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19090A1 -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19090A1
WO2022119090A1 PCT/KR2021/013410 KR2021013410W WO2022119090A1 WO 2022119090 A1 WO2022119090 A1 WO 2022119090A1 KR 2021013410 W KR2021013410 W KR 2021013410W WO 2022119090 A1 WO2022119090 A1 WO 202211909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mol
structural formula
compound
group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41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추현아
전병선
강택
김도영
이지언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JP2023532770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51319A/ja
Priority to US18/249,401 priority patent/US20230390247A1/en
Priority to EP21900778.8A priority patent/EP4257583A1/en
Publication of WO202211909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1909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61K31/135Amines having aromatic rings, e.g. ketamine, nortriptyline
    • A61K31/137Arylalkylamines, e.g. amphetamine, epinephrine, salbutamol, ephedrine or metha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21-aryl substituted, e.g. piretan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09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27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vinyl pyrrolidone, poly(meth)acry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 A61K9/2059Starch, including chemically or physically modified derivatives; Amylose; Amylopectin;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16Wall or shell material
    • A61K9/4825Proteins,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58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48Preparations in capsules, e.g. of gelatin, of chocolate
    • A61K9/4841Filling 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4866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alkyl radicals, containing more than fou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only hydrogen atoms or radical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 C07D233/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one double bond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a ring member and a non-ring member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33/22Radicals substituted by oxy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hetero elements
    • C07D295/027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hetero elements containing only one hetero ring
    • C07D295/0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containing only hydrogen and carbon atoms in addition to the ring hetero elements containing only one hetero ring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acycl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07D295/07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substituent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95/09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phenyl pyrrolidine and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 for inhibiting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ore particularly, beta-arrestin ( ⁇ -arrestin ) in the signaling pathway (signaling pathway) to act as an antagonist of 5-HT 7 serotonin receptor to inhibit the activity of biphenyl pyrrolidine and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s, and to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 beta-arrestin ⁇ -arrestin
  • Serotonin a neurotransmitter, causes various physiological phenomena by acting on 14 different serotonin receptors that are distributed in various ways in each organ. Each receptor triggers a variety of physiological responses through interaction with serotonin.
  • 5-HT 7 receptors are the most recently discovered serotonin subtype receptors, and are particularly widely distributed in the hypothalamus, thalamus, hippocampus, and cortex. It is known to play the same important role. It is also known to be related to diseases such as depression, migraine, anxiety, and developmental disorders, as well as neurological diseases such as inflammatory pain and neuropathic pain.
  • 5-HT 7 receptor is one of GPCR (G-protein coupled receptor), and there is a G-protein signaling system and a beta-arrestin signaling system, and an assay system that can check their activity has also been developed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 2018, 61, 7218).
  • SB-269970 which is well known as a 5-HT 7 receptor antagonist, is known to act as an antagonist for both the activity on the G-protein signaling system and the activity on the beta-arrestin.
  • beta-arrestin antagonists because studies on the activity of beta-arrestin are insignificant.
  • 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No. 10-1779991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clude the biphenyl pyrrolidine/dihydroimidazol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for sleep disorders, depression, migraine, anxiety, pain, inflammatory pain, neuropathic pain, To provide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such as thermoregulation disorders, biorhythmic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mooth muscle disorders.
  •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such as thermoregulation disorders, biorhythmic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mooth muscle disorders.
  • a compound for inhibiting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o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3 or 4.
  • R 9 to R 1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9 to R 1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chloro group, a C1 to C4 alkyl group, or a C1 to C4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pounds 1 to 44.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re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onic acid, amidosulfonic acid, phosphoric acid, nit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succinic acid, glycolic acid, stearic acid, lact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para-toluenesulfonic acid and methanesulfonic acid. It may be a salt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inorganic acid or organic acid.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17 to R 20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3 or 4,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structural formula A may be o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B.
  • R 9 to R 1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21 to R 2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structural formula B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C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D by Suzuki reaction.
  • X 1 is a bromo group or an iodine group
  • R 25 and R 2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25 may be a hydrogen atom, and X 1 may be a bromo group.
  • R 26 may be a chloro group
  • X 1 may be an iodine group.
  •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pounds 1 to 44.
  • the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may be any one disease selected from sleep disorders, depression, migraine headaches, anxiety, pain, inflammatory pain, neuropathic pain, thermoregulation disorders, circadian rhythm disorder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mooth muscle disorders.
  • the biphenyl pyrrolidine/dihydroimidazol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of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 excellent binding affinity and excellent antagonistic activity for 5-HT 7 serotonin receptors, thereby enhancing the activity of 5-HT 7 serotonin receptor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is a brain disease includ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that require inhibition of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according to 5-HT 7 antagonistic activity, specifically, depression, migraine, anxiety, pain, It has a preventive or therapeutic effect on inflammatory pain, neuropathic pain, thermoregulation disorders, circadian rhythm disorders, sleep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includ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mooth muscle-related diseases.
  • the "substituted” means that at least one hydrogen atom is deuterium, a C1 to C30 alkyl group, a C3 to C30 cycloalkyl group, a C2 to C30 heterocycloalkyl group, a C1 to C30 halogenated alkyl group, a C6 to C30 aryl group, a C1 to C30 heteroaryl group, C1 to C30 alkoxy group, C3 to C30 cycloalkoxy group, C1 to C30 heterocycloalkoxy group, C2 to C30 alkenyl group, C2 to C30 alkynyl group, C6 to C30 aryloxy group, C1 to C30 heteroaryloxy group, silylox period (-OSiH 3 ), -OSiR 1 H 2 (R 1 is a C1 to C30 alkyl group or C6 to C30 aryl group), -OSiR 1 R 2 H (R 1 and R 2 are each independently a C1 to C
  • two adjacent substituents among the above substituents may be fused to form a saturated or unsaturated ring.
  • the carbon number range of the alkyl group or aryl group in the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30 alkyl group” or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6 to C30 aryl group” is unsubstituted without considering the portion in which the substituent is substituted. It refers to the total number of carbon atoms constituting the alkyl part or the aryl part when viewed as formed. For example, a phenyl group substituted with a butyl group at the para position corresponds to an aryl group having 6 carbon atoms substituted with a butyl group having 4 carbon atoms.
  • hydrogen means singlet, deuterium, or tritium, unless otherwise defined.
  • alkyl group refers to an aliphatic hydrocarbon group unless otherwise defined.
  • the alkyl group may be a “saturated alkyl group” that does not contain any double or triple bonds.
  • the alkyl group may be an "unsaturated alkyl group" containing at least one double or triple bond.
  • Alkyl groups whether saturated or unsaturated, may be branched, straight-chain or cyclic.
  • the alkyl group may be a C1 to C30 alkyl group.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 C1 to C20 alkyl group, a C1 to C10 alkyl group, or a C1 to C6 alkyl group.
  • a C1 to C4 alkyl group has 1 to 4 carbon atoms in the alkyl chain, i.e., the alkyl chain is methyl, ethyl, propyl, iso-propyl, n-butyl, iso-butyl, sec-butyl and t-butyl. It indicates that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alkyl group examples include a methyl group, an ethyl group, a propyl group, an isopropyl group, a butyl group, an isobutyl group, a t-butyl group, a pentyl group, a hexyl group, an ethenyl group, a propenyl group, a butenyl group, a cyclopropyl group, a cyclo It means a butyl group, a cyclopentyl group, a cyclohexyl group, and the like.
  • the term 'comprising as an active ingredient' means including an amount sufficient to achieve the efficacy or activity of the 2,6-diarylbenzooxazol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2,6-diarylbenzoxazole derivative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may be used at a concentration of 10 to 1500 ⁇ g/ml, preferably 100 to 1000 ⁇ g/ml, but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herein, and the upper limit of the quantity of the 2,6-diarylbenzoxazole derivative contained i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elected and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an appropriate range.
  • the compound for inhibiting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on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3 or 4.
  • R 9 to R 1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9 to R 16 may b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a hydrogen atom, a chloro group, a C1 to C4 alkyl group, or a C1 to C4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any one selected from the following compounds 1 to 44.
  • th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are hydrochloric acid, hydrobromic acid, sulfonic acid, amidosulfonic acid, phosphoric acid, nit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succinic acid, glycolic acid, stearic acid, lactic acid, tartaric acid, citric acid, para-toluenesulfonic acid and methanesulfonic acid. It may be a salt formed using any one selected inorganic acid or organic acid.
  • the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for inhibiting 5-HT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comprises the steps of react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A with pyrrolidine or ethylenediamine may include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17 to R 20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may be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3 or 4,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A may be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B.
  • R 9 to R 1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21 to R 24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structural formula B may be prepared by react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C with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D by Suzuki reaction.
  • X 1 is a bromo group or an iodine group
  • R 25 and R 26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R 25 may be a hydrogen atom, and X 1 may be a bromo group.
  • R 26 may be a chloro group
  • X 1 may be an iodine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compris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structural formula 1 or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 R 1 to R 8 are the same as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a hydrogen atom, a halogen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yl group,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C1 to C10 alkoxy group.
  • the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may be any one disease selected from sleep disorders, depression, migraine headaches, anxiety, pain, inflammatory pain, neuropathic pain, thermoregulation disorders, circadian rhythm disorders,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smooth muscle disorder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using a pharmaceutically suitable and physiologically acceptable adjuvant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 adjuvant includes an excipient, a disintegrant, a sweetener, a binder, a coating agent, a swelling agent, a lubricant, and a lubricant. agent or flavoring agent, etc. may be used.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preferably formulated a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by including one or mor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in addition to the active ingredients described above for administration.
  • Formulations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may be granules, powders, tablets, coated tablets, capsules, suppositories, solutions, syrups, juices, suspensions, emulsions, drops or injectables.
  • the active ingredient may be combined with an orally, non-toxic, pharmaceutically acceptable inert carrier such as ethanol, glycerol, water, and the like.
  • suitable binders, lubricants, disintegrants and color-developer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mixture.
  • Suitable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gelatin, natural sugars such as glucose or beta-lactose, corn sweeteners, natural and synthetic gums such as acacia, tracacanth or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magnesium stearate, sodium benzoate, sodium acetate, sodium chloride, and the like.
  • Disintegra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starch, methyl cellulose, agar, bentonite, xanthan gum, and the like.
  • acceptable pharmaceutical carriers are sterile and biocompatible, and include saline, sterile water, Ringer's solution, buffered saline, albumin injection, dextrose solution, maltodextrin solution, glycerol, ethanol and One or more of these components may be mixed and used, and other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buffers, and bacteriostats may be added as needed.
  • diluents, dispersants, surfactants, binders and lubricants may be additionally added to form an injectable formulation such as an aqueous solution, suspension, emulsion, etc., pills, capsules, granules or tablets.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ministered orally or parenterally, and in the case of parenteral administration, it may be administered by intravenous injection, subcutaneous injection, intramuscular injec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transdermal administration, etc., preferably oral administration.
  • a suitable dosag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varies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formulation method, administration mode, age, weight, sex, pathological condition, food, administration time, administration route, excretion rate, and response sensitivity of the patient, usually Thus, a skilled physician can easily determine and prescribe an effective dosage for the desired treatment or prevention.
  • the daily dose of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1-10 g/kg.
  •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 unit dose form by formulating using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and/or excipient, or may be prepared by internalizing it in a multi-dose container.
  • the formulation may be in the form of a solution, suspension, or emulsion in oil or aqueous medium,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xtract, powder, granule, tablet or capsul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 dispersant or stabiliz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above structural formula 1 or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for preparing a medicament for the treatment of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treating a central nervous system disease, comprising administering to a mammal a compound represented by Structural Formula 1 or 2 or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 thereof.
  • the target compound was synthes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1 of Example 12.
  • the target compound was synthesized in the same manner as in Step 2 of Example 12.
  • biphenyl pyrrolidine/dihydroimidazole derivatives synthesized in the above Examples were formulated in various forms.
  • An injection was prepared by containing 100 mg of the compound of Example as an active ingredient, 180 mg of mannitol, Na 2 HPO 4 ⁇ 12H 2 O 26 mg, and distilled water 2974 mg as additional materials.
  • Test Example 1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inhibition (inhibition) measurement
  • HEK293 cells were cultured in 150 mm vessels for luminescence-based cAMP assays. Before transfection, the culture medium was prepared in DMEM containing 10% FBS, 100 U/mL penicillin and 100 ⁇ g/ml streptomycin in DMEM containing 10% dialyzed FBS, 100 U/mL penicillin and 100 ⁇ g/ml streptomycin. changed to After 4 hours, transfection was performed with 10 ⁇ g of human 5-HT 7 R plasmid and 10 ⁇ g of GloSensor-22F plasmid (Promega). Transfected cells were prepared in white, flat clear-bottom, 384-well plates (Greiner) (15,000 cells/well, 20 ⁇ l/well).
  • Table 1 shows the results of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inhibition (%) of Examples 1-22, which are biphenyl pyrrolidine derivatives, and Table 2 shows the results of Examples 23 to 44, which are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s. Results for the inhibition rate (%) of 5-HT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 Table 3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IC 50 values of the examples of the biphenyl pyrrolidine derivative
  • Table 4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IC 50 values of the examples of the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
  • Tango assays were performed using the HTLA cell line.
  • the culture medium was DMEM containing 10% FBS, 100 U/ml penicillin, 100 ⁇ g/ml streptomycin, 2 ⁇ g/ml puromycin, and 100 ⁇ g/ml hygromycin B.
  • 10% dialyzed FBS 100 U/ml It was replaced with DMEM containing mL penicillin and 100 ⁇ g/mL streptomycin. After 4 hours, transfection is performed with 20 ⁇ g of 5-HT 7 R-TCS-tTA construct (5-HT 7 R Tango DNA).
  • Transfected cells were prepared in white, flat clear-bottom, 384-well plates (Greiner) using DMEM containing 1% dialyzed FBS, 100 U/ml penicillin and 100 ⁇ g/ml streptomycin (15,000 cells/ml). well, 20 ⁇ l/well). After 6 hours, 10 ⁇ l of a new compound solution prepared by concentration was taken in the same culture medium. After 22 hours of incubation, remove the culture medium and take 20 ⁇ L of BrightGlo reagent (Promega) diluted in 1X HBSS, 1M HEPES, pH 7.4 buffer. Tecan microplate reader Spark The degree of light emission was measured using , and graphs and IC 50 values were obtained using Prism 8.0 program (GraphPad Software).
  • Table 5 shows the results of 5-HT 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inhibition (%) of Examples 1-22, which are biphenyl pyrrolidine derivatives, and Table 6 shows the results of Examples 23 to 44, which are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s. Results for the inhibition rate (%) of 5-HT7 serotonin receptor activity.
  • Table 7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IC 50 values of Example 1 which is a biphenyl pyrrolidine derivative and Example 1 which is a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
  • Example 21 18.6 Example 22 3.3
  • Example 23 44.2
  • Example 24 36.0
  • Example 26 23.1
  • Example 28 28.8
  • Example 29 17.2
  • Example 30 40.6
  • Example 32 11.9
  • Example 33 14.0
  • Example 34 31.6
  • Example 35 42.0
  • Example 36 44.8
  • Example 37 39.6
  • Example 38 31.7
  • Example 39 27.0
  • Example 40 31.3
  • Example 41 27.7
  • Example 42 23.4
  • Example 43 21.5
  • Example 44 9.8
  • test compound IC 50 ( ⁇ M) Example 1 22.9 Example 23 47.9 Example 25 10.5 Example 30 39.8 Example 35 20.4 Example 36 10.0
  • the biphenyl pyrrolidine/dihydroimidazole derivati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s found to be a competitive inhibitor in terms of mechanism as a result of the Schild plot while showing antagonistic activity on the 5-HT 7 recep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본 발명은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베타-어레스틴(β-arrestin) 시그널링 경로(signaling pathway)에서 5-HT7 세로토닌 수용체의 길항제로 작용하여 활성을 저해할 수 있는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신경전달물질인 세로토닌은 각 기관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14개의 다른 세로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다양한 생리학적 현상을 일으킨다. 각각의 수용체는 세로토닌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생리 반응을 유발한다. 이중 5-HT7 수용체는 가장 최근에 발견된 세로토닌 서브타입 수용체로서, 특히 시상하부, 시상, 해마, 피질 등에 많이 분포되어 있으며, 체온조절, 생체리듬, 학습과 기억, 수면, 및 해마 신호전달 등과 같은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우울증, 편두통, 불안, 발달장애 등의 질병과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등의 신경질환에도 관련이 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GPCR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G-단백질 활성에 따른 신호체계 외에도 베타-어레스틴(β-arrestin) 활성에 따른 신호체계도 존재하며 GPCR 리간드의 구조에 따라서 두 신호체계의 활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졌으며, 다양한 리간드들이 개발되고 있다. 5-HT7 수용체는 GPCR (G-protein coupled receptor)의 하나로 G-단백질 신호체계와 베타-어레스틴 신호체계가 존재하고 이들의 활성을 확인할 수 있는 어세이 시스템도 개발되어 있다(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18, 61, 7218). 이에 따르면 5-HT7 수용체 길항제로 잘 알려진 SB-269970은 G-단백질 신호체계에 대한 활성과 베타-어레스틴에 대한 활성이 모두 길항제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베타-어레스틴에 대한 활성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므로 다양한 베타-어레스틴 길항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0-17799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5-HT7 세로토닌 수용체에 대하여 베타-어레스틴 경로의 길항제로 작용함으로써 5-HT7 세로토닌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 바이페닐 피롤리딘/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바이페닐 피롤리딘/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도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수면 장애, 우울증, 편두통, 불안,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체온조절 장애, 생체리듬조절 장애,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포함하는 발달장애, 평활근 장애 등의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1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2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3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4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C1 내지 C4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 알콕시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4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5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6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7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8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09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0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2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산, 술폰산, 아미도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피롤리딘 또는 에틸렌다이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3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4
[구조식 A]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5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17 내지 R20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고,
상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6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7
[구조식 B]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8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21 내지 R24는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상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구조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스즈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구조식 C]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19
[구조식 D]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0
구조식 C 또는 D에서,
X1은 브로모기 또는 요오드기이고,
R25 및 R2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5는 수소원자이고, X1은 브로모기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R26은 클로로기이고, X1은 요오드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또 하나의 측면에 따르면,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1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2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4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5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6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7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8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29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0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수면 장애, 우울증, 편두통, 불안,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체온조절 장애, 생체리듬조절 장애, 자폐 스텍트럼장애 및 평활근 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이페닐 피롤리딘/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5-HT7 세로토닌 수용체에 대하여 우수한 결합친화력과 우수한 길항 활성을 나타냄으로써 5-HT7 세로토닌 수용체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5-HT7 길항 활성에 따라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억제가 요구되는 중추신경계 질환을 포함하는 뇌질환, 구체적으로, 우울증, 편두통, 불안,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체온조절 장애, 생체리듬조절 장애, 수면 장애, 자폐 스펙트럼장애를 포함하는 발달장애 및 평활근 관련 질환 등에 대해 예방 또는 치료 효과가 있다.
도 1은 시험예 2의 Tango assays에 대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시험예 2의 Tango assays에 대해 Schild plot을 이용하여 pA2 값을 측정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치환된"이란 적어도 하나의 수소원자가 중수소, C1 내지 C30 알킬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기, C2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기, C1 내지 C30 할로겐화알킬기, C6 내지 C30 아릴기,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기, C1 내지 C30 알콕시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콕시기,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콕시기, C2 내지 C30 알케닐기, C2 내지 C30 알키닐기, C6 내지 C30 아릴옥시기,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옥시기, 실릴옥시기(-OSiH3), -OSiR1H2(R1은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C6 내지 C30 아릴기), -OSiR1R2H(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C6 내지 C30 아릴기), -OSiR1R2R3,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C6 내지 C30 아릴기), C1 내지 C30 아실기, C2 내지 C30 아실옥시기, C2 내지 C30 헤테로아릴옥시기, C1 내지 C30 술포닐기, C1 내지 C30 알킬티올기, C3 내지 C30 시클로알킬티올기, C1 내지 C30 헤테로시클로알킬티올기, C6 내지 C30 아릴티올기, C1 내지 C30 헤테로아릴티올기, C1 내지 C30 인산아마이드기, 실릴기(SiR1R2R3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C6 내지 C30 아릴기), 아민기(-NRR')(여기에서, R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 내지 C30 알킬기, 및 C6 내지 C30 아릴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임), 카르복실기, 할로겐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아조기, 및 하이드록시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치환기 중 인접한 두 개의 치환기가 융합되어 포화 또는 불포화 고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3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6 내지 C30 아릴기" 등에서의 상기 알킬기 또는 아릴기의 탄소수 범위는 상기 치환기가 치환된 부분을 고려하지 않고 비치환된 것으로 보았을 때의 알킬 부분 또는 아릴 부분을 구성하는 전체 탄소수를 의미하는 것이다. 예컨대, 파라 위치에 부틸기가 치환된 페닐기는 탄소수 4의 부틸기로 치환된 탄소수 6의 아릴기에 해당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소"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일중수소, 이중수소, 또는 삼중수소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alkyl)기"란 별도의 정의가 없는 한,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한다.
알킬기는 어떠한 이중결합이나 삼할결합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포화 알킬(saturated alkyl)기" 일 수 있다.
알킬기는 적어도 하나의 이중결합 또는 삼중결합을 포함하고 있는 "불포화 알킬(unsaturated alkyl)기"일 수도 있다.
포화이든 불포화이든 간에 알킬기는 분쇄형, 직쇄형 또는 환형일 수 있다.
알킬기는 C1 내지 C30 알킬기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1 내지 C20 알킬기,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C1 내지 C6 알킬기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C1 내지 C4 알킬기는 알킬쇄에 1 내지 4 개의 탄소원자, 즉, 알킬쇄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iso-부틸, sec-부틸 및 t-부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됨을 나타낸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상기 알킬기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에테닐기, 프로페닐기, 부테닐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이란 2,6-다이아릴벤조옥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효능 또는 활성을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예로, 상기 2,6-다이아릴벤조옥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10 내지 1500 ㎍/㎖,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00 ㎍/㎖의 농도로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여기에 한저오디지 않으며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내에 포함되는 2,6-다이아릴벤조옥사졸 유도체의 양적 상한은 당업자가 적절한 범위 내에서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된다.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1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2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3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4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C1 내지 C4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 알콕시기일 수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4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5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6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7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8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39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0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2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산, 술폰산, 아미도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은 하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피롤리딘 또는 에틸렌다이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3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4
[구조식 A]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5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17 내지 R20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고, 상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B로 표시될 수 있다.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6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7
[구조식 B]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8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21 내지 R24는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상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구조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스즈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구조식 C]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49
[구조식 D]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0
구조식 C 또는 D에서,
X1은 브로모기 또는 요오드기이고,
R25 및 R2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5는 수소원자이고, X1은 브로모기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R26은 클로로기이고, X1은 요오드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1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2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그 부분을 참조하기로 한다.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수면 장애, 우울증, 편두통, 불안,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체온조절 장애, 생체리듬조절 장애, 자폐 스텍트럼장애 및 평활근 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보조제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제로는 부형제, 붕해제, 감미제, 결합제, 피복제, 팽창제, 윤활제, 활택제 또는 향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투여를 위해서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이외에 추가로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포함하여 약학 조성물로 바람직하게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제 형태는 과립제, 산제, 정제, 피복정, 캡슐제, 좌제, 액제, 시럽, 즙, 현탁제, 유제, 점적제 또는 주사 가능한 액제 등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제 또는 캡슐제의 형태로의 제제화를 위해, 유효 성분은 에탄올, 글리세롤, 물 등과 같은 경구, 무독성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불활성 담체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원하거나 필요한 경우, 적합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및 발색제 또한 혼합물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결합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젤라틴, 글루코스 또는 베타-락토오스와 같은 천연 당, 옥수수 감미제, 아카시아, 트래커캔스 또는 소듐올레이트와 같은 천연 및 합성 검, 소듐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클로라이드 등을 포함한다. 붕해제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녹말, 메틸 셀룰로스, 아가, 벤토니트, 잔탄 검 등을 포함한다.
액상 용액으로 제제화되는 조성물에 있어서 허용 가능한 약제학적 담체로는, 멸균 및 생체에 적합한 것으로서,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용액, 덱스트로즈 용액, 말토 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및 이들 성분 중 1 성분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 다른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희석제, 분산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및 윤활제를 부가적으로 첨가하여 수용액, 현탁액, 유탁액 등과 같은 주사용 제형, 환약, 캡슐, 과립 또는 정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할 수 있고, 비경구 투여인 경우에는 정맥내 주입, 피하 주입, 근육 주입, 복강 주입, 경피 투여 등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적합한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며, 보통으로 숙련된 의사는 소망하는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 및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0.001-10 g/㎏이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엑스제, 분말제, 과립제, 정제 또는 캅셀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분산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추신경계 질환 치료용 약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용도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유동물에 투여함을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화합물 1 제조
단계 1: [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의 제조
반응용기에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에 녹인 후, 70 ℃에서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반응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20:1)로 분리하여 화합물(91%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3
1H NMR (400 MHz, CDCl3) δ 10.12 (s, 1H), 8.13 (t, J = 1.8 Hz, 1H), 7.89 (dd, J = 7.7, 1.8 Hz, 2H), 7.68 - 7.61 (m, 3H), 7.54 - 7.48 (m, 2H), 7.46 - 7.41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92.35, 142.19, 139.72, 136.95, 133.08, 129.52, 129.03, 128.65, 128.22, 128.04, 127.17
단계 2: 1-([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반응용기에 단계 1에서 제조된 [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1.0 mmol)와 피롤리딘(2.0 mmol)을 넣고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아세트산(1.0 mmol)을 넣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을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3:1)로 분리하여 화합물 1(3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4
1H NMR (400 MHz, CDCl3) δ 7.67 - 7.61 (m, 2H), 7.61 - 7.58 (m, 1H), 7.53 - 7.49 (m, 1H), 7.49 - 7.39 (m, 3H), 7.39 - 7.32 (m, 2H), 3.72 (s, 2H), 2.61 - 2.51 (m, 4H), 1.85 - 1.79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1.50, 140.80, 136.50, 128.99, 128.78, 128.47, 128.43, 127.42, 127.20, 126.65, 59.54, 53.30, 23.28
실시예 2: 1-((2'-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86%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5
1H NMR (400 MHz, CDCl3) δ 7.42 - 7.31 (m, 2H), 7.34 - 7.27 (m, 2H), 7.30 - 7.23 (m, 2H), 7.21(dd, J = 7.1, 1.9 Hz, 2H), 3.62 (s, 2H), 2.52 - 2.46 (m, 4H), 1.77 - 1.69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0.59, 139.32, 139.17, 132.55, 131.45, 130.00, 129.91, 128.45, 128.20, 127.98, 127.94, 126.76, 60.63, 54.19, 23.50
실시예 3: 1-((3'-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6%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85%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6
1H NMR (400 MHz, CDCl3) δ 7.63 (t, J = 1.9 Hz, 1H), 7.57 (t, J = 1.8 Hz, 1H), 7.51 (dt, J = 7.5, 1.6 Hz, 1H), 7.48 (dt, J = 7.5, 1.7 Hz, 1H), 7.44 - 7.35 (m, 3H), 7.35 - 7.31 (m, 1H), 3.71 (s, 2H), 2.60 - 2.54 (m, 4H), 1.87 - 1.80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3.11, 140.19, 139.77, 134.60, 129.93, 128.80, 128.48, 127.60, 127.35, 127.21, 125.69, 125.39, 60.74, 54.26, 23.51
실시예 4: 1-((4'-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78%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77%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7
1H NMR (400 MHz, CDCl3) δ 7.59 - 7.53 (m, 3H), 7.47 (dt, J = 7.6, 1.7 Hz, 1H), 7.45 - 7.39 (m, 3H), 7.36 (dt, J = 7.4, 1.7 Hz, 1H), 3.71 (s, 2H), 2.62 - 2.53 (m, 4H), 1.87 - 1.79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0.12, 139.95, 139.69, 133.30, 128.84, 128.78, 128.47, 128.20, 127.49, 125.57, 60.74, 54.25, 23.50
실시예 5: 1-((2'-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3%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5(68%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8
1H NMR (400 MHz, CDCl3) δ 7.43 - 7.32 (m, 2H), 7.36 - 7.25 (m, 4H), 7.29 - 7.21 (m, 2H), 3.70 (s, 2H), 2.62 - 2.50 (m, 4H), 2.31 (s, 3H), 1.89 - 1.75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1.98, 141.84, 139.17, 135.35, 130.26, 129.83, 129.77, 127.96, 127.73, 127.40, 127.18, 125.70, 60.72, 54.19, 23.49, 20.53
실시예 6: 1-((3'-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6(83%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59
1H NMR (400 MHz, CDCl3) δ 7.59 (t, J = 1.9 Hz, 1H), 7.54 - 7.49 (dt, J = 7.5, 1.7 Hz, 1H), 7.47 - 7.39 (m, 3H), 7.38 - 7.33 (m, 2H), 7.19 (d, J = 7.5 Hz, 1H), 3.74 (s, 2H), 2.64 - 2.67 (m, 4H), 2.45 (s, 3H), 1.89 - 1.80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1.32, 141.19, 138.28, 128.65, 128.62, 128.03, 127.98, 127.91, 127.81, 125.86, 124.35, 60.72, 54.16, 23.46, 21.56
실시예 7: 1-((4'-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6%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7(52%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0
1H NMR (400 MHz, CDCl3) δ 7.59 (t, J = 1.8 Hz, 1H), 7.57 - 7.52 (m, 2H), 7.50 (dt, J = 7.6, 1.6 Hz, 1H), 7.40 (t, J = 7.6 Hz, 1H), 7.34 (dt, J = 7.6, 1.6 Hz, 1H), 7.27 (d, J = 8.2 Hz, 2H), 3.73 (s, 2H), 2.63 - 2.56 (m, 4H), 2.43 (s, 3H), 1.89 - 1.79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1.11, 139.67, 138.36, 136.95, 129.42, 128.63, 127.65, 127.56, 127.07, 125.59, 60.76, 54.18, 23.50, 21.11
실시예 8: 1-((2'-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2%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8(90%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1
1H NMR (400 MHz, CDCl3) δ 7.52 (t, J = 1.8 Hz, 1H), 7.49 - 7.44 (dt, J = 7.3, 1.7 Hz, 1H), 7.42 - 7.31 (m, 4H), 7.08 - 7.02 (td, J = 7.5, 1.1 Hz, 1H), 7.02 - 6.98 (dd, J = 8.2, 1.1 Hz, 1H), 3.83 (s, 3H), 3.75 (s, 2H), 2.71 - 2.55 (m, 4H), 1.90 - 1.80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56.49, 138.46, 138.25, 130.96, 130.67, 130.24, 128.59, 128.30, 127.93, 127.68, 120.82, 111.24, 60.56, 55.58, 54.02, 23.46
실시예 9: 1-((3'-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6%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9(78%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2
1H NMR (400 MHz, CDCl3) δ 7.48 (t, J = 1.7 Hz, 1H), 7.42 - 7.37 (dt, J = 7.5, 1.7 Hz, 1H), 7.33 - 7.22 (m, 3H), 7.14 - 7.09 (dt, J = 7.7, 1.3 Hz, 1H), 7.08 - 7.04 (m, 1H), 6.84 - 6.78 (ddd, J = 8.2, 2.6, 0.9 Hz, 1H), 3.78 (s, 3H), 3.61 (s, 2H), 2.48 (m, 4H), 1.76 - 1.68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59.93, 142.79, 141.06, 139.74, 129.69, 128.66, 128.09, 127.78, 125.84, 119.80, 112.99, 112.65, 60.74, 55.35, 54.21, 23.50
실시예 10: 1-((4'-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1%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0(95%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3
1H NMR (400 MHz, CDCl3) δ 7.61 - 7.55 (m, 3H), 7.50 - 7.45 (m, 1H), 7.40 (t, J = 7.5 Hz, 1H), 7.34 - 7.29 (m, 1H), 7.03 - 6.98 (m, 2H), 3.88 (s, 3H), 3.72 (s, 2H), 2.63 - 2.56 (m, 4H), 1.88 - 1.80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59.13, 140.78, 139.64, 133.77, 128.65, 128.24, 127.35, 127.32, 125.37, 114.15, 60.80, 55.36, 54.22, 23.50
실시예 11: 1-((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6-디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9%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1(6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4
1H NMR (400 MHz, CDCl3) δ 7.38 - 7.33 (m, 1H), 7.31 - 7.27 (m, 2H), 7.27 - 7.22 (m, 2H), 6.64 (d, J = 8.4 Hz, 2H), 3.71 (s, 6H), 3.70 (s, 2H), 2.61 - 2.56 (m, 4H), 1.82 - 1.77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57.70, 137.63, 133.93, 131.80, 129.61, 128.59, 127.60, 127.55, 119.59, 104.31, 60.49, 55.93, 53.88, 23.47
실시예 12: 1-((6-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단계 1: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히드의 제조
반응용기에 아이오딘(0.44 mmol)과 요오드산나트륨(0.22 mmol)을 넣고 황산(10 ml)에 녹인 후, 30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4-클로로벤즈알데히드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한다. 온도를 0 ℃로 낮추고 반응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생성되는 고체를 여과하였다. 여과된 고체를 싸이오황산 나트륨 용액에 넣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10:1)로 분리하여 화합물(73%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5
1H NMR (400 MHz, CDCl3) δ 9.85 (s, 1H), 8.28 (d, J = 1.9 Hz, 1H), 7.73 (dd, J = 8.2, 1.9 Hz, 1H), 7.55 (d, J = 8.2 Hz,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89.41, 145.07, 141.38, 135.70, 130.01, 129.96, 98.84
단계 2: 6-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의 제조
반응용기에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에 녹인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반응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20:1)로 분리하여 화합물(9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6
1H NMR (400 MHz, CDCl3) δ 10.05 (s, 1H), 7.88 (s, 1H), 7.83 (d, J = 8.0 Hz, 1H), 7.68 (d, J = 8.1 Hz, 1H), 7.55 - 7.43 (m, 5H)
13C NMR (100MHz, CDCl3) δ 190.96, 141.56, 139.21, 138.09, 135.02, 132.62, 130.90, 129.33, 129.05, 128.32, 128.27.
단계 3: 1-((6-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반응용기에 6-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1.0 mmol)와 피롤리딘(2.0 mmol)을 넣고 메탄올에 용해시킨 후, 아세트산(1.0 mmol)을 넣고 상온에서 2시간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을 넣고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3:1)로 분리하여 화합물 12(44%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7
1H NMR (400 MHz, CDCl3) δ 7.51 - 7.38 (m, 6H), 7.35 (d, J = 2.2 Hz, 1H), 7.29 (dd, J = 8.0, 2.4 Hz, 1H), 3.65 (s, 2H), 2.60 - 2.51 (m, 4H), 1.86 - 1.78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0.19, 139.48, 138.37, 131.75, 130.78, 129.73, 129.52, 128.96, 127.99, 127.54, 59.93, 54.19, 23.50
실시예 13: 1-((2',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7%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3(58%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8
1H NMR (400 MHz, CDCl3) δ 7.49 - 7.45 (m, 1H), 7.41 (d, J = 8.2 Hz, 1H), 7.34 - 7.27 (m, 4H), 7.25 (d, J = 2.1 Hz, 1H), 3.62 (s, 2H), 2.55 - 2.49 (m, 4H), 1.79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38.43, 138.09, 138.01, 133.55, 131.73, 131.52, 131.29, 129.64, 129.41, 129.18, 129.15, 126.44, 59.85, 54.14, 23.51
실시예 14: 1-((3',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4(60%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69
1H NMR (400 MHz, CDCl3) δ 7.45 - 7.42 (m, 1H), 7.40 (d, J = 7.9 Hz, 1H), 7.36 - 7.31 (m, 3H), 7.30 - 7.25 (m, 2H), 3.61 (s, 2H), 2.55 - 2.47 (m, 4H), 1.83 - 1.75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41.16, 138.82, 138.64, 133.86, 131.49, 130.64, 129.82, 129.59, 129.42, 129.22, 127.81, 127.66, 59.88, 54.21, 23.51
실시예 15: 1-((4',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77%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5(42%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0
1H NMR (400 MHz, CDCl3) δ 7.41 - 7.37 (m, 5H), 7.29 - 7.24 (m, 2H), 3.61 (s, 2H), 2.55 - 2.48 (m, 4H), 1.82 - 1.75 (m, 4H)
13C NMR (100MHz, CDCl3) δ 139.00, 138.62, 137.84, 133.64, 131.49, 130.88, 130.67, 129.82, 129.26, 128.22, 59.89, 54.21, 23.51
실시예 16: 1-((6-클로로-2'-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7%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6(62%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1
1H NMR (400 MHz, CDCl3) δ 7.43 (d, J = 8.2 Hz, 1H), 7.37 - 7.29 (m, 1H), 7.33 - 7.22 (m, 3H), 7.23 (d, J = 2.2 Hz, 1H), 7.18 (dd, J = 7.4, 1.4 Hz, 1H), 3.65 (s, 2H), 2.60 - 2.50 (m, 4H), 2.15 (s, 3H), 1.82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40.27, 139.44, 137.99, 136.24, 131.71, 131.40, 129.76, 129.45, 129.15, 129.04, 127.85, 125.46, 59.88, 54.13, 23.49, 19.84
실시예 17: 1-((6-클로로-3'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3'-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7%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7(60%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2
1H NMR (400 MHz, CDCl3) δ 7.32 (d, J = 8.1 Hz, 1H), 7.24 - 7.15 (m, 5H), 7.11 (d, J = 7.2 Hz, 1H), 3.54 (s, 2H), 2.44 (m, 4H), 2.33 (s, 3H), 1.76 - 1.68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40.32, 139.41, 138.20, 137.61, 131.75, 130.79, 130.17, 129.68, 128.88, 128.29, 127.85, 126.60, 59.93, 54.17, 23.49, 21.49
실시예 18: 1-((6-클로로-4'메틸-[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4'-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64%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68%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3
1H NMR (400 MHz, CDCl3) δ 7.43 (d, J = 8.1 Hz, 1H), 7.39 (d, J = 7.8 Hz, 2H), 7.33 (d, J = 2.1 Hz, 1H), 7.29 - 7.25 (m, 3H), 3.65 (s, 2H), 2.55 (m, 4H), 2.44 (s, 3H), 1.87 - 1.76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40.15, 138.20, 137.31, 136.57, 131.78, 130.85, 129.71, 129.38, 128.78, 128.72, 59.90, 54.15, 23.49, 21.27
실시예 19: 1-((6-클로로-2'-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5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19(72%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4
1H NMR (400 MHz, CDCl3) δ 7.41 - 7.33 (m, 2H), 7.28 - 7.22 (m, 2H), 7.22 - 7.17 (dd, J = 7.5, 1.8 Hz, 1H), 7.03 - 6.98 (td, J = 7.5, 1.1 Hz, 1H), 6.98 - 6.94 (dd, J = 7.2, 1.2 Hz, 1H), 3.77 (s, 3H), 3.61 (s, 2H), 2.56 - 2.46 (m, 4H), 1.83 - 1.74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56.80, 137.78, 137.40, 132.23, 132.09, 131.10, 129.30, 129.07, 128.97, 128.67, 120.32, 111.01, 59.94, 55.64, 54.16, 23.51
실시예 20: 1-((6-클로로-3'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3'-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4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8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5
1H NMR (400 MHz, CDCl3) δ 7.45 (d, J = 8.1 Hz, 1H), 7.40 - 7.35 (m, 2H), 7.33 - 7.29 (dd, J = 8.2, 2.2 Hz, 1H), 7.10 - 7.06 (dt, J = 7.6, 1.2 Hz, 1H), 7.05 (t, J = 2.1 Hz, 1H), 6.99 - 6.93 (dd, J = 8.2, 2.2 Hz, 1H), 3.87 (s, 3H), 3.66 (s, 2H), 2.56 (m, 4H), 1.83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59.20, 140.80, 140.07, 138.19, 131.69, 130.80, 129.77, 129.05, 129.02, 121.99, 115.24, 113.15, 59.87, 55.33, 54.18, 23.51
실시예 21: 1-((6-클로로-4'-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4'-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55%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1(84%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6
1H NMR (400 MHz, CDCl3) δ 7.45 - 7.39 (m, 3H), 7.33 (d, J = 2.2 Hz, 1H), 7.28 - 7.24 (dd, J = 8.1, 2.2 Hz, 1H), 7.01 - 6.97 (m, 2H), 3.88 (s, 3H), 3.64 (s, 2H), 2.59 - 2.52 (m, 4H), 1.85 - 1.79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59.08, 139.81, 138.18, 131.86, 131.77, 130.92, 130.68, 129.73, 128.65, 113.43, 59.92, 55.30, 54.17, 23.49
실시예 22: 1-((6-클로로-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일메틸)피롤리딘의 제조
실시예 12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6-디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2% 수득률)와 피롤리딘(2.0 mmol), 아세트산(1.0 mmol),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3.0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2(70%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7
1H NMR (400 MHz, CDCl3) δ 7.40 (d, J = 8.1 Hz, 1H), 7.31 (t, J = 8.3 Hz, 1H), 7.24 (dd, J = 8.2, 2.1 Hz, 1H), 7.20 (d, J = 2.2 Hz, 1H), 6.64 (d, J = 8.4 Hz, 2H), 3.72 (s, 6H), 3.62 (s, 2H), 2.56 - 2.50 (m, 4H), 1.81 - 1.75 (m, 4H)
13C NMR (100 MHz, CDCl3) δ 157.85, 137.14, 133.43, 133.02, 133.00, 129.39, 128.93, 128.89, 117.17, 104.11, 59.88, 55.99, 53.98, 23.49
실시예 23: 2-([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단계 1: [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의 제조
반응용기에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에 녹인 후, 70℃에서 24시간 동안 가열 환류하였다. 온도를 상온으로 낮추고 반응 혼합물에 증류수를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아세트산에틸 = 20:1)로 분리하여 목적 화합물(91%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8
1H NMR (400 MHz, CDCl3) δ 10.12 (s, 1H), 8.13 (t, J = 1.8 Hz, 1H), 7.89 (dd, J = 7.7, 1.8 Hz, 2H), 7.68 - 7.61 (m, 3H), 7.54 - 7.48 (m, 2H), 7.46 - 7.41 (m, 1H)
13C NMR (100 MHz, CDCl3) δ 192.35, 142.19, 139.72, 136.95, 133.08, 129.52, 129.03, 128.65, 128.22, 128.04, 127.17
단계 2: 2-([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반응용기에 단계 1에서 제조된 [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1.0 mmol)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을 넣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0℃에서 1시간 교반한다. 같은 온도 조건에서 반응 혼합물에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첨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로 분리하여 화합물 23(53%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79
1H NMR (400 MHz, DMSO-d6) δ 8.12 (t, J = 1.8 Hz, 1H), 7.87 - 7.82 (dt, J = 7.7, 1.4 Hz, 1H), 7.78 - 7.74 (dt, J = 7.8, 1.5 Hz, 1H), 7.74 - 7.69 (m, 2H), 7.56 - 7.46 (m, 3H), 7.44 - 7.36 (m, 1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99, 140.54, 140.16, 131.73, 129.46, 129.33, 128.86, 128.17, 127.22, 126.64, 125.81, 50.12
실시예 24: 2-(2'-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4(90%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0
1H NMR (400 MHz, DMSO-d6) δ 7.91 - 7.86 (m, 2H), 7.61 - 7.57 (m, 1H), 7.57 - 7.52 (m, 2H), 7.47 - 7.42 (m, 3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88, 139.75, 139.14, 131.97, 131.78, 131.68, 130.62, 130.33, 129.93, 128.68, 128.46, 128.05, 126.99, 49.81
실시예 25: 2-(3'-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6%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5(65%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1
1H NMR (400 MHz, DMSO-d6) δ 8.17 (t, J = 1.8 Hz, 1H), 7.95 - 7.90 (m, 1H), 7.84 (dt, J = 8.0, 1.4 Hz, 1H), 7.81 (t, J = 1.9 Hz, 1H), 7.71 (dt, J = 7.6, 1.4 Hz, 1H), 7.54 (dt, J = 16.0, 7.8 Hz, 2H), 7.46 (dt, J = 8.2, 1.4 Hz, 1H), 3.71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03, 142.03, 139.07, 134.32, 131.30, 130.42, 129.63, 129.62, 128.11, 127.50, 126.97, 126.15, 125.94, 49.24
실시예 26: 2-(4'-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78%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58%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2
1H NMR (400 MHz, DMSO-d6) δ 8.11 (t, J = 1.8 Hz, 1H), 7.88 - 7.84 (dt, J = 7.7, 1.4 Hz, 1H), 7.79 - 7.73 (m, 3H), 7.58 - 7.51 (m, 3H), 3.65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89, 139.19, 138.91, 133.10, 131.62, 129.47, 129.43, 128.98, 128.88, 127.00, 125.74, 50.01
실시예 27: 2-(2'-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3%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7(27%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3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 7.84 (dt, J = 7.7, 1.6 Hz, 1H), 7.82 - 7.79 (t, J = 1.7 Hz, 1H), 7.54 - 7.47 (t, J = 7.6 Hz, 1H), 7.47 - 7.42 (dt, J = 7.6, 1.5 Hz, 1H), 7.33 - 7.21 (m, 4H), 3.64 (s, 4H), 2.23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04, 141.69, 141.20, 135.19, 131.42, 130.83, 130.54, 129.97, 128.66, 128.14, 128.03, 126.46, 126.26, 49.77, 20.58
실시예 28: 2-(3'-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8(54%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4
1H NMR (400 MHz, DMSO-d6) δ 8.10 (t, J = 1.8 Hz, 1H), 7.85 - 7.81 (dt, J = 7.8, 1.4 Hz, 1H), 7.77 - 7.72 (dt, J = 7.9, 1.4 Hz, 1H), 7.55 - 7.47 (m, 3H), 7.38 (t, J = 7.6 Hz, 1H), 7.21 (d, J = 7.5 Hz, 1H), 3.64 (s, 4H), 2.40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99, 140.62, 140.11, 138.62, 131.68, 129.35, 129.27, 128.83, 128.80, 127.85, 126.54, 125.77, 124.33, 50.21, 21.58
실시예 29: 2-(4'-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6%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29(47%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5
1H NMR (400 MHz, DMSO-d6) δ 8.12 - 8.09 (t, J = 1.8 Hz, 1H), 7.84 - 7.79 (dt, J = 7.8, 1.4 Hz, 1H), 7.78 - 7.73 (dt, J = 8.0, 1.4 Hz, 1H), 7.65 - 7.59 (m, 2H), 7.51 (t, J = 7.7 Hz, 1H), 7.33 - 7.28 (m, 2H), 3.66 (s, 4H), 2.36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11, 140.47, 137.57, 137.14, 131.12, 130.06, 129.35, 128.85, 127.03, 126.40, 125.60, 49.75, 21.15
실시예 30: 2-(2'-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2%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0(82%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6
1H NMR (400 MHz, DMSO-d6) δ 7.91 (t, J = 1.8 Hz, 1H), 7.80 - 7.76 (dt, J = 7.7, 1.4 Hz, 1H), 7.59 - 7.54 (dt, J = 7.7, 1.4 Hz, 1H), 7.48 - 7.42 (t, J = 7.7 Hz, 1H), 7.41 - 7.35 (ddd, J = 8.2, 7.3, 1.8 Hz, 1H), 7.34 -7.30 (dd, J = 7.5, 1.8 Hz, 1H), 7.16 - 7.11 (dd, J = 8.3, 1.1 Hz, 1H), 7.08 - 7.03 (td, J = 7.4, 1.1 Hz, 1H), 3.77 (s, 3H), 3.62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14, 156.58, 138.57, 131.56, 130.93, 130.90, 129.80, 129.60, 128.43, 128.29, 126.05, 121.25, 112.21, 55.99, 50.05
실시예 31: 2-(3'-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6%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1(73%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7
1H NMR (400 MHz, DMSO-d6) δ 8.08 (t, J = 1.7 Hz, 1H), 7.88 - 7.82 (dt, J = 7.7, 1.3 Hz, 1H), 7.79 - 7.74 (ddd, J = 7.8, 1.9, 1.1 Hz, 1H), 7.51 (t, J = 7.7 Hz, 1H), 7.41 (t, J = 7.9 Hz, 1H), 7.31 - 7.25 (ddd, J = 7.7, 1.7, 0.9 Hz, 1H), 7.25 - 7.23 (m, 1H), 7.00 - 6.95 (ddd, J = 8.2, 2.6, 0.9 Hz, 1H), 3.84 (s, 3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94, 160.27, 141.66, 140.42, 131.67, 130.53, 129.28, 128.98, 126.79, 125.83, 119.55, 113.73, 112.75, 55.64, 50.07
실시예 32: 2-(4'-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1%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2(60%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8
1H NMR (400 MHz, DMSO-d6) δ 8.07 (t, J = 1.8 Hz, 1H), 7.82 - 7.77 (dt, J = 7.7, 1.4 Hz, 1H), 7.74 - 7.69 (dt, J = 7.9, 1.4 Hz, 1H), 7.69 - 7.63 (m, 2H), 7.48 (t, J = 7.7 Hz, 1H), 7.08 - 7.02 (m, 2H), 3.81 (s, 3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08, 159.56, 140.17, 132.46, 131.64, 129.24, 128.33, 128.30, 125.93, 125.27, 114.88, 55.65, 50.06
실시예 33: 2-(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23의 합성 방법으로 3-브로모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6-디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9%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3(55%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89
1H NMR (400 MHz, DMSO-d6) δ 7.78 - 7.74 (dt, J = 7.8, 1.5 Hz, 1H), 7.68 (t, J = 1.7 Hz, 1H), 7.42 (t, J = 7.7 Hz, 1H), 7.36 - 7.28 (m, 2H), 6.76 (d, J = 8.4 Hz, 2H), 3.66 (s, 6H), 3.62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31, 157.61, 134.76, 133.36, 130.02, 129.98, 129.70, 128.00, 125.87, 118.56, 104.81, 56.16, 49.71
실시예 34: 2-(6-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단계 1: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히드의 제조
실시예 12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단계 2: 6-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의 제조
실시예 12의 단계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목적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단계 3: 2-(6-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반응용기에 6-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1.0 mmol)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을 넣고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0℃에서 1시간 교반한다. 같은 온도 조건에서 반응 혼합물에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첨가한 다음, 24시간 동안 교반한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탄산수소 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디클로로메탄으로 추출하여 얻은 유기층을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감압 농축 시키고 얻은 농축액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디클로로메탄:메탄올 = 20:1)로 분리하여 화합물 34(34%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0
1H NMR (400 MHz, DMSO-d6) δ 7.88 - 7.84 (m, 2H), 7.67 - 7.63 (m, 1H), 7.53 - 7.43 (m, 5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01, 140.09, 138.73, 133.68, 130.49, 130.33, 129.87, 129.69, 128.77, 128.47, 128.17, 49.92
실시예 35: 2-(2',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2',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7%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5(50%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1
1H NMR (400 MHz, DMSO-d6) δ 7.92 (dd, J = 8.4, 2.2 Hz, 1H), 7.79 (d, J = 2.1 Hz, 1H), 7.67 (d, J = 8.4 Hz, 1H), 7.64 - 7.58 (m, 1H), 7.51 - 7.44 (m, 2H), 7.41 - 7.36 (m, 1H), 3.63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2.84, 138.08, 137.74, 134.85, 132.82, 131.73, 130.60, 130.26, 129.78, 129.76, 129.61, 128.92, 127.78, 49.93
실시예 36: 2-(3',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3',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8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6(49%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2
1H NMR (400 MHz, DMSO-d6) δ 7.93 - 7.89 (m, 2H), 7.73 - 7.68 (m, 1H), 7.58 - 7.51 (m, 3H), 7.49 - 7.44 (m, 1H), 3.70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10, 140.49, 138.74, 134.29, 133.46, 130.69, 130.68, 130.61, 129.45, 128.87, 128.68, 128.58, 128.57, 49.13
실시예 37: 2-(4',6-디클로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클로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4',6-디클로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77%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7(43%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3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 7.86 (m, 2H), 7.67 - 7.64 (m, 1H), 7.58 - 7.54 (m, 2H), 7.52 - 7.48 (m, 2H), 3.64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2.96, 138.84, 137.46, 133.71, 133.44, 131.59, 130.42, 129.82, 128.81, 128.52, 49.83
실시예 38: 2-(6-클로로-2'-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7%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8(57%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4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dd, J = 8.4, 2.2 Hz, 1H), 7.74 (d, J = 2.2 Hz, 1H), 7.66 (d, J = 8.4 Hz, 1H), 7.36 - 7.32 (m, 2H), 7.32 - 7.26 (m, 1H), 7.17 - 7.12 (m, 1H), 3.65 (s, 4H), 2.06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07, 140.29, 138.76, 135.93, 134.95, 130.34, 130.21, 129.82, 129.64, 129.10, 128.71, 128.39, 126.28, 49.59, 19.84
실시예 39: 2-(6-클로로-3'-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3'-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76%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39(47%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5
1H NMR (400 MHz, DMSO-d6) δ 7.87 - 7.81 (m, 2H), 7.66 - 7.61 (m, 1H), 7.38 (td, J = 7.3, 1.1 Hz, 1H), 7.29 - 7.22 (m, 3H), 3.65 (s, 4H), 2.38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08, 140.24, 138.66, 138.02, 133.82, 130.51, 130.33, 130.21, 129.56, 129.08, 128.62, 128.11, 126.80, 49.75, 21.46
실시예 40: 2-(6-클로로-4'-메틸-[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틸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Cl2(PPh3)2(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4'-메틸-[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64%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0(7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6
1H NMR (400 MHz, DMSO-d6) δ 7.89 - 7.82(m, 2H), 7.67 - 7.61 (m, 1H), 7.36 (d, J = 7.8 Hz, 2H), 7.29 (d, J = 7.9 Hz, 2H), 3.66 (s, 4H), 2.37 (s, 3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17, 140.11, 137.87, 135.75, 134.03, 130.57, 130.37, 129.57, 129.32, 128.04, 49.58, 21.26
실시예 41: 2-(6-클로로-2'-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5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1(96%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7
1H NMR (400 MHz, DMSO-d6) δ 7.85 - 7.81 (dd, J = 8.3, 2.2 Hz, 1H), 7.75 (d, J = 2.1 Hz, 1H), 7.58 (d, J = 8.3 Hz, 1H), 7.43 (ddd, J = 8.2, 7.4, 1.8 Hz, 1H), 7.20 - 7.16 (dd, J = 7.4, 1.8 Hz, 1H), 7.15 - 7.11 (dd, J = 8.4, 1.0 Hz, 1H), 7.07 - 7.02 (td, J = 7.4, 1.0 Hz, 1H), 3.73 (s, 3H), 3.62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09, 156.78, 137.79, 135.38, 130.96, 130.81, 130.30, 129.51, 129.45, 128.02, 127.78, 120.80, 111.83, 55.88, 49.96
실시예 42: 2-(6-클로로-3'-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3-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3'-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4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2(37% 수득률)를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8
1H NMR (400 MHz, DMSO-d6) δ 7.88 - 7.83 (m, 2H), 7.65 - 7.59 (m, 1H), 7.44 - 7.37 (m, 1H), 7.05 - 6.99 (m, 3H), 3.81 (s, 3H), 3.62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2.95, 159.50, 140.09, 139.92, 133.51, 130.35, 130.28, 130.13, 129.85, 128.17, 121.99, 115.35, 113.96, 55.65, 50.11
실시예 43: 2-(6-클로로-4'-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4-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4'-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55%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3(72% 수득률)을 얻었다.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099
1H NMR (400 MHz, DMSO-d6) δ 7.87 - 7.79 (m, 2H), 7.63 (d, J = 8.3 Hz, 1H), 7.45 - 7.38 (m, 2H), 7.08 - 7.02 (m, 2H), 3.82 (s, 3H), 3.65 (s, 4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3.16, 159.51, 139.81, 133.99, 130.98, 130.85, 130.54, 130.37, 129.44, 127.80, 114.20, 55.68, 49.66
실시예 44: 2-(6-클로로-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일)-4,5-디하이드로-1H-이미다졸의 제조
실시예 34의 합성 방법으로 4-클로로-3-요오도벤즈알데하이드(1.0 mmol), 2,6-디메톡시페닐보로닉엑시드(1.2 mmol), Pd(PPh3)4(0.1 mmol) 및 Na2CO3(4.0 mmol)을 사용하여 얻은 화합물 6-클로로-2',6'-디메톡시-[1,1'-바이페닐]-3-카르발데히드(92% 수득률)와 에틸렌다이아민(1.2 mmol), N-브로모숙신이미드(1.2 mmol)를 이용하여 화합물 44(67% 수득률)를 얻었다.
1H NMR (400 MHz, DMSO-d6) δ 7.99 - 7.94 (dd, J = 8.4, 2.4 Hz, 1H), 7.87 - 7.81 (m, 2H), 7.43 (t, J = 8.4 Hz, 1H), 6.81 (d, J = 8.4 Hz, 2H), 3.98 (s, 4H), 3.69 (s, 6H)
13C NMR (100 MHz, DMSO-d6) δ 164.29, 157.57, 140.66, 135.57, 132.84, 131.09, 130.55, 129.11, 121.70, 114.77, 104.69, 56.30, 45.21
[제조예]
상기 실시예에서 합성한 바이페닐 피롤리딘/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를 여러 형태로 제제화하였다.
제조예 1: 가압 방식의 정제
실시예에서 합성한 활성성분 5.0 mg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4.1 mg, 크로스포비돈 USNF 0.8 mg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1 mg을 혼합하고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조예 2: 습식 조립 방식의 정제
실시예에서 합성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 락토스 16.0 ㎎과 녹말 4.0 ㎎을 섞었다. 폴리솔베이트 80 0.3 ㎎을 순수한 물에 녹인 후 이 용액의 적당량을 첨가한 다음, 미립화하였다. 건조 후에 미립을 체질한 후 콜로이달 실리콘 디옥사이드 2.7 ㎎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2.0 ㎎과 섞었다. 미립을 가압하여 정제로 만들었다.
제조예 3: 분말과 캡슐제
실시예에서 합성한 활성성분 5.0 ㎎을 체로 친 후에, 락토스 14.8 ㎎, 폴리비닐 피롤리돈 10.0 ㎎,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와 함께 섞은 후, 단단한 No. 5 젤라틴 캡슐에 채웠다.
제조예 4: 주사제
활성성분으로써 실시예의 화합물 100 mg을 함유시키고, 부가재료로써 만니톨 180 mg, Na2HPO4ㆍ12H2O 26 mg 및 증류수 2974 mg를 함유시켜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시험예 1: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율(inhibition) 측정
a) cAMP assays
발광을 기반으로 하는 cAMP assays를 위해 HEK293 세포를 150mm 용기에 배양하였다. 트랜스펙션(transfection) 전, 배양액을 10% FBS, 100 U/mL 페니실린과 100 ㎍/㎖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에서 10% dialyzed FBS, 100 U/mL 페니실린과 100 ㎍/㎖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으로 바꿔주었다. 4시간 후, human 5-HT7R 플라스미드 10㎍과 GloSensor-22F 플라스미드 (Promega) 10㎍으로 트랜스펙션을 진행하였다. 트랜스펙션된 세포를 white, flat clear-bottom, 384-well plates (Greiner)에 준비하였다(15,000 cells/well, 20 ㎕/well). 6시간 후 배양액을 제거한 후, 각 세포에 1X HBSS, 1M HEPES, pH 7.4 완충액에 루시페린(luciferin)이 포함된 3% Glosensor cAMP reagent 20 ㎕를 취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을 0.1% bovine serum albumin 를 포함하는 분석 버퍼에 농도별로 준비하였다. 30분 후, 각 세포에 신규 화합물 용액을 10 ㎕씩 취하였다. Tecan microplate reader Spark 를 이용하여 발광 정도를 측정하였고, Prism 8.0 program (GraphPad Software)를 이용하여 IC50값을 얻었다.
하기 표 1은 바이페닐 피롤리딘 유도체인 실시예 1 내지 22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율(%)에 대한 결과이고, 표 2는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인 실시예 23 내지 44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율(%)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하기 표 3은 바이페닐 피롤리딘 유도체인 실시예들의 IC50값 측정 결과이고, 표 4는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인 실시예들의 IC50값 측정 결과이다.
화합물 % inhibition (10 μM)
화합물 1 42.1
화합물 2 62.6
화합물 3 85.9
화합물 4 38.1
화합물 5 49.5
화합물 6 38.9
화합물 7 32.5
화합물 8 57.1
화합물 9 67.2
화합물 10 37.9
화합물 11 32.8
화합물 12 80.8
화합물 13 90.7
화합물 14 51.1
화합물 15 63.8
화합물 16 73.3
화합물 17 51.8
화합물 18 73.4
화합물 19 51.8
화합물 20 70.1
화합물 21 44.7
화합물 22 42.7
화합물 % inhibition (10 μM)
화합물 23 83.3
화합물 24 47.6
화합물 25 50.9
화합물 26 43.0
화합물 27 55.3
화합물 28 44.6
화합물 29 35.2
화합물 30 94.1
화합물 31 72.5
화합물 32 40.8
화합물 33 32.8
화합물 34 48.4
화합물 35 53.8
화합물 36 52.4
화합물 37 43.3
화합물 38 51.4
화합물 39 48.1
화합물 40 48.9
화합물 41 44.3
화합물 42 49.8
화합물 43 36.8
화합물 44 48.4
화합물 IC50 (μM)
화합물 2 9.51
화합물 3 4.88
화합물 9 6.44
화합물 12 4.89
화합물 13 3.20
화합물 15 7.15
화합물 16 6.42
화합물 18 8.20
화합물 20 7.48
화합물 IC50 (μM)
화합물 23 5.10
화합물 30 2.58
화합물 31 5.77
b) Tango assay
베타-어레스틴 신호 전달 체계에서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HTLA 세포라인을 사용하여 Tango assays를 진행하였다. 배양액은 10% FBS, 100 U/㎖ 페니실린과 100 ㎍/㎖ streptomycin, 2 ㎍/㎖ puromycin, 100 ㎍/㎖ hygromycin B이 포함된 DMEM을 사용하였고 트랜스펙션 전, 10% dialyzed FBS, 100 U/mL 페니실린과 100 ㎍/㎖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으로 바꿔주었다. 4시간 후, 5-HT7R-TCS-tTA construct (5-HT7R Tango DNA) 20 ㎍으로 Transfection을 진행한다. 트랜스펙션된 세포를 1% dialyzed FBS, 100 U/㎖ 페니실린과 100 ㎍/㎖ streptomycin이 포함된 DMEM을 사용하여 white, flat clear-bottom, 384-well plates (Greiner)에 준비하였다(15,000 cells/well, 20 ㎕/well). 6시간 후, 같은 배양액에 농도별로 준비한 신규 화합물 용액 10 ㎕씩 취하였다. 22시간 배양 후, 배양액을 제거한 뒤 1X HBSS, 1M HEPES, pH 7.4 완충액에 묽힌 BrightGlo reagent (Promega)를 20 μL씩 취한다. Tecan microplate reader Spark 를 이용하여 발광 정도를 측정하였고, Prism 8.0 program (GraphPad Software)를 이용하여 그래프 및 IC50값을 얻었다.
하기 표 5는 바이페닐 피롤리딘 유도체인 실시예 1 내지 22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율(%)에 대한 결과이고, 표 6은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인 실시예 23 내지 44의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율(%)에 대한 결과이다.
또한, 하기 표 7은 바이페닐 피롤리딘 유도체인 실시예 1과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인 실시예들의 IC50값 측정 결과이다.
화합물 % inhibition (10 μM)
실시예 1 17.5
실시예 2 29.9
실시예 3 33.2
실시예 4 14.1
실시예 5 25.0
실시예 6 22.0
실시예 7 20.6
실시예 8 18.0
실시예 9 16.7
실시예 10 23.1
실시예 11 5.1
실시예 12 26.1
실시예 13 50.5
실시예 14 27.9
실시예 15 34.3
실시예 16 30.9
실시예 17 11.4
실시예 18 21.5
실시예 19 19.7
실시예 20 26.0
실시예 21 18.6
실시예 22 3.3
실험화합물 % inhibition (10 μM)
실시예 23 44.2
실시예 24 36.0
실시예 25 43.6
실시예 26 23.1
실시예 27 23.0
실시예 28 28.8
실시예 29 17.2
실시예 30 40.6
실시예 31 27.8
실시예 32 11.9
실시예 33 14.0
실시예 34 31.6
실시예 35 42.0
실시예 36 44.8
실시예 37 39.6
실시예 38 31.7
실시예 39 27.0
실시예 40 31.3
실시예 41 27.7
실시예 42 23.4
실시예 43 21.5
실시예 44 9.8
실험화합물 IC50 (μM)
실시예 1 22.9
실시예 23 47.9
실시예 25 10.5
실시예 30 39.8
실시예 35 20.4
실시예 36 10.0
시험예 2: Tango assays에 대한 Schild plot 실험
특정 화합물에 대해 β-arrestin mediated signaling pathway의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Tango assays에 대한 Schild plot 실험을 진행하였다. 시험예 1의 b)와 같이 배양 및 배양액을 바꿔주고, 트랜스펙션 및 plate에 세포를 준비하였다. 6시간 후, 같은 배양액에 농도별로 준비한 세로토닌 용액 10 ㎕, 그리고 특정 화합물의 최종 농도가 5 μM, 10 μM, 30 μM이 되는 농도별로 10 ㎕씩 취하였다. 22시간 배양 후, Tecan microplate reader Spark 를 이용하여 발광 정도를 측정하였고, Prism 8.0 program (GraphPad Software)를 이용하여 그래프 및 EC50값을 구하였고, 엑셀을 활용하여 pA2값을 얻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 23과 화합물 30은 Tango assay에 대해 Schild plot을 이용하여 pA2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도 1, 도 2 및 하기 표 8에 정리하였다.
화합물 pA2
실시예 23 5.24
실시예 30 5.90
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페닐 피롤리딘/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는 5-HT7 수용체에 대한 길항 활성을 보이면서 Schild plot 결과 메카니즘 상으로 경쟁적 저해제(competative inhibitor)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치환기의 종류에 따라서 치환기의 구조 및 물성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상기 실시예의 반응 원리 및 조건은 상기 실시예가 포괄하지 않는 치환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당업자라면 상기 실시예의 개시 내용과 당업계의 상식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예가 포괄하지 않는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제조하고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자명하다.

Claims (13)

  1.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0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1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2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3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클로로기, C1 내지 C4 알킬기, 또는 C1 내지 C4 알콕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44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5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6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7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8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09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0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1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염산, 브롬산, 술폰산, 아미도황산, 인산, 질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숙신산, 글리콜산, 스테아르산, 젖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파라톨루엔설폰산 및 메탄설폰산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이용하여 형성된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6. 하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피롤리딘 또는 에틸렌다이아민과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의 제조방법;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2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3
    [구조식 A]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4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17 내지 R20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3 또는 4로 표시되고,
    상기 구조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의 제조방법;
    [구조식 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5
    [구조식 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6
    [구조식 B]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7
    구조식 3 또는 4에서,
    R9 내지 R1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고,
    구조식 B에서,
    R21 내지 R24는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구조식 C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하기 구조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스즈끼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의 제조방법;
    [구조식 C]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8
    [구조식 D]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19
    구조식 C 또는 D에서,
    X1은 브로모기 또는 요오드기이고,
    R25 및 R26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9. 제8항에 있어서,
    R25는 수소원자이고, X1은 브로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R26은 클로로기이고, X1은 요오드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제조방법.
  11. 하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구조식 1]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0
    [구조식 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1
    구조식 1 또는 2에서,
    R1 내지 R8은 서로 같거나 다르고,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원자, 할로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킬기, 또는 치환 또는 비치환된 C1 내지 C10 알콕시기이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합물 1 내지 44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2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3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4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5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6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7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8
    Figure PCTKR2021013410-appb-img-000129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중추신경계 질환은 수면 장애, 우울증, 편두통, 불안, 통증, 염증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체온조절 장애, 생체리듬조절 장애, 자폐 스텍트럼장애 및 평활근 장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추신경계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CT/KR2021/013410 2020-12-01 2021-09-30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211909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3532770A JP2023551319A (ja) 2020-12-01 2021-09-30 5-ht7セロトニン受容体活性阻害用ビフェニルピロリジン及びビフェニルジヒドロイミダゾール誘導体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薬学組成物
US18/249,401 US20230390247A1 (en) 2020-12-01 2021-09-30 Biphenyl pyrrolidine and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s for inhibiting activity of 5-ht7 serotonin recep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EP21900778.8A EP4257583A1 (en) 2020-12-01 2021-09-30 Biphenyl pyrrolidine and biphenyl dihydroimidazole derivatives for inhibiting activity of 5-ht7 serotonin recep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same as active ingredi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97A KR102514860B1 (ko) 2020-12-01 2020-12-01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20-0165497 2020-12-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9090A1 true WO2022119090A1 (ko) 2022-06-09

Family

ID=81853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410 WO2022119090A1 (ko) 2020-12-01 2021-09-30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390247A1 (ko)
EP (1) EP4257583A1 (ko)
JP (1) JP2023551319A (ko)
KR (1) KR102514860B1 (ko)
WO (1) WO202211909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726A1 (en) * 1999-06-18 2000-12-28 Eli Lilly And Company Imid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especially type ii diabetes
WO2009067600A2 (en) * 2007-11-21 2009-05-28 Decode Genetics Ehf Biaryl pde4 inhibitors for treating inflammation
KR101779991B1 (ko) 2009-05-20 2017-09-19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병소성 전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세로토닌 5-ht3 수용체 길항제의 용도
KR20190140005A (ko) * 2017-04-24 2019-12-18 오리진 디스커버리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디히드로오로테이트 옥시게나제 억제제로서의 삼치환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사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06828B2 (ja) * 2007-05-25 2014-02-05 ザ スクリプス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テュート 脂肪酸アミドヒドロラーゼの四環式阻害剤
KR101795790B1 (ko) * 2015-06-18 2017-11-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5-ht7 수용체에 작용하는 바이페닐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78726A1 (en) * 1999-06-18 2000-12-28 Eli Lilly And Company Imidazolin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especially type ii diabetes
WO2009067600A2 (en) * 2007-11-21 2009-05-28 Decode Genetics Ehf Biaryl pde4 inhibitors for treating inflammation
KR101779991B1 (ko) 2009-05-20 2017-09-19 인쎄름 (엥스띠뛰 나씨오날 드 라 쌍떼 에 드 라 흐쉐르슈 메디깔) 병소성 전정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세로토닌 5-ht3 수용체 길항제의 용도
KR20190140005A (ko) * 2017-04-24 2019-12-18 오리진 디스커버리 테크놀로지스 리미티드 디히드로오로테이트 옥시게나제 억제제로서의 삼치환 벤조트리아졸 유도체의 사용 방법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URIN NICOLAS, VANGREVELINGHE ERIC, MORIN-ALLORY LUC, MÉROUR JEAN-YVES, RENARD PIERRE, PAYARD MARC, GUILLAUMET GÉRALD, MAROT CHRI: "3D-QSAR CoMFA Study on Imidazolinergic I 2 Ligands: A Significant Model through a Combined Exploration of Structural Diversity and Methodology",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 43, no. 6, 1 March 2000 (2000-03-01), US , pages 1109 - 1122, XP055936212, ISSN: 0022-2623, DOI: 10.1021/jm991124t *
CARRIERI A., ET AL.: "2-D AND 3-D MODELING OF IMIDAZOLINE RECEPTOR LIGANDS: INSIGHTS INTOPHARMACOPHORE.", BIOORGANIC, vol. 05., no. 05., 1 January 1997 (1997-01-01), AMSTERDAM, NL, pages 843 - 856., XP000892923, ISSN: 0968-0896, DOI: 10.1016/S0968-0896(97)00023-0 *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vol. 61, 2018, pages 72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719A (ko) 2022-06-08
EP4257583A1 (en) 2023-10-11
JP2023551319A (ja) 2023-12-07
KR102514860B1 (ko) 2023-03-29
US20230390247A1 (en) 2023-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43568A2 (en) Novel compounds effective as xanthine oxidase inhibitors,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WO2016032120A1 (ko) 신규한 아미노-페닐-설포닐-아세테이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16080810A2 (ko) 바이구아나이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AU2019381113B2 (en) Novel compound as protein kinase inhibitor,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WO2012115479A2 (en) Diaminopyrimidine derivatives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WO2014109530A1 (ko) 2-(페닐에티닐)티에노[3,4-b]피라진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1122815A2 (en) Novel quinoxaline derivatives
WO2018151562A2 (ko) Jnk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09093872A2 (ko) 신규한 디아민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치료용 약학 조성물
EP3060549A1 (en) Novel antifungal oxodihydropyridinecarbohydrazide derivative
WO2022119090A1 (ko) 5-ht7 세로토닌 수용체 활성 저해용 바이페닐 피롤리딘 및 바이페닐 다이하이드로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10032986A2 (ko) 신규 5-(4-아미노페닐)-이소퀴놀린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raf 키나제의 과활성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086110A1 (ko)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AU2021255176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3054759A1 (ko) 2-아미노퀴나졸린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WO2021096314A1 (ko) 신규한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및 이의 용도
WO2021137665A1 (ko) Hsp90 억제제로서의 1,2,3-트리아졸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17123038A1 (ko) 피리딘올 유도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WO2018021762A1 (ko)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WO2020190073A1 (ko) 신규한 아졸로피리미딘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24005526A1 (ko) Nadph 산화효소 2 저해제로서의 신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WO2023191536A1 (ko) 티오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의 용도
WO2022235097A1 (ko) 신규한 피라졸로[3,4-b]피리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비만 및 당뇨병을 비롯한 대사성 질환 또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WO2023038456A1 (ko)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정서행동장애 치료 용도
WO2022164239A1 (ko) 피라졸-카르복스아미드 유도체 화합물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07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3532770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00778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30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