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38941A - 확장 가능한 텐트 - Google Patents

확장 가능한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38941A
KR20230138941A KR1020230114757A KR20230114757A KR20230138941A KR 20230138941 A KR20230138941 A KR 20230138941A KR 1020230114757 A KR1020230114757 A KR 1020230114757A KR 20230114757 A KR20230114757 A KR 20230114757A KR 20230138941 A KR20230138941 A KR 202301389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loor
frame
support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147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편리한형제
Publication of KR202301389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89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확장 가능한 텐트를 개시하며,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확장 가능한 텐트{EXPANDABLE TENT}
본 발명은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니즈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사용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의 어닝을 부가하여 확장할 수 있는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활동 중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수용품으로, 접어서 보관하고, 사용할 때는 펼쳐서 가옥형태로 전개하여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텐트를 전개하거나 철수할 때 폴과 천막부의 탈착 및 지주핀 등의 고정부재의 정리 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소득수준의 향상과 근로시간 단축으로 시간적 여유를 지나 자연환경, 경관이 좋고 시설이 쾌적한 분위기를 찾아 자연과의 교감을 추구하고, 삶의 가치나 여가를 중시하는 문화가 형성되면서 여가활동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텐트의 수요 또한 증가하였다.
텐트의 종류에는 주거용 텐트, 여행용 텐트, 군용 텐트, 난방 텐트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여기서 여행용 텐트는 다시 톰텐트, 팝업텐트, 티피텐트, 셸터, 거실형 텐트, 루프탑 텐트, 캐빈 텐트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와 같이 텐트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나누어 지고 개인용 캠핑, 비닐하우스, 대피공간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질 수 있으나 이러한 목적별로 텐트를 설치, 휴대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고 한정된 공간을 가진다는 점에서 불편함이 있었다.
종래의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실용신안 출원번호 20-1998-0016963호에서는 다목적용 2층 자동차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이 다목적용 2층 자동 차 텐트는 2층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부재와 다수개의 제 1 폭방향 지지대와 후크와, 지지리브와, 조립공을 갖고 제 1폭방향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다수개의 제 1 고정구와 길이방향 지지대와 길이방향 지지대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제 2 고정구와 길이방향 지지대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2 폭방향 지지대와 제 2 폭방향 지 지대의 양단부를 고정하는 다수개의 제 3 고정구와 바닥면 부재를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1 및 제 2수직 지지대 와 상부 프레임을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3수직 지지대와 제 1 또는 제 2수직 지지대의 상단부와 제 1고정구의 하단부 또는 제 2고정구의 제 2연결부 사이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높이조절부재와 제 2 및 제 3고정구 지지하는 다수개의 제 1 및 제 보조지지대와 제 1 및 제 2수직 지지대 또는 높이조절부재의 하단부에 조립되는 다수개의 브라켓과 브라켓을 연결하는 다수개의 보강판과 바닥면 부재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깔판과 텐트의 출입구측에 설치되는 사다리부재를 포함하며 1층에 차량을 수납하는 주차공간과 2층에 주거공간을 구비하는 2층구조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고안을 게시하고 있는데 차량용 텐트로 한정되어 있고 공간의 확장성이 부족하여 용도에 한정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용 텐트는 공간 확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16963호(공개일 2000년 04월 06일)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14138호(공개일 2020년 10월 07일)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상술한 종래 텐트들의 문제점 및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 장소의 환경에 크게 제한받지 않고,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텐트본체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어닝을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는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는,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프레임부는, 중공의 사각바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면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확장수단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이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바닥매트부는,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고서 형성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고정편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확장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되,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봉과 상기 경사봉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로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상기 확장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이 설치되어 하부쉘터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는, 확장수단을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바닥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바 다양한 노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텐트본체와 복수의 어닝의 결합으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확장 가능한 텐트를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1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 바닥매트부와 바닥프레임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하부쉘터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닥매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2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전방", "후방"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1 확장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서 바닥매트부와 바닥프레임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일부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하부쉘터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닥매트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제2 확장예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의 텐트는, 설치 장소의 환경에 크게 제한받지 않고,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확장 가능한 것이다.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가능한 텐트는, 크게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100)와,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설치되는 바닥매트부(200)와, 바닥프레임부(100)에 설치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300) 및 바닥프레임부(100)의 하부로 설치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바닥프레임부(100)는 상측으로 텐트본체(3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지지하기 위한 것이고, 하측으로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다시 도 2의 분리 사시도에서 바닥프레임부(100)를 참고하면, 사각 형태를 이루도록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1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120)은 중공의 사각바로 이루어지며, 금속재 또는 복합소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금속재의 경우 경량의 티타늄 등이 바람직하고, 복합 소재일 경우에는 탄소 섬유(carbon fiber), 유리 섬유(glass fiber), 마이카(mica),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및 스멕타이트(smectit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로 하여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태를 갖출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정사각형태로 제1지지프레임(110)의 양단부의 일면으로 사각의 결합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112)에 직각 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제2지지프레임(120)의 양단으로는 결합면(122)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면(122)은 제2지지프레임(120)의 중심부 직경 보다는 축소 형성되고, 상기 결합홀(112)에 위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 시 동일 면상을 이루도록 하였다.
또한,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에는 제2연통공(12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도 제1연통공(114)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이 삽입 결합시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은 수직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연통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으로는 하기에서 자세히 설명하는 확장수단(400)의 수직봉(420)이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은 일정 길이의 단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휴대의 편의성을 위하여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130)이 설치되어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편(130)은 제1지지프레임(110), 제2지지프레임(120)과 동일 재질이면 바람직하고, “ㄷ” 자 형상으로 “ㄷ”자의 내측으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각 연결부위에 삽입되어 지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40)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고, 양측면으로 개방된 개구부(141)를 형성한다.
상기 개구부(141)에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하면으로는 일정 크기의 관통공(142)이 형성되어 내부 공간으로 연통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42)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연결 시 제1연통공(114)과 제2연통공(124)과 수직하게 연통되며, 확장수단(400)의 수직봉(420)이 삽입 위치되어 연결부재(140) 및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140)의 상면으로는 일정 직경과 깊이를 가지는 환형홈(144)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환형홈(144)에는 텐트본체(300)의 텐트폴대(310)가 위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 환형홈(144)에는 고무링(146)이 설치되어 텐트폴대(310)와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상기 고무링(146)은 환형홈(144)보다 더 큰 높이를 가져서 환형홈(144)으로부터 돌출 설치될 수 있으며, 고무링(146)의 내주연을 따라 수직한 돌기(146a)가 형성될 수 있다.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200)는, 매트(210)와 매트(21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매트(21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이거나 공기의 주입으로 일정 두께를 갖는 에어매트일 수 있다.
상기 매트(210)의 면적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내측 면적과 같은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매트(210)의 각 변으로 고정부(21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2)는 고무재 또는 우레탄 재질일 수 있으며, 매트(210)에 융착 또는 박음질 등으로 일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2)는 매트(210)의 각 변에 설치되어 매트(210)와 고정부(212)의 전체 형상은 모따기가 이루어진 형태일 수 있으며, 모서리의 빈 공간에는 연결부재(140)가 위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12)는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걸쳐지거나 감싸도록 위치되고,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ㄷ”자 형상의 연결편(130)과 같은 형상의 매트고정편(220)이 설치될 수 있다.
매트고정편(220)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 및 고정부(212)를 포함하여 “ㄷ”자의 개방부를 이용하여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덧붙여서 도 3에서와 같이, 고정부(212)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걸림턱(212a)이 형성되되, 폭방향으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도록 매트고정편(220)의 상단 내측면으로도 매트걸림턱(220a)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212)의 걸림턱(212a)과 매트고정편(220)의 매트걸림턱(220a)이 맞물려서 텐트본체(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고정부(212)의 이탈이 방지되어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된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텐트본체(300)가 설치될 수 있다.
텐트본체(300)는 텐트폴대(310)에 의하여 자립 설치될 수 있다.
텐트폴대(310)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절첩 가능하고 두 개가 대각선 방향으로 텐트본체(300)에 조립되고, 텐트본체(300)를 조립한 텐트폴대(310)의 각 단부는 고무링(146)과 환형홈(144)에 결합되어 바닥프레임부(100) 상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텐트본체(300)는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내부텐트와 외부텐트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지퍼로 개방되는 출입구(302)가 형성된다.
또한, 텐트본체(300)에는 투명한 스카이창과 환기창 등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일반적인 텐트와 유사하기에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텐트본체(300)가 설치된 바닥프레임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시키거나 확장하여 복층 공간이 마련되는 확장수단(400)이 포함된다.
확장수단(400)은 도 2 또는 도 4를 참고하면, 바닥프레임부(100)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410)과, 바닥판(410)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바닥프레임부(100)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420) 및 수직봉(420)을 중심으로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설치되는 한 쌍의 경사봉(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판(410)은 고무재 또는 금속재로 제작되며, 일정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바닥판(410)에는 하나 이상의 홀과 적어도 3개의 홈이 형성되며, 홀은 지면 고정용 텐트팩(미도시)을 박기 위한 팩고정홀(412)일 수 있다.
그리고 3개의 홈(도면번호 미부여)은 하나의 수직봉(420)이 위치되고 다른 2개의 홈은 한 쌍의 경사봉(430)이 삽입 위치될 수 있다.
수직봉(420)의 상단은 연결부재(140)의 관통공(142)과 제1지지프레임(110) 및 제2지지프레임(120)의 제1연통공(114), 제2연통공(124)을 차례로 관통하여 결합된다.
그리고 한 쌍의 경사봉(430)은 일단부측이 바닥판(410)에 고정 설치 후 일정 각도를 가지고서 각각의 타단부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위치되어 지지하게 된다.
한 쌍의 경사봉(430)은 바닥판(410)을 중심으로 경사져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지지하면서 수직봉(420)과 같이 전체적으로 직삼각형태를 이루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조립이 용이하도록 경사봉(430)의 타단부측에는 고정블록(440)을 매개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블록(440)은 고무재나 금속재가 바람직하고, "ㄷ"자 형상에서 개방부가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하면에 삽입되며, 고정블록(440)의 저면으로 경사봉(430)이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을 지지하게 된다.
더 나아가 제1지지프레임(110)에 결합된 고정블록(44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결합된 고정블록(440)의 사이에는 연결봉(450)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다.
연결봉(450)의 양단부는 고정블록(440)에 형성된 홈(도면번호 미부여)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의 길이에 따라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예시된 도 6에서와 같이 비교적 높이가 낮은 경우에는 수직봉(420)만 설치하여 이격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을 같이 설치하여 지면과 어느 정도 이격시켜서 캠핑장 바닥의 컨디션에 상관없이 설치가 가능하고, 또한,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한기를 바닥매트부(200)와 같이 차단할 수 있다.
도 1의 제1확장예와 같이 텐트본체(300)의 높이 정도의 높이를 가지는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의 설치 시에는 텐트본체(300)를 복층으로 사용 가능한 또 하나의 확장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수직봉(420)과 경사봉(430)을 길이 가변 가능한 봉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텐트본체(300)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견뎌야 하기에 별도로 제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장된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460)이 설치되어 내, 외부가 차단된 별도의 공간으로 하부쉘터(470)가 마련될 수 있다.
텐트천(460)에는 미도시된 벨크로테이프가 설치되어 수직봉(420)에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수직봉(420)을 따라 설치되어 2면, 3면 또는 사방을 다 감쌀 수 있다.
텐트천(460)으로 마련된 하부쉘터(470)에는 텐트본체(300)와 같이 외부를 볼 수 있는 투명창이나 메쉬를 포함하는 환기창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퍼로 개방되는 출입구(30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의 설치는, 다시 도 1 또는 도 2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복수개로 이루어진 제1지지프레임(110)을 연결편(130)으로 연결하고, 제2지지프레임(120)도 같이 연결편(130)으로 연결하게 된다.
연결된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110)을 마주하도록 위치시킨 후, 제1지지프레임(110)의 사이에 제2지지프레임(120)을 결합시키게 된다.
제1지지프레임(110)의 결합홀(112)에 제2지지프레임(120)의 결합면(122)을 삽입시켜서 전체적으로 시각의 프레임 형태를 갖추게 되며,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의 각 모서리에 연결부재(140)를 결합한다.
이때, 연결부재(140)의 관통공(142)과 제1지지프레임(110)의 제1연통공(114) 및 제2지지프레임(120)의 제2연통공(124)은 수직 상태로 연통 상태이다.
계속해서, 바닥프레임부(100)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키기 위하여 확장수단(400)이 조립 설치되며, 여기서는 하부쉘터(470) 공간이 마련되는 복층 확장을 일예로 설명한다.
확장수단(400)을 구성하는 바닥판(410)에 수직봉(420)을 삽입시키고, 수직봉(420)의 타단은 관통공(142)과 제1연통공(114) 및 제2연통공(124)을 관통하여 연결부재(140)에 지지된다.
이와 같이 바닥프레임부(100)의 각 모서리에 수직봉(420)을 설치하여 복층 공간이 마련되며, 바닥판(410)으로부터 한 쌍의 경사봉(430)은 고정블록(440)을 매개로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지지하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고정블록(440)의 사이에는 연결봉(450)이 설치되어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할 수 있다.
공간이 확장되고 이격된 바닥프레임부(100)에 다음으로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된다.
바닥프레임부(100)상에 매트(210)를 펼치고, 고정부(212)를 매트고정편(220)을 이용하여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고정하게 되며, 고정부(212)의 걸림턱(212a)과 매트고정편(220)의 매트걸림턱(220a)이 마주하여 고정력을 높임과 동시에 매트(210)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바닥프레임부(100)에 바닥매트부(200)가 설치되면, 지면에서 텐트폴대(310)를 이용한 텐트본체(300)의 자립 후, 자립된 텐트본체(30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올리고, 대각선으로 체결된 텐트폴대(310)를 각 연결부재(140)의 환형홈(144)과 고무링(146)에 삽입시켜서 텐트본체(300)를 바닥프레임부(100)에 고정하게 된다.
바람 등이 많이 부는 기상 조건에서는 텐트본체(300)에 스트링을 이용하여 지면이나 근처 나무 등에 매달아서 고정할 수 있다.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확장된 공간에는 각 수직봉(420)을 따라 텐트천(460)을 결합하여 내, 외부 공간을 분리하는 하부쉘터(470)가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쉘터(470)의 공간에서는 취사 등 쉬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고, 복층의 텐트본체(300)에서는 취침의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복층의 텐트본체(300)는 별도의 사다리 등을 이용하여 올라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확장수단을 필요에 따라 단층 또는 복층으로 활용 가능하며, 바닥프레임부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는바 다양한 노면 환경에서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여 이송 편의성이 향상된 확장 가능한 텐트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5에서는 바닥매트부(200)를 도시하였다.
동일 구성에 있어서는 동일 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상기 바닥매트부(500)는, 지지플레이트(510)와 상기 지지플레이트(510)에 열십자 형태로 거치되는 지지대(520) 및 지지대(520)상에 거치되는 매트판(5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510)는 4각의 판상으로 상면에 각 변으로 지지홈(512)이 형성되고, 하면으로는 중공의 지지봉(51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각 지지홈(512) 상에는 상기 지지대(520)의 단부가 삽입 설치되고, 지지봉(514)은 기설정 길이로 돌출되어, 바닥프레임부(100)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지지플레이트(51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중공의 지지봉(514)에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바닥프레임부(100)가 복층 구조로 이격 시에는 별도의 연장봉(516)이 삽입되어 지면으로부터 지지플레이트(510)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520)는 각목과 같은 형태이며, 지지홈(512)에 단부가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지지대(520)의 타단부는 제1지지프레임(110)과 제2지지프레임(120)에 설치되는 프레임결합편(530)에 삽입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결합편(530)은 금속재가 바람직하며, 매트고정편(220)과 같이 “ㄷ”자 형상으로 매트고정편(220)과는 반대측에서 결합되며, 지지대(520)를 향하는 수직면에는 결합홀(532)이 형성되어 지지대(520)의 타단부가 삽입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플레이트(510)를 중심으로 열십자로 설치된 지지대(520)에 의하여 4등분된 공간에 매트판(540)이 거치될 수 있다.
매트판(540)은 목재가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바닥프레임부(100)가 조립된 상태에서 각 제1지지프레임(110)에 프레임결합편(530)을 결합시키고, 각 제2지지프레임(120)에도 프레임결합편(530)을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각 프레임결합편(530)의 결합홀(532)에는 중심부를 향하도록 지지대(520)를 결합시키고, 각 지지대(520)의 단부는 지지플레이트(510)의 지지홈(512)에 안착시키게 된다.
바닥프레임부(100)가 복층 구조일 경우에는 연장봉(516)을 설치하게 된다.
지지대(520)가 지지플레이트(510)와 프레임결합편(530)에 지지된 상태에서 매트판(540)이 거치되어 바닥프레임부(100)의 내측 공간을 채워서 텐트본체(30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매트판(540)은 각 지지대(520)와 각 모서리측에 설치된 확장수단(400)의 연결봉(45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 가능한 텐트에 대하여 어닝을 이용한 제3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서는 어닝을 이용하여 다양한 구조로 활용이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텐트본체(300)의 천장부에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는 지퍼(301)가 설치되고, 어닝(600)의 일단부측에 상기 지퍼(301)에 대응되는 지퍼치가 설치되어 지퍼(301) 연결로 텐트본체(300)와 어닝(600)이 연결될 수 있다.
텐트본체(300)에 연결된 어닝(600)을 펼치고, 타프폴대(610)를 이용하여 확장된 그늘막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여기서 어닝(600)은 텐트본체(300)의 4면에 설치 가능하며, 4면 동시에 어닝(600)을 지퍼(301) 결합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도 8에서는, 확장수단(400)에 의하여 복층 구조를 가지는 하부쉘터(460)와 연결되는 연장쉘터(630)를 확장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텐트본체(300)에는 지퍼(301)가 설치되고, 상기 지퍼(301)에 결합되는 사각어닝(620)이 연결 설치된다.
사각어닝(620)에 타프폴대(610)를 세워서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마련하여 휴식 공간이 마련된 연장쉘터(63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에서는 연장쉘터(630)를 모두 개방하여 도 7의 그늘막과 같이 변경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텐트본체와 복수의 어닝의 결합으로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확장 이용 가능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바닥프레임부 110 : 제1지지프레임
112 : 결합홀 114 : 제1연통공
120 : 제2지지프레임 122 : 결합면
124 : 제2연통공 130 : 연결편
140 : 연결부재 141 : 개구부
142 : 관통공 144 : 환형홈
146 : 고무링 146a : 돌기
200 : 바닥매트부 210 : 매트
212 : 고정부 212a : 걸림턱
220 : 매트고정편 220a : 매트걸림턱
300 : 텐트본체 302 : 출입구
310 : 텐트폴대 400 : 확장수단
410 : 바닥판 412 : 팩고정홀
420 : 수직봉 430 : 경사봉
440 : 고정블록 450 : 연결봉
460 : 텐트천 470 : 하부쉘터

Claims (6)

  1. 지면에 평행하게 위치되는 바닥프레임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 상에 일정 면적으로 설치되는 바닥매트부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에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텐트폴대에 의해 지지되며 내부에 외부와 차단되어 생활 공간이 마련되는 텐트본체, 및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수단,
    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는,
    중공의 사각바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의 사이에 직각으로 연결되어 사각 형태로 배치되는 한 쌍의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모서리에서 직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을 수용할 수 있도록 양면으로 형성되는 개구부와,
    상기 확장수단이 삽입되어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복수개가 일자로 연결 설치될 수 있으며, 연결부위에는 연결편이 설치되어 지지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매트부는,
    기설정된 넓이와 두께를 가지고서 형성되는 매트와,
    상기 매트의 각 변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를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고정시키기 위한 매트고정편이 포함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수단은,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각 모서리를 향하여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바닥프레임부에 연결 지지되는 수직봉, 및
    상기 수직봉을 중심으로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되, 일정 경사각도를 가지고서 상기 바닥프레임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경사봉,
    을 포함하는 확장 가능한 텐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봉과 상기 경사봉의 길이에 따라 상기 바닥프레임부의 하부로 확장 공간이 결정되며,
    상기 확장 공간에는 사방 또는 복수의 방향으로 텐트천이 설치되어 하부쉘터가 마련되는, 확장 가능한 텐트.
KR1020230114757A 2022-03-24 2023-08-30 확장 가능한 텐트 KR2023013894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036603 2022-03-24
KR1020220036603 2022-03-24
KR1020220085615A KR102574424B1 (ko) 2022-03-24 2022-07-12 확장 가능한 텐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15A Division KR102574424B1 (ko) 2022-03-24 2022-07-12 확장 가능한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8941A true KR20230138941A (ko) 2023-10-05

Family

ID=8797397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15A KR102574424B1 (ko) 2022-03-24 2022-07-12 확장 가능한 텐트
KR1020230114757A KR20230138941A (ko) 2022-03-24 2023-08-30 확장 가능한 텐트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615A KR102574424B1 (ko) 2022-03-24 2022-07-12 확장 가능한 텐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2574424B1 (ko)
WO (1) WO20231825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22203785A1 (en) * 2021-06-11 2023-01-05 Curry, Aaron Rhedson Tyger Boxing bag frame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63U (ko) 1996-09-20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 로크 실린더 헤빙 장치
KR20200114138A (ko) 2019-03-27 2020-10-07 서소희 텐트의 확장 및 용도변경이 용이한 모듈 텐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3849Y1 (ko) * 1998-09-07 2001-06-01 정윤성 다목적용 2층 자동차 텐트
GB0216513D0 (en) * 2002-07-17 2002-08-28 Baldwin Hodges Ireland Ltd Post mounting arrangement
KR200316140Y1 (ko) * 2003-03-11 2003-06-11 김성태 휴대용 조립식 원두막
KR200471475Y1 (ko) * 2012-01-10 2014-02-28 한광진 차량용 루프탑텐트 액세서리
KR101571247B1 (ko) * 2014-06-27 2015-11-23 조상웅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KR101820705B1 (ko) * 2016-07-18 2018-03-08 김기용 조립식 침대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963U (ko) 1996-09-20 1998-06-25 양재신 자동차의 도어 로크 실린더 헤빙 장치
KR20200114138A (ko) 2019-03-27 2020-10-07 서소희 텐트의 확장 및 용도변경이 용이한 모듈 텐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82594A1 (ko) 2023-09-28
KR102574424B1 (ko) 202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030B2 (en) Foldable tent
US8726583B2 (en) Modular dwellings
US5247768A (en) Inflatable structure
US8001987B2 (en) Support system for shelters
US4793371A (en) Portable shelter
US20050194030A1 (en) Shelter having an extendable roof
US20070215192A1 (en) Center hub slide-way portable enclosure system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6273114B1 (en) Modular wall tent
US20150068573A1 (en) Foldable Tent
US7559335B2 (en) Self-erecting structure
KR20230138941A (ko) 확장 가능한 텐트
US11002037B2 (en) Portable room
CA1272425A (en) Building structures
US20060283103A1 (en) Gazebo
JP3874418B2 (ja) 簡易間仕切り構造
US11560733B2 (en) Ten-device-in-one reconfigurable adjustable carport, capable of functioning as privacy screen, wind screen, cabana, dog run, retail-tradeshow booth, attic, storage, picnic table, kennel, and carport
KR101018641B1 (ko) 조립식 천막 및 그 조립방법
US20080072947A1 (en) Self-Erecting Structure
KR102087159B1 (ko) 조립형 텐트
KR102018104B1 (ko) 전실공간이 확보된 돔 익스텐션 원터치텐트
US11732496B1 (en) Shelter and hub system
KR200153130Y1 (ko) 조립식 평상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US20130266301A1 (en) Inflatable Portable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