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내 존재하는 세포의 생존률이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며, 기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제조 과정에 비해 배양시간이 상대적으로 짧아, 신속하게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및 이로부터 유래한 세포외소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3차원 배양은 마이크로 웰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100 내지 1000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여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600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여 배양하는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500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여 배양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는 세포 또는 세포 응집체를 포함하는 시료를 압출, 초음파 분해, 세포 용해, 균질화, 냉동-해동, 전기천공, 화학 물질 처리, 기계적 분해 및 외부적으로 세포에 힘을 가한 물리적 자극의 처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젠셜 플로우 여과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 방법으로 분리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MicroRNA의 명명은 "mir"를 앞에 붙이고, 뒤에 "-"와 숫자를 넣는다. 이때 숫자는 종종 명명한 순서를 나타내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mir-123은 mir-156보다 앞서 명명되었으며 보다 먼저 밝혀졌을 것으로 예상된다. "mir-"는 pre-microRNA를 나타내며, 대문자가 있는 "miR-"은 mature microRNA를 의미한다. 한두 개의 서열을 제외하고 거의 동일한 서열의 microRNA들은 소문자를 추가하여 명명한다. 예를 들어 miR-121a와 miR-121b는 각각의 precursor인 mir-121a와 mir-121b에서 생성되었으며 서열도 매우 유사하다. Mature microRNA는 동일하지만 게놈상에서 다른 부위에 위치한 pre-microRNA는 추가로 "-"와 숫자를 넣어 명명한다. 일례로 pre-microRNA인 mir-121-1과 mir-121-2는 동일한 mature microRNA(miR-121)가 되지만, 게놈상에서 다른 부위에 위치해 있다. 종에 따른 microRNA의 명명은 앞쪽에 표기한다. 예를 들어 hsa-miR-123는 인간(Homo sapiens) microRNA, oar-miR-123는 양 (Ovis aries) microRNA이다. 'v'는 viral(miRNA encoded by a viral genome), 'd'는 Drosophila microRNA를 의미한다. 두 개의 mature microRNA가 동일한 pre-microRNA의 서로 다른 arms (3' arm 또는 5' arm)에서 유래한 경우, '-3p' 또는 '-5p'를 뒤쪽에 추가하여 명명한다. miR-142-3p는 3' arm에서 유래한 것이고, miR-142-5p는 5' arm에서 유래한 것이다. MicroRNA의 명명법은 일반적으로 위와 같은 기준을 따르지만 예외의 경우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물질을 공지된 세포외소포와 비교하여 고발현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물질은 신경 재생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세포외소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및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 대비 신경 재생과 관련된 miR-27a, miR-132, miR-146a 및 miR-146b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발현하는 것일 수 있고,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FG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NG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발현하는 것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세포외소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및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 대비 신경 재생과 관련된 miR-27a, miR-132, miR-146a 및 miR-146b, VEGF, BDNF, FGF 및 NGF를 모두 고발현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포외소포는 세포에 처리시 세포 내로 혼입되어 내재화(internalization) 되는 것 일 수 있으며, 세포 내로 혼입되어 내재화 되는 경우, 세포외소포에서 고발현하는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물질을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세포에서 높게 발현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신경 재생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는 "3D-정적-스페로이드-EV" 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비교하여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는 "3D-동적-PEG-스페로이드-EV" 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분리한 세포외소포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는 것 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등록특허(출원번호 10-2016-0053026, 줄기세포 유래의 세포외소포체 생산방법)에 개시된 세포외소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는 줄기세포를 통상적인 2차원 배양방법에 따라 배양하고, 통상적인 세포외소포 분리방법에 의해 분리된 세포외소포라면 제한없이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통상적인 2차원 배양방법을 세포 스택(Cell stack)에서 3일간 배양한 줄기세포를 PBS 세척하고,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2일간 추가 배양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는 평균 직경이 74.43 ± 7.756 μm 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5.0μm 크기 범위를 갖고, 155개의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크기 분포 측정 결과 평균 직경이 74.43μm, 분산계수(CV)가 9.59%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는 크기 분포의 첨도가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대비 높은 것 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크기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와 비교하여 크기가 작고, 상대적으로 균일한 크기분포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웰은 TMSPMA(3-(Trimetoxysily) propylmethacrylate), HEA(Hydroxyethyl acrylate), GMA(Glycidyl methacrylate), EGDMA(diethyleneglycol dimethacrylate), THFA(Tetrahydrofurfuryl acrylate), HMAA(Hydroxymethul acrylamide), PEA(Phenyl epoxyacrylate), HOFHA(6-Hydroxy-2, 2,3,3,4,4,5,5-octafluoro), EOPT(Polyethoxylated(4)pentaerythritoltetraacrylate), HPA(Hydroxypropyl acrylate), BMA(Buthylmethacrlate), PETIA(Pentaerythritol triacrylate), HDDA(Hexan diol diacrylate), EGPEA(Ethyleneglycol phenyletheracrylate), BM(Benzylmethacrylate), HPPA(Hydroxyphenoxypropyl acrylate), BHPEA(2-(4-Benzoyl-3-hydroxyphenoxy)ethylacrylate), HEMA(Hydroxyethyl methacrylate), HPMA(N-(2-Hydroxypropyl) methacrylamide) 및 MPC(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코팅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MPC(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Polymer)로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마이크로웰은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8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 내지 800 μm 의 직경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웰은 깊이가 없는 평평한 구조의 마이크로웰이거나, 깊이를 형성하는 마이크로웰인 경우 100 내지 1000 μm,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90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900 μm인 구조를 갖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해 배양되는 중간엽 줄기세포가 배양시간 경과 후에도 높은 수준으로 생존률을 유지하는 것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이크로웰을 1,000개 내지 100,000개 포함하는 마이크로 어레이를 제작하여, 세포응집체의 생산 수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제조 방법"으로 세포외소포를 제조하면, 정적 배양에 따른 제조상의 장점과 더불어, 임상 적용성, 특히 신경 생성, 신경 분화 및 신경 회로 회복과 같은 신경 재생 능력이 향상된 세포외소포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량생산 할 수 있다. 특히,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제조방법 또는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 제조 방법과 같은, 기존의 세포외소포 제조 방법이 GMP에 부적합한 것과 달리, 본 발명의 세포외소포 제조 방법은 GMP 적용에 적합하다는 특징이 있으므로,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제조에 특히 적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 신경 가소성이란 신경경로가 구조 기능적으로 변화하고 재조직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처리에 의해 신경 재생, 신경 생성 유도, 신경 분화 유도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으므로 신경가소성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는 다양한 신경 계질환 및 신경 손상, 신경 재생이 필요한 상태에 적용가능하며, 본 발명의 세포외 소포가 적용될 수 있는 질환의 종류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척수 손상, 파킨슨병, 뇌졸중, 근위축성 척수측색경화증, 운동 신경손상, 외상에 의한 말초신경손상, 허혈성 뇌손상에 의한 신경 손상, 신생아 저산소성 뇌손상, 뇌성마비, 간질, 난치성 간질, 알츠하이머병, 선천성 대사성 신경계질환 및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 종 이상의 질환 또는 손상일 수 있다. 또한 특히, 본 발명의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는 신경 생성 유도용, 신경 분화 유도용 또는 신경 회로 회복 유도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가 신경 회로의 회복을 유도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동물 모델에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투여하고, MRI DTI(diffusion-tensor image)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신경 회로가 재생되고 신경 섬유의 증가가 촉진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외에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이밖에 다른 약학적 활성 성분이나 활성 혼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에 포함 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료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 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와 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개체는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인 것이 바람직하며, 신경계 질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로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 중인 환자,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받은 적이 있는 환자,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를 모두 포함하며,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하여 외과적 수술을 시행한 환자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 외 기존의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병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병용 처리하는 경우, 이는 신경 손상 또는 신경계 질환 치료를 위한 다른 약물 또는 치료방법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설명을 모두 동일하게 인용할 수 있다. 상기 식품은 특히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정의되는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다양한 식품 또는 음료 등에 기능성 성분을 첨가한 형태의 식품 조성물이 될 수있다. 상기 식품은, 예를 들어, 음료, 분말음료, 고형물, 츄잉검, 차, 비타민 복합제, 식품 첨가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in vitro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경 재생 촉진용 in vitro 조성물은 실험적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신경 손상에 의해 신경 재생이 필요한 분리된 세포, 조직에 처리하기 위한 목적의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경 재생 촉진용 in vitro 조성물은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일 수 있고, 상기 배지는 당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배지를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고, 예컨대 혈청(예컨대, 우태아 혈청, 말 혈청 및 인간 혈청)이 함유된 배지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배지는, 예를 들어, RPMI 시리즈, EMEM, MEM, Iscove's MEM, 199 배지, CMRL 1066, RPMI 1640, F12, F10, DMEM, DMEM과 F12의 혼합물, Way-mo, McCoy's 5A, 또는 신경 재생이 필요한 세포를 배양하기에 적합한 당 분야에 알려진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신경 재생은 신경 생성 유도용, 신경 분화 유도용 또는 신경 회로 회복 유도용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하면, 신경 재생 촉진효과가 우수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GMP 기준에 맞춰,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다.
중복되는 내용은 본 명세서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생략하며,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웨스턴 블롯
세포 및 세포외소포를 방사선 면역 침전 분석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RIPA) 완충제(25 mM Tris-HCl, pH 7.6, 150 mM NaCl, 0.5 % triton X-100, 1 % Na-deoxycholate, 0.1 % sodium dodecyl sulfate (SDS) 및 단백질 분해 효소 억제제)에 용해시켰다. 총 20㎍의 단백질을 SDS-폴리아크릴아미드 겔 전기 영동으로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막 (Bio-Rad, Hercules, CA, USA)에 옮겼다. 그 다음,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을 히스톤 H2A.Z, 히스톤 H3, 라민 A/C, 플로틸린-1 (1:1,000, Cell signaling technology, 비벌리, MA, USA) 또는 칼레티쿨린 (1:1,000, ThermoFisher Scientific, Inc., Rockford, IL, USA)에 대한 일차항체와 함께 4℃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Tris-완충 식염수-트윈 20 (Tris-buffered saline-Tween 20)으로 세척 후, 니트로셀룰로오스 막을 겨자무과산화효소(horseradish peroxidase, HRP)-접합 이차 항체 (1:1,000, 항-토끼, Cell Signaling Technology, 비벌리, MA, USA)와 함께 2 시간 배양하였다. 단백질을 ThermoFisher Scientific, Inc. (Waltham, MA, USA)의 화학 발광 기질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표지 단백질을 X-선 필름(Agfa, Mortsel, Belgium)을 통해 시각화하였다.
ELISA
ELISA는 개별 제조업체의 메뉴얼에 따라 상용 키트로 수행하였다. 다음과 같은 ELISA 키트를 사용하였다 : 겐타마이신 (5111GEN, EuroProxima, Arnhem, Nederland), 소 알부민 (8100, Alpha Diagnostic, San Antonio, TX, USA), Hsp70 (Abcam, Cambridge, UK), CD63, CD9 및 CD81 (System Biosciences, Palo Alto, CA, USA), 히스톤 H2A.Z. (Mybiosource, San Diego, CA, USA), 칼레티쿨린 (Mybiosource) 및 사이토크롬 C (ThermoFisher Scientific, Inc.). 모든 키트에는 표준 단백질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단백질 및 세포외소포의 양은 각 키트의 표준 곡선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qPCR
EV에서 TrizolTM 을 이용하여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RNA를 추출하고 나노드롭(nanodrop)으로 RNA를 정량하였다. RNA는 역전사반응 (reverse transcription;RT) 과정을 거쳐 cDNA로 만들고, 각각의 miRNA 및 mRNA에 적합한 Taqman probe를 사용하여 제조업체의 매뉴얼에 따라 Real Time PCR을 진행하였다.
EV 라벨링 및 세포에 의한 흡수
정제된 EV를 제조업체의 지침에 따라 CFSE (5- (and-6) -Carboxyfluorescein Diacetate, Succinimidyl Ester) 라벨링 염료 (c-1157, Invitrogen)로 염색하였다. 1시간 동안 100.000 g 조건에서 초 원심분리하여 과잉 염료를 제거하였다. 표지된 EV (0.4μg/ml)를 인간 NSC 세포주 (ReNcells®) 에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처리 후, 세포를 PBS로 2 회 세척하고 통상적인 면역 세포 화학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다. 세포를 마우스 항-SMA (1 : 100, Sigma aldrich) 항체와 함께 4 ℃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그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2 차 항체인 DyLight 표지된 항 마우스 IgG (1 : 200, 594nm, Abcam) 항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1.5 μg/mL 4'-6' diamidino-2-phenylindole (DAPI) (Vector Laboratories)과 함께 VectashieldTM를 사용하여 핵 염색 한 후, 공 초점 현미경 (LSM 700, Carl Zeiss, Germany)을 사용하여 세포를 이미지화하였다.
실시예 1. 중간엽 줄기세포의 3차원 배양을 통한 세포외소포 분리
1.1 중간엽 줄기세포의 준비
5 계대배양(passage 5) 단계의 인간 탯줄 유래의 중간엽 줄기세포(이하, WJ-MSC, Samsung medical center, 서울, 한국)를 분양받아 37 ℃, 5 %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성장 배지는 10 % 우태아 혈청 (FBS) (GIBCO, NY, USA) 및 50 μg/mL 젠타마이신 (GIBCO, NY, USA)을 함유하는 α-modified eagle's medium(α-MEM, GIBCO, NY, USA)을 사용하였다. 6 계대배양(passage 6) 단계의 WJ-MSC를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제작에 사용하였다.
1.2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배양액 제작
상기 실시예 1.1에서 제작한 6 계대배양(passage 6) 단계의 WJ-MSC를 PBS에 세척하고, 트립신 (TrypLETM Express, GIBCO, NY, USA) 처리하여 CO2 배양기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새로운 무혈청배지를 넣어 트립신을 중화시켜 세포를 회수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새 무혈청배지를 넣어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세포를 계수하였다. 세포 계수 후, MPC(2-Methacryloyloxyethyl Phosphorylcholine Polymer)로 코팅된 직경과 깊이가 각각 500 μm × 200 μm인 마이크로웰을 약 69,000 여개 포함하는 마이크로어레이에 60 ml의 세포 현탁액을 400 cell/well의 밀도가 되도록, 균일하게 분주하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자발적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형성을 유도하고, 총 4일간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배양액(이하,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1.3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분리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을 회수하고, 세포 이물질 제거를 위해, 2,500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0.22 μm 시린지 필터로 여과하였다. 이후,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을 탄젠셜 플로우 여과 (Tangential Flow filtration, TFF) 시스템을 이용해 300kDa의 hollow fiber membrane(Pall, NY, USA)을 거쳐 단백질을 제거하여 세포외소포를 1차 분리하고, 생리식염수로 한 번 더 정제하여 순도 높은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유래 세포외소포(이하,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수득하였다.
상기 실시예 1.1 내지 1.3의 과정을 도식화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특성 분석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 내 존재하는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이하, 3D-정적-스페로이드)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으로,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3D-정적-스페로이드 배양액을 사용하였으며, 비교군으로, 등록특허(출원번호 10-2016-0053026, 줄기세포 유래의 세포외소포체 생산방법)에 개시된 동적 3D 세포 배양 방법에 따라, 5일간 중간엽 줄기세포를 배양하여 제조한 3D 중간엽 줄기세포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이하, 3D-동적-PEG 스페로이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광학현미경으로, 각각의 배양액이 담긴 마이크로웰을 관찰하여, 이를 도 2a, 2b에 나타내었고, 배양 초기 대비 배양 후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면적 변화를 도 2c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군인 3D-정적-스페로이드와 비교군인 3D-동적-PEG 스페로이드의 면적을 비교한 결과, 세포가 조밀하게 응축되어 스페로이드를 형성하는 특성에 따라 3D-동적-PEG 스페로이드 대비 3D-정적-스페로이드는 배양 초기의 스페로이드 대비 면적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p=0.0011).
실시예 3.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크기 분석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3D-정적-스페로이드와 실시예 3에서 제조한 3D-동적-PEG 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를 측정하고, 측정된 크기 분포 데이터를 토대로, 분산계수,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를 분석하였다.
왜도는 중앙값의 추이로부터 분포가 기울어진 방향과 정도를 알 수 있는 파라미터로 1에 가까울수록 오른쪽으로 꼬리를 길게 뻗은 분포를 나타내며, -1에 가까울수록 왼쪽으로 꼬리를 길게 뻗은 분포를 나타낸다. 정규분포인 경우의 왜도는 0이다.
첨도는 자료 분포의 뾰족함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로, 값이 양수인 경우 중앙 부분에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자료점이 쌓여있는 것을 의미하며, 음수인 경우 중앙 부분에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자료가 쌓여있는 것을 의미한다. 정규분포인 경우의 첨도는 0이다.
측정한 크기 분포 데이터를 도 3에 나타내었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3D-동적-PEG 스페로이드 3D-정적-스페로이드
스페로이드 수 154 155
크기 범위(Range) 108.4 - 225.0 um 55.0 - 95.0 um
크기 (mean ± SD) 148.66 ± 20.89 um 74.43 ± 7.756 um
분산계수 (Coefficient of variance) 14.1% 9.59%
왜도 (Skewness) 0.694 ± 0.195 -0.745 ± 0.195
첨도 (Kurtosis) 0.350 ± 0.389 1.799 ±0.389
도 3 및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의 평균 크기가 74.43um, 분산계수(CV)가 9.59%인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대조적으로, 3D-동적-PEG 스페로이드는 평균 크기가 148.66um, 분산계수(CV)가 14.1%인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한 분산계수를 비교 검정하기 위해, Feltz and Miller's (1996) asymptotic test를 실시한 결과, p value값이 0.01765604로 산출되었으며, Krishnamoorthy and Lee's (2014) modified signed-likelihood ratio test를 실시한 결과, p value값이 0.01853969로 산출되었다. 따라서, 두가지 테스트 모두에서 3D-정적-스페로이드와 3D-동적-PEG 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상이한 양상을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D-정적-스페로이드와 3D-동적-PEG 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를 비교한 결과, 3D-정적-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의 첨도 값이 상대적으로 큰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의 크기 분포는 중앙값에 많이 몰린 양상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제조방법으로 3D 스페로이드를 제조하면, 크기가 상대적으로 일정한 3D 스페로이드의 제조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형태 분석
실시예 1.3에서 분리한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형태를 관찰하기 위해 전자현미경(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EM)을 이용하여 촬영하였다. 구체적으로,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0.1M 포스페이트 완충액(PB)에 용해된 1 % OsO4로 2시간 동안 고정시켰다. EM 그리드를 세포외소포 방울 위에 포름바(formvar)측 면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1분간 흡착시켰다. 그 후, 여과지로 블로팅하고, 15 초 동안 2 % 우라닐 아세테이트와 반응시켰다. 과량의 우라닐 아세테이트를 제거하고, EM 그리드를 TEM (JEM-1011, JEOL, Japan)을 사용하여 관찰하였으며, 관찰 영상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전형적인 세포외소포의 형태인 둥근 형상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농도 및 크기 분석
실시예 1.3에서 분리한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농도 및 크기 분포를 확인하기 위해, NanoSight NS300 (Malvern, Worcestershire, UK)를 이용한 NTA(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를 실시하였다. 최적의 분석을 위해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소포(vesicle)가 없는 포스페이트 완충용액(PBS)에 미리 희석하였다. 평균 크기 및 농도 (particle / mL)는 3 개의 기록을 통합하여 계산하였으며,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평균 입자 직경은 182.5nm이고, 모드 직경은 106.1nm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발현 마커 분석
실시예 1.3에서 분리한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발현 마커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 세포 용해물(cell lysate)과 분비체(secretome)을 사용하였다. 세포 용해물은 3D-정적-스페로이드를 PBS 세척하고, 트립신을 처리한 후 세포를 회수하여, 회수된 세포를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세포 펠렛을 수득하는 방법으로 준비하였다. 분비체는 상기 세포 펠렛 수득 후, 상층액인 배양배지에서 실시예 1.3의 공정을 통해 EV를 분리하고, 남은 배양 분비체를 얻는 방식으로 준비하였다. 마커 분석은 ELISA를 이용하여 세포외소포 특이적인 양성 마커 CD9, CD63, CD81 및 HSP70을 정량하였으며, 특정 오염 단백질 마커인 칼레티큘린, 히스톤 H2A.Z, 사이토크롬 C, 알부민, 항생제를 정량하였다. 또한, 웨스턴 블롯을 이용하여 세포외소포의 특정 오염 단백질 마커인 히스톤 H2A.Z, 히스톤 H3, 라민 A/C, 칼레티큘린을 정량하였고, 세포외소포 양성 마커인 플로틸린-1을 정량하였다. ELISA 분석결과 및 웨스턴 블롯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세포외소포 특이 양성 마커인 CD9, CD63, CD81 및 HSP70을 모두 발현하고 있으며, 세포 용해물 및 분비체(secretome)에서 높게 발현되는 오염 단백질 마커인 칼레티큘린, 히스톤 H2A.Z, 히스톤 H3, 사이토크롬 C, 알부민(BSA, bovine serum albumin), 라민 A/C 및 항생제가 거의 발현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세포 용해물에서 매우 낮게 발현하는 세포외소포 양성 마커 플로틸린-1 (Flotilin-1)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생산량 분석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세포외소포인 3D-정적-스페로이드 EV, 실시예 2의 3D-동적-PEG 스페로이드로부터 분리한 세포외소포(3D-동적-PEG 스페로이드 EV) 및 통상적인 2D 배양방법으로 배양한 줄기세포로부터 분리한 세포외소포(2D-EV)의 생산량을 비교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2D-EV는 다음과 같은 공정으로 준비하였다. 세포 스택(Cell stack)에서 3일간 배양한 줄기세포를 PBS 세척하고, 무혈청 배지로 교체하여 2일간 추가로 배양한다. 배양배지를 회수하고 원심분리 및 0.2 μm 필터를 이용해 세포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제거한다. 이후, 배양배지를 TFF 시스템을 이용해 hollow fiber membrane을 거쳐 단백질을 제거하여 EV를 1차 분리하고 생리식염수로 한 번 더 정제하여 순도 높은 2D-EV를 수득하였다. 준비된 3D-정적-스페로이드 EV, 3D-동적-PEG 스페로이드 EV 및 2D-EV의 유래 세포당 생산량을 비교하였으며, 이를 표 2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2D-EV 3D-동적-PEG
스페로이드 EV
3D-정적-스페로이드 EV
생산량 (EVs/cell) 2437 EVs/cell 6791 EVs/cell 6840 EVs/cell
실시예 8. 3D-정적-스페로이드 EV 발현 miRNA 분석 및 신경 생성 효과 확인
8.1 3D-정적-스페로이드 EV 내 miRNA 발현 분석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세포외소포인 3D-정적-스페로이드 EV 내에 함유되어 있는 miRNA 성분을 분석하기 위한 시퀀싱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3D-정적-스페로이드 EV 내에 함유된 miRNA 성분 분석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 에는 뇌졸중 병태 생리 및 줄기세포/EV의 치료 효과와 관련된 miRNA를 포함한 358개의 miRNA가 normalized RC 4이상의 값으로 검출되었다. 이 중 검출된 상위 50개 발현 miRNA에 대해 GO와 KEGG 분석을 시행하였다. GO 분석은 발현된 miRNA와 세포 내 단백질 수송 및 인산화, 축삭 유도, 뇌 발달, 글루타메이트성 시냅스 및 뉴런 돌출 및 DNA 결합 전사 활성제 활성과 상당한 연관성을 보여 주었다. 3D-정적-스페로이드 EV 내에 풍부한 miRNA와 관련된 KEGG 경로로는 암, 축삭 유도, 신호 전달 경로 및 세포 내 이입을 포함한 생물학적 기능과 연결된 경로들이 확인되었다. 특히 3D-정적-스페로이드 EV 에는 2D-EV에 비해 miRNA-132가 많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3D-정적-스페로이드 EV 가 신경줄기세포에서 MeCP2의 발현을 저해함으로써 신생신경생성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확인되었다.
miRNA 발현 변화를 small RNA sequencing 방법으로 프로파일링하였다. 프로파일링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존 배양법으로 배양한 2D-EV 와 비교하여 3차원 배양법으로 배양한 줄기세포에서 분비된 EV내 유의한 변화를 가지는 miRNA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를 도 9에 나타내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5개 donor의 cell lysate에서 TaqMan probe로 miRNA 발현 변화를 확인한 결과,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한 miRNA 가 확인되었다. 그 중 발현 변화 수준이 높은 miRNAs에 대해 신경줄기세포(ReNcell)에서 in vitro 기능을 확인하였다. miR-132는 신경줄기세포에 형질전환 시, 신경줄기세포 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miR-132-3p는 PSD95의 발현을 저해하여 신경줄기세포의 세포 수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RNA-27a, miR-146a 및 miR-146b 역시 신경 및 혈관 신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이와 같이 신경 재생에 관여하는 miR-132, miR-27a, miR-146a 및 miR-146b 의 발현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므로, 신경 재생 관련 분야에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세포외소포임을 확인하였다.
8.2 공여자에 따른 miRNA 발현 분석
줄기세포 치료제는 공여자에 따라 성분이 상이하게 나타나는 donor variation 문제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3D-정적 스페로이드 EV가 donor variation 이슈 없이 보다 일관성 있는 miRNA 프로파일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각 공여자의 시료는 Samsung medical center(서울, 한국)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실시예 1.1 의 2D 배양된 WJ-MSC와 3D 배양된 WJ-MSC,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세포외소포인 3D-정적-스페로이드 EV 의 공여자 별 생산되는 EV 수, EV 단백질 양과 miRNA 프로파일을 비교하였다. miRNA는 Small RNA sequencing 방법으로 miRNA 프로파일링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a 내지 도 10b 에 나타내었다.
도 10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2D 배양된 WJ-MSC 유래 2D-EV는 생산되는 EV 의 양, 크기, EV 생산 단백질 양이 각 공여자에 따라 편차를 나타내었으나,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공여자 사이에 큰 편차없이 일관성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2D 배양된 WJ-MSC, 2D-EV 는 공여자에 따라 생산되는 miRNA 조성 차이가 많은 반면, 3D 배양된 WJ-MSC, 3D-정적-스페로이드 EV 는 공여자에 따른 차이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3D-정적-스페로이드 EV 는 공여자에 따른 차이 없이 일관성 있는 miRNA 프로파일을 나타냄과 동시에 특히 2D-EV와 비교하여 신경 재생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miRNA 인 miR-27a-3p(1.5배), miRNA-146a (2.3배) 및 miRNA-132 (2.6배) 가 더 많이 균일하게 포함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그 외 신경 재생 관련 miRNA 인 miR-181b도 각 공여자들 사이에 균일한 정도의 발현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가 공여자에 따른 치료 유효성분의 차이를 줄이고, 더 우수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8.3 신경줄기세포에 처리 후, 신경 재생 관련 단백질 발현 변화 비교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 재생 촉진에 대한 유용성을 추가 확인하기 위하여 이를 타겟세포인 신경줄기세포 pNSCs 에 6시간 동안 처리 한 후, 신경 줄기세포에서 신경 재생과 관련된 mRNA 발현 수준을 qPCR를 통해 확인하였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D-EV를 처리한 신경줄기세포보다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처리한 신경줄기세포에서 VEGF, BDNF, FGF, NGF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어, 2D-EV에 비해 3D-정적-스페로이드-EV 내에 VEGF, BDNF, FGF, NGF mRNA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결과를 모두 종합한 결과,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WJ-2D-EV 나, 3D-동적-스페로이드 EV와 비교하여 신경 재생과 관련된 miRNA 인 miR-27a, miR-132, miR-146a 및 miR-146b가 현저히 증가되어 있고, VEGF, BDNF, FGF, NGF mRNA를 더 많이 함유하고 있으므로, 기존 보고된 EV 대비 신경 재생에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9.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세포 혼입능 평가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세포 혼입능을 평가하기 위해, CFSE 표지한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인간 NSC 세포주 (ReNcells®)에 처리하였다. 24시간 동안 배양하고, 공 초점 현미경(LSM 700, Carl Zeiss, Germany)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와 함께 12시간 째에 ReNcells ® 내 miR-27a-3p의 발현을 qPCR 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도 12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세포에 처리하면, 세포로 혼입되어 내재화(internalization)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12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 대비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처리한 세포에서 유의하게 miR-27a-3p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타깃 신경 세포에 처리하면, miR-27a-3p와 같은 3D-정적-스페로이드 EV에서 고발현하는 신경 생성 촉진 물질이 세포로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가 신경 재생을 위한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실시예 10.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 분화 촉진 능력 확인
2차원 배양된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 (2D-EV)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 분화 능력을 조사하기 위해, 14.5일째의 SD 랫트(rat) 배아에서 분리한 대뇌피질로부터 1차 배양된 신경 줄기 세포(NSCs)에 2D-EV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5 x 108/ml씩 처리한 다음, 기본 배지만 첨가한 대조군(control) 또는 신경성장인자(nerve growth factor; NGF) 처리군과 함께 신경 분화 능력을 비교하였다. 2D-EV, 3D-정적-스페로이드 EV, NGF, 기본배지 처리에 따른 신경 분화 능력을 처리 배양 4일째에 현미경으로 신경돌기의 길이를 측정하여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 비해 NGF, 2D-EV 및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에서 신경 돌기의 길이가 증가하여 신경 분화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은 NGF 또는 2D-EV를 처리한 군 보다 유의한 수준으로 신경 분화를 유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뇌졸중 동물 모델에 대한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효과
11.1 뇌졸중 모델의 제조
뇌졸중 동물 모델을 제조하기 위하여 광혈전성 (Photothrombotic, PT) 뇌경색 모델을 제조하였다. 20 ~ 25g (8 ~ 12 주령)의 성인 수컷 C57BL / 6J 마우스 (Orient Bio Inc., 대한민국 성남)를 이용하여 PT 뇌졸중을 마우스의 오른손 감각 운동 피질에서 유도하였다. 간단히 말해서, 케타민 (100 mg/kg, 유한양행, 대한민국 서울)과 자일라진 (10 mg/kg, Rompun®inj., 독일 베를린 바이엘)의 혼합물을 복강 내 투여하여 마우스를 마취하고 정위 장치 (KOPF Instruments, Tujunga, CA, USA)에 배치시켰다. 메스를 사용하여 눈에서 목까지 두피를 따라 중간선 절개를 수행하였으며, 골막을 제거한 후 두개골을 노출시켰다. 로즈 벵갈 용액 (30 mg/kg, 생리 식염수 10 mg / mL, Sigma-Aldrich, St. Louis, MO, USA)을 경정맥으로 정맥 내 투여하고, 5 분 후, 3mm 직경의 조명을 제공하는 100mW, 532nm diode-pumped solid-state green laser (동우 옵트론 (주), 광주)를 bregma 측면 2.5mm에 위치시켰다. 레이저는 관심 영역 (ROI)에서 15 분 동안 활성화되었고 절개 부위를 6-0 모노 필라멘트 봉합사를 사용하여 봉합하였다. 수술 중 랫트는 37.0-37.5℃의 체온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11.2 animal MRI study 를 이용한 형태학적 분석
실시예 11.1 에서 제조된 광혈전성 뇌경색 모델쥐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투여 후 MRI로 형태학적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경색 병변 부피와 뇌실 부피를 T2-weighted image(T2WI) 영상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광혈전성 뇌경색모델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6x108 EV/mouse)를 쥐의 혈관에 주입하여 3일 (PBS group, n=20; EV group, n=23), 14일 (PBS group, n=8; EV group, n=10), 28일 (PBS group, n=8; EV group, n=6) 후 MRI의 T2-weighted image(T2WI) 영상을 촬영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뇌경색 병변 및 뇌실의 부피 변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뇌경색 병변 뇌실 부피
3 day 14 days 14 days 28 days
대조군 11.72 ± 1.17 0.84 ± 0.12 6.63 ± 0.28 6.00 ± 0.49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8.39 ± 0.93* 0.54 ± 0.07* 4.60 ± 0.52** 4.64 ± 0.32
대조군 vs.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p value=0.052 * p value<0.05; ** p value<0.01상기 표 3 및 도 1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뇌경색 후 3 일째에 대조군과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사이에 허혈성 병변 부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 = 0.030). 뇌졸중 후 14 일 시점에서,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의 병변 부피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p = 0.034). ventricle 부피는 측면 및 등쪽 제 3 뇌실에서 측정하였다. 뇌졸중 후 14 일, 28일 시점에서, 3D-정적-스페로이드 EV 군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뇌실 용적이 현저히 낮았다.
11.3 허혈성 뇌졸중 동물 모델의 제조
관내 폐색 방법을 이용하여 일시적인 중뇌 동맥 폐색(transient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MCAo) 을 유도하였다. 8주령의 수컷 Sprague-Dawley 랫트 (270-300 g) 을 1.5% 이소플로란으로 수술 동안 마취시켰으며, 히팅 패드를 사용하여 수술 및 폐색 기간 동안 랫트의 체온이 37 내지 37.5℃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둥근 말단의 4-0 수술용 모노필라멘트 나일론 봉합사를 중대 뇌동맥의 기원을 차단할때까지 왼쪽 총 경동맥에서 내부 경동맥의 내강으로 이동시켰다. tMCAo 90 분 후에 재관류를 수행하였다.
11.4 면역형광염색을 통한 신경생성 증진효과 확인
신경생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예 11.3 에서 제조한 허혈성 뇌졸중 동물에 3개 dose (0.3x1010/rat, 1.5x1010/rat, 3.0x1010/rat)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정맥 주사한 후, 뇌졸중 2주 후 뇌조직에서 신경발생 관찰지표로써 신경세포양성마커인 DCX와 세포증식마커인 Ki67을 이용하여 면역형광염색을 수행하였다. 각 투여량 실험군의 면역형광염색 결과 및 정량화된 Ki67/DCX 결과를 도 15에 나타내었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인 PBS 투여군에 비해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투여 받은 실험군 모두에서 신경형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2.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회로 생성 효과 확인
실시예 11.1 에서 제조된 광혈전성 뇌경색 모델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6x108 EV/mouse)를 쥐의 혈관에 주입하여 뇌 미세 구조/연결성 변화를 DTI (diffusion-tensor imaging) 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광혈전성 뇌경색모델에서 3D-정적-스페로이드 EV (6x108 EV/mouse)를 쥐의 혈관에 주입하여 3일 (PBS group, n=20; EV group, n=23), 14일 (PBS group, n=8; EV group, n=10), 28일 (PBS group, n=8; EV group, n=6) 후 MRI의 Diffusion tensor imaging (DTI)와 fiber tractography 영상을 촬영하고 EC(External Capsule) 및 IC(Internal Capsule) ROI (region of interest) 로부터의 FA (Fractional anisotropy) 및 FD (Fibre density) 값의 상대적인 변화를 사용하여 뇌졸중 후 14 일 및 28 일에 치료 효과를 입증하였다. DTI 및 fiber tractography 의 결과를 도 16 에 나타내었고, Group-averaged rFA(relative fractional aniotrophy) 및 rFD(relative fiber density) values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rFA rFD
14 days 28 days 14 days 28 days
Internal Capsule (IC) Control group 1.02 ± 0.02 1.01 ± 0.02 0.85 ± 0.04 0.99 ± 0.02
EV group 1.08 ± 0.01** 1.09 ± 0.02* 1.22 ± 0.01** 1.24 ± 0.05**
External Capsule (EC) Control group 0.96 ± 0.04 0.91 ± 0.03 0.59 ± 0.02 0.89 ± 0.04
EV group 1.06 ± 0.02* 1.22 ± 0.05** 0.96 ± 0.01** 1.12 ± 0.07*
control vs. EV group, * p value<0.05; ** p value<0.01표 4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뇌졸중 후 14 일 시점에서, 3D-정적-스페로이드 EV 군은 대조군과 비교할 때 IC 및 EC 모두 rFA 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나타냈다 (각각 p = 0.003 및 p = 0.045). 28 일 시점에서, IC 및 EC ROI 모두 3D-정적-스페로이드 EV 그룹의 rFA 값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더 높은(각각 p = 0.027 및 p <0.001)것을 확인하여 신경회로의 회복 정도가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3D-정적-스페로이드 EV (6x108 EV/mouse)를 쥐의 혈관에 주입 후 신경회로 변화를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이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14일 (PBS group, n=8; EV group, n=10) 및 28일 (PBS group, n=8; EV group, n=6) 후 MRI의 Diffusion tensor tractography (DTT) 영상을 촬영하여 치료군과 대조군의 신경회로의 변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도 17에 나타내었다.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14일 및 28일 차 모두 3D-정적-스페로이드 EV 투여에 따라, 흰색 화살표로 표시된 증가된 신경 섬유가 확인되었다.
실시예 13.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회로 생성 효과 확인: Fuctional MRI
세포외소포에 의한 신경회로 증진을 보기 위해 실시예 11.1에서 제조한 뇌경색 동물 모델에서 뇌졸중 유도 28일 후 resting state functional MRI를 확인하였다. 대조군과 3D-정적-스페로이드 EV 그룹 사이의 resting state functional connectivity 차이의 분석은 16 개의 관심 영역에 대하여 수행하였다. ipsilesional 및 contralesional 측면에서 6 개의 피질과 2 개의 피질 영역이 분석을 위해 선택되었다. 분석 결과는 도 18에 나타내었다.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inter-hemispheric striatal functional connectivity가 대조군에 비해 3D-정적-스페로이드 EV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p=0,008). 이는 3D-정적-스페로이드 EV가 뇌경색 모델에서 신경 회로 증진을 유도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실시예 14. 3D-정적-스페로이드 EV의 신경회로생성에 따른 기능회복 확인
실시예 11.1에서 제조한 뇌경색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 를 주입하면 신경 회로 생성이 효과적으로 유도됨을 이전의 실시예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러한 신경 신생에 의해 뇌경색 동물 모델에서 유발되는 운동 기능 상실이 회복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앞다리 비대칭 테스트 (실린더 테스트) 와 발 결함 테스트(그리드 보행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광혈전성 뇌경색모델에 3D-정적-스페로이드 EV (6x108 EV/mouse)를 쥐의 혈관에 주입하고 14일 (PBS group, n=8;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n=10), 28일 (PBS group, n=8;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군, n=6) 차에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9에 나타내었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를 주입하면 실린더 테스트 지표 및 그리드 보행 테스트 지표가 모두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 처리가 뇌경색 동물 모델에서 신경 회로의 재생을 유도하고, 그 결과 손상된 운동 기능 장애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또한 기능적 회복과 MRI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가지 행동 테스트 (실린더 테스트 및 그리드 보행 테스트)와 rs-fMRI 결과 간의 상관 관계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0에 나타내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뇌졸중 유도 14 일 후, 행동 시험과 MRI 매개 변수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는 없었다 (p> 0.05). 뇌졸중 유도 28 일 후, 실린더 테스트 결과와 IC ROI의 rFD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r = -0.553, p = 0.040). 또한 실린더 시험 결과와 striatum의 interhemispheric 사이의 경향이 발견되었다 (r = -0.460, p = 0.098). 그리드 보행 테스트의 풋 결함 점수와 IC ROI의 rFD (r = -0.684, p = 0.007)와 striatum의 interhemispheric RSFC (r = -0.691, p =006)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 관계가 관찰되었다. striatum의 interhemispheric RSFC는 또한 내부 캡슐의 rFD와 현저한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r = 0.776, p = 0.001).
실시예 15. 제조조건에 따른 3D-정적-스페로이드 EV 효과 검증
15.1 실험 방법 및 조건
상기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 의 우수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방법을 동일하게 수행하되, 마이크로웰 규격 및 세포수 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EV 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보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마이크로웰 당 세포수 규격을 400 cell/well 에서 200 cell/well으로 변화시키거나, 마이크로웰의 규격을 직경과 깊이를 각각 500 μm × 200 μm 조건에서 500 μm × 600 μm, 또는 직경 800 μm에 깊이가 없는 평평한 웰로 변화시켜 세포를 배양하였다.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서 변경된 실험 조건을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마이크로웰 당 세포수(cell/microwell) 400 400 200
마이크로웰의 직경
(μm)
500 800 4-500
마이크로웰의 깊이
(μm)
600 / 200
실시예 1.1에서 제작한 6 계대배양(passage 6) 단계의 WJ-MSC를 PBS에 세척하고, 트립신 (TrypLETM Express, GIBCO, NY, USA) 처리하여 CO2 배양기에서 5 분간 반응시켰다. 이 후, 새로운 무혈청배지를 넣어 트립신을 중화시켜 세포를 회수하고,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세포 펠렛을 수득하였다. 그 다음, 새 무혈청배지를 넣어 세포 현탁액을 제조하고, 세포를 계수하였다. 세포 계수 후, 상기 표 5와 같은 조건으로 마이크로웰에 균일하게 분주하고, 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며 자발적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형성을 유도하고, 총 4일간 37℃의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15.2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형태 확인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조건에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스페로이드가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배양액을 회수하여 실시예 1.3의 방법으로 스페로이드 유래 세포외소포를 수득하였다. 수득된 세포외소포의 크기 분포(size distribution)를 측정하고, 추가적으로 스페로이드의 Roundness 및 Solidity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21에 나타내었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험예 1 내지 3 모두 제조된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크기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세포 응집체의 크기 범위인 55 내지 131 μm 범위 내의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크기 분포의 평균 값이 70.34 내지 99.51 μm 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Roundness 및 Solidity 를 확인한 결과, 실시예 1의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Roundness 평균값인 0.8697 (CV 2.64%) 과 유사하게 실험예 1 내지 3 의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역시 각각 평균 0.8751, 0.8669, 0.8601 의 Roundness 값을 나타내고, 실시예 1의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의 Solidity의 평균 값인 0.9488 (CV 2.64%) 과 유사하게 실험예 1 내지 3의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역시 각각 평균 0.9744, 1, 0.9752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마이크로웰당 세포수가 200, 400 으로 변화되고, 마이크로웰의 직경을 400 내지 800 으로 변화시키더라도, 실시예 1의 방법을 통해 유사한 형태를 갖는 3D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가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15.3 3D 스페로이드형 유래 EV 의 miRNA 발현 패턴 비교
실험예 1 내지 3의 조건에서도 실시예 1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가 제조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므로, 추가적으로 이들로부터 실시예 1.3 의 방법을 통해 세포외소포를 분리 수득하고, 분리 수득된 EV 도 동일한 miRNA 발현 패턴을 나타내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miRNA 발현 패턴 비교는 마이크로웰 조건을 달리한 실험예 1 및 2 의 방법으로 제조된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발현 miRNA 분석은 실시예 8과 동일한 qPCR 방법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도 2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에서 제조된 2D-EV 와 miRNA 발현 패턴을 비교하였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로웰의 조건을 직경 500, 800μm 으로 변화시키더라도, 실시예 1에서 제조된 EV 와 동일하게 혈관신생/신경신생(angio/neurogenesis) 및 면역조절에 효능을 나타내는 miRNA인 miR-132, miR-210이 기존의 2D-EV 대비 현저한 발현 증가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200 내지 800 μm 직경의 마이크로웰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방법을 통해 수득되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EV 가 miRNA 마커 발현 특성을 공통적으로 나타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따라서 이들은 모두 3D-정적-스페로이드 EV 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면, 본 발명의 3D-정적-스페로이드 EV는 신경 신생과 관련된 miRNA, 신경 생성 인자가 높게 발현되고, in vitroin vivo 에서 우수한 신경 생성능, 신경 회로 생성 및 이에 따른 뇌졸중 개선 효과가 확인되는 바, 신경의 손상 및 신경 재생이 필요한 각종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3)

  1.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만능줄기세포, 유도만능줄기세포 및 배아줄기세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3차원 배양은 정적(static) 배양하는 것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3차원 배양은 마이크로 웰에 중간엽 줄기세포를 200 내지 600 세포/웰의 밀도로 분주하여 배양하는 것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및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 대비 miR-27a, miR-132, miR-146a 및 miR-146b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발현하는 것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소포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3차원 동적 배양한 스페로이드형 세포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 및 2차원 배양한 중간엽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 대비 VEGF(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FG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및 NG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고발현하는 것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계 질환 및 손상은 척수 손상, 파킨슨병, 뇌졸중, 근위축성 척수측색경화증, 운동 신경손상, 외상에 의한 말초신경손상, 허혈성 뇌손상에 의한 신경 손상, 신생아 저산소성 뇌손상, 뇌성마비, 간질, 난치성 간질, 알츠하이머병, 선천성 대사성 신경계질환 및 외상성 뇌손상(traumatic brain injury)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 및 손상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신경 생성 유도용, 신경 분화 유도용 또는 신경 회로 회복 유도용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신경 회로 회복 유도는 MRI DTI(diffusion-tensor image) 에서 확인되는 것인,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10.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11.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in vitro 조성물.
  12.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외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13. (a) 직경이 200 내지 800 μm 이고, 깊이가 100 내지 1000 μm인 마이크로웰에 줄기세포를 3차원(3D, 3 dimension) 배양하여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로부터 세포와 소포를 분리하는 단계를 통해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 를 제조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를 통해 제조된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extracellular vesicle)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예방 또는 치료 방법.
PCT/KR2022/006429 2021-05-04 2022-05-04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WO2022235088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68152A JP2024518396A (ja) 2021-05-04 2022-05-04 三次元スフェロイド型細胞凝集体に由来の細胞外小胞を含む神経再生促進組成物
CN202280033119.1A CN117320733A (zh) 2021-05-04 2022-05-04 包含三维球状体型细胞聚集体来源细胞外囊泡的用于促进神经再生的组合物
EP22799131.2A EP4335445A1 (en) 2021-05-04 2022-05-04 Composition for promoting neuroregeneration, containing extracellular vesicles derived from three-dimensional spheroidal cell aggregat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58171 2021-05-04
KR10-2021-0058171 2021-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35088A1 true WO2022235088A1 (ko) 2022-11-10

Family

ID=8393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6429 WO2022235088A1 (ko) 2021-05-04 2022-05-04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35445A1 (ko)
JP (1) JP2024518396A (ko)
KR (1) KR102632692B1 (ko)
CN (1) CN117320733A (ko)
WO (1) WO20222350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28697A1 (ko) 2021-12-30 2023-07-06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한 3차원 스페로이드 배양방법 및 이의 용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026A (ko) 2014-10-30 2016-05-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70020244A (ko) * 2015-08-12 2017-02-22 (주)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의 분화 촉진 및 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991038B1 (ko) * 2016-04-29 2019-06-1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줄기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포체 생산 방법
KR20200047330A (ko) * 2018-10-25 2020-05-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효능이 증진된 줄기세포 유래 미세소포, 이의 용도 및 효능강화 방법
KR20200113838A (ko) * 2019-03-26 2020-10-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강도를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체의 혈관신생 관련 사이토카인 조절 방법
WO2021076973A1 (en) * 2019-10-16 2021-04-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xtracellular vesicle-based agent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disord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3026A (ko) 2014-10-30 2016-05-1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추진장치
KR20170020244A (ko) * 2015-08-12 2017-02-22 (주)프로스테믹스 줄기세포의 분화 촉진 및 세포의 증식 촉진용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101991038B1 (ko) * 2016-04-29 2019-06-19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줄기세포 유래의 세포외 소포체 생산 방법
KR20200047330A (ko) * 2018-10-25 2020-05-07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효능이 증진된 줄기세포 유래 미세소포, 이의 용도 및 효능강화 방법
KR20200113838A (ko) * 2019-03-26 2020-10-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이드로겔의 기계적 강도를 이용한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 소포체의 혈관신생 관련 사이토카인 조절 방법
WO2021076973A1 (en) * 2019-10-16 2021-04-22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Extracellular vesicle-based agent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neuropathic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0839A (ko) 2022-11-11
CN117320733A (zh) 2023-12-29
EP4335445A1 (en) 2024-03-13
KR102632692B1 (ko) 2024-02-05
JP2024518396A (ja) 2024-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01708A1 (ko)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6072821A1 (ko) 줄기세포 유래 엑소좀을 함유하는 지방세포 분화유도, 지방조직 재생,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WO2019050071A1 (ko) 엑소좀 또는 엑소좀 유래 리보핵산을 포함하는 간섬유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8117573A1 (ko) 신경능선줄기세포의 다층세포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35088A1 (ko)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신경 재생 촉진 조성물
WO2022097984A1 (ko) 3 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의 제조방법
WO2019004792A9 (ko) 인간 유래 심장 줄기세포 미세구의 제조 방법 및 용도
WO2022065919A1 (ko) 펩티드 핵산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13131012A1 (en) Isolation and use of pluripotent stem cell population from adult neural crest-derived tissues
WO2012047037A2 (ko) 배아줄기세포 유래 심근세포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세포치료제
WO2019151744A1 (ko) 성체줄기세포 유래의 나노베시클 및 이의 표적 치료용 용도
WO2022235085A1 (ko) 3차원 스페로이드형 세포 응집체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혈관신생촉진용 조성물
WO2012161519A1 (en) An adult stem cell line introduced with hepatocyte growth factor gene and neurogenic transcription factor gene with basic helix-loop-helix motif and uses thereof
WO2020091463A1 (ko) 분리된 미토콘드리아를 포함하는 건병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214824A1 (ko) 효능이 증진된 줄기세포 유래 세포외소포를 포함하는 상처 치료용 조성물
WO2021096220A1 (ko)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신장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96707A1 (ko) 모야모야 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06670A1 (ko) 혼합물 4f를 이용한 줄기세포 생물학적 활성 증가용 조성물
WO2020071652A1 (ko) 세포의 텔로미어를 신장시키는 방법
WO2020071665A2 (ko) 세포의 텔로미어를 신장시키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22075809A1 (ko) 중간엽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골모세포 및 이를 포함하는 골질환 치료용 조성물
WO2021125841A1 (ko) 염기성 나선-고리-나선(basic helix-loop-helix; bhlh) 계열의 신경형성 전사인자 유전자가 도입된 성체 줄기세포주를 포함하는 동맥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14792A1 (ko) 망막 오가노이드 유래 엑소좀을 포함하는 안구 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4090922A1 (ko) 줄기세포 배양액 및 상기로부터 분리된 세포외소포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뇌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8135738A1 (ko) 매트릭스 gla 단백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오스타틴 활성 저해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99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68152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80033119.1

Country of ref document: CN

Ref document number: 1828953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99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799131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1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