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894Y1 - 모기장 - Google Patents

모기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894Y1
KR200259894Y1 KR2020010029416U KR20010029416U KR200259894Y1 KR 200259894 Y1 KR200259894 Y1 KR 200259894Y1 KR 2020010029416 U KR2020010029416 U KR 2020010029416U KR 20010029416 U KR20010029416 U KR 20010029416U KR 200259894 Y1 KR200259894 Y1 KR 200259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h
ring
band
ring portion
mosquito 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9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월춘
Original Assignee
최월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월춘 filed Critical 최월춘
Priority to KR2020010029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8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894Y1/ko

Links

Landscapes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에서 사용하기가 용이한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부에 밴드부를 갖는 개구부와, 그 하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고리부와, 확대된 하부 둘레의 외경 둘레 일정간격으로 고리부를 가지며 어느 일측의 상하 수직으로 부설되는 슬라이드화스너로 개폐되는 출입구를 갖는 상협 하광상의 원뿔 기둥형 망사체;
상기 망사체의 상부 구멍에 내삽되어 밴드부로 고정되게 한 상부 중앙에 고리와 하부 중앙에 고리를 각각 구비한 상부 덮개;
그 하부의 망사체 내경의 고리부에 끼워지는 중간 확장체;
상기 망사체의 하부 고리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망사체를 확장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팩; 및 지면에 고정되어 상부 덮개의 고리에 걸어지는 분할 절첩형 'ㄱ' 자형 지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모기장{MOSQUITO NET}
본 고안은 여름철에 모기나 각종 해충으로부터 사람이 해를 입는 것을 방호하기 위한 모기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가 간편하고, 야외에서도 사용하기가 용이하게 한 모기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기장은 하부가 트인 사각틀체상의 망으로 구성되어 상부를 끈을 이용하여 실내 등의 고정수단에 고정함으로써 설치하여 모기나 해충으로부터 사람을 보호하는 도구이다.
그러나 이러한 모기장은 실내에서 설치되는 것은 많이 알려져 있고, 또 유아용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절첩 우산식의 밥상 보와 같은 구조로써 구성된 것 등이 있다.
한편, 통상 텐트 등에도 부분적인 모기장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야외의 생활을 해충으로부터 보호를 받으며 생활을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텐트구조는 야영을 위한 것으로, 그 휴대와 설치가 간단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상과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이다. 즉 그 휴대가 간단하고, 나무나 벽 등의 지지시설이 없는 야외에서도 간단하게 지지 설치될 수 있는 모기장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물론 이 모기장은 실내나 나무 등이 있는 야외에서도 별도의 지지대 없이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목적은 상부에 밴드부를 갖는 개구부와, 그 하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고리부와, 확대된 하부 둘레의 외경 둘레 일정간격으로 고리부를 가지며 어느 일측의 상하 수직으로 부설되는 슬라이드화스너로 개폐되는 출입구를 갖는 상협 하광상의 원뿔 기둥형 망사체;
상기 망사체의 상부 구멍에 내삽되어 밴드부로 고정되게 한 상부 중앙에 고리와 하부 중앙에 고리를 각각 구비한 상부 덮개;
그 하부의 망사체 내경의 고리부에 끼워지는 중간 확장체;
상기 망사체의 하부 고리부를 이용하여 지면에 망사체를 확장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팩; 및
지면에 고정되어 상부 덮개의 고리에 걸어지는 분할 절첩형 'ㄱ' 자형 지주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 덮개는 일정 반경의 탄성띠를 비닐천이 감싼부와 막부로 구성되어 그 상하부로 고리를 각각 구비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확장체는 망사체가 설치될 때보다 실내 공간이 보다 확장되게 한 것으로 일정 반경의 원형 탄성띠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모기장을 사용상태로 한 사시도.(지주 도시안됨)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단면을 도시한 사용상태 정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탑부 사용상태 사시도 및 절첩상태 사시도.
도 4a 및 도 4b는 중간살의 사용상태 사시도 및 절첩상태 사시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의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부에 밴드부(11S)를 갖는 개구부(11)와, 그 하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고리부(12)와, 확대된 하부 둘레의 외경 둘레 일정간격으로 고리부(13)를 가지며 어느 일측의 상하 수직으로 부설되는 슬라이드화스너(14)로 개폐되는 출입구 (15)를 갖는 상협 하광상의 원뿔 기둥형 망사체(10);
상기 망사체(10)의 상부 개구부(11)에 내삽되어 밴드부(11S)로 고정되게 한 상부 중앙에 고리(21)와 하부 중앙에 고리(22)를 각각 구비한 상부 덮개(20);
그 하부의 망사체(10) 내경의 고리부(12)에 끼워지는 중간 확장체(30);
상기 망사체(10)의 하부 고리부(13)를 이용하여 지면에 망사체를 확장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팩(40); 및
지면에 고정되어 상부 덮개(20)의 고리(21)에 걸어지는 분할 절첩형 'ㄱ' 자형 지주(50)로 구성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상부 덮개(20)는 일정 반경의 탄성띠(23)를 비닐천이 감싼부(24)와 막부(25)로 구성되어 그 상하부로 고리(21,22)를 각각 구비해서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간 확장체(30)는 망사체(10)가 설치될 때 보다 실내 공간이 보다 확장되게 한 것으로 일정 반경의 원형 탄성띠(31)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상부 덮개(20)와 중간 확장체(30)가 원형 인 것으로 설명되고 도시되었으나, 이들을 사각 등으로 형성함에 따라 모기장이 각을 이루는 구성과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설치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덮개(20) 및 중간 확장체(30)는 그들의 자체 탄성에 의해 더 작은 반경으로 적어도 1회 이상 접어서 작게 하여 보관되다가, 모기장의 설치를 위해 펼쳐진다.
즉 상부 덮개(20)를 펼쳐서 망사체(10)의 상부 개구부(11)의 안쪽에 삽입한다.
그러면 이 상부 덮개의 감싼부(24) 내부의 탄성띠(23)가 확장된 직경만큼 밴드부(11S)가 벌어지면서 망사체(10)의 상부 크기를 확정한다. 이때 밴드부(11S)는 상부 덮개(20)를 그 외부로부터 조여서 홀딩한 상태이다. 따라서 도 2a의 1점 쇄선 상태에서 2점 쇄선상태로 망사체(10)가 1차 확장되고, 중간 확장체(30)를 망사체 (10)의 고리(12)에 끼우므로써 도 2a의 실선상태와 같이 망사체(10)가 확장된다. 이때 중간 확장체(30)의 탄성 띠(31)는 원형의 띠이어도 되고, 탄성 와이어이어도 된다. 물론 원형 띠 일때는 고리(12)가 개폐방되는 구조이어야 하고, 와이어 형태일 경우에는 고리(12)가 폐방된 형태이어도 된다.
이후 망사체(10)의 하부 고리(13)에 팩(40)을 이용하여 망사체를 확장하여 고정함으로써 나무 등이 없는 고수부지 등과 같은 들에서도 모기장을 칠 수가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지주(50)를 탄력있게 전개하여 그 단부를 상부 덮개(20)의 고리(21)에 걸어줌으로써 설치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하부의 고리(22)는 전등을 매다는 고리로 활용되고 슬라드화스너(14)는 출입구(15)로 사람이 드나들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본 고안의 설치에 있어서 상부 덜개(20)를 걸을 수 있는 지형 지물이 있는 경우에 'ㄱ' 자형 지주(50)는 필요 없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설치되는 본 고안은 그 설치 및 철거가 간단하고, 그 부피가 작아 가방 등에 넣어 휴대가 용이하며, 특히 주변에 지형 지물이 없는 들판에서의 모기장 설치는 물론 실내에서도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상부에 밴드부(11S)를 갖는 개구부(11)와, 그 하부의 내부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고리부(12)와, 확대된 하부 둘레의 외경 둘레 일정간격으로 고리부(13)를 가지며 어느 일측의 상하 수직으로 부설되는 슬라이드화스너(14)로 개폐되는 출입구 (15)를 갖는 상협 하광상의 원뿔 기둥형 망사체(10);
    상기 망사체(10)의 상부 개구부(11)에 내삽되어 밴드부(11S)로 고정되게 한 상부 중앙에 고리(21)와 하부 중앙에 고리(22)를 각각 구비한 상부 덮개(20);
    그 하부의 망사체(10) 내경의 고리부(12)에 끼워지는 중간 확장체(30);
    상기 망사체(10)의 하부 고리부(13)를 이용하여 지면에 망사체를 확장하여 고정시키는 다수의 팩(40); 및
    지면에 고정되어 상부 덮개(20)의 고리(21)에 걸어지는 분할 절첩형 'ㄱ' 자형 지주(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기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20)는 일정 반경의 탄성띠(23)를 비닐천이 감싼부(24)와 막부(25)로 구성되어 그 상하부로 고리(21,22)를 각각 구비해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모기장.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확장체(30)는 망사체(10)가 설치될 때보다 실내공간이 보다 확장되게 원형 탄성띠 또는 탄성와이어(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한 모기장.
KR2020010029416U 2001-09-24 2001-09-24 모기장 KR200259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16U KR200259894Y1 (ko) 2001-09-24 2001-09-24 모기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9416U KR200259894Y1 (ko) 2001-09-24 2001-09-24 모기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894Y1 true KR200259894Y1 (ko) 2002-01-09

Family

ID=73055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9416U KR200259894Y1 (ko) 2001-09-24 2001-09-24 모기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8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271B1 (ko) 2008-05-31 2011-01-14 오종찬 등걸이 및 그늘막이 구비된 폴대 모기장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271B1 (ko) 2008-05-31 2011-01-14 오종찬 등걸이 및 그늘막이 구비된 폴대 모기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5261A (en) Tent
US4947884A (en) Collapsible canopy with auto erect roof support structure
US5628338A (en) Collapsible blind
US20120006370A1 (en) Structure and Assembly for Forming an Open-Air Insect-Protected Enclosed Space
JP2005248698A (ja) インナーシェルフを有する窓付きテント
US3406698A (en) Modern teepee tent
US20070006908A1 (en) Umbrella curtain kit
US4129139A (en) Baby gazebo
KR200259894Y1 (ko) 모기장
US6328049B1 (en) Collapsible tent
KR200454810Y1 (ko) 모기장 해먹
KR101477276B1 (ko) 텐트
JP6566777B2 (ja) ロッジ型テント
CN109106264A (zh) 一种便携式户外厕所及其安装方法
KR101889830B1 (ko) 상부공간 활용을 개선한 원터치 텐트
KR101999192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야전침대용 캐노피
US20200018089A1 (en) Collapsible Changing Tent Assembly
KR200282197Y1 (ko) 다용도 모기장
KR200266624Y1 (ko) 휴대가 용이한 접철형 모기장
KR0114042Y1 (ko) 파라솔
KR102145224B1 (ko) 해먹용 모기장
KR102606182B1 (ko) 지붕 개폐형 캠핑용 텐트
KR20190021052A (ko) 다기능 텐트형 모기장
KR0131336Y1 (ko) 텐트용 푸라이
CA1175729A (en) Insect repellent canop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