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583B1 -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583B1
KR102469583B1 KR1020200143216A KR20200143216A KR102469583B1 KR 102469583 B1 KR102469583 B1 KR 102469583B1 KR 1020200143216 A KR1020200143216 A KR 1020200143216A KR 20200143216 A KR20200143216 A KR 20200143216A KR 102469583 B1 KR102469583 B1 KR 102469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nformation
vehicle terminal
camera
moni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8002A (ko
Inventor
김석현
경동혁
류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오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오토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오토스
Priority to KR1020200143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583B1/ko
Priority to PCT/KR2020/016438 priority patent/WO2022092398A1/ko
Publication of KR20220058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8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0841Registering performance data
    • G07C5/085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 G07C5/0866Registering performance data using electronic data carriers the electronic data carrier being a digital video recorder in combination with video camer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이 개시된다.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될 경우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Method for surveillance using cameras of vehicle and system for surveillance using cameras of vehic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상상황 등을 감시하는 기술에 관련된다.
최근 들어 차량에 카메라가 탑재되어 안전운전 보조, 블랙박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 카메라를 활용하는 방안들이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다. 또한, CPU, GPU, 통신속도 등의 비약적인 발전에 힘입어 카메라 촬영 영상 등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게 되어 그 활용도가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차랑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차량 주변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차량 카메라를 활용하여 CCTV 사각지대를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가 분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임시저장하는 단계;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임시저장된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상상황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역에서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 행위, 노상방뇨행위,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중 선택되는 어느 행위가 발생된 상황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열쇠 소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등록된 사용자가 상기 차량의 후방에서 트렁크 방향으로 접근하는 경우 상기 트렁크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로컬유닛이 차량 단말에 대한 통신연결요청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이 촬영데이터 샘플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로컬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로컬유닛이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사각지대 감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적합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한 차량 단말에 촬영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이 생성한 제2 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해서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로컬유닛은 CCTV 사각지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 단말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상기 서버는 상기 로컬유닛과 유선통신망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주변을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고, 특히, CCTV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용도로 차량 카메라를 활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 소유주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지역의 보안성 향상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는 유용한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1000)은, 차량 단말(100) 및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에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촬영부(130), 메모리부(140) 및 센서부(150)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0)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모듈 및 셀룰러(Cellular) 등의 원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부(130)는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에는 전방카메라, 후방카메라, 측방카메라, 블랙박스용 카메라, 운전자 모니터링용 카메라 등 다양한 카메라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는 자동차 제조공정에서 탑재되는 빌트 인(Built-in) 카메라 이외에도, 차량 출고 이후에 차량 소유자가 에프터 마켓(After Market) 등을 통해 구입하여 장착하는 카메라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부(140)에는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 제어부(110)에 의한 분석에 활용되는 데이터, 제어부(110)에 의한 분석결과와 관련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센서부(150)는 대상물과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센서(151),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검출하는 GPS센서(152), 차량 단말(100) 또는 카메라의 지향방향을 검출하는 방향센서(153), 차량 단말(100) 주변의 음향을 감지하는 음향센서(154), 차량 단말(100) 또는 차량의 진동을 감지하는 진동센서(155), 자이로센서(156)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통신부(120), 촬영부(130), 메모리부(140), 센서부(150) 등의 작동을 총괄 관장하며, 수집된 데이터들의 분석, 연산, 판단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차량 제조과정에서 차량에 탑재되는 빌트인 카메라, 빌트인 차량용 컴퓨터, 빌트인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은, 에프터 마켓을 통해 유통되어 순정 차량이 출고된 이후에 개별적으로 차량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서 차량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차량 단말(100)의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 자체, 제어부(110)가 촬영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나 관련 정보들을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가 차량 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는 일반적인 CCTV 데이터와 비슷한 방식으로 취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차량 단말(100)에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촬영데이터를 제어부(110)가 분석하는 단계(S110); 상기 제어부(110)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S120); 산출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해당 촬영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임시저장하는 단계(S130); 및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S150)된 경우에 임시저장된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으로 분류해서 메모리부(140)에 저장하는 단계(S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의 촬영부(130)는 차량의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차량 단말(100)의 제어부(110)는 촬영부(1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 즉 촬영데이터를 분석해서 비상상황을 예측하고, 미리 설정된 필요 조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은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는 영역에서 발생되는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 행위, 노상방뇨행위 등의 불법행위나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등이 발생하는 상황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 소정의 기준값보다 커지면 비상상황이 예측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비상상황이 예측되면 미리 설정된 조치를 수행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조치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임시적 또는 예비적으로 저장하는 것이 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예측된 비상상황이 어떤 종류 또는 내용인가에 관한 정보가 촬영데이터와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하는 과정에서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정상상황에 대한 촬영데이터와 비상상황에 대한 촬영데이터로 학습시킨 모델을 이용하여 실제 촬영데이터가 비상상황에 해당할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는 수집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계학습을 통해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판단하는 비상상황 판단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생성된 비상상황 판단모델 관련 정보는 차량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이나 서버(200) 중 적어도 한 주체가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단말(100) 자체에서 기계학습을 수행하여 비상상황 판단모델을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데이터 분석 결과, 차량의 소유자나 그 소유자의 가족 등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비상상황 발생 가능성(예컨대, 차량에 대한 위해행위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미리 등록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에 접근하는 것으로 분석되는 경우에는, 정당한 사용자가 스마트키 등을 소지하고 있지 않더라도 차량의 도어락이 해제되도록 차량 제어장치에 명령신호가 전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정당한 사용자가 차량의 후방 등의 위치에서 차량의 트렁크 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트렁크가 개방되도록 차량 제어장치에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10)는 실제로 비상상황이 발생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0)는 교통사고, 폭력행위, 불법주차행위, 쓰레기 무단투기행위, 노상방뇨행위 등의 불법행위가 발생했는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정당한 사용자가 아닌 사람, 동물 또는 물체 등이 차량에 접근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고, 차량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거나 차량의 적어도 일부분이 파손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했는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판단과정에서는 촬영데이터 이외에도 센서부(150)의 감지결과가 활용될 수 있다. 예컨대, 음향센서(154)를 통해 수집된 차량 주변 음향정보를 통해서 비정상적인 충돌소리, 비명소리 등이 감지될 수 있고, 이 경우 교통사고나 폭력행위 등의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비상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0)는 관련 촬영데이터를 비상상황과 매칭시켜서 메모리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비상상황 발생 사실을 미리 정해진 단말 또는 서버(200)로 통보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단말에는, 차량 소유자 단말이나 경찰서, 소방서, 보험사 등의 유관기관 단말이 포함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구역은 CCTV로 감시될 수 있지만, B구역 등은 CCTV에 의하여 감시될 수 없는 이른바 CCTV 사각지대가 된다. 이러한 사각지대 중에서 비상상황 발생가능성이나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이 적용될 필요성이 높아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은 차량 단말(100), 서버(200) 및 로컬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로컬유닛(400)은 CCTV 사각지대에 설치되어 차량 단말(100)과 정보를 주고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은 해당 로컬유닛(400)의 GPS 좌표 등 자체의 위치정보를 보유할 수 있다. 이 위치정보에는 방향에 관한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즉, 로컬유닛(400)의 제1방향이 동쪽을 향하는 경우, 로컬유닛(400)을 기준으로 하는 여러 방향이 지도상에서 어떤 방향을 지향하게 되는지를 로컬유닛(400)이 인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은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S210). 여기서, 제1 신호는 차량 단말(100)에 대한 통신연결요청, 차량 단말(100)의 위치 파악을 위한 정보 제공 요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유닛(400)이 브로드캐스팅한 제1 신호는 로컬유닛(400) 주변에 있는 차량들에게 도달된다.
일 실시예에서, 로컬유닛(400)과 차량 단말(100) 사이에는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등의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차량 단말(100)과 서버(200) 사이에는 셀룰러(Cellular) 등의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100)은 제1 정보를 추출하고(S220), 추출한 제1 정보를 로컬유닛(400)에 송신(S230)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정보는 차량 또는 차량 단말(100)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촬영데이터 샘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로컬유닛(400)은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차량 단말(100)의 위치, 카메라의 방향 등이 제1 정보에 잘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로컬유닛(400)은 자체 위치 및 방향정보를 보유할 수 있으므로, 차량 단말(100)과 로컬유닛(400) 사이의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검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단말(100)으로부터 수신한 제1 정보에 위치정보가 없거나, 부정확한 위치정보가 포함된 경우, 로컬유닛(400)이 제1 정보를 보완하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고층건물이 많이 존재하는 지역에서는 GPS신호가 고층건물에 의하여 방해받을 수 있고, 그 결과 차량 단말(100)의 위치를 GPS 신호에만 의존할 경우, GPS 좌표의 부정확성 때문에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의 운용 효율이 감소될 수 있는데, 로컬유닛(400)에 의하여 위치가 보완될 수 있으므로 운용 효율 감소가 최소화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제1 정보를 분석해서 해당 차량 단말(100)의 촬영데이터를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하는데 적합한가를 판단할 수 있다. 사각지대를 촬영하는 복수의 차량 단말(100)이 존재하는 경우, 촬영 방향이나 위치가 비슷한 경우 해상도가 높고 화질이 선명한 촬영데이터를 제공하는 차량 단말(100)이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되는 적합도가 높게 판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컬유닛(400)이 소정의 영역에 제1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면 제1 신호의 도달범위 내에 있는 차량들(V1, V2, V3)이 제1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차량들은 차량들의 위치, 방향, 카메라의 수량, 카메라가 지향하는 방향 등이 각기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각 차량들의 촬영데이터 샘플들이 제1 정보에 포함되고, 서버는 이 촬영데이터 샘플들과 각 차량의 위치, 방향 등의 정보를 종합해서 CCTV 사각지대인 B구역의 감시에 촬영데이터를 활용하는 것이 얼마나 적합한가의 정도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적합도가 소정의 기준값보다 높은 차량들에게 제2 정보를 요청해서 사각지대 감시에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정보에는 촬영데이터 원본, 촬영데이터 편집본, 촬영데이터 분석결과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버(200)는 로컬유닛(400)과 유선통신망을 통해서 연결될 수 있다. 차량 단말(100)이 생성한 촬영데이터 전체가 서버(200)로 송신되는 과정에서 차량 단말(100)과 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망 또는 로컬유닛(400)과 서버(200) 사이의 유선통신망을 활용하게 될 경우 통신속도, 자원소모, 통신비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성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 단말(100)과 로컬유닛(400) 사이에서는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해서 촬영데이터를 송수신하고, 로컬유닛(400)과 서버(200) 사이에는 유선통신망을 구축해서 촬영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0, 2000 :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100 : 차량 단말
110 : 제어부
120 : 통신부
130 : 촬영부
140 : 메모리부
150 : 센서부
200 : 서버
300 : 통신망
400 : 로컬유닛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차량에 구비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차량 주변을 감시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차량 단말에 대한 통신연결요청 및 위치 파악을 위한 정보 제공 요청을 포함하는 제1 신호를 로컬유닛이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차량 단말이 촬영데이터 샘플을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로컬유닛으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로컬유닛이 상기 제1 정보에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추가하여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버가 상기 제1 정보를 분석하여 사각지대 감시 적합도를 산출하는 단계;
    산출된 적합도가 기준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한 차량 단말에 촬영데이터를 포함하는 제2 정보의 제공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 단말이 생성한 제2 정보를 상기 서버가 분석해서 사각지대를 감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로컬유닛은 자체 위치 및 방향정보를 보유하며 상기 서버와 유선통신망으로 연결되고,
    상기 로컬유닛은 상기 차량 단말과의 신호 송수신 과정에서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를 검증하여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되는 상기 차량 단말의 위치 정보를 보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7. 청구항 6에 따른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유닛은 CCTV 사각지대에 위치되어 상기 차량 단말과 근거리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시스템.
KR1020200143216A 2020-10-30 2020-10-3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69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16A KR102469583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PCT/KR2020/016438 WO2022092398A1 (ko) 2020-10-30 2020-11-2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16A KR102469583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02A KR20220058002A (ko) 2022-05-09
KR102469583B1 true KR102469583B1 (ko) 2022-11-22

Family

ID=81382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16A KR102469583B1 (ko) 2020-10-30 2020-10-30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9583B1 (ko)
WO (1) WO202209239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263B1 (ko) * 2013-10-24 2015-01-16 주식회사 에스원 폭력 감지 시스템 및 폭력 감지 방법
KR101512394B1 (ko) * 2013-08-12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9360B1 (ko) * 2015-10-29 2017-04-04 백선영 영상감시장치(cctv) 및 그 제어방법
KR102006080B1 (ko) * 2016-12-12 2019-07-3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랙박스 영상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장치들
KR101877969B1 (ko) * 2018-01-25 2018-07-12 에이에스 주식회사 스마트 블랙박스 영상 전송관리 시스템
KR20200101792A (ko) * 2019-02-20 2020-08-28 이선영 블랙박스를 이용한 cctv 통합 관제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394B1 (ko) * 2013-08-12 2015-04-16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후방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의 핸즈프리 리프트 게이트 개방시스템 및 방법
KR101484263B1 (ko) * 2013-10-24 2015-01-16 주식회사 에스원 폭력 감지 시스템 및 폭력 감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8002A (ko) 2022-05-09
WO2022092398A1 (ko) 2022-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48992B (zh) 基于车路协同系统的车载视频处理方法、装置及存储介质
WO2017080039A1 (zh) 车辆行驶安全监控方法和装置、系统
US10089869B1 (en) Tracking hit and run perpetrators using V2X communication
KR20170081920A (ko) 차량과 관련된 영상 정보를 공유하는 방법 및 장치
JP2020061079A (ja) 交通違反車両識別システム、サーバ、及び車両制御プログラム
CN104169155A (zh) 多车辆监视系统
JP5585194B2 (ja) 事故状況記録システム
CN105632182A (zh) 一种车辆违规行为举证的方法及其系统
US94431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arching for wanted vehicle
CN106920293A (zh) 车辆事故自动记录分析方法
KR20100073893A (ko) 차량용 블랙박스 및 이를 이용한 사고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N109671270B (zh) 行车事故处理方法及装置、存储介质
JP2008217218A (ja) 事故情報取得システム
CN112277936B (zh) 车辆碰撞检测处理方法、装置、车载终端和存储介质
JP2012098105A (ja) 事故発生場所周辺の映像収集システム
JP2009020774A (ja) 情報送信方法、情報受信方法、情報送受信方法、情報送受信装置、及び情報収集システム。
CN111064921A (zh) 车辆监控方法、系统及监控终端
US20160292935A1 (en) Documentation of a Motor Vehicle Condition
KR101394201B1 (ko) 버스장착 무선cctv 촬영단속시스템
KR102283398B1 (ko) Ai 기반 복합 adas 룸미러
JP2020113106A (ja) 盗難車両追跡システム
KR102469583B1 (ko) 차량 카메라를 이용한 감시 방법 및 그 시스템
JP6656290B2 (ja) 事故情報記録装置および事故情報収集システム
KR20140056674A (ko) 사고 처리 지원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74563B1 (ko) 차량의 사고 정보 자동 처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