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2114B1 - 확장가능한 캠퍼 - Google Patents

확장가능한 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2114B1
KR102592114B1 KR1020210187506A KR20210187506A KR102592114B1 KR 102592114 B1 KR102592114 B1 KR 102592114B1 KR 1020210187506 A KR1020210187506 A KR 1020210187506A KR 20210187506 A KR20210187506 A KR 20210187506A KR 102592114 B1 KR102592114 B1 KR 102592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frame
side panel
folded
c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87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97730A (ko
Inventor
임종길
나인강
Original Assignee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filed Critical 유한회사 한국종합레저
Priority to KR1020210187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2114B1/ko
Publication of KR20230097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97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2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2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8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comprising adjustabl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B62D63/061Foldable, extensible or yielding trai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캠퍼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캠퍼에 있어서, 내부 일정 공간이 마련된 사각 함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캠퍼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전단에 차량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견인구가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캠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확장가능한 캠퍼{Expandable truck camper}
본 발명은 확장가능한 캠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양측이 확장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가능한 캠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 19 확산에 따라 국내 여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가족과 함께하는 캠핑에 대한 수요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캠핑이라는 문화가 점차 자리를 잡고 텐트 중심의 캠핑에서 이제는 SUV차량으로 캠핑을 즐기는 문화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여가 활동의 소비지향주의에 따라서 오토캠핑 활동에 필요한 다양한 레저용품의 상품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동차를 이용한 오토캠핑은 이러한 추세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자동차를 이용해 캠핑에 필요한 물품들을 편안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됐고, 더불어 캠핑을 목적으로 제작된 캠핑카로 인해 캠핑이 더욱 편안해졌기 때문이다.
또한, 캠퍼의 경량성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의 확장을 통해 수용인원을 늘릴 수 있고, 보다 다양한 여가활동을 즐길 수 있는 공간 확보의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08958호 "확장 가능한 트럭 캠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양측이 확장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확장가능한 캠퍼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는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캠퍼에 있어서, 내부 일정 공간이 마련된 사각 함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캠퍼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전단에 차량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견인구가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상단으로 힌지 회동되는 상면패널; 상기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하단으로 힌지 회동되는 하면패널 및 상기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어 상기 상면패널과 상기 하면패널에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확장된 프레임부의 전후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측면패널과 힌지로 연결되어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면패널은, 전측에 위치하되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는 전측 측면패널 및 후측이 위치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는 후측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측 측면패널은,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후측 측면패널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후측 측면패널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후측 측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면패널이 외측 상단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시켜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양끝이 절곡된'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1이동공간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되어 상기 프레임부 측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레일부재; 양끝이 절곡된'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2이동공간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되어 상기 상면패널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패널이 개방될 경우 상기 제1레일부재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레일부재 및 상기 제1이동공간 및 제2이동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재 및 제2레일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접힘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후면 중 하나 이상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접힘부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접힘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외면에 형성된 잠금홈;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힘부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일단 내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바; 일단 외면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손잡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접힘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잠금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확장가능한 캠퍼는 양측이 확장가능 하도록 형성되어 내부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확장부를 통해 확장된 캠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전측 측면패널과 하면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도 3에서 양측에 위치한 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도 4에서 전측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후측 측면패널과 하면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도 6에서 제1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도 7에서 제2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8에서 제1후측 측면패널 및 제2후측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10는 도 1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의 (a), (b)는 각각 도 10의 상면패널을 외측 상단으로 회동한 모습과 프레임부의 상면 및 상면패널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12의 (a), (b)는 각각 도 11의 (a)에서 하면패널을 외측 하단으로 회동한 모습과 상면 및 상면패널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
도 13는 도12의 (a)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서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5은 도 14에서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고정부와 잠금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18의 (a) 내지 (d)는 도 17의 고정부를 통해 상면 패널이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9의 (a), (b)는 각각 도 16에서 잠금부의 외측 및 내측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
도 20의 (a) 내지 (c)는 도 19에서 잠금부를 통해 접힘부를 잠그는 모습을 외측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21의 (a) 내지 (c)는 도 19에서 잠금부를 통해 접힘부를 잠그는 모습을 내측에서 도시한 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확장가능한 캠퍼를 중심으로 견인구가 마련되는 방향을 '전측'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측'이라 하며, 이에 따라 '일측', '타측', '상측' 및 '하측'과 같은 방향을 지시하는 용어들은 상기 전측 및 후측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확장부를 통해 확장된 캠퍼의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전측 측면패널과 하면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양측에 위치한 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전측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후측 측면패널과 하면패널의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제1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제2후측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제1후측 측면패널 및 제2후측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0는 도 1의 프레임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의 (a), (b)는 각각 도 10의 상면패널을 외측 상단으로 회동한 모습과 프레임부의 상면 및 상면패널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의 (a), (b)는 각각 도 11의 (a)에서 하면패널을 외측 하단으로 회동한 모습과 상면 및 상면패널을 제외하고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3는 도12의 (a)에서 일측에 위치하는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타측에 위치하는 측면패널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은 도 14에서 측면패널의 접힘부가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1)는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하며, 전후면이 확장되도록 형성된 캠퍼로서, 프레임부(10) 및 이동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는 내부 일정 공간이 마련된 사각 함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1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서 하기로 한다.
이동부(20)는 프레임부(10) 하부에 형성되어 캠퍼(1)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2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바퀴(200)는 양 측에 한 쌍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 개 또는 다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20)는 캠퍼(1)가 차량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견인구(210)가 마련될 수 있다. 견인구(210)는 캠퍼(1)의 전단에 마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견인구(210) 모두 적용 가능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확장부(100)는 프레임부(10)가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캠퍼(1)의 전면 및 후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패널(110), 하면패널(120) 및 측면패널(1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패널(110)은 프레임부(10)의 외측 상단으로 힌지 회동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면패널(110)은 프레임부(10)의 전면 및 후면과 동일한 크기와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하면패널(120)은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프레임부(10)의 외측 하단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면패널(120)은 프레임부(10)의 전면 및 후면의 높이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같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하면패널(120)은 개방되었을 때, 전측에 위치하는 하면패널(120)이 후측에 위치하는 하면패널(120)보다 낮은 너비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하면패널(120)은 전측에 위치하는 견인구(210)에 간섭 받지 않으면서 확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때, 바퀴(200)는 프레임부(10) 중앙으로부터 후측방향으로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하여 프레임부(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측면패널(130)은 상면 및 하면패널(110, 120) 사이에 형성되어 지지하는 것으로,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프레임부(10)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될 수 있으며, 상면패널(110)과 하면패널(120)에 결합되도록 두 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측면패널(130)은 확장된 캠퍼(1)의 전후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접힘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접힘부(1300)는 측면패널(130)과 힌지로 연결되어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과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측면패널(130)은 위치에 따라 전측 측면패널(130a) 및 후측 측면패널(130b)로 구분될 수 있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전측 측면패널(130a)은 프레임부(10)의 전측에 위치하되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0)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과 같이 전측에 위치한 하면패널(120)만 개방되었을 때, 전측 측면패널(130a)은 접힘부(1300)가 접힌 상태로 일정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4와 같이 전측 측면패널(130a)을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하여 개방할 수 있다. 이때, 전측 측면패널(130a)은 양측에 위치하는 전측 측면패널(130a)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됨으로써 개방 순서에 한정하지 않고 개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5를 참조하면, 전측 측면패널(130a)의 접힘부(1300)를 펼침으로써 프레임부(10)의 전면을 폐쇄할 수 있다.
도 6 내지 9를 참조하면, 후측 측면패널(130b)은 프레임부(10)의 후측에 위치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프레임부(10)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측 측면패널(130b)은 제1후측 측면패널(132a) 및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후측 측면패널(132a)은 프레임부(10)의 후측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으며,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은 프레임부(10)의 후측 타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되 힌지로 연결되어 회동할 수 있다.
도 6과 같이 후측에 위치한 하면패널(120)만 개방되었을 때, 후측 측면패널(131b, 132b)은 접힘부(1300)가 접힌 상태로 일정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은 후측 타단으로부터 이격간격(S)을 가지며 내측에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은 제1후측 측면패널(132a)보다 이격간격(S)만큼의 길이를 더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후, 도 7을 참조하면 제2후측 측면패널(132b)보다 외측에 위치한 제1후측 측면패널(132a)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과 같이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하여 개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도 9와 같이 접힘부(1300)를 펼침으로써 프레임부(10)의 후면을 폐쇄할 수 있다.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1)의 프레임부(10)가 확장되기 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1의 (a)는 프레임부(10)에서 상면패널(110)을 외측 상단으로 회동하여 상면패널(110)이 개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12의 (a)를 참조하면, 내부 공간에 위치한 하면패널(120)을 외측 하단으로 회동하여 하면패널(120)이 개방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도 12의 (b)를 참조하면, 하면패널(120)이 개방됨으로써 후측 측면패널(130b)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측 측면패널(130b)은 접힘부(1300)가 접혀있는 상태이며, 제1후측 측면패널(132a)이 외측에 위치하고,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후측 측면패널(132b)이 후측 타단으로부터 이격된 이격간격(S)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과 같이 일단에 위치한 측면패널(130)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후 도 14와 같이, 타단에 위치한 측면패널(130)이 외측 측면으로 회동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5를 참조하면 접힘부(1300)가 펼쳐짐으로써 프레임부(10)의 전후면을 폐쇄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1)는 상기의 순서에 따라 프레임부(10)의 전후면을 확장을 할 수 있으며, 상기 순서를 역순으로 하여 원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에서 고정부와 잠금부가 형성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 고정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18의 (a) 내지 (d)는 도 17의 고정부를 통해 상면 패널이 고정되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프레임부(10)는 고정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상면패널(110)이 외측 상단으로 회동하였을 때, 회동한 상태를 고정시켜주는 것으로, 제1레일부재(300), 제2레일부재(310) 및 고정바(3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1레일부재(300)는 양끝이 절곡된 '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1이동공간(300s)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레일부재(300)는 프레임부(10) 측면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외측 끝단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레일부재(310)는 양끝이 절곡된 '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2이동공간(310s)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되어 상면패널(110)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레일부재(310)는 상면패널(110)이 개방될 경우, 제1레일부재(300)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1레일부재(300)와 제2레일부재의 개방된 부분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바(320)는 제1이동공간(300s) 및 제2이동공간(310s)에 삽입될 수 있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제1레일부재(300) 및 제2레일부재(3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고정바(320)는 외면에 돌출된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돌기를 고정바(320)의 이동을 제어하는 손잡이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30)는 상면패널(110)의 고정을 보조해주는 보조고정판(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고정판(330)은 판 형태로 형성되되, 프레임부(10) 측면 끝단, 즉 전면 또는 후면을 바라보는 면에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조고정판(330)은 프레임부(10)에 고정된 상태로 상면패널(1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면패널(110)이 상측으로 회동되면 외측방향으로 회동하여 상면패널(110)의 하면을 지지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고정부(30)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도 18의 (a)는 상면패널(110)이 회동하지 않은 상태로, 고정바(320)가 제1이동공간(300s)에 위치한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18의 (b)와 같이 상면패널(110)을 상측으로 회동시켜 개방하게 되고, 도 18의 (c)와 같이 보조고정판(330)을 외측으로 회동하여 상면패널(110)을 일시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8의 (d)를 참조하면, 고정바(320)를 제2이동공간(310s)측으로 이동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고정바(320)가 제1이동공간(300s)과 제2이동공간(310s)에 걸쳐 위치함으로써 상면패널(110)이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는 상면패널(110) 개방 시, 고정부(30)를 통해 상면패널(110)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부(10)가 안전하고 빠르게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9의 (a), (b)는 각각 도 16에서 잠금부의 외측 및 내측에서 확대하여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0의 (a) 내지 (c)는 도 19에서 잠금부를 통해 접힘부를 잠그는 모습을 외측에서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1의 (a) 내지 (c)는 도 19에서 잠금부를 통해 접힘부를 잠그는 모습을 내측에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9 내지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의 접힘부(1300)는 잠금부(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부(40)는 프레임부(10)의 전면, 후면 중 하나 이상이 폐쇄되었을 때, 접힘부(1300)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으로, 잠금홈(410), 손잡이(400), 연결바(420), 수용부재(430) 및 이동홈(44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잠금홈(410)은 도 19의 (a)와 같이 한 쌍의 접힘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잠금홈(410)은 타원형, 원형, 삼각, 사각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잠금홈(410)은 외면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파지홈(미도시)가 더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할 손잡이(400)를 잠금홈(410)으로부터 이탈시킬 때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손잡이(400)는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되되, 잠금홈(410)에 삽입되어 프레임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00)는 잠금홈(410)의 형태에 맞게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손잡이(400)는 잠금홈(410)에 삽입된 손잡이(400)를 원위치로 꺼낼 때 사용하도록 외면에 형성된 해제돌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손잡이(400)는 해제돌기(미도시)를 통해 잠금홈(40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하여 보다 쉽게 잠금부(40)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다.
연결바(420)는 손잡이 일단 내면에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재(430)는 일단 외면이 연결바(420)와 연결되고, 손잡이(400)와 동일한 형태로 손잡이(40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용부재(430)는 손잡이(400)가 회동함에 따라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이동홈(440)은 수용부재(4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 쌍의 접힘부(1300)의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홈(440)은 도 19의 (b)와 같이 수용부재(430)가 수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회동할 수 있는 공간을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바(420)는 손잡이(400)가 회동함에 따라 수용부재(43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잠금홈(410)과 이동홈(440)을 관통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내지 21을 참조하여 잠금부(40)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도 20과 도 21의 (a)를 참조하면, 접힘부(1300)가 해제된 상태로, 손잡이(400)는 하측을 잠금홈(4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로 수직으로 위치하고, 수용부재(430)도 이동홈(440) 내측에 가깝게 위치하여 수직으로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후, 도 20과 21의 (b)를 참조하면, 손잡이(400)가 수평으로 위치하도록 회동시킨 상태이고, 이에, 수용부재(430)도 수평으로 위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0과 21의 (c)를 참조하면, 손잡이(400)를 잠금홈(410)에 삽입함에 따라, 수용부재(430)가 이동홈(440)의 외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접힘부(1300)는 잠금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확장가능한 캠퍼(1)는 잠금부(40)를 통해 접힘부(1300)를 잠금 또는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여, 프레임부(10)가 확장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외력에 의해 접힘부(1300)가 접혀 개방되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안전성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하여 구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1: 캠퍼
10: 프레임부
100: 확장부
110: 상면패널
120: 하면패널
130: 측면패널
130a: 전측 측면패널
130b: 후측 측면패널
131b: 제1후측 측면패널
132b: 제2후측 측면패널
1300: 접힘부
20: 이동부
200: 바퀴
210: 견인구
30: 고정부
300: 제1레일부재
300s: 제1이동공간
310: 제2레일부재
310s: 제2이동공간
320: 고정바
330: 보조고정판
40: 잠금부
400: 손잡이
410: 잠금홈
420: 연결바
430: 수용부재
440: 이동홈
S: 이격간격

Claims (7)

  1. 차량에 연결되어 이동가능한 캠퍼에 있어서,
    내부 일정 공간이 마련된 사각 함 형태로 형성된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캠퍼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설치되고 전단에 차량에 견인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견인구가 마련되는 이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부는,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는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확장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상단으로 힌지 회동되는 상면패널;
    상기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 하단으로 힌지 회동되는 하면패널 및
    상기 일정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어 상기 상면패널과 상기 하면패널에 결합되는 두 개의 측면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패널은,
    상기 확장된 프레임부의 전후면이 폐쇄될 수 있도록 끝단에 연장되어 형성된 접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측면패널과 힌지로 연결되어 접힘상태 또는 펼침상태를 형성하고,
    상기 접힘부는,
    상기 접힘부를 통해 상기 프레임부의 전면, 후면 중 하나 이상이 폐쇄되었을 때 상기 접힘부를 잠금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잠금부는,
    한 쌍의 접힘부가 겹쳐지는 부분의 외면에 형성된 잠금홈;
    수평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잠금홈에 삽입되어 상기 접힘부를 잠금상태로 유지시키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일단 내면에 연결되어 형성된 연결바;
    일단 외면이 상기 연결바와 연결되고, 상기 손잡이와 동일한 형태로 상기 손잡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손잡이가 회동함에 따라 회동하는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접힘부의 내면에 형성되되, 상기 잠금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이동홈을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캠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패널은,
    전측에 위치하되 서로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는 전측 측면패널 및
    후측이 위치하되, 서로 다른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 외측 측면으로 힌지 회동되는 후측 측면패널을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캠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후측 측면패널은,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일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형성된 제1후측 측면패널 및
    상기 프레임부의 후측 타단에 힌지로 연결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1후측 측면패널로부터 내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 제2후측 측면패널을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캠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상면패널이 외측 상단으로 회동된 상태로 고정시켜주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양끝이 절곡된'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1이동공간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되어 상기 프레임부 측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레일부재;
    양끝이 절곡된'ㄷ'자인 레일 형태로 내부에 제2이동공간을 형성하되 외측 끝단이 개방되어 상기 상면패널에 형성되되, 상기 상면패널이 개방될 경우 상기 제1레일부재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레일부재 및
    상기 제1이동공간 및 제2이동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1레일부재 및 제2레일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고정바를 포함하는 확장가능한 캠퍼.
  7. 삭제
KR1020210187506A 2021-12-24 2021-12-24 확장가능한 캠퍼 KR102592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506A KR102592114B1 (ko) 2021-12-24 2021-12-24 확장가능한 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87506A KR102592114B1 (ko) 2021-12-24 2021-12-24 확장가능한 캠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730A KR20230097730A (ko) 2023-07-03
KR102592114B1 true KR102592114B1 (ko) 2023-10-20

Family

ID=87157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87506A KR102592114B1 (ko) 2021-12-24 2021-12-24 확장가능한 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21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071B1 (ko) *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8316A (ko) * 2017-07-12 2017-08-01 김성철 접이식 캠핑 트레일러
KR102279665B1 (ko) * 2019-06-18 2021-07-21 정경헌 차량용 확장 모듈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071B1 (ko) * 2021-02-09 2021-08-13 이유경 하드 루프탑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97730A (ko) 202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2042B2 (en) Foldable wagon
US9855962B1 (en) Locking floor folding cart
US7121597B2 (en) Bicycle-holding apparatus concealable in bumper shell
US8960765B2 (en) Flexible folding cover
US4126324A (en) Collapsible trailer
CN101248936B (zh) 具有储存舱的可折叠便携式游戏床组件及其使用方法
US7083219B1 (en) Retractable storage system for trucks
US20100072154A1 (en) Compartment divider assembly
US6634689B1 (en) Retractable truck cargo support walls
CN207345942U (zh) 中门组件和机动车辆
KR20110114571A (ko) 개선된 접이식 유모차
US9120510B1 (en) Cargo bed system for a vehicle
US20210085046A1 (en) Expandable bag and an apparatus for expanding a bag
KR102592114B1 (ko) 확장가능한 캠퍼
CA2955289C (en) Pickup truck bed cover
CA2834605C (en) Flexible folding cover
KR101662201B1 (ko) 접이식 왜건
US11305624B2 (en) Multi position folding panel truck box cover assembly
KR200492412Y1 (ko) 차량용 접이식 발판장치
FR2891782A1 (fr) Structure d'abri d'une surface, en particulier d'un plateau de charge
EP3322615B1 (en) Foldable storage arrangement
US2016026416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n interlocking wagon
JPS632365Y2 (ko)
JP2009096270A (ja) キャンバス格納構造
KR20210012535A (ko) 차량 적재함용 접철가능한 덮개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