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666A1 -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666A1
WO2022131666A1 PCT/KR2021/018582 KR2021018582W WO2022131666A1 WO 2022131666 A1 WO2022131666 A1 WO 2022131666A1 KR 2021018582 W KR2021018582 W KR 2021018582W WO 2022131666 A1 WO2022131666 A1 WO 202213166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ion exchange
polyfluorene
formula
composite membrane
exchange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5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무
첸난준
박종형
왕호현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8178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20088309A/ko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8/268,4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40100490A1/en
Priority to CN202180085796.3A priority patent/CN116636055A/zh
Publication of WO202213166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66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9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phase separation, sol-gel transition, evaporation or solvent quenching
    • B01D67/0011Casting solutions therefor
    • B01D67/00111Polymer pretreatment in the casting solu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7/00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 B01D67/0002Organic membrane manufacture
    • B01D67/0006Organic membrane manufacture by chemical rea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2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0Supported membranes; Membrane supports
    • B01D69/107Organic suppor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14Chemically bonded layers, e.g. 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12Composite membranes; Ultra-thin membranes
    • B01D69/125In situ manufacturing by polymerisation, polycondensation, cross-linking or chemical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30Polyalkenyl halides
    • B01D71/32Polyalkenyl halides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2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3/00Diaphragms; Spacing elements
    • C25B13/04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3/08Diaphragms; Spac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based on 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8Fuel 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s
    • H01M8/083Alkaline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3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halogenated, e.g. sulfonated polyvinylidene fluor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53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consisting of layers of polymers with at least one layer being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5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 H01M8/106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 porous support having no ion-conducting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porous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04Hydrophobiz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30Cross-lin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46Impreg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preparation
    • B01D2323/52Use of a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02Details relating to pores or porosity of the membranes
    • B01D2325/0283Pore size
    • B01D2325/02833Pore size more than 10 and up to 100 n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5/00Details relating to properties of membranes
    • B01D2325/24Mechanical properties, e.g.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ous polymer support; and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or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impregnated in the porous polymer support, and prepared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an alkali fuel cell, water electrolysis, carbon dioxide reduction, metal-air battery It relates to the technology applied to, etc.
  • PEMFC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 Nafion a perfluorocarbon-based proton exchange membrane, represented by Nafion
  • Nafion membrane has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and high ionic conductivity, while the price is very high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 so research that can replace Naf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aromatic hydrocarbon-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 alkaline membrane fuel cell us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operating in an alkaline environmen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can use inexpensive non-precious metals such as nickel and manganese as electrode catalysts instead of platinum. the current situation.
  • Polymers having an aryl ether main chain such as polyaryl ether sulfone, polyphenyl ether, and polyether ether ketone, have been mainly used as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application to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 an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using a hydrophobic crosslinking agent such as 1,5-dibromopentane, 1,6-dibromohexane, and 1,6-hexanediamine
  • the hydrophobic anion exchange membrane is an anion exchange fuel cell.
  • problems such as low ionic conductivity, limited flexibility, and low solubility for application.
  • conventional anion exchange membranes have limited chemical stability (less than 500 hours at 80 ° C, 1M NaOH solu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strength less than 30 Mpa).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durability.
  •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anion exchange membrane has poor dimensional stability due to high water uptake and swelling ratio.
  •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polymer solution is not easily impregnated into the porous support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so improvement is required.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21961
  • Patent Document 2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9/068051
  • Patent Document 3 Chines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CN 106784946
  • Patent Document 4 Chin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CN 10816472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ith significant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dur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ill do
  •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to alkaline fuel cells, water electrolysis,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metal-air batteries.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porous polymer support; and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impregnated in the porous polymer support or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a.
  • the porous polymer suppo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hexafluoropropylene and polyperfluoroalkyl vinyl ether.
  • the porous polymer support has a pore size of 0.01 to 0.5 ⁇ m and a porosity of 50 to 90%.
  • the porous polymer support is characterized by being fluorinated or hydrophilized.
  •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lyfluorene-based copolymer ionomer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1>.
  • A, B, C and D segments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copolymers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2> to ⁇ Formula 6>.
  • aryl-1 and aryl-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enyl, phenyl, biphenyl, terphenyl and quaterphenyl, at least one of which is is fluorenyl,
  • R H or CH 3 ,
  • x represe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 n an integer from 1 to 15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reparing a porous polymer support; (II)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represented by the ⁇ Formula 1> or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those represented by the ⁇ Formula 2> to ⁇ Formula 6> in a polyme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dding medium to obtain an ionomer solution; and (III) casting the ionomer solution on a porous polymer support, impregnating it, and dry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orous polymer support of step (I)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is fluorinated or hydrophilized.
  • the organic solvent of step (II) is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 the cosolvent in step (II) is characterized in that methanol, ethanol or isopropyl alcohol.
  • the cosolvent added in step (II)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2 to 25 wt% based on the polymer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n alkaline fuel cell compris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aline fuel cell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electrolysis device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the porous polymer support has significantly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dur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including the porous polymer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kaline fuel cells, water electrolysis devices, carbon dioxide reduction, metal-air batteries, and the like.
  • the degree of impregnation of the ionomer polymer solution is improved by surface treatment of the support and the use of a cosolvent, thereby enabling mass production as a high concentration product.
  • FIG. 1 is a real photograph of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Correction 05.01.2022 under Rule 91] 2 is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1, and a graph and images showing the transparency of a porous polyethylene support (thickness 20 ⁇ m) as a control [( a) UV-transmittance measurement result graph, (b) real photograph and (c)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 Example 3 i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2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1,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2, and a porous polyethylene support as a control; .
  •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graph showing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a porous polyethylene support as a control.
  • Example 6 is a graph show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3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7 is a graph showing the hydrogen permeability and water perme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a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anion exchange membrane (FAA-3-50) as a control.
  • Example 8 is a graph evaluating the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2 and 3;
  • Example 9 is a graph evaluating the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1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a porous polymer support and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impregnated in the porous polymer support or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comprising a.
  • the porous polymer suppor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tetrafluoroethylene, polyvinylidene fluoride, polyhexafluoropropylene and polyperfluoroalkyl vinyl ether, but is limited thereto not.
  • porous polymer support having a pore size of 0.01 to 0.5 ⁇ m and a porosity of 50 to 90% is more preferable because it can stably impregnate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or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ionomer solution. .
  • the porous polymer support is mostly hydrophobic, the affinity between the porous polymer support and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or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is improved, and the ionomer polymer solution is stably impregnated with an anion without defects.
  • the surface of the porous polymer support may be fluorinated or hydrophilized.
  • the porous polymer support is immersed in an ethanol solution, ultrasonically dispersed at -10°C to 25°C, and then the porous polymer support is taken out and dried at room temperature. Then, the dried porous polymer support is placed in a vacuum chamber and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purged with nitrogen gas to create an inert atmosphere. Thereafter, fluorine gas (500 ⁇ 15 ppm F 2 /N 2 at atmospheric pressure) was supplied to the vacuum chamber at a rate of 1 L/min, and the surface was directly fluorinated for 5 to 6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fluorinated porous polymer support. It can be obtained, and the residual fluorine gas is removed by using nitrogen gas with a scrubber filled with activated carbon.
  • fluorine gas 500 ⁇ 15 ppm F 2 /N 2 at atmospheric pressure
  • a hydrophilic alkyl alcohol having 1 to 3 carbon atoms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porous polymer support, or may be coated with a hydrophilic polymer such as dopamine or polyvinyl alcohol.
  •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may be a polyfluorene-based copolymer ionomer hav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1>.
  • A, B, C and D segments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compound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and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ready disclosed a novel polyfluorene-based copolymer in an earlier patent app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1810).
  • An ionomer,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have been disclosed,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ionomer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the manufacturing method is used.
  •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may be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copolymers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2> to ⁇ Formula 6>.
  • aryl-1 and aryl-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enyl, phenyl, biphenyl, terphenyl and quaterphenyl, at least one of which is is fluorenyl,
  • R H or CH 3 ,
  • x represe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 n an integer from 1 to 15
  • Polyfluorene-based copolymer such as poly(fluorene-co-terphenyl N-methylpiperidine) [PFTM] disclosed in the previous application patent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1810) is prepared by react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selected from those represented by the ⁇ Formula 2> to ⁇ Formula 6>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one was prepared by crosslinking with a compound having a crosslinking structure.
  • x represents a degree of crosslinking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a polyammonium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preferably 5 to 20% Bar, if the degree of crosslinking is less than 5%, the effect of increasing physical properties due to crosslinking is insignificant, and if the degree of crosslinking exceeds 20%, the crosslinking copolymer may not be completely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and thus the crosslinking reaction may not procee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preparing a porous polymer support; (II)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represented by the ⁇ Formula 1> or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those represented by the ⁇ Formula 2> to ⁇ Formula 6> in a polymer solution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dding medium to obtain an ionomer solution; and (III) casting the ionomer solution on a porous polymer support, impregnating it, and dry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orous polymer support in step (I) may have a surface treated with fluorination or hydrophilization, and the fluorination treatment or hydrophilization treatment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organic solvent in step (II) may be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and dimethylsulfoxide is preferably used.
  • the polyfluorene-based copolymer represented by the ⁇ Formula 1> or the ⁇ Formula 2> > to ⁇ Formula 6> to obtain an ionomer polymer solution by adding a cosolvent to a polymer solution in which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those represented by Formula 6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which is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key technical feature is that a composite membrane can be obtained by a simple method of casting a polymer solution on a porous polymer support, so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and it can be manufactured even with a high-concentration solution, so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ass-produce.
  • the interfacial tension with the porous polymer support was calculated by measuring the contact angles of various organic solvents. Accordingly, methanol, ethanol or isopropyl alcohol can be used as the co-solvent, and ethanol is more preferable. use it sparingly
  • the cosolvent added in step (II) is preferably 2 to 25% by weight relative to the polymer solution. If the content of the added cosolvent is less than 2% by weight relative to the polymer solution, the ionomer polymer solution is easily impregnated into the porous polymer support. It may not be possible, and if the content exceeds 25%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obtain a high-concentration polymer solu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n alkaline fuel cell compris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aline fuel cell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electrolysis device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 9,9'-dimethylfluorene (0.2914 g, 1.5 mmol) as a monomer
  • terphenyl (3.105 g, 13.5 mmol) as a comonomer
  • 1-methyl-4-piperidone (1.919 mL, 16.5 mmol, 1.1 eq) was added to a two-neck flask, and dichloromethane (13 mL) was added thereto to dissolve the monomers while stirring to form a solution.
  • a porous polyethylene support (W-PE) was prepared (purchased from W-Scope, 10 ⁇ m or 20 ⁇ m thick).
  • An ionomer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3.3 wt% of ethanol as a cosolvent to a 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10 wt% in which the PFTP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 the porous polyethylene support (which may have been fluorinated or hydrophilized according to the method described above) was fixed to a glass plate, the ionomer solution was impregnated on the support, and then spread evenly with a dropper. Thereafter, after drying in an oven at 80° C. for 24 hours, repeatedly drying at 80° C. in a vacuum oven for 24 hours to prepare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3.3% PFTP@W-P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onomer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10% by weight of ethanol to the polymer solution (10% PFTP@W-P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onomer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15% by weight of ethanol to the polymer solution (15% PFTP@W-P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onomer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20% by weight of ethanol to the polymer solution (20% PFTP@W-P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n ionomer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25% by weight of ethanol to the polymer solution (25% PFTP@W-PE).
  • the PFTP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to form a 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2 wt%. Then, the polymer solution was collected with a syringe, filtered through a 0.4 ⁇ m filter, and the transparent solution was cast on a 14 x 21 cm glass plate. The casting solution was dried in an oven at 85° C. for 24 hours to slowly remove the solvent, and then heated in a vacuum oven at 150° C. for 24 hours to completely remove the solvent, thereby preparing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PFTP single membran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process of adding ethanol as a cosolvent was not performed (PFTP@W-PE).
  • An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porous polymer support was purchased from S-(?) and used (PFTP@S-PE).
  • Test data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morphology, ion exchange performance, moisture content, expansion rate, ion conductivity and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It was measured and evaluat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1810.
  • FIG. 1 shows an actual photograph of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obtai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can be confirmed with the naked eye that a transparent and uniform membrane was prepared.
  •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1, and a porous polyethylene support (W-PE, thickness 20 ⁇ m) as a control are related to the transparency (transmittance) As shown in graphs and images [(a) UV-transmittance measurement result graph, (b) real photo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when ethanol is used as a cosolvent, transparency increases and the degree of impregnation is improved. can check that
  • Example 3 show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image of the surface and cross-section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3, it can be seen that the surface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niformly coated without cracks at the top and bottom. In addition, from the cross-sectional image, it can be confirmed repeatedly that the support is located in the middle and is uniformly coated with the same thickness above and below.
  • IEC ion exchange capac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 WU moisture content
  • SR expansion rate
  • ionic conductivity
  • TS tensile strength
  • EB elongation
  • T transparency
  • Figure 4 show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2 to 5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1,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porous polyethylene support as a control,
  • Example 5 shows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the porous polyethylene support as a control.
  • Example 2a 2.36 25 17 7 15 91/49 100%
  • Example 2b 2.35 20 16 5 32 121/53 ⁇ 84% Comparative Example 2 2.78 76 24 27 65 68/30 ⁇ 100%
  • a W-PE thickness 20 ⁇ m
  • b W-PE thickness 10 ⁇ m
  •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nsile strength of 1.7 times or more and an elongation of 2.5 times or more compared to a conventional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or a single membrane type anion exchange membrane.
  •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are exhibited, which can be interpreted as the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degree of impregnation by the addition of a cosolvent such as ethanol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composite membrane.
  • thermogravimetric analysis result of FIG. 5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rmally stable.
  • Example 6 shows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3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ared to the anion exchange membrane in the form of a single membrane, the moisture content is 1/3 or less, It can be seen that the expansion rate is reduced to 1/5 or less and shows very good dimensional stability.
  • FIG. 7 shows the hydrogen permeability and water permeability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and a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anion exchange membrane (FAA-3-50) as a control.
  • FFA-3-50 a conventionally commercialized anion exchange membrane
  •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is a platinum group metal catalyst electrode (Pt-Ru/C anode, Pt/C cathode) and 80°C, A/C 1.3/1.3 backpressure, H 2 -O 2 or It shows excellent performance and ideal curve even in H 2 -air (CO 2 free) atmosphere, and this result is also due to the smooth ion transfer as the degree of impregnation was greatly improved by the addition of a cosolvent such as ethanol during the composite membrane manufacturing process. interpreted as doing
  • FIG. 9 shows a graph evaluating the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result of maintaining the high voltage without voltage drop for about 130 hours or more, it can be seen that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urability.
  • the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ss-produced as a high-concentration product by greatly improving the degree of impregnation by the addition of a co-solvent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mechanical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durability and long-term stability, etc. are remarkably improved, alkali fuel It can be applied to batteries, water electrolysis devices, carbon dioxide reduction, metal-air batteries, and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위에 형성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 등이 현저히 향상된다.

Description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함침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고, 이를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비교적 높은 전류밀도를 갖고 친환경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나피온으로 대표되는 과불소화탄소 계열의 프로톤 교환막이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나피온막은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및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반면, 가격이 매우 높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방향족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등의 개발을 비롯하여 나피온을 대체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서 최근에는 알칼리 환경에서 구동하는 음이온교환막을 이용하는 알칼리막 연료전지(alkaline membrane fuel cell, AMFC)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알칼리막 연료전지는 백금 대신에 니켈, 망간 등 저가의 비귀금속을 전극촉매로 사용할 수 있고,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가격 경쟁력 또한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알칼리막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음이온교환막으로서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폴리페닐에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과 같은 아릴 에테르 주사슬을 갖는 고분자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1,5-디브로모펜탄, 1,6-디브로모헥산, 1,6-헥산디아민과 같은 소수성 가교제를 사용한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도 알려져 있으나, 소수성 음이온교환막은 음이온교환 연료전지로 시용하기에는 낮은 이온전도도, 제한된 유연성, 낮은 용해도 등의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음이온교환막은 화학적 안정성(80℃, 1M NaOH 용액에서 500시간 미만) 및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30 Mpa 미만)이 제한적이어서 연료전지에 적용하면 전력밀도(0.1~0.5 Wcm-2)가 낮고 전지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 통상의 음이온교환막은 높은 수분 함유량(water uptake) 및 팽윤도(swelling ratio)로 인하여 치수안정성이 떨어지는바, 이러한 물성의 저하는 음이온교환막이 대부분 단일막 형태로 이루어진 것에서 비롯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경우에는 그 제조과정에서 다공성 지지체에 고분자 용액이 쉽게 함침되지 않는 단점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 등은, 열적*?*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방향족 고분자 이온교환막의 응용분야를 확대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된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음이온교환막을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위에 형성하여 복합막의 형태로 제조하면,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 등이 크게 향상되어 상용화를 기대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961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9/068051
특허문헌 3 중국등록특허공보 CN 106784946
특허문헌 4 중국등록특허공보 CN 1081647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 등이 현저히 향상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에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함침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한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폴리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기공크기가 0.01~0.5㎛, 기공률이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불소화 처리 또는 친수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C 및 D 세그먼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2
(R=H 또는 CH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4
(R=H 또는 CH3)
적어도 하나는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5
(R=H 또는 CH3)이며,
x, y, z 및 m은 중합체 이오노머의 반복단위 내 몰비로서 x+y+z+m=1이다)
상기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6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7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8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09
<화학식 6>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0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1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또한, 본 발명은 (I)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에서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중합체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이오노머 용액을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위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I) 단계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표면을 불소화 처리 하거나 친수화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 단계의 공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 단계에서 첨가하는 공용매는 중합체 용액 대비 2~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 등이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장치,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지지체의 표면처리 및 공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이오노머 중합체 용액의 함침 정도를 개선하여 고농도 제품으로 양산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얻어진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실물 사진.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05.01.2022]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두께 20㎛)의 투명도(transmittance)를 나타낸 그래프 및 이미지[(a) UV-transmittance 측정결과 그래프, (b) 실물 사진 및 (c)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표면 및 단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5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의 열적 안정성을 나타낸 열중량분석(TGA) 그래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치수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및 대조군으로서 종래 상용화된 음이온교환막(FAA-3-50)의 수소투과도 및 수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2 및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함침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공한다.
먼저,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폴리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기공크기가 0.01~0.5㎛, 기공률이 50~90%인 것이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이오노머 용액을 안정적으로 함침시킬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대부분 소수성의 것들인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와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친화도를 향상시켜, 그 이오노머 중합체 용액을 안정적으로 함침함으로써 결함 없는 음이온교환막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의 표면이 불소화 처리 또는 친수화 처리된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소화 처리로서는 에탄올 용액에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담근 후 -10℃ 내지 25℃에서 초음파 분산시킨 다음,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꺼내어 상온에서 건조한다. 이어서, 상기 건조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진공 챔버에 넣고 챔버 내부를 질소가스로 퍼지하여 불활성 분위기를 조성한다. 그 후, 불소가스(대기압에서 500±15 ppm F2/N2)를 1L/min의 속도로 진공실에 공급, 및 상온에서 5분 내지 60분 동안 표면을 직접 불소화함으로써 불소화 처리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얻을 수 있으며, 활성탄으로 채워진 스크러버가 있는 질소가스를 이용하여 잔여 불소가스를 제거한다.
한편, 친수화 처리로서는 탄소수 1 내지 3의 친수성 알킬알코올을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표면에 도포하거나, 도파민이나 폴리비닐알코올 같은 친수성 고분자로 코팅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C 및 D 세그먼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3
(R=H 또는 CH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4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5
(R=H 또는 CH3)
적어도 하나는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6
(R=H 또는 CH3)이며,
x, y, z 및 m은 중합체 이오노머의 반복단위 내 몰비로서 x+y+z+m=1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와 관련하여서는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이 이미 선출원특허(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서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바 있고, 본 발명에서도 그 제조방법과 동일하게 얻어진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를 사용한다.
또한, 상기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7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8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19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0
<화학식 6>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1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2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상기 선출원특허(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 개시된 폴리(플루오렌-co-터페닐 N-메틸피페리딘)[PFTM]과 같은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화합물로 가교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가교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에서,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교제로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의 양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그 가교도는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한바, 가교도가 5% 미만이면 가교로 인한 물성 상승의 효과가 미미하고, 가교도가 20%를 초과하면 가교 공중합체가 유기용매에 완전히 용해되지 아니하여 가교반응이 진행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II)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에서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중합체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이오노머 용액을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위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I) 단계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표면을 불소화 처리 하거나 친수화 처리한 것일 수 있는바, 불소화 처리 또는 친수화 처리는 상술한 방법과 같다.
또한, 상기 (I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일 수 있고, 디메틸술폭시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는 달리 복합막의 제조과정에서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함침되는 이오노머 중합체 용액의 함침 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에서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중합체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하여 이오노머 중합체 용액을 얻으며,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 제조방법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이라 할 수 있는바,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위에 중합체 용액을 캐스팅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복합막을 얻을 수 있어, 제조공정이 간단하며 고농도 용액으로도 제조가 가능하여 양산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 공용매를 선정하는 과정에서는 다양한 유기용매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와의 계면장력을 계산하였는바, 이에 따라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을 공용매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에탄올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이때, 상기 (II) 단계에서 첨가하는 공용매는 중합체 용액 대비 2~2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바, 첨가하는 공용매의 함량이 중합체 용액 대비 2 중량% 미만이면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이오노머 중합체 용액이 쉽게 함침되지 못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이 25 중량%를 초과하면 고농도의 중합체 용액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의 제조(PFTP)
단량체로서 9,9‘-디메틸플루오렌(0.2914 g, 1.5 mmol), 공단량체로서 터페닐(3.105 g, 13.5 mmol), 및 1-메틸-4-피페리돈(1.919 mL, 16.5 mmol, 1.1 eq)을 2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디클로로메탄(13 mL)을 부가하여 교반하면서 단량체들을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용액의 온도를 1℃로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8 mL, ~1.5 eq)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12 mL, 9 eq)의 혼합물을 상기 용액에 서서히 부가, 교반 및 24시간 반응시켜 점성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점성 용액을 2M NaOH 용액에 침전,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 및 80℃ 오븐에서 건조하여 고체상의 폴리(플루오렌-co-터페닐 N-메틸피페리딘) 공중합체를 제조하였으며(수율 95% 초과), 이를 PFTM이라고 명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제조한 PFTM(4 g)을 80℃에서 디메틸술폭시드(40 mL) 및 공용매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은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 용액에 K2CO3(2.5 g) 및 아이오도메탄(2 mL, 3 eq)을 부가 및 48시간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중합체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침전, 여과,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 및 80℃진공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고체상의 폴리(플루오렌-co-터페닐 N, N-디메틸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를 제조하였으며(수율 90% 초과), 이를 PFTP라고 명명하였다.
[실시예 1]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W-PE)를 준비하였다(W-Scope사로부터 구입, 두께 10㎛ 또는 20㎛). 상기 제조예로부터 수득한 PFTP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킨 10중량 % 농도의 중합체 용액에 공용매로서 중합체 용액 대비 3.3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었다. 상기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상술한 방법에 따라 불소화 또는 친수화 처리한 것일 수도 있음)를 유리판에 고정하고, 그 지지체 위로 상기 이오노머 용액을 함침시킨 후 스포이트로 균일하게 퍼뜨렸다. 이후, 오븐에서 80℃로 24시간 동안 건조한 다음, 거듭 진공오븐에서 80℃로 24시간 건조하여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3.3% PFTP@W-PE).
[실시예 2]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중합체 용액 대비 10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10% PFTP@W-PE).
[실시예 3]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중합체 용액 대비 15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15% PFTP@W-PE).
[실시예 4]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중합체 용액 대비 20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20% PFTP@W-PE).
[실시예 5]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중합체 용액 대비 25 중량%의 에탄올을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25% PFTP@W-PE).
[비교예 1] 음이온교환막의 제조
상기 제조예로부터 수득한 PFTP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켜 3.2 중량% 농도의 고분자용액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분자용액을 시린지로 수집하여 0.4 ㎛ 필터로 여과하고, 투명한 용액을 14 x 21 cm 유리판에 캐스팅하였다. 상기 캐스팅 용액을 85℃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용매를 서서히 제거한 후, 15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다(PFTP 단일막).
[비교예 2]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공용매로서 에탄올을 첨가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PFTP@W-PE).
[비교예 3] 음이온교환 복합막(RCM)의 제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S-사(?)로부터 구입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제조하였다(PFTP@S-PE).
[시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복합막의 기계적 물성, 모폴로지, 이온교환성능, 함수율, 팽창률, 이온전도도 및 연료전지 성능 등의 시험 데이터는 본 발명의 발명자 등에 의한 선출원 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라 얻어진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실물 사진을 나타내었는바, 투명하고 균일한 막이 제조되었음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W-PE, 두께 20㎛)의 투명도(transmittance) 관련 그래프 및 이미지[(a) UV-transmittance 측정결과 그래프, (b) 실물 사진 및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내었는바, 에탄올을 공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투명도가 증가하며 함침 정도가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표면 및 단면을 촬영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그 표면이 위아래 균열 없이 균일하게 코팅되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그 단면 이미지로부터도 지지체가 중간에 위치하며 위아래 동일한 두께로 균일하게 코팅되었음을 거듭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표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교환능력(IEC), 80℃에서의 함수율(WU), 팽창률(SR), 30℃에서의 이온전도도(σ), 인장강도(TS) 및 연신율(EB), 투명도(T)의 측정 결과를,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5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의 기계적 물성을,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대조군으로서 다공성 폴리에틸렌 지지체의 열적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샘플 IEC
(mmolg-1)
WU(%) In plane SR
(%)
Through-place SR(%) σ TS(Mpa)/
EB(%)
T(%)
실시예 2a 2.36 25 17 7 15 91/49 100%
실시예 2b 2.35 20 16 5 32 121/53 ~84%
비교예 2 2.78 76 24 27 65 68/30 ~100%
a: W-PE 두께 20㎛, b: W-PE 두께 10㎛
상기 표 1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종래 통상의 음이온교환 복합막 또는 단일막 형태의 음이온교환막에 비하여 인장강도는 1.7배 이상, 연신율은 2.5배 이상 증가하여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는바, 이는 복합막 제조과정에서 에탄올과 같은 공용매 첨가에 의하여 함침 정도가 크게 개선된 효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열중량분석 결과로부터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음이온교환 복합막이 열적으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는바, 단일막 형태의 음이온교환막과 대비하여 함수율은 1/3 이하로, 팽창률은 1/5 이하로 감소하며 매우 우수한 치수안정성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 및 대조군으로서 종래 상용화된 음이온교환막(FAA-3-50)의 수소투과도 및 수투과도를 나타내었는바, 일반적인 연료전지 구동조건인 75~100% 상대습도(RH) 조건에서 매우 낮은 수소투과도를 보여 연료의 크로스오버 현상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비교예 2 및 3으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백금족 금속촉매 전극(Pt-Ru/C anode, Pt/C cathode) 및 80℃, A/C 1.3/1.3 backpressure, H2-O2 또는 H2-air(CO2 free) 분위기에서도 우수한 성능과 이상적인 곡선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 역시 복합막 제조과정에서 에탄올과 같은 공용매 첨가에 의하여 함침 정도가 크게 개선됨으로써 이온전달이 원활하게 진행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도 9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비교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평가한 그래프를 나타내었는바, 단일막 형태의 음이온교환막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약 130시간 이상 전압의 강하 없이 유지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내구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음이온교환 복합막은 그 제조과정에서 공용매 첨가에 의하여 함침 정도가 크게 개선됨으로써 고농도 제품으로 양산이 가능하며, 기계적 물성, 치수안정성, 내구성 및 장기안정성 등이 현저히 향상되어,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장치,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및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에 함침된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또는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폴리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및 폴리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기공크기가 0.01~0.5㎛, 기공률이 5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불소화 처리 또는 친수화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3
    (상기 화학식 1에서, A, B, C 및 D 세그먼트는 각각 독립적으로 하기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도 있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4
    (R=H 또는 CH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5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6
    (R=H 또는 CH3)
    적어도 하나는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7
    (R=H 또는 CH3)이며,
    x, y, z 및 m은 중합체 이오노머의 반복단위 내 몰비로서 x+y+z+m=1이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하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8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29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30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31
    <화학식 6>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32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2-appb-I000033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7. (I)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를 준비하는 단계;
    (II) 제5항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또는 제6항의 상기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6>으로 표시되는 것에서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중합체 용액에 공용매를 첨가하여 이오노머 용액을 얻는 단계; 및
    (III) 상기 이오노머 용액을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 위에 캐스팅하여 함침, 및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다공성 고분자 지지체는 표면을 불소화 처리 하거나 친수화 처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공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에서 첨가하는 공용매는 중합체 용액 대비 2~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의 제조방법.
  12.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13.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14.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
PCT/KR2021/018582 2020-12-18 2021-12-09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166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268,454 US20240100490A1 (en) 2020-12-18 2021-12-09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202180085796.3A CN116636055A (zh) 2020-12-18 2021-12-09 基于聚芴的阴离子交换复合膜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395 2020-12-18
KR20200178395 2020-12-18
KR10-2021-0168178 2021-11-30
KR1020210168178A KR20220088309A (ko) 2020-12-18 2021-11-30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666A1 true WO2022131666A1 (ko) 2022-06-23

Family

ID=820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582 WO2022131666A1 (ko) 2020-12-18 2021-12-09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100490A1 (ko)
WO (1) WO202213166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603A (ko) * 2017-09-28 2020-10-21 유니버시티 오브 델라웨어 음이온 교환막 및 이오노머로 사용하기 위한 안정적인 양이온성 펜던트기를 갖는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중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603A (ko) * 2017-09-28 2020-10-21 유니버시티 오브 델라웨어 음이온 교환막 및 이오노머로 사용하기 위한 안정적인 양이온성 펜던트기를 갖는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중합체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NANJUN, LU CHUANRUI, LI YUNXI, LONG CHUAN, ZHU HONG: "Robust poly(aryl piperidinium)/N-spirocyclic poly(2,6-dimethyl-1,4-phenyl) for hydroxide-exchange membran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ELSEVIER BV, NL, vol. 572, 1 February 2019 (2019-02-01), NL , pages 246 - 254, XP055942827, ISSN: 0376-7388, DOI: 10.1016/j.memsci.2018.10.067 *
CHEN NANJUN; LU CHUANRUI; LI YUNXI; LONG CHUAN; LI ZIMING; ZHU HONG: "Tunable multi-cations-crosslinked poly(arylene piperidinium)-based alkaline membranes with high ion conductivity and durabilit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ELSEVIER BV, NL, vol. 588, 18 May 2019 (2019-05-18), NL , XP085765162, ISSN: 0376-7388, DOI: 10.1016/j.memsci.2019.05.044 *
MAURYA SANDIP, NOH SANGTAIK, MATANOVIC IVANA, PARK EUN JOO, NARVAEZ VILLARRUBIA CLAUDIA, MARTINEZ ULISES, HAN JUNYOUNG, BAE CHULSU: "Rational design of polyaromatic ionomers for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with >1 W cm −2 power density",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RSC PUBL., CAMBRIDGE, vol. 11, no. 11, 7 November 2018 (2018-11-07), Cambridge , pages 3283 - 3291, XP055818429, ISSN: 1754-5692, DOI: 10.1039/C8EE02192A *
SON TAE YANG; KO TAE HO; VIJAYAKUMAR VIJAYALEKSHMI; KIM KIHYUN; NAM SANG YONG: "Anion exchange composite membranes composed of poly(phenylene oxide) containing quaternary ammonium and polyethylene support for alkaline ani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applications", SOLID STATE IONICS, NORTH HOLLAND PUB. COMPANY. AMSTERDAM; NL, NL, vol. 344, 20 November 2019 (2019-11-20), NL , XP085971211, ISSN: 0167-2738, DOI: 10.1016/j.ssi.2019.115153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0490A1 (en)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3081437A1 (ko) 술포네이트계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전해질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21112420A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34254A2 (ko) 고분자 전해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2270934A1 (ko) 음이온교환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WO2021172706A1 (ko) 카바졸계 음이온 교환 소재,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5047008A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WO2015147550A1 (ko)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WO2014178620A1 (ko) 고분자 전해질막, 고분자 전해질막을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막 전극 접합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19225873A1 (ko) 바나듐 이온 저투과를 목적으로 하는 세공충진형 양쪽성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2134095A2 (ko) 술폰산기가 도입된 디페닐플루오렌기를 포함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채용한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
WO2016175502A1 (ko) 과불소계 이오노머 나노입자 분산액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9155A1 (ko) 고분자 전해질막
WO2017086609A1 (ko) 내재적 미세기공성 고분자를 이용한 다공성 탄소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용 전극
WO2023234725A1 (ko) 신규한 가지부 함유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WO2023140628A1 (ko) 신규 폴리(스피로비스인덴-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31666A1 (ko)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 복합막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1665A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WO2010076911A1 (ko) 퍼플루오로싸이클로부탄기를 포함하는 후술폰화된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6068606A1 (ko) 고분자 중합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24039146A1 (ko) 음이온 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066544A1 (ko) 높은 분산 안정성을 갖는 이오노머 분산액,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6122195A1 (ko)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6089123A1 (ko)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WO2018194393A1 (ko) 화학적 개질을 이용한 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이온교환막
WO2016068605A1 (ko) 브랜처용 불소계 화합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69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5796.3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8454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69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