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160B1 - 낚시좌대 전용 텐트 - Google Patents

낚시좌대 전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160B1
KR101277160B1 KR1020110106307A KR20110106307A KR101277160B1 KR 101277160 B1 KR101277160 B1 KR 101277160B1 KR 1020110106307 A KR1020110106307 A KR 1020110106307A KR 20110106307 A KR20110106307 A KR 20110106307A KR 101277160 B1 KR101277160 B1 KR 1012771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fishing
elastic member
cloth
tent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2165A (ko
Inventor
김찬양
Original Assignee
김찬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양 filed Critical 김찬양
Priority to KR10201101063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16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2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2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1Hunting, fishing h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풍, 차양, 보온, 비가림 등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출입이 편리하고, 안쪽에 앉아 낚시를 하더라도 낚시대를 직각으로 세울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낚시좌대 전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위와 후위에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는 창문용 통풍구가 각각 형성된 텐트천; 텐트천을 지지해주는 텐트 프레임; 하부측이 인접한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면서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텐트천의 전위측 출입구 상단에 위치된 낚시대 받침부; 텐트천 양측부의 창문용 통풍구를 덮어줄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고, 상단부는 창문용 통풍구 위쪽에 고정된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는 창문부재; 상단부와 하단부는 텐트천의 후위측 출입구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각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텐트천과 일측단부의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문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좌대 전용 텐트{Tent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좌대 전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풍, 차양, 보온, 비가림 등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출입이 편리하고, 고기가 잡혔을 때나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워줄 때 텐트안에 앉아서 낚시대를 직립시켜 낚시바늘을 텐트앞에 가까이 다가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경제 발전에 따른 개인 소득 및 여가 시간 등이 증대되면서 여가를 즐기는 인구가 많아지고 있으며, 이러한 여가 활동 중 낚시는 심신의 피로를 해소해주고, 공기가 좋은 자연속에서 바쁜 일상을 뒤돌아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며, 물고기를 낚을 때의 강한 카타르시스로 인해 낚시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낚시를 즐김에 있어서 낮시간 동안만 낚시를 할 경우에는 차양을 위해 파라솔 등을 가지고 다니기는 하나, 밤낚시의 경우 이슬이 내리고, 또 기온이 낮시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져 매우 추우며, 비바람이 불 경우 그 추위가 더욱 심해지게 되므로 밤낚시를 할 때 텐트는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텐트는 통상 펼쳐진 상태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햇볕, 비, 바람 등을 막아주는 텐트천과, 텐트천을 소정의 형상으로 지지하는 텐트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텐트 전면 또는 전후면에는 이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문이 지퍼 등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텐트의 하단면은 낚시대의 받침틀을 설치하면 낚시대 설치대의 윗쪽은 텐트 중심부로부터 텐트 하단까지 경사면이 되어 비가 올 때는 빗물이 텐트안에 떨어지고 석양무렵이면 햇볕이 정면에서 비추게 되면 낚시찌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텐트에 앉은 상태에서 낚시를 하는 경우 고기가 잡혔을 때나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워줄 때에는 텐트안에 앉아서 낚시대를 직립시켜 낚시바늘을 텐트앞에 가까이 다가올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낚시대가 텐트천에 걸려 직립이 어려운 관계로 어쩔 수 없이 텐트 내외를 오가면서 낚시가 이루어질 수밖에 없어 사용이 매우 불편한 단점도 있었으며, 일반적인 텐트의 출입문에는 지퍼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텐트 내외를 오갈 때 좁은 텐트 내부에서 출입문에 형성되어 있는 지퍼를 여닫기 매우 불편한 것이었다.
또한, 일반적인 텐트는 바닥면까지 천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사용자가 텐트 내외부를 수시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에 묻은 흙 등의 이물질이 텐트 내부 바닥면에 묻어날 수밖에 없어 한번 사용하면 매번 세탁하여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방풍, 차양, 보온, 비가림 등의 기본적인 기능은 물론 고기가 잡혔을 때나 낚시바늘에 미끼를 끼워줄 때 텐트 안에 앉아서 낚시대를 직립시켜 낚시바늘을 텐트 앞에 가까아 다가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고, 출입이 편리하며, 양측의 창문 여닫기도 편리한 낚시좌대 전용 텐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위와 후위에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는 창문용 통풍구가 각각 형성된 텐트천; 상기 텐트천을 지지해주는 텐트 프레임; 하부측이 인접한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면서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텐트천의 전위측 출입구 상단에 위치된 낚시대 받침부; 상기 텐트천 양측부의 창문용 통풍구를 덮어줄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창문용 통풍구 위쪽에 고정된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는 창문부재; 및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텐트천의 후위측 출입구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각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상기 텐트천과 일측단부의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문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낚시대 받침부의 제1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부재의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측은 반대측에 비해 폭이 넓게 구성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제3 탄성부재가 끼워져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문부재의 제2 탄성부재는 고무줄,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 롤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부재의 제3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낚시대 받침부의 양측에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출몰되는 연장관부와, 상기 연장관부의 외관과 내관 접촉부위에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연장관부의 외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차양연장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내관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문부재 또는 상기 문부재의 가이드줄 연결부위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겹쳐 박음질되어 그 공간에 상기 가이드줄을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창문부재 또는 상기 문부재의 가이드줄 연결부위는 상기 가이드줄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천의 문부재 상부 위치에는 상기 문부재의 이동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지지대가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프레임의 하부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텐트천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고정핀이 고정되는 고정편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핀이 낚시용 좌대에 끼워져 그 하부로 인출될 때 상기 낚시용 좌대의 하부로 인출된 고정핀 부위에 끼워져 상기 텐트 프레임을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해주기 위한 고정링이 상기 고정편에 제4 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텐트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각각 고정고리가 형성된 "X"자 형상의 고정끈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텐트의 전위측 출입구 상부에 타부위보다 넓은 폭으로 이루어지면서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가 끼워진 낚시대 받침부가 형성되어 있어 텐트에 앉은 상태에서 낚시대를 들어올리더라도 낚시대의 중간부가 낚시대 받침부와 접촉되면서 텐트 앞부위가 탄성부재의 늘어남으로 인해 텐트 안쪽으로 밀려 올라와 낚시대가 직각을 이룰 수 있어 텐트에 앉은 상태에서도 충분히 낚시가 가능해지는 이점이 있으며, 특히 물의 안쪽에 낚시용 좌대를 설치한 후 이러한 낚시용 좌대 위에 텐트를 칠 수 있어 텐트안에서 낚시를 즐기기 더욱 편리해지는 것이다.
또한, 텐트를 낚시용 좌대 위에 쳤을 경우 후위측 출입구 여닫기가 매우 간편하여 낚시에 필요한 짐을 텐트안으로 옮길 때 및 출입문을 닫아주기 매우 편리하며, 양측의 창문 역시 여닫이식으로 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낚시 좌대의면적에 꼭 맞게 텐트를 제작할 수 있어 외관이 양호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문부재를 연 후 그대로 놓아주면 탄성부재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다시 닫히게 되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고, 문부재 외측의 벨크로 파스너와 텐트천의 대응위치에 있는 벨크로 파스너를 부착해주면 방풍의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되며, 보다 큰 물건을 출입문을 통해 옮길 경우 문부재의 반대측 단부에 있는 벨크로 파스너를 떼어주고 반대측으로 밀어주면 문부재를 완전 개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또한, 텐트 프레임의 고정핀을 낚시용 좌대에 삽입한 후 고정링을 당겨 낚시용 좌대 하부로 인출된 고정핀 부위에 끼워주면 아무리 심한 바람이 불더라도 텐트 프레임이 날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도 있으며, 낚시용 좌대가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경우 텐트를 접어 낚시용 좌대의 내부 공간에 수납하면 되므로 낚시를 위해 이동할 때 짐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낚시대 받침부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문부재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문부재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텐트 고정부위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차양연장부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좌대 전용 낚시용 텐트의 고정끈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을 제시되는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텐트는 일반적인 텐트와 마찬가지로 텐트천(10)과 이를 지지해주는 텐트 프레임(2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일반적인 텐트의 구조를 취하면서 안에 앉아서 낚시하기 편리하게 한 낚시 전용 텐트로서, 안에 앉은 상태에서 낚시대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낚시대 받침부(30), 출입구(11)(12)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문부재(40), 창문용 통풍구(13)를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한 창문부재(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텐트천(10)은 전위와 후위에 출입구(11)(12)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는 창문용 통풍구(13)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텐트 프레임(20)은 텐션이 있는 재질로 구성된 2개의 프레임이 X자 형태로 크로스되면서 돔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텐트천(10)의 상부에 형성된 다수의 고정고리(14)에 각각 끼워져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텐트천(10)의 전위측 출입구(11) 상단에는 인접한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면서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된 제1 탄성부재(31)가 개재된 낚시대 받침부(30)가 형성된다.
텐트천(10) 양측부의 창문용 통풍구(13) 위쪽에는 가로방향으로 가이드줄(51)이 고정되고, 창문부재(50)의 상단부가 이러한 가이드줄(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좌우방향으로 창문용 통풍구(13)를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며, 창문부재(50)의 상부에는 비 또는 이슬이 텐트 안쪽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덮개천(52)이 덧대어지게 된다.
텐트천(10) 후위측 출입구(12) 상부와 하부에는 가이드줄(41)이 각각 고정되고, 문부재(40)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각 가이드줄(4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며, 텐트천(10)과 문부재(40)의 일측 단부의 사이에는 고무줄,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 롤테이프 등으로 된 제2 탄성부재(42)가 연결되어 문부재(40)를 일측으로 밀어주면 개방되었다가 제2 탄성부재(42)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낚시대 받침부(30)의 하부측 폭은 타부위보다 넓으므로 비 또는 이슬이 내릴 때 수분이 텐트 안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낚시대 받침부(30)는 텐트천(10)의 외부에 위치되도록 하고, 문부재(40)는 텐트의 안쪽에서 편리하게 여닫을 수 있도록 텐트천(10)의 안쪽에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부재(40)의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측은 반대측에 비해 폭을 넓게 구성하고, 상하방향으로 고무줄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된 제3 탄성부재(43)를 끼워 문부재(40)의 중간부를 살짝만 열게 되면 상하부는 그대로 있고, 중간부만 약간 개방되었다가 다시 놓아주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도록 구성하게 된다.
창문부재(50) 또는 문부재(40)의 가이드줄 연결부위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겹쳐 박음질하여 그 공간에 가이드줄(41)(51)이 수용되도록 하거나, 가이드줄(41)(51)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리(44)로 구성할 수 있다.
문부재(40)의 양측 단부와 텐트천(10)에는 방풍을 위해 서로 대응되는 벨크로 파스너(45)를 각각 부착하게 되며, 텐트천(10)의 문부재 상부 위치에는 문부재(40)의 이동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지지대(15)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낚시대 받침부(30)의 양측에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출몰되는 연장관부와, 연장관부의 외관(81)과 내관(82) 접촉부위에 형성된 잠금부(83)와, 연장관부의 외관(81) 내부에 삽입되어 내관(82)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84)로 이루어진 차양연장부(80)가 각각 구비되며, 각 내관(82)의 선단부에 제1 탄성부재(31)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이때 잠금부(83)는 도면상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내관(82)을 외관(81)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고정하거나, 내관(82)을 외관(81)으로부터 빼낼 때 그 고정위치를 해제할 수 있는 부재이면 어떠한 부재이든 모두 적용가능하다.
한편, 텐트 프레임(20)의 하부에는 고정핀(21)이 형성되고, 텐트천(10)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고정핀(21)이 고정되는 고정편(60)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텐트를 낚시용 좌대 위에 설치하여 사용할 때 텐트가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고정핀(21)은 일반적인 텐트의 고정핀보다는 길게 구성하여 고정핀(21)이 낚시용 좌대에 끼워지면서 그 하부로 인출되도록 하고, 고정핀(21)이 낚시용 좌대에 끼워져 그 하부로 인출될 때 낚시용 좌대의 하부로 인출된 고정핀(21) 부위에 끼워져 텐트 프레임(20)을 낚시용 좌대에 고정해줄 수 있도록 고정링(61)이 고무밴드와 같은 제5 탄성부재(62)를 통해 고정편(60)에 연결되어 이루어지게 되며, 고정링(61)에는 사용자가 고정링(61)을 손쉽게 당길 수 있도록 당김천(63)이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텐트천(10)이 텐트 프레임(20) 하단부측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텐트 프레임(20)의 위치를 고정하여 낚시대의 좌대 위에 원활하게 안치할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각각 고정고리(71)가 형성된 "X"자 형상의 고정끈(72)을 더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텐트천(10)과 텐트 프레임(20)을 각각 분리하여 접게 되면 그 부피가 최소화되어 접이식 낚시용 좌대의 내부 공간에 충분히 수납할 수 있어 휴대가 매우 편리하며, 낚시용 좌대를 설치한 후 텐트천(10)을 펼쳐 전개하고, 텐트 프레임(20)을 텐트천(10)에 고정하고, 그 상태 그대로 들어 낚시용 좌대의 상부에 안치시키게 된다.
이때, 낚시용 좌대에는 텐트 프레임(20) 양단부의 고정핀(21)이 끼워질 수 있는 텐트 고정공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자명하며, 낚시용 좌대의 상부에 텐트를 안치한 후에는 텐트 프레임(20)의 각 고정핀(21)을 낚시용 좌대의 텐트 고정공에 끼워 그 하부로 인출되게 하고, 고정링(61)에 연결된 당김천(63)을 하방향으로 당겨 낚시용 좌대 하부로 인출된 고정핀(21) 아래쪽에서 끼워주게 되는바, 고정링(61)은 고정편(60)에 고무밴드와 같은 제5 탄성부재(62)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시 상방향으로 고정링(61)을 당겨주는 형태가 되어 아무리 바람이 심하게 불더라도 텐트가 바람에 날아가지 않고 낚시용 좌대 위에 안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낚시용 좌대에 텐트를 안치한 후에는 낚시에 필요한 도구 등을 텐트의 내부로 이동시켜주게 되며, 이러한 낚시용 도구들은 낚시위치 후방측에 있을 것이므로 텐트 후위측의 출입구(12)를 개방하여 텐트로 드나들어야 된다.
짐을 들고 텐트 후위측에서 손으로 문부재(40)의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측을 반대측으로 밀어주면 문부재(40)가 그 힘의 방향으로 밀리면서 개방될 수 있으며, 문부재(40)에 가해졌던 힘을 해제하면 문부재(40)와 텐트천(10) 사이에 연결된 제2 탄성부재(42)에 의해 문부재(40)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별도로 문부재(40)을 닫아주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
문부재(40)가 개방되면서 그 힘이 텐트 전체에 전달되더라도 텐트천(10)의 문부재 상부 위치에는 지지대(15)가 가로방향으로 고정되어 있어 텐트가 옆으로 쓰러지지 않고 그 형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문부재(40)의 일측 중간부를 옆으로 밀어주면 문부재(40)의 일측은 타측에 비해 폭이 넓게 구성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제3 탄성부재(43)가 끼워져 있으므로 문부재(40)의 상하부는 그대로 있고, 문부재(40)의 중간부만 약간 개방될 수 있어 조그만 물품을 텐트안으로 넣거나 텐트로부터 꺼내기 편리해지며, 문부재(40)의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 반대측 단부의 벨크로 파스너(45)를 떼어내면 문부재(40)를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측으로 완전 개방할 수 있어 큰 물품을 이동시키기에도 편리하다.
모든 물품을 텐트 안으로 이동시킨 후에는 문부재(40) 양측 단부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45)를 텐트천(10)의 대응위치에 부착된 벨크로 파스너(45)에 부착시켜 방풍 및 보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차양연장부(80)의 잠금부(83)를 눌러주면 연장관부의 외관(81)으로부터 내관(82)이 튀어나오게 되며, 각 내관(82)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31)의 양단부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므로 낚시대 받침부(30)가 앞쪽으로 내려옴으로써 차양부위를 앞쪽으로 연장해줄 수 있다.
이후, 텐트의 안쪽에 앉아 낚시대를 펼쳐놓고 낚시를 즐기면 되는데, 텐트 안쪽에 대기하고 있다가 입질이 오거나 미끼를 끼우기 위해 낚시대를 들어올리게 되면 낚시대의 중간 부위가 타양연장부(80)를 통해 앞쪽으로 더 내려온 낚시대 받침부(30)에 받쳐지고, 낚시대 받침부(30)의 폭이 타부위보다 넓으므로 낚시대가 뒤쪽으로 약간 넘어간 상태로 제1 탄성부재(31)의 탄성에 의해 받쳐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낚시대를 세운 상태로 물고기로부터 낚시바늘을 빼내거나 미끼를 달아 캐스팅하면 된다.
또한, 통풍을 위해 창문을 열 때에도 창문부재(50)를 일측방으로 밀어주기만 하면 개방되고, 또 반대측으로 당겨주면 닫히게 되므로 창문을 여닫기도 편리하다.
이러한 텐트는 기본적으로 텐트 프레임(20) 하단부측이 모두 연결되어 있음이 바람직하며, 그렇지 않고 텐트천(10)이 텐트 프레임(20) 하단부측에서 연결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텐트 프레임(20)이 사방으로 벌어질 수 있으므로 텐트를 설치하기 매우 어려운바, 이럴 경우에는 외측단부에 각각 고정고리(71)가 형성된 "X"자 형상의 고정끈(72)을 이용하여 각 텐트 프레임(20)의 하단부 고정핀(21) 부위를 고정고리(71)에 끼우면 텐트 프레임(20)이 돔 형태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낚시용 좌대 위에 안치시키면 되는 것이다.
10 : 텐트천 11,12 : 출입구
13 : 창문용 통풍구 14,71 : 고정고리
15 : 지지대 20 : 텐트 프레임
21 : 고정핀 30 : 낚시대 받침부
31 : 제1 탄성부재 40 : 문부재
41,51 : 가이드줄 42 : 제2 탄성부재
43 : 제3 탄성부재 44 : 고리
45 : 벨크로 파스너 50 : 창문부재
52 : 덮개천 60 : 고정편
61 : 고정링 62 : 제5 탄성부재
63 : 당김천 72 : 고정끈
80 : 차양연장부 81 : 외관
82 : 내관 83 : 잠금부
84 : 제4 탄성부재

Claims (10)

  1. 전위와 후위에 출입구가 각각 형성되고, 양측에는 창문용 통풍구가 각각 형성된 텐트천;
    상기 텐트천을 지지해주는 텐트 프레임;
    하부측이 인접한 다른 부위보다 넓은 폭으로 구성되면서 하단부에 가로방향으로 제1 탄성부재가 개재된 상태로 상기 텐트천의 전위측 출입구 상단에 위치된 낚시대 받침부;
    상기 텐트천 양측부의 창문용 통풍구를 덮어줄 수 있는 면적으로 구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창문용 통풍구 위쪽에 고정된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져 위치되는 창문부재; 및
    상단부와 하단부는 상기 텐트천의 후위측 출입구 상부와 하부에 고정된 각 가이드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각각 끼워지고, 상기 텐트천과 일측단부의 사이에는 제2 탄성부재가 연결되어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탄성부재에 의해 자동으로 복귀되도록 구성된 문부재를 포함하여서 된 낚시좌대 전용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받침부의 제1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부재의 제2 탄성부재 연결부위측은 반대측에 비해 폭이 넓게 구성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제3 탄성부재가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문부재의 제2 탄성부재는 고무줄, 코일스프링, 또는 탄성 롤테이프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문부재의 제3 탄성부재는 고무줄 또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대 받침부의 양측에는, 2중관식으로 구성되어 길이조절가능하게 출몰되는 연장관부와, 상기 연장관부의 외관과 내관 접촉부위에 형성된 잠금부와, 상기 연장관부의 외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내관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제4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차양연장부가 각각 구비되며, 상기 각 내관의 사이에 상기 제1 탄성부재의 양단부가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부재 또는 상기 문부재의 가이드줄 연결부위는 내부에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겹쳐 박음질되어 그 공간에 상기 가이드줄을 수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문부재 또는 상기 문부재의 가이드줄 연결부위는 상기 가이드줄에 끼워지는 다수의 고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천의 문부재 상부 위치에는 상기 문부재의 이동시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로방향으로 지지대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프레임의 하부에는 고정핀이 형성되고, 상기 텐트천의 각 모서리부위에는 상기 고정핀이 고정되는 고정편이 연결되며, 상기 고정핀이 낚시용 좌대에 끼워져 그 하부로 인출될 때 상기 낚시용 좌대의 하부로 인출된 고정핀 부위에 끼워져 상기 텐트 프레임을 상기 낚시용 좌대에 고정해주기 위한 고정링이 상기 고정편에 제5 탄성부재를 통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텐트 프레임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외측단부에 각각 고정고리가 형성된 "X"자 형상의 고정끈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좌대 전용 텐트.
KR1020110106307A 2011-10-18 2011-10-18 낚시좌대 전용 텐트 KR10127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07A KR101277160B1 (ko) 2011-10-18 2011-10-18 낚시좌대 전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07A KR101277160B1 (ko) 2011-10-18 2011-10-18 낚시좌대 전용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65A KR20130042165A (ko) 2013-04-26
KR101277160B1 true KR101277160B1 (ko) 2013-06-20

Family

ID=48440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307A KR101277160B1 (ko) 2011-10-18 2011-10-18 낚시좌대 전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1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84A1 (en) * 2017-08-08 2019-02-14 Dongah Aluminum Corporation TENTS
KR200490302Y1 (ko) 2019-04-29 2019-10-24 손민우 낚시텐트용 절첩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981Y1 (ko) * 2016-12-15 2017-11-15 이규중 낚시보트 텐트용 프레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6Y1 (ko) * 2000-05-19 2000-12-01 이규중 낚시보트용 텐트
KR200386358Y1 (ko) * 2005-03-29 2005-06-13 조형곤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20070033404A (ko) * 2007-03-06 2007-03-26 김상희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KR101168239B1 (ko) * 2010-11-12 2012-07-30 김기훈 낚시텐트의 플라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956Y1 (ko) * 2000-05-19 2000-12-01 이규중 낚시보트용 텐트
KR200386358Y1 (ko) * 2005-03-29 2005-06-13 조형곤 차양막을 구비한 텐트
KR20070033404A (ko) * 2007-03-06 2007-03-26 김상희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KR101168239B1 (ko) * 2010-11-12 2012-07-30 김기훈 낚시텐트의 플라이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31784A1 (en) * 2017-08-08 2019-02-14 Dongah Aluminum Corporation TENTS
KR20190016244A (ko) * 2017-08-08 2019-02-18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
KR102003933B1 (ko) * 2017-08-08 2019-07-26 동아알루미늄 주식회사 텐트
JP2020525679A (ja) * 2017-08-08 2020-08-27 ドングァ アルミニウム コーポレーションDongah Aluminum Corporation テント
US10982463B2 (en) 2017-08-08 2021-04-20 Dongah Aluminum Corporation Tents
JP7062218B2 (ja) 2017-08-08 2022-05-06 ドングァ アルミニウム コーポレーション テント
KR200490302Y1 (ko) 2019-04-29 2019-10-24 손민우 낚시텐트용 절첩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2165A (ko) 2013-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7101B1 (en) Chair shelter
US8161991B2 (en) Multipurpose camping hammock
US20090007947A1 (en) Portable weather shielding canopy
US20090039685A1 (en) Chair shelter
US6715446B2 (en) Pet tent
US7673642B1 (en) Single pole freestanding shelter
US4686720A (en) Covered hammock
CA2572222A1 (en) Rain protection device including umbrella, curtain, stand, and carrying case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US20150021453A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KR101277160B1 (ko) 낚시좌대 전용 텐트
CA2974305A1 (en) Portable bed with attachable tent
JP2011115144A (ja) 折畳式ペット用テント
KR20180001683U (ko) 모기장 텐트 및 모기장 텐트가 구비된 절첩식 침대
KR20090001576U (ko) 차량루프 설치용 텐트
KR20130048914A (ko) 낚시용 의자 붙이식 낚시도구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KR20140096884A (ko) 접철장치를 갖춘 낚시 의자용 가리개
KR20200062694A (ko) 텐트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20070104313A (ko) 파라솔 일체형 텐트
KR101371967B1 (ko) 레저용 파라솔 모기장
KR200317380Y1 (ko) 의자가 구비된 낚시용 텐트
KR200210598Y1 (ko) 파라솔을 이용한 그늘막 겸용 텐트
TWI638623B (zh) 多功能帳篷水箱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