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73158A1 - 하드 루프탑 텐트 - Google Patents

하드 루프탑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73158A1
WO2022173158A1 PCT/KR2022/001544 KR2022001544W WO2022173158A1 WO 2022173158 A1 WO2022173158 A1 WO 2022173158A1 KR 2022001544 W KR2022001544 W KR 2022001544W WO 2022173158 A1 WO2022173158 A1 WO 20221731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all
lower case
walls
tent
sta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0154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유경
이강욱
Original Assignee
이유경
이강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경, 이강욱 filed Critical 이유경
Priority to JP2023572501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4507289A/ja
Priority to US18/274,543 priority patent/US20240084617A1/en
Publication of WO20221731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7315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8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arranged at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6Auxiliary arrangements; Arrangements of living accommodation; Details
    • B60P3/38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 B60P3/39Sleeping arrangements, e.g. living or sleeping accommodation on the roof of the vehicle expansible, collapsible or repositionable elements adapted to support a bed, e.g. wall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2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 B60R9/0423Carriers characterised by means to facilitate loading or unloading of the load, e.g. rollers, tracks, or the like for lad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8Carriers characterised by article-gripping, -covering,-retaining, or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5Enclosure-type carriers, e.g. containers,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58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characterised by releasable attaching means between carrier and roo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ard roof top tent mounted and used on the roof of a vehicle or trailer, and more particularly,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tent is remarkably improved by manufacturing it using a hard material, In addition, the formation and closing operation of the inner working space of the tent is made very simply by the folding means installed directly on the folding panel itself. It relates to a hard roof top tent that enables the separation and removal of dripping moisture so that it can always be safely and hygienically managed and stored without the problem of the mattress getting wet.
  • the rooftop tent is a harmonious combination of leisure and automobile culture, and since it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tent is mounted on the roof of a vehicle or trailer,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nt-type tent installed on the grou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installed without being affected at all, and it is very easy to carry and handle without requiring a separate storage place. In addition, the purchase cost is relatively low compared to the camping car used for camping, so it is widely used with the increase of campers.
  • a tent case comprising a base detachably mounted on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 cover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to open and close, a lock means for locking the cover to the base, and when the action of the lock means is released
  • a tent cloth forming a camping space, a door provided on both sides or either side of the tent cloth, and the door and the vehicle when stored in the tent case with the upper end attached to the cover in front of the door and deployed It consists of a fly cloth that covers between the doors to form a moving space blocked from the outside, and a pusher that pushes the fly cloth to the outside when the cover is opened.
  • a “vehicle roof-mounted tent” is being proposed so that you can freely camp without receiving a reception.
  •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roof top tent for a vehicle comprising a lower case detachably fixed to the roof of the vehicle, and an upper case for closing or opening the lower case by an opening and closing means, wherein the lower case can be slidably slidable. connecting expansion plates; a support pole having both ends pivotably connected to both aft sides of the expansion plate; and a tent cloth connected to at least the upper case, the support pole, and the extension plate, wherein the extension plate is positioned to overlap the lower cas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that is maximally drawn out from the lower case.
  • the material of the unfolded part to form the inner activity space of the tent is made of a tent.
  • a tent material even if a waterproof cloth is used, it is difficul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rainwater seeping into the interior in some cases, such as deterioration of waterproofing function due to various factors, and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tent including winter season. If moisture is generated in the inner living space due to the difference, it is very difficult to properly remove it. It can only lead to problems
  • the folding structure of the four-way panels that are folded and unfolded to form the inner space is very Not only is it complicated and cumbersome, but even in the case of the above-mentioned rooftop tent, there is no separate means for removing internal moisture caused by temperature difference, so the floor becomes wet or wet by moisture flowing down the inner wall. It has a structural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avoid the problem of getting wet by moisture for bedding and various items including mattresses on the floor.
  • the present invention was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use a hard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composite panel instead of a tent material as a material for forming an internal active space.
  • the durability is significantly improved as a result of manufacturing, and the formation and closing operations of the inner working space of the tent are made very simply by the standing means installed directly on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themselves, and are provided aroun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 the standing means installed directly on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themselves, and are provided aroun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 Through the trench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separate and remove the water or moisture flowing down the inner wall due to the condensation phenomenon, so that the mattress used as the floor layer does not get wet at all times, and safe and hygienic management and storage are always possible. It is about a hard roof top tent made possible.
  • the hard roof top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lower case of a hard material that is detachably fixed and supported on the roof of a vehicle or trailer, and a hard lock or unlocked hard case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by a locking means.
  • the upper case of one material is connected and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nd at the same time, the lower and upper cases are connected and supported as a unit to form and release an inner working space through the operation of folding or unfolding.
  • it consists of a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and both side walls made of a hard material
  • the lower case includes an outer wall, an inner wall, and a floor layer
  • the upper case includes an outer wall, an inner wall, and a ceiling.
  • the trench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inage hole is further formed.
  • the ceiling portion of the upper cas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eiling support layer made of an insulating foam mat and the second ceiling support layer made of an aluminum composite panel are sequentially stacked.
  • erection support walls for stably erecting both side walls are further extended and formed.
  • the side wall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inner working space is formed,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are first erected by means of a standing means and then are sequentially erected, and are sequentially folded first when releasing. do.
  • the side wall further includes an erection maintaining means for stably maintaining a state erected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wherein the erection maintaining means is located on the second dividing wall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 the standing means, the auxiliary opening and closing means, the auxiliary standing means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hock absorber.
  • the outer wall of the lower case and the inner wall of the upper case are arranged in the same vertical line so that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and the side walls are foldable between them, and the outer wall of the upper case is It is formed to extend further to the lower end than the inner wall so that when the upper case is clos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a part of the outer wall of the lower case is closed to be wrapped.
  • the shock absor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a gas, hydraulic, and electric server.
  • the roof fixing part comprises a support plate, a first fixing element for fastening and fixing the support plate to the lower case, and a second fixing element for fixing the support plate to the roof rack.
  • the present invention durability is remarkably increased by manufacturing a tent that provides an internal activity space using a hard material, as well as a standing means directly buri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 the folding structure for the formation and release of the inner working space of the tent can be made very simply through the operation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are vertically unfolded or folded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of the upper case, and the bottom of the lower case
  •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 trench formed around the edge along the support layer even if moisture condenses and flows down on the inner wall of each wall due to dew condensation, it is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so the mattress due to moisture or moisture does not get wet.
  • the hygienic portable management and storage of the tent becomes very easy.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lded state of a hard roof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nfolded state of the hard roof 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longitudinal cutaway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hard roof 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hard roof 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excerpt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bottom layer of the lower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d roof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with reference to Figure 3.
  •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hard roof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unfolded state with reference to FIG.
  • FIG. 8 is an enlarged excerpt of part A1 of FIG. 7 .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ially folded state of the hard roof 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
  • FIG. 10 is an excerpt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wall erected for a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 FIG. 11 is an excerpt showing the state of miscellaneous and unloading of the erection holding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n excerpted side view showing an open state of the doorway formed in both side wa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n excerpt showing the structure of another standing means of the hard roof top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n excerpted cross-sectional view of a loop fix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hard roof top tent 100 has a lower case 110 , an upper case 120 , and a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on for forming an internal activity space 130 .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wall 140 and both side walls 150 .
  • the lower case 11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oof of a vehicle or trailer.
  • the lower case 110 may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luminum or an aluminum composite panel, and may have an upper open shape.
  • the lower case 110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length and a wid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and width of the loop required to be installed.
  • the lower case 110 is made of an aluminum composite panel
  • a triple structure formed of a profile 112a, a compression insulation foam 112b, and an aluminum plate material 112c serving as a post as illustrated in FIG. 5 . can be
  • the lower case 110 includes an outer wall body 111, a bottom layer 112 provided to form a floor during internal activity inside the outer wall body, and a trench 113 between the bottom layer and the frame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n inner wall 114 that is erected at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and a drainage hole 113a for draining the collected moisture to the outside may be form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in the trench 113 .
  • a drain valve 113b for arbitrarily draining the collected water may be further installed as needed.
  • the lower case 110 made of the hard material, except for the bottom layer 112, has a thickness T in consideration of the total load of the tent, preferably used within the range of 3 to 5, the
  • the outer wall 111, the trench 113, and the inner wall 114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bottom layer 112 is made of an aluminum bi-panel.
  • the aluminum composite panel constituting the bottom layer 112 is, as illustrated in FIG. 5 , a profile 112a of a holding role disposed at appropriate intervals, a compression insulation foam 112b interposed between the profiles, and the profile And a composite panel of a triple structure made of an aluminum plate material 112c integrally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mpression insulation foam may be used.
  •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when the tent is installed, the ladder closing portion 115 for suppo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ladder 180 that is supported obliquely between the ground and may be further provided.
  • various types of ladders may be appropriately used, and various structures including a folded structure may be used.
  • the upper case 120 is configured to close or open the open end of the lower case 110 .
  • the upper case performs the function of the ceiling of the tent, and is formed in a downwardly open shape to correspond to the lower case, and like the lower case 110, it can be made of a hard material such as an aluminum material or an aluminum composite panel. have.
  • the upper case 120 is made of an aluminum composite panel
  • a triple structure form consisting of a profile 112a, a compression insulation foam 112b, and an aluminum plate material 112c serving as a post as illustrated in FIG. 5 .
  • the upper case 120 includes an outer wall body 121 and an inner wall body 122 , and also includes a ceiling portion 123 .
  • the lower end of the outer wall body 121 of the upper case 120 is the lower case It is to be covered so as to be covered in a state of enclosing a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outer wall 111 of lose
  • the ceiling portion 123 may be formed of a single lay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upper case 120 , but may be formed of a plurality of layers in consider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strength reinforcement or heat insulation reinforcement.
  • the first ceiling support layer 123a made of an insulating foam mat and the second ceiling support layer 123b made of an aluminum composite panel are sequentially stacked from above. , they may be integrally adhesively constructed.
  • the material constituting the second ceiling support layer 123b of the ceiling portion 123 is an aluminum composite panel, a profile 112a, compression insulation foam 112b, aluminum that serves as a support, like the bottom layer 112 of FIG.
  • a composite panel of a triple structure made of the plate material 112c may be used.
  • the structure for the locking means 16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as long as it achieves the same function, and various types of locking structures that are conventionally generally used locking or locking or other similar expressions may be employed. will be.
  • the awning installation parts 116 and 124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connect and install the awning to the tent according to the type or shape of the vehicle, the size of the awning, and the like, so that it can be conveniently used.
  •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and both side walls 150 are hinged at both ends between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to form or release the inner activity space 130 of the tent. It may be configured to be folded inwardly or unfolded.
  • the aluminum composite panel of the trip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may have excellent strength and heat insulation while being light. In addition, penetration of moistur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can be reliably prevented. In addition, when the surface of the aluminum plate is treated smoothly, when it rains or when dew condensation occurs, water or moisture easily flows down the surface, so the material itself can be removed more quickly and easily. In addition, even if there is moisture or moisture on the surface, it can be easily removed or wiped off using various tools such as a wiper or a towel, such as a car window brush.
  •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ar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sides between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and may be connected and supported so as to be folded or unfolded inside each other.
  •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 140 is formed separately into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 and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are the outer walls 111 of the lower case 110 . ) and the lower and upper ends are respectively hinged to be folded inwar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122 of the upper case 120, and the division boundary surface is also hinged to be folded inward.
  • standing means 143 for directly standing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in a folded state inward. ) is installed.
  • Both ends of the standing means 143 are connected and supported so as to be rotatably and compressively connected to the standing operation spaces 141a and 142a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respectively.
  •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 140 is automatically vertically unfolded through the self-standing operation of the standing means 143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are connected and installed between these dividing interfaces.
  • One or more of the standing means 143 may be appropriately arranged and mounted in consideration of the size or load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
  • the standing means 143 may have various types of structures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achieve its function, and a shock absorber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hydraulic or electric type including a gas spring type may be used.
  • both ends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 140 are connected and supported by a hinge between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and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of the Since both ends of the standing means 143 are rotatably connected and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tanding operation spaces 141a and 142a formed as a dividing interface, by opening the upper case 120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110, forcing Through the self-standing operation of the standing means 143, which has been compressed to,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automatically stand up at the same time so that they can be vertically unfolded.
  • the window 144 which functions as an internal ventilation or see-through window of the ten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the second dividing wall 142 positioned at the top when the tent is installed. more can be installed.
  •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145 may be a shock absorber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gas spring type and a hydraulic or electric type.
  • the upper portion of the window 144 connected by a hinge to the first dividing wall 142 prevents rainwater or moisture from permeating into the internal activity space 130 through the opened gap when the window 144 is opened.
  • the folding molding 144a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may be further adhesively configured.
  • the side wall 150 is sequentially folded in the interior of the lower case 110 , or is configured to be strong. To this e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150 may be hinged to the corresponding inner wall 112 of the lower case 110 .
  • the side wall 150 is sequentially folded or erected into the lower case 110 around the hinge of the lower end by artificially pulling the upper end or pushing the upper end inward.
  • both side walls 150 erected against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140 are the first and second Both ends of the dividing walls 141 and 142 can be stably supported against the inner surface of the standing support wall 140a that is further extended and bent at a right angle to both ends of the walls.
  • the standing support wall 140a is supported on the outside of the outer wall 111 of the lower case and the inner wall 122 of the upper case 12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 when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are folded. will be folded down.
  • an erection holding means 151 for stably maintaining a vertically erected state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may be further provided inside each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0 .
  • the erection holding means 151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a specific structure as long as the structure can prevent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150 from arbitrarily tilting or falling inward from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 .
  • the erection holding means 151 configuration As it is fixed and supported so as to be erected in a state where it is forcibly caught and fixed with respect to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140 in the supported stat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vertical unfolding state at all time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rbitrarily folded.
  • both side walls 150 the lower ends of which are hinged with respect to the inner wall 112 of the lower case so as to be folded inward of the lower case 110, respectively, the bottom of the trench 113 of the lower case to the inside of each lower end and
  • the both side walls 150 can be folded or erected semi-automatically in a more stable and smooth manner in addition to manual standing.
  • the side wall 150 is provided with an entrance 153 .
  • the entrance serves as a kind of door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enter and exit the inner activity space 130 by riding a ladder when camping, and can be installed to be opened and closed in one side, and also to the side wall of either side. It can be formed in the bay, or on both side walls.
  • the upper end of the doorway 153 is connected and supported by a hinge so that it can be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of being lifted upward. .
  • the auxiliary opening/closing means 154 may be formed of a shock absorber having various structures such as a gas spring type as well as a hydraulic or electric type.
  • the doorway 153 may be waterproofed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a rubber packing along the edge including a portion connected by a hinge.
  • the upper part connected to the side wall 150 and the hinge is made of an elastic rubber material to prevent rainwater or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ner working space 130 through the opened gap when the doorway 153 is opened.
  • the folding molding 153a may be further adhesively configured.
  • a screen 155 for properly blocking a shading, wind, rainwater, etc. may be further install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 various materials may be used for the screen, but a waterproof cloth material may be used.
  • a loop fixing unit 170 may be provided as a low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0 .
  • Various structures of the above-described loop fixing unit may be appropriately employed.
  • the upper case 120 locks the locking means 160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110 .
  • the locking force of the upper case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is released by unlocking the locking means 160 binding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to each other.
  • the folding operation spac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that were accommodated in a folded state inside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at the same time By the extension force of the standing means 143, both ends of which are connected and supported in a compressed state at (141a) and (142a), it is automatically erected while unfolding based on the lower case 110,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The upper case 120 hingedly connected to the dividing wall is also lifted upward.
  • the upper case 120 lifted upward by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serves as the roof of the tent.
  •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140 automatically erected by the standing means 143 are erected in a vertical state.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erected in a vertical state maintain a stable standing state unless the standing means is artificially compressed.
  • the side wall 150 is sequentially pulled and erected. At this time, the side wall 150 can be erected more smoothly and stably by the auxiliary standing means 152, and in particular, since the auxiliary standing means is not arbitrarily compress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erected state.
  • both side walls 150 erected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erection support wall 140a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140 are locked and fixed to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using the erection holding means 151. Sinc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more stable standing state, it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arbitrarily falling or tilting the side wall during internal activities.
  • the inner working space 130 of the tent is formed through the automatic and manual erection operation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and the side walls 140 .
  •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and both side walls 150 respectively erected to form the inner working space 130 are the outer wall body 111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case 1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upper case 120 .
  • a gap is not generated according to the expansion.
  • the ladder 180 is placed between the ground and the ladder support part 115 formed on the lower case 110 at an angle, and then using it to an internal activity space Enter (130) and do activities such as taking a break.
  • the trench 113 formed in the lower case 110 when camping, when moisture flows down the inner wall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 140 or side wall 150 due to dew condensation, the trench 113 formed in the lower case 110. Since the water is collected and drained to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attress M laid on the bottom layer 112 from getting wet or penetrating with moisture. In addition, even in rainy weather, since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and side walls 150 are made of a hard material, rainwater does not permeate to the inside.
  • both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and both side walls 150 are made of a hard material that prevents moisture or moisture penetration, water or moisture attached to the inner or outer wall can be removed with a separate tool.
  • a removal tool such as a wiper, or simply by wiping using a mop, etc., it is possible to quickly remove water or moisture during use of the tent or at the time of dismantling.
  • the fact that the above-mentioned moisture or moisture is easily removed is an advantage that can minimize investment in time, place, effort, etc. will provide
  • the mattress (M) laid on the floor layer 112 gets wet or can be used safely without damage or damage due to penetration, and even when the tent is dismantled,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s 140 Since the removal of moisture or moisture on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side wall 150 can be made quickly and easily, the demolition work of the tent can be done conveniently and quickly as much as that, and in particular, in the state where the moisture is removed, And since it is possible to carry and store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or side walls 150 inside the upper cases 110 and 120, hygienic use is possible.
  • the folded boundary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constituting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are pushed inward so that they are slightly bent, or just the upper case in a vertically erected state.
  •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of the front and rear standing frame wall 140 are bent inward, and at the same time, the standing means 143 is moved to the standing operation space 141a ( 142a) while being compressed with each other, the lower case 110 is folded inside,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ide wall 150 .
  • the upper case 120 is locked with respect to the lower case 110 by the locking means 160 By locking using the , the tent demolition work can be completed simply. And, finally, the ladder 180 may be removed.
  • the first and second dividing walls 141 and 142 are erected in the front and rear standing skeletal walls 140 that are connected and installed so as to be foldable between the lower case 110 and the upper case 120 .
  • the standing means 143 install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operation spaces 141a and 142a, the upper case 120 automatically stands at the same time as the opening of the upper case 120, or is folded ins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루프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잠금수단의 해제 동작을 통해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사이에 하나의 유닛으로 구성되어 내부 활동공간을 형성 및 해제하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양 측면벽체 중,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분할벽체에 직접 설치되는 기립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기립되도록 하여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기립구조를 매우 간단히 하는 하는 것이 가능하면서도 하드한 소재의 하부 및 상부 케이스 내부에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측면벽체를 안전하게 수납하여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하부 케이스 내부로 마련되는 트렌치 구성을 통해 결로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물기가 습기가 내부 바닥으로 흘러 내리더라도 쉽게 제거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여 메트리스 등이 젖거나 훼손되는 문제 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하드 루프탑 텐트
본 발명은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루프(roof)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 전체를 하드(hard)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른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또 절첩 패널 자체에 직접 설치된 절첩수단에 의해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의 형성 및 폐쇄 작동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하부 케이스의 바닥 둘레로 마련되는 트렌치(trench)구성을 통해 온도 차이로 인해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습기의 분리 집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매트리스 등이 젖는 문제없이 항상 안전하고 위생적인 관리 및 보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하드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매체를 통해 다양한 레저 활동이 알려지고 있고,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레저 활동이 하나의 문화로서 자리 잡아가고 있고, 이러한 레저 활동과 더불어 그에 따른 다양한 레저 용품들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차량이나 트레이러의 루프에 탑재하여 마치 이동식 주택처름 사용할 수 있게하는, 이른바, 카 펜션(car pension)이라고도 불리는 루프탑 텐트(Rooftop tent)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수요,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루프탑 텐트는, 레저와 자동차의 문화를 조화시킨 것으로서,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루프 위에 텐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기 때문에 종래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천막 형태의 텐트에 비해 장애물 또는 설치 장소에 대한 영향을 전혀 받지 않고 간편하게 이동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별도의 보관 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휴대 보관 및 취급이 매우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캠핑에 이용되는 캠핑카에 비하여 구입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여 캠핑족 증가와 더불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제공되고 있는 루프탑 텐트에 대하여 몇가지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특허문헌 1에는,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덮개로 구성된 텐트 케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덮개를 잠그는 로크수단과, 상기 로크수단의 작용이 해제되면 상기 덮개가 열리도록 회전시키는 덮개 개방수단과, 상기 베이스와 덮개의 연결부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단부가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상기 덮개가 열리면 전개되어 상기 베이스와 덮개 사이에 외부와 차단된 야영공간을 형성하는 텐트 천과, 상기 텐트천의 양측 또는 어느 한 측면에 구비된 출입문과, 상기 출입문의 전방에서 상기 덮개에 상단이 부착된 상태로 상기 텐트 케이스에 수납되고 전개되면 상기 출입문과 차량의 도어 사이를 덮어 외부와 차단된 이동공간을 형성하는 플라이 천과, 상기 덮개가 열리면 상기 플라이 천을 외부로 밀어내는 푸셔로 구성되어 이동공간에 의해 타인의 시선이나 간섭이 없는, 그리고 외부 기후의 영향을 받지 않는 등의 상태로 자유롭게 야영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한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가 제시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차량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하부 케이스와, 개폐수단에 의해 상기 하부 케이스를 폐쇄하거나 개방하는 상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차량용 루프탑 텐트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는 확장 플레이트; 양단부가 상기 확장 플레이트의 후미 양 측부에 각각 피봇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지폴; 및 적어도 상기 상부 케이스, 상기 지지폴 및 상기 확장 플레이트에 연결되는 텐트 천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 플레이트는 상기 하부 케이스와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제1 위치와, 상기 하부 케이스로부터 최대로 인출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폴은 상기 확장 플레이트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확장 플레이트와 인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텐트 천에 의해 상측으로 들어올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간 확장형 하드셀 루프탑 텐트”가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제공되고 있는 루프탑 텐트들은 천막 소재로만 이루어지고 지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텐트에 비해 여러가지 이점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펼져지는 부분의 소재가 천막으로 이루어진 루프탑 텐트의 경우에는 날씨나 기후 조건, 반복적인 절첩 사용에 따른 파손이나 훼손 우려 등의 여러가지 문제로 인해 내구성에 상당한 문제가 있다. 또한, 천막 소재의 경우에는 방수천을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여러가지 요인에 의한 방수기능의 저하 등, 경우에 따라서는 우천시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고, 또 동절기를 비롯하여 텐트의 내부 및 외부의 온도 차이로 인해 내부 활공간에 습기가 발생되는 경우 이를 적정하게 제거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고, 특히 이러한 습기가 응집되어 텐트 바닥으로 흘러내리는 경우, 텐트 바닥에 깔려진 매트리스를 포함한 각종 침구류나 물품들을 적시게 되는 문제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천막을 이용하는 루프탑 텐트 구조의 경우, 부득이하게 천막이 젖거나 매트리스를 포함한 각종 침구류가 습기에 젖어 있는 경우에는 위생적인 사용을 위해서는 반드시 이를 말려서 사용해야하는 상당한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비롯하여 건조를 위한 별도의 시간과 장소, 노력 등이 요구되는 등의 위생적인 관리에 상당한 어려움이 존재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또한, 종래 제공되고 있는 루프탑 텐트중, 텐트를 구성하는 소재 전체가 하드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된 것이 일부 제공되고 있기는 하나, 내부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접었다 펴지는 사방 패널들의 절첩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롭게 이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상기한 루프탑 텐트의 경우에도 온도차에 의해 발생하는 내부 습기의 제거를 위한 별도의 수단이 강구되어 있지 못하기 때문에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습기에 의해 바닥이 젖거나 바닥에 깔려진 메트리스를 포함한 침구류나 각종 물품들이 습기에 의해 젖게되는 문제를 피하기 어렵다는 구조상의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 활동공간을 형성하기위한 소재를 천막 소재가 아닌 알루미늄복합판넬과 같은 하드(hard)한 소재를 이용하여 제작함에 따른 내구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또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자체에 직접 설치된 기립수단에 의해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의 형성 및 폐쇄 작동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하부 케이스의 바닥 둘레로 마련되는 트렌치(trench)구성을 통해 결로현상으로 인해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는 물기나 습기의 분리 집수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마루 바닥층으로 깔려져 사용되는 매트리스 등이 젖는 문제없이 항상 안전하고 위생적인 관리 및 보관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하드 루프탑 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드 루프탑 텐트는,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하드한 소재의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는 하드한 소재의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사이에 연결 개재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통해 내부 활동공간을 형성 및 해제하기 위하여 하부 및 상부 케이스에 대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 지지되고 동시에 하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양 측면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외벽체와 내벽체 및 마루 바닥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외벽체와 내벽체 및 천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는 양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 및 상부 케이스의 내벽체에 대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또 분할 경계면 역시 힌지로 연결 지지된 제1 및 제2분할벽체와, 상기 제1 및 제2 분할벽체를 자체적으로 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분할벽체의 분할 경계면 사이에 형성된 기립조작공간과, 상기 기립조작공간을 통해 제1 및 제2분할벽체에 대해 회동 절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기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벽체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양측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각 하단이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와 힌지 결합되어져 순차적으로 절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로는 외벽체 및 내벽체 둘레 사이로는 내벽을 타고 흐르는 물기나 습기의 집수 제거 처리를 위한 트렌치가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트렌치로는 배수공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케이스, 상부 케이스, 바닥층,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측면벽체 천정부는 알루미늄 또는 프로파일과, 압축단열폼 및 알루미늄판재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복합판넬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상부 케이스의 천정부는, 단열폼 매트로 이루어지는 제1천정 지지층과,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이루어진 제2천정 지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제1 및 제2분할벽체로는 양 측면벽체를 안정적으로 세움 받침하기 위한 세움 받침벽이 더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벽체는, 내부 활동공간의 형성시에는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가 기립수단에 의해 먼저 기립된 다음 순차적으로 세워지고, 또 해제시에는 먼저 순차적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벽체로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위한 세움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움유지수단은,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제2분할벽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 세움 받침벽에 고정된 걸림 고리와, 측면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홀더 및 상기 슬라이드 홀더 내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 되어지고 상기 걸림고리에 대해 걸림 및 해제되는 이동 조절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벽체는 하부 케이스와의 사이에 보조기립수단을 더 설치하여 절첩 조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측면벽체로부터 개방되는 출입구의 어느 일측 또는 양 측으로는 가림막이 더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립수단, 보조개폐수단, 보조기립수단은 쇼크옵서버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와 상부 케이스의 내벽체는 동일 수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지도록 하여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측면벽체가 이들 사이에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벽체는 그 내벽체 보다 하단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를 닫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 일부가 감싸지는 형태로 닫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쇼크옵서버는 가스, 유압, 전동서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기립조작공간이 형성된 제1 및 제2분할벽체의 내측면으로는 기립수단을 커버하기 위한 분할커버가 더 커버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로는 루프 고정부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루프 고정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하부 케이스에 대해 조임 고정하는 제1고정요소와, 상기 받침판을 루프랙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드한 소재를 이용하여 내부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텐트를 제작함으로써 내구성이 현저하게 상승될 뿐 아니라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제1 및 제2분할벽체 사이에 직접 매설된 기립수단에 의해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가 상부 케이스의 개방과 동시에 수직적으로 직접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동작을 통해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의 형성 및 해제를 위한 절첩 구조가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 하부 케이스의 바닥 지지층을 따라 가장자리로 둘레로 형성되는 트렌치 구성을 통해 결로현상으로 각 벽체의 내벽을 타고 습기가 응집되어 흘러 내리더라도 이의 분리 집수 제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물기나 습기로 인한 매트리스 등이 젖지 않게 되어 텐트의 위생적인 휴대 관리 및 보관이 매우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의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의 펼쳐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의 접혀진 상태의 세로 방향 절단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의 접혀진 상태의 가로 방향 절단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다른 하부 케이스의 바닥층 구조를 보인 발췌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가 도 3을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가 도 4를 기준으로 펼쳐진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1부 확대 발췌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가 도 4를 기준으로 일부 접혀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에 대해 세움 받침벽이 형성된 구조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세움유지수단의 잡금 및 하제 상태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에 형성되는 창문의 개방 상태를 보인 발췌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양 측면벽체엥 형성되는 출입구의 개방 상태를 보인 발췌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의 다른 기립수단 구조를 보인 발췌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루프 고정부의 발췌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할 실시 예들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하드 루프탑 텐트(100)는, 하부케이스(110)와, 상부 케이스(120)와,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한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110)는, 차량이나 트레일러 등의 루프에 탈부착되어 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는, 알루미늄이나 알루미늄 복합판넬 등과 같은 하드한 소재로 제작되어 질 수 있고, 상부로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10)는 설치가 요구되는 루프의 길이와 폭에 각각 대응하는 길이와 폭으로 제작되어 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케이스(110)가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주 역활을 하는 프로파일(112a), 압축 단열폼(112b) 및 알루미늄판재(112c)로 이루어지는 3중 구조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는, 외벽체(111)와, 상기 외벽체의 내부에 내부 활동시, 바닥을 형성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바닥층(112)과, 상기 바닥층과 틀체와의 사이 둘레에 트렌치(113)를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 높이로 입설되는 내벽체(114)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트렌치(113)로는 집수된 수분을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공(113a)이 적정 위치에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트렌치(113)를 형성하기 위한 내벽체(114)는 적정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좋다. 예컨대, 트렌치(113)로 집수되는 수분이 상기 바닥층(112)을 포함하여 그 상부에 장착되는 매트리스(M)로 넘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트렌치(113)의 배수공(113a)으로는, 필요에 따라 집수된 수분을 임의적으로 배수하기 위한 드레인 밸브(113b)가 더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10)로 마련되는 트렌치(113) 구성을 통해 텐트의 사용시, 결로현상으로 발생되는 내부 활동공간의 습기나 수분 등의 집수 제거 처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하드 재질로 형성되는 하부 케이스(110)는, 상기 바닥층(112)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텐트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그 두께(T)가 3~5 범위 내에서 사용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벽체(111)와, 트렌치(113) 및 내벽체(114)는 일체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바닥층(112)은 텐트 설치 사용시, 내부 바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는, 하드한 소재의 단일 층으로 형성되어 짐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바닥층의 강도나 단열 등의 여러 조건들을 감안하여 복수개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바닥층(112)은 알루미늄 복판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층(112)을 구성하는 알루미늄 복합판넬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지주 역활의 프로파일(112a)과, 상기 프로파일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 단열폼(112b) 및 상기 프로파일 및 압축 단열폼의 양 측에 일체로 구비되는 알루미늄판재(112c)로 이루어진 3중구조 형태의 복합판넬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바닥층(112)의 상부로는 바닥에 대한 쿠션력을 제공하기 위한 메트리스(M)가 올려져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외주면으로는, 텐트 설치시, 지면과의 사이에 경사지게 받침되는 사다리(180)의 상부를 받침하기 위한 사다리 닫침부(115)가 더 갖추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다리는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정하게 사용될 수 있고, 절첩 구조를 포함하여 다양한 구조가 이용될 수 있다.
상부 케이스(120)는, 하부 케이스(110)의 개방단을 폐쇄 또는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진다. 상기 상부 케이스는 텐트의 천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하부 케이스와 대응되게 하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또 하부 케이스(110)와 마찬가지로 알루미늄소재나 알루미늄 복합판넬과 같은 하드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이루어지는 경우, 도5에 예시된 바와 같은 지주 역활을 하는 프로파일(112a), 압축 단열폼(112b) 및 알루미늄판재(112c)로 이루어지는 3중구조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외벽체(121)와 내벽체(122)로 구성되고, 또 천정부(123)를 포함하게 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외벽체(121)는, 그 내측으로 형성되는 내벽체(122)보다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하여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덮혀질 때, 그 외벽체(121)하단이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111) 상단 일부를 감싸는 상태로 덮혀지도록 커버되어지는 것이며,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내벽체(122)는 하부 케이스(110)의 외벽체(111)와 동일 수직 선상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진다.
하부 케이스(110)의 외벽체(111) 및 상부 케이스(120)의 내벽체(122)를 기준으로 그 내측에는, 이후 설명되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가 접혀지도록 구성되어지는 점을 고려하면, 실직적으로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하드한 소재로 형성되는 상부 케이스(120)는, 텐트의 전체 하중을 고려하여, 하부 케이스(110)와 마찬가지로 그 두께(T)가 3~5 범위 내에서 이용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벽체(121)와, 내벽체(122) 및 천정부(123)는 일체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천정부(123)는 상부 케이스(120)와 동일한 소재로 단일층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으나, 강도 보강이나 단열 보강 등의 여러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복수층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천정부(123)가 복수층으로 구성되는 경우, 위에서부터 단열폼 매트로 이루어지는 제1천정 지지층(123a)과,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이루어지는 제2천정 지지층(123b)이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고, 이들은 일체로 접착 구성될 수 잇다.
상기 천정부(123)의 제2천정 지지층(123b)을 구성하는 소재가 알루미늄 복합판넬인 경우, 도 5의 바닥층(112)과 같이 지주 역활을 하는 프로파일(112a), 압축 단열폼(112b), 알루미늄판재(112c)로 이루어지는 3중구조 형태의 복합판넬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이에 덮혀지는 상부 케이스(120)는, 적정한 위치에 서로 잠금 또는 해제 조작이 가능하게 장착되어진 잠금수단(160)에 의해 완전이 개방되거나, 또는 닫혀진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잠금수단(160)에 대한 구조는 동일한 기능을 달성하는 것이라면 특정 구조에 구애되지 않고,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잠금이나 록킹 또는 기타 유사하게 표현되어지는 다양한 형태의 잠금 구조들이 얼마든지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이나 트레일러 등의 루프 평면 형태나, 차량의 주행에 따른 공기 저항, 디자인성 등 여러가지 요소들을 감안하여 다양한 형태 및 디자인으로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의 외벽체(111)(121) 외주면으로는 어닝(awning)을 적정하게 연결 설치하기 위한 어닝 설치부(116)(124)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닝 설치부(116)(124)를 이용하여 차량의 종류나 형태, 어닝의 크기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어닝을 텐트에 연결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는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 또는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 사이에 양단이 힌지로 연결되어 내부로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절첩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는 알루미늄 복합판넬과 같은 하드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복합판넬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주 역활을 하는 프로파일(112a)과, 이들 사이에 개배되는 단연재(112b) 양 측으로 배치되는 알루미늄판재(112c)로 이루어지는 3중 구조의 복합판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3중 구조의 알루미늄 복합 판넬은, 가벼우면서도 우수한 강도 및 단열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내부로의 습기 침투가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알루미늄판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처리되는 경우, 우천시나 결로현상 발생시, 물기나 습기가 표면을 타고 쉽게 흘러내리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재 자체로서도 물기나 습기의 제거가 더욱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물기나 습기가 묻어 있다고 하더라도 자동차 윈도우 브러쉬와 같은 와이퍼나 수건 등의 각종 도구를 이용하여 쉽게 제거하거나 닦아 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 사이의 전 후면쪽으로 대응되게 배치되어지고, 또 서로 내부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연결 지지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제1 및 제2 분할벽체(141)(142)로 분리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분할벽체의 양 단부는 하부 케이스(110)의 외벽체(111) 및 상부 케이스(120)의 내벽체(122)에 대해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하부 및 상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지고, 또 분할 경계면 역시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힌지 결합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의 분할 경계면을 중심으로 이의 양 측으로는, 내측으로 접혀진 상태에 있는 제1 및 제2분할벽체가 직접 세워지도록 하기 위한 기립수단(143)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기립수단(143)은 양 단부가 제1 및 제2분할벽체에 형성된 기립조작공간(141a)(142a)에 대해 각각 회동 조작 및 압축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립조작공간(141a)(142a)이 형성된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의 내측면은 기립수단(143)을 안전하게 커버하기 위한 분할커버(141b)(142b)가 각각 커버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가 이들 분할 경계면 사이에 연결 설치된 기립수단(143)의 자체적인 기립 작동을 통해 자동적으로 수직 펼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기립수단(143)은 제1 및 제2 분할벽체(141)(142)의 크기나 하중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하나 또는 하나 이상으로 적정하게 배치 장착되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수단(143)은, 그 기능의 달성이 가능한 구조라면 다양한 형태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가스 스프링 형태를 비롯하여 유압이나 전동방식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쇼크옵서버(shock absorber)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립수단(143)은 그 외에도 도 10에 예된 바와 같이, 적정한 탄성 강도를 갖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양단부가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 사이에 힌지로 연결 지지되어 있고, 또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의 분할 경계면으로 형성된 기립조작공간(141a)(142a)에 대해 기립수단(143)의 양 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상부 케이스(120)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강제로 압축되어 있던 상기 기립수단(143)의 자체적인 기립 동작을 통해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동시에 자동적으로 기립되어 수직으로 펼쳐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로는, 더욱 바람하기로는 텐트의 설치시, 상부로 위치되는 제2분할벽체(142)로는 텐트의 내부 환기나 투시창 기능을 하는 창문(144)이 개폐 가능하게 더 설치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제2분할벽체(142)에 대하여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지는 창문(144)은 더욱 안정되고 부드러운 개폐 조작을 유도하기 위하여 보조개폐수단(145)이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보조개폐수단(145)은 가스 스프링 형태를 비롯하여 유압이나 전동 방식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쇼크옵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창문(144)은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고무패킹 등의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방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분할벽체(142)와 힌지로 연결되는 창문(144)의 상단 부분은 창문(144)의 개방시 그 개방된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 활동공간(130)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절첩몰딩(144a)이 더 접착 구성되어 질 수 있다.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한 측면벽체(150)는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양 측면에 각각 대향되게 배치 구성되어지고, 단일벽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면벽체(150)는,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순차적으로 접혀지거나, 세위지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측면벽체(150)는 그 하단부가 하부 케이스(110)의 대응 내벽체(112)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어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측면벽체(150)는 상단부를 인위적으로 잡아당기거나, 내측으로밀어주는 것에 의해 하단의 힌지를 중심으로 하부 케이스(110)의 내부로 접혀지거나 세워지는 동작이 순차적으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에 대해 세움 받침되는 양 측면벽체(150)는,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의 양단 모서리에 대해 직각으로 더 연장 절곡된 세움 받침벽(140a)의 내측면에 대해 양단이 각각 안정되게 받침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세움 받침벽(140a)은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가 접혀지는 경우, 도 4와 같이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111) 및 상부 케이스(120)의 내벽체(122) 외측에 각각 걸림 받침되어 지도록 접혀지게 된다.
또한, 측면벽체(150)의 각 상단 내부로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에 대응하여 수직적으로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한 세움유지수단(151)이 더 구비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세움유지수단(151)은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로부터 측면벽체(150)의 상단부가 임의적으로 기울어지거나 내측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특정의 구조에 한정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예컨대, 도 7 및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세움유지수단(151)은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더욱 상세히게는 제2분할벽체(142)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 세움 받침벽(140a)에 고정된 걸림고리(151a)와, 측면벽체(150)의 내측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홀더(151b) 및 상기 슬라이드 홀더 내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지고 상기 걸림고리에 대해 걸림 및 해제되는 이동 조절핀(151c)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움유지수단(151) 구성을 통해 하단이 하부 케이스(110)의 내벽체(112)에 대해 힌지 결합된 측면벽체(150)는, 그 상단부가, 세움 받침벽(140a)에 안정적으로 받침된 상태에서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에 대해 강제로 걸림 고정되는 상태로 세워지도록 고정 지지됨에 따라 항상 안정된 수직 펼침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임의적으로 접혀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각각 접혀지도록 하단이 하부 케이스의 내벽체(112)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양 측면벽체(150)는, 각 하단 내측으로 하부 케이스의 트렌치(113) 바닥과의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보조기립수단(152)을 더 설치하여 접거나 세워지도록 하는 동작이 더욱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보조기립수단(152)은, 가스 스프링 형태를 비롯하여 유압이나 전동 방식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쇼크옵서버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보조기립수단(152) 구성을 통해 상기 양 측면벽체(150)는 수동 기립에 더하여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부드럽게 반자동식으로 접거나 세우는 동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측면벽체(150)로는 출입구(153)가 구비되어 진다. 상기 출입구는 캠핑시, 사다리를 타고 내부 활동공간(130)으로 이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일종의 문(door)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일방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질 수 있고, 또, 어느 일측의 측면벽체로만, 또는 양 측면벽체 모두에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출입구(153)는 상부로 들어 올려지는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상단 부분이 힌지로 연결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때 별도의 보조개폐수단(154)을 이용하여 더욱 부드럽고 안정된 개폐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 보조개폐수단(154)은 가스 스프링 형태를 비롯하여 유압이나 전동방식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갖는 쇼크옵서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출입구(153)는 힌지로 연결되는 부분을 포함하여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고무패킹 등의 탄성 소재를 이용하여 방수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측면벽체(150)와 힌지로 연결되는 상단 부분은 출입구(153)의 개방시 그 개방된 틈새를 통해 빗물이나 습기 등이 내부 활동공간(130)으로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 고무소재로 이루어진 절첩몰딩(153a)이 더 접착 구성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153)로는 좌우 양측으로 차양이나 바람, 빗물 등을 적절하게 차단하기 위한 가림막(15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가림막은 다양한 소재가 이용될 수 있으나, 방수천 소재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힌지는 도면부호를 모두 “H”로 통일하여 표시하였으며, 상기한 힌지는 특정 구조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힌지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하부케이스(110)의 하부로는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루프 고정부(170)가 갖추어질 수 있다. 상기한 루프 고정부는 다양한 구조가 적정하게 채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루프 고정부(170)는 받침판(17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받침판을 하부 케이스(110)에 대해 조임 고정하는 제1고정요소(172)와, 상기 받침판을 루프랙을 포함한 기타 요소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요소(173)가 일체로 갖추어지는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루프 고정부(170)의 받침판(171)을 기존의 구조에 비하여 폭 넓게 형성함으로써 하부 케이스에 대한 받침 폭을 보다 넓게 구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받침 하중의 분산이 가능하게 되어 보다 안정적인 받침 및 루프에 대한 견고한 결합 고정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하드 루프탑 텐트(100)는, 차량이나 트레일러 등의 루프에 탑재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상부 케이스(120)가 잠금수단(160)의 잠금에 의해 안전하게 닫혀진 상태로 커버되어 있고,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한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측면벽체(150)가 접혀진 상태로 안전하게 수납되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는 보관시나 이동시,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120) 내부에 안전하게 수용되어져 있기 때문에 비, 바람이나 눈 등의 기후조건이나 외부 환경에 전혀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가 하드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우천시에도 비가 내부로 스며들지 않게 되고,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이동에 따른 공기 저항 등의 영향도 전혀 받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캠핑장소에 도착하여 본 발명의 하드 루프탑 텐트(100)를 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를 결속하고 있는 잠금수단(160)의 잠금력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캠핑에 필요한 내부 활동공간(130)의 형성이 신속하게 마련되어 질 수 있다.
즉,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를 서로 결속하고 있는 잠금수단(160)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하부 케이스에 대한 상부 케이스의 잠금력이 해제되고, 이와 동시에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 내부에 접혀진 상태로 수용되어져 있던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에 형성된 절첩조작공간(141a)(142a)에 압축상태로 양 단부가 연결 지지되어 있던 기립수단(143)의 신장력에 의해 하부 케이스(110)를 기준으로 펼쳐지면서 자동적으로 세워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분할벽체와 힌지 연결된 상부 케이스(120) 역시 상부로 들어 올려지게 된다. 제1 및 제2분할벽체에 의해 상부로 들어 올려진 상부 케이스(120)는 텐트의 지붕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기립수단(143)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워지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제1 및 제2 분할벽체(141)(142)는 수직상태로 세워지게 된다. 이때 수직 상태로 세워진 제1 및 제2분할벽체는 상기 기립수단이 인위적으로 압축되지 않는 이상 안정된 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가 자동적으로 세워진 후, 측면벽체(150)를 순차적으로 잡아당겨 세워준다. 이때 측면벽체(150)는 보조기립수단(152)에 의해 보다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세워질 수 있게 되고, 특히, 상기 보조기립수단이 임의적으로 압축되지 않기 때문에 세워진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세움 받침벽(140a)에 대하여 수직적으로 세워진 양 측면벽체(150)는 세움유지수단(151)을 이용하여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에 대해 잠금 고정함으로써 더욱 안정된 세움 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내부 활동시, 측면벽체가 임의적으로 넘어지거나 기울어지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측면벽체(140)의 자동 및 수동적인 세움 동작을 통해 텐트의 내부 활동공간(130)이 형성되어 진다.
상기 내부 활동공간(1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각각 세워지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는 하부 케이스(110)의 외벽체(111) 내주면과, 상부 케이스(120)의 내벽체(122) 내주면에 서로 밀접되는 상태로 펼쳐짐에 따라 펼침에 따른 틈새가 발생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벽체(150)로 형성된 출입구(153)를 개방한 다음 지면과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사다리 받침부(115) 사이에 사다리(180)를 경사지게 걸쳐 놓은 다음 이를 이용하여 내부 활동공간(130)에 들어가서 휴식을 취하는 등의 활동을 하면 된다.
또한, 필요시,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로 형성된 창문(144)을 개방하여 적정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캠핑시, 결로현상에 의해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나 측면벽체(150)의 내벽을 타고 습기가 흘러내리는 경우, 하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트렌치(113)로 집수되어 외부로 배수되기 때문에 바닥층(112)에 깔려진 메트리스(M)등이 습기에 젖거나 침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우천시에도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측면벽체(150)가 하드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경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 및 양 측면벽체(150) 모두가 물기나 습기 침투가 방지되는 하드한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내벽 또는 외벽에 묻은 물기나 습기를 별도의 도구, 예컨대, 와이퍼 등의 제거 도구를 이용하거나, 또는 걸레 등을 이용하여 닦아주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제거가 가능함에 따라 텐트의 사용 도중이나, 철거시, 물기나 습기의 신속한 제거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한 물기나 습기의 제거가 용이하다는 점은, 텐트의 철거 후, 미처 제거되지 못한 물기나 습기의 추가적인 제거가 요구된다고 하더라도 그로 인한 시간이나 장소, 노력 등의 투자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결로현상이나 우천시에도 바닥층(112)에 깔려진 메트리스(M)가 습기에 젖거나, 침투로 인한 손상이나 훼손없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고, 텐트의 철거시에도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나 측면벽체(150)의 내 외부면에 묻은 습기나 물기의 제거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텐트의 철거 작업이 그 만큼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으며, 특히, 습기가 제거된 상태에서 하부 및 상부 케이스(110)(120) 내부에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나 측면벽체(150)의 휴대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위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캠핑 종료시, 텐트를 접고자 하는 경우에는, 1차적으로 전후면 벽체 및 측면벽체의 내 외주면에 물기나 습기가 묻어 있는 경우 이를 제거하여 준다. 그런 다음, 측면벽체(150)에 설치되는 세움유지수단(151)이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에 대하여 잠금 조작되어 있는 경우, 이를 먼저 해제 한 후 측면벽체(150)를 먼저 순차적으로 하부 케이스(110) 내부로 밀어 접어준다. 이때, 측면벽체(150)는 기립보조수단(152)에 의해 부드러우면서도 안정적인 접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분할벽체(141)(142)의 절첩 경계면을 내부로 밀어 살짝 꺽여지도록 하거나, 또는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그냥 상부 케이스(120)를 눌러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제1 및 제2 분할벽체(141)(142)가 내부로 꺽여지고 동시에 기립수단(143)이 기립조작공간(141a)(142a)을 통해 서로 압축되어 지면서 하부 케이스(110) 내부, 즉, 측면벽체(150)의 상부로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부 케이스(110) 내부로 측면벽체(150) 및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의 접힘동작이 완료된 후 상부 케이스(120)를 하부 케이스(110)에 대하여 잠금수단(160)을 이용하여 잠금하여 줌으로써 간단하게 텐트의 철거 작업이 완료되어 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사다리(180)를 철거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하부 케이스(110) 및 상부 케이스(120) 사이에 절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140)는 제1 및 제2분할벽체(141)(142)가 기립조작공간(141a)(142a)에 대해 회동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는 기립수단(143)의 자체적인 신장 및 압축 동작에 의해 상부 케이스(120)의 개방과 동시에 수직적으로 자동 기립되거나, 또는 내부로 접혀지는 것이 가능하고, 또 측면벽체(150)의 수동, 또는 조보기립수단(152)을 이용한 반자동적인 세움 및 접힘 동작을 통해 텐트 내부 활동공간(130)의 형성 및 해제가 신속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또 하부 케이스(110) 내부에 설치되는 트렌치(113) 구성을 통해, 특히, 결로현상으로 인해 내벽을 타고 흐르는 물기나 습기의 집수 제거 처리가 가능함에 따라 마루 바닥층(112)에 깔려져 사용되는 메트리스(M)를 포함하여 기타 각종 물품이 젖거나 훼손되는 문제 없이 안정된 사용이 가능하다는 현저한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기립수단(143)을 포함하여 보조기립수단(152), 개폐수단(154)으로서 전동 쇼크옵서버가 사용되는 경우, 차량용 시그젝이나, 또는 밧데리에 연결하여 전기적으로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리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하기의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와 균등하거나 등가적인 변형이 있는 모든 것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루프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 지지되는 하드한 소재의 하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잠금수단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되는 하드한 소재의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 및 상부 케이스 사이에 연결 개재됨과 동시에 이의 내부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동작을 통해 내부 활동공간을 형성 및 해제하기 위하여 하부 및 상부 케이스에 대하여 하나의 유닛으로 연결 지지되고 동시에 하드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양 측면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는 외벽체와 내벽체 및 바닥층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외벽체와 내벽체 및 천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는 양단부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내측으로 접혀지도록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 및 상부 케이스의 내벽체에 대해 서로 힌지 연결되고, 또 분할 경계면 역시 힌지로 연결 지지된 제1 및 제2분할벽체와, 상기 제1 및 제2 분할벽체를 자체적으로 기립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분할벽체의 분할 경계면 사이에 형성된 기립조작공간과, 상기 기립조작공간을 통해 제1 및 제2분할벽체에 대해 회동 절첩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 기립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측면벽체는 출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양측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각 하단이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와 힌지 결합되어져 순차적으로 절첩구성되며,
    상기 하부 케이스로는 외벽체 및 내벽체 둘레 사이로는 텐트의 내벽을 타고 흐르는 물기나 습기의 집수 제거 처리를 위한 트렌치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로는 배수공이 더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 상부 케이스, 바닥층,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측면벽체 천정부는 알루미늄 또는 프로파일과, 압축단열폼 및 알루미늄판재의 3중 구조로 이루어진 알루미늄 복합판넬 중 어느하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의 천정부는, 단열폼 매트로 이루어지는 제1천정 지지층과, 알루미늄 복합판넬로 이루어진 제2천정 지지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제1 및 제2분할벽체로는 양 측면벽체를 안정적으로 세움 받침하기 위한 세움 받침벽이 더 연장 형성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체는, 내부 활동공간의 형성시에는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가 기립수단에 의해 먼저 기립된 다음 순차적으로 세워지고, 또 해제시에는 먼저 순차적으로 접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체로는,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에 대해 세워진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위한 세움유지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세움유지수단은,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의 제2분할벽체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된 세움 받침벽에 고정된 걸림 고리와, 측면벽체의 내측면에 고정된 슬라이드 홀더 및 상기 슬라이드 홀더 내부에 좌우 이동 가능하게 장착 되어지고 상기 걸림고리에 대해 걸림 및 해제되는 이동 조절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체는 하부 케이스와의 사이에 보조기립수단을 더 설치하여 절첩 조작이 부드럽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체로부터 개방되는 출입구의 어느 일측 또는 양 측으로는 가림막이 더 갖추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수단은 쇼크옵서버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와 상부 케이스의 내벽체는 동일 수직선상으로 배치되어 지도록 하여 상기 전후면 기립 골격벽체 및 측면벽체가 이들 사이에서 절첩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외벽체는 그 내벽체 보다 하단으로 더 연장되게 형성하여 상기 하부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를 닫을 때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벽체 일부가 감싸지는 형태로 닫혀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루프탑 텐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쇼크옵서버는 가스, 유압, 전동서버 중 어느 하나임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조작공간이 형성된 제1 및 제2분할벽체의 내측면으로는 기립수단을 커버하기 위한 분할커버가 더 커버 결합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하부로는 루프 고정부가 더 구비되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고정부는,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을 하부 케이스에 대해 조임 고정하는 제1고정요소와, 상기 받침판을 루프랙에 고정하기 위한 제2고정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하드 루프탑 텐트.
PCT/KR2022/001544 2021-02-09 2022-01-28 하드 루프탑 텐트 WO202217315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72501A JP2024507289A (ja) 2021-02-09 2022-01-28 ハードルーフトップテント
US18/274,543 US20240084617A1 (en) 2021-02-09 2022-01-28 Hard rooftop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599A KR102290071B1 (ko) 2021-02-09 2021-02-09 하드 루프탑 텐트
KR10-2021-0018599 2021-02-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3158A1 true WO2022173158A1 (ko) 2022-08-18

Family

ID=77313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01544 WO2022173158A1 (ko) 2021-02-09 2022-01-28 하드 루프탑 텐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84617A1 (ko)
JP (1) JP2024507289A (ko)
KR (1) KR102290071B1 (ko)
WO (1) WO2022173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8717A (en) * 2022-08-16 2023-01-11 Reid Donald Solid panel roof top t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071B1 (ko) *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KR102592114B1 (ko) * 2021-12-24 2023-10-20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확장가능한 캠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156U (ja) * 2014-02-24 2014-06-12 株式会社コイズミ 車載用キャンピングテント
KR101745250B1 (ko) * 2016-03-08 2017-06-09 김영원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810332B1 (ko) * 2016-10-07 2017-12-19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KR102029340B1 (ko) * 2019-07-09 2019-10-07 한국파렛트풀(주) 코너부 락킹구조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2290071B1 (ko) *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742B1 (ko) 2003-12-12 2006-05-16 양원동 차량 루프 장착형 텐트
KR101420589B1 (ko) 2014-04-11 2014-07-17 박순규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KR20200114571A (ko) * 2019-03-29 2020-10-07 박철규 슬림 루프탑 캐리어시스템
KR20200002445U (ko) * 2019-04-29 2020-11-06 최대석 픽업 트럭용 폴딩텐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91156U (ja) * 2014-02-24 2014-06-12 株式会社コイズミ 車載用キャンピングテント
KR101745250B1 (ko) * 2016-03-08 2017-06-09 김영원 차량용 루프탑 텐트
KR101810332B1 (ko) * 2016-10-07 2017-12-19 (주)신화플러스 텐트 트레일러
KR20180077915A (ko) * 2016-12-29 2018-07-09 주식회사 화이트하우스코리아 캠핑카용 루프탑
KR102029340B1 (ko) * 2019-07-09 2019-10-07 한국파렛트풀(주) 코너부 락킹구조를 갖는 접이식 컨테이너
KR102290071B1 (ko) *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08717A (en) * 2022-08-16 2023-01-11 Reid Donald Solid panel roof top 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07289A (ja) 2024-02-16
KR102290071B1 (ko) 2021-08-13
US20240084617A1 (en) 2024-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73158A1 (ko) 하드 루프탑 텐트
WO2020013421A1 (en) Roof-top tent for vehicle
US4844109A (en) Motor vehicle shelter
EP0366677B1 (en) An improved annexe
KR101420589B1 (ko) 차량용 공간확장형 하드쉘 루프탑 텐트
US4155204A (en) Expandable mobile home
US20080256878A1 (en) Portable Shippable Facilities
WO2020045956A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CN113374333A (zh) 一种车顶行李箱帐篷
US4222604A (en) Caravan or campervan construction
CN210177772U (zh) 一种空间可变的阁楼及双坡阁楼
CN113585835B (zh) 一种智能伸缩车篷
KR102305742B1 (ko) 차량 탈부착형 텐트
CN220947734U (zh) 一种多功能房车拓展平台
WO2023229157A1 (ko) 육각 텐트용 지주 및 육각 텐트
CN219974063U (zh) 一种底盘伸缩的直升式车顶帐篷
CN220848999U (zh) 一种扩展方舱
KR102606797B1 (ko) 차량용 루프탑 텐트
CN215443415U (zh) 一种车载露营装置
WO2023182594A1 (ko) 확장 가능한 텐트
CN216406371U (zh) 救灾帐篷
CN218265274U (zh) 一种车顶帐篷
CN213087637U (zh) 一种便携式户外帐篷
AU609426B2 (en) An improved annexe
CN217379981U (zh) 连接车顶天窗的车顶帐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7529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74543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72501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275291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