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0310B1 - 재난 원터치 파티션 - Google Patents

재난 원터치 파티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0310B1
KR102470310B1 KR1020200121304A KR20200121304A KR102470310B1 KR 102470310 B1 KR102470310 B1 KR 102470310B1 KR 1020200121304 A KR1020200121304 A KR 1020200121304A KR 20200121304 A KR20200121304 A KR 20200121304A KR 102470310 B1 KR102470310 B1 KR 10247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disaster
ceiling
coupled
windbreak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8913A (ko
Inventor
남우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두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두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두젠
Priority to KR1020200121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03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38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8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재난 원터치 파티션은 중앙의 매트영역을 형성하는 바닥매트, 바닥매트의 연부에 하방연부가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풍막본체와, 복수의 방풍막본체 각각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폴대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방풍막 및 복수의 방풍막 각각의 폴대수용부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되는 폐쇄루프 형상의 탄성폴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재난 원터치 파티션{Windproof Partition}
본 발명은 재난 원터치 파티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펴고 접으면서 바람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에 관한 것이다.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며 바람을 막을 수 있는 바람막이 겸용 매트는 매트를 펼친 후에 매트 주변으로 바람막이를 설치한다. 이렇게 설치를 하는 데에는 많은 소요시간이 필요하다. 이를 보완하고자 원터치 그늘막이 개발되었다. 특히, 재난이 발생한 상황에서 피난을 하는 대피자들은 체육관과 같은 넓은 공간의 공공시설에서 대피하여 재난상황이 종료되기를 기다리며 생활을 하여야 한다.
그러나 원터치 그늘막 또한 설치 및 해제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소요시간이 여전히 많이 필요하다. 특히, 그늘막은 충분한 공간을 만들지 못한다. 특히, 재난상황에서 대피하여 생활하는 공간을 신속하게 형성하기는 어렵다. 또한, 대피자들의 최소한의 사생활을 위하여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폐 가능한 간단한 시설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 및 해제가 쉬우며 효율적인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원터치 파티션은, 바닥영역에 하방연부가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풍막본체와, 상기 복수의 방풍막본체 각각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폴대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방풍막; 및 상기 복수의 방풍막 각각의 상기 폴대수용부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되는 폐쇄루프 형상의 탄성폴대를 포함한다. 외향 탄성을 가하며 폴대수용부에 수용된 탄성폴대에 의해 방풍막이 바닥매트를 중심으로 기립하여 쉽게 펴서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어 설치 및 해제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 상방에서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조방풍막을 더 포함하면 바닥매트로의 바람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방풍막은,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상방연부에 결합되며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막본체와, 상기 복수의 보조막본체 각각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보조폴대수용부를 갖고, 상기 복수의 보조방풍막 각각의 상기 보조폴대수용부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되는 폐쇄루프 형상의 보조탄성폴대를 가지면 보조방풍막도 외향 탄성을 가하며 보조폴대수용부에 수용된 보조탄성폴대에 의해 보조방풍막이 방풍막이 펴질 때 바닥매트를 중심으로 기립하여 쉽게 펴서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앙의 바닥영역을 형성하는 바닥매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매트는 직방형으로 형성되면 아이들이 놀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하방연부가 상기 바닥매트의 연부에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방연부에 결합되어 천정영역을 형성하는 천정막부재를 더 포함하면 햇빛 및 비를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출입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면 바닥매트 영역으로 출입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면 출입문을 개방하여 출입할 수 있고 폐쇄하여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적어도 상기 복수의 방풍막 및 상기 바닥매트의 수평영역을 상방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면 복수의 방풍막과 바닥매트에 의해 형성된 독립공간을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으며 강한 태양광과 강우를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인접 및 대향한 한 쌍의 방풍막을 연결하여 상호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면 방풍막의 기립상태를 보완해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향 탄성을 가하며 폴대수용부에 수용된 탄성폴대에 의해 방풍막이 바닥매트를 중심으로 기립하여 쉽게 펴서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어 설치 및 해제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변형된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사시도.
도 4는 도3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차폐부가 부가된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사시도.
도 6은 차폐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차폐부의 결합동작도.
도 8은 연결지지부재의 설치예시도.
도 9는 연결지지부재의 상세도.
도 10은 재난 원터치 파티션의 접는 동작도.
도 11은 천정막부재(60)의 변형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결합', '고정',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결합, 고정,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측, 타 측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변형된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3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차폐부(70)가 부가된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차폐부(70)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차폐부(70)의 결합동작도이고, 도 8은 연결지지부재(100)의 설치예시도이며, 도 9는 연결지지부재(100)의 상세도이고, 도 10은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접는 동작도이며, 도 11은 천정막부재(60)의 변형 예시도이다.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은 바닥매트(10), 방풍막(20), 탄성폴대(30), 보조방풍막(40), 보조탄성폴대(50), 천정막부재(60), 출입문(62), 개폐부(64), 차폐부(70), 지지막대(80), 지지끈(90), 끈지지부재(92), 보조차폐부(94) 및 연결지지부재(100)를 포함한다.
바닥매트(10)는 직방형의 형상을 하며, 천재질로 마련된다. 바닥매트(10)는 바닥에 접촉하면서 중앙의 매트영역을 형성한다.
방풍막(20)은 바닥매트(10)에 대하여 수직으로 기립한 상태로 배치된다. 방풍막(20)은 복수로 마련되며 제1방풍막(21) 내지 제4방풍막(24)로 이루어진다. 제1방풍막(21) 내지 제4방풍막(24)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방풍막(21)은 제1방풍막본체(211), 제1폴대수용부(212) 및 제1연결지지부(213)을 갖는다.
제1방풍막본체(211)는 방수 방진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제1방풍막본체(211)는 바닥매트(10)의 연부에 하방연부가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인접한 방풍막본체(221, 241)의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방풍영역을 형성한다.
제1폴대수용부(212)는 제1방풍막본체(211)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제1폴대수용부(212)는 후술할 탄성폴대(3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1연결지지부(213)는 제1방풍막본체(211)의 테두리영역 중 모서리 영역을 포함하여 연부영역에 관통 형성된다. 제1연결지지부(213)는 후술할 지지막대(80)의 삽입지지부(81)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을 지지하는 철재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폴대(30)는 폐쇄루프 형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각각의 폴대수용부(212, 222, 232, 242)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된다. 탄성폴대(30)는 복수로 마련되며, 제1탄성폴대(31) 내지 제4탄성폴대(34)로 이루어진다. 탄성폴대(30)는 잘 휘어지며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이 강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방풍막(40)은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상방에서 방풍영역을 형성한다. 보조방풍막(40)은 복수로 마련되며, 제1보조방풍막(41) 내지 제4보조방풍막(44)로 이루어진다. 제1보조방풍막(41) 내지 제4보조방풍막(44)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보조방풍막(41)은 제1보조막본체(411)와 제1보조폴대수용부(412)를 갖는다.
제1보조막본체(411)는 방수 방진이 가능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을 갖는 재질일 수 있다. 제1보조막본체(411)는 제1방풍막본체(211)의 상방연부에 하방연부가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인접한 보조막본체(412, 414)의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방풍영역을 형성한다.
제1보조폴대수용부(412)는 제1보조막본체(411)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다. 제1보조폴대수용부(412)는 후술할 보조탄성폴대(5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보조탄성폴대(50)는 폐쇄루프 형상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보조방풍막(41 내지 44) 각각의 보조폴대수용부(412, 422, 432, 442)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된다. 보조탄성폴대(50)는 복수로 마련되며, 제1보조탄성폴대(51) 내지 제4보조탄성폴대(54)로 이루어진다. 보조탄성폴대(50)는 잘 휘어지며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탄성이 강한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천정막부재(60)는 바닥매트(10)와 같은 직방형의 형상을 하며, 천재질로 마련된다. 천정막부재(60)는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의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하방연부가 바닥매트(10)의 연부에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방연부에 결합되어 천정영역을 형성한다.
출입문(62)은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출입문(62)은 연부영역에 형성되어 지지막대(80)의 삽입지지부(8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출입삽입지지부(621)가 형성될 수 있다. 출입삽입지지부(621)는 지지막대(80)의 삽입지지부(81)가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통공을 지지하는 철재로 마련될 수 있다.
개폐부(64)는 출입문(62)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개폐부(64)는 자크, 지퍼, 벨크로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자크, 지퍼, 벨크로 등을 개폐할 수 있는 개폐버튼(641)을 가질 수 있다.
차폐부(70)는 적어도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및 바닥매트(10)의 수평영역을 상방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다. 차폐부(7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제1차폐부(71) 내지 제4차폐부(74)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폐부(71) 내지 제4차폐부(74)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폐부(71)는 제1차폐본체(711), 제1물림연결부(712), 제1폴대연결부(713) 및 제1차폐덮개(714)를 갖는다.
제1 차폐본체(711)는 천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차폐본체(711)는 삼각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물림연결부(712)는 제1차폐본체(711)의 연결결합을 위한 양측 연부를 따라 형성된다. 제1물림연결부(712)는 복수의 차폐본체(711, 721, 731, 741)를 상호 연결하여 결합시킨다. 제1물림연결부(712)는 제1물림수용부(712-1)와 제1물림돌기(712-2)로 이루어진다.
제1물림수용부(712-1)는 제1차폐본체(711)의 연부로부터 제1차폐본체(711)의 판면방향으로 외향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1물림돌기(712-2)는 제1물림수용부(712-1)와 제1물림수용부(712-1)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된다.
제1폴대연결부(713)는 제1 차폐본체(711)에 지지되며 적어도 하나가 형성될 수 있다. 제1폴대연결부(713)는 제1폴대수용부(212)에 삽입 수용된 제1탄성폴대(31)를 감싸 수용하고 압박하면서 결합하여 제1 차폐본체(711)를 제1탄성폴대(31)에 지지되게 한다.
제1차폐덮개(714)는 제1 차폐본체(711)로부터 외향 연장되어 형성되며 천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제1차폐덮개(714)는 제1폴대연결부(713)가 제1탄성폴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방풍막본체(211)의 상단영역을 덮도록 마련된다.
지지막대(80)는 출입문(62)을 햇빛가리개로 사용하는 경우나 방풍막(21 내지 24)의 기립상태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지지막대(80)는 말단으로부터 축선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삽입지지부(81)를 가질 수 있다. 삽입지지부(81)는 외측에 숫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삽입지지부(81)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재(82)를 더 가질 수 있다.
지지끈(90)은 지지막대(80)를 바닥에 고정시키기 위한 끈이다.
끈지지부재(92)는 지지끈(90)을 바닥에 고정하기 위한 쇠팩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보조차폐부(94)는 차폐부(71 내지 74)가 설치된 후 최상측의 첨단부분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보조차폐부(94)는 천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고 플라스틱과 같은 딱딱한 재질로 마련될 수도 있다.
연결지지부재(100)는 인접(21와 22 내지 23와 24) 및 대향한(21와 23 내지 22와 24) 한 쌍의 방풍막(21와 23 내지 22와 24)을 연결하여 상호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100)는 연결지지본체(101)와 연결지지공(102)을 갖는다.
연결지지본체(101)는 막대형상으로 양단 연부영역에 연결지지공(102)이 형성된다.
도 7은 차폐부(70)의 결합동작도이다.
제1차폐본체(711)를 들어 제1폴더연결부(713)가 제1탄성폴대(31)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이후 제2차폐본체(712)를 들어 제2폴더연결부(723)가 제2탄성폴대(32)를 수용하면서 결합되도록 한다.
도 7 (a) 제2폴더연결부(723)가 제2탄성폴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물림연결부(722)의 제2물림돌기(722-2)를 제1물림수용부(712-1)에 점급시킨다.
도 7 (b) 제1물림수용부(712-1)의 상측에서 제2물림돌기(722-2)가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렇게 제2물림돌기(722-2)가 제1물림수용부(712-1)에 결합되면서 제1물림돌기(712-2)가 제2물림수용부(722-1)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차폐부(71)와 제2차폐부(72)가 결합되면서 비가 와도 새지 않을 수 있다.
도 8은 연결지지부재(100)의 설치예시도이다.
지지막대(80)가 방풍막(23, 24)의 중앙 외측에 설치되었고, 지지끈(90)과 끈지지부재(92)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지지막대(80)의 삽입지지부(81)는 제4방풍막(24)의 제4연결지지부(243)에 수용된 후 연결지지부재(100)를 사이에 두고 고정부재(82)에 의해 고정 결합되어 있다. 연결지지부재(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 및 대향한 한 쌍의 방풍막을 연결하여 상호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0은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의 접는 동작도이다.
도 10 (a)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이 온전히 펼쳐져 있는 형태이다.
도 10 (b) 방풍막(40)의 대향한 양모서리부분을 잡고 잡지 않은 모서리부분을 상호 접근시켜 2개의 방풍막(40)을 중첩시킨 후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방풍막(40)이 접히도록 한다.
도 10 (c) 접힌 2개의 방풍막(40)을 다시 접어서 1개의 방풍막(40)에 중첩되도록 한다. 이에 4개의 방풍막(40)이 중첩된 상태가 된다.
도 10 (d) 중첩된 4개의 방풍막(40)의 길이방향의 양측을 상호 접근되도록 잡고 접는다.
도 10 (e) 접힌 상태에서 접힌 부분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인 세로 양단을 서로 접근시킨다.
도 10 (f) 도 10 (d)에서의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호 중첩되도록 하여 동그란 형태의 접은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을 만든다. 이에 작은 형태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1)이 된다.
도 11은 천정막부재(60)의 변형예시도이다.
천정막부재(60)는 천정막부재본체(601), 천정막폴대(602), 천정막연결부(603), 천정막고정후크(604), 천정막안착부(605) 및 천정막고정고리(6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천정막부재본체(601)은 천정영역을 형성한다. 복수의 천정막폴대(602)는 천정막부재본체(601)의 천정영역 형상이 사각뿔의 텐트형상이 되도록 지지한다. 천정막연결부(603)는 벨크로로 형성될 수 있고, 천정막고정후크(604)는 천정막부재본체(601)의 모서리 영역에 지지되며 천정막부재본체(601)가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의 상방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에 걸려 천정막부재본체(60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방풍막(21 내지 24)는 상호 측면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방풍막(21)과 제4방풍막(24)는 벨크로결합(214, 244)에 의해 상호 측면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풍막(21)은 개폐부(6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1의 실시 예는 간단하게 재난상황에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원터치텐트로 사용되기 편한 구조를 갖는다.
도 11 (a) 제1방풍막(21)과 제4방풍막(24)가 상호 연결되어 정방형의 바닥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개폐부(64)가 닫혀 있는 상태이다.
도 11 (b) 사용자가 천정막폴대(602)가 장착된 천정막부재본체(601)를 정방형의 제1방풍막(21)과 제4방풍막(24) 모서리에 형성된 천정막안착부(605)에 안착시키고, 천정막연결부(603)을 연결하며, 천정막고정후크(604)를 천정막고정고리(606)에 고정 결합시켜 텐트형상을 완성시킨 상태이다. 또한, 출입을 위하여 개폐부(64)를 개방시킨 상태이다.
이와 같이 재난 상황에서 대피사용자들이 간편하게 설치하고 최소한의 개인의 사생활을 지키면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1)으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방풍막(21 내지 24)는 도 10에서와 같이 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청정막(60)은 천정막폴대(602)를 천정막부재본체(601)에 끼워서 천정막형태를 유지시키며 천정막폴대(602)를 천정막부재본체(601)에서 빼내어 접을 수 있으며 여는 텐트와 같이 보관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 예 이 외의 변형 가능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중 적어도 하나는 통풍을 위한 통풍창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이 상기에서는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나 상호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폴대(31 내지 34)는 접을 때의 편의를 위해서 접히는 부분이 정해져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접는 과정에서 탄성폴대의 탄성에 의해 펴져 접는 과정이 힘들어질 수 있는 것이 보완될 수도 있다.
차폐부(70)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해주는 지지기둥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차폐부(70)가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며 외부충격이나 내부 충격에 의해 무너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이 체인 등과 리프팅모터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의 재난 원터치 파티션(1)으로 인하여, 외향 탄성을 가하며 폴대수용부(212, 222, 232, 242)에 수용된 탄성폴대(31 내지 34)에 의해 방풍막(21 내지 24)이 바닥매트(10)를 중심으로 기립하여 쉽게 펴서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어 설치 및 해제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 상방에서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조방풍막(41 내지 44)을 더 포함하여 바닥매트(10)로의 바람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보조방풍막(41 내지 44)도 외향 탄성을 가하며 보조폴대수용부(412, 422, 432, 442)에 수용된 보조탄성폴대(51 내지 54)에 의해 보조방풍막(41 내지 44)이 방풍막(21 내지 24)이 펴질 때 바닥매트(10)를 중심으로 기립하여 쉽게 펴서 설치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접을 수 있다. 바닥매트(10), 방풍막(21 내지 24) 및 보조방풍막(41 내지 44)은 직방형으로 형성되어 아이들이 놀 수 있는 넓은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천정막부재(60)에 의해 햇빛 및 비를 막을 수 있다.
복수의 방풍막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출입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62)에 의해 바닥매트(10) 영역으로 출입할 수 있다. 출입문(62)을 개폐하는 개폐부(64)에 의해 출입문(62)을 개방하여 출입할 수 있고 폐쇄하여 독립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차폐부(70)에 의해 복수의 방풍막(21 내지 24)과 바닥매트(10)에 의해 형성된 독립공간을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차폐할 수 있으며 강한 태양광과 강우를 막을 수 있다. 연결지지부재(100)에 의해 방풍막(21 내지 24)의 기립상태를 보완해줄 수 있다.
1 : 재난 원터치 파티션 10 : 바닥매트
20 : 방풍막 21 : 제1방풍막
22 : 제2방풍막 23 : 제3방풍막
24 : 제4방풍막 30 : 탄성폴대
31 : 제1탄성폴대 32 : 제2탄성폴대
33 : 제3탄성폴대 34 : 제4탄성폴대
40 : 보조방풍막 41 : 제1보조방풍막
42 : 제2보조방풍막 43 : 제3보조방풍막
44 : 제4보조방풍막 50 : 보조탄성폴대
51 : 제1보조탄성폴대 53 : 제2보조탄성폴대
53 : 제3보조탄성폴대 54 : 제4보조탄성폴대
60 : 천정막부재 62 : 출입문
64 : 개폐부 70 : 차폐부
71 : 제1차폐부 72 : 제2차폐부
73 : 제3차폐부 74 : 제4차폐부
80 : 지지막대 81 : 삽입지지부
82 : 고정부재 90 : 지지끈
92 : 끈지지부재 94 : 보조차폐부
100 : 연결지지부재 101 : 연결지지본체
102 : 연결지지공

Claims (10)

  1. 재난 원터치 파티션에 있어서,
    바닥영역에 하방연부가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며 중앙영역에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방풍막본체와, 상기 복수의 방풍막본체 각각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폴대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방풍막;
    상기 복수의 방풍막 각각의 상기 폴대수용부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되는 폐쇄루프 형상의 탄성폴대;
    직방형으로 형성되어 중앙의 바닥영역을 형성하는 바닥매트; 및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하방연부가 상기 바닥매트의 연부에 결합된 기립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상방연부에 결합되어 천정영역을 형성하는 천정막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천정막부재는,
    상기 천정영역을 형성하는 천정막부재본체;
    상기 천정막부재본체의 천정영역 형상이 사각뿔의 텐트형상이 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천정막폴대; 및
    상기 천정막부재본체의 모서리 영역에 지지되며 상기 천정막부재본체가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상방연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에 걸려 상기 천정막부재본체를 고정시키는 천정막고정후크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복수의 방풍막 및 상기 바닥매트의 수평영역을 상방으로부터 차폐하는 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폐부는,
    복수의 차폐본체; 및
    상기 복수의 차폐본체의 연결결합을 위한 양측 연부를 따라 형성되며, 물림돌기와 물림수용부로 이루어진 물림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 상방에서 방풍영역을 형성하는 복수의 보조방풍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방풍막은,
    상기 복수의 방풍막의 상방연부에 결합되며 상호 측방연부가 결합되는 복수의 보조막본체와, 상기 복수의 보조막본체 각각의 테두리 영역을 따라 형성된 보조폴대수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방풍막 각각의 상기 보조폴대수용부에 외향 탄성을 가하며 수용되는 폐쇄루프 형상의 보조탄성폴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방풍막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출입 가능하게 하는 출입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개폐하는 개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인접 및 대향한 한 쌍의 방풍막을 연결하여 상호 지지되도록 하는 연결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원터치 파티션.
KR1020200121304A 2020-09-21 2020-09-21 재난 원터치 파티션 KR10247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04A KR102470310B1 (ko) 2020-09-21 2020-09-21 재난 원터치 파티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304A KR102470310B1 (ko) 2020-09-21 2020-09-21 재난 원터치 파티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13A KR20220038913A (ko) 2022-03-29
KR102470310B1 true KR102470310B1 (ko) 2022-11-24

Family

ID=8099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304A KR102470310B1 (ko) 2020-09-21 2020-09-21 재난 원터치 파티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0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40503A (ja) * 1999-10-18 2001-05-22 Worlds Apart Ltd コイル状に折り曲げ自在な支持部材を備えている折り畳み式布構造体及び該構造体を折り畳む方法
JP2001164795A (ja) * 1999-12-08 2001-06-19 Hirota Kikaku Kaihatsu Center:Kk 排気ダクト接続部を備えたテント屋根ユニット、テント及びその使用方法
US20090250090A1 (en) * 1998-12-09 2009-10-08 Yu Zheng Vertically stacked collapsible structures
US10594906B1 (en) * 2018-10-10 2020-03-17 Smart Space Visible Solutions, LLC Collapsible spac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0090A1 (en) * 1998-12-09 2009-10-08 Yu Zheng Vertically stacked collapsible structures
JP2001140503A (ja) * 1999-10-18 2001-05-22 Worlds Apart Ltd コイル状に折り曲げ自在な支持部材を備えている折り畳み式布構造体及び該構造体を折り畳む方法
JP2001164795A (ja) * 1999-12-08 2001-06-19 Hirota Kikaku Kaihatsu Center:Kk 排気ダクト接続部を備えたテント屋根ユニット、テント及びその使用方法
US10594906B1 (en) * 2018-10-10 2020-03-17 Smart Space Visible Solutions, LLC Collapsible sp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8913A (ko) 202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84264B2 (en) Frame and roof system for a portable shelter
US4947884A (en) Collapsible canopy with auto erect roof support structure
US10934737B2 (en) Portable room with ceiling pockets
US1650323A (en) Foldable and rollable tent
GB2263920A (en) Collapsible tent
JP2013501170A (ja) テントもしくはシェルタのためのベント
MXPA01002633A (es) Soporte elastico para techo de proteccion desplegable.
US11002037B2 (en) Portable room
US20190032339A1 (en) Privacy and weather protection barrier
US10934738B2 (en) Portable containment room
KR102470310B1 (ko) 재난 원터치 파티션
KR20160018085A (ko) 텐트 설치가 용이한 절첩식 침대
US3088475A (en) Camping device
RU2597652C1 (ru) Палатка
KR20200000596U (ko) 차량용 텐트
JP6059869B2 (ja) 組み立て式テント
US20060090785A1 (en) Leg support for an instant set-up foldable tent
KR102652579B1 (ko) 확장 가능한 차량용 텐트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CN220815140U (zh) 帐篷
JP5595570B1 (ja) 折畳み式テント
KR20060120858A (ko) 낚시용 그늘막 텐트
CN220667154U (zh) 一种底部可拆卸的速开帐篷
JPH08105243A (ja) テント
KR200494192Y1 (ko) 야전 침대 결합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