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665A1 -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 Google Patents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665A1
WO2022131665A1 PCT/KR2021/018580 KR2021018580W WO2022131665A1 WO 2022131665 A1 WO2022131665 A1 WO 2022131665A1 KR 2021018580 W KR2021018580 W KR 2021018580W WO 2022131665 A1 WO2022131665 A1 WO 202213166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nion exchange
polyfluorene
exchange membrane
formula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85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영무
후추안
박종형
첸난준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101681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702634B1/ko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CN202180083993.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6615488A/zh
Priority to US18/268,455 priority patent/US20240317951A1/en
Publication of WO202213166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66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6After-treatment of the membrane other than by polymerisation
    • H01M8/1088Chemical modification, e.g. sulfon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71/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71/06Organic material
    • B01D71/58Other polymers having nitrogen in the main chain, with or without oxygen or carbon only
    • B01D71/62Polycondensates having nitrogen-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in the main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12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derived from five- or six-membered heterocyclic compounds, other than i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20Manufacture of shaped structures of ion-exchange resins
    • C08J5/22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 C08J5/2206Films, membranes or diaphragms based on organic and/or in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18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J5/225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 than those involving carbon-to-carbon bonds, e.g. obtained by polycondens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3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39Organic resins; Organic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e.g. polyarylenes, polystyrenes or polybutadiene-styr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3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nitrogen, e.g. sulfonated polybenzimidazoles [S-PBI], polybenzimidazoles with phosphoric acid, sulfonated polyamides [S-PA] or sulfonated polyphosphazenes [S-PP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7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by chemical reactions, e.g. insitu polymerisation or insitu crosslink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01M8/1081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starting from solutions, dispersions or slurries exclusively of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12Copolymers
    • C08G2261/124Copolymers altern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10Definition of the polymer structure
    • C08G2261/22Molecular weight
    • C08G2261/228Polymers, i.e. more than 10 repeat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14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 C08G2261/3142Condensed aromatic systems, e.g. perylene, anthracene or pyrene fluorene-based, e.g. fluorene, indenofluorene, or spirobifluo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2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261/30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 C08G2261/322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 C08G2261/3221Monomer units or repeat units incorporating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incorporating heteroaromatic structural elements in the main chain non-condensed containing one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heteroatom, e.g. pyrrole, pyridine or triazo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vel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omatic polyfluorene-based co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which a piperidinium group is introduced in a repeating unit without an aryl ether bond in the polymer backbone. It relates to a technique for synthesizing a copolymer and manufactur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the copolymer and applying it to an alkaline fuel cell, water electrolysis, carbon dioxide reduction, metal-air battery, and the like.
  • PEMFCs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
  • Nafion a perfluorocarbon-based proton exchange membrane, represented by Nafion
  • Nafion membrane has excellent chemical stability and high ionic conductivity, while the price is very high an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low, so research that can replace Nafion, including the development of an aromatic hydrocarbon-base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is being actively conducted.
  • alkaline membrane fuel cell us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operating in an alkaline environmen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can use inexpensive non-precious metals such as nickel and manganese as electrode catalysts instead of platinum. the current situation.
  • Polymers having an aryl ether main chain such as polyaryl ether sulfone, polyphenyl ether, and polyether ether ketone, have been mainly used as anion exchange membranes for application to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 an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using a hydrophobic crosslinking agent such as 1,5-dibromopentane, 1,6-dibromohexane, and 1,6-hexanediamine
  • the hydrophobic anion exchange membrane is an anion exchange fuel cell.
  • problems such as low ionic conductivity, limited flexibility, and low solubility for application.
  • conventional anion exchange membranes have limited chemical stability (less than 500 hours at 80 ° C, 1M NaOH solu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tensile strength less than 30 Mpa). It has the disadvantage of poor durability.
  • an aromatic polyfluorene-based co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which a piperidinium group is introduced in a repeating unit without an aryl ether bond in the polymer backbone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using the same have not been manufactured, and it is used in transportation means and power storage devices.
  • a technology applied to an anion exchange fuel cell used in the military, aerospace industry, or the like, or a low-cost water electrolysis device for hydrogen generation is not specifically known.
  •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research to expand the application field of aromatic polymer ion exchange membranes with excellent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 synthetic polyfluorene-based copolymer with a cross-linked structure and manufacturing an anion exchange membrane from it, it has been found to have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water content, and durability, and can be applied to alkaline fuel cells, water electrolysis,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metal-air batteries.
  • the present invention was arrived at by paying attention to that.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8-0121961
  • Patent Document 2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WO 2019/068051
  • Patent Document 3 Chinese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CN 106784946
  • Patent Document 4 China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CN 108164724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 first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having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water content and durability, and an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prepared therefrom would like to
  • a secon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to alkaline fuel cells, water electrolysis, carbon dioxide reduction, and metal-air batteries.
  •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copolymers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1> to ⁇ Formula 5>.
  • aryl-1 and aryl-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enyl, phenyl, biphenyl, terphenyl and quarterphenyl, at least one of which is is fluorenyl,
  • R H or CH 3 ,
  • x represe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 n an integer from 1 to 15
  • X degree of crosslinking
  • ⁇ Formula 1> to ⁇ Formula 5>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lyammonium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dissolving a polyfluorene-based block copolymer into which piperidine is introduced in an organic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II) adding and stirring an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solution to the polymer solution to obtain a mixed solution; (III) adding and reacting an excess of methyl iodide to the mixed solution to form a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and (IV) precipitating, washing and drying the polymer solution in which the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is formed to obtain a solid polymer;
  • the organic solvent of step (I) is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 the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in step (II)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 polyammonium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obtained from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issolving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b) filtering the polymer solution, casting to a glass plate, and drying to obtain a film; and (c) converting the counter ions into OH ⁇ ions by immersing the obtained membrane in a 1M NaOH solution.
  • the organic solvent of step (a) is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a) is characterized in that 2 to 30% by weight.
  • step (b)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rganic solvent is completely removed by slowly removing the organic solvent in an oven at 80 to 90° C. for 24 hours, and then heating it in a vacuum oven at 120 to 150° C. for 24 hour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n alkaline fuel cell compris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ali fuel cell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electrolysis device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an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prepared from an aromatic polyfluorene-based block copolymer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in which a piperidinium group is introduced in a repeating unit without an aryl ether bond in the polymer backbone has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and mechanical stability. It has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high water content, ionic conductivity and durability, and exhibits an excellent dispersed phase.
  •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lkaline fuel cells, water electrolysis devices, carbon dioxide reduction, metal-air batteries, and the like.
  • FIG. 1 is a graph showing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a) is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y state, (b) is Examples 1,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 graph measu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in a wet state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 FIG 3 is a graph showing the ion conductivity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graph showing the ion channel size and phase separation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from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selected from copolymers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 Formula 1> to ⁇ Formula 5>.
  • aryl-1 and aryl-2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enyl, phenyl, biphenyl, terphenyl and quarterphenyl, at least one of which is is fluorenyl,
  • R H or CH 3 ,
  • x represe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 n an integer from 1 to 15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already disclosed a novel polyfluorene-based copolymer ionomer, an anion exchange membran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an earlier patent application (Patent Publication No. 10-2021-0071810).
  • x represents the degree of crosslinking and can be controlled by the amount of a polyammonium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can be prepared from a crosslinked copolymer.
  •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s Since the copolymer is not completely dissolved in the organic solvent, the crosslinking reaction does not proceed,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n anion exchange membrane cannot be prepar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obtained from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is a multi-ammonium cross-linked membrane including at least one or more ammonium groups, without an aryl ether bond, and contains N- such as polyphenylene and dimethylpiperidinium in the repeating unit.
  • the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lexible aliphatic chain structure including an ammonium group and a controllable number of ammonium groups showing excellent stability, so it has high ionic conductivity, durability, and a fine phase separation structure.
  • the ion exchange performance and the morphology of the polyammonium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can be controlled.
  • polyammonium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gnificantly improve ionic conductiv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that of the conventional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exhibiting very low ionic conductivity by a hydrophobic cross-linking agent after cross-linking.
  • the polyammonium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hows high water content even in a dry environment, it can be stably operated even under low humidity conditions compared to conventional anion exchange fuel cells and exhibits high water vapor permeability. It has the advantage of easy delivery and moisture management, and durability is greatly improve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I) dissolving a polyfluorene-based block copolymer into which piperidine is introduced in an organic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II) adding and stirring an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solution to the polymer solution to obtain a mixed solution; (III) adding and reacting an excess of methyl iodide to the mixed solution to form a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and (IV) precipitating, washing and drying the polymer solution in which the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is formed to obtain a solid polymer;
  • the polyfluorene-based block copolymer into which the piperidine of step (I) was introduced was synthesiz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1-0071810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 organic solvent in step (I) may be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and dimethylsulfoxide is preferably used.
  • the ammonium-based crosslinking agent in step (II) may be a polyammonium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ammonium cation, and a diammonium or triammonium compound having various lengths of an alkyl spacer may be used, and 4,4'-(propane).
  • -diyl)bis(1-(5-bromopentyl)-1-methylpiperidinium or 4,4′-(propane-diyl)bis(1-(10-bromodecyl)-1-methylpiperidinium is more preferably use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dissolving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in an organic solvent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b) filtering the polymer solution, casting to a glass plate, and drying to obtain a film; and (c) converting the counter ions into OH ⁇ ions by immersing the obtained membrane in a 1M NaOH solution.
  • the organic solvent in step (a) may be N-methylpyrrolidone, dimethylacetamide, dimethylsulfoxide or dimethylformamide, and dimethylsulfoxide is preferably used.
  •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n step (a) is 2 to 30% by weight. If the concentration of the polymer solution is less than 2% by weight, the film-forming ability may decrease, and if it exceeds 30% by weight, the viscosity becomes too high, so that after film form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mbrane may be deteriorated.
  • step (b) the organic solvent is gradually removed in an oven at 80-90° C. for 24 hours, and then the organic solvent is completely removed by heating in a vacuum oven at 120-150° C. for 24 hours.
  •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film obtained through steps (a) to (b) is immersed in 1M NaOH solution and treated to thereby convert the halide form (I - form) of the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film to OH - , Cl -
  •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converted into CO 3 2- may be prepar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an alkaline fuel cell compris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lkali fuel cell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ter electrolysis device including the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the cross-linked structure.
  • 9,9'-dimethylfluorene (0.2914 g, 1.5 mmol) as a monomer
  • terphenyl (3.105 g, 13.5 mmol) as a comonomer
  • 1-methyl-4-piperidone (1.919 mL, 16.5 mmol, 1.1 eq) was added to a two-neck flask, and dichloromethane (13 mL) was added thereto to dissolve the monomers while stirring to form a solution.
  • the PFTM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5 wt%.
  • 4,4'-(propane-diyl)bis(1-(5-bromopentyl)-1-methylpiperidinium as a crosslinking agent was added to the obtained polymer solution and stirred at 80°C for 48 hours to obtain a mixed solution. (Adjust the degree of crosslinking to 10%)
  • an excess of methyl iodide was added to the mixed solution and reacted for 24 hours to form a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 the polymer solution with the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was prepared A solid cross-linked copolymer was obtained by precipitation in ethyl acetate, washing, and drying in a vacuum oven at 80° C. for 24 hours.
  • the obtained cross-linked copolymer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 wt%.
  • the obtained polymer solution was filtered with a 0.45 ⁇ m polytetrafluoroethylene (PTFE) filter and cast on a glass plate.
  • the casting solution was dried at 90° C. for 24 hours to gradually remove dimethyl sulfoxide, and then dried in a vacuum oven at 140° C. to completely remove dimethyl sulfoxide to obtain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I - form)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 I - form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obtained, which was named x-PFTP-DP-C5-10.
  • the x-PFTP-DP-C5-10 obtained above was removed from the glass plate, cut to a size of 3.5 cm x 3.5 cm, and treated by immersion in 1M NaOH solution for 24 hours to convert counter ions to OH ⁇ ions.
  • a mixed solution was obtained by adding 4,4'-(propane-diyl)bis(1-(10-bromodecyl)-1-methylpiperidinium as a crosslinking agent and stirring at 80°C for 48 hours,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was 10%
  •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it was controlled as x-PFTP-DP-C10-10.
  • PFTM (4 g) obtained in Preparation Example was dissolved in a mixture of dimethyl sulfoxide (40 mL) and cosolvent trifluoroacetic acid (0.5 mL) at 80° C. to obtain a polymer solution, and then cooled to room temperature. Then, K 2 CO 3 (2.5 g) and methyl iodide (2 mL, 3 eq) were added to the polymer solution and reacted for 48 hours to form a quaternary piperidinium salt. Next, the polymer solution was precipitated in ethyl acetate, filtered, washed several times with deionized water, and dried in a vacuum oven at 80° C. for 24 hours to obtain a solid poly(fluorene-co-terphenyl N,N-dimethylpiperidinium) copolymer. was prepared.
  • the copolymer was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to form a 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3.2% by weight. Then, the polymer solution was collected with a syringe, filtered through a 0.4 ⁇ m filter, and the transparent solution was cast on a 14 x 21 cm glass plate. The casting solution was dried in an oven at 85° C. for 24 hours to slowly remove the solvent, and then heated in a vacuum oven at 150° C. for 24 hours to completely remove the solvent, thereby obtaining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no cross-linked structure (PFTP). business card), then by immersion in 1M NaOH solution for 24 hours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convert the counter ions to OH ⁇ ions.
  • PFTP cross-linked structure
  • a polyfluorene-based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1,6-dibromohexane was used as a crosslinking agent and the degree of crosslinking was adjusted to 10%. named 10.
  • Test data such as mechanical properties, morphology, ion exchange performance, moisture content, expansion rate, ion conductivity and fuel cell performance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obtained by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etc. Measurement and evaluation were carried out by the method describ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21-0071810.
  •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prepared in Examples 1 to 3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improved ion exchange capacity compared to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no crosslinked structure as in Comparative Example 1 due to the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an ion group, and thus the water absorption rate is similar to the conventional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it can be seen that the degree of swelling is rather high.
  • FIG. 2(a)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dry state
  • (b) are shown in Examples 1, 3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sults of measuring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2 in a wet state are shown.
  •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has increased tensile strength and elongation compared to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no crosslinked structure due to its inherent crosslinked structure, and exhibits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even in a wet state.
  • the ion conductivity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ross-linked structure did not decrease due to the relatively high ion exchange capacity, and the ion conductivity was similar or high at 60 to 80° C., which is a general fuel cell driving condition.
  • FIG. 4 shows the ion channel size and phase separation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s prepared in Examples 1 to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rosslinking agent Due to the ion group of the crosslinking agent, it has an ion channel size of about 1.5 times that of an anion exchange membrane having a conventional crosslinked structure as in Comparative Example 2, and also has excellent phase separation, so that it has a hydrophilic region of about 40%.
  • Figures 5 (a) to (d) is an evaluation of alkali safety, (a) by exposing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s 1,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to 80 ° C., 1M NaOH solution for a long time. Residual ion conductivity, (b) spectrum analyzed by 1 HNMR after exposing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in Example 1 of the present invention at 80° C. to 1M NaOH solution for 1200 hours, (c) Examples 1 and 3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Comparative Example 2 after exposure to 80° C. and 1M NaOH solution for 1200 hours, (d) the anion exchange membrane prepared from Examples 1, 3 and Comparative Example 2 of the present invention at 80° C., 1M The degree of phase separation was shown after treatment in NaOH solution for 1200 hours and before treatment.
  • the cross-linked anion exchange membra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ross-linked structure containing at least one or more ammonium groups, it exhibits excellent ion exchange capacity, ion conductivity, dispersed phase, and mechanical properties to provide high power density and durability in an anion exchange fuel cell. could ge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되고 가교구조를 갖는 방향족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로부터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가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은 열적·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분 함유능, 이온전도도 및 내구성이 높으며, 우수한 분산상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본 발명은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되고 가교구조를 갖는 방향족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로부터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는 비교적 높은 전류밀도를 갖고 친환경성이라는 장점 때문에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특히, 나피온으로 대표되는 과불소화탄소 계열의 프로톤 교환막이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런데 나피온막은 우수한 화학적 안정성 및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반면, 가격이 매우 높고 유리전이온도가 낮아 방향족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등의 개발을 비롯하여 나피온을 대체할 수 있는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들 중에서 최근에는 알칼리 환경에서 구동하는 음이온교환막을 이용하는 알칼리막 연료전지(alkaline membrane fuel cell, AMFC)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알칼리막 연료전지는 백금 대신에 니켈, 망간 등 저가의 비귀금속을 전극촉매로 사용할 수 있고, 고분자 전해질막 연료전지에 비하여 우수한 성능과 더불어 가격 경쟁력 또한 월등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알칼리막 연료전지에 적용하기 위한 음이온교환막으로서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폴리페닐에테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등과 같은 아릴 에테르 주사슬을 갖는 고분자가 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1,5-디브로모펜탄, 1,6-디브로모헥산, 1,6-헥산디아민과 같은 소수성 가교제를 사용한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도 알려져 있으나, 소수성 음이온교환막은 음이온교환 연료전지로 시용하기에는 낮은 이온전도도, 제한된 유연성, 낮은 용해도 등의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종래 음이온교환막은 화학적 안정성(80℃, 1M NaOH 용액에서 500시간 미만) 및 기계적 물성(인장강도 30 Mpa 미만)이 제한적이어서 연료전지에 적용하면 전력밀도(0.1~0.5 Wcm-2)가 낮고 전지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한편, 아직까지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된 가교구조의 방향족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및 이를 이용한 음이온교환막이 제조된바 없고, 이를 운송수단, 전력저장장치, 군수, 항공산업 등에 사용하는 음이온교환 연료전지, 또는 수소 생성을 위한 저비용 수전해 장치에 응용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바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자 등은, 열적·화학적 안정성 및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방향족 고분자 이온교환막의 응용분야를 확대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된 가교구조의 방향족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로부터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함으로써 기계적 강도, 수분 함유 능력, 내구성이 우수함을 발견하여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할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1961호
특허문헌 2 국제공개특허공보 WO 2019/068051
특허문헌 3 중국등록특허공보 CN 106784946
특허문헌 4 중국등록특허공보 CN 10816472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기계적 강도, 수분 함유 능력 및 내구성이 우수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에 응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1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2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3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4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5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6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X(가교도)는 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7
(암모늄계 가교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I) 피페리딘이 도입된 폴리플루오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중합체 용액에 암모늄계 가교제 용액을 부가 및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III) 상기 혼합용액에 과량의 요요드화메틸을 부가 및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V) 상기 4급 피페리디늄 염이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침전, 세척 및 건조하여 고체상의 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II) 단계의 암모늄계 가교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중합체 용액을 필터링하고, 유리판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막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한 막을 1M NaOH 용액에 침지하여 카운터 이온을 OH- 이온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의 중합체 용액의 농도는 2~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b) 단계의 건조는 80~9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서서히 제거한 후, 120~15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고분자 골격 내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된 가교구조의 방향족 폴리플루오렌계 블록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되는 가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은 열적·화학적 안정성과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고, 수분 함유능, 이온전도도 및 내구성이 높으며, 우수한 분산상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알칼리 연료전지, 수전해 장치, 이산화탄소 환원, 금속-공기 배터리 등에 응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치수안정성을 나타낸 그래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건조 상태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b)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습윤 상태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채널크기 및 상분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 5(a) 내지 (d)는 알칼리 안전성을 평가한 것으로서, (a)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장시간 노출하여 잔류하는 이온전도도, (b)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노출한 후 1HNMR로 분석한 스펙트럼, (c)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노출한 후의 기계적 물성, (d)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처리한 후 및 처리 전의 상분리도를 나타낸 그래프.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나타낸 그래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8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09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0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1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2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3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 등은 이미 선출원특허(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서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한바 있다.
본 발명에서는 그 폴리플루오렌계 공중합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화합물로 가교함으로써 종래와는 다른 가교구조를 갖는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된 신규한 가교구조의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로부터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여 종래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이 나타내는 낮은 이온전도도, 수분 함유능 및 기계적 물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가교제로 사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의 양에 의하여 조절할 수 있는데, 그 가교도는 가교 공중합체로부터 제조할 수 있는 음이온교환막을 고려하면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바, 가교도가 5% 미만이면 가교로 인한 물성 상승의 효과가 미미하고, 가교도가 20%를 초과하면 가교 공중합체가 유기용매에 완전히 용해되지 아니하여 가교반응이 진행되지 않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공한다.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기를 포함하는 다암모늄(multi-ammonium) 가교막으로서 아릴 에테르 결합이 없으면서 반복단위 내 폴리페닐렌, 및 디메틸피페리디늄 등의 N-헤테로고리 암모늄 그룹과 피페리디늄 그룹이 도입됨으로써 우수한 필름 형성 능력,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암모늄계 가교제는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암모늄 그룹 및 조절 가능한 수의 암모늄 그룹을 포함하는 유연한 지방족 사슬구조이므로 높은 이온전도도, 내구성 및 미세 상분리 구조를 갖는다. 게다가 암모늄기 사이의 알킬 스페이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온교환성능과 다암모늄 가교 음이온교환막의 모폴로지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암모늄 가교 음이온교환막은 종래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이 가교 후 소수성 가교제에 의해 매우 낮은 이온전도도를 나타낸 것에 비하여 이온전도도 및 기계적 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다암모늄 가교 음이온교환막은 건조한 환경에서도 높은 수분 함유 능력을 보이므로, 종래 음이온교환 연료전지와 비교하여 저가습 조건에서도 안정적으로 구동이 가능하고, 높은 수증기 투과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물질 전달과 수분 관리에 용이한 장점을 가지며, 내구성도 크게 개선된다.
또한, 본 발명은 (I) 피페리딘이 도입된 폴리플루오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중합체 용액에 암모늄계 가교제 용액을 부가 및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III) 상기 혼합용액에 과량의 요요드화메틸을 부가 및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V) 상기 4급 피페리디늄 염이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침전, 세척 및 건조하여 고체상의 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I) 단계의 피페리딘이 도입된 폴리플루오렌계 블록 공중합체는 본 발명의 발명자 등에 의한 선출원 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또한, 상기 (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일 수 있고, 디메틸술폭시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상기 (II) 단계의 암모늄계 가교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일 수 있는바, 알킬 스페이서의 길이가 다양한 디암모늄 또는 트리암모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4,4‘-(프로판-디일)비스(1-(5-브로모펜틸)-1-메틸피페리디늄 또는 4,4‘-(프로판-디일)비스(1-(10-브로모데실)-1-메틸피페리디늄을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중합체 용액을 필터링하고, 유리판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막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한 막을 1M NaOH 용액에 침지하여 카운터 이온을 OH- 이온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일 수 있고, 디메틸술폭시드를 바람직하게 사용한다.
상기 (a) 단계의 중합체 용액의 농도는 2~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한바, 중합체 용액의 농도가 2 중량% 미만이면 막의 형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너무 높아져 제막 후 막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b) 단계의 건조는 80~9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서서히 제거한 후, 120~15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상기 (a) 내지 (b) 단계를 거쳐 수득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막을 1M NaOH 용액에 침지하여 처리함으로써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막의 할라이드 형태(I- form)를 OH-, Cl- 또는 CO3 2- 형태로 전환시킨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비교예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조예] PFTM 제조
단량체로서 9,9‘-디메틸플루오렌(0.2914 g, 1.5 mmol), 공단량체로서 터페닐(3.105 g, 13.5 mmol), 및 1-메틸-4-피페리돈(1.919 mL, 16.5 mmol, 1.1 eq)을 2구 플라스크에 투입한 후, 디클로로메탄(13 mL)을 부가하여 교반하면서 단량체들을 용해시켜 용액을 형성하였다. 상기 용액의 온도를 1℃로 냉각시킨 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8 mL, ~1.5 eq) 및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폰산(12 mL, 9 eq)의 혼합물을 상기 용액에 서서히 부가, 교반 및 24시간 반응시켜 점성 용액을 얻었다. 상기 점성 용액을 2M NaOH 용액에 침전,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 및 80℃ 오븐에서 건조하여 고체상의 폴리(플루오렌-co-터페닐 N-메틸피페리딘) 공중합체 PFTM을 제조하였다(수율 95%).
[실시예 1] x-PFTP-DP-C5-10 음이온교환막 제조
상기 제조예로부터 수득한 PFTM을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켜 5 중량% 농도의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중합체 용액에 가교제로서 4,4‘-(프로판-디일)비스(1-(5-브로모펜틸)-1-메틸피페리디늄을 부가하여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혼합용액을 얻었다(가교도를 10%로 조절). 이어서 상기 혼합용액에 과량의 요오드화메틸을 부가 및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4급 피페리디늄 염이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침전, 세척 및 8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고체상의 가교 공중합체를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득한 가교 공중합체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켜 4 중량% 농도의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상기 얻어진 중합체 용액을 0.45㎛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필터로 필터링하고, 유리판에 캐스팅하였다. 상기 캐스팅 용액을 9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디메틸술폭시드를 서서히 제거한 후, 140℃ 진공오븐에서 건조하여 디메틸술폭시드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I- 형태)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x-PFTP-DP-C5-10이라 명명하였다.
상기 수득한 x-PFTP-DP-C5-10을 유리판에서 떼어내어 3.5cm x 3.5cm 크기로 절단하고, 이를 1M NaOH 용액에 24시간 침지하여 처리함으로써 카운터 이온을 OH- 이온으로 전환하였다.
[실시예 2] x-PFTP-DP-C5-20 음이온교환막 제조
가교제로서 4,4‘-(프로판-디일)비스(1-(5-브로모펜틸)-1-메틸피페리디늄을 부가하여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혼합용액을 얻되, 가교도를 2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x-PFTP-DP-C5-20이라 명명하였다.
[실시예 3] x-PFTP-DP-C10-10 음이온교환막 제조
가교제로서 4,4‘-(프로판-디일)비스(1-(10-브로모데실)-1-메틸피페리디늄을 부가하여 80℃에서 48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혼합용액을 얻었고, 가교도를 1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x-PFTP-DP-C10-10이라 명명하였다.
[비교예 1] PFTP 음이온교환막 제조
상기 제조예로부터 수득한 PFTM(4 g)을 80℃에서 디메틸술폭시드(40 mL) 및 공용매인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0.5 mL)의 혼합물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은 후, 상온으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 용액에 K2CO3(2.5 g) 및 요오드화메틸 (2 mL, 3 eq)을 부가 및 48시간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중합체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에 침전, 여과, 탈이온수로 수회 세척 및 80℃진공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고체상의 폴리(플루오렌-co-터페닐 N, N-디메틸피페리디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공중합체를 디메틸술폭시드에 용해시켜 3.2 중량% 농도의 고분자용액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고분자용액을 시린지로 수집하여 0.4 ㎛ 필터로 여과하고, 투명한 용액을 14 x 21 cm 유리판에 캐스팅하였다. 상기 캐스팅 용액을 85℃ 오븐에서 24시간 건조하여 용매를 서서히 제거한 후, 15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가열하여 용매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가교구조를 갖지 않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수득하였고(PFTP라 명명함), 이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1M NaOH 용액에 24시간 침지하여 처리함으로써 카운터 이온을 OH- 이온으로 전환하였다.
[비교예 2] x-PFTP-10 음이온교환막 제조
가교제로서 1,6-디브로모헥산을 사용하고 가교도를 10%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제조하였으며, 이를 x-PFTP-10이라 명명하였다.
[시험예]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기계적 물성, 모폴로지, 이온교환성능, 함수율, 팽창률, 이온전도도 및 연료전지 성능 등의 시험 데이터는 본 발명의 발명자 등에 의한 선출원 공개특허 제10-2021-0071810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 및 평가하였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치수안정성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으로부터 제조한 가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은 이온기를 함유한 가교제로 인하여 비교예 1처럼 가교구조를 갖지 않는 음이온교환막과 대비하여 이온교환능력이 향상되고, 이에 따라 수분 흡수율은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종래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과 유사하며, 팽윤 정도는 다소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2(a)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건조 상태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b)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습윤 상태에서의 기계적 물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가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은 그 고유의 가교구조로 인하여 인장강도 및 연신율이 가교구조를 갖지 않는 음이온교환막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습윤 상태에서도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를, 그리고 하기 표 1에는 이온교환능력(IEC) 및 80℃에서의 이온전도도를 나타내었다.
샘플 IEC(meq g-1) OH- conductivity
(mS cm-1)
HCO3 - conductivity
(mS cm-1)
Exp.
(Cl- form)
Theo.
(Cl- form)
PFTP 2.64 2.78 162.60 67.34
x-PFTP-10 2.67 2.81 145.45 58.26
x-PFTP-DP-C5-10 2.82 2.95 163.08 72.10
x-PFTP-DP-C5-20 2.88 3.00 142.85 61.30
x-PFTP-DP-C10-10 2.78 2.90 165.34 69.34
도 3 및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교적 높은 이온교환능력으로 인하여 가교구조를 갖는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전도도가 감소하지 않았으며, 일반적인 연료전지 구동조건인 60~80℃에서 유사하거나 높은 전도도를 이온전도도를 갖는다.
또한, 우수한 HCO3- 전도도를 나타내므로 종래 음이온교환막의 주요 문제점인 carbonation에 다소 덜 예민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이온채널크기 및 상분리도를 나타내었다.
가교제의 이온 그룹으로 인하여 비교예 2와 같은 종래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에 비하여 1.5배 정도의 이온 채널 크기를 가지며, 또한 상분리도 역시 우수하여 약 40%에 달하는 친수성 영역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5(a) 내지 (d)는 알칼리 안전성을 평가한 것으로서, (a)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장시간 노출하여 잔류하는 이온전도도, (b) 본 발명의 실시예 1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노출한 후 1HNMR로 분석한 스펙트럼, (c)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노출한 후의 기계적 물성, (d) 본 발명의 실시예 1,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을 80℃, 1M NaOH 용액에 1200시간 처리한 후 및 처리 전의 상분리도를 나타내었다.
1200시간 이상 80℃에서 1M NaOH 용액에 노출하였음에도 90% 이상 이온전도도를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1HNMR 분석 시 새로운 피크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알칼리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았음도 확인하였다.
또한, 기계적 물성 역시 80%에 달하는 성능을 유지하였고, 친수성 영역의 크기가 다소 감소하였지만, 여전히 40%를 상회하는 우수한 상분리도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로부터 제조한 음이온교환막의 연료전지 성능을 나타내었다.
PGM(platinum group metals, 백금족 금속) 촉매를 사용하였을 때, H2-O2(at 80℃, 0 bar) 분위기에서 1.8 W cm-2, 1.3 bar에서는 2.5 W cm-2의 매우 우수한 성능을 보였으며, 종래 막(2.3 W cm-2) 대비 연료전지 성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수한 HCO3 - 전도도로 인하여 H2-air 분위기에서도 1.4 W cm-2의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가교구조의 음이온교환막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기를 함유하는 가교결합 구조를 가지므로, 우수한 이온교환능력, 이온전도도, 분산상, 기계적 물성을 나타내어 음이온교환 연료전지에서 높은 전력밀도 및 내구성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로 표시되는 가교구조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4
    <화학식 2>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5
    <화학식 3>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6
    <화학식 4>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7
    <화학식 5>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8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aryl-1, aryl-2는 각각 독립적으로 플루오레닐, 페닐, 바이페닐, 터페닐 및 쿼터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이고, 그 중 적어도 하나는 플루오레닐이며,
    R=H 또는 CH3,
    x는 가교도를 나타내는 것이고,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19
    는 암모늄계 가교제를 의미하며,
    n=1 내지 15의 정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X(가교도)는 5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5>에서
    Figure PCTKR2021018580-appb-I000020
    (암모늄계 가교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4. (I) 피페리딘이 도입된 폴리플루오렌계 블록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II) 상기 중합체 용액에 암모늄계 가교제 용액을 부가 및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얻는 단계;
    (III) 상기 혼합용액에 과량의 요요드화메틸을 부가 및 반응시켜 4급 피페리디늄 염을 형성하는 단계; 및
    (IV) 상기 4급 피페리디늄 염이 형성된 중합체 용액을 침전, 세척 및 건조하여 고체상의 중합체를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II) 단계의 암모늄계 가교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암모늄 양이온을 갖는 다암모늄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로부터 얻어지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
  8. (a)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켜 중합체 용액을 얻는 단계; (b) 상기 중합체 용액을 필터링하고, 유리판에 캐스팅한 후 건조하여 막을 수득하는 단계; 및 (c) 상기 수득한 막을 1M NaOH 용액에 침지하여 카운터 이온을 OH- 이온으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또는 디메틸포름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중합체 용액의 농도는 2~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건조는 80~90℃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유기용매를 서서히 제거한 후, 120~150℃ 진공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가열함으로써 유기용매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의 제조방법.
  12. 제7항에 따른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용 막전극접합체.
  13. 제7항에 따른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14. 제7항에 따른 가교구조를 갖는 폴리플루오렌계 음이온교환막을 포함하는 수전해 장치.
PCT/KR2021/018580 2020-12-18 2021-12-09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WO2022131665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80083993.1A CN116615488A (zh) 2020-12-18 2021-12-09 新型基于聚芴的交联共聚物及制备其的方法和使用其的碱性燃料电池用阴离子交换膜
US18/268,455 US20240317951A1 (en) 2020-12-18 2021-12-09 Novel polyfluorene-based cross-linked copolym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anion exchange membrane for alkaline fuel cell u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78394 2020-12-18
KR10-2020-0178394 2020-12-18
KR10-2021-0168177 2021-11-30
KR1020210168177A KR102702634B1 (ko) 2020-12-18 2021-11-30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665A1 true WO2022131665A1 (ko) 2022-06-23

Family

ID=82059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8580 WO2022131665A1 (ko) 2020-12-18 2021-12-09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40317951A1 (ko)
WO (1) WO20221316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9734A (zh) * 2022-10-26 2023-03-21 西湖大学 一类含两性离子侧链结构的阴离子交换聚合物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603A (ko) * 2017-09-28 2020-10-21 유니버시티 오브 델라웨어 음이온 교환막 및 이오노머로 사용하기 위한 안정적인 양이온성 펜던트기를 갖는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중합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0603A (ko) * 2017-09-28 2020-10-21 유니버시티 오브 델라웨어 음이온 교환막 및 이오노머로 사용하기 위한 안정적인 양이온성 펜던트기를 갖는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중합체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EN NANJUN, LU CHUANRUI, LI YUNXI, LONG CHUAN, ZHU HONG: "Robust poly(aryl piperidinium)/N-spirocyclic poly(2,6-dimethyl-1,4-phenyl) for hydroxide-exchange membranes",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 572, 1 February 2019 (2019-02-01), NL , pages 246 - 254, XP055942827, ISSN: 0376-7388, DOI: 10.1016/j.memsci.2018.10.067 *
CHEN NANJUN; LU CHUANRUI; LI YUNXI; LONG CHUAN; LI ZIMING; ZHU HONG: "Tunable multi-cations-crosslinked poly(arylene piperidinium)-based alkaline membranes with high ion conductivity and durability",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 588, 18 May 2019 (2019-05-18), NL , XP085765162, ISSN: 0376-7388, DOI: 10.1016/j.memsci.2019.05.044 *
MAURYA SANDIP, NOH SANGTAIK, MATANOVIC IVANA, PARK EUN JOO, NARVAEZ VILLARRUBIA CLAUDIA, MARTINEZ ULISES, HAN JUNYOUNG, BAE CHULSU: "Rational design of polyaromatic ionomers for alkaline membrane fuel cells with >1 W cm −2 power density",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vol. 11, no. 11, 7 November 2018 (2018-11-07), Cambridge , pages 3283 - 3291, XP055818429, ISSN: 1754-5692, DOI: 10.1039/C8EE02192A *
OLSSON JOEL S.; PHAM THANH HUONG; JANNASCH PATRIC: "Tuning poly(arylene piperidinium) anion-exchange membranes by copolymerization, partial quaternization and crosslinking", JOURNAL OF MEMBRANE SCIENCE, vol. 578, 1 January 1900 (1900-01-01), NL , pages 183 - 195, XP085618788, ISSN: 0376-7388, DOI: 10.1016/j.memsci.2019.01.036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819734A (zh) * 2022-10-26 2023-03-21 西湖大学 一类含两性离子侧链结构的阴离子交换聚合物及其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317951A1 (en) 2024-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172706A1 (ko) 카바졸계 음이온 교환 소재,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22270934A1 (ko) 음이온교환 복합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알칼리 연료전지
WO2011078465A2 (ko) 강도가 개선된 다공성 지지체, 그를 이용한 강화 복합전해질 막, 그 막을 구비한 막-전극 어셈블리 및 연료전지
KR102702634B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WO2010053297A2 (ko) 고분자 전해질막
WO2021112420A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131665A1 (ko) 신규 폴리플루오렌계 가교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알칼리 연료전지용 음이온교환막
WO2012134095A2 (ko) 술폰산기가 도입된 디페닐플루오렌기를 포함하는 수소이온 전도성 공중합체, 그의 제조방법, 그로부터 제조된 고분자 전해질 막,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이를 채용한 고분자 전해질 막 연료전지
WO2024014848A1 (ko) 신규한 고내구성 가교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WO2023234725A1 (ko) 신규한 가지부 함유 폴리(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그 제조방법
WO2023140628A1 (ko) 신규 폴리(스피로비스인덴-아릴 피페리디늄) 공중합체 이오노머, 음이온교환막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122200A1 (ko)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0076911A1 (ko) 퍼플루오로싸이클로부탄기를 포함하는 후술폰화된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5064908A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WO2018199545A1 (ko) 폴리페닐렌계 음이온 전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WO2016068606A1 (ko) 고분자 중합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고분자,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WO2013154238A1 (ko) 신규한 황산화 컨쥬게이션 테트라페닐에틸렌 폴리이미드 및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양성자 교환막
WO2023249360A1 (ko) 산화 그래핀-세륨 폴리인산염 나노복합체 기반 산화방지제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9054622A1 (ko)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고체 전해질
WO2023085592A1 (ko) 플루오렌 및 바이페닐 기반 가지형 공중합체 고분자 전해질 막 및 이를 이용한 수전해 시스템
WO2023106657A1 (ko) 폴리카바졸계 양이온교환형 이온전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89123A1 (ko) 고분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막
WO2015174591A1 (ko) 고밀도 술폰산화 멀티블록형 고분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화학 시스템
WO2012036347A1 (ko) 트리 블록 공중합체,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해질 막
WO2016122195A1 (ko) 방향족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고분자 및 이를 이용한 고분자 전해질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0083993.1

Country of ref document: C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8268455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696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