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249Y1 -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 Google Patents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249Y1
KR200489249Y1 KR2020180000618U KR20180000618U KR200489249Y1 KR 200489249 Y1 KR200489249 Y1 KR 200489249Y1 KR 2020180000618 U KR2020180000618 U KR 2020180000618U KR 20180000618 U KR20180000618 U KR 20180000618U KR 200489249 Y1 KR200489249 Y1 KR 2004892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quito net
cover
mosquito
cold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6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연억
Original Assignee
방연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연억 filed Critical 방연억
Priority to KR20201800006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2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2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2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52Net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4Covers of tents or canop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미 사용하는 모기장에 추가로 구입한 방한 커버를 씌워서 사용하거나, 방한 커버와 모기장을 세트로 구입하고 모기장에 방한 커버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름철에는 방한 커버를 분리하여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방한 커버를 씌워서 실내에서 온방 효과를 높이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모기장 밑에 바닥 판을 탈부착할 수 있게 장착하고, 방한 커버를 이 바닥 판에 연결하여 구성하므로, 실외에서 텐트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안전하고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한 커버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의 깔판을 갖춤으로써, 지면에서 전해지는 습기나 냉기를 차단하여 더욱 안전하고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COVER FOR KEEPING WARM AND MOSQUITO NE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미 가정 등에서 사용하는 모기장에 방한 커버를 추가하여 사용하거나 방한 커버와 모기장을 세트로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름철에는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에는 방한 커버를 씌워서 겨울철에 방한용으로 활용하거나 계절에 상관없이 실외에서 텐트로도 활용할 수 있고, 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장은 모기가 그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일종의 장막을 말한다. 이러한 모기장은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침대에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이동식으로 제작하는 등 편의성을 높이고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실용 제0458630호
침대용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침대에 설치되며, 이용자의 활동공간을 넓히고, 침대와 모기장 사이에 모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침대용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그에 따른 침대용 모기장은 침대의 상부공간을 종래보다 넓게 하여 이용자가 활동할 수 있는 활동공간을 종래보다 대폭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를 설치하고 이를 출입구지퍼부로 지퍼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용자가 침대에서 침대용 모기장을 통해 이동하는 경우에도 모기의 유입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침대용 모기장을 침대매트 주변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함으로써, 자연풍이나 선풍기 바람에 침대와 모기장 사이에 틈이 생겨 모기가 유입되는 문제를 차단하고, 진공청소기를 이용해 방 청소를 할 때 모기장이 청소기에 빨려 들어가는 불편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 텐트형이나 원추형과 같이 출입구가 좁거나 없어서 침대를 청소하거나 침구를 정리, 교체하는 작업을 할 때 공간이 협소한 모기장 안의 침대 위에서 작업을 하거나 좁은 출입구를 통해 작업을 해야 하는 불편함과는 달리, 각 측부망체부를 연결하는 지퍼부의 결합을 해제하여 한 쪽면의 측부망체부를 상부망체부에 올리면 침대를 내려와 모기장 밖에서도 침대를 청소하거나 침구를 정리,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9862호
바닥부와 등받이를 포함하는 침대에서, 상기 침대의 등받이 후면에 장착되는 모기장 보관함과, 상기 바닥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지지기둥과, 상기 한 쌍의 지지기둥에 결합되는 다리부 지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모기장 보관함에 보관되어 있는 모기장을 꺼내어 침대 위로 펼치고 상기 다리부 지지봉 상단에 걸침으로써 모기장이 침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 내장형 침대를 제공한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289호
이동식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며, 다단으로 구비되어 내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인출됨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각각 가지는 복수의 지지봉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봉들 중 서로 인접되는 두 개의 지지봉들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대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봉들과 상기 복수의 지지대들에 의해 구성되는 사각형상의 공간을 둘러싸는 모기망을 구비하되, 상기 모기장의 출입문은 상기 모기망의 특정부위를 절단하고 절단부위의 양측에 자석을 배치하여 구성한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모기장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모기나 벌레 등의 실내나 모기장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는 기존 모기장은 여름철에는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겨울철과 같이 모기나 벌레가 많지 않은 계절에는 모기장의 활용도가 떨어진다.
(2) 특히, 이처럼 기존 모기장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기존 모기장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고, 이에 보관 장소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먼지가 쌓이지 않도록 보관해야 하므로 보관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3) 또한, 모기장은 망사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겨울에 실내에서 사용하거나, 바람이 부는 실외에서 사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한국등록실용 제0458630호 (등록일 : 2012.02.07)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59862호 (공개일 : 2017.05.31)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9289호 (공개일 : 2017.08.31)
본 고안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이미 사용하는 모기장에 추가로 구입한 방한 커버를 씌워서 사용하거나, 방한 커버와 모기장을 세트로 구입하고 모기장에 방한 커버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여름철에는 방한 커버를 분리하여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방한 커버를 씌워서 실내에서 온방 효과를 높이면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모기장 밑에 바닥 판을 탈부착할 수 있게 장착하고, 방한 커버를 이 바닥 판에 연결하여 습기나 빗물 등의 실내 침입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실외에서 텐트로도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에도 안전하고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을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이러한 방한 커버의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의 깔판을 갖춤으로써, 바닥 판 밑에 깔판을 깔아서 지면에서 바닥 판으로 전해지는 습기나 냉기를 차단하여 더욱 안전하고 따뜻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을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한 기능을 가진 모기장은, 적어도 두 개의 폴을 교차하게 끼워서 휜 다음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웃한 두 개의 폴 사이에 지퍼(121)로 여닫는 출입구(120)를 갖춘 모기장 본체(100); 상기 모기장 본체(100)에 교차하게 끼워서 휨에 따라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양단에는 각각 모기장 본체(100)의 모서리 부분을 걸어서 끼울 수 있는 고리(211)와 한쪽에 끼움 돌기(212)가 돌출 성형된 고정 부재(210)를 갖춘 적어도 두 개의 폴(200); 및 상기 모기장 본체(100) 위에 겹쳐서 사용하되, 상기 출입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지퍼(311)로 여닫는 출입구(310)를 갖추고, 상부에는 환풍구(320)를 갖추며, 모서리에는 상기 끼움 돌기(212)에 끼움 고정하는 걸림 고리(330)를 갖춘 방한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모기장 본체(100)는, 각 모서리를 상기 끼움 돌기(212)에 끼우고 가장자리를 벨크로나 스트링 또는 지퍼로 상기 모기장 본체(100)의 가장자리에 장착과 분리할 수 있는 바닥 판(1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출입구(120, 310)는, 적어도 두 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방한 커버(300)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 또는 태피터 천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방한 커버(300)는, 개방한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에 각각 깔판(340)을 갖춰서 서로 겹쳐지게 설치하고, 깔판(340)의 가장자리를 방한 커버(300)에 지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모기장에 씌워서 사용하는 방한 커버를 포함하되, 적어도 두 개의 폴(200)로 지지하는 모기장 본체(100)에 씌워서 사용하는 방한 커버에서, 상기 모기장 본체(100) 위에 겹쳐서 사용하되, 상기 모기장 본체(100)에 갖춘 출입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지퍼(311)로 여닫는 출입구(310)를 갖추고;, 상부에는 환풍구(320)를 갖추며, 모서리에는 걸림 고리(330)를 갖추며;, 내부에는 모기장 본체(100)의 형상을 지지하는 폴(200)과 맞닿는 부분에 이 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스트링을 갖춘 방한 커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모기장에 방한 커버를 갖춰서 여름철에는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방한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계절에 상관없이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다.
(2) 특히, 매장에서도 모기장이나 방한용으로 사용할 때는 때에 따라 매장에서 제품을 빼서 따로 보관해야 하나,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은 사계절 모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3) 또한, 모기장에는 바닥에 바닥 판을 갖춤으로써, 실내에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외에서 텐트 대용으로 사용할 수도 있어 다용도로 사용 가능하여 편리하다.
(4) 한편, 방한 커버에는 두 매의 깔판을 갖춤으로써, 실외에서 텐트로 사용할 때 지면이나 바닥에서 모기장 안으로 들어오는 한기나 습기 등을 차단하여 텐트로서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5) 그리고, 모기장과 방한 커버에는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게 두 개의 출입구를 갖춤으로써, 모기장이나 텐트로 사용할 때 2개의 출입구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또한, 방한 커버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이나 태피터 천으로 제작하므로, 방수효과와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7) 한편, 방한 커버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미 구매하여 집에서 사용하는 모기장에 알맞은 방한 커버를 추가로 구매하여 사용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방한 커버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8) 특히, 방한 커버 내부에 구성한 스트링을 미리 구매하여 집에서 사용하는 모기장의 폴에 묶어서 고정하여 사용하므로, 누구든지 쉽게 방한 커버를 집에서 사용하는 모기장에 설치하여 편리하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방한 커버를 모기장 본체에 씌운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를 모기장 본체에서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 본체 하부에 바닥 판을 갖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해 폴의 끝 부분을 확대한 [도 2]에서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의 모서리 부분에 구성한 걸림 고리의 예를 보여주는 [도 2]에서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를 고정 부재에 끼워서 고정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에 두 개의 깔판을 구성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방한 커버를 갖춘 모기장)
본 고안에 따른 방한 커버를 갖춘 모기장은,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모기장 본체(100), 적어도 두 개의 폴(200), 그리고 방한 커버(3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모기장 본체(100)는 바닥에 바닥 판(130)을 갖춤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본연의 목적인 모기장 기능과 더불어 야외에서 텐트로 사용하거나 겨울철에는 방한용 텐트로도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방한 커버(300)에는 가장자리에 적어도 두 개의 깔판(340)을 갖추고, 이들 깔판(340)이 서로 중첩하게 겹쳐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야외에서 텐트로 사용할 때 지면이나 바닥에서 모기장 안으로 냉기나 습기 등이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여 안전하고 아늑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방한 커버(300)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이나 태피터 천으로 제작하므로, 방수와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모기장 본체(100)와 방한 커버(300)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출입구를 구성하므로, 모기장이나 텐트로 사용할 때 이용자가 원하는 위치에서 쉽게 드나들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모기장 본체(10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히 적어도 두 개의 폴(200)을 교차하게 끼워서 이 폴(200)이 휘어지게 하여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가 되도록 구성한다.
특히, 상기 모기장 본체(100)는, [도 2] 및 [도 2]와 같이, 바깥면에 폴(200)을 끼울 수 있도록 폴 슬리브(110)를 형성한다. 폴 슬리브(Pole Sleeve)는 폴을 끼워서 모기장 본체(100)에서 빠지지 않도록 터널 형태로 길게 제작한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다. 이때, 폴 슬리브(110)는 두 개의 폴(200)을 사용할 때는 십자 형태가 되게 모기장 본체(100)에 형성하고, 세 개의 폴(300)을 사용할 때는 별 모양(*)으로 폴 슬리브(11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폴 슬리브(110)는 폴(200)의 길이에 맞게 제작할 수도 있으나, 모기장 본체(100)의 중앙 부분에는 형성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모기장 본체(10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출입구(120)를 형성하여 돔 형상의 모기장 본체(100) 안으로 드나들 수 있게 제작한다. 이때, 출입구(120)는 상술한 폴 슬리브(110)에 끼운 두 개의 폴(200) 사이에 형성하고, 지퍼(121) 등을 이용하여 쉽고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구(1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하나를 구성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두 개를 형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라 모기장이나 텐트로 사용할 때 양쪽으로 드나들 수 있게 하여 편의성을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출입구(120)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두 개의 지퍼(121)로 출입구(120)의 양쪽에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하므로, 지퍼(121)를 쉽고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 본체(100)에는, [도 3]과 같이, 바닥 판(130)을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바닥 판(100)은 가장자리를 모기장 본체(100)의 가장자리에 벨크로나 스트링 또는 지퍼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는,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실내나 여름철에 사용할 때 모기장 본체(100)가 들려 바닥에서 가장자리가 들리더라도 이물이나 모기 등이 모기장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 주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실외에서 텐트로 사용할 때 바닥이나 지면에서 습기나 냉기 등이 모기장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막아주기 위함이다. 이에, 이러한 바닥 판(130)은 후술할 방한 커버(300)와 같은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바닥 판(100)은, [도 3]과 같이, 펼친 모기장 본체(100)의 바닥과 같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모서리 부분에는 후술할 폴(200) 끝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도록 고리를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모기장 본체(100)는 다양한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통상적으로 모기장 기능과 실내에서 방한 텐트로도 사용하는 크기, 즉 침대 크기를 기준으로 퀸 사이즈의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20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모기장 본체(100)에 형성한 폴 슬리브(110)에 끼운 다음 휘어서 모기장 본체(100)가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폴(200)은 휘었다가 놓으면 원래 형태로 되돌아가는 유연한 재질로 제작함으로써, 폴 슬리브(110)에 끼운 상태에서 모기장 본체(100)를 접었다가 놓음에 따라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펼쳐지는 팝업(Pop-up)방식으로 펼쳐질 수 있게 구성한다.
이처럼 팝업방식으로 펼쳐지게 구성하려면, 두 개의 폴(200)을 십자 형태로 배치하거나, 세 개의 폴(200)을 눈 모양(*)으로 배치하거나, 네 개의 폴(200)을 십자 형태로 배치하고 그 사이 각도의 중간에 위치하도록 다시 십자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폴(200)에는, [도 2] 내지 [도 4]와 같이, 양쪽 끝에 고정 부재(210)를 갖춘다. 고정 부재(210)는 한쪽에 끼움 돌기(212)가 돌출 성형이 되며 다른 한쪽을 상기 폴(200)에 억지 끼움 형태로 끼워서 고정하고, 또한 상기 고정 부재(210)에는 고리(211)를 갖춘다. 이러한 고정 부재(210)는 폴 슬리브(110)에 폴(200)을 끼운 상태에서 모기장 본체(100)의 모서리 부분을 상기 고리(211)에 끼워서 고정함에 따라 모기장 본체(100)의 전체적인 형상을 구성하게 한다. 이때, 상기 모기장 본체(100)의 모서리는 강제로 고리(211)에 걸어서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모기장 본체(100)의 각 모서리에 걸이를 형성해 둠으로써, 이 걸이를 고리(211)에 쉽게 걸어서 장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끼움 돌기(212)에는 상술한 바닥 판(130)의 모서리 부분을 끼워서 고정하거나, 바닥 판(130)과 함께 방한 커버(300)를 끼워서 고정할 때 사용한다.
방한 커버(300)는, [도 1]·[도 2] 및 [도 7]과 같이, 상술한 모기장 본체(100) 위에 겹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모기장 본체(100)의 형상과 같거나 유사한 형태로 형성한다. 이때, 방한 커버(300)는 상술한 폴(200)에 스트링 등으로 묶어서 모기장 본체(100)와 일체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한 커버(300)는, [도 2]와 같이, 상술한 출입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출입구(310)를 형성한다. 이때, 출입구(310)는 지퍼(311)를 이용하여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겨울에 실내에서 사용할 때 방한 효과를 높이고, 또한 실외에서 사용할 때는 한기가 습기 등이 모기장 본체(100)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특히, 상기 방한 커버(300)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 그리고 태피터 천 등으로 제작하므로, 방수와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인디언 헤드(Indian Head)는 굵은 면사를 사용하여 평조직으로 짠 두꺼운 직물로, 운동복이나 작업복 그리고 커튼 등에 사용하는 천을, 기모 천은 천을 이루는 섬유를 긁거나 뽑아 천 표면에 보풀이 일게 하여 천의 감촉을 부드럽게 하거나 보온력을 높이게 한 천을 말하며, 태피터(Taffeta)는 레이온, 나일론, 견섬유로 만들어진 매끄러우면서도 뻣뻣한 천으로, 평직 견직물을 말한다.
한편, 상기 방한 커버(300)는, [도 1]·[도 2] 및 [도 7]과 같이, 모기장 본체(100)에 씌웠을 때 상부에 위치하도록 환풍구(320)를 갖춘다. 환풍구(320)는 방한 커버(300)에 지퍼 등을 이용하여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하고, 개방한 부분을 스티프너(Stiffner)로 받쳐서 고정할 수 있게 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다.
또한, 상기 방한 커버(300)는, [도 1]·[도 2] 및 [도 7]과 같이, 각 모서리에 각각 걸림 고리(330)를 형성한다. 걸림 고리(330)는, [도 6]과 같이, 상술한 끼움 돌기(212)에 끼우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바닥 판(130)과 반대 방향으로 끼운다. 즉, 폴(200)를 중심으로 모기장 본체(100)는 폴(200) 끝의 아래에서 바로 끼우면 되나, 방한 커버(300)는 모기장 본체(100) 쪽으로 모서리 부분을 꺾어서 걸림 고리(330)를 끼움 돌기(212)에 끼워서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방한 커버(300)는, 모기장 본체(100)에 바닥 판(130)을 갖춘 경우, 이 방한 커버(300)의 가장자리를 바닥 판(130)의 가장자리에 연결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의 연결 방법으로는 스트링이나 지퍼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지퍼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방한 커버(300)는, [도 7]과 같이, 적어도 두 곳의 가장자리에 깔판(340)을 장착과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깔판(340)을 모기장 본체(100)나 바닥 판(130) 아래에 두 겹으로 중첩하여 깔고, 그 가장자리를 방한 커버(300)에 지퍼 등을 이용하여 가장자리를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본 고안에 따른 모기장을 실외에서 텐트로 사용할 때 바닥이나 지면에서 습기나 냉기가 모기장 안으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한다. 이때, 깔판(340)은 각 가장자리가 바닥 판(130)과 방한 커버(330)에 벨크로나 지퍼 등을 이용하여 쉽고 신속하게 연결하거나 분리하고, 또한 외기나 냉기 등이 실내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방한 커버)
본 발명은 상술한 방한 커버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방한 커버는 모기장 본체와 별도로 판매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미리 모기장을 구매한 이들도 본 발명에 따른 방한 커버를 추가 구매하여 집에서 사용하는 모기장에 본 발명에 따른 방한 커버를 씌워서 방한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한 커버는 모기장의 형태를 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폴에 묶어서 사용할 수 있도록 스트링을 갖춤으로써, 누구든지 쉽고 편리하게 모기장에 고정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여름철에는 모기장으로 사용하고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방한 텐트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때에 따라서는 실외에서 텐트로 활용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100 : 모기장 본체
110 : 폴 슬리브
120, 310 : 출입구
121, 311 : 지퍼
130 : 바닥 판
200 : 폴
210 : 고정 부재
211 : 고리
212 : 끼움 돌기
300 : 방한 커버
320 : 환풍구
330 : 걸림 고리

Claims (8)

  1. 적어도 두 개의 폴을 교차하게 끼워서 휜 다음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로 이루어지고, 이웃한 두 개의 폴 사이에 지퍼(121)로 여닫는 출입구(120)를 갖춘 모기장 본체(100); 상기 모기장 본체(100)에 교차하게 끼워서 휨에 따라 돔 또는 피라미드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양단에는 각각 모기장 본체(100)의 모서리 부분을 걸어서 끼울 수 있는 고리(211)와 한쪽에 끼움 돌기(212)가 돌출 성형된 고정 부재(210)를 갖춘 적어도 두 개의 폴(200); 및 상기 모기장 본체(100) 위에 겹쳐서 사용하되, 상기 출입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지퍼(311)로 여닫는 출입구(310)를 갖추고, 상부에는 환풍구(320)를 갖추며, 모서리에는 상기 끼움 돌기(212)에 끼움 고정하는 걸림 고리(330)를 갖춘 방한 커버(300);를 포함하되,
    상기 방한 커버(300)는,
    개방한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에 각각 깔판(340)을 갖춰서 서로 겹쳐지게 설치하고, 깔판(340)의 가장자리를 방한 커버(300)에 지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기능을 가진 모기장.
  2. 제1 항에서,
    상기 모기장 본체(100)는,
    각 모서리를 상기 끼움 돌기(212)에 끼우고 가장자리를 벨크로나 스트링 또는 지퍼로 상기 모기장 본체(100)의 가장자리에 장착과 분리할 수 있는 바닥 판(13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기능을 가진 모기장.
  3. 제1 항에서,
    상기 출입구(120, 310)는,
    적어도 두 개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기능을 가진 모기장.
  4. 제1 항에서,
    상기 방한 커버(300)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 또는 태피터 천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 기능을 가진 모기장.
  5. 삭제
  6. 적어도 두 개의 폴(200)로 지지하는 모기장 본체(100)에 씌워서 사용하는 방한 커버에서,
    상기 모기장 본체(100) 위에 겹쳐서 사용하되,
    상기 모기장 본체(100)에 갖춘 출입구(120)와 대응하는 위치에 지퍼(311)로 여닫는 출입구(310)를 갖추고,
    상부에는 환풍구(320)를 갖추며, 모서리에는 걸림 고리(330)를 갖추며,
    내부에는 모기장 본체(100)의 형상을 지지하는 폴(200)과 맞닿는 부분에 이 폴(200)에 고정할 수 있도록 여러 개의 스트링을 갖춘 방한 커버(300)를 갖추되, 상기 방한 커버(300)는, 개방한 적어도 두 개의 가장자리에 각각 깔판(340)을 갖춰서 서로 겹쳐지게 설치하고, 깔판(340)의 가장자리를 방한 커버(300)에 지퍼로 여닫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에 씌워서 사용하는 방한 커버.
  7. 제6 항에서,
    상기 방한 커버(300)는,
    인디언 헤드 천, 기모 천, 또는 태피터 천으로 제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기장에 씌워서 사용하는 방한 커버.
  8. 삭제
KR2020180000618U 2018-02-08 2018-02-08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KR2004892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18U KR200489249Y1 (ko) 2018-02-08 2018-02-08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618U KR200489249Y1 (ko) 2018-02-08 2018-02-08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249Y1 true KR200489249Y1 (ko) 2019-05-21

Family

ID=66651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618U KR200489249Y1 (ko) 2018-02-08 2018-02-08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249Y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08Y2 (ko) * 1983-03-30 1988-02-22
KR920000842Y1 (ko) * 1988-09-28 1992-01-31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에서의 s-vhs감지신호 발생회로
KR100458630B1 (ko) 2002-10-07 2004-12-03 광주과학기술원 위상편이 및 주파수편이 결합추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1524A (ko) * 2015-09-11 2017-03-21 정혜진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KR20170059862A (ko) 2015-11-23 2017-05-31 김형진 모기장 내장형 침대
KR20170099289A (ko) 2016-02-23 2017-08-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모기장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6208Y2 (ko) * 1983-03-30 1988-02-22
KR920000842Y1 (ko) * 1988-09-28 1992-01-31 삼성전자 주식회사 Vtr에서의 s-vhs감지신호 발생회로
KR100458630B1 (ko) 2002-10-07 2004-12-03 광주과학기술원 위상편이 및 주파수편이 결합추정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31524A (ko) * 2015-09-11 2017-03-21 정혜진 이중 보온 실내용 난방텐트
KR20170059862A (ko) 2015-11-23 2017-05-31 김형진 모기장 내장형 침대
KR20170099289A (ko) 2016-02-23 2017-08-31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이동식 모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49199A (en) Bed tent
US7322315B2 (en) Pet house
US6305396B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2036033A (en) Portable canopy and beach shelter construction
US9388600B2 (en) Table tent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AU2005200980A1 (en) Tent with window having an internal shelf
US8146183B2 (en) Anchorable sheet for beach or lawn
US6098218A (en) Cabin cot
US8371322B1 (en) Folding canopy beach tent
US6840254B1 (en) Portable dressing blind and method of use
KR200489249Y1 (ko) 방한 커버 및 이를 갖춘 모기장
US20060011521A1 (en) Patio umbrella with screen room
AU2001286150C1 (en) Collapsible tent
JP2020084756A (ja) テント
KR20120040836A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101277160B1 (ko) 낚시좌대 전용 텐트
US2881778A (en) Cover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102008391B1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JP3213536U (ja) テント
CN219826390U (zh) 一种组合式帐篷
US2155330A (en) Health protection member
KR200210598Y1 (ko) 파라솔을 이용한 그늘막 겸용 텐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