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6867A1 -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6867A1
WO2021256867A1 PCT/KR2021/007591 KR2021007591W WO2021256867A1 WO 2021256867 A1 WO2021256867 A1 WO 2021256867A1 KR 2021007591 W KR2021007591 W KR 2021007591W WO 2021256867 A1 WO2021256867 A1 WO 202125686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inyl chloride
based polymer
polymer composite
compound
cellul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59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배흥권
안성용
김건지
하현규
이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P21827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047052A4/en
Priority to US17/780,517 priority patent/US20220411621A1/en
Priority to CN202180006922.1A priority patent/CN114761485B/zh
Publication of WO202125686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6867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4/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02Polymerisation in bulk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4/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 C08F214/02Mono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14/04Monomer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 C08F214/06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 C08F259/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 C08F259/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halogen containing monomers as defined in group C08F14/00 on to polymers containing chlorine on to 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and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having improved processability, thermal stability, color characteristics and transparency.
  • Vinyl chloride-based polymers are the most widely used synthetic resins among thermoplastic resins.
  • Polymerization methods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nclude suspens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and bulk polymerization.
  • bulk polymerization does not use a solvent, a dispersant, and an emulsifier, but supplies only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n initiator, and, if necessary, a reaction additive, and performs polymerization.
  • Polymers polymerized by bulk polymerization are processed and used as raw materials for chlorinated PVC, pipes, chassis, shoe insoles, films, etc., and among them, they are widely used for pipes.
  • the bulk polymerization has advantages in that the device is simple, the reaction is fast, and since it does not go through purification processes such as distillation and extraction, the yield is high, a polymer of high purity can be obtained, and the polymer can be handled as it is.
  • bulk polymeriz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temperature due to strong heat generation during the polymerization process.
  • bulk polymerization has a disadvantage in that there is no material that can absorb and remove the heat of polymerization other than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viscosity of the polymerization material increases as the polymerization progresses, so that it is difficult to spread the heat of reaction by conduction or convection. Accordingly, in the case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prepared by bulk polymerization, it is very important to secure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because it may be damaged by heat of reaction or unexpected heat generated during the bulk polymerization process. .
  • Patent Document 1 CN107056972A
  • Patent Document 2 KR2016-0035439A
  • Patent Document 3 KR2017-0004703A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mass-polymerizing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to prepare a particle nucleus; prepar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by bulk polymerization of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in the presence of the particle nuclei; And it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the step of prepar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compris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the cellulose-based compound.
  •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by includ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the cellulose-based compound, thereby reducing the transport time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 Productivity can be increased.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ee volume of the vinyl chloride polymer composite particles by preventing static electricity caused by chlorine element between the vinyl chloride polymer chains, thereby shortening the time of the distribution process such as packaging and transport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to the final product. can improve productivity.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from deformation due to heat during the post-treatment process by including the cellulose-based compound, and thus both thermal stability and transparency can be improved.
  • the flowability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is remarkably improved, so that the processabilit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polymer' refers to a polymer compound prepared by polymerizing monomers.
  • the generic term polymer thus encompasses the term homopolymer, which is commonly used to refer to polymers prepared from only one monomer, and the term copolymer prepared from two or more monomers.
  • the term 'vinyl chloride-based polymer' encompasses a compound produced by polymerizing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nd may mean a polymer chain derived from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 the term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may be a composite includ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a cellulose-based compound, specifically, an additive, such as a cellulose-based compound, adsorbed to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 the adsorption may be physical adsorption by van der Waals force.
  • a compound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is Alternatively, the degree of substitution with an alkyl group may be measured by nuclear magnetic resonance analysis.
  • the viscosity can be measured with a Brooksfield viscometer.
  • a method for produc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comprises the steps of mass-polymerizing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to prepare particle nuclei; prepar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by bulk polymerization of a vinyl chloride-based monomer in the presence of the particle nuclei; and prepar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includ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a cellulose-based compound.
  • the cellulosic compound prevents thermal damage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by heat applied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for removing the unreacted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nd improves the flowability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It is used as an inhibitor and heat stabilizer.
  • the cellulosic compound is added before the start of polymerization or at the beginning of polymerization to help form droplets in the reaction mixture containing the vinyl chloride monomer, so that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vinyl chloride in the polymerization solvent It serves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the initial particles of the polymer-based polymer. Accordingly, the cellulosic compound prevents the formation of coarse polymer particles by controlling the size and porosity of the prepared polymer particles, particularly the initial polymer particles,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physical properties such as viscosity and processability of the polymer.
  • the cellulosic compound added in the suspension polymerization is added to increase the dispersibility of the initial particles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vinyl chloride polymer in the polymerization solvent, and is performed after bulk polymeriz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dded to protect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from heat applied in the post-treatment process and to improve the flowability of the polymer, which is deteriorated due to the absence of a polymerization solvent, the purpose of the addition is different.
  • the degree of substitution with an alkyl group is high so that the cellulosic compound can be easily adsorbed to the vinyl chloride polymer, and the antistatic role can be easily performed.
  • L is a C 1 to C 10 alkylene group, and n is 1 to 100
  • the compound is highly substituted.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is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0.003 to 0.550 parts by weight of the cellulose-based compound,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0.005 to 0.500 parts by weight of the cellulose-based compound , More preferably,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0.15 to 0.5 parts by weight of the cellulose-based compound may be included.
  • the flowability, thermal stability, transparency an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can be improved.
  • the cellulosic compound is included in a small amount, the flowability improvement effect may be insignificant.
  • a phenomenon in which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forms a lump may occur due to the high viscosity and adsorption property (property to adsorb to other materials), which are inherent properties of the cellulosic compound. . Due to this, since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having an abnormal size is excessively generated, flowability, thermal stability and transparency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may be deteriorated.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having a normal size may refer to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that can pass through a screen mesh having 30 to 40 mesh, specifically 35 mesh. I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screen mesh is 95% by weight or more, the production yield is excellent, and if it is less than 90% by weight, the production yield is very low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may be very low.
  • the cellulosic compou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ic biomass and a compound includ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to C 10 alkyl group, or and L is a C 1 to C 10 alkylene group.
  • the cellulosic biomass may include at least one cellulos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ellulose-based cellulose, lignocellulosic cellulose, and seaweed-based cellulose.
  •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to C 4 alkyl group, or and L may be a C 1 to C 4 alkylene group, preferably, R 1 to R 6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 C 1 to C 2 alkyl group or and L may be a C 1 to C 3 alkylene group.
  • a compound comprising a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is The degree of substitution may be 3 to 20 mol%, preferably 5 to 15 mol%, more preferably 7 to 9 mol%.
  • the cellulose-based compound can be easily adsorbed to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while preventing the temperature at which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is gelled from being significantly lowered.
  • the degree of substitution of the compound including the repeating unit represented by Formula 1 with an alkyl group may be 15 to 40 mol%, preferably 20 to 35 mol%, more preferably 27 to 29 mol%.
  • the cellulose-based compound may have a viscosity of 0.010 to 20.000 pa ⁇ s of a 2 wt% aqueous solution at 20 °C, preferably 0.12 to 0.220 pa ⁇ s, and more preferably 0.181 pa ⁇ s.
  • the viscosity of the cellulosic compound may be an appropriate viscosity to form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and thus the dispersibility in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substrate may be further increased, and thus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may have a higher viscosity. Transparency and flow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 the cellulosic compound may be added as a solid cellulosic compound or may be added in an aqueous solution mixed with an aqueous solvent, but is preferably added in an aqueous solution to be uniformly dispersed in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 the aqueous solution may contain 1 to 10% by weight of the cellulosic compound, preferably 1 to 7% by weight, more preferably 3 to 5% by weight.
  • the cellulosic compound When the cellulosic compound is added in an aqueous solution state, if it is added at the above content, the cellulosic compound can be more uniformly dispersed in the vinyl chloride polymer composite, so the thermal stability and flowability of the final product, the vinyl chloride polymer composite and transparency may be further improved.
  •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heat-treating to remove the unreacted vinyl chloride-based monomer after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 the heat treatment condition may be a vacuum condition at 70 to 90° C., specifically -0.2 kgf/cm 2 to -0.8 kgf/cm 2 .
  • the production yield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 the step of preparing the particle nucleus and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may be performed in the presence of an initiator.
  • the initiator present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may be a residual initiator present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article nucleus.
  • the initiator is dicumyl peroxide, dipentyl peroxide, di(3,5,5-trismethylhexanoyl)peroxide, dilauroyl peroxide, diisopropyl peroxidacarbonate, di-sec-butylperoxide Cydicarbonate, di(2-ethylhexyl)peroxy dicarbonate, t-butylperoxy neodecanoate, t-butylperoxy neoheptanoate, t-amyl peroxy neodecanoate, cumyl peroxyneode as canoate, cumyl peroxyneoheptanoate, 1,1,3,3-tetramethylbutyl peroxyneodecanoate, 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potassium persulfate, and ammonium persulfat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vinyl chloride monomer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article nucleus and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may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may be a pure vinyl chloride monomer, and the pure vinyl chloride monomer is the main component, It may be a mixed monomer comprising a vinyl-based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pure vinyl chloride monomer.
  • the mixed monomer may contain 1 to 5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based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 the vinyl-based monomer may be an olefin compound such as ethylene or propylene; vinyl esters such as vinyl acetate and vinyl propionate; unsaturated nitriles such as acrylonitrile; vinyl alkyl ethers such as vinyl methyl ether and vinyl ethyl ether; 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itaconic acid, and maleic acid; And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ides of these fatty acids.
  • the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0.2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3 to 0.15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05 to 0.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vinyl chloride-based monomer.
  • the stability of the polymerization process is excellent.
  • the initiator is the particle nucleus, the unreacted vinyl chloride monomer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article nucleus, and the total of the vinyl chloride monomer added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 poly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0.03 to 0.60 parts by weight, specifically 0.05 to 0.40 parts by weight, more specifically 0.08 to 0.30 parts by weight may be included. When the above-mentioned range is satisfied, the stability of the polymerization process is excellent.
  • the bulk polymerization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particle nuclei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60 to 80° C. and a pressure of 9 to 14 kgf/cm 2 .
  • the particle nucleus may be formed from the vinyl chloride-based monomer.
  •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is 10% to 15%, the bulk polymerization can be terminated.
  • the bulk polymerization in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of 50 to 70 °C, and under a pressure of 7 to 12 kgf/cm2.
  • the particle nucleus may be grown to form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 the step of prepar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may be a step of mass-polymerizing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and then recovering the unreacted vinyl chloride-based monomer under vacuum conditions to prepare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 the recovery process can be applied under any conditions as long as it is normally performed, for example, at room temperature (20 ⁇ 5° C.) and vacuum conditions.
  • the bulk polymerization may be completed, and a reaction terminator may be added to complete the bulk polymerization.
  • the reaction terminator is a material that terminates the reaction by losing the function of the initiator, a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phenol compound, an amine compound, a nitrile compound, and a sulfur compound.
  • the phenolic compound is trisethylene glycol-bis-3-(3-t-butyl-4-hydroxy-5-methylphenyl)propionate, hydroquinone, p-methoxy phenol, t-butyl-4-hydroxyani sol, n-octadecyl-3-(4-hydroxy-3,5-di-t-butylphenyl)propionate, 2,5-di-t-butyl hydroquinone, 4,4'-butylidene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bis(3-methyl-6-t-butyl phenol), t-butyl catechol, 4,4-thiobis(6-t-butyl-m-cresol), and tocopherol.
  • the amine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N-diphenyl-p-phenylenediamine and 4,4-bis(dimethylbenzyl)diphenyl.
  • the nitrile compound may be 4-hydroxy-2,2,6,6-tetramethyl-piperidine-1-oxyl.
  • the sulfur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dodecyl mercaptan and 1,2-biphenyl-2-thiol.
  • additives such as antioxidants may be added as needed.
  • the antioxidant may be add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color of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white.
  •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ut into a sieve (diameter 20 cm, line thickness 224 ⁇ m, 45 mesh), and using a sieve vibrator (HAVER & BOECKER HAVER EML 200 DIGITAL PLUS, setting: Amplitude 0.5), The time (seconds) required until the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does not remain in the sieve was measured, and i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The shorter the required time, the better the flowability.
  • a preliminary sheet (thickness: 0.5 mm) did After cutting the preliminary sheet to a predetermined size, overlap a plurality of preliminary sheets so that the total weight becomes 45 g, put them in a 3 mm thick mold, and use a press to preheat at 185° C. for 2 minutes, for 3 minutes A sheet having a thickness of 3 mm was prepared by low-pressure heating and high-pressure cooling for 2 minutes.
  • the white index value of sheet 1 was measured using a colorimeter (NR-3000 manufactured by Nippon Densoku Co., Lt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The higher the value of the whiteness, the better the thermal stability.
  • Example 1 Example 2
  • Example 3 Example 4
  • Antistatic agent content (parts by weigh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PVC 0 about 0.005 0.025 0.3 0.5 0.55 PVCC flowability ⁇ 600 6 5 6 6 9
  • Sheet whiteness 64 64 64 64 64 62 HPMC 1: Hydroxypropyl methylcellulose having a methoxy substitution degree of 27.99 mol%, a hydroxypropyl group substitution degree of 7.95 mol%, and a viscosity of 0.181 pa s (MECELLOSE® FMC60150 by Lotte Fine Chemical)
  • VCM VinylChloride Monomer
  • PVC Polyvinyl Chloride
  • Polymer PVCC PolyVinylChloride Comple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isation Methods In General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입자핵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발명은 2020년 6월 17일에 출원된 한국 특허 출원 제10-2020-0073697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을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성, 열안정성, 색상 특성 및 투명성을 개선시킨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열가소성 수지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합성 수지이다.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중합방식에는 현탁 중합, 유화 중합 및 괴상 중합이 있다. 이 중 괴상 중합은 용매, 분산제 및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염화비닐계 단량체, 개시제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반응 첨가제만을 공급하고 중합한다. 괴상 중합으로 중합된 중합체는 염소화 PVC의 원료, 파이프, 샤시, 신발 깔창, 필름 등으로 가공되어 사용되며, 이중에서도 파이프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괴상 중합은 장치가 간단하고, 반응이 빠르며, 증류, 추출 등의 정제과정을 거치지 않으므로 수득률이 높고, 고순도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중합체를 그대로 취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괴상 중합은 중합 과정에서 발열이 강하여 온도 조절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괴상 중합은 염화비닐계 단량체 이외에 중합 열을 흡수해 제거해 줄 수 있는 물질이 없고, 중합의 진행에 따라 중합 물질의 점도도 증가하므로 전도 또는 대류에 의해 반응열 확산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따라 괴상 중합에 의해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경우, 괴상 중합 과정에서 발생하는 반응열 또는 예기치 못하게 발생하는 발열로 인해 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열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중합 중 열안정성 및/또는 최종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열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국 특허공개공보 제107056972호에서는 전중합 단계(예비 중합 단계)에서의 개시제 조성물의 종류를 특정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고,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6-0035439호에서는 괴상 중합 중 옥시카복실산류, 무기 인산염류 또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류를 첨가하는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으며,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17-0004703호에서는 내열성이 우수한 공단량체와 공중합하는 제조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방법만으로는 열안정성 개선 정도가 충분하지 않아 여전히 열안정성에 취약한 괴상 중합 방법의 단점을 극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괴상 중합으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반응 중 중합수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합이 완료된 이후에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흐름성을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경우 염소 원소가 중합체의 사슬에 위치하므로 중합체 사슬끼리 마찰 시 정전기가 발생한다. 이 때 정전기가 발생하면서 중합체 입자의 자유 부피가 커지게 되고, 부피 증가로 인해 제조된 중합체를 포장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포장된 중합체를 이송할 때도 시간이 많이 걸려 최종 제품의 생산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괴상 중합이 완료 후 실리콘 오일이나 비이온 유화제를 첨가하는 방법을 도입하였으나,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흐름성을 개선하기에는 비교적 많은 양의 첨가제가 필요하여 원재료 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고, 또 중합체의 흐름성 개선을 위해 필요한 양을 첨가하게 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열안정성과 가공 시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괴상 중합 방법으로 염화비닐계 중합체 또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다른 중합 방법과 동등 또는 그 이상의 수준으로 열안정성이 월등히 개선됨과 동시에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흐름성이 개선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기술의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특허문헌 1) CN107056972A
(특허문헌 2) KR2016-0035439A
(특허문헌 3) KR2017-0004703A
본 발명의 목적은 흐름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이 모두 우수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입자핵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은 염화비닐계 중합체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흐름성이 개선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이송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사슬 간 염소 원소로 인한 정전기를 방지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입자의 자유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포장 및 이송 등 유통 과정의 시간을 단축시켜 최종 제품의 생산성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후처리 공정 중 열에 의한 변형으로부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보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열안정성 및 투명성이 모두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흐름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어 가공성도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합체’는, 동일 혹은 상이한 종류이든지 간에, 단량체들을 중합함으로써 제조된 중합체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와 같이 해서 일반 용어 중합체는, 단지 1종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중합체를 지칭하는데 통상 이용되는 단독중합체란(homopolymer) 용어, 및 2종 이상의 단량체로부터 제조된 공중합체(copolymer)란 용어를 망라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화비닐계 중합체’는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중합하여 생성된 화합물을 포괄하여 나타내는 것으로 염화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유도된 중합체 사슬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복합체, 구체적으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에 첨가제, 예컨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흡착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 흡착은 반데르발스 힘에 의한 물리 흡착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1
또는 알킬기로 치환된 정도는 핵자기 공명 분석으로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도는 브룩스필드 점도계로 측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은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입자핵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미반응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에 의해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열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흐름성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정전기 방지제 및 열안정제로 사용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탁 중합 방법에서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중합 개시 전 또는 중합 초기에 투입되어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반응 혼합물 내 액적(droplet)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와줌으로써 중합 용매 중에서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 초기 입자의 분산성을 높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제조되는 중합체 입자, 특히 중합체 초기 입자의 크기 및 다공성(porosity)을 조절하여 조대한 중합체 입자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중합체의 점도, 가공성 등의 물성 저하를 예방한다. 반면, 괴상 중합에서는 현탁 중합과는 달리 분산제나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에 의한 액적에 의해 입자가 생성되는 것이 아니며, 반응 초기에 중합체 사슬이 적을 때에는 염소가 가지는 전자로 인해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중합체 사슬이 길어져 입자를 형성하게 될 때에는 교반력에 의해 입자 크기가 결정되므로, 액적 형성을 위한 목적으로 분산제와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와 같이, 현탁 중합에서 첨가되는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중합 용매 중에서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 초기 입자의 분산성을 높이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괴상 중합 이후에 수행되는 후처리 공정에서 가해지는 열로부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보호하고, 중합 용매가 없기 때문에 악화되는 중합체의 흐름성을 개선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므로 첨가 목적이 상이하다.
본 발명에서는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염화비닐계 중합체에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도록 알킬기로 치환되는 정도가 높고, 정전기 방지 역할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2
(L은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100임)로 치환되는 정도가 높은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알킬기 및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3
로 치환되는 정도가 높아지면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겔화되는 온도가 낮아질 수 있고, 이 경우, 미반응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한 열처리 공정에서 겔화가 급격하게 진행되어 덩어리를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내 치환기의 조성 및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함량을 적정량으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0.003 내지 0.5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0.005 내지 0.50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0.15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흐름성, 열안정성, 투명성 및 색상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소량으로 포함되면, 흐름성 개선 효과가 미비할 수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과량으로 포함되면,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고유한 성질인 높은 점도 및 흡착성(타물질에 흡착하려는 성질)로 인해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덩어리를 생성하는 현상(lump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인 크기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가 과도하게 생성되므로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흐름성, 열안정성 및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정상적인 크기를 갖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30 내지 40 메쉬, 구체적으로는 35 메쉬를 갖는 스크린 메쉬를 통과할 수 있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상술한 스크린 메쉬를 통과한 염화비닐계 중합체가 95 중량% 이상이면, 제조수율이 우수한 것이고, 90 중량% 미만이면, 제조수율이 매우 낮아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매우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5
이고, L은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는 섬유소계 셀룰로오스, 목질계 셀룰로오스 및 해조류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셀룰로오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4의 알킬기 또는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6
이고, L은 C1 내지 C4의 알킬렌기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R1 내지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2의 알킬기 또는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7
이고, L은 C1 내지 C3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8
로 치환된 정도가 3 내지 20 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7 내지 9 몰%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가 겔화되는 온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염화비닐계 중합체에 용이하게 흡착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알킬기로 치환된 정도가 15 내지 40 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5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7 내지 29 몰%일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가 겔화되는 온도가 현저하게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정전기 방지 역할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흐름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20 ℃에서 2 중량% 수용액의 점도가 0.010 내지 20.000 pa·s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2 내지 0.220 pa·s, 보다 바람직하게는 0.181 pa·s일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점도가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형성하기에 적절한 점도가 될 수 있으므로 염화비닐계 중합체 기재 내 분산성이 더욱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투명도 및 흐름성을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점도 범위를 가질 때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의 고유 점성 및 흡착성으로 인한 염화비닐계 중합체 입자의 거대화 현상 및 중합체가 덩어리를 형성하는 현상(lump 현상)을 더욱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열안정성 및 투명도와 같은 품질을 더욱 개선시키고 중합 반응기 내 스케일의 형성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고체 상의 셀룰로오스계 화합물로 투입되는 것일 수 있고 또는 수용매에 혼합된 수용액 상태로 투입될 수 있으나,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내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위하여 수용액 상태로 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수용액은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수용액 상태로 첨가할 때, 상기 함량으로 투입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에 보다 균일하게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최종 생산품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열안정성, 흐름성 및 투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미반응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제거하기 위하여 열처리를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조건은 70 내지 90 ℃에서 진공 조건, 구체적으로 -0.2 kgf/㎠ 내지 -0.8 kgf/㎠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를 수행하면,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수율이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다.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와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개시제의 존재 하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존재하는 개시제는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존재하는 개시제가 잔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개시제는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펜틸 퍼옥사이드, 디(3,5,5-트리스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 퍼옥시다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 디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t-부틸퍼옥시 네오헵타노에이트, t-아밀 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큐밀 퍼옥시네오헵타노에이트, 1,1,3,3-테트라메틸부틸 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포타슘 퍼설페이트, 및 암모늄 퍼설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와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염화비닐계 단량체는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순수 염화비닐 단량체일 수 있고, 상기 순수 염화비닐 단량체를 주체로 하고 상기 순수 염화비닐 단량체와 공중합이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혼합 단량체일 수 있다. 상기 혼합 단량체는 상기 염화비닐 단량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비닐계 단량체가 1 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 화합물; 초산비닐, 프로피온산 비닐 등의 비닐 에스테르류;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비닐메틸 에테르, 비닐에틸 에테르 등의 비닐알킬 에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 및 이들 지방산의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개시제는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2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3 내지 0.15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중합 시 공정의 안정성이 우수해진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개시제는, 상기 입자핵,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미반응된 염화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 투입된 염화비닐계 단량체의 총합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60 중량부, 구체적으로는 0.05 내지 0.40 중량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0.08 내지 0.3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면 중합 시 공정의 안정성이 우수해진다.
상기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괴상 중합은 60 내지 80 ℃의 온도, 9 내지 14 ㎏f/㎠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염화비닐계 단량체로부터 상기 입자핵을 형성할 수 있다. 중합 전환율이 10% 내지 15%일 때, 상기 괴상 중합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에서의 괴상 중합은 50 내지 70 ℃의 온도, 7 내지 12 ㎏f/㎠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입자핵을 성장시켜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괴상 중합한 후, 진공 조건 하에서 미반응된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회수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일 수 있다. 회수 공정은 통상적으로 수행되는 조건이라면 어떤 조건이라도 적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상온(20±5 ℃), 진공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는 중합 전환율이 50 내지 70 %에 도달하면, 상기 괴상 중합을 완료할 수 있고, 상기 괴상 중합을 완료시키기 위하여 반응 종결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반응종결제는 상기 개시제의 기능을 상실시킴으로써 반응을 종결시키는 물질로서, 페놀 화합물, 아민 화합물, 니트릴 화합물 및 황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페놀 화합물은 트리스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4-히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퀴논, p-메톡시 페놀, 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n-옥타데실-3-(4-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2,5-디-t-부틸 하이드로퀴논, 4,4’-부틸리덴 비스(3-메틸-6-t-부틸 페놀), t-부틸 카테콜, 4,4-티오비스(6-t-부틸-m-크레졸), 및 토코페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민 화합물은 N,N-디페닐-p-페닐렌디아민 및 4,4-비스(디메틸벤질)디페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니트릴 화합물은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일 수 있다. 상기 황 화합물은 도데실 머캅탄 및 1,2-비페닐-2-티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반응종결제 투입 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등의 첨가제를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항산화제는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색을 백색으로 만들 목적으로 첨가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상기 실시예는 본 기재를 예시하는 것일 뿐 본 기재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1 내지 9, 비교예 1 내지 3
고진공으로 탈기한 예비 중합 반응기(부피: 0.2 ㎥)에 염화비닐 단량체 140 ㎏ 및 개시제로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노에이트 85 g을 순차적으로 투입하였다. 그 후, 상기 예비 중합 반응기의 압력을 12 ㎏f/㎠까지 승압하였고, 괴상 중합하여 입자핵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중합전환율은 10 %이었다.
본 중합 반응기(부피: 0.5 ㎥)에 염화비닐 단량체 80 ㎏, 상기 혼합물 전량, 개시제로 1,1,3,3-테트라메틸 부틸퍼옥시 네오데카노에이트 200 g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후 교반하였다. 교반을 유지하면서, 상기 본 중합 반응기의 압력을 7.5 ㎏f/㎠로 유지하면서 200 분 동안 괴상 중합하여, 중합전환율이 60 %인 시점에 도달하였다.
이어서, 상기 본 중합 반응기에 산화방지제로 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1-옥실 15 g 및 트리에틸렌 글리콜 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100 g을 순차적으로 투입한 후, 교반이 유지된 상태에서 진공으로 미반응된 염화비닐 단량체를 회수하였다. 그 후, 교반을 유지하면서 상기 본 중합 반응기에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함량으로 정전기 방지제를 투입 또는 미투입하고, 80 ℃에서 열처리한 후, 염화비닐 중합체 복합체를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흐름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체(지름 20 ㎝, 선 굵기 224 ㎛, 45 메쉬)에 넣고, 체진동기(HAVER & BOECKER 사의 HAVER EML 200 DIGITAL PLUS, 설정: Amplitude 0.5)를 이용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가 체에 남아있지 않을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초)을 측정하고,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소요되는 시간이 짧을수록 흐름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열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100 중량부, 안정제로 모노, 디메틸 틴 머캅티드 복합체(Mono, Dimethyl tin mercaptide complex, 송원산업의 SONGSTABTM MT-800) 4 중량부, 가공조제(LG화학 社의 PA912) 1 중량부, 충격보강제(LG화학 社의 MB802) 6 중량부를 혼합하고, 롤밀(roll-mill)을 이용하여 185 ℃에서 3 분 동안 혼련한 후 예비 시트(두께: 0.5 ㎜)를 제조하였다. 상기 예비 시트를 일정 크기로 자른 뒤, 총 무게가 45 g이 되도록 복수 개의 예비 시트를 겹치게 하고, 3 ㎜ 두께의 틀에 넣어 프레스(press)를 이용하여 185 ℃에서 2 분 동안 예열, 3 분 동안 저압 가열, 2 분 동안 고압 냉각하여 두께가 3 ㎜인 시트를 제조하였다. 색차계(니폰 덴소쿠 社의 NR-3000)를 이용하여 시트 1의 백색도(White Index) 값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백색도의 값이 높을수록 열안정성이 우수한 것이다.
구분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정전기 방지제
(g)
투입시점 미투입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HPMC 1 0 6.6 33 396 660 726
PVC 100 중량부에 대한 정전기 방지제 함량(중량부) 0 약 0.005 0.025 0.3 0.5 0.55
PVCC 흐름성 < 600 6 5 6 6 9
시트 백색도 64 64 64 64 64 62
HPMC 1: 메톡시 치환도가 27.99 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치환도가 7.95 몰%이고, 점도가 0.181 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롯데정밀화학 社의 MECELLOSE® FMC60150)
VCM: 염화비닐 단량체(VinylChloride Monomer)
PVC: 염화비닐 중합체(PolyVinylChloride)
PVCC: 염화비닐 중합체 복합체(PolyVinylChloride Complex)
구분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비교예 2 비교예 3
정전기 방지제
(g)
투입시점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PVC
제조 후
HPMC 2 33 0 0 0 0 0
HPMC 3 0 33 0 0 0 0
HPMC 4 0 0 33 0 0 0
HPMC 5 0 0 0 33 0 0
SO 0 0 0 0 33 0
JP05 0 0 0 0 0 33
PVC 100 중량부에 대한 정전기 방지제 함량(중량부) 0.025 0.025 0.025 0.025 0.025 0.025
PVCC 흐름성 8 6 9 6 30 120
시트 백색도 64 64 64 64 64 60
HMPC 2: 메톡시 치환도가 23.6 몰%,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치환도가 8.4 몰%이고, 점도가 0.08~0.12 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롯데정밀화학 社의 MECELLOSE® PMC-10M)
HMPC 3: 메톡시 치환도가 28~30 몰%이고,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치환도가 7~12 몰%이고, 점도가 0.08~0.12 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Shin-Etsu 社의 60SH)
HMPC 4: 메톡시 치환도가 27~30 몰%이고,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치환도가 4~7.5 몰%이고, 점도가 0.08~0.012 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Shin-Etsu 社의 65SH)
HMPC 5: 메톡시 치환도가 19~24 몰%이고, 하이드록시프로필기의 치환도가 4~12 몰%이고, 점도가 0.2~0.3 pa·s인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Shin-Etsu 社의 90SH)
SO: 실리콘 오일(다우코닝 社의 다우코닝 200)
JP05: 분산제(JVP 社의 PVA 분산제)
PVC: 염화비닐 중합체(PolyVinylChloride)
PVCC: 염화비닐 중합체 복합체(PolyVinylChloride Complex)
상기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정전기 방지제로 HPMC 1, HPMC 2, HPMC 3, HPMC 4, HPMC 5을 이용한 실시예 1 내지 9의 염화비닐 중합체 복합체는 흐름성, 및 백색도가 모두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정전기 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정전기 방지제로 실리콘 오일을 포함하는 비교예 2, 정전기 방지제로 PVA 분산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3은 흐름성이 저하되었고, 비교예 3은 백색도도 저하되었다.

Claims (10)

  1.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입자핵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입자핵의 존재 하에, 염화비닐계 단량체를 괴상 중합하여 염화비닐계 중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을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100 중량부; 및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 0.003 내지 0.5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를 제조하는 단계 이후에, 열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20 ℃에서 2 중량% 수용액의 점도가 0.01 내지 20 pa·s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은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내지 R6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C1 내지 C10의 알킬기 또는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10
    이고, L은 C1 내지 C10의 알킬렌기이고, n은 1 내지 100이다.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셀룰로오스계 바이오매스는 섬유소계 셀룰로오스, 목질계 셀룰로오스 및 해조류계 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Figure PCTKR2021007591-appb-I000011
    로 치환된 정도는 3 내지 20 몰%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이 알킬기로 치환된 정도는 15 내지 40 몰%인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셀룰로오스 및 하이드록시부틸 메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은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는 상기 염화비닐계 중합체에 상기 셀룰로오스계 화합물이 흡착된 것인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PCT/KR2021/007591 2020-06-17 2021-06-17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21256867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827139.3A EP4047052A4 (en) 2020-06-17 2021-06-17 PROCESS FOR MAKING A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US17/780,517 US20220411621A1 (en) 2020-06-17 2021-06-17 Method of producing vinyl chloride-based polymer composite
CN202180006922.1A CN114761485B (zh) 2020-06-17 2021-06-17 氯乙烯类聚合物复合物的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697 2020-06-17
KR1020200073697A KR20210156036A (ko) 2020-06-17 2020-06-17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867A1 true WO2021256867A1 (ko) 2021-12-23

Family

ID=79176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591 WO2021256867A1 (ko) 2020-06-17 2021-06-17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411621A1 (ko)
EP (1) EP4047052A4 (ko)
KR (1) KR20210156036A (ko)
CN (1) CN114761485B (ko)
WO (1) WO2021256867A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7289A (en) * 1977-05-06 1978-11-30 Toyo Soda Mfg Co Ltd Bulk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JPS6047006A (ja) * 1983-08-24 1985-03-14 Toyo Soda Mfg Co Ltd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法
EP0191875A1 (en) * 1985-02-16 1986-08-27 Tosoh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olyvinyl chloride type polymer
KR900004834A (ko) * 1988-09-23 1990-04-13 허신구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20160035439A (ko)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703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CN107056972A (zh) 2017-05-04 2017-08-18 宜宾天原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本体聚氯乙烯生产工艺方法
KR20190008186A (ko) * 2016-03-08 2019-01-23 옥시 비닐스, 엘.피.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37198A (en) * 1973-12-26 1978-08-22 Gilbert Witschard Bulk polymerization of vinyl halide polymers and copolymers incorporating stabilizers therefor
US4145499A (en) * 1977-05-06 1979-03-20 Toyo Soda Manufacturing Co., Ltd. Process for polymerizing vinyl chloride
JPH09263601A (ja) * 1996-03-28 1997-10-07 Tosoh Corp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7289A (en) * 1977-05-06 1978-11-30 Toyo Soda Mfg Co Ltd Bulk polymerization of vinyl chloride
JPS6047006A (ja) * 1983-08-24 1985-03-14 Toyo Soda Mfg Co Ltd 塩化ビニル系重合体の製造法
EP0191875A1 (en) * 1985-02-16 1986-08-27 Tosoh Corporation Process for preparation of polyvinyl chloride type polymer
KR900004834A (ko) * 1988-09-23 1990-04-13 허신구 분말성형용 염화비닐계 수지조성물
KR20160035439A (ko) 2014-09-23 2016-03-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04703A (ko) 2015-07-03 2017-01-11 주식회사 엘지화학 염화비닐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KR20190008186A (ko) * 2016-03-08 2019-01-23 옥시 비닐스, 엘.피. 염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입자의 제조방법
CN107056972A (zh) 2017-05-04 2017-08-18 宜宾天原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本体聚氯乙烯生产工艺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4047052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47052A1 (en) 2022-08-24
US20220411621A1 (en) 2022-12-29
EP4047052A4 (en) 2022-12-21
KR20210156036A (ko) 2021-12-24
CN114761485A (zh) 2022-07-15
CN114761485B (zh) 2024-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08654A1 (ko) 입자 균일성과 열 안정성이 뛰어난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방법
KR20180034223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KR101200661B1 (ko) 분산성이 향상된 염화비닐계 수지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5080367A1 (ko) 염화비닐계 수지의 제조 방법
WO2010143893A2 (ko) 저점도 특성이 우수한 발포용 염화비닐계 수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6047955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EP2497787B1 (en) Vinyl chloride-based polymer
WO2018056610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조성물
WO2021256867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1133962B1 (ko) 현탁 중합에 의한 염화 비닐 중합체의 제조 방법
WO2018044017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장치
WO201718859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CN115181204A (zh) 一种氯化乙烯基聚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8056611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염화비닐계 중합체 조성물
WO202206578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805660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KR20210136868A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조성물
WO201604795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8056668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5041443A1 (ko)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 조성물 및 염화비닐계 나노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22005118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WO2023277530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염화비닐계 중합체
WO2022014989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7061829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1225394A1 (ko)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의 제조방법,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중합체 복합체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7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82713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520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