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065938A1 -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 Google Patents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065938A1
WO2022065938A1 PCT/KR2021/013094 KR2021013094W WO2022065938A1 WO 2022065938 A1 WO2022065938 A1 WO 2022065938A1 KR 2021013094 W KR2021013094 W KR 2021013094W WO 2022065938 A1 WO2022065938 A1 WO 202206593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oup
mmol
compound
formula
gx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30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은하
최상기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WO202206593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0659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28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 G01N2021/6439Measuring fluorescence of fluorescent products of reactions or of fluorochrome labelled reactive substances, e.g. measuring quenching effects, using measuring "optrodes" with indicators, stains, dyes, tags, labels, mark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nd a composition for cell imaging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based on an indolizine molecular skeleton, use of the compound as an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gent, the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 complex for a mitochondrial target in which a compound for induced luminescence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combined; a composition for cell imaging using the same; a kit for cell imaging comprising the same; cell imaging methods; And it relates to use as a cell imaging contrast agent using the same.
  • Fluorescence is a light-based science that is essential for modern science and medicine. However, since most typical phosphors exhibit aggregation caused quenching ACQ,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actical applications are hindered by the ACQ effect.
  • AIEgen that exhibits aggregation induced emission (AIE) phenomenon in several fluorescent materials has been discovered, and these AIEgens exhibited strong fluorescence when aggregated into a solid state. Due to this unique mechanism, AIEgen can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ACQ phenomenon of typical fluorescent materials, so the discovery of novel AIEgen as a fluorescent material has been in the spotlight.
  • a lot of research is being done using AIEgen material to apply it to cell imaging and real-time observation, and further, methods for applying it to drug treatment such as anticancer drugs are being studied (Korean Patent No. 10-1830579,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 -2018-0102443).
  • GxF GalaxyFluor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the use of the comp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ggregation-inducing luminescent agent.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for a mitochondrial target-a compound complex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nd a composition for cell imaging using the s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ell imag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acting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bound to the cel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use as a cell imaging agent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boun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is hydrogen; nitrile group; halogen; nitro group; C 1 -C 6 Alkoxy group; C 6 -C 20 Aryl group; C 5 -C 20 Cycloheterocyclic group; boron group; azide group; NR 4 R 5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nitrile, C 1 -C 6 Alkoxy, halogen, boron group, hydroxy group or CH 2 NR 4 R 5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 -C 10 alkyl group, C 6 -C 20 a C 6 -C 20 aryl group substituted with an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C 1 -C 8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 R 2 is hydrogen; C 1 -C 8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C 2 -C 8 an alkynyl group; C 3 -C 8 cycloalkyl group; hydroxyl group; C 1 -C 6 Alkoxy group; polyethylene glycol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carboxyl group; sulfonyl group; azide group; methanesulfonyl group; maleimide group; alcohol protected with a tert-butyldimethylsilyl group (TBS); or NR 6 R 7 (wherein, R 6 and R 7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 R 3 is hydrogen; halogen; nitrile group; boron group; hydroxyl group; COY (wherein Y is hydrogen, C 1 -C 8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C 2 -C 8 alkynyl group, C 3 -C 8 cycloalkyl group, or NR 8 R 9 (herein, R 8 and R 9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of alkoxy group; C 6 -C 20 aryl group; or NR 10 R 11 (here, R 10 and R 11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 -C 10 alkyl group, C 6 -C 20 aryl group, or It is a C 4 -C 20 heteroar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substituted with nitrile or halogen.
  • R 1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acetyl group; methoxy group; or a dimethylamine group, wherein R 2 is methyl; trifluoromethylphenyl group; phenyl group; methoxyphenyl group; or a diethylaminephenyl group, wherein R 3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or an acetyl group.
  • Chemical Formula 1 may be represented b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mical Formulas 1-1 to 1-75.
  • Chemical Formula 1 may be preferably represented b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mical Formulas 1-1, 1-3, 1-5, and 1-11. there is.
  •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1 >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5 > Formula 1-3
  • the fluorescence increase rate may be high in the order of the compounds represented by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of formula (C) by reacting (a) a compound of formula (A) and a compound of formula (B);
  • R 1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acetyl group; methoxy group; or a dimethylamine group, wherein R 2 is methyl; trifluoromethylphenyl group; phenyl group; methoxyphenyl group; or a diethylaminephenyl group, wherein R 3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or an acetyl group.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compound as an aggregation-inducing luminescent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lex for a mitochondrial target in which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combined.
  • the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is TPP (triphenylphosphonium), rhodamine (rhodamine), rhodamine 19 (rhodamine 19), rhodamine 123 (rhodamine 123), silicon rhodamine-Me (Siliconrhodamine-Me) Me), one lipophilic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and MPP (N-methyl-4-phenylpyridinium) ( Lipophilic cation); 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targeting the 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TOM) and the 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 (TIM); 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DQA); phenylsulfonylfuro
  • DQA dequaliniu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imaging composition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the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boun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cell imaging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the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boun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ell imag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acting the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and the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the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is bound with the cell.
  • the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is TPP (triphenylphosphonium), rhodamine (rhodamine), rhodamine 19 (rhodamine 19), rhodamine 123 (rhodamine 123), silicon rhodamine-Me (Siliconrhodamine-Me) Me), one lipophilic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and MPP (N-methyl-4-phenylpyridinium) ( Lipophilic cation); 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targeting the 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TOM) and the 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 (TIM); 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DQA); phenylsulfonylfuro
  • DQA dequalinium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a composition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the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and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re bound as a cell imaging agent.
  • the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is TPP (triphenylphosphonium), rhodamine (rhodamine), rhodamine 19 (rhodamine 19), rhodamine 123 (rhodamine 123), silicon rhodamine-Me (Siliconrhodamine-Me) Me), one lipophilic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and MPP (N-methyl-4-phenylpyridinium) ( Lipophilic cation); 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targeting the 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TOM) and the 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 (TIM); 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DQA); phenylsulfonylfuro
  • DQA dequalinium
  • a novel aggregation-inducing luminescent material based on an indolizine framework having a systematic structure capable of emitting light emission wavelengths of all colors through a change in electron density at a specific position of a molecule was synthesized, and these materials for mitochondrial targets When used in combination with , it was confirmed that the mitochondria of living cells were stained and that cell imaging was possible without a separate washing process. Therefore, the novel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t materia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imaging various cells.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hemical structure of GxF, a novel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hapes of HOMO and LUMO.
  • FIG.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hemical structures of GxF 1 , GxF 3 , GxF 5 and GxF 11 and the shapes of homo (HOMO) and LUMO (LUMO).
  • FI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view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a fluorescent compound exhibiting an emission wavelength over the entire visible ray region.
  • Figure 6 shows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signals according to aggregation of GxF 11 (a, b), GxF 1 (c, d), GxF 3 (e, f) and GxF 5 (g, h) solutions in a THF/water mixture. (a,c,e,g) and fluorescence emission spectra (b,d,f,h) are confirmed.
  • DLS dynamic light scattering
  •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a TPP-GxF complex.
  • 11 is a fluorescence imaging photograph in which the cells were observed without a separate washing process after the TPP-GxF complex was treated on the cells.
  • FIG. 13 is a fluorescence imaging photograph of the cells after treatment with the TPP-GxF complex, and observing the cells over time without a separate washing process.
  • FIG. 14 is a photograph confirming the intracellular mitochondrial staining image without a separate washing process after the cells were treated with the TPP-GxF complex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is hydrogen; nitrile group; halogen; nitro group; C 1 -C 6 Alkoxy group; C 6 -C 20 Aryl group; C 5 -C 20 Cycloheterocyclic group; boron group; azide group; NR 4 R 5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nitrile, C 1 -C 6 Alkoxy, halogen, boron group, hydroxy group or CH 2 NR 4 R 5 (Wherein, R 4 and R 5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 -C 10 alkyl group, C 6 -C 20 a C 6 -C 20 aryl group substituted with an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C 1 -C 8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 R 2 is hydrogen; C 1 -C 8 A straight-chain or branched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C 2 -C 8 an alkynyl group; C 3 -C 8 cycloalkyl group; hydroxyl group; C 1 -C 6 Alkoxy group; polyethylene glycol group; nitrile group; nitro group; carboxyl group; sulfonyl group; azide group; methanesulfonyl group; maleimide group; alcohol protected with a tert-butyldimethylsilyl group (TBS); or NR 6 R 7 (wherein, R 6 and R 7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 R 3 is hydrogen; halogen; nitrile group; boron group; hydroxyl group; COY (wherein Y is hydrogen, C 1 -C 8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C 2 -C 8 alkenyl group, C 2 -C 8 alkynyl group, C 3 -C 8 cycloalkyl group, or NR 8 R 9 (herein, R 8 and R 9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C 10 alk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or a C 4 -C 20 heteroaryl group]); of alkoxy group; C 6 -C 20 aryl group; or NR 10 R 11 (here, R 10 and R 11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C 1 -C 10 alkyl group, C 6 -C 20 aryl group, or It is a C 4 -C 20 heteroaryl group), a C 6 -C 20 aryl group substituted with nitrile or halogen.
  • R 1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acetyl group; methoxy group; or a dimethylamine group, wherein R 2 is methyl; trifluoromethylphenyl group; phenyl group; methoxyphenyl group; or a diethylaminephenyl group, wherein R 3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or an acetyl group.
  • Chemical Formula 1 may be represented b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mical Formulas 1-1 to 1-75.
  • Chemical Formula 1 may be represented b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emical Formulas 1-1, 1-3, 1-5, and 1-11.
  • a novel aggregation-induced light-emitting material based on an indolizine framework was synthesized, and this was used as a GalaxyFluor (GxF, hereinafter, "GxF” or denoted as “GxF material”).
  • GxF GalaxyFluor
  • ICT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 the priority for AIE is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 (GxF 1) >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11 (GxF 11) > Formula 1-5
  • the principle of this priority is that a substituent with good molecular rotation induces the AIE shape better in the order of R 1 > R 3 > R 2 , and a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CF 3 ) in the R 1 group GxF 1 and GxF 11 in which GxF 1 and GxF 11 are located have higher priority for AIE than GxF 3 and GxF 5, and GxF 5 in which a dimethylamino (DMA) group is located in the R 1 group is hydrogen (H) in the R 1 group.
  • the priority for AIE was higher than that of GxF 3 where is located.
  • the aggregate shape and photophysical properties of the GxF compound in aqueous solution conditions were measured using a dynamic light scattering (DLS) equipment. It was confirmed that the GxF compound induces aggregation and has a size of about 2 to 500 nm (FIG. 6 and Table 2).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use of the aforementioned compounds as aggregation-inducing luminescent agents.
  • the aforementioned compounds as aggregation-inducing luminescent agents.
  • ICT 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comprising: (a) reacting a compound of Formula (A) and a compound of Formula (B) to prepare a compound of Formula (C);
  • R 1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acetyl group; methoxy group; or a dimethylamine group, wherein R 2 is methyl; trifluoromethylphenyl group; phenyl group; methoxyphenyl group; or a diethylaminephenyl group, wherein R 3 is hydrogen;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or an acetyl group.
  • the GxF material which is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GxF material can be synthesized by the method shown in FIG. 3, and more specifically,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tep by step as follows. .
  • compound B is acylated using an alkyl halide.
  • the acylation may be carried out without limitation using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and preferably, the compound B as the alkyl halide is 2 -bromo-1-[4-(tri Fluoromethyl) phenyl] ethan-1-one (2-bromo-1- [4- (trifluoromethyl) -phenyl] ethane-1-one), chloroacetone, 2-bromoacetophenone (2-bromoacetophenone) ), 2-bromo4-methoxyacetophenone (2-bromo-4-methoxyacetophenone), 2-bromo-4'-(diethylamino_aceto-phenone (2-Bromo-4'-(diethylamino)aceto) -phenone), etc., containing an electrophilic moiety, and pyridine having an R 3 substituent are used.
  • a solution of an organic mixture of alkyl halide and pyridine is stir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20° C. to 100° C. for 1 to 24 hours to yield a pyridine salt compound.
  • the organic solvent used in sending the reaction is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 a solvent may be used and may be appropriately determin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 to specific types of the alkyl halide and pyridine compound.
  • acylated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c obtained in step a) is reacted with ethyl acrylate, sodium acetate, and copper acetate monohydrate (Copper(II) Acetate monohydrate) to form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D This is the step to obtain the compound.
  • the acylated compound organic mixture solution obtained in step a) is stir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50° C. to 120° C. for 1 to 24 hours), and then subjected to conventional extraction, drying,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es.
  •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D is calculated.
  • the organic solvent used in conducting the reaction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determine the specific type of the compound.
  • the above reaction can be carried out without limitation using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preferably, first,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D is dissolved in an organic solvent, and lith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 a strong base such as sodium hydroxide is added, and the resulting organic mixture solution is stir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50 ° C to 120 ° C for 1 to 24 hours), followed by the usual extraction, drying,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 After that, the intermediate material is dissolved in an appropriate organic solvent, treated with N-Bromosuccinimide (NBS), and the resulting organic mixture solution is stir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50°C to 120°C for 1 to 24 hours).
  • NBS N-Bromosuccinimid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E is obtained.
  •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nd the specific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determine depending on the type.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F including the R1 substitu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preferably, trifluorophenyl boronic acid (triflulorophenyl boronic acid), 4-acetylphenyl boronic acid, phenyl boronic acid, 4-methoxyphenyl boronic acid, 4-(dimethylamino ) phenyl boronic acid (4-(dimethylamino)phenyl boronic acid) may be used.
  •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F having a R 1 substituent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E obtained in step c) in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are mixed with Pd(PPh 3 ) 4 and sodium carbonate, and the resulting The organic mixture solution is stirred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50° C. to 120° C. for 1 to 24 hours, and then undergoes conventional extraction, drying, filtration, concentration and purification processes to obtain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nventional organic solvent may be used as the organic solvent used in carrying out the reaction, and a person skilled in the art may appropriately determine it according to the specific type of the compoun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for a mitochondrial target - a compound complex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 a material having -COOH at the terminal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while targeting the mitochondria, and preferably TPP (triphenylphosphonium), rhodamine, rhodamine 19 (rhodamine 19), rhodamine 123 ( rhodamine 123), silicone rhodamine-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and MPP (N-methyl-4-phenylpyridinium) ) one lipophilic ca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targeting the 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TOM) and the 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 (TIM); 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DQA); phenylsulfonylfuroxan; guanidine; cycl
  • TPP was used as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nd a TPP-GxF complex was prepared using the method shown in FIG. 10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imaging composition
  • a cell imaging composition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complex for the mitochondrial target.
  •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and the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re as described above, and cell imaging was performed using the TPP-GxF complex prepared in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egree of fluorescence was observed without a separate washing proces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TPP-GxF complex was stained in the mitochondria of the cell, as in the mitochondrial expression material Mito-YFP. It was confirmed that the fluorescence of YFP and TPP-GxF complex was observed at the same position ( FIGS. 11 and 12 ).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t for cell imaging comprising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complex for the mitochondrial target.
  • the ki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for cell staining, a material for cell fixation, a dish/slide for cell fixation or culture, etc. in addition to the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complex,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ll imag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contacting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compound complex for the mitochondrial target with a cell.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a composition
  •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und for aggregation-induced luminescence and a mitochondrial target complex to which a mitochondrial target material is bound as a cell imaging agent.
  • a novel fluorescent material based on an indolizine framework was synthesized for real-time monitoring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R 1 hydrogen (-H),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CF 3 ), acetyl group (-COCH 3 ), methoxy group (-OCH 3 ), dimethylamine group (Dimethylamine; DMA; -N(CH) 3 ) 2 )
  • R 2 methyl (-CH 3 ), trifluoromethylphenyl group (Trifluoromethylphenyl; -CF 3 Ph), phenyl group (-Ph), methoxyphenyl group (OCH 3 Ph), diethylaminephenyl group (Diethylaminephenyl; -N (C) 2 H 5 ) 2 Ph)
  • R 3 hydrogen (-H), trifluoromethyl group (Trifluoromethyl; -CF 3 ), acetyl group (-COCH 3 ).
  • Multiplicity was expressed as: s(singlet); d(doublet); t(triplet); q(quartet); m(multiple); dd(doublet of doublet); ddd(doublet of doublet of doublet); dt(doublet of triplet); td(triplet of doublet); brs (broad singlet).
  • LRMS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
  • IA-B KOH (5386 mg, 96.00 mmol) was added to methanol (10 mL) containing IA-E (517.9 mg, 1.206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A-A as a brown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A-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302.4 mg, 3.600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A-A, and NBS (320.3 mg) , 1.800 mmol) were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B-E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e 3, specifically, 4 (trifluoromethyl) pyridine (695 ⁇ L, 6.00 mmol) and chloroacetone (501 ⁇ L, 6.30 mmol) containing DMF (10.0 mL) at 100 ° C. After stirring overnight, ethyl acrylate (320 ⁇ L, 3 mmol), copper (II) acetate monohydrate (1.79 g, 9.00 mmol) and sodium acetate (1476.5 mg, 18 mmol) were added thereto at 100° C. for 16 hours. stirred for a while.
  • IB-B KOH (5386 mg, 96.00 mmol) was added to methanol (10 mL) containing IB-E (0.66 g, 2.20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B-A as a brown solid.
  • IC-E Synthesized as in Scheme 4 below, specifically, 4 (trifluoromethyl) pyridine (348 ⁇ L, 3.00 mmol) and 2-bromoacetophenone (2-bromoacetophenone; 627 mg, 3.15 mmol) containing DMF ( 7.0 mL) was stirred at 100 °C overnight, then ethyl acrylate (160 ⁇ L, 0.50 mmol), copper(II) acetate monohydrate (898 mg, 1.50 mmol) and sodium acetate (738 mg, 9.00 mmol) were added. and stirred at 100° C. for 16 hours.
  • IC-B KOH (519 mg, 10.0 mmol) was added to methanol (10 mL) containing IC-E (481.9 mg, 1.3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C-A as a white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C-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162.4 mg, 1.9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C-A, and NBS (172.0 mg, 0.9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D-E Synthesized as in Scheme 5, specifically, 4 (trifluoromethyl) pyridine (695 ⁇ L, 6.00 mmol) and 2-bromo-4-methoxyacetophenone (2-bromo-4-methoxyacetophenone, 1.44 g , 6.30 mmol) in DMF (10.0 mL) was stirred at 100 °C overnight, then ethyl acrylate (320 ⁇ L, 3.00 mmol), copper(II) acetate monohydrate (1.79 g, 9.00 mmol) and sodium acetate (1.47 g, 18.0 mmol) was added and stirred at 100° C. for 16 hours.
  • ID-B KOH (5.91 g, 105 mmol) was added to methanol (18 mL) containing ID-E (1.02 g, 2.62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D-A as a white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D-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660 mg, 7.86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D-A, and NBS (699 mg, 3.93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E-E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e 6, specifically, 4 (trifluoromethyl) pyridine (695 ⁇ L, 6.00 mmol) and 2-bromo-4'- (diethylamino) acetophenone (2-Bromo-4' DMF (6.0 mL) containing -(diethylamino)aceto-phenone, 1.70 mL, 6.30 mmol) was stirred at 100 °C overnight, then ethyl acrylate (320 ⁇ L, 3.00 mmol), copper(II) acetate monohydrate (1.79 g, 9.00 mmol) and sodium acetate (1.47 g, 18.0 mmol) were added and stirred at 100° C. for 16 hours.
  • IE-B KOH (5.85 g, 104 mmol) was added to methanol (10 mL) containing IE-E (1.12 g, 2.60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E-A as a white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E-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655 mg, 7.80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E-A, and NBS (694 mg, 3.90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F-E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e 7, specifically, 4-acetylpyridine (4-Acetylpyridine, 394.6 ⁇ L, 3.567 mmol) and 2-bromo-4'-(trifluoromethyl)acetophenone (2-Bromo-4 DMF (12.0 mL) containing '-(trifluoromethyl)acetophenone, 1.0 g, 3.8 mmol) was stirred at 80 °C for 4 hours, and then ethyl acrylate (193.6 ⁇ l, 1.79 mmol), copper (II) acetate monohydrate (2.14 g, 10.7 mmol) and sodium acetate (1.17 g, 14.3 mmol) were added and stirred at 100° C.
  • 4-acetylpyridine (4-Acetylpyridine, 394.6 ⁇ L, 3.567 mmol) and 2-bromo-4'-(trifluoromethyl)acetophenone (2-Bromo-4 DMF (12.0 mL) containing
  • IF-B KOH (2.21 g, 55.2 mmol) was added to methanol (5 mL) containing IF-E (556.5 mg, 1.379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F-A as a brown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F-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350.3 mg, 4.170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F-A, and NBS (259.6 mg, 1.459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G-E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e 8, specifically, 4-acetylpyridine (158.1 ⁇ L, 1.431 mmol) and 2-chloroacetone (2-chloroacetone, 120.7 ⁇ L, 1.5 mmol) containing DMF (12.0 mL) at 80 ° C. After stirring for 4 hours, ethyl acrylate (77.5 ⁇ l, 0.715 mmol), copper (II) acetate monohydrate (856.5 mg, 4.29 mmol) and sodium acetate (469.2 mg, 5.72 mmol) were added at 100 ° C. 5 stirred for hours.
  • IG-B KOH (1.37 g, 24.4 mmol) was added to methanol (5 mL) containing IG-E (166.7 mg, 0.610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G-A as a brown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G-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51.2 mg, 1.83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G-A, and NBS (108.5 mg, 0.64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H-B KOH (336.8 mg, 6.0 mmol) was added to methanol (4 mL) containing IH-E (200.0 mg, 0.60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H-A as a brown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H-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131.1 mg, 1.56 mmol) was added to DMF (2.0 mL) containing IH-A, and NBS (97.9 mg, 0.55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Methyl boronic acid 32.07 mg, 0.26 mmol
  • tetrakis (triphenyl phosphine) palladium 20.28 mg, 0.018 mmol
  • sodium carbonate 46.4 mg, 0.44 mmol
  • the obtained compound II-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478.9 mg, 5.7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I-A, and NBS (354.9 mg, 2.0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J-E Synthesized as shown in Scheme 11, specifically, DMF (6.0) containing 4-acetylpyridine (194.9 ⁇ L, 1.76 mm) and 2-bromo-4'-diethylaminoacetophenone (500 mg, 1.85 mmol) mL) at 80° C. for 5 h, then ethyl acrylate (88.1 ⁇ l, 0.88 mmol), copper(II) acetate monohydrate (1.05 g, 5.28 mmol) and sodium acetate (577.5 mg, 7.04 mmol) were added. and stirred at 100° C. for 5 hours.
  • IJ-B KOH (1.63 g, 29.2 mmol) was added to methanol (16 mL) containing IJ-E (295.6 mg, 0.73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overnight.
  •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J-A as a brown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J-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306.6 mg, 3.65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J-A, and NBS (136.4 mg, 0.77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 IK-B KOH (8.44 g, 150 mmol) was added to methanol (20 mL) containing IK-E (632 mg, 2.50 mmol), followed by stirring at room temperature for 4 hours. The reaction mixture was acidified by addition of 6N HCl, and the resulting solid was obtained through filtration, washed with water and dried in a drying oven to obtain compound IK-A as a white solid.
  • the obtained compound IK-A was used in the next step without further purification, and sodium bicarbonate (630 mg, 7.50 mmol) was added to DMF (10.0 mL) containing IK-A, and NBS (667 mg, 3.75 mmol) was added. ) was added in portions at 0 °C. The reaction mixture was stirr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the resulting crude product was washed with water, and the organic material was extracted three times with DCM. The extracted organic materials were combined, dried over anhydrous Na 2 SO 4 and concentrated.

Abstract

본 발명은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돌리진 분자 골격체를 기반으로 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의 특정 위치에 전자밀도의 변화를 통해 모든 색의 발광파장을 낼 수 있는 체계적인 구조를 가진 인돌리진 골격체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한 응집유도발광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이들을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물질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염색되어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효과적으로 세포 이미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응집유도발광 물질은 다양한 세포 이미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본 발명은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돌리진 분자 골격체를 기반으로 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상기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제로서의 용도,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키트; 세포 이미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형광 현상은 현대 과학과 의약 기술에 있어서 필수적인 빛을 기반으로 하는 과학 기술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전형적인 형광체는 응집에 의한 소거(Aggregation caused quenching=ACQ) 현상을 나타내므로, 이런 ACQ 효과에 의해 실용적인 응용에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몇가지 형광물질들에서 응집 유도 발광(Aggregation induced emission = AIE) 현상을 보이는 AIEgen이라 불리우는 물질들이 발견되었으며, 이들 AIEgen은 응집이 되어 고체상태가 되면 강한 형광을 보이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이런 독특한 메커니즘에 의해, AIEgen은 전형적인 형광물질이 갖는 ACQ 현상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으므로, 형광 물질로 신규 AIEgen의 발견이 큰 각광을 받게 되었다. AIEgen 물질을 이용하여 세포이미징 및 실시간 관찰에 적용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나아가, 항암제 등의 약물 치료에도 적용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30579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8-0102443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응집 유도 발광 물질을 개발하기 위해 예의 노력하였으며, 인돌리진 골격체를 기반으로 새로운 응집유도 발광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갤럭시 플로어(GalaxyFluor; GxF, 이하, "GxF" 또는 "GxF 물질"로 표기함)로 명명하였다. GxF는 분자의 특정 위치에 전자밀도의 변화를 통해 모든 색의 발광파장을 낼 수 있는 체계적인 구조가 되도록 제조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결정구조 분석, 컴퓨터 계산 및 용매 의존 발색 현상등의 연구를 통해 GxF 구조 내에서 분자 내 전하 이동과 분자 내 회전 제한을 통한 상승 효과를 제안하였다.
또한, 총 75종의 GxF 화합물 중에서 응집유도 발광 물질에 적합한 화합물 4종을 선별하였으며, 이들을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물질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염색되어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효과적으로 세포 이미징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영상조영제(imaging agent)로서의 용도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니트릴기; 할로겐; 니트로기;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C5-C20의 시클로헤테로고리기; 보론기; 아자이드기; NR4R5(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C1-C6의 알콕시, 할로겐,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CH2NR4R5 (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R2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C1-C6의 알콕시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설포닐기; 아자이드기; 메탄설포닐기; 말레이미드기; 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기(TBS)로 보호된 알콜; 또는 NR6R7(여기에서,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니트릴기;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COY(여기에서 Y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NR8R9(여기에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NR10R11(여기에서, R10 및 R1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아세틸기; 메톡시기; 또는 다이메틸아민기이고, 상기 R2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또는 다이에틸아민페닐기이며, 상기 R3는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또는 아세틸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75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2
[화학식 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3
[화학식 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4
[화학식 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5
[화학식 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6
[화학식 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7
[화학식 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8
[화학식 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09
[화학식 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0
[화학식 1-1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1
[화학식 1-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2
[화학식 1-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3
[화학식 1-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4
[화학식 1-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5
[화학식 1-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6
[화학식 1-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7
[화학식 1-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8
[화학식 1-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19
[화학식 1-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0
[화학식 1-2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1
[화학식 1-2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2
[화학식 1-2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3
[화학식 1-2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4
[화학식 1-2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5
[화학식 1-2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6
[화학식 1-2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7
[화학식 1-2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8
[화학식 1-2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29
[화학식 1-2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0
[화학식 1-3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1
[화학식 1-3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2
[화학식 1-3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3
[화학식 1-3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4
[화학식 1-3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5
[화학식 1-3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6
[화학식 1-3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7
[화학식 1-3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8
[화학식 1-3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39
[화학식 1-3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0
[화학식 1-4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1
[화학식 1-4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2
[화학식 1-4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3
[화학식 1-4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4
[화학식 1-4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5
[화학식 1-4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6
[화학식 1-4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7
[화학식 1-4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8
[화학식 1-4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49
[화학식 1-4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0
[화학식 1-5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1
[화학식 1-5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2
[화학식 1-5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3
[화학식 1-5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4
[화학식 1-5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5
[화학식 1-5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6
[화학식 1-5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7
[화학식 1-5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8
[화학식 1-5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59
[화학식 1-5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0
[화학식 1-6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1
[화학식 1-6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2
[화학식 1-6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3
[화학식 1-6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4
[화학식 1-6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5
[화학식 1-6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6
[화학식 1-6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7
[화학식 1-6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8
[화학식 1-6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69
[화학식 1-6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0
[화학식 1-7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1
[화학식 1-7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2
[화학식 1-7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3
[화학식 1-7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4
[화학식 1-7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5
[화학식 1-7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6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은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1, 화학식 1-3, 화학식 1-5 및 화학식 1-1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순으로 형광 증가율이 높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화학식 A의 화합물 및 화학식 B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C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C의 화합물과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및 구리아세트산 모노수화물(Copper(II) Acetate monohydrate)을 반응시켜 화학식 D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D의 화합물 및 NBS(N-Bromosuccinimide)를 반응시켜 화학식 E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화학식 E의 화합물 및 화학식 F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7
상기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아세틸기; 메톡시기; 또는 다이메틸아민기이고, 상기 R2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또는 다이에틸아민페닐기이며, 상기 R3는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또는 아세틸기이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영상조영제(imaging agent)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분자의 특정 위치에 전자밀도의 변화를 통해 모든 색의 발광파장을 낼 수 있는 체계적인 구조를 가진 인돌리진 골격체를 기반으로 하는 신규한 응집유도발광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이들을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물질과 결합하여 사용할 경우, 살아있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에 염색되어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효과적으로 세포 이미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신규한 응집유도발광 물질은 다양한 세포 이미징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신규한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인 GxF의 화학적 구조와 호모(HOMO) 및 루모(LUMO)의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GxF 1, GxF 3, GxF 5 및 GxF 11의 화학적 구조와 호모(HOMO) 및 루모(LUMO)의 모양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4는 전 가시광선 영역에 걸친 발광 파장을 보이는 형광 화합물의 특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현상을 유도한 결과이다. (a) GxF 화합물의 화학적 핵심 골격 구조, (b) 고체 상태에서 GxF 11(파란색), GxF 1(녹색), GxF 3(주황색) 및 GxF 5(빨간색)의 방출 스펙트럼, (c) 용액(THF, 바이알) 및 고체 필름의 주변 광(위) 및 365nm UV 광(아래)하에서 화합물 GxF 11, GxF 1, GxF 3 및 GxF 5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사진, 및 (d) 물 분획(0-90 %)이 다른 THF/물 혼합 용매(20 μM)에서 GxF 11, GxF 1, GxF 3 및 GxF 5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용액의 방출 스펙트럼이다.
도 6은 THF / 물 혼합물에서 GxF 11(a, b), GxF 1(c, d), GxF 3(e, f) 및 GxF 5(g, h) 용액의 응집에 따른 동적광산란(DLS) 신호(a,c,e,g) 및 형광 방출 스펙트럼(b,d,f,h)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GxF 1 및 GxF 63의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한 단분자 구조분석(A) 및 결정구조 분석(B) 결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THF / Hexane 비율에 따른 용매의존 발색 현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용매에 따른 형광 강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10은 TPP-GxF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1은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한 후, 별도의 세척 과정 없이 세포를 관찰한 형광 이미징 사진이다.
도 12는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하였을 때와 미토콘드리아 내 발현시킨 형광 단백질의 위치를 확인한 데이터이다.
도 13은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한 후, 별도의 세척 과정 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세포를 관찰한 형광 이미징 사진이다.
도 14는 농도에 따른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한 후, 별도의 세척 과정 없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 염색 이미지를 확인한 사진이다.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8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니트릴기; 할로겐; 니트로기;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C5-C20의 시클로헤테로고리기; 보론기; 아자이드기; NR4R5(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C1-C6의 알콕시, 할로겐,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CH2NR4R5 (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R2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C1-C6의 알콕시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설포닐기; 아자이드기; 메탄설포닐기; 말레이미드기; 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기(TBS)로 보호된 알콜; 또는 NR6R7(여기에서,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니트릴기;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COY(여기에서 Y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NR8R9(여기에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NR10R11(여기에서, R10 및 R1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아세틸기; 메톡시기; 또는 다이메틸아민기이고, 상기 R2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또는 다이에틸아민페닐기이며, 상기 R3는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또는 아세틸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은 하기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75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79
[화학식 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0
[화학식 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1
[화학식 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2
[화학식 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3
[화학식 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4
[화학식 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5
[화학식 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6
[화학식 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7
[화학식 1-1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8
[화학식 1-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89
[화학식 1-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0
[화학식 1-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1
[화학식 1-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2
[화학식 1-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3
[화학식 1-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4
[화학식 1-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5
[화학식 1-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6
[화학식 1-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7
[화학식 1-2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8
[화학식 1-2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099
[화학식 1-2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0
[화학식 1-2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1
[화학식 1-2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2
[화학식 1-2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3
[화학식 1-2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4
[화학식 1-2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5
[화학식 1-2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6
[화학식 1-2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7
[화학식 1-3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8
[화학식 1-3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09
[화학식 1-3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0
[화학식 1-3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1
[화학식 1-3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2
[화학식 1-3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3
[화학식 1-3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4
[화학식 1-3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5
[화학식 1-3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6
[화학식 1-3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7
[화학식 1-4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8
[화학식 1-4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19
[화학식 1-4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0
[화학식 1-4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1
[화학식 1-4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2
[화학식 1-4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3
[화학식 1-4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4
[화학식 1-4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5
[화학식 1-4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6
[화학식 1-4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7
[화학식 1-5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8
[화학식 1-5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29
[화학식 1-5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0
[화학식 1-5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1
[화학식 1-5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2
[화학식 1-5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3
[화학식 1-5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4
[화학식 1-5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5
[화학식 1-5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6
[화학식 1-5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7
[화학식 1-6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8
[화학식 1-6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39
[화학식 1-6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0
[화학식 1-6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1
[화학식 1-6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2
[화학식 1-6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3
[화학식 1-6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4
[화학식 1-6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5
[화학식 1-6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6
[화학식 1-6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7
[화학식 1-7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8
[화학식 1-7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49
[화학식 1-7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0
[화학식 1-7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1
[화학식 1-7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2
[화학식 1-7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3
더 바람직하게, 상기 화학식 1은 상기 화학식 1-1, 화학식 1-3, 화학식 1-5 및 화학식 1-1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응집유도발광 물질을 합성하기 위해, 인돌리진 골격체 기반의 신규한 응집유도발광 물질을 합성하였으며, 이를 갤럭시 플로어(GalaxyFluor; GxF, 이하, "GxF" 또는 "GxF 물질"로 표기함)로 명명하였다. 양자계산 결과 GxF 물질의 경우 HOMO와 LUMO lobe의 구획화가 명확히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여 분자내 전하이동(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 형상을 유도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도 2 및 도 3).
또한, GxF 화합물들의 응집유도발광 현상을 관찰한 결과, GxF 1의 경우 119.5배, GxF 3의 경우 18.3배, GxF 5의 경우 28.8배 및 GxF 11의 경우 41.3배로 형광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5d).
따라서, 상기 GxF 화합물의 AIE(Aggregation induced emission)에 대한 우선 순위는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GxF 1) >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화합물(GxF 11) >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GxF 5) >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GxF 3)이다. 이러한 우선순위가 나오는 원리는 분자 회전(rotation)이 잘 일어나는 치환기가 R1 > R3 > R2 순으로 AIE 형상을 더 잘 유도하기 때문으로, R1기에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CF3)가 위치한 GxF 1 및 GxF 11가 GxF 3 및 GxF 5에 비해 AIE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으며, R1기에 다이메틸아민기(dimethylamino; DMA)가 위치한 GxF 5가 R1기에 수소(H)가 위치한 GxF 3에 비해 AIE에 대한 우선순위가 높게 나타났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일구현예에서, 수용액 조건에서(THF/Water mixture 1:9) GxF 화합물의 응집형상 및 광물리적 특성을 동적광산란광도계(Dynamic light scattering: DLS)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GxF 화합물은 응집이 유도되고 그 크기가 2~500 nm 정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표 2).
본 발명의 구체적인 또 다른 일구현예에서, THF/Hexane 비율에 따른 용매의존 발색 현상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Hexane 비율이 높을 수록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으며(도 8), 용매 종류에 따른 형광 강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Hexane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용매에 비해 형광 강도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9).
본 발명은 전술한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제로서의 용도를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양자계산 결과 GxF 물질의 경우 HOMO와 LUMO lobe의 구획화가 명확히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여 분자내 전하이동(Intramolecular Charge Transfer: ICT) 형상을 유도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으며(도 2 및 도 3), 또한, GxF 화합물들의 응집유도발광 현상을 관찰한 결과, GxF 1의 경우 119.5배, GxF 3의 경우 18.3배, GxF 5의 경우 28.8배 및 GxF 11의 경우 41.3배로 형광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5d).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a) 화학식 A의 화합물 및 화학식 B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C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화학식 C의 화합물과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및 구리아세트산 모노수화물(Copper(II) Acetate monohydrate)을 반응시켜 화학식 D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c) 상기 화학식 D의 화합물 및 NBS(N-Bromosuccinimide)를 반응시켜 화학식 E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d) 상기 화학식 E의 화합물 및 화학식 F의 화합물을 반응시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하기 반응식 1로 표시되는 화학식 1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응식 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4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아세틸기; 메톡시기; 또는 다이메틸아민기이고, 상기 R2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또는 다이에틸아민페닐기이며, 상기 R3는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또는 아세틸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나타난 방법으로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인 GxF 물질을 합성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의 제조방법을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단계: 피리딘 물질의 아실화
본 단계에서는 화합물 B를 알킬 할라이드를 이용하여 아실화 한다.
상기의 아실화는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킬 할라이드로서 화합물 B는 R2 치환기를 함유하는 2-브로모-1-[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2-bromo-1-[4-(trifluoromethyl)-phenyl]ethane-1-one), 클로로아세톤(chloroacetone), 2-브로모아세토페논(2-bromoacetophenone), 2-브로모4-메톡시아세토페논(2-bromo-4-methoxyacetophenone), 2-브로모-4'-(다이에틸아미노_아세토-페논(2-Bromo-4'-(diethylamino)aceto-phenone)등과 같은 친전자성 모이어티(electrophilic moiety)를 함유하는 것을 사용하고 R3 치환기를 갖는 피리딘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알킬할라이드와 피리딘의 유기혼합물 용액을, 적정 온도(20℃내지 100℃에서 1 ~ 24시간 동안 교반하여 피리딘 염 화합물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반응을 보내는데 있어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알킬할라이드 및 피리딘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b) 단계: 1,3-디폴라 고리화 반응
a) 단계에서 얻어진 아실화된 화학식 c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아세트산나트륨(sodium acetate) 및 구리아세트산 모노수화물(Copper(II) Acetate monohydrate)을 반응시켜 화학식D 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a) 단계에서 얻어진 아실화된 화합물 유기혼합물 용액을, 적정 온도 (50℃내지 120℃에서 1 ~ 24시간 동안 교반한뒤, 통상의 추출, 건조, 여과, 농축 및 정제 과정을 거쳐 화학식 D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반응을 보내는데 있어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c)단계: Br 치환기 도입 단계
화학식 D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비누화 반응(Saponification)과 브롬화 (Bromination) 반응을 거쳐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의 반응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먼저 상기 화학식 D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유기용매에 용해 시키고 수산화리튬(Lithium hydroxide),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수산화 나트륨(sodium hydroxide)과 같은 강염기를 첨가 하고 생성된 유기혼합물 용액을 적정 온도(50℃내지 120℃에서 1 ~ 24시간 동안 교반한뒤, 통상의 추출, 건조, 여과, 농축 및 정제 과정을 거쳐 중간 물질을 얻어 낸다. 이후 중간 물질을 적절한 유기용매에 녹이고 이후 NBS(N-Bromosuccinimide)를 처리한후 생성된 유기혼합물 용액을 적정 온도 (50℃내지 120℃에서 1 ~ 24시간 동안 교반한뒤, 통상의 추출, 건조, 여과, 농축 및 정제 과정을 거쳐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산출한다. 이때, 상기 반응을 보내는데 있어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d) 단계: Suzuki coupling 단계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화학식 F로 표현되는 화합물과 Pd 촉매를 사용하여 반응 시켜 본 발명의 형광 화합물을 얻는 단계이다.
상기의 반응은 당업계에서 알려진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한 없이 수행될 수 있는데, 먼저 상기 R1 치환기를 포함하는 화학식 F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경우 트리플루오로페닐 보론산(triflulorophenyl boronic acid), 4-아세틸페닐 보론산(4-acetylphenyl boronic acid), 페닐 보론산(phenyl boronic acid), 4-메톡시페닐 보론산(4-methoxyphenyl boronic acid),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dimethylamino)phenyl boronic acid)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반응은, 통상의 유기용매 내에서 R1 치환기를 갖는 화학식 F로 표현되는 화합물과 c) 단계에서 얻어진 화학식 E로 표현되는 화합물을 Pd(PPh3)4과 Sodium carbonate와 혼합하고, 생성된 유기혼합물 용액을 적정 온도 (50℃내지 120℃에서 1 ~ 24시간 동안 교반한뒤, 통상의 추출, 건조, 여과, 농축 및 정제 과정을 거쳐 본 발명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을 얻어 낸다. 이때, 상기 반응을 보내는데 있어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통상의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화합물의 구체적인 종류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결정할 수 있다.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미토콘드리아를 타겟하면서, 말단에 -COOH를 가지는 물질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는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로 TPP을 이용하였으며, 도 10에 나타난 방법을 이용하여 TPP-GxF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세포 이미징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 및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구현예에서 제조한 TPP-GxF 복합체를 이용하여 세포 이미징을 수행하였다.
세포에 TPP-GxF 복합체를 처리한 후,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형광정도를 관찰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내 발현물질인 Mito-YFP와 마찬가지로 TPP-GxF 복합체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ito-YFP 및 TPP-GxF 복합체의 형광이 동일한 위치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 및 도 12).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광 정도를 관찰한 결과, TPP-GxF 복합체는 세포에 처리 1분 후에 형광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3), 농도에 따른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한 결과, TPP-GxF 복합체는 낮은 농도 뿐만 아니라, 높은 농도에서도 높은 형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4).
대부분의 형광체들은 낮은 농도 혹은 액체 상태에서 강한 형광 상태를 보이나, 높은 농도 혹은 고체 상태에서는 약한 형광을 보이는 반면, TPP-GxF 복합체는 농도 및 고체 응집 정도에 대한 제한 없이 강한 형광 상태를 보일 뿐만 아니라,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도 빠른 시간 내 세포를 관찰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 키트는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 이외에도 세포 염색을 위한 완충액, 세포 고정을 위한 물질, 세포 고정 또는 배양용 디쉬/슬라이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복합체를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영상조영제(imaging agent)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인돌리진 기반 신규 형광 물질 합성
본 발명에서는 휘발성 유기 화합물을 실시간 모니터링하기 위해 인돌리진 골격체 기반의 신규한 형광 물질을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식 1 및 도 3에 나타난 방법으로 신규 형광 물질인 갤럭시 플로어(GalaxyFluor; GxF)를 합성하였으며, 화학식 1의 형광 화합물이 하기와 같은 치환기를 가지도록 각각 조합하여 최종 75종의 신규한 GxF 물질을 합성하였다:
R1: 수소(-H),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CF3), 아세틸기(-COCH3), 메톡시기(-OCH3), 다이메틸아민이기(Dimethylamine; DMA; -N(CH3)2)
R2: 메틸(-CH3),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Trifluoromethylphenyl; -CF3Ph), 페닐기(-Ph), 메톡시페닐기(OCH3Ph), 다이에틸아민페닐기(Diethylaminephenyl; -N(C2H5)2Ph)
R3: 수소(-H),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CF3), 아세틸기(-COCH3).
1H 및 13C NMR 스펙트럼은 JEOL ECZ-600R (JEOL Ltd, Japan)를 사용하여 기록되었으며, 화학적 이동(chemical shift)은 내부 테트라메틸실란 표준의 ppm의 낮은 장(downfield) 범위를 측정하였다.
다중도(multiplicity)는 다음과 같이 표시하였다: s(singlet); d(doublet); t(triplet); q(quartet); m(multiplet); dd(doublet of doublet); ddd(doublet of doublet of doublet); dt(doublet of triplet); td(triplet of doublet); brs(broad singlet).
커플링 상수는 Hz로 기록하였다. 질량 분석(routine mass analyses)은 역상컬럼(C-18, 50Υ2.1mm, 5㎛)이 구비된 LC/MS 시스템과 전자 분무 이온화(ESI) 또는 대기압 화학 이온화(APCI)를 이용한 광다이오드 분석 탐지기 상에서 수행되었다.
화합물의 분자량 분석은 고분해능 질량분석기(LRMS; high-resolution mass spectrometry)에 의해 확인하였다. LRMS 분석은 LCMS-2020 (Shimadzu, Japan) 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합성한 75종의 GxF 물질 각각의 합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GxF 1 ~ 5>
IA-E : 하기 반응식 2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4-(trifluoromethyl)pyridine, 637 μL, 5.50 mmol) 및 2-브로모-1-[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2-bromo-1-[4-(trifluoromethyl)-phenyl]ethane-1-one, 1.54 g, 5.70 mmol)이 포함된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DMF, 10.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293 μL, 2.75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copper(II) acetate monohydrate, 1.64 g, 8.25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sodium acetate, 1.35 g, 16.5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copper acetate)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gel flash column chromatography, 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A-E(518 mg, 1.20 mmol, 43.8%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 (d, J = 7.2 Hz, 1H), 8.70 (s, 1H), 7.91 (d, J = 7.6 Hz 2H), 7.82 (s, 1H), 7.79 (d, J = 8.0 Hz, 2H), 7.23 (d, J = 7.2 Hz, 1H), 4.40 (q, J = 7.2 Hz, 2H), 1.41 (t, J = 7.2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0, 162.8, 141.9, 137.7, 133.3, 132.6, 129.3, 128.9, 125.3, 124.7, 124.0, 122.6, 122.0, 121.2, 117.1, 110.9, 108.9, 60.6, 14.4.
IA-B : IA-E(517.9 mg, 1.206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 (5386 mg, 96.00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A-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A-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A-A이 포함된 DMF (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sodium bicarbonate, 302.4 mg, 3.60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320.3 mg, 1.800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A-B(434.1 mg, 0.99 mmol, 82.9%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5.5 (d, J = 7.2 Hz, 1H), 7.90 (s, 2H), 7.87 (s, 1H), 7.78 (d, J = 8.0 Hz, 2H), 7.40 (s, 1H), 7.13 (d, J = 7.2 Hz, 1H); 13C NMR(100 MHz, NNN) δ 183.1, 142.4, 135.0, 133.1, 129.2, 127.6, 126.6, 125.6, 125.5, 124.4, 123.0, 121.7, 115.4, 110.4, 93.0; LRMS (ESI) m/z calcd for C17H8BrF6NO [M+Na]+ : 435.0, found : 436.3.
[반응식 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5
화합물 GxF 1 :
IA-B(50.4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4-triflulorophenyl boronic acid, 88.0 mg, 0.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Tetrakis(triphenyl phosphine)palladium, 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50.0 mg, 0.09 mmol, 86.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6 (d, J = 7.6 Hz, 1H), 8.11 (s, 1H), 7.95 (d, J = 8.8 Hz, 2H), 7.80 (d, J = 8.8 Hz, 2H), 7.74 (d, J = 8.4 Hz, 2H), 7.66 (s, 1H), 7.64 (s, 1H), 7.52 (s, 1H), 7.18 (d, J = 7.4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3.9, 142.9, 137.1, 134.4, 133.4, 133.1, 129.5, 129.2, 128.3, 127.3, 127.0, 126.2, 126.0, 125.6, 125.1, 124.5, 123.2, 122.8, 122.4, 121.8, 119.2, 115.3, 110.4; LRMS (ESI) m/z calcd for C24H12F9NO [M+Na]+ : 501.1, found : 502.1.
화합물 GxF 2 :
IA-B(50.2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4-acetylphenyl boronic acid , 75.0 mg, 0.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48.4 mg, 0.10 mmol, 88.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 (d, J = 7.6 Hz, 1H), 8.15 (s, 1H), 8.07 (d, J = 6.8 Hz, 2H), 7.95 (d, J = 8.4 Hz, 2H), 7.80 (d, J = 8.4 Hz, 2H), 7.64 (d, J = 6.8 Hz, 2H), 7.54 (s, 1H), 7.18 (d, J = 7.6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97.2, 183.9, 142.9, 138.2, 135.8, 134.4, 133.0, 129.5, 129.3, 129.2, 128.0, 127.3, 126.9, 125.9, 125.6, 124.5, 123.3, 122.4, 121.8, 119.4, 115.5, 115.4, 110.4, 26.9; LRMS (ESI) m/z calcd for C25H15F6NO2 [M+Na]+ : 475.1, found : 476.2.
화합물 GxF 3 :
IA-B(51.2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phenyl boronic acid, 57.0 mg, 0.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48.7 mg, 0.11 mmol, 96.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8.4 Hz, 1H), 8.14 (s, 1H), 7.95 (d, J = 8.0 Hz, 2H), 7.79 (d, J = 8.0 Hz, 2H), 7.55 (s, 1H), 7.53 (d, J = 3.6 Hz, 2H), 7.49 (d, J = 3.2 Hz, 2H), 7.39 (d, J = 7.2 Hz, 1H) 7.13 (dd, J = 7.4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3.7, 143.1, 134.4, 133.3, 133.2, 132.9, 129.3, 129.2, 128.1, 127.5, 126.6, 125.8, 125.5, 125.4, 125.1, 124.7, 122.9, 122.0, 120.9, 115.7, 110.1.
화합물 GxF 4 :
IA-B(51.0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4-methoxyphenyl boronic acid, 71.0 mg, 0.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Tetrakis(triphenyl phosphine)palladium, 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51.4 mg, 0.11 mmol, 94.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5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2 (d, J = 6.8 Hz, 1H), 8.08 (s, 1H), 7.94 (d, J = 8.0 Hz, 2H), 7.78 (d, J = 8.0 Hz, 2H), 7.46 (s, 1H), 7.42 (d, J = 5.0 Hz, 2H), 7.10 (d, J = 7.4 Hz, 1H), 7.02 (d, J = 4.6 Hz, 2H), 3.86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5, 159.0, 143.1, 134.4, 133.0, 132.7, 129.2, 127.6, 126.3, 125.9, 125.6, 125.5, 125.4, 125.4, 125.1, 125.6, 122.7, 122.4, 121.9, 120.7, 115.7, 114.6, 114.1, 109.9; LRMS (ESI) m/z calcd C24H15F6NO2 for [M+Na]+ : 463.1, found : 464.1.
화합물 GxF 5 :
IA-B(51.4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dimethylamino)phenyl boronic acid, 78.0 mg, 0.4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Tetrakis(triphenyl phosphine)palladium, 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Sodium carbonate, 50mg, 0.47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51.5 mg, 0.10 mmol, 91.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1 (d, J = 7.6 Hz, 1H), 8.12 (s, 1H), 7.94 (d, J = 8 Hz, 2H), 7.78 (d, J = 8 Hz, 2H), 7.41 (d, J = 5.0 Hz, 2H), 7.40 (s, 1H), 7.09 (d, J = 7.6 Hz, 1H), 6.84 (d, J = 7.6 Hz, 2H), 3.02 (d, J = 6.4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4, 149.8, 143.3, 134.3, 132.9, 132.6, 129.2, 129.1, 128.8, 125.9, 125.7, 125.5, 125.1, 124.7, 122.6, 122.4, 122.0, 121.5, 121.4, 121.0, 116.0, 115.9, 112.9, 109.7, 40.6; LRMS (ESI) m/z calcd for C25H18F6N2O[M+Na]+ : 476.1, found : 476.2.
<GxF 6 ~ 10>
IB-E : 하기 반응식 3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695 μL, 6.00 mmol) 및 클로로아세톤(chloroacetone,501 μL, 6.30 mmol)이 포함된 DMF(10.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20 μL, 3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79 g, 9.0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476.5 mg, 18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B-E(659.5 mg, 2.2 mmol, 73.4%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8.66 (t, J = 1.2Hz, 1H), 8.06 (s, 1H), 7.15 (dd, J = 2 Hz, 1H), 4.43 (q, J = 7.2 Hz, 2H), 2.63(s, 3H), 1.45 (t, J = 7.0 Hz, 3H); 13C NMR(400 MHz, CDCl3) δ 188.0, 163.1, 136.7, 129.1, 128.3, 128.0, 127.6, 127.3, 126.9, 126.0, 124.2, 123.4, 121.5, 118.8, 116.9, 116.8, 110.5, 110.4, 108.1, 60.6, 27.5, 14.5; LRMS (ESI) m/z calcd for C14H12F3NO3 [M+Na]+ : 299.1, found : 300.1.
IB-B : IB-E(0.66 g, 2.20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 (5386 mg, 96.00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B-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B-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B-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554 mg, 6.6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587 mg, 3.30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B-B(588 mg, 1.92 mmol, 100%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7.2 Hz, 1H), 7.85 (s, 1H), 7.60 (s, 1H), 7.02 (d, J = 7.6 Hz, 1H), 2.59 (s, 1H); 13C NMR(100 MHz, CDCl3) δ 204.4, 186.9, 133.6, 128.7, 124.9, 123.5, 121.7, 115.2, 109.7, 92.0, 27.5.
[반응식 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1
화합물 GxF 6 :
IB-B(74.6 mg, 0.24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풀로로페닐 보론산(103 mg, 0.9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75.9 mg, 0.2 mmol, 8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8.0 Hz, 1H), 8.03 (s, 1H), 7.75 (d, J = 8.8 Hz, 2H), 7.71 (s, 1H), 7.67 (d, J = 8.8 Hz, 2H), 7.03 (dd, J = 7.6 Hz, 1H), 2.65 (s,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7.6, 137.4, 133.0, 129.2, 129.0, 128.1, 126.1, 125.7, 125.5, 124.6, 123.8, 123.1, 122.8, 121.9, 118.2, 115.1, 109.7, 27.8; LRMS (ESI) m/z calcd for C18H11F6NO [M+Na]+ : 371.1, found : 372.1.
화합물 GxF 7 :
IB-B(52.4 mg, 0.22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144 mg, 0.88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93.0 mg, 0.88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56.4 mg, 0.16 mmol, 74.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1 (d, J = 7.2 Hz, 1H), 8.06 (d, J = 8.4 Hz, 2H), 8.01 (d, J = 8.0 Hz, 1H), 7.72 (s, 1H), 7.67 (d, J = 8.8 Hz, 1H), 7.63 (d, J = 8.0 Hz, 1H), 7.01 (d, J = 7.2 Hz, 1H), 2.63 (s, 3H), 2.61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4, 187.9, 144.4, 138.8, 136.7, 135.8, 133.3, 129.5, 128.0, 127.6, 124.9, 124.1, 123.4, 122.1, 118.7, 115.5, 109.9, 28.1, 27.1; LRMS (ESI) m/z calcd for C19H14F3NO2 [M+Na]+ : 345.1, found : 346.1.
화합물 GxF 8 :
IB-B(73.8 mg, 0.24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117 mg, 0.9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02mg, 0.9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8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8(79.8 mg, 0.26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4 (d, J = 7.6 Hz, 1H), 8.07 (s, 1H), 7.86 (d, J = 8.8 Hz, 2H), 7.73 (d, J = 8.4 Hz, 2H), 7.66 (d, J = 8.0 Hz, 1H), 7.57 (s, 1H), 7.07 (dd, J = 7.2 Hz, 1H), 7.01 (d, J = 8.8 Hz, 1H), 3.90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2, 162.6, 137.5, 133.3, 132.1, 131.2, 129.2, 128.1, 126.1, 126.0, 125.8, 125.1, 123.7, 118.2, 113.7, 109.5, 55.6.
화합물 GxF 9 :
IB-B(52.1 mg, 0.22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133 mg, 0.8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92.7 mg, 0.87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9(547.2 mg, 0.14 mmol, 6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9 (d, J = 7.2 Hz, 1H), 7.99 (s, 1H), 7.60 (s, 1H), 7.45 (d, J = 8.8 Hz, 2H), 7.03 (d, J = 8.8 Hz, 2H), 6.96 (d, J = 7.2 Hz, 1H), 3.87 (s, 3H), 2.62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7.4, 158.8, 132.8, 129.1, 128.8, 126.0, 125.0, 124.8, 124.6, 123.3, 122.7, 122.1, 119.8, 115.5, 114.5, 109.2, 55.5, 27.7; LRMS (ESI) m/z calcd for C18H14F3NO2 [M+Na]+ : 333.11, found : 334.2.
화합물 GxF 10 :
IB-B(77.8 mg, 0.25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167 mg, 1.0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08 mg, 1.01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0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0(85.3 mg, 0.25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8.0 Hz, 1H), 8.03 (s, 1H), 7.57 (s, 1H), 7.41 (d, J = 8.8 Hz, 2H), 6.93 (d, J = 7.6 Hz, 1H), 6.83 (d, J = 8.8 Hz, 2H), 3.01 (s, 6H), 2.62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6.9, 149.3, 132.4, 128.3, 124.5, 124.1, 123.8, 122.9, 121.9, 121.8, 121.1, 121.0, 120.1, 115.4, 112.5, 108.6, 40.2, 27.3; LRMS (ESI) m/z calcd for C19H17F3N2O [M+Na]+ : 346.1, found : 347.2.
<GxF 11 ~ 15>
IC-E : 하기 반응식 4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348 μL, 3.00 mmol) 및 2-브로모아세토페논(2-bromoacetophenone; 627 mg, 3.15 mmol)이 포함된 DMF(7.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160 μL, 0.5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898 mg, 1.5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738 mg, 9.0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C-E(481.9 mg, 1.3 mmol, 88.9%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7.6 Hz, 1H), 8.59 (s, 1H), 7.78 (s, 1H), 7.74 (d, J = 6.8 Hz, 2H), 7.53 (t, J = 7.4 Hz, 1H), 7.44 (d, J = 7.6 Hz, 2H), 7.10 (dd, J = 7.4 Hz, 1H), 4.35 (q, J = 7.1 Hz, 2H), 1.37 (t, J = 7.0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5.3, 163.0, 138.8, 137.2, 131.7, 129.2, 128.8, 128.5, 128.3, 128.2, 128.0, 124.2, 123.2, 121.5, 117.0, 110.4, 108.5, 60.5, 14.5; LRMS (ESI) m/z calcd for C19H14F3NO [M+Na]+ : 361.1, found : 362.1.
IC-B : IC-E(481.9 mg, 1.3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 (519mg, 10.0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C-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C-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C-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162.4 mg, 1.9 mmol)를 첨가하고 및 NBS(172.0 mg, 0.9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C-B(219.2 mg, 0.595 mmol, 99.2%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6 Hz, 1H), 7.90 (s, 1H), 7.79 (d, J = 8.0 Hz, 2H), 7.59 (t, J = 7.4 Hz, 1H), 7.51 (t, J = 7.4 Hz, 1H), 7.46 (s, 1H), 7.09 (d, J = 7.6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5.4, 139.1, 134.2, 131.7, 128.9, 128.8, 128.3, 127.4, 126.1, 125.7, 124.4, 123.2, 121.7, 115.1, 109.8, 92.3; LRMS (ESI) m/z calcd for C16H9BrF3NO [M+Na]+ : 367.0, found : 368.0.
[반응식 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7
화합물 GxF 11 :
IC-B(51.2 mg, 0.14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106 mg, 0.5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59.0 mg, 0.5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1(54.0 mg, 0.12 mmol, 89.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5 (d, J = 7.6 Hz, 1H), 8.09 (s, 1H), 7.85 (dd, J = 8.2 Hz, 2H), 7.74 (d, J = 8.0 Hz, 2H), 7.66 (d, J = 8.0 Hz, 2H), 7.60 (t, J = 6.8 Hz, 1H), 7.57 (s, 1H), 7.54 (d, J = 7.6 Hz, 2H), 7.14 (d, J = 7.4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5.5, 139.8, 137.5, 133.9, 131.8, 129.5, 129.1, 128.6, 128.3, 126.4, 126.2, 126.2, 126.0, 125.8, 123.8, 118.7, 115.3, 110.0, 110.0, 47.1, 34.7; LRMS (ESI) m/z calcd for C23H13F6NO [M+Na]+ : 433.1, found : 434.3.
화합물 GxF 12 :
IC-B(36.9 mg, 0.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65.6 mg, 0.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4 mg, 0.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2(38.1 mg, 0.09 mmol, 93.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6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3 (d, J = 7.2 Hz, 1H), 8.13 (s,1H), 8.06 (d, J = 8.4 Hz, 2H), 7.84 (d, J = 8.4 Hz, 2H), 7.64 (d, J = 8.0 Hz, 2H), 7.59 (s, 1H), 7.52 (d, J = 7.4 Hz, 3H), 7.12 (dd, J = 7.2 Hz, 1H), 2.65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5, 185.6, 139.9, 138.8, 135.8, 134.1, 132.0, 129.7, 129.5, 129.3, 128.7, 128.1, 126.8, 126.5, 126.1, 124.9, 123.9, 122.2, 119.1, 115.6, 115.6, 110.1, 110.2, 27.1; LRMS (ESI) m/z calcd for C24H16F3NO2 [M+Na]+ : 407.1, found : 408.1.
화합물 GxF 13 :
IC-B(40.5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53.7 mg, 0.4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6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3(79.8 mg, 0.10 mmol, 94.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7.2 Hz, 1H), 8.12 (s, 1H), 7.86 (d, J = 7.2 Hz, 2H), 7.58 (d, J = 6.0 Hz, 1H), 7.52 (m, 7H), 7.38 (d, J = 7.6 Hz, 1H), 7.10 (dd, J = 7.6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5.3, 140.0, 133.8, 133.7, 131.5, 129.2, 129.1, 129.1, 128.4, 128.1, 127.3, 126.0, 125.8, 125.7, 123.4, 122.1, 120.4, 115.7, 115.6, 109.6, 47.0, 34.6; LRMS (ESI) m/z calcd for C22H14F3NO [M+Na]+ : 365.1, found : 366.1.
화합물 GxF 14 :
IC-B(47.9 mg, 0.1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79.0 mg, 0.5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55.1 mg, 0.5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4(57.6 mg, 0.14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2 (d, J = 7.6 Hz, 1H), 8.07 (s, 1H), 7.85 (d, J = 6.8 Hz, 2H), 7.58 (d, J = 7.2 Hz, 1H), 7.52 (d, J = 8.0 Hz, 2H), 7.48 (s, 1H), 7.46 (d, J = 8.8 Hz, 2H), 7.07 (dd, J = 7.2 Hz, 1H), 7.02 (d, J = 8.8 Hz, 2H), 3.86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5.1, 158.8, 139.9, 133,6, 131.4, 129.2, 129.0(2), 128.3, 125.9, 125.6, 125.5, 125.4, 125.2, 123.1, 120.1, 115.6, 115.5, 114.5, 109.4, 109.3, 55.5; LRMS (ESI) m/z calcd for C23H16F3NO2 [M+Na]+ : 395.1, found : 396.1.
화합물 GxF 15 :
IC-B(39.5 mg, 0.10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5.5 mg, 0.4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08 mg, 1.01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5(43.5 mg, 0.10 mmol, 99.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2 (d, J = 7.2 Hz, 1H), 8.11 (s, 1H), 7.87 (d, J = 7.2 Hz, 2H), 7.57 (d, J = 7.2 Hz, 1H), 7.52 (d, J = 7.6 Hz, 1H), 7.48 (s, 1H), 7.43 (d, J = 8.8 Hz, 1H), 7.05 (dd, J = 7.4 Hz, 1H), 6.87 (d, J = 8.0 Hz, 2H), 3.02 (s,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5.2, 166.7, 149.8, 140.3, 133.8, 131.5, 129.2, 129.0, 128.4, 127.3, 125.8, 125.4, 125.1, 125.0, 123.2, 122.3, 121.0, 116.1, 116.0, 113.2, 109.4, 47.1, 41.0, 34.7; LRMS (ESI) m/z calcd for C24H19F3N2O [M+Na]+ : 408.1, found : 409.2.
<GxF 16 ~ 20>
ID-E : 하기 반응식 5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695 μL, 6.00 mmol) 및 2-브로모-4-메톡시아세토페논(2-bromo-4-methoxyacetophenone, 1.44 g, 6.30 mmol)이 포함된 DMF(10.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20 μL, 3.0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79 g, 9.0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47 g, 18.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D-E(1.02 g, 2.63 mmol, 87.6%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3 (d, J = 7.2 Hz, 1H), 8.69 (s, 1H), 7.89 (s, 1H), 7.86 (d, J = 8.8 Hz, 2H), 7.18 (d, J = 7.4Hz, 1H), 7.03 (d, J = 8.8 Hz, 2H), 4.41 (d, J = 7.2 Hz, 2H), 3.92 (s, 3H), 1.42 (d, J = 6.6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1, 163.2, 162.7, 137.0, 131.3, 131.1, 129.2, 127.9, 127.8, 127.6, 124.3, 123.3, 121.6, 121.3, 116.9, 113.6, 110.1, 108.2, 60.5, 55.4, 14.5; LRMS (ESI) m/z calcd for C20H16F3NO4 [M+Na]+ : 391.1, found : 392.2.
ID-B : ID-E(1.02 g, 2.62 mmol)가 포함된 메탄올(18 mL)에 KOH(5.91 g, 105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D-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D-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D-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660 mg, 7.86 mmol)를 첨가하고 및 NBS(699 mg, 3.93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D-B(0.93 g, 2.36 mmol, 90.0%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8.0 Hz, 1H), 7.88 (s, 1H), 7.82 (d, J = 8.8 Hz, 2H), 7.46 (s, 1H), 7.05 (d, J = 7.6 Hz, 1H), 7.01 (d, J = 8.8 Hz, 2H), 3.90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3, 162.5, 133.8, 131.5, 131.1, 128.8, 126.7, 125.6, 125.3. 124.4, 123.3, 121.7, 121.3, 115.1, 109.4, 62.0, 55.5.
[반응식 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3
화합물 GxF 16 :
ID-B(1.05 g, 0.2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202 mg, 1.0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12 mg, 1.0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6(90.2 mg, 0.19 mmol, 73.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1 (d, J = 7.2 Hz, 1H), 8.05 (s, 1H), 7.65 (s, 1H), 7.51 (m, 6H), 7.37 (t, J = 7.2 Hz, 1H), 2.63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7.4, 133.6, 132.8, 129.0, 128.8, 127.9, 127.1, 125.2, 124.9, 124.7, 123.4, 122.9, 122.0, 119.9, 115.4, 115.4, 109.3, 109.2, 27.7.
화합물 GxF 17 :
ID-B(94.3 mg, 0.2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155 mg, 0.9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00 mg, 0.9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7(118 mg, 0.27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6 Hz, 1H), 8.12 (s, 1H), 8.07 (t, J = 8.2 Hz, 3H), 7.88 (d, J = 9.2 Hz, 2H), 7.72 (d, J = 8.4 Hz, 1H), 7.66 (d, J = 8.4 Hz, 1H), 7.60 (s, 1H), 7.09 (dd, J = 7.4 Hz, 1H), 7.03 (d, J = 8.8 Hz, 1H), 3.91 (s, 3H), 2.66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0, 183.8, 162.4, 143.8, 138.4, 136.2, 135.2, 133.0, 131.8, 131.1, 129.0, 128.7, 127.5, 127.1, 125.4, 124.9, 124.5, 123.6, 121.8, 118.3, 115.1, 113.5, 109.2, 55.4, 26.6; LRMS (ESI) m/z calcd for C25H18F3NO3[M+Na]+ : 437.1, found : 438.2.
화합물 GxF 18 :
ID-B(94.0 mg, 0.2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115 mg, 0.9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00 mg, 0.9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8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8(97.6 mg, 0.24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7.6 Hz, 1H), 8.11 (s,1H), 7.88 (d, J = 8.8 Hz, 2H), 7.56(m, 3H), 7.49 (t, J = 7.8 Hz, 2H), 7.38 (q, J = 7.6 Hz, 1H), 7.06 (dd, J = 7.8 Hz, 1H), 7.02 (d, J = 8.8 Hz, 2H), 3.91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5, 162.7, 134.1, 133.6, 132.7, 131.6, 129.4, 129.3, 128.4, 127.5, 125.8, 125.5, 125.4, 125.1, 123.7, 122.4, 120.3, 115.9, 115.8, 114.0, 109.6, 109.5, 55.9; LRMS (ESI) m/z calcd for C23H16F3NO2 [M+Na]+ : 395.1, found : 396.1.
화합물 GxF 19 :
ID-B(120 mg, 0.30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182 mg, 1.20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27 mg, 1.20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1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19(125.6 mg, 0.29 mmol, 98.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1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3 (d, J = 7.6 Hz, 1H), 8.05 (s, 1H), 7.87 (d, J = 8.8 Hz, 2H), 7.49 (s, 1H), 7.47 (d, J = 8.8 Hz, 2H), 7.03 (d, J = 6.4 Hz, 3H), 7.01 (d, J = 6.4 Hz, 2H), 3.90 (s, 3H), 3.87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8, 162.2, 158.7, 133.0, 132.2, 131.1, 129.0, 128.8, 126.0, 124.9, 124.8, 124.7, 124.6, 123.1, 122.1, 119.7, 115.4, 115.4, 114.4, 113.5, 108.8, 108.9, 55.4, 55.3; LRMS (ESI) m/z calcd for C24H18F3NO3[M+Na]+ : 425.1, found : 426.2.
화합물 GxF 20 :
ID-B(1.32 mg, 0.3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220 mg, 1.3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41 mg, 1.33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0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0(151 mg, 0.34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2 (d, J = 7.6 Hz, 1H), 8.08 (s,1H), 7.87 (d, J = 7.6 Hz, 2H), 7.48 (s, 1H), 7.43 (d, J = 8.8 Hz, 2H), 7.01 (d, J = 8.8 Hz, 3H), 6.85 (d, J = 8.8 Hz, 2H), 3.90 (s, 3H), 3.01 (s,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8, 162.1, 149.5, 133.0, 132.4, 131.1, 128.7, 128.6, 127.5, 124.8, 124.5, 124.4, 124.2, 123.8, 123.0, 122.1, 121.4, 120.5, 119.4, 115.7, 113.4, 112.7, 108.7, 55.4, 40.5; LRMS (ESI) m/z calcd for C25H21F3N2O2 [M+Na]+ : 438.2, found : 439.2.
<GxF 21 ~ 25>
IE-E : 하기 반응식 6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트리플루오로메틸)피리딘(695 μL, 6.00 mmol) 및 2-브로모-4'-(다이에틸아미노)아세토페논(2-Bromo-4'-(diethylamino)aceto-phenone, 1.70 mL, 6.30 mmol)이 포함된 DMF(6.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20 μL, 3.0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79 g, 9.0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47 g, 18.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E-E(1.12 g, 2.60 mmol, 86.9%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3 (d, J = 8.0 Hz, 1H), 8.66 (s, 1H), 7.91 (s, 1H), 7.84 (d, J = 8.8 Hz, 2H), 7.11 (d, J = 7.4 Hz, 1H), 6.72 (d, J = 5.4 Hz, 2H), 4.41 (q, J = 6.9, 2H), 3.46 (q, J = 6.6 Hz, 4H), 1.43 (t, J = 5.2, 3H), 1.25 (d, J = 5.5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2.8, 163.1, 150.4, 136.1, 131.4, 128.9, 126.7, 126.4, 126.1, 124.6, 124.3, 123.6, 121.6, 116.5(2), 109.8, 109.1, 109.2, 107.4, 60.0, 44.2, 14.3, 12.3; LRMS (ESI) m/z calcd for C23H23F3N2O3[M+Na]+ : 432.2, found : 433.2.
IE-B : IE-E(1.12 g, 2.60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5.85 g, 104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E-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E-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E-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655 mg, 7.8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694 mg, 3.90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E-B(829 mg, 1.88 mmol, 72.6%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3 (d, J = 8.0 Hz, 1H), 8.66 (s, 1H), 7.91 (s, 1H), 7.84 (d, J = 8.8 Hz, 2H), 7.11 (d, J = 7.4 Hz, 1H), 6.72 (d, J = 5.4 Hz, 2H), 4.41 (q, J = 6.9, 2H), 3.46 (q, J = 6.6 Hz, 4H), 1.43 (t, J = 5.2, 3H), 1.25 (d, J = 5.5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2.0, 152.9, 135.2, 134.2, 133.9, 129.0, 128.8, 126.9, 126.0, 125.7, 124.6, 123.2, 122.3, 121.9, 120.1, 115.3, 92.5, 46.5, 12.8, 12.7.
[반응식 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79
화합물 GxF 21 :
IE-B(54.0 mg, 0.12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94.4 mg, 0.4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52.7 mg, 0.49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1(43.1 mg, 0.08 mmol, 68.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7.6 Hz, 1H), 8.07 (s, 1H), 7.83 (dd, J = 8.6 Hz, 1H), 7.76 (s, 1H), 7.74 (d, J = 5.6 Hz, 1H), 7.67 (m, 5H), 7.64 (s, 1H), 7.15 (d, J = 8.4 Hz, 1H), 7.09 (dd, J = 6.6 Hz, 1H), 3.00 (q, J = 6.9 Hz, 4H), 0.98 (t, J = 7.0 Hz, 6H); 13C NMR δ 184.3, 152.6, 145.1, 137.7, 133.6, 133.5, 133.2, 132.5, 130.1, 129.4, 129.3, 129.0(2), 128.3, 126.3, 126.2(2), 125.7, 125.6, 125.5, 125.1, 124.0, 120.0, 118.4, 46.0, 12.4; LRMS (ESI) m/z calcd for C27H22F6N2O[M+Na]+ : 504.2, found 505.2.
화합물 GxF 22 :
IE-B(49.7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74.2 mg, 0.4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8.0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2(9.70 mg, 0.02 mmol, 1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7.6 Hz, 1H), 8.12(s, 1H), 8.08(d, J = 8.4 Hz, 2H), 7.91(d, J = 2.0 Hz, 1H), 7.30(m, 2H), 7.67(d, J = 8.8 Hz, 2H), 7.63(s, 1H), 7.00(m, 2H), 3.29(q, J = 7.0 Hz, 4H), 2.66(s, 3H), 1.14(t, J = 7.2 Hz, 6H); 13C NMR δ 197.2, 183.1, 151.4, 138.6, 135.6, 133.6, 133.3, 132.1, 129.2, 128.7, 128.2, 127.9, 125.2, 121.5, 118.8, 46.1, 29.9, 26.9, 12.7; LRMS (ESI) m/z calcd for C28H25F3N2O2[M+Na]+ : 478.2, found 479.3.
화합물 GxF 23 :
IE-B(50.0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55.0 mg, 0.4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9.0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3(39.9 mg, 0.09 mmol, 80.1%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8.11 (s,1H), 7.81 (s, 1H), 7.66 (s, 1H), 7.59 (t, J = 7.6 Hz, 3H), 7.50 (t, J = 6.8 Hz, 1H), 7.40 (m, 2H), 7.32 (d, J = 6.6 Hz, 1H), 7.13 (d, J = 8.4 Hz, 1H), 7.05 (d, J = 7.2 Hz, 1H), 3.03 (q, J = 6.5 Hz, 4H), 1.01 (t, J = 6.6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4.7, 152.6, 141.7, 135.1, 134.2, 133.6, 133.5, 132.5, 129.7, 129.4, 129.3, 128.8, 128.7, 128.4, 127.4, 127.1, 125.3, 125.2, 124.0, 120.2, 119.8, 115.9, 109.4, 46.1, 12.6; LRMS (ESI) m/z calcd for C26H23F3N2O[M+Na]+ : 436.2, found 437.2.
화합물 GxF 24 :
IE-B(53.7 mg, 0.12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74.0 mg, 0.48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52.0 mg, 0.48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4(44.8 mg, 0.09 mmol, 78.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4 (d, J = 7.6 Hz, 1H), 8.02 (s, 1H), 7.86 (d, J = 9.2 Hz, 2H), 7.54 (s, 1H), 7.48 (d, J = 8.8 Hz, 2H), 7.03 (d, J = 8.8 Hz, 2H), 6.96 (dd, J = 7.6 Hz, 1H), 6.71 (d, J = 9.2 Hz, 2H), 3.87 (s, 3H), 3.45 (q, J = 6.9 Hz, 4H), 1.23 (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4.0, 152.0, 141.0, 134.4, 133.6, 133.0, 132.8, 131.9, 129.0, 128.7, 128.2, 128.1, 127.8, 126.8, 126.5, 124.9, 124.7, 124.5, 123.3, 121.8, 119.6, 119.1, 115.2, 108.8, 45.4, 29.6, 12.0.
화합물 GxF 25 :
IE-B(57.5 mg, 0.1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88.0 mg, 0.5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55.5 mg, 0.5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5(43.1 mg, 0.08 mmol, 72.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7.2 Hz, 1H), 8.10 (s, 1H), 7.81 (d, J = 2.4 Hz, 1H), 7.77 (d, J = 8.6 Hz, 1H), 7.61 (s, 1H), 7.52 (d, J = 8.8 Hz, 2H), 7.46 (d, J = 8.8 Hz, 1H), 7.10 (d, J = 8.4 Hz, 1H), 7.00 (dd, J = 7.4 Hz, 1H), 6.87 (d, J = 8.8 Hz, 1H), 6.79 (d, J = 8.8 Hz, 1H), 3.07 (q, J = 7.1 Hz, 4H), 3.03 (s, 3H), 3.00 (s, 3H), 1.01 (d,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4.2, 151.8, 149.3, 149.0, 134.6, 132.7, 132.2, 129.0, 128.8, 128.6, 128.5, 128.1, 124.6, 124.2, 124.1, 123.8, 123.2, 121.9, 121.5, 120.1, 119.2, 115.5, 112.6, 112.1, 108.4, 45.1, 40.4, 11.9; LRMS (ESI) m/z calcd for C28H28F3N3O [M+Na]+ : 479.2, found 480.4.
<GxF 26 ~ 30>
IF-E : 하기 반응식 7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아세틸피리딘(4-Acetylpyridine, 394.6 μL, 3.567 mmol) 및 2-브로모-4'-(트리플루오로메틸)아세토페논(2-Bromo-4'-(trifluoromethyl)acetophenone, 1.0 g, 3.8 mmol)이 포함된 DMF(12.0 mL)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193.6 μl, 1.79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2.14 g, 10.7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17 g, 14.3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F-E(556.5 mg, 77.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7 (dd, J = 7.2, 1.2 Hz, 1H), 8.96 (s, 1H), 7.92 (d, J = 8.0 Hz, 2H), 7.79 (m, 3H), 7.61 (dd, J = 7.4, 2.4 Hz, 1H), 4.40 (q, J = 7.2 Hz, 2H), 1.42 (t, J = 7.2 Hz, 3H); 13C NMR(100 MHz, CDCl3) 195.6, 184.4, 163.5, 142.5, 138.8, 134.8,133.7, 133.3, 129.4, 129.1, 128.9, 125.8, 125.7 (2), 125.2, 123.4, 122.5, 121.6, 121.1, 113.1, 109.9 60.9, 26.6, 14.9; LRMS (ESI) m/z calcd for C21H16F3NO4 [M+Na]+ : 403.1, found : 404.2.
IF-B : IF-E(556.5 mg, 1.379 mmol)가 포함된 메탄올(5 mL)에 KOH(2.21 g, 55.2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F-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F-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F-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350.3 mg, 4.17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259.6 mg, 1.459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F-B(358.6 mg, 63.4%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7 (d, J = 7.4 Hz, 1H), 8.18 (s, 1H), 7.90 (d, J = 8.0 Hz, 2H), 7.79 (d, J = 8.0 Hz, 2H), 7.53 (dd, J = 7.4, 2 Hz, 1H), 7.39 (s, 1H), 2.72 (s, 3H); 13C NMR(100 MHz, CDCl3) 195.2, 183.3, 142.7, 135.8, 133.5, 133.2, 132.8, 129.3, 128.5, 127.6, 125.7(2), 125.2, 123.5, 122.5, 119.2, 112.5, 94.5, 26.7; LRMS (ESI) m/z calcd for C18H11BrF3NO2 [M+Na]+ : 409.0, found : 410.0.
[반응식 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5
화합물 GxF 26 :
IF-B(30.0 mg, 0.06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35.9 mg, 0.18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5.0 mg, 0.013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3.6 mg, 0.31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6(28.6 mg, 95.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7(d, J = 7.4 Hz, 1H), 8.42(s, 1H), 7.95(d, J = 8 Hz, 2H), 7.78(dd, J = 19 Hz, 4 H), 7.95(d, J= 8 Hz, 2H), 7.55(dd, J = 7.2 Hz, 1H), 7.49(s, 1H), 2.67(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3, 184.0,143.1,137.4, 135.3, 133.5, 133.1, 129.7, 129.4, 129.3, 128.7, 128.5, 126.3, 126.3, 125.8, 125.7, 125.7, 125.2, 123.7, 122.9, 122.5, 120.5, 119.1, 112.6, 26.8; LRMS (ESI) m/z calcd for C25H15F6NO2 [M+Na]+ : 375.1, found : 376.1.
화합물 GxF 27 :
IF-B(30.0 mg, 0.06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31.0 mg, 0.18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5.0 mg, 0.013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3.6 mg, 0.31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7(27.3 mg, 96.3%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9.97(d, J = 7.2 Hz, 1H), 8.46(s, 1H), 8.08(d, J = 8.4 Hz, 2H), 7.96(d, J = 8.4 Hz, 2H), 7.90(d, J = 8.4 Hz, 1H), 7.80(d, J = 8.4 Hz, 2H), 7.67(d, J = 6.6 Hz, 2H), 7.55(dd, J = 7.4 Hz, 2 Hz, 1H), 7.51 (s, 1H), 6.90(d, J = 8.4 Hz, 1H), 2.68(s, 3H), 2.66(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4, 195.4, 185.5, 140.0, 138.9, 135.7, 134.8, 132.6, 131.8, 129.4,129.2, 128.6, 128.1, 125.8, 124.3, 120.4,119.3, 112.2, 27.0, 26.7.; LRMS (ESI) m/z calcd for C26H18F3NO3 [M+Na]+ : 449.1, found :450.0.
화합물 GxF 28 :
IF-B(30.0 mg, 0.06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23.0 mg, 0.18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5.0 mg, 0.013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3.6 mg, 0.31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8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8(23.6 mg, 91.9%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4(d, J = 8 Hz, 1H), 8.41(s, 1H), 7.86(d, J = 6.8 Hz, 2H), 7.72(dd, J = 23 Hz, 8 Hz, 4H), 7.62(t, J = 5.2, 2 Hz, 1H), 7.54(m, 4H), 2.67(s, 3H); 13C NMR(100 MHz, CDCl3), 195.4, 185.5, 140.0, 137.8, 134.7, 132.6, 131.8, 129.5, 129.2, 128.6, 128.4, 126.3, 126.2, 125.8, 124.2, 120.1, 119.1, 112.2, 26.7; LRMS (ESI) LRMS (ESI) m/z calcd for C24H16F3NO2 [M+Na]+ : 407.1, found : 408.2.
화합물 GxF 29 :
IF-B(30.0 mg, 0.06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28.7 mg, 0.18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5.0 mg, 0.013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3.6 mg, 0.31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2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29(25.4 mg, 92.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2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8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2(d, J = 7.4 Hz, 1H), 8.39(s, 1H), 7.94(d, J = 8 Hz, 2H), 7.78(d, J = 8.4 Hz, 2H), 7.49(m, 3H), 7.38(s, 1H), 7.04(d, J = 8.8Hz, 1H), 3.88(s, 3H), 2.66(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5, 183.7, 159.2, 143.4, 135.2, 133.2, 132.9, 132.4, 129.5, 129.4, 128.5, 126.1, 125.6, 125.5, 125.4, 125.3, 123.3, 122.6, 122.3,119.8,116.2, 115.0, 114.8, 112.2, 56.1, 55.7, 30.1, 26.7; LRMS (ESI) m/z calcd for C25H18F3NO3 [M+Na]+ : 437.1, found : 438.2.
화합물 GxF 30 :
IF-B(30.0 mg, 0.06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31.2 mg, 0.18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5.0 mg, 0.013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3.6 mg, 0.31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0으로 표시되는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0(26.5 mg, 93.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 δ 9.91(d, J = 7.6 Hz, 1H), 8.43(s, 1H), 7.95(d, J = 8 Hz, 2H), 7.78(d, J = 8 Hz, 2H), 7.46(m, 3H), 7.36(s, 1H), 6.85(d, J = 8 Hz, 2H), 3.03(s, 6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 δ 195.5, 183.6, 150.0, 143.6, 135.2, 133.1, 132.8, 132.1, 129.4, 129.1, 128.4, 125.5, 125.5, 125.3, 125.0, 123.3, 123.1, 122.6, 121.5, 120.2, 113.1, 112.0, 40.9, 30.1, 26.6; LRMS (ESI) m/z calcd for C26H21N2O2 [M+Na]+ : 450.2, found : 451.2.
<GxF 31 ~ 35>
IG-E : 하기 반응식 8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아세틸피리딘(158.1 μL, 1.431 mmol) 및 2-클로로아세톤(2-chloroacetone, 120.7 μL, 1.5 mmol)이 포함된 DMF(12.0 mL)을 8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77.5 μl, 0.715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856.5 mg, 4.29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469.2 mg, 5.72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G-E(166.7 mg, 85.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5(d, J = 6.8 Hz, 1H), 8.80(s, 1H), 7.44(d, J = 7.4 Hz, 1H), 4.39(q, J = 14.2 Hz, 2H), 2.62(s, 3H), 2.58(s, 3H), 1.43(t, J = 7.6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5.4, 159.1, 140.2, 134.6, 131.8, 131.6, 129.5, 129.2, 128.5, 128.3, 126.4, 125.4, 123.8, 121.8, 121.6, 119.9, 114.8, 111.7, 55.7, 26.7; LRMS (ESI) m/z calcd for C15H15NO4 [M+Na]+ : 273.3, found : 274.1.
IG-B : IG-E(166.7 mg, 0.610 mmol)가 포함된 메탄올(5 mL)에 KOH(1.37 g, 24.4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G-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G-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G-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51.2 mg, 1.83 mmol)를 첨가하고 및 NBS(108.5 mg, 0.64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G-B(135.5 mg, 79.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65(d, J = 7.4 Hz, 1H), 8.00(s, 1H),7.49(s, 1H), 7.32(d, 7.4Hz), 2.63(s, 3H), 2.53(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2, 187.1, 134.4, 131.7, 128.0, 124.8, 124.1, 119.1, 111.8, 93.6, 27.9, 26.6; LRMS (ESI) m/z calcd for C12H10BrNO2 [M+Na]+ : 280.1, found : 280.0.
[반응식 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1
화합물 GxF 31 :
IG-B(25.0 mg, 0.08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50.71 mg, 0.2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5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7.13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1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1(29.9 mg, 97.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6(d, J = 7.6 Hz, 1H), 8.36(s, 1H), 7.74(dd, J = 8.4, 24.6 Hz, 5H), 7.43(d, J = 8 Hz, 1H), 2.66(s, 3H), 2.64(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5, 187.9, 156.9, 137.8, 134.0, 132.1, 129.5, 129.1, 128.4, 126.3, 126.3, 125.7, 124.4, 123.1, 123.0, 119.8, 119.1, 112.1, 28.1, 26.7; LRMS (ESI) m/z calcd for C19H14F3NO2 [M+Na]+ : 345.3, found : 346.1.
화합물 GxF 32 :
IG-B(25.0 mg, 0.08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43.78 mg, 0.2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5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7.13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2(27.6 mg, 97.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 δ 9.86(d, J = 7.4 Hz, 1H), 8.39(s, 1H), 8.10(d, J = 6.6 Hz, 2H), 7.70(d, J = 5.2Hz, 2H), 7.69(s, 1H), 7.42(dd, J = 2 Hz, 7.2 Hz, 1H), 2.67(s, 3H), 2.66(s, 3H), 2.64(s, 3H); 13C NMR(100 MHz, CDCl3) , δ 197.5, 195.5, 187.9, 139.0, 135.7, 134.1, 132.1, 129.4, 128.5, 128.1, 124.4, 123.1, 120.1, 119.3,112.1, 28.1, 27.1, 26.7; LRMS (ESI) m/z calcd for C20H17NO3 [M+Na]+ : 319.4, found : 320.1.
화합물 GxF 33 :
IG-B(25.0 mg, 0.08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32.56 mg, 0.2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5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7.13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3(23.5 mg, 95.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1(d, J = 7.4 Hz, 1H), 8.37(s, 1H), 7.64(s, 1H), 7.59(d, J = 7.4 Hz, 2H), 7.51(t, J = 7.2 Hz, 2H), 7.40(t, J = 7.2 Hz, 2H), 2.64(s, 3H), 2.61(s, 3H); 13C NMR(100 MHz, CDCl3) , δ 195.6, 187.8, 134.1, 133.9, 131.6, 129.3, 128.3, 128.2, 127.4, 124.1, 122.9, 121.7, 119.8, 111.7, 28.1, 26.7; LRMS (ESI) m/z calcd for C18H15NO2 [M+Na]+ : 277.3, found : 278.3.
화합물 GxF 34 :
IG-B(25.0 mg, 0.08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40.57 mg, 0.2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5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7.13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4(26.5 mg, 96.9%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8(d, J = 7.4 Hz, 1H), 8.31(s, 1H), 7.57(s, 1H), 7.49(d, J = 6.6 Hz, 2H), 7.35(dd, J = 2 H, 7.4 Hz, 1H), 7.05(s, 1H), 7.03(s, 1H),3.88(s, 3H), 2.62(s, 3H), 2.60(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 187.7, 159.1, 133.8, 131.3, 129.4, 128.1, 126.5, 124.0, 122.6, 121.6, 119.9, 114.8, 111.5, 55.7, 28.0, 26.6; LRMS (ESI) m/z calcd for C19H17NO3 [M+Na]+ : 307.4, found : 308.1.
화합물 GxF 35 :
IG-B(25.0 mg, 0.08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4.06 mg, 0.2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5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7.13 mg, 0.4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5(26.9 mg, 94.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8(d, J = 6.8 Hz), 8.36(s, 1H), 7.56(s, 1H), 7.47(dd, J = 2.4, 9.2 Hz, 2H), 7.36(dd, J = 2, 2Hz, 1H), 6.87(d, J = 8.8 Hz), 3.03(s, 6H), 2.63(s, 3H), 2.60(s, 3H); 13C NMR(100 MHz, CDCl3) , δ 195.7, 187.7, 149.9, 33.8, 131.0, 129.1, 128.0, 124.0, 122.4, 122.3, 122.0, 121.6(2), 120.3, 113.2, 111.4, 111.2, 40.9, 28.1, 26.6; LRMS (ESI) m/z calcd for C20H17NO3 [M+Na]+ : 320.2, found : 321.2.
<GxF 36 ~ 40>
IH-E : 하기 반응식 9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아세틸피리딘(105.9 μL, 0.957 mmol) 및 2-브로모아세토페논(2-bromoacetophenone, 200.0 mg, 1.01 mmol)이 포함된 DMF(4.0 mL)을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51.8 μl, 0.479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573.2 mg, 2.87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314.0 mg, 3.83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H-E(556.5 mg, 77.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9.83 (dd, J = 7.2, 0.8 Hz, 1H), 8.90(s, 1H), 7.80(m, 3H), 7.54(m, 4H) 4.38(q, 2H), 2.69(s, 3H); 13C NMR(100 MHz, CDCl3) 195.7, 163.7, 139.4, 138.3, 134.3, 132.1, 129.2, 128.9, 128.9, 128.9,121.1, 60.8, 26.6, 14.9; LRMS (ESI) m/z calcd for C20H17NO4 [M+Na]+ : 335.1 ,found : 336.2.
IH-B : IH-E(200.0 mg, 0.60 mmol)가 포함된 메탄올(4 mL)에 KOH(336.8 mg, 6.0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H-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H-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H-A이 포함된 DMF(2.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131.1 mg, 1.56 mmol)를 첨가하고 및 NBS(97.9 mg, 0.55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H-B(135.2 mg, 76.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5(d, J = 7.4 Hz, 1H), 8.17(s, 1H), 7.8(d, J = 7.6 Hz, 2H), 7.52(m,5H), 2.71(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3, 184.8, 139.5, 135.2, 132.2, 131.9, 129.1, 128.6, 128.3, 127.5, 123.9, 119.2, 112.0, 94.1, 26.7; LRMS (ESI) m/z calcd for C17H12BrNO2 [M+Na]+ : 341.0, found : x.
[반응식 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7
화합물 GxF 36 :
IH-B(30.0 mg, 0.08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49.95 mg, 0.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2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4 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6(33.8 mg, 94.3%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2(d, J = 7.6 Hz, 1H), 8.09(s, 1H), 7.85(dd, J = 8.2 Hz, 2H), 7.74(d, J = 8.0 Hz, 2H), 7.66(d, J = 8.0 Hz, 2H), 7.60(t, J = 6.8 Hz, 1H), 7.57(s, 1H), 7.54(d, J = 7.6 Hz, 2H), 7.14(d, J = 7.4 Hz, 1H); 13C NMR(100 MHz, CDCl3) 185.5, 139.9, 137.5, 133.1, 131.8, 129.5, 129.8, 128.2, 128.3, 126.4, 126.7, 126.2, 126.1, 125.4, 123.8, 118., 115.7, 110.0, 110.0, 47.1, 34.4; LRMS (ESI) m/z calcd for C24H16F3NO2 [M+Na]+ : 407.1, found : 408.1.
화합물 GxF 37 :
IH-B(30.0 mg, 0.08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343.12 mg, 0.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2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4 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7(32.1 mg, 95.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19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2(d, J = 8 Hz, 1H), 8.44(s, 1H), 8.07(d, J = 7.2 Hz, 2H), 7.85(d, J = 7.6 Hz, 2H), 7.54(m, 5 H), 2.66(s, 3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4, 195.4, 185.5, 140.0, 138.9, 135.7, 134.8, 132.6, 131.8, 129.4,129.2, 128.6, 128.1, 125.8, 124.3, 120.4,119.3, 112.2, 27.0, 26.7.; LRMS (ESI) m/z calcd for C25H19NO3 [M+Na]+ : 381.1, found : 382.2.
화합물 GxF 38 :
IH-B(30.0 mg, 0.08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메틸 보론산(32.07 mg, 0.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2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4 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8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8(28.5 mg, 95.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2(d, J = 7.6 Hz, 1H), 8.43(s, 1H), 7.86(d, J = 6.4 Hz, 2H), 7.58(m, 3H), 7.50(m, J= 30.4 Hz, 7H),7.38(t, J = 7.2 Hz, 1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 185.5, 140.2, 134.7, 134.1, 132.1, 131.7, 129.3, 129.2, 128.5, 128.3, 125.7, 119.8, 111.8; LRMS (ESI) m/z calcd for C23H17NO2 [M+Na]+ : 339.1, found : 340.2.
화합물 GxF 39 :
IH-B(30.0 mg, 0.08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4-methoxyphenyl boronic acid, 39.97 mg, 0.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2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4 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3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39(30.1 mg, 92.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3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9.89(d,e J = 8 Hz, 1H), 8.36(s, 1H), 7.84(d, 8.2 Hz, 2H), 7.51(m,7H), 7.03(d, 7Hz, 2H), 3.87(s, 3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195.6, 185.4, 159.1, 140.2, 134.6, 131.8, 131.6, 129.5, 129.2, 128.5, 128.3, 126.4, 125.4, 123.8, 121.8, 121.6, 119.9, 114.8, 111.7, 55.7, 26.7; LRMS (ESI) m/z calcd for C24H19NO3 [M+Na]+ :369.1, found : 370.2.
화합물 GxF 40 :
IH-B(30.0 mg, 0.08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phenyl (dimethylamino)phenylboronic acid, 43.40 mg, 0.2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0.28 mg, 0.018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4 mg, 0.4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0으로 표시되는 주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0(32.9 mg, 94.9%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9(d, J = 7.4 Hz, 1H), 8.41(s, 1H), 7.86(d, J = 8.2 Hz, 2H), 7.51(m, 8H), 6.85(d, J = 7.8 Hz, 2H), 3.02(s, 6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 185.3, 149.9, 140.4, 134.5, 131.5, 131.5, 129.3, 129.1, 128.5, 128.2, 125.0, 123.8, 122.6, 121.9, 120.3, 113.1, 111.5, 53.8, 40.9, 26.6; LRMS (ESI) m/z calcd for C25H22N2O2 [M+Na]+ : 382.2, found : 383.2.
<GxF 41 ~ 45>
II-E : 하기 반응식 10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아세틸피리딘(585.2 μL, 5.29 mmol) 및 2-브로모아세토페논(1.5 g, 5.6 mmol)이 포함된 DMF(17.6 mL)을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286.6 μl, 2.65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3.17 g, 15.87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74 g, 21.16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I-E(709.8 mg, 73.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9.62 (dd J = 7.4, 0.4 Hz, 1H), 8.76 (s, 1H), 7.74(dd, J = 6.6, 2 Hz, 2 H), 7.69 (s, 1H), 7.39 (dd, J = 7.4, 2 Hz, 1H), 6.92(dd, J = 6.8, 2 Hz, 2H), 4.33(q, J = 7.2 Hz, 2H), 3.82(s,3H), 2.61(s, 3H), 1.362(t, J = 7.2 Hz, 3H); 13C NMR(100 MHz, CDCl3) 195.6, 184.3, 163.4, 162.8, 137.6, 133.7, 131.9, 131.4, 128.4, 127.5, 123.2, 120.9, 113. 8, 112.5, 109.1, 60.6, 55.6, 26.4, 14.8; LRMS (ESI) m/z calcd for C21H19NO4 [M+Na]+ : 365.1 ,found :366.2.
II-B : II-E(709.8 mg, 1.94 mmol)가 포함된 메탄올(19 mL)에 KOH(3.1 g, 77.6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I-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I-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I-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478.9 mg, 5.7 mmol)를 첨가하고 및 NBS(354.9 mg, 2.0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I-B(462.0 mg, 72.1%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9.73(d, J = 7.2Hz,1 H), 8.12(s, 1H), 7.81(d, J = 8.8 Hz, 2H), 7.42 (m, 1H), 6.99(d, 2H), 3.88(s, 3H), 2.68(s, 3H); 13C NMR(100 MHz, CDCl3)195.3, 183.7, 162.8, 134.8, 132.0, 131.9, 131.4, 128.1, 126.9, 124.0, 119.3, 113.9, 111.7, 93.9, 55.8, 26.6; LRMS (ESI) m/z calcd for C18H14NO4 [M+Na]+ : 372. 2 ,found : 372.1.
[반응식 1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3
화합물 GxF 41 :
II-B(30.0 mg, 0.08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46.2 mg, 0.24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8.7 mg, 0.016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9 mg, 0.40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1(34.4 mg, 97.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9.84 (d, J = 7.4 Hz, 1H), 8.39(s, 1H), 7.88(d, J = 6.8Hz, 2H), 7.72(q, J = 1.2 Hz, 4H), 7.54(s, 1H), 7.45(dd, J = 7.2, 2 Hz, 2H), 3.90(s, 3H), 2.66(s, 3H); 13C NMR(100 MHz, CDCl3) 195.6, 184.5, 162.8, 137.9, 134.3, 132.8, 132.4, 132.2, 131.5, 129.4, 129.0, 128.4, 126.3, 126.2, 125.7, 125.3, 124.3, 123.0, 122.5, 119.9, 119.3, 115.8, 114.0, 111.9; LRMS (ESI) m/z calcd for C25H18F3NO3 [M+Na]+ :437.1, found : 438.2.
화합물 GxF 42 :
II-B(30.0 mg, 0.08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39.8 mg, 0.24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8.7 mg, 0.016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9 mg, 0.40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2(32.5 mg, 97.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4(d, J = 7.2 Hz, 1H), 8.4(s, 1H), 8.07(d, J = 8 Hz, 2H), 7.88(dd, J = 7, 2Hz, 2 H), 7.68(d, J = 8.4 Hz, 2H), 7.56(s, 1H) 7.45 (dd, J = 7.4, 2 Hz), 3.90(s, 3H), 2.65(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4, 195.5, 184.5, 162.8, 139.1, 135.6, 134.3, 132.4, 132.3, 131.5, 129.4, 128.4, 128.1, 125.2, 124.4, 120.1, 119.4, 114.0, 111.9, 55.8, 30.1, 27.0, 26.7; LRMS (ESI) m/z calcd for C26H21NO4 [M+Na]+ :411.5, found : 412.2.
화합물 GxF 43 :
II-B(30.0 mg, 0.08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벤젠 보론산(benzene boronic acid, 29.6 mg, 0.24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8.7 mg, 0.016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9 mg, 0.40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3(28.9 mg, 96.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4(d, J = 7.2, 0.8 Hz, 1 H), 8.42(s, 1H), 7.89(dd, J = 7.6, 2Hz, 2H), 7.58(d, J = 1.2 Hz, 2H), 7.51(m, 3H), 7.43(dd, J = 7.6, 2 Hz, 1H), 7.35(t, J = 7.2 Hz, 1H), 7.13(s, 2H), 7.01(d, J = 6.8 Hz, 2H), 3.9 (s, 3H), 2.64(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3, 184.4, 162.6, 134.2(2),132.7, 131.8, 131.5, 129.3, 129.3, 128.2, 127.4, 125.1, 124.1,121.7,121.6,113.9, 111.5, 55.8, 30.1, 26.7; LRMS (ESI) m/z calcd for C26H21NO4 [M+Na]+ :369.1, found : 370.2.
화합물 GxF 44 :
II-B(30.0 mg, 0.08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36.9 mg, 0.24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8.7 mg, 0.016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9 mg, 0.40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4(30.4 mg, 94.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0(d, J = 7.2 Hz, 1H), 8.36(s, 1H), 7.87(d, J = 7 Hz, 2 H), 7.49(d, J = 6.6 Hz, 2H), 7.45(s, 1H), 7.40(dd, J = 7.2, 2 Hz, 1H), 7.02(m, 4H), 3.90(s, 3H), 3.87(s, 3H), 2.63(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 184.4, 162.6, 159.0, 134.2, 132.7, 131.5, 129.5, 128.1, 126.6, 124.8, 124.0, 121.6, 119.9, 114.8, 113.8, 111.4, 55.8, 55.7, 26.6 LRMS (ESI) m/z calcd for C25H21NO4 [M+Na]+ :399.2, found : 400.2.
화합물 GxF 45 :
II-B(30.0 mg, 0.08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0.0 mg, 0.2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8.7 mg, 0.016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2.9 mg, 0.40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5(31.2 mg, 93.3%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0(d, J = 7.2 Hz, 1H), 8.40(s, 1H), 7.88(d, J = 2.8 Hz, 2H), 7.46(m, 3H), 7.40 (dd, J = 7.4, 2 Hz, 1H), 7.00(d, J = 6.6 Hz, 2H), 6.86(d, J = 6.8 Hz, 2H), 3.90(s, 3H), 3.02(s, 6H), 2.63(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5.7, 184.4, 162.5, 149.9, 134.1, 132.9, 131.5, 131.2, 129.1, 128.0, 124.5, 124.0, 122.4, 122.1, 120.4, 113.8, 113.2, 111.2, 55.8, 40.9, 26; LRMS (ESI) m/z calcd for C26H24N2O3 [M+Na]+ :412.2, found : 413.2.
<GxF 46 ~ 50>
IJ-E : 하기 반응식 11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4-아세틸피리딘(194.9 μL, 1.76 mm) 및 2-브로모-4'-다이에틸아미노아세토페논(500 mg, 1.85 mmol)이 포함된 DMF(6.0 mL)을 8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88.1 μl, 0.88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05 g, 5.28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577.5 mg, 7.04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J-E(295.6 mg, 82.7%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66(d, J = 7.6 Hz, 1H), 8.89(s, 1H), 7.8(m, 3H), 7.46(dd, J = 7.6Hz, 2Hz, 1H), 6.69(d, J = 7 Hz, 2H), 4.39(q, J = 7.2Hz, 2H), 3.43(q, J = 7.2 Hz, 4H), 2.68(s, 3H), 1.42(t, J = 7.2 Hz, 3H), 1.21(t, J = 7.2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9, 183.9, 164.1, 151.0, 137.5, 133.3, 132.3, 132.2, 128.5, 127.1, 125.4, 124.7, 121.6, 121.3, 111.7, 110.5, 108.8, 60.6, 44.9, 26.5, 14.9, 13.0; LRMS (ESI) m/z calcd for C24H26N2O4 [M+Na]+ : 406.2, found : 407.2.
IJ-B : IJ-E(295.6 mg, 0.73 mmol)가 포함된 메탄올(16 mL)에 KOH(1.63 g, 29.2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갈색고체의 화합물 IJ-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J-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J-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306.6 mg, 3.65 mmol)를 첨가하고 및 NBS(136.4 mg, 0.77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J-B(241.0 mg, 80.1%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61(d, J = 7.2 Hz, 1H), 8.06(s, 1H), 7.77(d, J = 8.8 Hz, 2H), 7.42(s, 1H), 7.32(dd, J = 2 Hz, 7.4 Hz), 6.66(d, J = 8.8 Hz, 2H), 3.42(q, 7.2 Hz, 4H), 2.64(s, 3H), 1.21(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4, 183.1, 150.9, 133.9, 132.1, 131.0, 127.8, 125.9, 125.6, 124.6, 119.4, 111.0, 110.5, 93.4, 77.7, 77.4, 77.1, 44.9, 26.6, 13.0; LRMS (ESI) m/z calcd for C21H21BrN2O2 [M+Na]+ : 412.08 ,found : x.
[반응식 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09
화합물 GxF 46 :
IJ-B(20.0 mg, 0.04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27.3 mg, 0.1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1.1 mg, 0.0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5.4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6(22.2 mg, 96.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5(d, J = 7.7 Hz, 1H), 8.39(s,1H), 7.88(d, 7.2 Hz, 2H), 7.73(q, J = 8.8 Hz, 5.2 Hz, 4H), 7.59(s, 1H), 7.40(dd, J = 1.6 Hz, 7.6 Hz, 1H), 6.72(d, J = 9.2 Hz, 2H), 3.46(q, J = 7.2 Hz, 4H), 2.65(s, 3H), 1.24(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6, 183.9, 150.9, 138.3, 133.5, 132.2, 131.5, 128.3, 128.2, 126.2, 126.0, 125.0, 124.3, 119.5, 119.4, 111.3, 110.5, 44.9, 26.7, 13.0; LRMS (ESI) m/z calcd for C28H25F3N2O2 [M+Na]+ : 478.2, found : x.
화합물 GxF 47 :
IJ-B(20.0 mg, 0.04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323.6 mg, 0.1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1.1 mg, 0.0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5.4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7(20.5 mg, 94.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4(d, J= 7.4Hz, 1H), 8.43(s, 1H), 8.08(d, J = 6.4 Hz, 2H), 7.87(d, J = 7.2Hz, 2H), 7.70(d, J = 6.8 Hz, 2H), 7.61(s, 1H), 7.39(dd, J = 7.8 Hz, 1H), 6.72(d, J = 7.2Hz, 2H), 3.46(q, J = 7.2Hz, 4H), 2.67(s, 3H), 2.65(s, 3H), 1.24(t, J = 7.2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7.5, 195.6, 183.9, 150.9, 139.5, 135.4, 133.6, 132.2, 131.5, 129.4, 128.2, 128.0, 126.0, 125.1, 124.3, 119.7, 119.6, 111.3, 110.6,44.9, 27.0, 26.7, 13.0; LRMS (ESI) m/z calcd for C29H28N2O3 [M+Na]+ : 452.1, found : x.
화합물 GxF 48 :
IJ-B(20.0 mg, 0.04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벤젠 보론산(23.8 mg, 0.14 mmol),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1.1 mg, 0.0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17.6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8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8(18.2 mg, 92.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3(d, J = 7.4Hz, 1H), 8.41(s, 1H), 7.88(d, J = 8Hz, 2H), 7.60(d, J = 8.2 Hz, 2H), 7.57(s, 1H), 7.52(t, J = 7.2Hz, 2H), 7.37(m, 2H), 6.71(d, J = 9.2Hz, 2H), 3.45(q, J = 6.8Hz, 4H), 2.63(s, 3H), 1.24(t, J = 7.2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7, 184.0, 150.8, 134.6, 133.4, 132.1, 131.0 129.2, 128.3, 128.0, 127.1, 126.3, 124.7, 1242.3, 121.3, 120.0, 110.9, 110.5, 44.9, 26.6, 13.0; LRMS (ESI) m/z calcd for C27H26N2O2 [M+Na]+ : 410.2, found : x.
화합물 GxF 49 :
IJ-B(20.0 mg, 0.04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21.9 mg, 0.1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1.1 mg, 0.0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5.4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4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49(19.7 mg, 93.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4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2(d, J = 7.8 Hz, 1H), 8.36(s, 1H), 7.87(d, J = 7.2 Hz, 2H), 7.52(d, J = 6.6Hz, 3H), 7.35(dd, J = 1.6 Hz, 7.6 Hz, 1H), 7.04(d, J = 6.6 Hz, 2H), 6.71(d, J = 8.8 Hz, 2H), 3.88(s, 3H), 3.45(q, J = 8 Hz, 4H), 2.63(s, 3H), 1.23(t, J = 7.2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7, 183.9, 158.9, 150.7, 133.3, 132.1, 130.7, 129.5, 127.9, 127.0, 126.4, 124.6, 124.0, 121.2, 120.1, 114.7, 110.8, 110.5, 55.7, 44.9, 26.6, 13.0; LRMS (ESI) m/z calcd for C28H28N2O3 [M+Na]+ : 440.2, found : x.
화합물 GxF 50 :
IJ-B(20.0 mg, 0.04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10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1.1 mL)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23.8 mg, 0.1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11.1 mg, 0.01 m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5.4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0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0(20.2 mg, 93.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70(d, J = 7.2 Hz, 1H), 8.39(s, 1H), 7.87(d, J = 9.2 Hz, 2H), 7.49(d, J = 8.6Hz, 3H), 7.34(dd, 2.0Hz, 7.6Hz, 1H), 6.87(d, J = 8.8Hz, 2H), 6.70(d, J = 8.8 Hz, 2H), 3.45(q, J = 7.6Hz, 4H), 3.03(s, 6H), 2.62(s, 3H), 1.24(t, J = 6.8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5.8, 183.0, 150.7, 149.8, 133.3, 132.2, 130.4, 129.1, 127.8, 126.4, 124.6, 123.8, 122.5, 122.0, 120.6, 113.2, 110.6, 110.5, 44.9, 41.0, 26.5, 13.0; LRMS (ESI) m/z calcd for C29H31N3O2 [M+Na]+ : 453.2, found : x.
<GxF 51 ~ 55>
IK-E : 하기 반응식 12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리딘(pyridine, 564 μL, 7 mmol) 및 2-브로모-1-[4-(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에탄-1-온(1.96 mL, 7.35 mmol)이 포함된 DMF(15.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72 μL, 3.5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2.09 g, 10.5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72 g, 21.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K-E(906 mg, 2.50 mmol, 71.6%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8(d, J = 6.8 Hz, 1H), 8.42(d, J = 9.2 Hz, 1H), 7.91(d, J = 8.0 Hz, 2H), 7.78(d, J = 8.4 Hz, 2H), 7.76(s, 1H), 7.50(t, J = 8.0 Hz, 1H), 7.14(d, J = 6.2 Hz, 1H), 4.38(q, J = 7.1 Hz, 2H), 1.40(t, J = 7.1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6, 163.6, 142.9, 140.0, 132.9, 132.6, 129.1, 129.9, 128.9, 128.1, 125.3(3), 125.0, 122.3, 121.9, 121.4, 119.5, 115.6, 106.8, 60.3, 14.7; LRMS (ESI) m/z calcd for C19H14F3NO3 [M+Na]+ : 361.1, found : 362.1.
IK-B : IK-E(632 mg, 2.50 mmol)가 포함된 메탄올(20 mL)에 KOH(8.44 g, 150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K-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K-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K-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630 mg, 7.5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667 mg, 3.75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K-B(664 mg, 1.80 mmol, 72.1%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7.87 (d, J = 7.6 Hz, 2H), 7.76 (d, J = 8.0 Hz, 2H), 7.64 (d, J = 9.2 Hz, 1H), 7.35 (t, J = 7.8 Hz, 1H), 7.32 (s, 1H), 7.05 (t, J = 7.0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1.4, 142.9, 136.6, 132.4, 128.8, 128.3, 126.5, 125.4, 125.0, 124.9, 122.2, 121.3, 116.7, 114.6, 89.9;LRMS (ESI) m/z calcd for C16H9BrF3NO[M+Na]+ : 367.0, found : 368.0.
[반응식 1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5
화합물 GxF 51 :
IK-B(59.0 mg, 0.1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122 mg, 0.6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8.0 mg, 0.6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1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1(62.1 mg, 0.14 mmol, 89.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5 (d, J = 6.8 Hz, 1H), 7.93 (d, J = 8.0 Hz, 1H), 7.90 (d, J = 8.8 Hz, 1H), 7.78 (d, J = 8.4 Hz, 2H), 7.68 (q, J = 8.0 Hz, 5H), 7.43 (s, 1H), 7.37 (t, J = 7.4 Hz, 1H), 7.08 (t, J = 6.2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2.8, 143.6, 138.0, 136.7, 132.7, 132.4, 129.2, 129.0, 128.7, 128.4, 127.8, 126.2, 125.8, 125.8, 125.5, 125.4, 125.3(2), 122.1, 117.3, 116.4, 114.9.
화합물 GxF 52 :
IK-B(58.6 mg, 0.1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104 mg, 0.6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7.5 mg, 0.6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2(58.4 mg, 0.14 mmol, 89.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3 (d, J = 7.2 Hz, 1H), 7.93 (d, J = 8.0 Hz, 2H), 7.84 (d, J = 9.2 Hz, 1H), 7.77 (d, J = 8.0 Hz, 2H), 7.46 (d, J = 8.8 Hz, 2H), 7.34 (s, 1H), 7.27 (t, J = 7.4 Hz, 1H), 7.00 (d, J = 8.8 Hz, 3H), 3.86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2.3, 158.5, 144.0, 136.8, 132.4, 132.0, 129.0(2), 126.6, 125.3, 125.2(2), 125.1(2), 124.9, 122.5, 121.5, 118.0, 117.6, 114.5, 114.3, 55.4.
화합물 GxF 53 :
IK-B(53.0 mg, 0.14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71.2 mg, 0.57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1.0 mg, 0.57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3(53.1 mg, 0.14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6.8 Hz, 1H), 7.92 (t, J = 8.0 Hz, 2H), 7.76 (d, J = 8.0 Hz, 2H), 7.55 (d, J = 7.6 Hz, 2H), 7.45 (t, J = 7.8 Hz, 2H), 7.39 (s, 1H), 7.32 (m, 3H), 6.97 (t, J = 6.6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2.5, 143.9, 136.8, 134.2, 132.5, 132.1, 129.1, 129.0, 128.9, 127.8, 126.7, 125.6, 125.3, 125.2, 122.5, 121.7, 118.2, 117.6, 114.6; LRMS (ESI) m/z calcd for C22H14F3NO[M+Na]+ : 365.1, found : 366.1.
화합물 GxF 54 :
IK-B(56.2 mg, 0.15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92.8 mg, 0.6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4.7 mg, 0.61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4(65.9 mg, 0.16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1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9 (d, J = 7.2 Hz, 1H), 7.99 (d, J = 8.4 Hz, 2H), 7.88 (d, J = 8.4 Hz, 2H), 7.73 (d, J = 8.4 Hz, 2H), 7.66 (d, J = 8.4 Hz, 1H), 7.60 (d, J = 8.0 Hz, 2H), 7.42 (s,1H), 7.32 (t, J = 8.0 Hz, 1H), 7.01 (t, J = 6.8 Hz, 1H), 2.60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1, 182.6, 144.0, 143.5, 139.1, 136.7, 136.3, 135.0, 132.6, 132.2, 129.1, 128.9, 128.8, 127.4, 127.2, 126.2, 125.2, 122.4, 122.1, 117.4, 116.6, 114.9, 26.7; LRMS (ESI) m/z calcd for [M+Na]+ : 395.1, found : 396.4.
화합물 GxF 55 :
IK-B(60.6 mg, 0.1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108.6 mg, 0.6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9.7 mg, 0.6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5(59.5 mg, 0.14 mmol, 91%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3 (d, J = 6.8 Hz, 1H), 7.92 (d, J = 8.0 Hz, 2H), 7.87 (d, J = 8.4 Hz, 1H), 7.75 (d, J = 8.0 Hz, 2H), 7.42 (d, J = 8.8 Hz, 2H), 7.31 (s, 1H), 7.27 (t, J = 7.2 Hz, 1H), 6.95 (t, J = 6.9 Hz, 1H), 6.82 (d, J = 8.8 Hz, 2H), 2.98 (s,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1.7, 149.1,143.8, 136.5, 131.9, 131.6, 128.8, 128.6, 128.3, 124.9, 124.8, 124.7, 124.3, 122.2, 121.8, 121.1, 118.4, 117.5, 114.1, 112.5, 40.3; LRMS (ESI) m/z calcd for C24H19F3N2O [M+Na]+ : 408.1, found : 409.2.
<GxF 56 ~ 60>
IL-E : 하기 반응식 13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리딘(564 μL, 7.00 mmol) 및 클로로아세톤(chloroacetone, 585 μL, 7.35 mmol)이 포함된 DMF(15.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73 μL, 3.5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2.09 g, 10.5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72 g, 21.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L-E(633 mg, 2.73 mmol, 85.0%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6.4 Hz, 1H), 8.34(d, J = 5.0 Hz, 1H), 7.99(s, 1H), 7.38(q, J = 9.3 Hz, 1H), 6.95(t, J = 7.0 Hz, 1H), 4.39(q, J = 7.1 Hz, 2H), 2.60(s, 3H), 1.43(t, J = 7.2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7.6, 164.0, 139.2, 129.1, 127.2, 126.2, 122.7, 119.4, 115.2, 105.8, 60.3, 27.6, 14.9 ; LRMS (ESI) m/z calcd for C13H13NO3 [M+Na]+ : 231.1, found : 232.1.
IL-B : IL-E(633 mg, 2.73 mmol)가 포함된 메탄올(20 mL)에 KOH(6.14 g, 109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L-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L-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L-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688 mg, 8.19 mmol)를 첨가하고 및 NBS(2.18 g, 12.3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L-B(477 mg, 2.0 mmol, 73.4%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3 (d, J = 6.8 Hz, 1H), 7.56 (d, J = 9.2 Hz, 1H), 7.51 (s, 1H), 7.22 (q, J = 7.8 Hz, 1H), 6.91 (t, J = 6.4 Hz, 1H), 2.54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5.5, 135.4, 127.9, 124.0, 123.8, 121.9, 116.5, 113.9, 88.5, 27.1; LRMS (ESI) m/z calcd for C10H8BrNO[M+Na]+ : 237.0, found :238.0.
[반응식 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1
화합물 GxF 56 :
IL-B(21.7 mg, 0.0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69.0 mg, 0.3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9.0 mg, 0.3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6(24.4 mg, 0.08 mmol, 89.3%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3 (d, J = 7.6 Hz, 1H), 7.82 (d, J = 9.2 Hz, 2H), 7.69 (d, J = 4.4 Hz, 2H), 7.65 (s, 1H), 7.49 (d, J = 8.6 Hz, 1H), 7.24 (dd, J = 10.0 Hz, 1H), 6.95 (t, J = 7.0 Hz, 1H), 2.62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6.8, 138.4, 135.7, 129.0, 128.1, 127.8, 125.8, 125.8, 125.6, 125.1, 122.8, 122.6, 117.1, 115.5(2), 114.4, 27.5; LRMS (ESI) m/z calcd for C17H12F3NO [M+Na]+ : 303.1, found : 304.1.
화합물 GxF 57 :
IL-B(25.8 mg, 0.10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71.0 mg, 0.43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6.0 mg, 0.43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7(19.0 mg, 0.06 mmol, 63.4%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1 (d, J = 6.8 Hz, 1H), 8.04 (d, J = 8.4 Hz, 2H), 7.85 (d, J = 8.8 Hz, 1H), 7.68 (s, 1H), 7.66 (d, J = 3.6 Hz, 2H), 7.23 (dd, J = 7.8 Hz, 1H), 6.93 (t, J = 6.9 Hz, 1H), 2.63 (s, 3H), 2.61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5, 186.9, 139.9, 135.7, 134.9, 129.1, 127.6, 127.5, 125.3, 122.9, 122.8, 117.5, 115.7, 114.5, 27.7, 27.0; LRMS (ESI) m/z calcd for C18H15NO2 [M+Na]+ : 277. 1, found : 278.1.
화합물 GxF 58 :
IL-B(54.4 mg, 0.23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111 mg, 0.91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97.0 mg, 0.91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8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8(66.8 mg, 0.28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1 (d, J = 7.2 Hz, 1H), 7.83 (d, J = 8.8 Hz, 1H), 7.61 (s, 1H), 7.58 (d, J = 7.2 Hz, 2H), 7.46 (t, J = 7.6 Hz, 2H), 7.32 (t, J = 7.4 Hz, 1H), 7.18 (t, J = 7.6 Hz, 1H), 6.90 (t, J = 6.8 Hz, 1H), 2.60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6.2, 135.2, 134.4, 128.5, 128.4, 127.6, 126.2, 124.0, 122.2, 122.0, 117.2, 116.7, 113.7, 27.2; LRMS (ESI) m/z calcd for C16H13NO [M+Na]+ : 235.1, found : 236.1.
화합물 GxF 59 :
IL-B(20.3 mg, 0.0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52.0 mg, 0.3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6.0 mg, 0.3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5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59(13.3 mg, 0.05 mmol, 62.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5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0 (d, J = 6.8 Hz, 1H), 7.77 (d, J = 6.8 Hz, 1H), 7.55 (s, 1H), 7.49 (d, J = 8.8 Hz, 2H), 7.16 (t, J = 7.7 Hz, 1H), 7.01 (t, J = 6.8 Hz, 2H), 6.88 (t, J = 6.8 Hz, 1H), 3.87 (s, 3H), 2.60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6.4, 158.3, 135.5, 129.0, 128.7, 127.2, 124.0, 122.2, 117.5, 116.8, 114.3, 113.9, 55.5, 27.5; LRMS (ESI) m/z calcd for C17H15NO2[M+Na]+ : 265.1, found : 266.1.
화합물 GxF 60 :
IL-B(27.5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76.0 mg, 0.4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9.0 mg, 0.4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0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0(12.5 mg, 0.04 mmol, 40.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9 (d, J = 6.4 Hz, 1H), 7.80 (d, J = 8.8 Hz, 1H), 7.53 (s, 1H), 7.46 (d, J = 7.2 Hz, 2H), 7.13 (t, J = 7.8 Hz, 1H), 6.84 (d, J = 6.8 Hz, 3H), 3.00 (s, 6H), 2.59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6.2, 149.3, 135.5, 128.7, 123.7, 122.8, 122.0, 121.9, 117.7, 117.5, 113.8, 113.0, 40.8, 27.5; LRMS (ESI) m/z calcd for C18H18N2O [M+Na]+ : 278.1, found : 279.2.
<GxF 61 ~ 65>
IM-E : 하기 반응식 14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리딘(564 μL, 7.00 mmol) 및 브로모아세토페논(1.46 g, 7.35 mmol)이 포함된 DMF(15.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73 μL, 3.5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2.09 g, 10.5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72 g, 21.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M-E(616 mg, 2.10 mmol, 60%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3(d, J = 7.2 Hz, 1H), 8.25(d, J = 9.0 Hz, 1H), 7.73(d, J = 7.2 Hz, 2H), 7.71(s, 1H), 7.46(d, J = 7.2 Hz, 1H), 7.40(t, J = 7.2 Hz, 2H), 7.29(t, J = 8.0 Hz, 1H), 6.93(t, J = 7.0 Hz, 1H), 4.29(q, J = 7.0 Hz, 2H), 1.31(t, J = 7.0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8, 163.4, 139.5, 139.3, 131.1, 128.7, 128.6, 128.4, 128.0, 127.2, 122.1, 121.2, 119.0, 114.9, 105.9, 59.9, 14.5; LRMS (ESI) m/z calcd for C18H15NO3 [M+Na]+ : 293.1, found : 294.2.
IM-B : IM-E(616 mg, 2.10 mmol)가 포함된 메탄올(20 mL)에 KOH(7.06 g, 126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M-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M-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M-A이 포함된 DMF(10.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529 mg, 6.30 mmol)를 첨가하고 및 NBS(561 mg, 3.15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M-B(590 mg, 1.96 mmol, 93.6%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6.8 Hz, 1H), 7.78 (d, J = 6.4 Hz, 2H), 7.61 (d, J = 8.8 Hz, 1H), 7.54 (d, J = 7.6 Hz, 1H), 7.50 (d, J =7.6 Hz, 2H), 7.37 (s, 1H), 7.30 (m, 1H), 6.98 (t, J = 7.0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4.0, 140.3, 136.9, 131.3, 129.0, 128.8, 128.5, 127.2, 125.4, 122.3, 117.3, 114.8, 89.9, 47.1, 34.8; LRMS (ESI) m/z calcd for C15H10BrNO [M+Na]+ : 299.0, found : 300.0.
[반응식 1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7
화합물 GxF 61 :
IM-B(59.4 mg, 0.19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150 mg, 0.79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84.0 mg, 0.79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1(33.9 mg, 0.09 mmol, 46.8%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6.8 Hz, 1H), 7.88 (d, J = 8.8 Hz, 1H), 7.84 (m, J = 6.8 Hz, 2H), 7.67 (m, J = 2.4 Hz,4H), 7.56 (d, J = 7.2 Hz, 1H), 7.52 (d, J = 7.2 Hz, 2H), 7.49 (s, 1H), 7.31 (m, J = 7.9 Hz, 1H), 6.96 (m, J = 6.9 Hz, 1H); 13C NMR(400 MHz, CDCl3) δ 184.5, 140.4, 138.3, 136.1, 131.0, 129.0, 128.8, 128.7, 128.4, 128.2, 128.0, 127.7, 125.7, 125.7, 125.7, 125.6, 125.4, 122.9, 122.4, 117.1, 115.8, 114.4; LRMS (ESI) m/z calcd for C22H14F3NO [M+Na]+ : 365.1, found : 366.1.
화합물 GxF 62 :
IM-B(55.5 mg, 0.1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121 mg, 0.7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78.7 mg, 0.7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2(50.0 mg, 0.14 mmol, 79.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29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2 (d, J = 6.8 Hz, 1H), 8.02 (d, J = 7.2 Hz, 2H), 7.89 (d, J = 8.8 Hz, 1H), 7.84 (d, J = 6.8 Hz, 2H), 7.69 (d, J = 7.6 Hz, 1H), 7.63 (d, J = 7.6 Hz, 2H), 7.56 (d, J = 7.2 Hz, 1H), 7.53 (s, 1H), 7.51 (s, 1H), 7.29 (t, J = 7.0 Hz, 1H), 7.00 (t, J = 6.6 Hz, 1H), 2.63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0, 184.3, 143.9, 140.3, 139.4, 136.2, 136.1, 134.6, 130.9, 128.9, 128.8, 128.7, 128.1, 127.2, 127.1, 125.6, 125.3, 122.4, 117.2, 115.9, 114.4, 26.7, 26.6; LRMS (ESI) m/z calcd for C23H17NO2 [M+Na]+ : 339.1, found :340.2.
화합물 GxF 63 :
IM-B(61.5 mg, 0.2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100 mg, 0.8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87.0 mg, 0.8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3(56.2 mg, 0.18 mmol, 89.9%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4 (d, J = 6.8 Hz, 1H), 7.89 (d, J = 9.2 Hz, 1H), 7.84 (d, J = 6.8 Hz, 2H), 7.19 (m, 7H), 7.31 (t, J = 7.4 Hz, 1H), 7.27 (dd, J = 6.6 Hz, 1H), 7.25 (dd, J = 6.6 Hz, 1H), 6.94 (t, J = 6.6 Hz, 1H); 13C NMR(100 MHz, CDCl3) δ 183.9, 140.3, 135.9, 134.2, 130.4, 128.5, 128.4, 127.8, 127.5, 126.1, 125.0, 124.6, 121.8, 117.2, 117.1, 113.8; LRMS (ESI) m/z calcd for C21H15NO [M+Na]+ : 297.1, found : 298.1.
화합물 GxF 64 :
IM-B(62.0 mg, 0.2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129 mg, 0.83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88.0 mg, 0.83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9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4(51.4 mg, 0.15 mmol, 74.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3 (d, J = 6.8 Hz, 1H), 7.84 (s, 1H), 7.82 (m, 2H), 7.53 (d, J = 6.8 Hz, 1H), 7.50 (s, 1H), 7.48 (m, 4H), 7.40 (s, 1H), 7.23 (m, 1H), 6.99 (d, J = 8.8 Hz, 2H), 3.85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1, 158.3, 140.7, 136.2, 130.7, 128.9, 128.8, 128.8, 128.1, 127.0, 125.0, 124.7, 121.9, 121.3, 117.5, 117.4, 114.2, 114.0, 55.4; LRMS (ESI) m/z calcd for C22H17NO2 [M+Na]+ : 327.1, found : 328.1.
화합물 GxF 65 :
IM-B(27.5 mg, 0.11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149 mg, 0.90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95.7 mg, 0.90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5(67.0 mg, 0.19 mmol, 87%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10.02 (d, J = 7.6 Hz, 1H), 7.87 (s, 1H), 7.84 (d, J = 6.4 Hz, 2H), 7.53 (d, J = 7.6 Hz, 1H), 7.49 (d, J = 7.6 Hz, 2H), 7.43 (d, J = 8.8 Hz, 2H), 7.39 (s, 1H), 7.21 (m, 1H), 6.92 (t, J = 7.0 Hz, 1H), 6.82 (d, J = 8.8 Hz, 2H), 2.99 (s,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9, 149.3, 140.9, 136.2, 130.6, 128.8, 128.7, 128.6, 128.0, 124.7, 124.3, 122.5, 121.8, 121.3, 118.1, 117.7, 113.9, 112.8, 40.7; LRMS (ESI) m/z calcd for C23H20N2O [M+Na]+ : 340.2, found : 341.2.
<GxF 66 ~ 70>
IN-E : 하기 반응식 15와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리딘(483 μL, 6.00 mmol) 및 2-브로모-4-메톡시아세토페논(1.44 g, 6.30 mmol)이 포함된 DMF(10.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20 μL, 3.0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79 g, 9.0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47 g, 18.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N-E(467 mg, 1.44 mmol, 48.2%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0(d, J = 6.8 Hz, 1H), 8.38(d, J = 8.8 Hz, 1H), 7.85(s, 1H), 7.83(d, J = 3.2 Hz, 2H), 7.42(q, J = 9.0 Hz, 1H), 6.97(t, J = 7.0 Hz, 1H), 7.01(d, J = 8.8 Hz, 2H), 4.38(q, J = 7.1 Hz, 2H), 3.90(s, 3H), 1.40(t, J = 7.0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6, 163.6, 162.2, 139.2, 132.1, 131.0, 128.7, 127.6, 127.0, 122.3, 121.6, 119.0, 114.7, 113.5, 105.7, 60.0, 55.4, 14.7; LRMS (ESI) m/z calcd for C19H17NO4 [M+Na]+ : 323.1, found : 324.2.
IN-B : IN-E(467 mg, 1.44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4.84 g, 86.4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N-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N-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N-A이 포함된 DMF(5.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363 mg, 4.32 mmol)를 첨가하고 및 NBS(384 mg, 2.16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N-B(350 mg, 1.06 mmol, 73.6%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3 (d, J = 6.8 Hz, 1H), 7.77 (d, J = 8.8 Hz, 2H), 7.51 (d, J = 8.8 Hz, 1H), 7.34 (s, 1H), 7.18 (q, J = 8.8 Hz, 1H), 6.95 (d, J = 8.8 Hz, 2H), 6.89 (t, J = 6.8 Hz, 1H), 3.84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4.0, 164.1, 162.2, 139.3, 132.0, 130.9, 128.7, 127.9, 127.1, 122.3, 119.1, 114.8, 113.4, 105.3, 55.4, 51.2.
[반응식 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3
화합물 GxF 66 :
IN-B(50.2 mg, 0.15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115 mg, 0.60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64.4 mg, 0.60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6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6(48.2 mg, 0.12 mmol, 80.2%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6.8 Hz, 1H), 7.85 (d, J = 8.8 Hz, 3H), 7.68 (s, 3H), 7.51 (s, 1H), 7.44 (d, J = 8.8 Hz, 1H), 7.28 (t, J = 7.6 Hz, 1H), 7.01 (d, J = 8.8 Hz,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8, 162.1, 138.4, 136.1, 132.8, 131.1, 129.0, 128.4, 128.1, 127.8, 126.9, 125.8(2), 125.6, 125.4, 125.1, 122.6, 117.2, 115.7, 115.6, 114.4, 113.6, 55.6; LRMS (ESI) m/z calcd for C23H16F3NO2 [M+Na]+ : 395.1, found : 396.1.
화합물 GxF 67 :
IN-B(21 mg, 0.0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42 mg, 0.2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7 mg, 0.2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7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7(22.6 mg, 0.06 mmol, 97.1%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7]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5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8.03 (d, J = 8.4 Hz, 2H), 7.90 (d, J = 9.2 Hz, 2H), 7.86 (d, J = 8.4 Hz, 2H), 7.66 (d, J = 8.0 Hz, 2H), 7.54 (s, 1H), 7.28 (t, J = 7.8 Hz, 1H), 7.02 (d, J = 8.4 Hz, 2H), 3.90 (s, 3H), 2.64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97.1, 183.4, 161.8, 139.4, 135.7, 134.4, 132.5, 130.7, 128.7, 127.1, 125.1, 124.7, 122.4, 177.0, 115.5, 114.0, 113.3, 55.3, 26.4; LRMS (ESI) m/z calcd for C24H19NO3 [M+Na]+ : 369.1, found :370.2.
화합물 GxF 68 :
IN-B(20.0 mg, 0.0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29.0 mg, 0.2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6.0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8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8(21.8 mg, 0.06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8]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6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7 (d, J = 6.8 Hz, 1H), 7.87 (d, J = 6.4 Hz, 2H), 7.57 (d, J = 8.0 Hz, 2H), 7.49 (s, 1H), 7.44 (d, J = 7.6 Hz, 2H), 7.31 (t, J = 7.4 Hz, 1H), 7.21 (t, J = 7.6 Hz, 1H), 7.0 (d, J = 8.4 Hz, 2H), 6.92 (t, J = 6.9 Hz, 1H), 6.89 (t, J = 6.8 Hz, 1H), 3.89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5, 161.9, 136.0, 134.7, 133.2, 131.0, 128.8, 127.9, 126.4, 126.6, 124.9, 124.6, 123.9, 122.2, 118.6, 117.5, 117.3, 115.4, 114.0, 113.5, 102.3, 55.6; LRMS (ESI) m/z calcd for C22H17NO2 [M+Na]+ : 327.1, found :328.2.
화합물 GxF 69 :
IN-B(20.8 mg, 0.0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38.0 mg, 0.2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6.7 mg, 0.25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69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69(22.6 mg, 0.06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69]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7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7.86 (d, J = 8.8 Hz, 2H), 7.81 (d, J = 7.6 Hz, 1H), 7.48 (d, J = 8.8 Hz, 2H), 7.42 (s, 1H), 7.19 (m, J = 8.2 Hz, 1H), 6.99 (dd, J = 8.8 Hz, 4H), 6.93 (t, J = 6.8 Hz, 1H), 3.89 (s, 3H), 3.85 (s, 3H); 13C NMR(100 MHz, CDCl3) δ 183.7, 162.1, 158.6, 136.2, 133.6, 131.3, 129.3, 129.1, 127.5, 124.9, 124.7, 122.4, 117.8, 117.4, 114.6, 114.2, 113.8, 55.9, 55.8; LRMS (ESI) m/z calcd for C23H19NO3 [M+Na]+ : 357.14, found : 358.1.
화합물 GxF 70 :
IN-B(20.0 mg, 0.0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40.0 mg, 0.24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6.0 mg, 0.24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0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0(23.8 mg, 0.06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0]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8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6 (d, J = 7.2 Hz, 1H), 7.86 (d, J = 8.8 Hz, 2H), 7.83 (s,1H), 7.44 (d, J = 6.8 Hz, 2H), 7.41 (s, 1H), 7.17 (dd, J = 8.8 Hz, 1H), 6.99 (d, J = 8.8 Hz, 2H), 6.90 (t, J = 6.9 Hz, 1H), 6.83 (d, J = 8.8 Hz, 2H), 3.89 (s, 3H), 2.99 (s,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3, 161.8, 149.3, 136.0, 133.5, 131.1, 128.7(2), 124.4, 124.0, 122.9, 117.8, 113.8, 113.5, 113.0, 55.6, 40.9; LRMS (ESI) m/z calcd for C24H22N2O2 [M+Na]+ : 370.2, found : 371.2.
<GxF 71 ~ 75>
IO-E : 하기 반응식 16과 같이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으로, 피리딘(695 μL, 6.00 mmol) 및 2-브로모-4'-(다이에틸아미노)아세토페논(1.70 mL, 6.3 mmol)이 포함된 DMF(10.0 mL)을 100℃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한 다음, 에틸아크릴레이트(320 μL, 3.00 mmol), 구리(II) 아세테이트 모노하이드레이트(1.79 g, 9.00 mmol) 및 소듐 아세테이트(1.47 g, 18.0 mmol)를 첨가하여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구리아세테이트를 셀라이트 패드를 통한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생성된 여과액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tOAc이 포함된 헥산 1 ~ 15%)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O-E(273 mg, 0.75 mmol, 25.0%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4 (d, J = 8.0 Hz, 1H), 8.35 (d, J = 8.0 Hz, 1H), 7.89 (d, J = 6.0 Hz, 1H), 7.86 (s,2H), 7.34 (m, 1H), 6.98 (t, J = 7.6 Hz, 1H), 6.72 (d, J = 9.2 Hz, 2H), 4.41 (q, J = 7.2 Hz, 2H), 3.43 (q, J = 7.1 Hz, 4H), 1.43 (t, J = 7.2 Hz, 3H), 1.22 (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6.8, 156.2, 136.0, 134.4, 129.4, 128.8, 127.8, 126.5, 124.8, 124.4, 124.1, 123.0, 122.1, 120.0, 118.5, 117.5, 117.4, 115.4, 114.3, 113.9, 102.5, 27.1, 27.9; LRMS (ESI) m/z calcd for C22H24N2O3 [M+Na]+ : 364.2, found : 365.2.
IO-B : IO-E(273 mg, 0.74 mmol)가 포함된 메탄올(10 mL)에 KOH(4.20 g, 74.9 mmol)를 첨가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6N HCl를 첨가하여 산성화시킨 다음, 생성된 고체를 여과를 통해 수득한 후, 물로 세척하고 건조오븐에서 건조시켜 흰색고체의 화합물 IO-A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화합물 IO-A는 추가 정제없이 바로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으며, IO-A이 포함된 DMF(5.0 mL)에 소듐 바이카보네이트(189 mg, 2.24 mmol)를 첨가하고 및 NBS(200 mg, 1.12 mmol)를 0℃에서 부분적으로 첨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8 - EA 12%)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IO-B(187 mg, 0.50 mmol, 67.3%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88 (d, J = 7.2 Hz, 1H), 8.03 (s, 1H), 7.83(s, 1H), 7.69 (dd, J = 8.2 Hz, 1H), 7.60 (d, J = 8.8 Hz, 1H), 7.41 (s, 1H), 7.28 (m, 1H), 7.12 (d, J = 8.4 Hz, 1H), 6.98 (t, J = 7.0 Hz, 1H), 3.25 (q, J = 6.9 Hz, 4H), 1.10 (t, J = 7.0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1.4, 152.2, 136.6, 135.2, 134.9, 128.6, 126.5, 125.1, 122.6, 122.0, 121.9, 120.5, 117.2, 114.6, 89.7, 46.6, 46.43, 12.8, 12.7.
[반응식 16]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39
화합물 GxF 71 :
IO-B(24 mg, 0.0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트리플로로페닐 보론산(49.0 mg, 0.25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27.0 mg, 0.25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1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1(19.0 mg, 0.04 mmol, 72.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0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7 (d, J = 7.2 Hz, 1H), 7.86 (d, J = 8.0 Hz, 1H), 7.81 (d, J = 8.4 Hz, 1H), 7.70 (m, 6H), 7.58 (s, 1H), 7.26 (m, 1H), 7.15 (d, J = 8.4 Hz, 1H), 6.98 (m, 1H), 2.99 (q, J = 7.0 Hz, 4H), 0.98 (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9, 152.2, 136.3, 134.0, 133.7, 133.1, 130.1, 129.3(2), 129.2, 128.2(2), 126.1(2), 125.7,125.6(2), 123.0, 120.3, 117.5, 115.9, 114.6, 46.2, 30.2, 12.5; LRMS (ESI) m/z calcd for C26H23F3N2O [M+Na]+ : 436.2, found : 437.2.
화합물 GxF 72 :
IO-B(30.0 mg, 0.0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아세틸페닐 보론산(53.0 mg, 0.3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4.0 mg, 0.3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5 - EA 40%)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2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2(18.9 mg, 0.04 mmol, 57.5%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2]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1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6.8 Hz, 1H), 8.05 (d, J = 7.2 Hz, 3H), 7.90 (s, 1H), 7.71 (d, J = 8.4 Hz, 3H), 7.67 (d, J = 8.4 Hz, 1H), 7.56 (s, 1H), 7.30 (m, 1H), 7.12 (d, J = 8.0 Hz, 1H), 7.00 (m, 1H), 3.27 (q, J = 7.0 Hz, 4H), 2.65 (s, 3H), 1.13 (t, J = 7.0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7.1, 182.1, 150.4, 143.9, 139.3, 136.1, 135.9, 134.5, 134.1, 131.5, 128.7, 128.6, 128.4, 127.7, 127.1, 125.3, 124.6, 122.1, 121.4, 117.1, 115.7, 114.1, 45.8, 29.6, 26.6, 12.3; LRMS (ESI) m/z calcd for C27H26N2O2 [M+Na]+ : 410.2, found :411.2.
화합물 GxF 73 :
IO-B(30.0 mg, 0.08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페닐 보론산(39.4 mg, 0.3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34.0 mg, 0.3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3으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3(22.2 mg, 0.06 mmol, 75.3%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2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8 (d, J = 7.2 Hz, 1H), 7.87 (d, J = 9.2 Hz, 1H), 7.80 (d, J = 7.6 Hz, 1H), 7.59 (m, 3H), 7.46 (m, 2H), 7.38 (m, 2H), 7.30 (d, J = 7.6 Hz, 1H), 7.20 (m, 1H), 7.12 (dd, J = 8.2 Hz, 1H), 6.94 (d, J = 7.0 Hz, 1H), 3.01 (q, J = 4.4 Hz, 4H), 0.97 (t, J = 7.0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3.5, 151.4, 141.1, 135.6, 134.6, 133.0, 132.7, 128.8, 128.5, 128.3, 128.0, 127.6, 126.4, 126.1, 124.5, 124.1, 122.1, 121.1, 119.3, 117.2, 116.8, 113.6, 45.9, 45.5, 12.0; LRMS (ESI) m/z calcd for C25H24N2O [M+Na]+ : 368.2, found : 369.2.
화합물 GxF 74 :
IO-B(39.5 mg, 0.10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메톡시페닐 보론산(65.0 mg, 0.42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45.0 mg, 0.42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4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4(42.5 mg, 0.10 mmol, 100%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4]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3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6.8 Hz, 1H), 7.89 (s, 1H), 7.82 (d, J = 8.8 Hz, 1H), 7.70 (d, J = 8.2 Hz, 1H), 7.49 (d, J = 8.8 Hz, 2H), 7.44 (s, 1H), 7.22 (m, 1H), 7.11 (d, J = 8.0 Hz, 1H), 7.00 (d, J = 6.8 Hz, 2H), 6.96 (t, J = 7.2 Hz, 2H), 3.86 (s, 3H), 3.26 (q, J = 7.1 Hz, 4H), 0.96 (t, J = 7.2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82.2, 158.4, 150.4, 136.3, 135.0, 131.8, 129.7, 129.1, 128.9, 128.0, 127.1, 124.7, 124.6, 121.8(2), 117.6, 117.4, 114.4, 114.1, 113.7, 55.5, 46.7, 45.7, 29.9, 12.6; LRMS (ESI) m/z calcd for C26H26N2O2 [M+Na]+ : 398.2, found : 399.4.
화합물 GxF 75 :
IO-B(73.0 mg, 0.16 mmol)를 포함하고 DMF 및 물이 2 : 1로 혼합되어 있는 용액에 4-(다이메틸아미노)페닐 보론산(109 mg, 0.66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231 mg, 20.0 mol%) 및 소듐 카보네이트(70.0 mg, 0.66 mmol)를 첨가한 후,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 : Hexane = 1:4 - EA 25%)로 정제하여 하기 화학식 1-75로 표시되는 황색 고체의 화합물 GxF 75(257.8 mg, 0.14 mmol, 84.6% 수율)을 수득 하였다.
[화학식 1-7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4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400 MHz, CDCl3), δ 9.95 (d, J = 6.8 Hz, 1H), 7.89 (s, 1H), 7.84 (d, J = 8.0 Hz, 1H), 7.70 (dd, J = 8.4 Hz, 1H), 7.50 (d, J = 8.8 Hz, 1H), 7.45 (d, J = 8.8 Hz, 2H), 7.43 (s, 1H), 7.20 (m, 1H), 7.11 (d, J = 8.4 Hz, 1H), 6.94 (t, J = 6.8 Hz, 1H), 6.84 (d, J = 6.8 Hz, 2H), 3.26 (q, J = 7.1 Hz, 4H), 3.00 (s, 6H), 1.12 (t, J = 7.0 Hz, 6H); 13C NMR(100 MHz, CDCl3) δ 197.5, 197.2, 183.5, 151.8, 146.4, 139.7, 135.9, 135.4, 134.7, 133.6, 133.1, 132.7, 129.7, 129.0, 128.9, 128.7, 128.5, 127.4, 125.3, 124.7, 122.7, 119.8, 117.3, 115.7, 114.2, 45.8, 26.8, 12.2; LRMS (ESI) m/z calcd for C27H29N3O [M+Na]+ : 411.2, found : 412.3.
[실시예 2]
75종의 GxF 물질들의 광물리학적 특성 확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1에서 합성한 75종의 GxF 물질들에 대한 광물리학적 특성을 관찰하였다.
최종 형광 화합물의 UV 흡수는 UV-VISIBLE 스펙트로포토미터(JASCO V-670, JASCO, INC.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여기 형광 발광파장은 JASCO 형광 스펙트로포토미터(JASCO FP-8200, JASCO, INC. 일본)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자 수득률(absolute quantum yield)은 Absolute PL 양자 수득률 측정 시스템(QE-2000, Otsuka Electronics, Japan)에 의해 측정하였다.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6
(T: Trifluoromethyl, A: Acetyl, H: Hydrogen, TP:4-trifluoromethylphenyl, C: Methyl, MP: 4-methoxyphenyl, DEP: 4-Diethylaminophenyl, M: Methoxy, DM: dimethylamino, L: solution state, S: solid state,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GxF 물질들은 발광파장이 416 nm에서 620 nm에 이르는 전 가시광선 영역을 아우르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체상 형광현상을 (solid state fluorescence)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xF 물질 중, GxF 1, GxF 3, GxF 5 및 GxF 11 화합물들의 고체상태 형광 현상을 관찰한 결과, 도 5b 및 도 5c에 나타난 바와 같이, GxF 화합물들은 응집발광유도 현상을 나타낼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xF 1의 경우 119.5배, GxF 3의 경우 18.3배, GxF 5의 경우 28.8배 및 GxF 11의 경우 41.3배로 형광이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5d).
또한, 수용액 조건에서(THF/Water mixture 1:9) GxF 화합물의 응집형상 및 광물리적 특성을 동적광산란광도계(Dynamic light scattering: DLS)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GxF 1, GxF 3, GxF 5 및 GxF 11은 응집이 유도되고 그 크기가 2 ~ 500 nm 정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6 및 표 2).
GxF 물질들의 광 물리적 특성 및 동적 광산란 측정값
GxF 11 GxF 1 GxF 3 GxF 5
∫h [%] λab λem d λab λem d λab λem d λab λem d
0 371 490 n.a. 375 535 n.a. 383 539 n.a. 406 533 n.a.
10 371 491 374 525 384 537 406 548
20 371 488 376 523 383 542 405 556
30 371 487 374 529 385 538 405 554
40 371 486 375 515 371 535 404 564
50 371 484 378 516 379 536 402 556
60 370 480 378 515 382 526 400 550
70 371 476 377 511 378 524 398 547
80 370 475 375 504 380 517 400 545
90 370 462 376 498 382 509 401 547
100 369 456 375 484 380 492 399 502
나아가, GxF 1 및 GxF 63 물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법을 이용한 단분자 구조분석(A) 및 결정구조 분석(B)을 수행하였으며(도 7), 분석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GxF 1 및 GxF 63의 단결정 구조는 10 ㎖의 메탄올(methanol)과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3:7의 부피비)에 녹아 있는 용액을 35℃오븐에서 이틀동안 건조시키는 slow evapor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수득하였다. 용매가 모두 증발하고 나서 얻어진 결정은 걸러서 수득하고 이를 헥산(hexane)으로 세척하였다 (G. M. Shleldrick, Acta Cryst. 2015, C71, 3-8).
GxF 1 및 GxF 63의 X선 회절 분석법을 통한 결정구조 분석
Compound GxF 63 GxF 1
crystal system Triclinic Triclinic
space group P -1 P -1
a (Å) 7.9261 9.7026
b (Å) 9.6249 13.9432
c (Å) 11.2209 17.8604
α (deg.) 82.808 70.921
b (deg.) 80.659 81.713
γ (deg.) 68.917 69.302
V (Å3) 786.05 2135.02
Z 2 2
M.W 297.34 1002.69
[실시예 3]
용매 비율 및 종류에 따른 형광 강도 변화 관찰
본 발명에서는 GxF 화합물에 대해 용매 비율 및 종류에 따른 형광 강도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헥산(Hexane) 비율에 따른 발색 현상 변화 및 헥산(Hexan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및 DMSO과 같이 용매 종류에 따른 형광 강도 변화를 확인하였다.
형광발광 파장 및 강도 변화는 JASCO FP-8200 분광형광계(spectrofluor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절대발광효율은 QE-2000 (Otsuka Electronics)를 사용하였으며, UV-Vis 흡광파장은 JASCO V-670 분광형광계를 사용하여 관측하였다. 모든 실험은 1x1 cm 석영큐벳을 사용하였다. 각 물질들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 ACN) 및 DMSO 혹은 서로다른 헥산 비율을 지니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헥산(Hexane) 혼합액에 20 uM의 농도로 녹여 측정되었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헥산(Hexane) 비율에 따른 발색 현상 변화 관찰을 위하여 헥산의 비율은 부피비를 기준으로 0%에서 100% 까지 10% 단위로 증가시켜 가며 관측하였다.
THF/Hexane 비율에 따른 용매의존 발색 현상의 변화를 관찰한 결과, Hexane 비율이 높을 수록 형광 강도가 증가하였으며(도 8), 용매 종류에 따른 형광 강도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Hexane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 다른 용매에 비해 형광세기가 현저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도 9).
[실시예 4]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GxF 물질 복합체 제조
본 발명에서는 미토콘드리아 타겟을 위한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GxF 물질 복합체를 제조하였으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로 TPP를 사용하였다.
<TPP-GxF>
TPP-GxF는 도 10의 방법으로 합성하였으며, 구체적인 방법은 하기와 같다.
화합물 1: 실시예 1에서 합성한 IM-B(200.0 mg, 0.7 mmol)이 포함된 DMF 및 H2O 혼합액(v:v = 10:1)에 4-메톡시카르보닐보론산(4-methoxycarbonyl boronic acid, 359.7 mg, 2.0 mmol),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tetrakis(triphenylphosphine)palladium, 154.1 mg, 0.13 mmol) 및 소듐나트륨(sodium carbonate, 352.8 mg, 3.33 mmol)을 첨가한 다음, 반응혼합물은 아르곤 조건으로 10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하고 조생성물을 DCM 및 물로 분산시킨 후,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ane = 1:9 - EA 2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1(155.2 mg, 65.6 %수율)을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 (600 MHz, CDCl3) δ 10.05 (td, J = 4.2 Hz, 1.2 Hz, 1H), 8.11 (td, J = 5.1 Hz, 1.8 Hz, 2H), 7.93 (td, J = 5.1 Hz, 1.2 Hz, 1H), 7.86 -7.84 (m, 2H), 7.65 (dt, J = 5.1 Hz, 1.8 Hz, 2H), 7.58 (tt, J = 7.2 Hz, 1.8 Hz, 1H), 7.31 (td, J = 6.0 Hz, 3H), 7.35- 7.32 (m, 1H), 7.05 (td, J = 6.9 Hz, 1.8 Hz, 1H), 3.95 (s, 3H); 13C NMR (150 MHz, CDCl3), δ 184.2, 140.3, 136.9, 131.2, 128.9(2), 128.8(3), 127.2, 125.3, 117.3(3), 114.6, 89.7; LRMS (ESI) m/z calcd for C23H18NO3 [M+H]+ : 356.12, found : 356.07.
화합물 2: 화합물 1(20 mg, 56 μmol) 및 수산화칼륨(potassium hydroxide, 94.7 mg, 1.7 mmol)을 1.0mL의 메탄올에 녹인 후, 환류조건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6N HCL을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로 수득하고 물로 세척한 다음, 조생성물인 화합물 2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화합물 3: 화합물 2(145.3 mg, 0.43 mmol)가 포함된 DMF에 TEA (118.7 μL, 0.85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주위온도(ambient temperature)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에 N-(tertbutoxycarbonyl)-1,2-diaminoethane(100.2 μL, 0.64 mmol) 및 PyBOP(443.1mg, 0.8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다음, 생성된 조생성물을 물로 세척하고, 유기물질을 DCM으로 3회 추출하였다. 추출한 유기물질을 합한 다음,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킨 후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상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EA:Hexane = 9:1 - EA 90%)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화합물 3(131.5 mg, 63.2 % 수율)을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 (600 MHz, CDCl3) δ 10.01 (d, J = 12.0 Hz, 1H), 7.88 (d, J = 12.0 Hz 3H), 7.86 (d, J = 6.0 Hz, 1H), 7.82 (d, J = 6.0 Hz, 2H), 7.58 (d, J = 6.0 Hz, 2H), 7.55 (t, J = 6.0 Hz, 2H), 7.49 (t, J = 6.0 Hz, 1H), 7.47 (s, 1H), 7.31 (brs, 1H), 7.27 (t, J = 6.0 Hz, 1H), 7.00 (t, J = 6.0 Hz, 1H), 5.09 (s, 1H), 3.57 (q, J = 6.0 Hz, 2H), 3.42 (q, J = 6.0 Hz, 2H), 3.63 (s, 9H); 13C NMR (150 MHz, CDCl3), δ 184.8, 171.3, 167.5, 140.7, 138.0, 136.5, 131.2, 129.2, 129.0, 128.4, 127.8, 127.7, 122.6, 117.5, 116.5, 114.6, 80.0, 42.3, 40.1, 28.5(2), 28.4(2), 21.1, 14.3; LRMS (ESI) m/z calcd for C29H30N3O4 [M+H]+ : 484.22, found : 484.15.
화합물 4: 화합물 3(231.4 mg, 0.48 mmol)이 포함된 DCM에 1,4-디옥산(1,4-dioxane)이 포함된 4 M HCl 4 mL 을 첨가한 다음,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킨 후, 조생성물인 화합물 3를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반응에 사용하였다.
TPP-GxF: (5-카르복시펜틸)트리페닐 포스핀 브로마이드((5-carboxypentyl)triphenyl phosphine bromide, 10.4 mg, 0.02 mmol) 및 DIPEA(14.4 μL, 0.08 mmol) 가 포함된 DMF (200 μL)에 화합물 4(10.0 mg, 0.02 mmol) 및 PyBOP(21.5 mg, 0.04 mmol)를 첨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주위온도에서 교반시켰다. TLC로 반응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실리카-겔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Water:ACN = 0 ~ 100 %)로 정제하여 황색 고체의 TPP-GxF(2.3 mg, 14.7 % 수율)를 수득 하였다.
NMR 분석결과는 하기와 같다.
1H NMR (600 MHz, CDCl3) δ 9.98 (d, J = 6.0 Hz, 1H),7.93 - 7.89 (m, 3H), 7.81 - 7.75 (m, 6H), 7.66 - 7.60 (m, 15H), 7.42 (t, J = 6.0 Hz, 1H), 7.37 (s, 1H), 7.15 (t, J = 12.0 Hz, 1H), 3.53 (t, J = 6.0 Hz, 2H), 3.44 (t, J = 6.0 Hz, 2H), 3.32 - 3.31 (quin, 6H), 3.18 - 3.13 (m, 2H); 13C NMR (150 MHz, CDCl3), δ 184.9, 175.0 (2), 168.6 (2), 162.4, 162.2, 161.9, 140.4, 137.8 136.7, 134.9 (5), 134.8, 133.5 (2), 133.4 (3), 133.3 (3), 133.2, 132.0, 130.2, 130.1, 130.0 (5), 128.7, 128.2 (2), 127.8 (3), 127.3 (2), 127.2 (3), 118.7, 118.1 (2), 117.7, 116.3 (2), 115.8, 63.2, 38.7 (3), 37.4, 35.2, 29.0; LRMS (ESI) m/z calcd for C48H46N3O3P+ [M+H]+ : 743.32, found : 743.23.
[실시예 5]
TPP-GxF 복합체를 이용한 세포 이미징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한 TPP-GxF 복합체가 살아있는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를 타겟으로 하여 응집유도발광 현상이 일어나는지 확인하였다.
먼저, 미토콘드리아 표적 황색 형광 단백질인 Mito-YFP를 안정적으로 과발현하는 세포(Human Chang Liver cell)를 10% FBS, 1% NEAA, 및 25.0 μg/mL G418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37℃ 5% CO2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는 TrypLE쪠Express(GIBCO)를 이용하여 수확한 다음, 신선한 배양 배지에 현탁시켰으며, 1 Х 104 개 세포를 공초점 디쉬(SPL)에 접종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내 미토콘드리아 염색을 위해 다양한 농도의 TPP-GxF를 첨가하였으며,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도립형광현미경(inverted fluorescence microscope, DMi8, LEICA)을 이용하여 세포를 관찰하였다.
DAPI channel은 325 ~ 375 nm exciter 및 435 ~ 485 nm emitter 조건으로,
GxF channel은 460 ~ 500 nm exciter 및 512 ~ 542 nm emitter 조건으로,
YFP channel은 541 ~ 551 nm exciter 및 565 ~ 605 nm emitter 조건으로 관찰하였으며, ImageJ(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소프트웨어로 이미지를 분석하였다.
세포에 TPP-GxF 복합체를 처리한 후, 별도의 세척과정 없이 형광정도를 관찰한 결과, 미토콘드리아 내 발현물질인 Mito-YFP와 마찬가지로 TPP-GxF 복합체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Mito-YFP 및 TPP-GxF 복합체의 형광이 동일한 위치에서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1 및 도 12).
또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형광 정도를 관찰한 결과, TPP-GxF 복합체는 세포에 처리 1분 후에 형광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도 13), 농도에 따른 TPP-GxF 복합체를 세포에 처리한 결과, TPP-GxF 복합체는 낮은 농도 뿐만 아니라, 높은 농도에서도 높은 형광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14).

Claims (14)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7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수소; 니트릴기; 할로겐; 니트로기;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C5-C20의 시클로헤테로고리기; 보론기; 아자이드기; NR4R5(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C1-C6의 알콕시, 할로겐,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또는 CH2NR4R5 (여기에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이고,
    R2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C1-C6의 알콕시기; 폴리에틸렌글라이콜기; 니트릴기; 니트로기; 카르복실기; 설포닐기; 아자이드기; 메탄설포닐기; 말레이미드기; 터셔리-부틸디메틸실릴기(TBS)로 보호된 알콜; 또는 NR6R7(여기에서, R6 및 R7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니트릴기; 보론기; 하이드록시기; COY(여기에서 Y는 수소, C1-C8의 직쇄 또는 측쇄 알킬기, C2-C8의 알케닐기, C2-C8의 알키닐기, C3-C8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NR8R9(여기에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C1-C6의 알콕시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NR10R11(여기에서, R10 및 R11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C10의 알킬기, C6-C20의 아릴기 또는 C4-C20의 헤테로아릴기임), 니트릴 또는 할로겐으로 치환된 C6-C20의 아릴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아세틸기; 메톡시기; 또는 다이메틸아민기이고, 상기 R2는 메틸; 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페닐기; 메톡시페닐기; 또는 다이에틸아민페닐기이며, 상기 R3는 수소; 트리플루오로메틸기(Trifluoromethyl); 또는 아세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1, 화학식 1-3, 화학식 1-5 및 화학식 1-11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화학식 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8
    [화학식 1-3]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49
    [화학식 1-5]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50
    [화학식 1-11]
    Figure PCTKR2021013094-appb-img-00025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은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11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5로 표시되는 화합물 >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순으로 형광 증가율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의 응집유도발광제로서의 용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세포이미징용 키트.
  11.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세포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이미징 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미토콘드리아 타겟 물질이 결합된 미토콘드리아 타겟용 복합체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세포 영상조영제(imaging agent)로서의 용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미토콘드리아 타겟물질은 TPP(triphenylphosphonium), 로다민(rhodamine), 로다민 19(rhodamine 19), 로다민 123(rhodamine 123), 실리콘 로다민-Me(Siliconrhodamien-Me), JC-1 (5,5,6,6-Tetrachloro-1,1,3,3-tetraethylbenzimidazolylcarbocyanine iodide) 및 MPP(N-methyl-4-phenylpyridinium)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친유성 양이온(Lipophilic cation); TOM(translocase of the outer membrane) 및 TIM(translocase of the inner membrane)를 표적으로 하는 미토콘드리아 표적 신호 펩티드(Mitochondrial targeting signal peptide; MTS); DQA(Delocalized lipophilic cations, such as dequalinium); 페닐설포닐프록산(phenylsulfonylfuroxan); 구아니딘(guanidine); 사이클릭 구아니딘(cyclic guanidine); 또는 F-16(4-[(1E)-2-(1H-indol-3-yl)ethenyl]-1-methyl-pyridinium iod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영상화제로서의 용도.
PCT/KR2021/013094 2020-09-28 2021-09-27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WO202206593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6356 2020-09-28
KR1020200126356A KR20220042925A (ko) 2020-09-28 2020-09-28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65938A1 true WO2022065938A1 (ko) 2022-03-31

Family

ID=8084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3094 WO2022065938A1 (ko) 2020-09-28 2021-09-27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042925A (ko)
WO (1) WO202206593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874A (en) * 1953-12-21 1957-01-16 Wellcome Foun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preparing chemical compounds containing the pyrrocoline nucleus and new chemical compounds produced thereb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765874A (en) * 1953-12-21 1957-01-16 Wellcome Foun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thods of preparing chemical compounds containing the pyrrocoline nucleus and new chemical compounds produced thereby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ARTER PHILLIP W., DIMAGNO STEPHEN G., PORTER JOHN D., STREITWIESER ANDREW: ".pi.-Stacking and aggregation of pyridinium-substituted indolizines", THE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vol. 97, no. 5, 1 February 1993 (1993-02-01), pages 1085 - 1096, XP055914338, ISSN: 0022-3654, DOI: 10.1021/j100107a017 *
CHOI SANG-KEE, RHO JUNGI, YOON SANG EUN, SEOK JIN-HONG, KIM HYUNGI, MIN JUNSIK, YOON WOOJIN, LEE SANGHEE, YUN HOSEOP, KWON O-PIL, : "Full Color Tunable Aggregation-Induced Emission Luminogen for Bioimaging Based on an Indolizine Molecular Framework", BIOCONJUGATE CHEMISTRY, vol. 31, no. 11, 18 November 2020 (2020-11-18), US , pages 2522 - 2532, XP055914342, ISSN: 1043-1802, DOI: 10.1021/acs.bioconjchem.0c00467 *
EUNHA KIM, OH SEONG-GEUN: "Development of fluorescent pharmacophore and biomedical application", FINAL REPORT. MINISTRY OF SCIENCE AND ICT, 1 June 2019 (2019-06-01), Korea, pages 1 - 33, XP009536038 *
SK BAHADUR, PATRA ABHIJIT: "C–C coupling over Schiff base condensation: a rational design strategy for a strongly fluorescent molecular material", CRYSTENGCOMM, vol. 18, no. 23, 1 January 2016 (2016-01-01), pages 4290 - 4294, XP055914327, DOI: 10.1039/C5CE02489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2925A (ko) 2022-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204445A2 (ko) Alk 단백질의 분해를 유도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9231226A1 (ko)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WO2013105747A1 (ko) 유기전기 소자용 화합물, 이를 이용한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WO2013081315A1 (ko) 유기전기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기소자 및 그 전자 장치
WO2018080066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1182893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20251183A1 (ko) 유기발광 소자용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WO2018066872A1 (ko) 3-페닐-2,3,4,8,9,10-헥사히드로피라노[2,3-f]크로멘 유도체 및 이의 광학 이성질체 합성 방법
WO2013048177A2 (ko) 셀레노펜-접합 방향족 화합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142488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8080067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0130724A1 (ko)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9013556A1 (ko) 고효율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WO2023282617A2 (ko) 유기 광전자 소자용 조성물, 유기 광전자 소자 및 표시 장치
WO2019074241A1 (ko) 페닐아세틸렌 유도체를 포함하는 pd-1과 pd-l1의 상호작용 억제제
AU2021226297B2 (en) 1,3,4-oxadiazole derivative compounds as histone deacetylase 6 inhibitor,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WO2021230714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4104665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2065938A1 (ko) 응집유도발광용 화합물과 이를 이용한 세포이미징용 조성물 및 세포 영상조영제로서의 용도
WO2022086296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21230715A1 (ko) 유기 발광 소자
WO2018070835A1 (ko) 유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22065949A1 (ko) 인돌리진 골격체 기반 ph 측정용 형광 화합물 및 이의 용도
WO2022098108A1 (ko) Nlrp3 단백질 분해 유도 화합물
WO2023085878A1 (ko) 유기 발광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72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7296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