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92398A1 -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92398A1
WO2022092398A1 PCT/KR2020/016438 KR2020016438W WO2022092398A1 WO 2022092398 A1 WO2022092398 A1 WO 2022092398A1 KR 2020016438 W KR2020016438 W KR 2020016438W WO 2022092398 A1 WO2022092398 A1 WO 202209239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camera
monitoring
emergency situ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6438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석현
경동혁
류명재
Original Assignee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filed Critical 에이치엔티 일렉트로닉스(주)
Publication of WO202209239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9239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Definitions

  •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chnology for monitor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vehicle camera.
  •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chnology for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using a vehicle-in-vehicle camera.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onitoring technology using a vehicle camera capable of efficiently monitoring the surroundings of a vehicl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monitoring technology using a vehicle camera that can efficiently monitor CCTV blind spots by using a vehicle camera.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photographing data captured by the camera. analyzing; calculating, by the control unit,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Temporarily storing the corresponding photographing data when the calculated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classifying and storing the temporarily stored photographed data as an emergency situa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actually occurred.
  • the emergency situation may mean a situation in which an act selected from among violent acts, illegal parking acts, unauthorized garbage dumping, urination on the street, and harmful acts to vehicles has occurred in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may be unlock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vehicle has a key.
  • the trunk may be opened.
  •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includes: broadcasting, by a local unit, a first signal including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a vehicle terminal; transmitting, by the vehicle terminal receiving the first signal, first information including a photographed data sample to the local unit; transmitting, by the local un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to the first information to a server; calculating, by the server, the degree of suitability for blind spot monitoring by analyzing the first information; requesting the vehicle terminal that has provided the first information to provide second information including photographed data when the calculated fitness exceeds a reference value; and monitoring, by the server, the second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vehicle terminal to monitor the blind spot.
  • the local unit is located in the CCTV blind spot to form a local network with the vehicle terminal, and the server is connected to the local unit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monitor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utilize the vehicle camera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the CCTV blind spot.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onitoring system 1000 using a vehicle camera may include a vehicle terminal 100 and a server 200 .
  •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include a control unit 110 , a communication unit 120 , a photographing unit 130 , a memory unit 140 , and a sensor unit 150 .
  • the communication unit 120 may include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and Wi-Fi and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cellular.
  •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Bluetooth and Wi-Fi
  • a long-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such as cellular.
  • the photographing unit 130 may include various cameras installed in the vehicle. These cameras may include various cameras such as a front camera, a rear camera, a side camera, a camera for a black box, and a camera for driver monitoring. In addition, the camera may refer to a camera purchased and installed by a vehicle owner through an after market after the vehicle is shipped, in addition to a built-in camera mounted in a vehicle manufacturing process.
  • the memory unit 140 may store photographed data photograph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 data used for analysis by the control unit 110 , data related to the analysis result by the control unit 110 , and the like.
  • the sensor unit 150 includes a distance sensor 151 for measuring a distance to an object, a GPS sensor 152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a direction sensor for detecting an orientation direc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or the camera. 153, an acoustic sensor 154 for detecting a sound around the vehicle terminal 100, a vibration sensor 155 for detecting a vibr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or a vehicle, a gyro sensor 156, etc. may be included. .
  • the control unit 110 in general, oversees the operations of the communication unit 120, the photographing unit 130, the memory unit 140, the sensor unit 150, and the like, and performs functions such as analysis, calculation, and judgment of the collected data. can do.
  •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implemented as a built-in camera, a built-in vehicle computer, a built-in sensor, etc. mounted on a vehicle during a vehicle manufacturing process.
  •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distributed through an aftermarket and individually mounted on the vehicle after the genuine vehicle is shipped.
  • th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vehic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300 , the photographing data itself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 and the control unit 110 .
  • a result of analyzing the photographed data or related information may be received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
  • Data received by the server from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handled in a manner similar to general CCTV data.
  • the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as an application installed in advance in the vehicle terminal 100 is executed.
  • a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includes the steps of (S110) analyzing, by the controller 110, photographing data captured by the camera; calculating, by the control unit 110,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S120); Temporarily storing the photographed data in the memory unit 140 when the calculated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exceeds a reference value (S130);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actually occurred (S150), the temporarily stored photographing data is classified as an emergency situation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140 (S160).
  • the photographing unit 13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captures an image around the vehicle.
  • the control unit 110 of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predict an emergency situation by analyz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30 , that is, the photographed data, and may perform a preset necessary action.
  • the emergency situation may include a situation in which illegal acts such as violent acts, illegal parking, garbage dumping, urination on the street, etc. or harmful acts to vehicles occurring in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occur.
  • illegal acts such as violent acts, illegal parking, garbage dumping, urination on the street, etc. or harmful acts to vehicles occurring in the area photographed by the camera occur.
  • the preset action may be to temporarily or preliminarily stor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In this process, information about the type or content of the predicted emergency situation may be matched with the photographed data and stored.
  • a machine learning result may be utilized in the process of calculating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possibility that actual photographing data corresponds to an emergency situation by using a model trained with photographing data for a normal situation and photographing data for an emergency situation.
  • the server may generate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el for determining the possibility of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machine learning based on the collected data. Also, the generated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el related information may be provided to the vehicle terminal.
  • at least one of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may calculate the possibility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 the vehicle terminal 100 itself may perform machine learning to generate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model.
  • a command signal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so that the door lock of the vehicle is released even if the legitimate user does not possess a smart key or the like.
  • a command may be transmitted to the vehicle control device to open the trunk.
  •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an emergency has actually occurred. For example, the controller 110 may determine whether an illegal act such as a traffic accident, violent act, illegal parking act, unauthorized garbage dumping, or urination on the street has occurred.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person, animal, or object other than a legitimate user approaches the vehicle, an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a situation such as an impact to the vehicle itself or damage to at least a part of the vehicle has occurred. In this determination process, the detection result of the sensor unit 150 may be utilized in addition to the photographed data. For example, an abnormal collision sound, a scream sound, etc. may be detected through the acoust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collected through the acoustic sensor 154, an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traffic accident or violent act has occurred.
  • an abnormal collision sound, a scream sound, etc. may be detected through the acoustic information around the vehicle collected through the acoustic sensor 154, and in this case, it may be determined
  • the controller 110 may match the related photographing data with the emergency situation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140 .
  • the control unit 110 may notify the occurrence of an emergency to a predetermined terminal or server 200 .
  • the predetermined terminal may include a vehicle owner terminal or a terminal of a related institution such as a police station, a fire station, or an insurance company.
  • zone A can be monitored by CCTV, but zone B is a so-called CCTV blind spot that cannot be monitored by CCTV.
  • CCTV blind spot that cannot be monitored by CCTV.
  • the necessity to apply the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n area where the possibility or frequency of occurrence of an emergency situation is high increases.
  • a monitoring system using a vehicle camera may include a vehicle terminal 100 , a server 200 , and a local unit 400 .
  • the local unit 400 may be installed in a CCTV blind spot to perform a function of exchanging information with the vehicle terminal 100 .
  • the local unit 400 may retain its own location information such as GPS coordinates of the local unit 400 .
  • the location information may also include information about directions. That is, when the first direction of the local unit 400 is oriented to the east, the local unit 400 may recognize which direction the various directions based on the local unit 400 are oriented on the map.
  • the local unit 400 broadcasts a first signal (S210).
  • the first signal may include a communication connection request to the vehicle terminal 100 , a request to provide information for locating the vehicle terminal 100 , and the like.
  • the first signal broadcast by the local unit 400 arrives at vehicles in the vicinity of the local unit 400 .
  •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or WiFi may be formed between the local unit 400 and the vehicle terminal 100 .
  •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cellular may be formed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
  • the vehicle terminal 100 receiving the first signal may extract the first information ( S220 ) and transmit the extracted first information to the local unit 400 ( S230 ).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a location of the vehicle or the vehicle terminal 100 , a direction of a camera, a photographing data sample, and the like.
  • the local unit 400 analyzes the first information and checks whether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the direction of the camera, etc. are well included in the first information.
  • the local unit 400 may retain its own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may be verified in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process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local unit 400 .
  • the local unit 400 may supplement the first information and transmit it to the server 200 .
  • the GPS signal may be obstructed by high-rise buildings, and as a result, when the location of the vehicle terminal 100 depends only on the GPS signal, the operation of the monitoring system using the vehicle camera due to the inaccuracy of the GPS coordinates Efficiency may be reduced, and since the location may be supplemented by the local unit 400 , the decrease in operating efficiency may be minimized.
  • the server 200 may analyze the first information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to use the photographed data of the corresponding vehicle terminal 100 for blind spot monitoring.
  • the vehicle terminal 100 that provides photographing data with high resolution and clear image quality has a high degree of suitability to be used for blind spot monitoring can be judged.
  • the vehicles V1 , V2 , and V3 within the reach of the first signal may receive the first signal.
  • Each vehicle may have different positions, directions, the number of cameras, and directions in which the cameras are directed. Therefore, the shooting data samples of each vehicle are included in the first information, and the server uses the shooting data to monitor the CCTV blind spot B zone by synthesizing the shooting data samples and information such as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each vehicle. It is possible to calculate the degree of how appropriate it is.
  • the second information may be requested from vehicles having a fitness level higher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used for blind spot monitoring.
  • the second information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the original photographed data, the edited version of the photographed data, and the analysis result of the photographed data.
  • the server 200 may be connected to the local unit 400 throug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server 200 or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local unit 400 and the server 200 In case of using this, efficiency may be reduced in terms of communication speed, resource consumption, communication cost, etc. Therefore, between the vehicle terminal 100 and the local unit 400, using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network to transmit and receive photographing data, and to establish a wired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local unit 400 and the server 200 so that the photographing data is transmitted. it is preferable
  • control unit 110 control unit
  • the monitoring method using a vehicle camera can be used in the automobile industry field, the security industry field, etc.
  • the vehicle Through monitoring around the vehicle and effective monitoring of the CCTV blind spot, the safety of the vehicle, the vehicle It can be used in industries that can contribute to the identification of nearby emergency situations, crime prevention and early arrest of cri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상상황 등을 감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최근 들어 차량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안전운전 보조, 블랙박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카메라를 활용하는 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또한, CPU, GPU, 통신속도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카메라 촬영 영상 등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차랑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주변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량 카메라를 활용하여 CCTV 사각지대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임시저장된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역에서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 행위, 노상 방뇨 행위,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중 선택되는 어느 행위가 발생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열쇠 소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트렁크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로컬유닛이 차량 단말에 대한 통신연결요청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이 촬영데이터 샘플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로컬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로컬유닛이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사각지대 감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적합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한 차량 단말에 촬영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이 생성한 제2 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해서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로컬유닛은 CCTV 사각지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 단말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로컬유닛과 유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주변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CCTV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용도로 차량 카메라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소유주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역의 보안성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1000)은, 차량 단말(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에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촬영부(130), 메모리부(140) 및 센서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등의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는 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측방카메라, 블랙박스용 카메라, 운전자 모니터링용 카메라 등 다양한 카메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자동차 제조공정에서 탑재되는 빌트 인(Built-in) 카메라 이외에도, 차량 출고 이후에 차량 소유자가 에프터 마켓(After Market) 등을 통해 구입하여 장착하는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에는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 제어부(110)에 의한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 제어부(110)에 의한 분석결과와 관련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151),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하는 GPS센서(152), 차량 단말(100) 또는 카메라의 지향방향을 검출하는 방향센서(153), 차량 단말(100)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센서(154), 차량 단말(100) 또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155), 자이로센서(1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촬영부(130), 메모리부(140), 센서부(150) 등의 작동을 총괄 관장하며, 수집된 데이터들의 분석, 연산, 판단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 제조과정에서 차량에 탑재되는 빌트인 카메라, 빌트인 차량용 컴퓨터, 빌트인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에프터 마켓을 통해 유통되어 순정 차량이 출고된 이후에 개별적으로 차량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서 차량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단말(100)의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 자체, 제어부(110)가 촬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나 관련 정보들을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가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일반적인 CCTV 데이터와 비슷한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110)가 분석하는 단계(S110); 상기 제어부(110)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S120);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임시저장하는 단계(S130);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S150)된 경우에 임시저장된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의 촬영부(130)는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차량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즉 촬영데이터를 분석해서 비상상황을 예측하고, 미리 설정된 필요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 행위, 노상 방뇨 행위 등의 불법행위나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등이 발생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커지면 비상상황이 예측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비상상황이 예측되면 미리 설정된 조치를 수행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치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임시적 또는 예비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예측된 비상상황이 어떤 종류 또는 내용인가에 관한 정보가 촬영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상황에 대한 촬영데이터와 비상상황에 대한 촬영데이터로 학습시킨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 촬영데이터가 비상상황에 해당할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통해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비상상황 판단모델 관련 정보는 차량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이나 서버(200) 중 적어도 한 주체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 자체에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비상상황 판단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차량의 소유자나 그 소유자의 가족 등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예컨대,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가 스마트키 등을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차량 제어장치에 명령신호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 등의 위치에서 차량의 트렁크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트렁크가 개방되도록 차량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교통사고,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행위, 노상 방뇨 행위 등의 불법행위가 발생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사람, 동물 또는 물체 등이 차량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과정에서는 촬영데이터 이외에도 센서부(150)의 감지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센서(154)를 통해 수집된 차량 주변 음향정보를 통해서 비정상적인 충돌소리, 비명소리 등이 감지될 수 있고, 이 경우 교통사고나 폭력행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관련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과 매칭시켜서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비상상황 발생 사실을 미리 정해진 단말 또는 서버(200)로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단말에는, 차량 소유자 단말이나 경찰서, 소방서, 보험사 등의 유관기관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구역은 CCTV로 감시될 수 있지만, B구역 등은 CCTV에 의하여 감시될 수 없는 이른바 CCTV 사각지대가 된다. 이러한 사각지대 중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나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적용될 필요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차량 단말(100), 서버(200) 및 로컬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유닛(400)은 CCTV 사각지대에 설치되어 차량 단말(100)과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은 해당 로컬유닛(400)의 GPS 좌표 등 자체의 위치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 위치정보에는 방향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로컬유닛(400)의 제1방향이 동쪽을 향하는 경우, 로컬유닛(400)을 기준으로 하는 여러 방향이 지도상에서 어떤 방향을 지향하게 되는지를 로컬유닛(400)이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은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10). 여기서, 제1 신호는 차량 단말(100)에 대한 통신연결요청, 차량 단말(100)의 위치 파악을 위한 정보 제공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유닛(400)이 브로드캐스팅한 제1 신호는 로컬유닛(400) 주변에 있는 차량들에게 도달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과 차량 단말(100) 사이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100)과 서버(200) 사이에는 셀룰러(Cellular) 등의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100)은 제1 정보를 추출하고(S220), 추출한 제1 정보를 로컬유닛(400)에 송신(S230)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차량 또는 차량 단말(100)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촬영데이터 샘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유닛(400)은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단말(100)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이 제1 정보에 잘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로컬유닛(400)은 자체 위치 및 방향정보를 보유할 수 있으므로, 차량 단말(100)과 로컬유닛(400) 사이의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단말(10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에 위치정보가 없거나, 부정확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로컬유닛(400)이 제1 정보를 보완하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고층건물이 많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GPS신호가 고층건물에 의하여 방해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GPS 신호에만 의존할 경우, GPS 좌표의 부정확성 때문에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운용 효율이 감소될 수 있는데, 로컬유닛(400)에 의하여 위치가 보완될 수 있으므로 운용 효율 감소가 최소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제1 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차량 단말(100)의 촬영데이터를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하는데 적합한가를 판단할 수 있다.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복수의 차량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촬영 방향이나 위치가 비슷한 경우 해상도가 높고 화질이 선명한 촬영데이터를 제공하는 차량 단말(100)이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되는 적합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컬유닛(400)이 소정의 영역에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면 제1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있는 차량들(V1, V2, V3)이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차량들은 차량들의 위치, 방향, 카메라의 수량,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향 등이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차량들의 촬영데이터 샘플들이 제1 정보에 포함되고, 서버는 이 촬영데이터 샘플들과 각 차량의 위치, 방향 등의 정보를 종합해서 CCTV 사각지대인 B구역의 감시에 촬영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얼마나 적합한가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적합도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높은 차량들에게 제2 정보를 요청해서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에는 촬영데이터 원본, 촬영데이터 편집본, 촬영데이터 분석결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로컬유닛(400)과 유선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이 생성한 촬영데이터 전체가 서버(200)로 송신되는 과정에서 차량 단말(100)과 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망 또는 로컬유닛(400)과 서버(200) 사이의 유선통신망을 활용하게 될 경우 통신속도, 자원소모, 통신비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단말(100)과 로컬유닛(400) 사이에서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촬영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로컬유닛(400)과 서버(200) 사이에는 유선통신망을 구축해서 촬영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호의 설명>
1000, 2000 :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100 : 차량 단말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촬영부
140 : 메모리부
150 : 센서부
200 : 서버
300 : 통신망
400 : 로컬유닛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자동차 산업 분야, 보안 산업 분야 등에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차량 주변에 대한 감시, CCTV 사각지대에 대한 효율적인 감시를 통해서 차량의 안전, 차량 주변의 비상상황 확인, 범죄예방 및 범죄자 조기 검거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하는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임시저장된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비상상황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역에서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 행위, 노상 방뇨 행위,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중 선택되는 어느 행위가 발생된 상황을 의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열쇠 소지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트렁크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6.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로컬유닛이 차량 단말에 대한 통신연결요청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이 촬영데이터 샘플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로컬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로컬유닛이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사각지대 감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적합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한 차량 단말에 촬영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이 생성한 제2 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해서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7. 청구항 6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유닛은 CCTV 사각지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 단말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로컬유닛과 유선통신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PCT/KR2020/016438 2020-10-30 2020-11-2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WO202209239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16 2020-10-30
KR1020200143216A KR102469583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98A1 true WO2022092398A1 (ko) 2022-05-05

Family

ID=8138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6438 WO2022092398A1 (ko) 2020-10-30 2020-11-2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9583B1 (ko)
WO (1) WO2022092398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94B1 (ko) * 2013-08-12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KR101719360B1 (ko) * 2015-10-29 2017-04-04 백선영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7431A (ko) * 2016-12-12 2018-06-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77969B1 (ko) * 2018-01-25 2018-07-12 에이에스 주식회사 스마트 블랙박스 영상 전송관리 시스템
KR20200101792A (ko) * 2019-02-20 2020-08-28 이선영 블랙박스를 이용한 cctv 통합 관제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63B1 (ko) * 2013-10-24 2015-01-16 주식회사 에스원 폭력 감지 시스템 및 폭력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94B1 (ko) * 2013-08-12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KR101719360B1 (ko) * 2015-10-29 2017-04-04 백선영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67431A (ko) * 2016-12-12 2018-06-2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77969B1 (ko) * 2018-01-25 2018-07-12 에이에스 주식회사 스마트 블랙박스 영상 전송관리 시스템
KR20200101792A (ko) * 2019-02-20 2020-08-28 이선영 블랙박스를 이용한 cctv 통합 관제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583B1 (ko) 2022-11-22
KR20220058002A (ko) 2022-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48992B (zh) 基于车路协同系统的车载视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5632182A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KR20120066393A (ko) 차량용 영상 기록 및 제공 장치와 이를 이용한 지역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WO2015053599A1 (ko) 클라우딩 블랙박스 및 클라우딩 블랙박스의 영상처리방법
WO2014092380A1 (ko) 차량용 블랙박스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WO2016208914A1 (ko) 차량 사고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긴급 콜 시스템
KR20150081838A (ko) 수배차량 검색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035274A (ko) Cctv와 차량내 블랙박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의 불법 주정차 단속 시스템
KR101803697B1 (ko) 장애인 전용 주차구역 불법주차 감시장치
WO2023120818A1 (ko) 자율주행차량이 혼재된 교통흐름 제어를 위한 교통흐름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방법
CN108028014A (zh) 用于运行停车空间的方法及系统
WO2022092398A1 (ko)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40040B1 (ko) 스마트 건물시스템과 차량블랙박스간의 통신을 이용한 영상 관제 시스템 및 방법
KR100969303B1 (ko) 메디안 필터 기반 다기능 차량번호 인식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19106B2 (ja) 車載機
WO2022146008A1 (ko) 속도 프로파일 분석에 의한 사고 영상 선별 방법
WO2015050413A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데이터와 gis 연동 서비스 방법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401524B1 (ko) 순찰 단말기, 순찰 운영서버 및 그 제어방법
CN212463305U (zh) 边缘计算装置以及边缘计算系统
CN213070072U (zh) 一种车载全景防火监控摄像系统
CN113973162A (zh) 边缘计算装置以及边缘计算方法和系统
CN107031563A (zh) 一种汽车防盗系统及防盗方法
JP3815379B2 (ja) 車両監視システム
KR101574800B1 (ko) 블랙박스 서비스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9600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18.09.2023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96001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