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830B1 -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 Google Patents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9830B1
KR101889830B1 KR1020160095629A KR20160095629A KR101889830B1 KR 101889830 B1 KR101889830 B1 KR 101889830B1 KR 1020160095629 A KR1020160095629 A KR 1020160095629A KR 20160095629 A KR20160095629 A KR 20160095629A KR 101889830 B1 KR101889830 B1 KR 101889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tent
poles
intersection
touch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594A (ko
Inventor
남우현
Original Assignee
남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우현 filed Critical 남우현
Priority to KR1020160095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98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1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98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36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 E04H15/40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 E04H15/405Supporting means, e.g. frames arch-shaped type flexible flexible and folda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소형의 원형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고 펼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는 바닥이 사각형인 내부공간을 형성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네 개의 상부면 모서리마다 교차되는 탄성력을 가진 폴대; 상기 폴대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감싸는 폴대 슬리브; 상기 폴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폴대 슬리브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 경계를 이루는 복수개의 시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네 개의 교차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부와, 상기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호를 이룬 다음 상기 교차점으로 되돌아가는 네 개의 원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형부는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원호부는 상기 사각형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인접하는 상기 원호부 사이는 네 개의 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개폐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One touch tent having a better us of space}
본 발명은 소형의 원형으로 접어 휴대할 수 있고 펼치면 자동으로 펼쳐지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야외에서 캠핑을 즐기기 위해 개발된 천막 형태의 제품으로서, 그 종류가 다양하다.
통상 텐트는 외부로부터 비바람을 막기 위하여 방수천 등을 사용하여 천막 형태로 제작하고, 프레임으로는 탄성력을 가지는 폴대를 연결하여 제작하도록 구성된다. 텐트는 캠핑을 위하여 개발되었기 때문에 휴대성이 강조된다. 따라서 텐트는 모든 부품들을 접어서 아주 작은 형태로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텐트는 천막 형태의 방수천을 여러 개의 폴대를 연결하여 내부 공간을 가지도록 연결 지지하여 조립한다. 그 다음 텐트의 일부를 연결하여 땅에 고정하도록 한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전형적인 텐트 유형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텐트 외에도,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텐트도 있고, 모기 등의 벌레만을 방어하기 위한 모기장 형태의 텐트도 있다.
여기서, 텐트라 함은 이러한 실외용, 실내용, 그리고 모기장 등의 형태를 막론하고 텐트로 통칭한다.
텐트는 휴대하고 있다가, 구성요소들을 모두 분리한 다음, 폴대 등을 연결하고 조립한 다음, 땅에 고정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된다. 물론 견고한 텐트를 조립할수록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텐트 외에도, 소위 원터치 텐트가 있다. 원터치 텐트는 말 그대로 텐트를 펼쳐 세우는 작업과, 다시 접는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구성을 가진 텐트를 말한다.
물론 원터치 텐트는 기본적인 텐트에 비해 견고하지 못한 것은 물론이나, 잠깐 동안의 휴식을 위한 경우, 실내에 설치하는 경우 등 여러 이유로 각광받는 아이템이 되었다.
원터치 텐트로는 우산처럼 접거나 펼치는 형태의 텐트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텐트는 그 형태가 한정적이고, 공간 활용도 또한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원터치 텐트로서 널리 판매되는 두 개의 탄성 폴대를 원형으로 제작하고, 서로 교차하도록 한 다음 폴대에 천이나 그늘막 등을 연결하여 펼치거나 접을 수 있도록 제작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원터치 텐트도 상부 모서리 등의 공간 활용도가 저감되고, 접었을 때의 크기가 휴대하기에는 불편한 크기의 원형이기 때문에 공간활용도 저감과 휴대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72544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던져 펼치면 폴대의 탄성력에 의해 텐트 형태로 펼쳐져 거의 직육면체에 가까운 형태를 가지고 접게 되면 소형의 원판형으로 접혀 휴대하기 용이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바닥이 사각형인 내부공간을 형성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네 개의 상부면 모서리마다 교차되는 탄성력을 가진 폴대; 상기 폴대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감싸는 폴대 슬리브; 상기 폴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폴대 슬리브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 경계를 이루는 복수개의 시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네 개의 교차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부와, 상기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호를 이룬 다음 상기 교차점으로 되돌아가는 네 개의 원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형부는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원호부는 상기 사각형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인접하는 상기 원호부 사이는 네 개의 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개폐부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네 개의 교차점은 상기 폴대가 상하로 교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에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교차점 중 하나의 교차점이 나머지 세 개와 반대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바닥면은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트부재는 내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에는 지퍼가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부의 상단과 그 반대편 폴대에는 두 폴대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폴대에 고정된 고리밴드와, 반대편 폴대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밴드에 삽입되는 후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두 폴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로 변형되어 접힐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경방향을 따라 감싸는 탄력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동일한 부피를 갖는 원터치 텐트에 비해 접은 경우 그 면적이 절반이상 줄어들어 휴대와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2) 본 발명은 텐트를 펼친 경우 상단 모서리의 공간이 모두 펼쳐져 거의 직육면체에 가깝기 때문에 공간 활용도를 극대활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를 접는 순서대로 표현한 평면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교차점의 부분 절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의 일부 구성요소가 추가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1)는 폴대(10), 폴대 슬리브(20), 그리고 시트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폴대(1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바닥이 사각형인 내부공간을 형성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네 개의 상부면 모서리마다 교차되는 탄성력을 가진다.
상기 폴대(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많은 곡선을 형성하면서 텐트를 형태를 유지하도록 휘어진 상태와 복귀하는 상태를 각각 유지해야 하기 때문에 그 재질이 어떠한 재질이든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이어야 하고, 특히 사람의 힘으로 그 탄성력을 극복하여 접거나 펼 수 있는 정도이어야 한다. 따라서 합성수지나 금속 중에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폴대(10)가 하나의 폴대가 연장되어 서로 교차점(11)에서 교차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여러 개의 폴대를 연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폴대 슬리브(20)는,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폴대(10)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감싼다. 상기 폴대 슬리브(20)는 일정 이상의 내구성을 갖는 천을 사용하여 내부에 상기 폴대(10)가 수납되도록 슬리브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폴대 슬리브(20)는 상기 폴대(10)가 상기 시트부재(30)와 함께 일정한 형태의 텐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폴대(10)와 상기 시트부재(30)가 성질상 서로 쉽게 고정될 수 있는 성격이 아니기 때문에 상기 폴대 슬리브(20)가 대신 상기 시트부재(30)와 재봉되어 결합 고정된다.
이때 상기 폴대(10)는 상기 폴대 슬리브(20)에 내부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으나 그 범위가 한정적이고, 상기 폴대(10)가 유기적으로 하나의 형태로 연장되어 힘을 받고 있기 때문에 상기 폴대(10), 폴대 슬리브(20), 그리고 시트부재(30)는 일정한 형태에서 고정된 형태를 취한다.
상기 시트부재(30)는,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폴대(1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폴대 슬리브(20)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 경계를 이룬다. 통상의 경우에는 불투명하고 방수 재질로 이루어진 천을 상기 시트부재로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상기 시트부재(30)를 내부가 보이는 내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동시에 외부의 벌레 등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모기장으로 적용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형태의 본 발명에 의한 원터치 텐트(1) 모기장은 실외에서도 유용할 수 있으나, 특히 여름철 일상적으로 취침하는 공간에 설치하고 취침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상기 폴대(10)는 네 개의 교차점(11)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부(33)와, 상기 교차점(11)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호를 이룬 다음 상기 교차점(11)으로 되돌아가는 네 개의 원호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사각형부(33)는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원호부(34)는 상기 사각형부(33)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인접하는 상기 원호부(34) 사이는 네 개의 측면(31)을 이루고, 상기 측면(31)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개폐부(32a)가 구비된다. 또 상기 측면(31) 중에는 그 형상을 유지하기 위한 연결띠(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네 개의 교차점(11)은 상기 폴대(10)가 상하로 교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32a)에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교차점(11) 중 하나의 교차점(11)이 나머지 세 개와 반대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텐트(1)는 프레임을 이루는 폴대(10) 제작시, 하나의 폴대를 사용하여 네 곳에서 교차하게 되는데, 이때 세 곳의 교차점(11)은 모두 동일한 방법 즉, 상기 원호부(34)를 형성한 다음 교차점(11)에서 폴대끼리 교차시 세 개의 교차점(11)에서는 폴대(10) 하부로 동일하게 통과시키나 나머지 하나의 교차점(11)에서는 반대로 즉, 폴대(10) 상부로 통과시키도록 하며, 나머지 하나의 교차점(11)은 상기 개폐부(32a)에 인접한 두 개의 교차점(11) 중 하나가 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교차점(11)에서는 폴대(10)에 의해 가해지는 탄성력이 최고로 전달된다. 따라서 그 부분의 폴대 슬리브(20)나 시트부재(30)에 가해지는 힘이 증대되어 다른 부분보다 내구성을 더욱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교차점(11)의 원호부(34) 내측 방향으로 강성도가 높은 삼각 시트부재(34a)를 설치한다. 이에 따라 삼각 시트부재(34a)에 의해 내구성이 증가하고 텐트(1)를 보호하게 된다.
이대, 상기 교차점(11)은 도 6을 참고하면 폴대 슬리브(20)에 다른 폴대(10)와 폴대 슬리브(20)가 통과할 수 있는 슬롯 형태의 통과홀(20a)을 구비토록 하고 있다. 이러한 통과홀(20a)에 의해 제조시에도 작업자에게 조립에 대한 가이드가 될 수 있다.
이때, 도 1과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원터치 텐트(1)의 바닥면(32)은 개방된 형태이다. 즉 모기장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면(32)이 개방되어 있는 것이 편리하다.
이때, 상기 개폐부(32a)에는 지퍼(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퍼(40)를 구비함으로써 사람이나 물건이 드나들기 편리해지고, 특히 상기 텐트(1)를 접는 경우에는 상기 지퍼(40)를 반드시 개방한 상태에서 접어야 한다.
이때, 상기 텐트(1)를 접을 때에는 상기 개폐부(32a)의 상단과 그 반대편 폴대(10)에는 두 폴대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접어야 하기 때문에 서로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정수단은 벨크로 테이프를 적용할 수도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로 표현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폴대에 고정된 고리밴드(80)와, 반대편 폴대(10)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밴드(80)에 삽입되는 후크(8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터치 텐트(1)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두 폴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로 변형되어 접히게 된다. 상기 원터치 텐트(1)가 완전히 접히게 되면 상기 원호부(34)를 8자 형태로 접은 다음 다시 겹쳐진 원형 형태로 되는 바, 상기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경방향을 따라 감싸는 탄력밴드(6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원터치 텐트(1)는 겹쳐진 원형 형태로 접힌 다음 상기 원터치 텐트(1)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7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접혀져 수납 케이스(70)에 수납된 원터치 텐트(1)를 상기 수납 케이스(70)로부터 꺼내고, 탄력밴드(60)를 제거한 상태에서 공기 중으로 던지면 상기 폴대(10)의 탄성력에 의해 원터치 텐트(1)는 거의 순간적으로 펼쳐지게 되고, 그 결과 도 1과 형태로 바닥에 지지되어 서 있게 된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원터치 텐트(1)를 접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5를 모두 평면도로 표현되어 있고 폴대(10)만으로 개략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먼저, 상기 원터치 텐트(1)의 폴대 중 도 5를 기준으로, 상하부 폴대(10)를 서로 밀착시킨다. 이때 도면 기준으로 하부 폴대에 상기 개폐부(32a)가 있는 것으로 하고, 상기 개폐부(32a)는 개방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폴대(10)의 밀착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서 할 수도 있고, 전술한 벨크로테이프나 후크(81)와 고리밴드(80)를 사용하여 밀착시킬 수도 있다.
상기 폴대(10)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A점과 B접이 서로 겹치도록 A부분 쪽을 밀착점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폴대(10)가 회전되어 A정과 B점에 겹치게 되면, 세 개의 폐곡선을 이루게 된다. 물론 상하부에는 상기 원호부(34)들이 위치하게 된다. 이때 원호부(34) 사이의 폐곡선도 원호부와 동일한 형태의 원호부가 된다.
세 개로 형성된 상하부와 중앙에 형성된 원호부(34)들을 하나의 원호부가 되도록 접는다. 그러면 하나의 겹쳐진 타원과 유사한 원호부가 된다.
그 다음, 8자 형태로 한번 꼬아 다시 접으로 겹쳐진 작은 원형으로 변형된다. 이때 폴대가 가장 작게 접혀 폴대(10)의 탄성력이 최고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탄력밴드(60)를 사용하여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마지막으로 수납 케이스(70)에 넣어 휴대하고 이동 또는 보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 원터치 텐트
10 : 폴대 20 : 폴대 슬리브
30 : 시트부재 31 : 측면
32 : 바닥면 33 : 상부면
34 : 원호부 40 : 지퍼
50 : 연결띠 60 : 탄력밴드
70 : 수납 케이스 80 : 고리밴드
81 : 후크

Claims (11)

  1. 바닥이 사각형인 내부공간을 형성 지지하도록 연장되고 네 개의 상부면 모서리마다 교차되는 탄성력을 가진 폴대;
    상기 폴대가 내부에 수납되도록 감싸는 폴대 슬리브;
    상기 폴대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폴대 슬리브 사이를 연결 고정하여 상기 내부공간과 외부 사이에 경계를 이루는 복수개의 시트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폴대는 네 개의 교차점에 의해 이루어지는 사각형부와, 상기 교차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원호를 이룬 다음 상기 교차점으로 되돌아가는 네 개의 원호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사각형부는 상부면을 이루고, 상기 원호부는 상기 사각형부로부터 하부로 절곡되어 모서리를 이루며, 인접하는 상기 원호부 사이는 네 개의 측면을 이루고,
    상기 측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절개된 개폐부가 구비되며,
    상기 개폐부의 상단과 그 반대편 폴대에는 두 폴대를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폴대에 고정된 고리밴드와, 반대편 폴대에 고정되고 상기 고리밴드에 삽입되는 후크로 이루어지고,
    상기 폴대가 교차되는 교차점의 원호부 내측 방향으로 강성도가 다른 곳보다 높은 삼각 시트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는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두 폴대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로 변형되어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 개의 교차점은 상기 폴대가 상하로 교차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개폐부에 인접하는 두 개의 상기 교차점 중 하나의 교차점이 나머지 세 개와 반대로 교차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텐트의 바닥면은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재는 내외부의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메쉬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에는 지퍼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겹쳐진 복수개의 원형의 폴대가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직경방향을 따라 감싸는 탄력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터치 텐트가 접혀진 상태에서 수납되는 수납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1020160095629A 2016-07-27 2016-07-27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10188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29A KR101889830B1 (ko) 2016-07-27 2016-07-27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629A KR101889830B1 (ko) 2016-07-27 2016-07-27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94A KR20180012594A (ko) 2018-02-06
KR101889830B1 true KR101889830B1 (ko) 2018-08-20

Family

ID=61228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629A KR101889830B1 (ko) 2016-07-27 2016-07-27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98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1A (ko) 2020-01-07 2021-07-15 민승기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모기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751B2 (ja) * 1990-03-30 2000-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切替先チャネル選択方法
KR200215043Y1 (ko) * 2000-09-22 2001-02-15 전언국 그늘망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70751B2 (ja) * 1990-03-30 2000-07-31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切替先チャネル選択方法
KR200215043Y1 (ko) * 2000-09-22 2001-02-15 전언국 그늘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8931A (ko) 2020-01-07 2021-07-15 민승기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모기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594A (ko) 2018-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05396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7201177B2 (en) Portable baby tent
US6318394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7575011B2 (en) Collapsible structures
US7665478B2 (en) Collapsible greenhouse
US9388600B2 (en) Table tent
US20070039640A1 (en) Collapsible structures
JP2013501170A (ja) テントもしくはシェルタのためのベント
US20160242567A1 (en) Bed tent kit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US7614415B1 (en) Collapsible structure with integrated sleeve junction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JP4707930B2 (ja) 折り畳み式テント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US20050066591A1 (en) Vent stay for a canopy or tent
US10711483B2 (en) Collapsible changing tent assembly
KR20130004378U (ko) 텐트
KR200416808Y1 (ko) 텐트
KR200489715Y1 (ko) 텐트용 가방 겸용 포장커버
US20150300040A1 (en) Portable Folding Awning
KR102363455B1 (ko) 원터치형 방풍매트
KR200489249Y1 (ko)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KR20090009920U (ko) 접힘과 펼침이 자유로운 모기장
KR200408619Y1 (ko) 파라솔용 천막
KR200259894Y1 (ko) 모기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