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182594A1 - 확장 가능한 텐트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182594A1
WO2023182594A1 PCT/KR2022/012832 KR2022012832W WO2023182594A1 WO 2023182594 A1 WO2023182594 A1 WO 2023182594A1 KR 2022012832 W KR2022012832 W KR 2022012832W WO 2023182594 A1 WO2023182594 A1 WO 202318259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nt
floor
frame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2/01283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Publication of WO202318259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18259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nt that can be used as a single or double layer depending on the user's needs and can be expanded by adding various types of awnings.
  • Types of tent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residential tents, travel tents, military tents, and heating tents. Travel tent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om tents, pop-up tents, teepee tents, shelters, living room tents, rooftop tents, cabin tents, etc. there is.
  • tents are divided into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ir purpose and can have various purposes such as personal camping, greenhouses, and shelter spaces.
  • various purposes such as personal camping, greenhouses, and shelter spaces.
  • a plurality of third vertical supports and a plurality of height adjustment members assembl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first or second vertical support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fixture or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of the second fixture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second and third fixtures.
  • a plurality of brackets assembled at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auxiliary supports and the first and second vertical supports or height adjustment members,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connecting the brackets, and a plurality of pallets and tents arranged on the floor members
  • the design is published as a two-story structure with a ladder member installed at the entrance and a parking space for storing vehicles on the first floor and a living space on the second floor. It is limited to a tent for vehicles and has limited space.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use was limited due to lack of scalability.
  •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re intended to impro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ents described above, and to provide a tent that can be expanded into a single or double layer without being greatly limited by the environment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xpandable tent that can be used by combining various types of awnings around the tent body.
  • An expandable tent includes a floor frame portion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a floor mat portion installed with a certain area on the floor frame portion, and at least two fastened to each corner of the floor frame portion. It includes a tent main body that is supported by elastic tent poles and is blocked from the outside to provide a living space on the inside, and an expansion means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loor frame to expand the space.
  • a plurality of the first support frame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nd connection pieces may be installed at the connection portions to support them.
  • the floor mat unit includes a mat formed with a preset area and thickness, and a fixing part protruding from each side of the mat, and fixing the fixing part to the floor frame.
  • a mat fixing piece may be included.
  • the expansion means includes a floor plate installed toward each corner of the floor frame, a vertical rod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loor plate and connected to and supported by the floor frame, and the vertical rod as the center. It is installed on the floor plate and may include a pair of inclined rods supporting the floor frame portion at a certain inclination angle.
  • an expansion space is determined at the bottom of the floor frame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and the inclined pole, and a lower shelter can be provided by installing a tent cloth in all directions or in a plurality of directions in the expansion space.
  • the expansion means can be used as a single or double layer as needed.
  • the floor frame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so it can be easily used in various road environments.
  • a tent that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by combining a tent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wning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panded example of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ure 1;
  • Figure 3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floor mat portion and the floor frame portion in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lower shelter of the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1;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or mat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xpansion example of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and the terms refer to one It is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 top “bottom”, “front”, “rear”, etc. used below are defined based on the drawings, and the shape and location of each component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xpanded example of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1
  • FIG. 3 is a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floor mat portion and the floor frame portion in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n inside view of the lower shelter of the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shown in FIG. 1.
  •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loor mat part in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xpanded example of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xpandable tent largely includes a floor frame part 100 positioned parallel to the ground, a floor mat part 200 installed on the floor frame part 100, and a floor frame. It includes a tent main body 300 that is installed in the unit 100 to provide a living space, and an expansion means 400 that i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or frame unit 100 to expand the space.
  • the floor frame portion 100 is intended to support the tent main body 300 by separating it from the ground on the upper side, and a space expanded by the expansion means 400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 a pair of first support frames 110 facing each other to form a square shape are connected and arranged at a right angle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It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second support frames 120.
  •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re made of hollow square bars, and metal or composite materials may be preferable.
  • At least one of carbon fiber, glass fiber, mica, montmorillonite, and smectite is used. It can be included.
  •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have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y are square in shape and are formed on one side of both end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with square coupling holes ( 112) can be formed.
  • a coupling surface 122 may be formed on both ends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upling hole 112.
  • the coupling surface 122 is formed to be smaller than the central diameter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is located in the coupling hole 112 so that it is on the same surface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re coupled. was achieved.
  • a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is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coupling surface 122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a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is also formed in the coupling hole 112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 can b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coupling surface 122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2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are aligned in a vertical direction. It may be desirable for a communication to be formed to lead to.
  • the vertical rod 420 of the expansion means 400 may be located in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be made of a single piece of a certain length, but for convenience of carrying, they may be formed in plural pieces, and the plurality of pieces may be connected and install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connection A connection piece 130 is installed in the area to support it.
  • connection piece 130 is preferably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is formed in a “ ⁇ ” shape, with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30 inside the “ ⁇ ” shape. It is inserted into each connection part of the support frame 120 and supported.
  • it may include a connecting member 140 connecting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t a right angle at the corner.
  • the connecting member 140 ha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has a space therein, and forms openings 141 open on both sides.
  • a first support frame 110 and a second support frame 120 may be included in the opening 141.
  • a through hole 142 of a certain siz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o communicate with the internal space.
  • the through hole 142 communicates perpendicularly with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when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re connected, and the expansion means 400 ) of the vertical rod 420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to fix the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 annular groove 144 having a certain diameter and depth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tent pole stand 310 of the tent main body 300 may be positioned in the annular groove 144. there is.
  • a rubber ring 146 is installed in the annular groove 144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with the tent pole 310.
  • the rubber ring 146 may have a greater height than the annular groove 144 and may be installed to protrude from the annular groove 144, and a vertical protrusion 146a may be formed along the inner periphery of the rubber ring 146. there is.
  • the floor mat unit 200 installed in a certain area on the floor frame unit 100 may include a mat 210 and a fixing part 212 for fixing the mat 210 to the floor frame unit 100. there is.
  • the mat 210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or may be an air mat that has a certain thickness by injecting air.
  • the area of the mat 210 may preferably be the same as the inner area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 fixing portions 21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each side of the mat 210.
  • the fixing part 212 may be made of rubber or urethane, and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mat 210 by fusion or stitching.
  • the fixing part 212 is installed on each side of the mat 210, so that the overall shape of the mat 210 and the fixing part 212 may be chamfered, and a connecting member 140 is provided in the empty space at the corner. It may be the part where it is located.
  • the fixing part 212 is positioned to span or surrou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in order to fix it, a mat of the same shape as the “ ⁇ ” shaped connecting piece 130 is fixed.
  • Piece 220 may be installed.
  • a plurality of mat fixing pieces 220 may be installed along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the fixing part ( Including 212), they are joined by interference fit using the “ ⁇ ” shaped opening.
  • the fixing part 212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212a along the length direction, but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2a may b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212a may be form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of the mat fixing piece 220 to correspond to this.
  • the mat stopping protrusion 220a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 the locking protrusion 212a of the fixing part 212 and the mat catching protrusion 220a of the mat fixing piece 220 are engaged so that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ent main body 300 can be supported by preventing the fixing part 212 from being separated. there is.
  • tent main body 300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frame part 100 on which the floor mat part 200 is installed.
  • the tent main body 300 can be installed independently using the tent pole 310.
  • the tent pole 310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n be folded, and two pieces are assembled to the tent main body 300 in a diagonal direction, and each end of the tent pole 310 to which the tent main body 300 is assembled has a rubber ring. It is coupled to (146) and the annular groove 144 and can be fixedly installed on the floor frame portion 100.
  • the tent main body 300 may be composed of an inner tent and an outer tent that are blocked from the outside to provide a living space, and an entrance 302 that opens with a zipper is formed.
  • a transparent sky window, a ventilation window, etc. may be formed in the tent main body 300.
  • an expansion means 400 that separates or expands the floor frame portion 100 on which the tent main body 300 is installed by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round to create a multi-story space.
  • the expansion means 400 includes a bottom plate 410 installed toward each corner of the floor frame portion 100, and a bottom plate 41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410 to form a bottom frame portion 100.
  • a bottom plate 410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plate 410 to form a bottom frame portion 100.
  • the bottom plate 410 is made of rubber or metal and may have a certain thickness.
  • One or more holes and at least three grooves are formed in the bottom plate 410, and the holes may be pack fixing holes 412 for installing a tent pack (not shown) for fixing to the ground.
  • one vertical rod 420 can be inserted into three grooves (drawing numbers not assigned), and a pair of inclined rods 430 can be inserted into the other two grooves.
  •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rod 420 is connected to the through hole 142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and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and combined.
  • one end of the pair of inclined bars 430 is fixed to the floor plate 410 and has a certain angle, and the other ends ar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s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become and support.
  • a pair of inclined bars 430 are inclined around the bottom plate 410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form an overall right triangle shape like the vertical bar 420. Stable support may be possible.
  • the other end of the inclined bar 430 may be fix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via a fixing block 440.
  • the fixing block 440 is preferably made of rubber or metal, and the " ⁇ " shaped opening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bottom of the fixing block 440.
  • An inclined bar 430 is install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 a connecting rod 450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the fixing block 440 coupl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fixing block 440 coupled to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to form the first support frame (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torted.
  • Both ends of the connecting rod 450 may be supported by being inserted into a groove (not numbered) formed in the fixing block 440.
  • the expansion space is determined depending on the length of the vertical bar 420 and the inclined bar 430, and when the height is relatively low as shown in Figure 6, only the vertical bar 420 can be installed and spaced apart, preferably It can be installed regardless of the condition of the campsite floor by installing the vertical bar 420 and the inclined bar 430 together and separating it from the ground to some extent.
  • the cold transmitted from the floor is connected to the floor mat 200 and the floor mat 200. You can block them together.
  • the vertical rod 420 and the inclined rod 430 can be used as rods with variable length, but since they must withstand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ent main body 300, it is preferable that they are manufactured and installed separately.
  • tent cloth 460 is installed in all directions or in multiple directions, so that the lower shelter 470 can be provided as a separate space where the inside and outside are blocked.
  • a Velcro tape (not shown) is installed on the tent cloth 460 and can be fastened and fixed to the vertical bar 420, and can be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bar 420 to cover two sides, three sides, or all four sides.
  • the lower shelter 470 which is made of tent cloth 460, may be equipped with a ventilation window including a transparent window or mesh that allows viewing the outside like the tent main body 300, and an entrance 302 that opens with a zipper may be installed. there is.
  • first support frames 110 are connected with connection pieces 130
  • second support frames 120 are also connected with connection pieces 130.
  •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is coupled between the first support frames 110.
  • the coupling surface 122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By inserting the coupling surface 122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into the coupling hole 112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the overall visual frame shape is obtained, and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are formed. Connecting members 140 are coupled to each corner of the frame 120.
  • the through hole 142 of the connecting member 140, the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of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communication hole 124 of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communicate in a vertical state. It is a state.
  • expansion means 400 are assembled and installed to separate the floor frame portion 100 from the ground.
  • expansion means 400 are assembled and installed to separate the floor frame portion 100 from the ground.
  • space for the lower shelter 470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 a vertical rod 420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late 410 constituting the expansion means 400, and the other end of the vertical rod 420 is formed through a through hole 142, a first communication hole 114, and a second communication hole ( 124) and is supported on the connecting member 140.
  • a multi-story space is provided by installing vertical bars 420 at each corner of the floor frame 100, and a pair of inclined bars 430 are controlled from the floor plate 410 by means of a fixing block 440. It is coupled to support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 a connecting rod 450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xed blocks 440 to provide stable support.
  • the floor mat part 200 is installed on the floor frame part 100 where the space is expanded and spaced apart.
  • the mat 210 is spread on the floor frame 100, and the fixing part 212 is fixed to the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second support frame 120 using the mat fixing piece 220,
  • the locking protrusion 212a of the fixing part 212 and the mat locking protrusion 220a of the mat fixing piece 220 face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fixing force and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mat 210.
  • the tent main body 300 becomes independent on the ground using the tent pole stand 310, and then the freestanding tent main body 300 is placed in the floor frame part 100.
  • the tent main body 300 is fixed to the floor frame portion 100 by inserting the diagonally fastened tent pole stand 310 into the annular groove 144 and the rubber ring 146 of each connecting member 140. .
  • the tent body 300 can be fixed by hanging it on the ground or a nearby tree using strings.
  • a lower shelter 470 that separates the inner and outer spaces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the tent cloth 460 along each vertical bar 420.
  • the space of the lower shelter 470 can be used as a resting space, such as cooking, and the multi-story tent main body 300 can be used as a sleeping space.
  • the multi-story tent main body 300 can be climbed using a separate ladder, etc.
  • the expansion means can be used as a single or double layer as needed, and since the floor frame portion is spaced from the ground, it can be easily used in various road environments.
  • a floor mat portion 200 is shown in FIG. 5 .
  • the floor mat portion 500 may be composed of a support plate 510, a support plate 520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510 in a crisscross shape, and a mat plate 540 mounted on the support plate 520. there is.
  • the support plate 510 has a quadrangular plate shape, with support grooves 512 formed on each side on the upper surface, and a hollow support rod 514 on the lower surface.
  • the end of the support 520 is inserted into each support groove 512, and the support bar 514 protrudes to a preset length, so that the support plate 510 is supported while the bottom frame 100 is spaced from the ground. It is for support.
  • a separate extension bar 516 is inserted into the hollow support bar 514 to support the support plate 510 from the ground.
  • the support 520 has the same shape as a square tree, and its end is inserted into the support groove 512.
  • the frame coupling piece 530 is preferably made of metal, and is joined on the opposite side to the mat fixing piece 220 in a “ ⁇ ” shape like the mat fixing piece 220, and has a coupling hole on the vertical surface facing the support 520. 532 is formed so that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520 can be inserted and installed.
  • the mat plate 540 can be mounted in a space divided into four parts by the supports 520 installed crisscross around the support plate 510.
  • the mat board 540 may preferably be made of wood.
  • the frame coupling piece 530 is coupled to each first support frame 110, and the frame coupling piece 530 is also coupled to each second support frame 120. .
  • each support 52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532 of each frame coupling piece 530 to face the center, and the end of each support 520 is seated in the support groove 512 of the support plate 510. .
  • an extension bar 516 is installed.
  • the mat plate 540 is mounted to fill the inner space of the floor frame portion 100 to support the tent main body 300.
  • the mat plate 540 can be stably supported by each support 520 and the connecting rod 450 of the expansion means 400 installed at each corner.
  •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econd embodiment
  •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using an awning for an expand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 FIGS 7 to 9 show that the awning can be used in various structures.
  • a zipper 301 including a slider is installed on the ceiling of the tent main body 300, and a zipper corresponding to the zipper 301 is installed on one end of the awning 600 to secure the zipper 301.
  • the tent body 300 and the awning 60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on.
  • the awning 600 connected to the tent main body 300 can be unfolded and an expanded shade space can be created using the tarp pole 610.
  • the awning 600 can be installed on four sides of the tent main body 300, and the awning 600 can be connected to all four sides at the same time by combining the zipper 301.
  • the extension shelter 630 connected to the lower shelter 460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an be expanded by the expansion means 400.
  • a zipper 301 is installed on the tent main body 300, and a square awning 620 coupled to the zipper 301 is connected and installed.
  • a space can be created inside, as shown, to form an extended shelter 630 with a rest area.
  • a tent that can be expanded into various structures and shapes can be provided by combining a tent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aw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확장 가능한 텐트를 개시하며,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텐트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어닝을 부가하여 확장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활동 중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용품으로,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펼쳐서 가옥형태로 전개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텐트를 전개하거나 철수할 때 폴과 천막부의 탈착 및 지주핀 등의 고정부재의 정리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소득수준의 향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시간적 여유를 지나 자연환경, 경관이 좋고 시설이 쾌적한 분위기를 찾아 자연과의 교감을 추구하고, 삶의 가치나 여가를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면서 여가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텐트의 수요 또한 증가하였다.
텐트의 종류에는 주거용 텐트, 여행용 텐트, 군용 텐트, 난방 텐트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여기서 여행용 텐트는 다시 톰텐트, 팝업텐트, 티피텐트, 셸터, 거실형 텐트, 루프탑 텐트, 캐빈 텐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텐트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 지고 개인용 캠핑, 비닐하우스, 대피공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러한 목적별로 텐트를 설치, 휴대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한정된 공간을 가진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8-0016963호에서는 다목적용 2층 자동차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다목적용 2층 자동 차 텐트는 2층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부재와 다수개의 제 1 폭방향 지지대와 후크와, 지지리브와, 조립공을 갖고 제 1폭방향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제 1 고정구와 길이방향 지지대와 길이방향 지지대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제 2 고정구와 길이방향 지지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2 폭방향 지지대와 제 2 폭방향 지 지대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제 3 고정구와 바닥면 부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1 및 제 2수직 지지대 와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3수직 지지대와 제 1 또는 제 2수직 지지대의 상단부와 제 1고정구의 하단부 또는 제 2고정구의 제 2연결부 사이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부재와 제 2 및 제 3고정구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1 및 제 보조지지대와 제 1 및 제 2수직 지지대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브라켓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판과 바닥면 부재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깔판과 텐트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며 1층에 차량을 수납하는 주차공간과 2층에 주거공간을 구비하는 2층구조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안을 게시하고 있는데 차량용 텐트로 한정되어 있고 공간의 확장성이 부족하여 용도에 한정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용 텐트는 공간 확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텐트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장소의 환경에 크게 제한받지 않고,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텐트본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어닝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프레임부는, 중공의 사각바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면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확장수단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이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매트부는,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고서 형성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고정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되,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봉과 상기 경사봉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로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상기 확장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이 설치되어 하부쉘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는, 확장수단을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닥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바 다양한 노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텐트본체와 복수의 어닝의 결합으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1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 바닥매트부와 바닥프레임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하부쉘터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닥매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2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1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 바닥매트부와 바닥프레임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하부쉘터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닥매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2 확장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텐트는, 설치 장소의 환경에 크게 제한받지 않고,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확장 가능한 것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가능한 텐트는, 크게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100)와,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설치되는 바닥매트부(200)와, 바닥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300) 및 바닥프레임부(100)의 하부로 설치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바닥프레임부(100)는 상측으로 텐트본체(3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하측으로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시 도 2의 분리 사시도에서 바닥프레임부(100)를 참고하면,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은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지며, 금속재 또는 복합소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금속재의 경우 경량의 티타늄 등이 바람직하고, 복합 소재일 경우에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마이카(mica),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스멕타이트(smect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로 하여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태로 제1지지프레임(110)의 양단부의 일면으로 사각의 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2)에 직각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제2지지프레임(120)의 양단으로는 결합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면(122)은 제2지지프레임(120)의 중심부 직경 보다는 축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12)에 위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 시 동일 면상을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에는 제2연통공(12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도 제1연통공(11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이 삽입 결합시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은 수직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으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확장수단(400)의 수직봉(420)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은 일정 길이의 단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130)이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30)은 제1지지프레임(110), 제2지지프레임(120)과 동일 재질이면 바람직하고, "ㄷ" 자 형상으로 "ㄷ"자의 내측으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각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지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양측면으로 개방된 개구부(14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41)에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면으로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42)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연결 시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과 수직하게 연통되며, 확장수단(400)의 수직봉(420)이 삽입 위치되어 연결부재(140) 및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40)의 상면으로는 일정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환형홈(144)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환형홈(144)에는 텐트본체(300)의 텐트폴대(310)가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환형홈(144)에는 고무링(146)이 설치되어 텐트폴대(3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무링(146)은 환형홈(144)보다 더 큰 높이를 가져서 환형홈(144)으로부터 돌출 설치될 수 있으며, 고무링(146)의 내주연을 따라 수직한 돌기(146a)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200)는, 매트(210)와 매트(21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21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공기의 주입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에어매트일 수 있다.
상기 매트(210)의 면적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내측 면적과 같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210)의 각 변으로 고정부(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2)는 고무재 또는 우레탄 재질일 수 있으며, 매트(210)에 융착 또는 박음질 등으로 일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2)는 매트(210)의 각 변에 설치되어 매트(210)와 고정부(212)의 전체 형상은 모따기가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으며, 모서리의 빈 공간에는 연결부재(140)가 위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2)는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걸쳐지거나 감싸도록 위치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의 연결편(130)과 같은 형상의 매트고정편(220)이 설치될 수 있다.
매트고정편(220)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 및 고정부(212)를 포함하여 “ㄷ”자의 개방부를 이용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덧붙여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212a)이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매트고정편(220)의 상단 내측면으로도 매트걸림턱(220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2)의 걸림턱(212a)과 매트고정편(220)의 매트걸림턱(220a)이 맞물려서 텐트본체(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고정부(212)의 이탈이 방지되어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된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텐트본체(300)가 설치될 수 있다.
텐트본체(300)는 텐트폴대(310)에 의하여 자립 설치될 수 있다.
텐트폴대(31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절첩 가능하고 두 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텐트본체(300)에 조립되고, 텐트본체(300)를 조립한 텐트폴대(310)의 각 단부는 고무링(146)과 환형홈(144)에 결합되어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텐트본체(300)는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내부텐트와 외부텐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퍼로 개방되는 출입구(302)가 형성된다.
또한, 텐트본체(300)에는 투명한 스카이창과 환기창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텐트와 유사하기에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텐트본체(300)가 설치된 바닥프레임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시키거나 확장하여 복층 공간이 마련되는 확장수단(400)이 포함된다.
확장수단(400)은 도 2 또는 도 4를 참고하면, 바닥프레임부(100)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410)과, 바닥판(41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바닥프레임부(100)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420) 및 수직봉(420)을 중심으로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봉(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410)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되며,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닥판(410)에는 하나 이상의 홀과 적어도 3개의 홈이 형성되며, 홀은 지면 고정용 텐트팩(미도시)을 박기 위한 팩고정홀(412)일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홈(도면번호 미부여)은 하나의 수직봉(420)이 위치되고 다른 2개의 홈은 한 쌍의 경사봉(430)이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수직봉(420)의 상단은 연결부재(140)의 관통공(142)과 제1지지프레임(110) 및 제2지지프레임(120)의 제1연통공(114), 제2연통공(124)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경사봉(430)은 일단부측이 바닥판(410)에 고정 설치 후 일정 각도를 가지고서 각각의 타단부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위치되어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경사봉(430)은 바닥판(410)을 중심으로 경사져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지지하면서 수직봉(420)과 같이 전체적으로 직삼각형태를 이루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봉(430)의 타단부측에는 고정블록(440)을 매개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블록(440)은 고무재나 금속재가 바람직하고, "ㄷ"자 형상에서 개방부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삽입되며, 고정블록(440)의 저면으로 경사봉(430)이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지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1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된 고정블록(44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된 고정블록(440)의 사이에는 연결봉(450)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450)의 양단부는 고정블록(440)에 형성된 홈(도면번호 미부여)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의 길이에 따라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예시된 도 6에서와 같이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수직봉(420)만 설치하여 이격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을 같이 설치하여 지면과 어느 정도 이격시켜서 캠핑장 바닥의 컨디션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한기를 바닥매트부(200)와 같이 차단할 수 있다.
도 1의 제1확장예와 같이 텐트본체(300)의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의 설치 시에는 텐트본체(300)를 복층으로 사용 가능한 또 하나의 확장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을 길이 가변 가능한 봉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텐트본체(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뎌야 하기에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장된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460)이 설치되어 내, 외부가 차단된 별도의 공간으로 하부쉘터(470)가 마련될 수 있다.
텐트천(460)에는 미도시된 벨크로테이프가 설치되어 수직봉(4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수직봉(420)을 따라 설치되어 2면, 3면 또는 사방을 다 감쌀 수 있다.
텐트천(460)으로 마련된 하부쉘터(470)에는 텐트본체(300)와 같이 외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이나 메쉬를 포함하는 환기창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퍼로 개방되는 출입구(30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설치는, 다시 도 1 또는 도 2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지지프레임(110)을 연결편(130)으로 연결하고, 제2지지프레임(120)도 같이 연결편(130)으로 연결하게 된다.
연결된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110)을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제2지지프레임(1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을 삽입시켜서 전체적으로 시각의 프레임 형태를 갖추게 되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140)의 관통공(142)과 제1지지프레임(110)의 제1연통공(114) 및 제2지지프레임(120)의 제2연통공(124)은 수직 상태로 연통 상태이다.
계속해서, 바닥프레임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확장수단(400)이 조립 설치되며, 여기서는 하부쉘터(470) 공간이 마련되는 복층 확장을 일예로 설명한다.
확장수단(400)을 구성하는 바닥판(410)에 수직봉(420)을 삽입시키고, 수직봉(420)의 타단은 관통공(142)과 제1연통공(114) 및 제2연통공(124)을 관통하여 연결부재(14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바닥프레임부(100)의 각 모서리에 수직봉(420)을 설치하여 복층 공간이 마련되며, 바닥판(410)으로부터 한 쌍의 경사봉(430)은 고정블록(440)을 매개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블록(440)의 사이에는 연결봉(450)이 설치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공간이 확장되고 이격된 바닥프레임부(100)에 다음으로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된다.
바닥프레임부(100)상에 매트(210)를 펼치고, 고정부(212)를 매트고정편(220)을 이용하여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게 되며, 고정부(212)의 걸림턱(212a)과 매트고정편(220)의 매트걸림턱(220a)이 마주하여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매트(21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프레임부(100)에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되면, 지면에서 텐트폴대(310)를 이용한 텐트본체(300)의 자립 후, 자립된 텐트본체(30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올리고, 대각선으로 체결된 텐트폴대(310)를 각 연결부재(140)의 환형홈(144)과 고무링(146)에 삽입시켜서 텐트본체(30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고정하게 된다.
바람 등이 많이 부는 기상 조건에서는 텐트본체(300)에 스트링을 이용하여 지면이나 근처 나무 등에 매달아서 고정할 수 있다.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에는 각 수직봉(420)을 따라 텐트천(460)을 결합하여 내, 외부 공간을 분리하는 하부쉘터(47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쉘터(470)의 공간에서는 취사 등 쉬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복층의 텐트본체(300)에서는 취침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복층의 텐트본체(300)는 별도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올라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확장수단을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활용 가능하며, 바닥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바 다양한 노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이송 편의성이 향상된 확장 가능한 텐트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5에서는 바닥매트부(200)를 도시하였다.
동일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닥매트부(500)는, 지지플레이트(5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열십자 형태로 거치되는 지지대(520) 및 지지대(520)상에 거치되는 매트판(5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510)는 4각의 판상으로 상면에 각 변으로 지지홈(512)이 형성되고, 하면으로는 중공의 지지봉(51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홈(512) 상에는 상기 지지대(520)의 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지지봉(514)은 기설정 길이로 돌출되어, 바닥프레임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5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공의 지지봉(514)에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바닥프레임부(100)가 복층 구조로 이격 시에는 별도의 연장봉(516)이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플레이트(5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520)는 각목과 같은 형태이며, 지지홈(512)에 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520)의 타단부는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프레임결합편(530)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결합편(530)은 금속재가 바람직하며, 매트고정편(220)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매트고정편(220)과는 반대측에서 결합되며, 지지대(520)를 향하는 수직면에는 결합홀(532)이 형성되어 지지대(520)의 타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510)를 중심으로 열십자로 설치된 지지대(520)에 의하여 4등분된 공간에 매트판(540)이 거치될 수 있다.
매트판(540)은 목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프레임부(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각 제1지지프레임(110)에 프레임결합편(530)을 결합시키고, 각 제2지지프레임(120)에도 프레임결합편(530)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결합편(530)의 결합홀(532)에는 중심부를 향하도록 지지대(520)를 결합시키고, 각 지지대(520)의 단부는 지지플레이트(510)의 지지홈(512)에 안착시키게 된다.
바닥프레임부(100)가 복층 구조일 경우에는 연장봉(516)을 설치하게 된다.
지지대(520)가 지지플레이트(510)와 프레임결합편(530)에 지지된 상태에서 매트판(540)이 거치되어 바닥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채워서 텐트본체(30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매트판(540)은 각 지지대(520)와 각 모서리측에 설치된 확장수단(400)의 연결봉(45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어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텐트본체(300)의 천장부에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지퍼(301)가 설치되고, 어닝(600)의 일단부측에 상기 지퍼(301)에 대응되는 지퍼치가 설치되어 지퍼(301) 연결로 텐트본체(300)와 어닝(600)이 연결될 수 있다.
텐트본체(300)에 연결된 어닝(600)을 펼치고, 타프폴대(610)를 이용하여 확장된 그늘막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닝(600)은 텐트본체(300)의 4면에 설치 가능하며, 4면 동시에 어닝(600)을 지퍼(301) 결합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복층 구조를 가지는 하부쉘터(460)와 연결되는 연장쉘터(630)를 확장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텐트본체(300)에는 지퍼(301)가 설치되고, 상기 지퍼(301)에 결합되는 사각어닝(620)이 연결 설치된다.
사각어닝(620)에 타프폴대(610)를 세워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휴식 공간이 마련된 연장쉘터(6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연장쉘터(630)를 모두 개방하여 도 7의 그늘막과 같이 변경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텐트본체와 복수의 어닝의 결합으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
    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는,
    중공의 사각바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면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확장수단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이 설치되어 지지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부는,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고서 형성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고정편이 포함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되,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봉,
    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과 상기 경사봉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로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상기 확장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이 설치되어 하부쉘터가 마련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PCT/KR2022/012832 2022-03-24 2022-08-26 확장 가능한 텐트 WO202318259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6603 2022-03-24
KR20220036603 2022-03-24
KR10-2022-0085615 2022-07-12
KR1020220085615A KR102574424B1 (ko) 2022-03-24 2022-07-12 확장 가능한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594A1 true WO2023182594A1 (ko) 2023-09-28

Family

ID=87973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2/012832 WO2023182594A1 (ko) 2022-03-24 2022-08-26 확장 가능한 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74424B1 (ko)
WO (1) WO202318259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90U (ko) * 1998-09-07 2000-04-06 정윤성 다목적용 2층 자동차 텐트
JP2004270432A (ja) * 2003-03-11 2004-09-30 Seong-Tae Kim 組み立て式バンガロー
KR20130004459U (ko) * 2012-01-10 2013-07-18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액세서리
KR101571247B1 (ko) * 2014-06-27 2015-11-23 조상웅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101820705B1 (ko) * 2016-07-18 2018-03-08 김기용 조립식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63U (ko) 1996-09-20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 로크 실린더 헤빙 장치
GB0216513D0 (en) * 2002-07-17 2002-08-28 Baldwin Hodges Ireland Ltd Post mounting arrangement
KR20200114138A (ko) 2019-03-27 2020-10-07 서소희 텐트의 확장 및 용도변경이 용이한 모듈 텐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990U (ko) * 1998-09-07 2000-04-06 정윤성 다목적용 2층 자동차 텐트
JP2004270432A (ja) * 2003-03-11 2004-09-30 Seong-Tae Kim 組み立て式バンガロー
KR20130004459U (ko) * 2012-01-10 2013-07-18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액세서리
KR101571247B1 (ko) * 2014-06-27 2015-11-23 조상웅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101820705B1 (ko) * 2016-07-18 2018-03-08 김기용 조립식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941A (ko) 2023-10-05
KR102574424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3114B1 (en) Modular wall tent
WO2019212175A1 (ko) 절첩식 육각 천막
US4793371A (en) Portable shelter
EP3684991A1 (en) Roof-top tent for vehicle
US5421355A (en) Tent assembly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20210148133A1 (en) Portable room with ceiling pockets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5345962A (en) Arch supported fabric structure
WO2021172750A1 (ko) 확장형 루프탑 텐트
US5549129A (en) Retractable enclosure for vehicle awning
US20210148134A1 (en) Portable containment room
CA1272425A (en) Building structures
WO2022173158A1 (ko) 하드 루프탑 텐트
WO2010134713A2 (ko) 조립식 마루형 좌대
WO2023182594A1 (ko) 확장 가능한 텐트
WO2021256733A2 (ko) 차량용 어닝 장치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WO2024076082A1 (ko) 가벽용 무피스 조립블록 어셈블리
WO2015199315A1 (ko)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20180046238A (ko) 에어 주입식 캠핑텐트
KR100838783B1 (ko) 절첩식 대형 텐트
WO2011010773A1 (ko) 무한 확장형 연결 쉘터
CN112854580A (zh) 一种顶棚伸缩结构
KR102470310B1 (ko) 재난 원터치 파티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293376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