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3404A -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 Google Patents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3404A
KR20070033404A KR1020070022069A KR20070022069A KR20070033404A KR 20070033404 A KR20070033404 A KR 20070033404A KR 1020070022069 A KR1020070022069 A KR 1020070022069A KR 20070022069 A KR20070022069 A KR 20070022069A KR 20070033404 A KR20070033404 A KR 20070033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cloth
fishing
upper support
z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김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희 filed Critical 김상희
Priority to KR1020070022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3404A/ko
Publication of KR20070033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3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1Hunting, fishing hu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8Umbrella type 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6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바닥천을 분리하거나 일측으로 말아 낚시용 텐트로 사용함은 물론 바닥천을 결합하여 취침용 텐트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는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폴, 상부 지지폴 각각의 하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폴 및 상부 지지폴과 하부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이 구비된 텐트에 있어서, 텐트천의 양측을 구성하는 측부천 양측 하단과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천의 양측은 지퍼를 통해 연결되어 지퍼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통해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텐트, 낚시용 텐트, 낚시, 여가선용

Description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A fish hook tent having bottom seperate type structure}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1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2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도 4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3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9 는 도 7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14b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해체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해체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낚시용 텐트 110. 상부 지지폴
120. 하부 지지폴 130. 텐트천
132. 상부 텐트천 134. 바닥 텐트천
136. 고리부재 140. 힌지결합부재
150. 지지관 160. 탄성스프링
162. 스토퍼 170. 연결링크
180. 연동결합부재 190. 지퍼
본 발명은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를 통해 연결하여 낚시용 텐트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바닥천을 분리하거나 일측으로 말아 놓을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취침을 하는 경우에는 바닥천을 결합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제의 발전에 의한 개인소득, 여가선용에 대한 욕구,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시설의 확충 및 주 5일제 근무에 따라 여가를 활용할 수 있는 시간이 증대되면서 여가선용 인구가 확산되고 있다. 한편, 여가를 즐기기 위한 방안으로 각 종 대중문화와 오락 및 스포츠를 통한 연가선용, 강이나 바다 혹은 산 등에서 즐길 수 있는 각 종 레포츠 활동 및 낚시 등을 통해 여가를 선용하고 있다. 특히, 캠핑은 가장 보편화된 여가선용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캠핑에는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하는 장비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텐트는 캠핑시 가장 먼저 챙겨야 하는 품목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텐트는 펼쳐진 상태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햇볕, 비, 바람 등을 막아주는 텐트천과 텐트천을 소정의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폴로 구성되고, 이때 지지폴은 휴대 및 보관이 간편하도록 분해 조립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트의 지지폴은 사각이나 원형 등의 단면 형상을 가진 봉을 일정한 길이로 분할 제조하여 상호 대응하는 일단부에 연결구를 형성하여 지지폴의 끝단을 끼워 맞추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텐트는 대체적으로 지지폴을 통해 텐트천을 걸어 일정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수동식 구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전술한 수동식 텐트의 설치와 해체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의 텐트이다. 이처럼 수동식 텐트의 설치와 해체에 따른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의 텐트는 지지폴의 상부측에 자동우산과 같이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펼칠 수 있는 구조를 설치하여 텐트의 설치와 해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의 텐트는 자동으로 펼쳐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매우 유용하나 바닥천이 텐트천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낚시와 같이 신발을 신고 텐트 내부를 드나드는 경우에 있어서는 바닥천이 있는 텐트는 낚시용으로는 효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의 텐트는 통상 가격대가 고가이기 때문에 신발을 신고 텐트 내부를 드나드는 단순하고 저렴한 구조의 낚시용으로는 개발되지 않기 때문에 아직도 낚시용 텐트는 지지폴을 통해 텐트천을 걸어 일정 모양으로 펼쳐지도록 하는 수동식 구조가 그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동 우산식 프레임 구조의 텐트는 대체적으로 취침을 위한 구조이기 때문에 낚시용 텐트로 겸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텐트는 낚시인에게 있어서도 매우 유용하여 낚시를 하는데 알맞은 구조의 낚시용 텐트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낚시용 텐트 역시 펼쳐진 상태로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여 햇볕, 비, 바람 등을 막아주는 텐트천과 텐트천을 소정의 형상으로 지지하는 지지폴로 이루어지는 것은 일반 캠핑용 텐트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나 낚시용 텐트의 특징은 대체적으로 텐트천의 바닥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낚시용 텐트는 통상 낚시를 하는 사람이 햇빛이나 바람 및 비를 피하여 텐트 내부에서 낚시대를 드리우고 있기 때문에 낚시바늘에 미끼를 매달거나 낚시바늘을 물속에 던져 넣거나 또는 낚시바늘에 걸린 물고기를 빼거나 하는 등의 많은 동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항시 신발을 신고 있기 때문에 낚시용 텐트에는 통상 바닥이 없는 텐트천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바닥이 없는 낚시용 텐트는 취침을 위해서는 별도의 바닥재를 텐트의 내부에 깔아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가 있다. 즉, 낚시용 텐트는 취침용과 낚시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캠핑을 위한 텐트로는 대체적으로 취침을 위한 텐트를 구입하는 경우이지 낚시용 텐트를 구입하지는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바닥천을 분리하거나 일측으로 말아 낚시용 텐트로 사용함은 물론 바닥천을 결합하여 취침용 텐트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로 연결하여 바닥천의 분리와 결합을 통해 낚시용 텐트와 취침용 텐트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텐트로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텐트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는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폴, 상부 지지폴 각각의 하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폴 및 상부 지지폴과 하부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이 구비된 낚시용 텐트에 있어서, 텐트천의 양측을 구성하는 측부천 양측 하단과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천의 양측은 지퍼를 통해 연결되어 지퍼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통해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기술에서 낚시용 텐트의 상부구조는 일정 간격의 방사상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힌지결합부 상에 상부 지지폴의 일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 다수의 상부 지지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부 지지폴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선단부 내측을 통해 힌지결합부재의 힌지결합부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는 지지관; 지지관이 설치된 각각의 상부 지지폴 외주면 상에 스토퍼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어 지지관을 상시 힌지결합부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 상부 지지폴 각각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연결링크에 대응하는 방사상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연결링크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되 텐트의 설치 및 해체시 상부 지지폴 전체가 연동되록 하는 연동결합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더하여 낚시용 텐트의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 내측면에는 바닥천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가 더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성에서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는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까지 형성되어 바닥천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 중 일측의 지퍼는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고, 타측의 지퍼는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를 경유하여 일측 지퍼의 후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바닥천을 낚시용 텐트 내부의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에서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는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어 바닥천을 텐트의 내측 후방으로 말아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1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2 는 도 1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3 은 도 1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의 바닥구조는 텐트천(130)의 양측을 구성하는 측부천(132) 양측 하단과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천(134)의 양측은 지퍼(190)를 통해 연결되어 지퍼(190)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통해 바닥천(134)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전술한 도 1 내지 도 3 의 도면은 바닥천(134)을 텐트천(130)의 바닥으로부터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 구조를 보인 것으로, 바닥천(134)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190)는 텐트천(130) 하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까지 형성되어 바닥천(134)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낚시용 텐트(100)에는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132) 내측면 상에 분리된 바닥천(134)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20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관주머니(200)는 분리된 바닥천(134) 뿐만 아니라 캠핑 용품이나 기타의 물품을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어 여러모로 유용하다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천(130) 하부의 선단으로부터 후단에까지 형성된 지퍼(190)를 완전히 잠금해제시키게 되면 바닥천(134)은 텐트천(130)의 하부로부터 완전히 분리되고, 분리된 텐트천(134)은 접어 그 부피를 작게 한 상태에서 낚시용 텐트(100)의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132) 내측면 상에 구성된 보관주머 니(200)에 넣어 둘 수가 있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2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5 는 도 4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6 은 도 4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도 6 에 따른 실시 예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190)를 잠금해제시켰을 경우 바닥천(134)의 후반부 모서리 중 일측 모서리만이 텐트천(130)의 바닥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도 4 내지 도 6 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에서 바닥천(134)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190) 중 일측의 지퍼(190)는 텐트천(130)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고, 타측의 지퍼(190)는 텐트천(130)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를 경유하여 일측 지퍼(190)의 후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퍼(190)를 잠금해제시키게 되면 바닥천(134)은 후반부 모서리 중 일측모서리 부분이 텐트천(130) 바닥의 내측 후반부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그 나머지가 분리된다. 따라서, 도 4 내지 도 6 에 도시된 제 2 실시 예의 텐트천(130) 구조는 지퍼(190)를 모두 분리하였을 경우 바닥천(134) 후반부 모서리 중 일측모서리 부분이 텐트천(130)에 연결된 형태이다.
한편, 도 4 내지 도 6 에 따른 제 2 실시 예의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에도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132) 내측면 상에는 분리된 바닥천(134)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200)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천(130)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132) 내측면 상에 보관주머니(200)를 구성함으로써 후반부 모서리 중 일측모서리 부분이 텐트천(130)에 연결된 바닥천(134)을 접거나 말아 보관주머니(200) 집어넣음으로써 낚시용 텐트(100) 내부를 말끔하게 정리할 수 있다. 또한, 보관주머니(200)는 분리된 바닥천(134) 뿐만 아니라 캠핑 용품이나 기타의 물품을 집어넣어 보관할 수 있어 여러모로 유용하다 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텐트의 바닥구조를 보인 제 3 실시 예의 사시 구성도, 도 8 은 도 7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보인 평면도, 도 9 는 도 7 에 따른 텐트의 바닥을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 구성도이다.
도 7 내지 도 9 에 따른 실시 예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보인 것으로,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퍼(190)를 잠금해제시켰을 경우 바닥천(134)의 후반부는 텐트천(130)의 바닥 후반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즉, 도 7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3 실시 예의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100)에서 바닥천(134)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지퍼(190)는 텐트천(134)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어 바닥천(134)을 낚시용 텐트(100)의 내측 후방으로 말아 놓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텐트천(130)의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천(134)을 지퍼(190)를 통해 연결하여 지퍼(190)를 잠금 및 잠금해제시킬 수 있도록 텐트천(130)의 바닥을 구성함으로써 바닥천(134)을 분리하거나 연결하여 낚시용이나 취침용으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분리하여 보인 분리 사시도,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프레임 구조를 보인 결합 사시도, 도 14a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설치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14b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해체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 도 15 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의 해체시 프레임 구조의 작용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100)의 상부구조는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폴(110), 상부 지지폴(110) 각각의 하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폴(120),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130), 방사상에 힌지결합부(142)가 형성되어 힌지결합부(142) 상에 상부 지지폴(110)의 일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140), 다수의 상부 지지폴(11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선단부 내측을 통해 힌지결합부재(140)의 힌지결합부(142)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는 지지관(150), 지지관(150)이 설치된 각각의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스토퍼(162)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어 지지관(150)을 상시 힌지결합부(142)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160), 상부 지지폴(110) 각각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 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170) 및 연결링크(170)에 대응하는 방사상에 힌지결합부(182)가 형성되어 연결링크(17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되 텐트(100)의 설치 및 해체시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연동되록 하는 연동결합부재(18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100)는 도 10 및 도 11 에서와 같이 텐트(100)를 설치하여 지지관(150)이 힌지결합부재(140)의 힌지결합부(142) 각각을 수용함으로써 상부 지지폴(110)의 펼쳐진 상태가 고정 유지된 상태에서 텐트(100)의 해체는 도 14a 및 도 14b 에서와 같이 지지관(150)을 하부로 이동시켜 힌지결합부(142)를 지지관(150)으로부터 분리시킨 상태에서 힌지결합부재(140)에 대하여 상부 지지폴(110)을 하부로 일정범위 회전시키면 상부 지지폴(110) 각각에 힌지 결합된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에 의해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연동되면서 도 6 에서와 같이 접히게 되어 텐트(100)의 해체가 이루어진다. 이때,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상부 지지폴(110)과는 반대의 방향인 하부로 접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100)의 구성에서 지지관(150)과 탄성스프링(160)은 본 발명에 따른 텐트(100)의 설치시 방사상으로 펼쳐진 상태의 상부 지지폴(110)을 유지하거나 텐트(100)의 해체시 상부 지지폴(110)의 유지력을 해제하기 위한 것임을 알 수 있고,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텐트(100)의 설치 및 해체시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펼져치거나 접힐 수 있도록 연동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텐트(100)의 상부구조를 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힌지결합부재(140)는 상부 지지폴(110)을 방사상으로 연결하여 상하로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힌지결합부재(140)는 도 10 내지 도 1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의 방사상 외주연에 상부 지지폴(110)의 선단부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결합부(142)가 다수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후술하는 지지관(150)에 수용되는 힌지결합부재(140)의 힌지결합부(142)는 지지관(150)의 선단부측 내경에 수용될 수 있도록 지지관(150)의 선단부측 내경에 관계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 돌출되어진다.
지지관(150)은 텐트(100)의 설치 및 해체시 힌지결합부재(140)의 힌지결합부(142)를 수용 및 수용해제함으로써 상부 지지폴(110)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힐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 지지관(150)은 도 14a, 도 14b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상부 지지폴(110)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선단부 내측을 통해 힌지결합부재(140)의 힌지결합부(142)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게 된다. 이때, 지지관(15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탄성스프링(160)의 탄성 가압력이 발생되도록 격벽(152)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관(150)은 격벽(152)이 관통되도록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하단부의 내측으로는 후술하는 탄성스프링(160)을 수용하고, 선단부 내측을 통해서는 힌지결합부재(10)의 힌 지결합부(142)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관(150)의 텐트(100) 설치시 작용은 도 14a 에서와 같이 그 후단부측 내경에 수용된 탄성스프링(160)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힌지결합부(142)측으로 이동되어 그 선단부측의 내경을 통해 힌지결합부(142)를 수용함으로써 상부 지지폴(110)이 상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즉, 상부 지지폴(110)의 펼쳐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관(150)의 상단부 내경에 힌지결합부(142)가 수용되어 상부 지지폴(110)이 상하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계속 유지하는 것은 지지관(150)이 적어도 상부 지지폴(110)의 두 개 이상에 설치되는 이유와 후술하는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의 작용이 있기 때문이다. 즉, 지지관(150)의 상단부 내경에 힌지결합부(142)가 수용되어 상부 지지폴(110)이 상하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후술하는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에 의해 전체의 상부 지지폴(110)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부 지지폴(110)은 상하로 회전되지 않게 된다.
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지관(150)의 텐트(100) 해체시 작용은 도 14b 에서와 같이 탄성스프링(160)의 탄성 가압력을 극복하는 힘으로 지지관(150)을 하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지지관(150)으로부터 힌지결합부(142)가 분리되어 상부 지지폴(110)을 하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처럼 지지관(150)을 하향으로 이동시켜 지지관(150)으로부터 힌지결합부(142)가 분리되도록 한 후, 상부 지지폴(110)을 하향으로 회전시켜 접게 되면 후술하는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 재(180)에 의한 연동작동에 의해 상부 지지폴(110) 전체는 도 15 에서와 같이 완전히 접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에 의한 연동작동에 의해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도 15 에서와 같이 완전히 접히게 되면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상부 지지폴(110)과는 반대의 방향인 하부측으로 접혀지게 된다.
탄성스프링(160)은 지지관(150)에 탄성 가압력을 가하여 텐트(100)의 설치시 지지관(150)의 상단부 내경에 수용된 힌지결합부(142)와의 결합이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상부 지지폴(11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이 탄성스프링(160)은 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관(150)이 설치된 각각의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스토퍼(162)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어 지지관(150)의 하단부측 내경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탄성스프링(160)은 지지관(150)을 상시 힌지결합부(142)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방향으로 그 힘이 작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탄성스프링(150)은 상부 지지폴(110) 외주면 상에 스토퍼(162)에 의해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관(150)의 하단부측 내경에 수용되어 스토퍼(162)와 지지관(150)의 격벽(152) 및 힌지결합부재(140)에 의해 압축되어 상기 본원력이 작용되도록 구성된다.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후술하는 연동결합부재(180)와의 작용을 통해 텐트(100)의 설치 및 해체시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연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연결링크(170)는 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폴(110) 각각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고, 연동결합부재(180)는 도 12 내지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링크(170)에 대응하는 방사상에 힌지결합부(182)가 형성되어 연결링크(170)의 타단이 힌지 결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상부 지지폴(110)의 하부에 일정범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텐트(100)의 설치 및 해체시 상부 지지폴(110) 전체가 연동되록 한다. 이때, 텐트(100)의 해체시 연결링크(170)와 연동결합부재(180)는 도 1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부재(140)와 상부 지지폴(110)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접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연동결합부재(180)의 하부 중심에는 고리홈(184)이 형성되어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이 이루는 골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되는 텐트천(130)의 최상단 중심에 구비된 고리부재(136)를 걸어 텐트(100)를 설치했을 경우 텐트천(130)의 중심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서 텐트천(130)은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에 대응하는 라인 상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고리부재(136)를 통해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 각각에 걸림 유지되어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이 이루는 골조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된다.
한편, 텐트천(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이 이루는 골조 프레임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이 이루는 골조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 다. 다만, 텐트천(130)이 상부 지지폴(110)과 하부 지지폴(120)이 이루는 골조 프레임의 외부에 설치되면 지지관(150)의 작동이 불편하다는 것은 감수하여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바닥천을 분리하거나 일측으로 말아 낚시용 텐트로 사용함은 물론 바닥천을 결합하여 취침용 텐트로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기술은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의 바닥천을 지퍼로 연결하여 바닥천의 분리와 결합을 통해 낚시용 텐트와 취침용 텐트로 겸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텐트로 두 가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있음은 물론, 텐트의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6)

  1.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상부 지지폴, 상기 상부 지지폴 각각의 하단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하부 지지폴 및 상기 상부 지지폴과 하부 지지폴 각각에 지지되는 텐트천이 구비된 텐트에 있어서,
    상기 텐트천의 양측을 구성하는 측부천 양측 하단과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천의 양측은 지퍼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지퍼의 잠금과 잠금해제를 통해 상기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텐트의 상부구조는 일정 간격의 방사상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결합부 상에 상기 상부 지지폴의 일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결합부재;
    상기 다수의 상부 지지폴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상부 지지폴 외주면 상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지되 선단부 내측을 통해 상기 힌지결합부재의 힌지결합부를 수용 및 수용해제하는 지지관;
    상기 지지관이 설치된 각각의 상부 지지폴 외주면 상에 스토퍼에 의해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지지관을 상시 힌지결합부측으로 탄성 가압하는 탄성스프링;
    상기 상부 지지폴 각각의 일측에 상하로 일정 범위 회전 가능하게 일단이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연결링크에 대응하는 방사상에 힌지결합부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링크의 타단이 힌지 결합되어지되 상기 텐트의 설치 및 해체시 상기 상부 지지폴 전체가 연동되록 하는 연동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용 텐트의 내부 일측 모서리 부분의 측부천 내측면에는 상기 바닥천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보관주머니가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상기 지퍼는 상기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단에까지 형성되어 상기 바닥천을 완전히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상기 지퍼 중 일측의 지퍼는 상기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고, 타측의 지퍼는 상기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를 경유하여 상기 일측 지퍼의 후단에 인접한 위치까지 형성되어 상기 바닥천을 낚시용 텐트 내부의 일측 모서리 부분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천을 결합 및 분리시키기 위한 상기 지퍼는 상기 텐트천의 하부 선단으로부터 후반부의 일부까지만 형성되어 상기 바닥천을 낚시용 텐트의 내측 후방으로 말아 놓을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KR1020070022069A 2007-03-06 2007-03-06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KR20070033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69A KR20070033404A (ko) 2007-03-06 2007-03-06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069A KR20070033404A (ko) 2007-03-06 2007-03-06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3404A true KR20070033404A (ko) 2007-03-26

Family

ID=49290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069A KR20070033404A (ko) 2007-03-06 2007-03-06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340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160B1 (ko) * 2011-10-18 2013-06-20 김찬양 낚시좌대 전용 텐트
CN104179387A (zh) * 2013-02-25 2014-12-03 赵彦杰 可以从外上锁的帐篷
KR20150146378A (ko) * 2014-06-23 2015-12-31 서정우 파라솔 월
CN109667467A (zh) * 2018-03-19 2019-04-23 蔚孜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具有自锁式中心锁的可折叠帐篷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7160B1 (ko) * 2011-10-18 2013-06-20 김찬양 낚시좌대 전용 텐트
CN104179387A (zh) * 2013-02-25 2014-12-03 赵彦杰 可以从外上锁的帐篷
KR20150146378A (ko) * 2014-06-23 2015-12-31 서정우 파라솔 월
CN109667467A (zh) * 2018-03-19 2019-04-23 蔚孜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具有自锁式中心锁的可折叠帐篷
CN109667467B (zh) * 2018-03-19 2024-04-05 蔚孜电子商务(上海)有限公司 具有自锁式中心锁的可折叠帐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6740B1 (ko) 휴대용 의자
US9856673B2 (en) Tent
US8056573B2 (en) Freestanding collapsible shelter
US20020029795A1 (en) Collapsible structures
US20150021453A1 (en) Collapsible support structure
US5899571A (en) Beach towel, tote bag and beach umbrella system
KR20070033404A (ko) 바닥 분리형 구조를 갖는 낚시용 텐트
KR20070009501A (ko) 우산식 프레임 구조를 갖는 캐노피 텐트
KR101319574B1 (ko) 휴대용 낚시 좌대
KR101868133B1 (ko) 차량용 텐트 및 이를 갖춘 차량
KR100819420B1 (ko) 텐트가 부가된 접이식 평마루
KR101054392B1 (ko) 레저용 의자
KR101870014B1 (ko) 해먹 시스템
KR200483429Y1 (ko) 캠핑용 테이블
US20110061701A1 (en) Bed cover with an attachable tent
KR101281027B1 (ko) 프론트 캡이 구비된 낚시 텐트
KR200458127Y1 (ko) 접이식 빨래 건조대의 절첩구조
AU2007100994A4 (en) A camper
CN218522359U (zh) 支架水池
JP5779035B2 (ja) テント
US20230050862A1 (en) Modular and portable shelter with integrated hub
CN201691469U (zh) 折叠床架
KR101426910B1 (ko) 합성수지제 식품 건조 용기
CN205923568U (zh) 儿童鸡蛋椅
US11952792B2 (en) Portable beach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