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251759A1 -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251759A1
WO2021251759A1 PCT/KR2021/007230 KR2021007230W WO2021251759A1 WO 2021251759 A1 WO2021251759 A1 WO 2021251759A1 KR 2021007230 W KR2021007230 W KR 2021007230W WO 2021251759 A1 WO2021251759 A1 WO 20212517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
shape
body part
removable retainer
overhea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0723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석준
전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98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079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06988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50802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Priority to US18/009,33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240805A1/en
Publication of WO20212517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2517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3/00Milling particular work; Special milling operations; Machines therefor
    • B23C3/12Trimming or finishing edges, e.g. deburring welded co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8Removing material by boring or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2201/00Material properties
    • A61C2201/007Material properties using shape memory ef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02Orthodontic computer assist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movable retainer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movable retainer having a body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a retainer is a type of tooth alignment maintenance device used to remove the orthodontic device after orthodontic treatment is finished and to maintain the tooth alignment.
  • Such a retainer can be largely divided into an adhesive retainer attached to the teeth and a removable retainer that can be arbitrarily detached like a mouthpiece.
  • the current removable retainer is manufactured by bending a stainless steel wire with a diameter of 0.8 to 1.0 mm on a plaster model of a tooth that has been treated. All teeth must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ooth, and the wire part is manufactured by turning the rear surface of the most rear tooth and changing the direction forward and attaching it to the roof of the mouth. In order to give the wire part elasticity, a 'U'-shaped loop should be formed on both canine parts. When the wire part is manufactured, the acrylic resin part covering the roof of the mouth needs to be formed. After fixing the wire part on the plaster model, powdered polymer and liquid monomer are alternately sprayed and mixed on the roof part.
  • the removable retainer manufactured in this way cannot be in perfect contact with the tooth outer surface, the wire part is deformed dur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deformation due to careless use and storag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 material may occur.
  • the orthodontic device of the prior literature still has a problem in that perfect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teeth is impossible, and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s it is manufactur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brackets and wires.
  •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solution to provide a removable retainer that is in tight contact with a plurality of teeth constituting a tooth arrangement.
  •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solution to provide a removable retainer having a body portion formed of a single integral configuration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a technical solution to provide a removable retainer that can be damaged.
  • the present invention as a technical solution,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that is in tight contact with a plurality of tee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including a body formed in one integral configuration with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having a stronger durabilit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capable of preventing a defect in the shape of the body during processing of a base material for manufacturing the body.
  • the removable re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ortion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s one integral configuration, the front surface of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tooth surface of the mouth of each tooth along the tooth arrangement; and a fixing part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art and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ner periphery shape of the oral cavity to fix the body part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ral cavity outer tooth surface; wherein the body part is interdental to be inserted between teeth a curved protrusion that is formed to protrude toward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tooth surface of a plurality of teeth forming the interdental space;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whose front surfaces are attached to the tooth surfaces of each tooth outside the interdental space, wherein the curved protrusions and the front surfaces of the support parts are formed by reflecting the vertical curvature and inclination of the corresponding tooth surfaces.
  • the bent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is formed thicker than the support portion.
  • the bent protrusio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protruding end is formed to be the thickes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decreases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toward both ends.
  • the curved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protruding ends are formed to be round.
  • the bent protrus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formed to change from the bottom to the top corresponding to the interdental shape to be inserted.
  • the body portion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tooth arrangement, after laser cutting a plate material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ont and back are cut and formed.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rved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outside the interdental space, the tooth surface of a plurality of teeth forming a tooth arrangement
  •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comprising: a body part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part; obtaining dimensional scanning data; a data processing step of generating a first overhead line extending along a tooth surface and interdental space of each tooth on the scanning data, and a second overhead line spaced rearwardly from the first overhead line; Laser cutting to form a body part forming part having a basic shape of the body part on the base material by laser cutting a flat base material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based on data of a cutting line including data of the first and second cutting lines step; a shape processing step of cutting and processing the body part forming part so that the tooth surface shape and the interdental shape of each tooth are reflected
  •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is laser cut so that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material, and after the shape machining step, the body for separating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from the base material, the cutting processing is complet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ub-separation step.
  • the first overhead line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are generated so that both e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the bent protrusion in the body par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before and after the support part is thicker than that of the support part, and in the data processing step, the first overhead line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have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rotrusion in the support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chined to be spaced apart further than the corresponding part.
  • the bent protrusion is formed so that the protruding end is rounded, and in the data processing step, the first and second overhead lines are processed so that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is rounded. characterized.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removable retainer includes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base material formed with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and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base material on which the body part forming part is formed.
  • the fixing part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periphery of the oral cavity of the tooth arrangement, and is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 the fixing part coupling step, both ends of the body part are injection molded of the fixing part After being put into the mold for , synthetic resin is injected into the mold, so th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are embedded in the fixing part and fixed.
  • the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 the removable retainer has a body portion in which the front side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tooth along a tooth arrangement,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ide of the mouth of the tooth arrangement, It includes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body portio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tooth surface of the oral cavity. Accordingly, the removable retainer is easily detachable from the tooth arrangement.
  • the body portion is formed to reflect the shape of the tooth surface and the interdental shape.
  • the body portion includes a curved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interdental space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s of each tooth outside the interdental space, and the curved protrusion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art are curved and inclined of the corresponding tooth surfaces. is reflected and formed.
  • the body portion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tooth and stably, so that the problem of foreign matter being caught between the body portion and the tooth can be prevented, and the body portion is mor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so that the tooth arrangement is evenly and stably be able to support
  • the tooth arrangemen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shape restoring force of the body par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can And, even if the tooth arrangement is misaligned, it can be stably returned to the initial correct position.
  • the bent protrusion of the bent shape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the occurrence of breakage of the bent protrus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is formed to be round. Accordingly, damage to the protruding 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body portion can have better durability.
  • the curved protrusion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or wider upward in correspondence to the corresponding interdental shape, so that it can be stably inserted without interdental interference, and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dental space. .
  • the body part of the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tooth arrangement, after the base material is laser cut,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each tooth and the interdental shape are taken into account through additional processing. processed and formed. Accordingly, the front and back surfaces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shape of the tooth surface for each tooth, the curvature and the incl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interdental shape are reflected.
  • coupling portions to which the fixing portions are coupl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 the coupl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ther parts of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be firmly coupled. can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have an effect of being more firmly fixed.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pect the following effects.
  • the body portion of the removable retainer that tightly adheres to a plurality of tee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may be manufactured as one integrated configuration using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ccordingly,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movable retainer having a structure that tightly adheres to a plurality of tee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can be greatly reduced.
  • the body of the removable retainer is manufactured by laser cutting and cutting processing of a flat base material based on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ooth arrangement, the time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removable retainer can be greatly reduced. Accordingly, deformation of the tooth arrangement is minimized during the manufacturing period of the removable retainer, and the manufactured removable retainer and the teeth are stably matched, so that the removable retainer can be easily mount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greatly improve the patient's treatment satisfaction.
  • a laser cutting line is generat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tooth arrangement, and then laser cut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line to form the body part forming part on the base material. do. Thereafter, the tooth surface shape and the interdental shape are reflected in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through additional processing.
  • the body part reflecting the vertical curvature and incl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ooth surface shape for each tooth and the interdental shape, and as the manufactured body part can closely adhere to each tooth, the problem of foreign matter getting caught between the body part and the teeth can be prevented. And, the manufactured body portion is more stably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so that it is possible to evenly and stably support the tooth arrangement.
  • the body part forming part when forming the body part forming part by laser cutting the base material, the body part forming part is laser cut so that both end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material, and is separated from the base material after the shape processing step. Accordingly, during laser cutting, deformation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due to external force or heat during shape processing can be prevented, and consequently, shape defects of the body part can be prevented.
  • the body of the removable retainer includes a curved protrus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a support portion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outside the interdental space
  • laser cutting A first overhead line and a second overhead line defining the shape are created.
  • the first overhead line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are machined so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rotrusion is spaced apart further th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 the bent protrusion having a bent shape to be inserted between the teeth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support portion, an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removable retainer in which the occurrence of breakage of the bent protrusion is effectively prevented.
  •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is processed to be round in the first and second processing lines.
  •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can be formed to be rounded, damage to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a body portion having better durability can be manufactured.
  • coupling portions to which the fixing portions are coupled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 the coupling part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other parts of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be firmly coupled. can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and the fixing portion may have an effect of being more firmly fixed.
  • FIG.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retainer is mounted on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lan view of a body portion of a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different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a ben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front view of a ben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dditional processing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processing operation performed in the data process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material after the laser cutting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movable retainer is mounted on a too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 is a plan view of a body portion of a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first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different tee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4 is a plan view of a ben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5 is a front view of a bent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6 is a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7 is a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coupling part of the body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removable retainer 1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able to the maxillary tooth arrangement, or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able to the mandibular tooth arrangement.
  • the removable retainer 1 may include a body portion 100 and a fixing portion 200 to which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100 are coupled.
  • the fixing part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al shape of the tooth arrangement to which the body part 100 is to be closely adhered, and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oral cavity of the tooth arrangement.
  • the fixing part 200 is in a state in which the body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tooth surface of the oral cavity of the tooth arrangement, in contact with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oral cavity of the tooth arrangement, and the body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It can have a function of fixing it so that it can be maintained.
  • the fixing part 200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fiber material, for example, may be formed of an acrylic material.
  • the fixing part 2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alate.
  • the structure of the fixing part 2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applied to the conventional removable retainer.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to closely contact each tooth along the tooth arrangement formed by the plurality of teeth.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 the tooth arrangement can be stably maintained by the body portion 100 , and even if the tooth arrangement is distorted while the body portion 100 is in close contact, the tooth arrangement is performed by the shape restoring force of the body portion 100 . It is possible to return to this initial even tooth alignment state.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eeth as a whole, and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bow shape when viewed from above. And,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vertical height and front and rear thickness.
  • the body part 100 has a front surface 101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a rear surface 102 opposite to the front surface 101, an upper surface 103 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front surface 101 and the rear surface 102, and a front surface 101 ) and the lower surface 104 connecting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102 may be formed to have.
  • the body part 100 may include one or more support parts 110 , one or more bent protrusions 120 , a bent part 130 , and a coupling part 140 .
  • the support 110 may be defined as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each tooth outside the interdental space.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defined as a portion inserted into an interdental (pronunciation) formed between adjacent teeth.
  • the bent portion 130 may be defined as a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the alignment portion including the support portion 110 and the bent protrusion 120 as a set, and formed to surround the outermost tooth of the tooth arrangement.
  • the bent portion 130 may be formed by being bent in an approximately “U” shape.
  • the coupling part 140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bent part 130 to form both ends of the body part 100 , and may be defined as a part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0 .
  •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by reflecting the shape of the tooth surface, the interdental shape, etc. for each tooth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each tooth can be improved.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by reflecting the interdental shape of the tooth arrangement, the tooth surface curvature for each tooth, the tooth surface inclination, and the like.
  • the tooth surface curvature may include a lateral tooth surface curvature and a vertical tooth surface curvature.
  • the tooth surface inclina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tooth surface inclination and a vertical tooth surface inclination.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teeth is increased, so that a more stable adhesion is possible, and the body part 100 can stably support the teeth.
  • each too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may have various tooth surface shapes, and may have curved, inclined, or vertical tooth surface shapes.
  • the front surface 101 of the body part 110 may be curved, inclined, or vertical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tooth surface for each tooth. That is,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bent protrusion 12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bent part 130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may be curved, inclined, or vertically formed.
  • the front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bent protrusion 120 may have different cross-sectional shapes.
  • each part may have an independent cross-sectional shape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That is, the body part 100 may have an independent cross-sectional shape in which each part is continuous along the extension direction.
  • the rear surface 102 of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ront surface,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101 .
  • the upper surface 103 and the lower surface 104 of the body portion 100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may be formed parallel to each other.
  •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upport part 110 and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horizontal planar shape as a whole.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in a planar shape in which at leas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of the alignment part are horizontal.
  •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such that at least the alignment portion supporting the tooth arrangement has a uniform vertical height as a whole.
  • the front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art 100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the front to the rear.
  •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may also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ly from the front to the rear.
  •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horizontally.
  • the rear surface of the second part of the body part 100 may also be formed vertically.
  •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part of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horizontally.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smoothly as a whole so that there are no sharp edges and valleys when viewed from above.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so that an end protruding from the front is rounded.
  • the ben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ed end recessed from the rear surface.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er front and rear than the support 110 .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1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thick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2 of the support 110 .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such that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gradually decrease to correspond to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2 of the support part 110 as it approaches the support part 110 .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1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bent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be 10% to 30% thick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2 of the support 110 , preferably 20 % level can be formed thicker.
  • the body part 100 may be formed in various thicknesses according to specifications.
  • the body part 100 may be provided in 0.3mm specifications, 0.43mm specifications, 0.5mm specifications, and the like.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2 of the support part 110 may be formed to be 0.3 mm.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1 of the protruding end of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be 0.36 mm.
  • the occurrence of breakage of the bent protrusion 120 may be more effectively prevented, and deformation of the body portion 100 may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change in width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5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interdental space.
  • the interdental formed in the maxillary tooth arrangement has a characteristic that the width increases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formed to become wider from the bottom to the top. This can be seen as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curved protrusion 120 is formed by reflecting the inclination and curvatur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dental space.
  • the curved protrusion 120 can be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between the teeth, and can be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dental space.
  • the coupling unit 140 may be fixed to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unit 200 coupled by a coupling structure.
  • the coupling part 140 and the fixing part 200 may be coupled by a hook coupling structure, or may be coupled by a protrusion and a groove coupling structure.
  •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0 by an adhesive.
  • the coupling part 140 is positioned inside the fixing part 200 when the fixing part 200 is molded, so that it is embedded in the fixing part 200 and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0 . state may be
  •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to enable a firm coupling with the fixing part 200 .
  • the coupling part 140 may extend from an end of the bent part 130 to a predetermined length.
  • the extended end portion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greater thickness or width than other portions.
  • the coupling part 14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with an end having a thickness or a width wider than that of other parts,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hole 145 is formed inside the edge.
  •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having a thickness or a width wider than that of other parts on the outside.
  • the fixing part 200 when the fixing part 200 is molded, the molding material of the fixing part 200 is filled in the hole 145 and hardened, thereby constraining the coupling part 140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ore firmly fix the coupling part 140 and the fixing part 200 .
  •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formed to have a protrusion 146 having an end portion extending in a direction crossing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end portion of the bent portion 140 . have.
  •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applied to various structures capable of more rigid fixing with the fixing part 200 , such as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being formed in a ring shape.
  • the body part 100 may be manufactured by further processing after the shape memory alloy material is laser cut.
  • the body part 100 may be manufactured by heat-treating the shape memory alloy material after laser cutting.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00 may have a higher hardness, and the shape may be stabilized.
  • the body portion 100 may be manufactured by polishing the surface.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00 may be formed to have a smoother surface, and a sharp portion may be removed to form a safe structure as a whole.
  • the manufacture of the removable retainer 1 may be completed.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dditional processing step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removable retai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 and 12 are views showing a processing operation performed in the data processing ste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base material after the laser cutting step is per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method of manufacturing a removable retainer includes a data acquisition step of acquiring the scanning data of a tooth arrangement, a data processing step of processing the scanning data, a data conversion step of converting the corrected data into data for laser processing, a base material
  • a laser cutting step of laser cutting the an additional processing step of further processing the laser-cut base material, a body part separation step of separating the body part from the additionally processed base material, and a fixing part coupling step of combining the body part and the fixing part.
  • 3D scanning data of a tooth arrangement may be acquired using a 3D scanning device.
  • the scanning data means photographing data obtained by photographing the tooth arrangement of the maxilla or the mandible to which the body part 100 is to be closely attached using a 3D camera.
  • the scanning data may include all of a tooth arrangement, an interdental shape formed in the tooth arrangement, tooth surface curvature and tooth surface inclination for each tooth.
  • the scanning data may be a file corresponding to the stl file format.
  • a data processing step of generating a cutting line defining a laser cutting shape for manufacturing the body part 100 based on the scanning data may be performed.
  • the data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n overhead line generation step and an overhead line correction step.
  • a position of a virtual body may be set on the scanning data, and a position of a reference plane on which the virtual body is located may be set on the scanning data.
  • the reference plane may be set to cross a plurality of tee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and may be set horizontally.
  • a tangent line between the outer tooth surface of the oral cavity and the reference surface of the tooth arrangement may be extracted, and a processing line for defining a laser cutting shape may be generated on the reference surface based on this.
  • the overhead line may include a first overhead line L1 in contact with the tooth surface of the tooth arrangement and a second overhead line L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verhead line L1.
  • the first overhead line L1 may be generated such that a central portion extends along the tooth surfaces and interdental surfaces of each tooth in order to define the cutting shape of the alignment part, and the interdental shape and the tooth surface shape of the tooth arrangement on the reference plane are reflected and generated.
  • first overhead line L1 may be generated so that both sides of the center extend in a bent shape to define the cutting shape of the bent portion 130 .
  • the first overhead line L1 may be generated by exten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hape required for both ends in order to define the cutting shape of the coupling part 140 .
  • a second overhead line L2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verhead line L1 by a predetermined interval may be generated.
  •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overhead line L1 .
  •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verhead line L1 on the reference plane, and may be spaced apart rearward to form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body part 100 .
  • An approximate thickness of the body part 100 may be set b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
  • the shape of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may be set by the shape of the end of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
  • the first overhead line L1 is the cutting shape of the bent portion 130 .
  • the end may be created in a semicircular shape.
  • an end of the second overhead line L2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first overhead line L1 may be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ymmetrical to a semicircular shape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overhead line L1 .
  • the end shape of the coupling part 140 can be manufactured in a circular shape.
  • both ends of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may be generated while being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additional overhead lines may be further crea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shape of the body part 100 .
  •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rotrusion 120 in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formed by processing the protruding end to be rounded. That is, the bent ends of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processed not to be sharp.
  •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processed so th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bent protrusion 120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urther than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upport portion 110 .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1 of the curved protrusion 120 may be thick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T2 of the support part 110 .
  • the first overhead line L1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L2 may be genera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urth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body part 100 to be manufactured. Therefore, even if the thickness loss of the base material by laser cutting and additional processing occurs, the body portion 100 can be manufactured to meet the required specifications.
  • processing line data including data of the generated processing lines may be converted into data for laser processing.
  • the overhead line data may be stored as two-dimensional data.
  • the processing line data can be converted into data for laser processing.
  • the generated data for laser processing may be a two-dimensional CAD file in which the processing line data is reflected. [S300, data conversion step]
  • the data for laser processing may be input to a laser cutter for laser processing.
  • the laser cutter may operate to laser cut the input base material 2 . 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laser cutter laser cuts the base material 2 based on the processing data.
  • the base material 2 may be provided in a flat plate shape made of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That is, the base material 2 may be a shape memory alloy plate. As an example, the base material 2 may be a Nitinol thin plate.
  • the laser cutter may be provided with a jig on which the base material 2 is seated and fixed. And, the base material 2 may be fixed by being seated on the jig.
  • the laser cutter may be given a set value before laser cutting.
  • the operator can set the setting values such as processing speed 200mm/s, processing acceleration 3000mm/s, pulse type pulse power 300w, pulse frequency 600hz, pulse time 400us, argon gas pressure 3.0mpa, etc.
  • the operator can operate the laser cutter.
  • the cutting of the base material 2 is made along the processing line by the laser cutter, and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having the basic shape of the body part 100 in the base material 2 is It may be formed by cutting.
  • both ends of the first overhead line and the second overhead line are generat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are not separated from the base material 2 but may be integrally connected.
  • both ends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are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base material 2 , and parts other than both ends are physically formed with the base material 2 by laser cutting. may be formed in a separate state.
  • connection parts 105 ′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ase material 2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As the connecting part 105' is formed,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is not deformed by heat generated during laser cutting. And, the distortion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due to a temperature change when the base material 2 is cooled after laser cutting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base material 2, and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can be stably manufactured in a required shape. do.
  • connection part 105' As the connection part 105' is formed, additional processing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having a thin and small size can be easily performed. [S400, laser cutting step]
  • an additional processing step of further processing the base material 2 on which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is formed may be performed.
  • mechanical processing or chemical processing may be performed so that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has the final shape of the body part 100 .
  • the additional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 heat treatment step of heat-treating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and a shape processing step reflecting the tooth surface shape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have.
  • the additional processing step may include a polishing step of grinding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on which the shape processing step is completed.
  • the heat treatment step, shape processing step, and polishing step are not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 work order is listed,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according to work efficiency.
  • a polish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shape processing step, and a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polishing step is performed.
  • a heat treatment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shape processing step, and a polishing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 the shape process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heat treatment step, and the polishing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hape processing step as an example to be described in detail.
  • the base material 2 on which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is formed may be put into the heat treatment device 3 to be heat treated.
  • a method of heat-treating a plate material of a shape memory alloy is variously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have a higher hardness, and a shape may be stabilized. As a result, the body part 100 formed by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have a higher hardness, and the shape may be stabilized. [S510, heat treatment step]
  • the shape processing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may be performed.
  • the shap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various tools and devices capable of cutting the surface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the shape processing may be performed by a cone-shaped bur (bur, 3).
  •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that forms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using the burr The front can be machined.
  •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be processed according to the tooth surface shape and the interdental shape for each tooth based on the scanning data.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rotrusion 12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100 ′ may be processed to become narrower or wider from the lower side to the upper side in consideration of the corresponding interdental shape.
  •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whose tooth surface is inclined upward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be processed in a shape that is inclined upward in the forward direction.
  •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whose tooth surface is inclined downwardly in the front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be processed in a shape that is inclined downwardly in the front.
  • a portion corresponding to a tooth having a curved tooth surface from the front of the body portion forming unit 100 ′ may be processed into a curved shape.
  •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100 ' forming the rea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t least a portion excluding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40 is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100') It can be machined into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ront machining shape of
  • the back surface processing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may be performed after turning over the base material 2 .
  • the front and rear thicknesses of the support part 110 , the curved protrusion 120 , and the bent part 130 in contact with the teeth may be formed to have a constant thickness vertically. Accordingly, the body portion 100 can provide a uniform and stable tooth support. [S520, shape processing step]
  • a polishing step of polishing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may be performed.
  • abrasive processing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100 ′ may be performed by various polishing tools and devices capable of polishing th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ortion 100 ′.
  • a method of grinding a plate material of a shape memory alloy is variously disclosed in the prior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It may be formed to have a smoother surface than the body portion 100 by the polishing process, and a sharp part may be removed to form a safe structure as a whole.
  • a flash may be formed on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by melting the base material.
  • the iron thorn may be formed in the processing portion during the shape processing.
  • Flash, iron thorns, and corners are processed by the abrasive process, so that the surface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can be formed more smoothly and sharp parts can be removed.
  • grinding step
  •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is separated from the base material 2 , and the body part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final shape.
  • the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100 may be completed.
  • the separated both ends are processed into a soft shape that is not square through abrasive processing, etc., and then the manufacturing of the body part 100 may be completed.
  • a fixing part coupling step of coupling the coupling part 140 of the body part 100 to the fixing part 200 may be performed.
  • the fixing part 200 may be separately injection-molded and manufactured, and then combined with the manufactured body part 100 .
  • the manufactured body part 100 is put into an injection molding process by the fixing part 200 , and the body part 100 is combined with the fixing part 200 at the same time as the fixing part 200 is manufactured. you might as well make it
  • the fixing part 2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of an acrylic material.
  • the fixing part 200 may be manufactured by injecting an acrylic resin into a mold in which a mold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xing part 200 is formed and then curing.
  • the body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may be coupled.
  • the body part 100 may be firmly fixed to the fixing part 200 by the shape of the end of the coupling part 140 .
  • the body portion 100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 arrangement is formed by reflecting the tooth surface shape and the interdental shape.
  • the body part 100 is in close contact with each tooth and stably, so that the problem of foreign matter being caught between the body part 100 and the teeth can be prevented, and the body part 100 can be attached to the teeth. It can be securely attached.
  • the support unit 110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front and rear thickness and vertical height, it is possible to uniformly and stably support each tooth constituting the tooth arrangement. Accordingly, the effect of correcting tooth alignment can be maximized.
  • bent protrusion 120 having a bent shape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greater than the front and rear thickness of the support part 110 , the occurrence of breakage of the bent protrus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the protruding end of the curved protrusion 120 is formed to be rounded, damage to the protruding en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the body portion 100 can have better durability.
  • the curved protrusion 120 is formed to become narrower or wider toward the upper side in response to the corresponding interdental shape, so that it can be stably inserted without interdental interference, and to be closely adhered to the inner surfaces of the teeth forming the interdental space. be able to
  • the coupling part 140 is formed in a shape that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fixing part 200 by later cutting, the body part 100 and the fixing part 200 can be firmly coupled to each other. .
  •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as one integral configuration, so that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retainer 1 can be reduced.
  • the period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retainer can be greatly reduced.
  • both ends of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are cut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base material 2 . Accordingly, during laser cutting, deformation of the sawing body part forming part 100 ′ due to external force or heat during an additional processing step can be prevented, and a shape defect of the body part 100 can be prevented.
  • a laser cutting line is generat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scanning data of the tooth arrangement, and then laser cutt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ocessing line to define the body part forming part 100' ) to form Thereafter, the front and back surfaces of the body portion forming part 100 ′ are processed in consideration of the tooth surface shape for each tooth and the interdental shape through a separate additional processing.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body portion 100 in which the vertical bending and inclin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tooth surface shape for each tooth and the interdental shape on the front and back surfaces are reflec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가철식 리테이너는,형상 기억 하그 소재로 형성되며,전면이 각 치아의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와 결합되며,상기 몸체부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며,상기 몸체부는,치간에 삽입되도록 치간을 향 하여 돌출 형성되며,치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치아의 내측 치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굴곡 돌출부; 및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테이너(Retainer)는 치아 교정 치료가 끝난 후 교정장치를 제거하고 치아 배열의 유지를 위해 사용되는 일종의 치아 배열 유지장치이다.
이러한 리테이너는 크게 치아에 부착하는 접착식 리테이너와, 마우스 피스처럼 임의로 탈착이 가능한 가철식 리테이너로 나뉠 수 있다.
현재의 가철식 리테이너는 치료가 끝난 치열의 석고모형상에서 직경 0.8~1.0 mm 의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를 사람이 구부려 제작한다. 모든 치아의 외측면에 밀착시켜야 하며 가장 후방 치아의 후방면을 돌아 앞으로 방향을 바꾸어 입천장에도 밀착시켜 와이어부를 제작한다. 와이어부의 탄성을 부여하기 위해 양측 송곳니 부분에 'U' 모양의 루프(loop)를 형성해야 한다. 와이어부가 제작되면 입천장을 덮는 아크릴릭 레진 부위를 형성해야 하는데, 석고모형에 와이어부를 고정시킨 후 입천장 부분에 가루로 된 폴리머와 액상의 모노머를 번갈아 뿌려가며 혼합되도록 하여 제작한다.
이렇게 제작된 가철식 리테이너는 치아 외면과 완벽한 접촉이 불가능하고, 착탈을 하는 동안 와이어부의 변형이 생기며, 와이어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사용과 보관상의 부주의로 인한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는 스테인레스 스틸 와이어가 적용된 가철식 리테이너의 변형 문제를 방지하고 교정 효과 개선을 위해서 형상기억합금을 적용한 가철식 리테이너가 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선행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5520호에는 형상기억합금 소재의 와이어를 적용한 치아교정장치가 개시된다.
하지만, 선행문헌의 치아교정장치는 여전히 치아 외면과 완벽한 접촉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복수의 브라켓과 와이어를 결합시켜 제조함에 따라 제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와 빈틈없이 밀착되는 가철식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가지는 가철식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파손이 방지될 수 있는 가철식 리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와 빈틈없이 밀착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보다 견고한 내구성을 가지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몸체부의 제조를 위한 모재의 가공 시 몸체부의 형상 불량이 방지될 수 있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철식 리테이너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되며, 치아 배열을 따라 전면이 각 치아의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과 결합되며,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치간에 삽입되도록 치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치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치아의 내측 치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굴곡 돌출부; 및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전면이 말착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 돌출부와 지지부의 전면은 대응하는 치면의 상하 방향 굴곡 및 경사도가 반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의 전후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며, 양단으로 갈수록 전후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도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의 전면과 배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삽입되는 치간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판재를 레이저 컷팅한 후 전면과 배면이 절삭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은, 치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굴곡 돌출부와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과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를 치아 배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상에서 각 치아의 치면 및 치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공선 및, 상기 제1 가공선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2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제1 가공선 및 제2 가공선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부를 형성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 상기 몸체부 형성부에 각 치아의 치면 형상 및 치간 형상이 반영되도록, 상기 몸체부 형성부를 절삭 가공하는 형상 가공 단계; 제조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컷팅 단계에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는 양단이 상기 모재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레이저 컷팅되며, 상기 형상 가공 단계 후, 절삭 가공이 완료된 몸체부 형성부를 모재로부터 분리하는 몸체부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부분 보다 더 멀리 이격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은 상기 몸체부 형성부가 형성된 모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몸체부 형성부가 형성된 모재를 연마 가공하는 연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고정부 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상기 고정부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를 상기 금형에 주입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단이 고정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는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는 치아 배열을 따라 전면이 각 치아에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과 결합되며,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를 치아 배열에 용이하게 착탈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는 치면 형태, 치간 형태를 반영하여 형성된다. 특히, 상기 몸체부는 치간에 삽입되도록 치간을 향하여 돌출되는 굴곡 돌출부와,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 돌출부와 지지부의 전면은 대응하는 치면의 굴곡, 경사도가 반영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가 각각의 치아와 빈틈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와 치아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가 치아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치아 배열을 고르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둘째, 상기 몸체부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됨에 따라, 제조 비용 및 제조 시간이 감축될 수 있으며, 소재의 특성에 의한 상기 몸체부의 형상 복원력에 의하여 치아 배열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치아 배열이 틀어지더라도 초기의 바른 위치로 안정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셋째, 절곡된 형상의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의 전후 두께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굴곡 돌출부의 파단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된 단부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몸체부가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넷째, 상기 굴곡 돌출부가 대응하는 치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치간에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삽입 가능하며, 치간을 형성하는 치아들의 내측면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모재가 레이저 컷팅된 후, 별도의 추가 가공을 통해서 전면과 배면이 치아별 치면 형태, 치간 형태를 고려하여 가공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전면과 배면에 치아별 치면 형태, 치간 형태를 고려한 굴곡, 경사도가 반영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섯째,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가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판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에 빈틈없이 밀착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가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에 빈틈없이 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비용이 크게 감축될 수 있다.
둘째,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가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평판 형상의 모재가 레이저 컷팅 및 절삭 가공되어 제조됨에 따라,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기간 동안 치아 배열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제조된 가철식 리테이너와 치아가 안정적으로 일치되어 가철식 리테이너의 장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상하 방향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에서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한 가공선을 생성 후 상기 가공선에 따라 레이저 컷팅을 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 형성부를 형성한다. 그 후, 별도의 추가 가공을 통해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에 치면 형상, 치간 형상을 반영한다.
따라서, 치아별 치면 형상, 치간 형상를 고려한 상하 방향 굴곡, 경사도가 반영된 상기 몸체부를 제조 가능하게 되며, 제조된 몸체부가 각 치아에 빈틈없이 밀착 가능함에 따라 몸체부와 치아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된 상기 몸체부가 치아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치아 배열을 고르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부를 형성 시, 상기 몸체부 형성부는 양단이 상기 모재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레이저 컷팅되며, 형상 가공 단계 후 모재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레이저 컷팅 시, 형상 가공 시 외부의 힘이나 열에 의한 상기 몸체부 형성부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으며, 결국 상기 몸체부의 형상 불량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가 치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굴곡 돌출부와,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의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는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하는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이 생성된다. 이 때,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부분 보다 더 멀리 이격되도록 가공된다.
따라서, 치간에 삽입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의 전후 두께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굴곡 돌출부의 파단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되는 가철식 리테이너를 제조 가능하게 된다.
여섯째,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가공된다.
따라서,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는 몸체부를 제조 가능하게 된다.
여곱째,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는 상기 고정부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몸체부가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판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형성됨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상기 몸체부의 다른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 가능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로 다른 치아에 밀착되는 몸체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곡 돌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곡 돌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결합부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결합부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가 가공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가공 작업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컷팅 단계가 실시된 후 모재의 형상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가 치아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몸체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로 다른 치아에 밀착되는 몸체부의 제1 부분과 제2 부분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곡 돌출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굴곡 돌출부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결합부의 제2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몸체부의 결합부의 제3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1)는 상악 치아 배열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하악 치아 배열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1)는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100)의 양단이 결합되는 고정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몸체부(100)가 밀착될 치아 배열의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몸체부(100)가 치아 배열의 구강 외측 치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치면에 접촉하여 상기 몸체부(100)가 각 치아의 치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는 합성섬유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례로 아크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1)가 상악 치아 배열에 장착되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200)는 입천장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00)의 구조는 상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종래의 가철식 리테이너에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몸체부(100)는 다수의 치아가 이루는 치아 배열을 따라, 각 치아와 빈틈없이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에 의해서 치아 배열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가 밀착된 상태에서 치아 배열이 틀어지더라도 상기 몸체부(100)의 형상 복원력에 의하여 치아 배열이 초기의 고른 치아 배열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100)는 전체적으로 치아 배열에 대응하여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방에서 보았을 때 대략 활(bow)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소정의 상하 높이 및 전후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는 치면에 밀착되는 전면(101), 전면(101)에 반대되는 배면(102), 전면(101)과 배면(102)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면(103), 전면(101)과 배면(102)의 하단을 연결하는 하면(104)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100)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110), 하나 이상의 굴곡 돌출부(120), 절곡부(130), 결합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10)는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접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서로 인접한 치아들의 사이에 형성되는 치간(pronunciation)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30)는 상기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이 집합으로 이루어진 정렬부의 양단에 형성되며, 치아 배열의 가장 외측의 치아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130)는 대략 "U"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절곡부(130)의 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 단부를 형성하며,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되는 부분으로 정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각 치아와의 접촉 면적이 향상될 수 있도록, 각 치아별 치면 형상, 치간 형상 등이 반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몸체부(100)는 치아 배열의 치간 형상, 각 치아별 치면 굴곡, 치면 경사도 등이 반영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치면 굴곡은, 가로 방향 치면 굴곡과 상하 방향 치면 굴곡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치면 경사도는 가로 방향 치면 경사도와 상하 방향 치면 경사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와 치아 사이의 접촉 면적이 넓어져 보다 안정적인 밀착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100)가 치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와 치아 사이의 틈에 이물질이 끼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도 3을 참조하면 치아 배열을 이루는 각 치아는 다양한 치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굴곡지거나 경사지거나 수직한 치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몸체부(110)의 전면(101)은 각 치아별 치면 형상에 대응하여 굴곡지거나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의 전면 및 치면과 접하는 상기 절곡부(130)의 전면은 굴곡지거나 경사지거나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가 다수로 형성되는 경우, 각각의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는 전면이 서로 다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치아도 위치에 따라 치면 형상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 바, 이에 대응하여 하나의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 및 절곡부(130)의 전면도 일정한 단면 형상을 가지지 않고, 연장 방향을 따라 각 부분이 독립적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몸체부(100)는 연장 방향을 따라 각 부분이 연속적이되 독립적인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배면(102)은 전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101)과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상면(103)과 하면(104)도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지부(110)와 굴곡 돌출부(120)의 상면과 하면은 전체적으로 수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적어도 상기 정렬부의 상면과 하면이 수평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적어도 치아 배열을 지지하는 상기 정렬부가 전체적으로 균일한 상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서로 다른 치아에 접촉되는 지지부(110)의 단면 형상을 예로들어 설명하면, 도 3의 (a)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와 접촉하는 제1 치아의 치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100)의 제1 부분의 전면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제1 부분의 배면도 전방에서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제1 부분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도 3의 (b)와 같이 상기 몸체부(100)와 접촉하는 제2 치아의 치면이 수직하게 형성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상기 몸체부(100)의 제2 부분의 전면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제2 부분의 배면도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의 제2 부분의 상면과 하면은 수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상방에서 보았을 때 날카로운 모서리 및 골이 없도록, 전체적으로 부드럽게 이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전면에서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배면에서 함몰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된 형상을 가지는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파단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부(110)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돌출된 단부의 전후 두께(T1)는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T2)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상기 지지부(110)와 가까워질 질수록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T2)에 대응하도록 전후 두께가 점차적으로 얇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돌출된 단부의 전후 두께(T1)는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T2) 보다 10%~30% 수준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수준으로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몸체부(100)는 사양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100)는, 0.3mm 사양, 0.43mm 사양, 0.5mm 사양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몸체부(100)가 0.3mm 사양인 경우,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T2)는 0.3mm 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돌출된 단부의 전후 두께(T1)은 0.36mm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두께 보강으로 인해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파단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치간의 형상에 대응하여, 도 5에서와 같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악 치아 배열에 형성되는 치간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는 특성이 있다.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1)가 상악 치아 배열에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굴곡 돌출부(12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전면이 치간을 형성하는 치아들의 내측면 경사도, 굴곡 등을 반영함으로써 형성되는 구조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가 치간에 간섭없이 삽입될 수 있으며, 치간을 형성하는 치아들의 내측면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고정부(200)의 외측면 일측에 결합 구조에 의해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결합부(140)와 상기 고정부(200)는 후크 결합 구조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돌기와 홈 결합 구조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140)는 접착제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고정부(200)의 성형시 상기 고정부(200)의 내부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고정부(2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된 상태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고정부(200)이 내부에 매립되어 결합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고정부(200)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140)는 상기 절곡부(130)의 단부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된 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두께나 폭이 넓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고정부(200)에 매립된 상태에서, 단부의 형상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고정부(200)의 내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결합부(140)와 고정부(200)의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140)는 단부가 다른 부분 보다 두께나 폭이 넓은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장자리 내측에 관통된 홀(145)이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결합부(140)의 단부는 외측의 다른 부분 보다 두께나 폭이 넓은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200)의 성형시 상기 고정부(200)의 성형재가 상기 홀(145)에 채워지고 경화되어, 상기 결합부(140)를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40)와 고정부(2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의한 상기 결합부(140)는 단부가 상기 절곡부(140)의 단부에서 연장되는 부분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146)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돌기(146)의 걸림 구속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140)와 고정부(200)의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된 실시예들 외에도 상기 결합부(140)는 단부가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상기 고정부(200)와 보다 견고한 고정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가 레이저 컷팅된 후 추가 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가 레이저 컷팅된 후 열처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이 안정화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표면이 연마 가공되어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는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되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조 완료된 상기 몸체부(100)를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1)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1)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추가 가공 단계를 구체적으로 보인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1과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이루어지는 가공 작업을 보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레이저 컷팅 단계가 실시된 후 모재의 형상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은, 치아 배열의 스캐닝 데이터 획득하는 데이터 획득 단계, 스캐닝 데이터를 가공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수정된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 레이저 컷팅된 모재를 추가 가공하는 추가 가공 단계, 추가 가공된 모재로부터 몸체부를 분리하는 몸체부 분리 단계, 상기 몸체부와 고정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결합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스캐닝 데이터는 상기 몸체부(100)가 밀착될 상악 또는 하악의 치아 배열을 3D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촬영 데이터를 의미한다.
상기 스캐닝 데이터에는 치아 배열, 치아 배열에 형성된 치간 형상, 각 치아별 치면 굴곡 및 치면 경사도 등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캐닝 데이터는 stl 파일 포맷에 해당하는 파일일 수 있다.[S100, 데이터 획득 단계]
상기 데이터 획득 단계 후, 상기 스캐닝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제조를 위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하는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는 가공선 생성 단계와 가공선 수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S200,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한 후, 스캐닝 데이터 상에서 가상의 몸체부 위치를 설정하고, 해당 스캐닝 데이터 상에서 가상의 몸체부가 위치하는 기준면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기준면은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를 횡단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수평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 후, 치아 배열의 구강 외측 치면과 기준면이 접하는 접선을 추출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기준면 상에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한 가공선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가공선은 치아 배열의 치면에 접하는 제1 가공선(L1), 상기 제 가공선(L1)과 이격된 제2 가공선(L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공선(L1)은 상기 정렬부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서 중심부가 각 치아의 치면 및 치간을 따라 연장되도록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기준면상의 치아 배열의 치간 형상 및 치면 형상이 반영되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은 상기 절곡부(130)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서 중심부 양측이 절곡된 형상으로 연장되도록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은 상기 결합부(140)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기 위해서 양단부가 요구되는 특정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되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을 생성한 후,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가공선(L1)과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제2 가공선(L2)을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공선(L2)은 상기 제1 가공선(L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가공선(L2)은 상기 기준면 상에서 상기 제1 가공선(L1)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 두께 형성을 위해서 후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의 이격 거리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0)의 대략적인 두께가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의 단부 형상에 의해서 상기 결합부(140)의 단부의 형상이 설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결합부(140)가 상기 절곡부(130)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후 끝단이 원형 형상으로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 가공선(L1)은 상기 절곡부(130)의 컷팅 형상을 정의하는 부분에서 소정의 길이로 연장된 후 단부가 반원 형상으로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의 단부에 대응하는 상기 제2 가공선(L2)의 단부는, 상기 제1 가공선(L1)의 단부에 형성된 반원 형상과 대칭되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40)의 단부 형상이 원형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의 양단은 서로 연결되지 않고,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생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요구되는 형상에 따라 추가적인 가공선이 더 새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결합부(140)의 단부 형상이 링 형상으로 요구되는 경우, 상기 결합부(140)의 단부에 홀을 가공하기 위한 원형의 추가 가공선이 더 생성될 수도 있다. [S210, 가공선 생성 단계]
한편,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에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에 대응하는 부분은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가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의 절곡된 단부는 날카롭지 않도록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은 상기 굴곡 돌출부(120)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지지부(110)에 대응하는 부분 보다 더 멀리 이격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전후 두께(T1)가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T2)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가공선(L1)과 제2 가공선(L2)는, 제조될 상기 몸체부(100)의 전후 두께 보다 더 멀게 이격되어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컷팅 및 추가 가공에 의한 모재의 두께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몸체부(100)를 요구되는 사양에 맞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S220, 가공선 수정 단계]
상기 가공선 수정 단계가 완료되면, 생성된 가공선들의 데이터가 포함된 가공선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가공선 데이터는 2차원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2차원 데이터를 기초로 레이저 컷팅기의 이동 경로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기 가공선 데이터를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생성된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는 상기 가공선 데이터가 반영된 2차원의 캐드 파일일 수 있다. [S300, 데이터 변환 단계]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가 완료되면, 상기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는 레이저 가공을 위한 레이저 컷팅기로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 가공용 데이터에 따라 상기 레이저 컷팅기가 동작하여 투입되는 모재(2)를 레이저 컷팅할 수 있다. 즉, 상기 가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 컷팅기가 모재(2)를 레이저 컷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재(2)는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이루어진 평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모재(2)는 형상 기억 합금 판재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모재(2)는 니티놀(Nitinol) 박판일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는 상기 모재(2)가 안착되어 고정되는 지그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재(2)는 상기 지그에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는 레이저 컷팅 전에 설정값이 부여될 수 있다. 예로들어, 작업자는 가공속도 200mm/s, 가공가속도 3000mm/s, 펄스타입의 펄스파워 300w, 펄스 주파수 600hz, 펄스타임 400us, 아르곤가스압 3.0mpa 등과 같이 설정값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모재(2)가 투입되고 상기 레이저 컷팅기의 설정값이 설명된 후, 작업자는 상기 레이저 컷팅기를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이저 컷팅기 동작되면 상기 레이저 컷팅기에 의해서 상기 가공선에 따라 상기 모재(2)의 컷팅이 이루어져, 상기 모재(2)에 상기 몸체부(100)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부(100')가 컷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의 양단이 서로 이격되어 생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양단은 상기 모재(2)에서 분리되지 않고 일체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
상세히, 도 13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양단은 상기 모재(2)와 일체로 연결된 상태로 형성되고, 양단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레이저 컷팅에 의해서 상기 모재(2)와 물리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양단에는 상기 모재(2)와 일체로 연결된 연결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05')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는 레이저 컷팅시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변형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레이저 컷팅 후 상기 모재(2)의 냉각시 온도 변화에 의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뒤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즉, 레이저 컷팅 및 냉각이 완료된 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상기 모재(2)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며,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요구되는 형상으로 안정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05')가 형성됨에 따라, 얇고 작은 크기를 가지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후술할 추가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S400, 레이저 컷팅 단계]
상기 레이저 컷팅 단계가 이루어진 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형성된 상기 모재(2)를 추가 가공하는 추가 가공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추가 가공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상기 몸체부(100)의 최종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 기계적 가공 또는 화학적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추가 가공 단계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를 열처리 하는 열처리 단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과 배면에 치면 형상을 반영하는 형상 가공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가공 단계는, 상기 형상 가공 단계가 완료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를 연마하는 연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 단계, 형상 가공 단계, 연마 단계는 그 작업 순서가 나열된 순서로 제한되지 않으며, 작업 효율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 가능함을 밝혀둔다. 예로들어, 상기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연마 단계가 실시되고, 연마 단계가 실시된 후 열처리 단계가 실시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열처리 단계가 실시되고, 열처리 단계 이후 연마 단계가 실시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열처리 단계 이후 형상 가공 단계가 실시되고, 형상 가공 단계 이후 연마 단계가 실시되는 것을 일례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형성된 상기 모재(2)는 열처리 장치(3)에 투입되어, 열처리될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의 판재를 열처리하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는 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열처리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는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이 안정화될 수 있다. 결국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에 의해서 형성되는 상기 몸체부(100)는 보다 높은 경도를 가질 수 있으며, 형상이 안정화될 수 있다. [S510, 열처리 단계]
상기 열처리 단계가 실시된 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형상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 가공은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표면을 절삭할 수 있는 다양한 공구, 장치 등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형상 가공은 원뿔 형상의 버(bur, 3)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상하 방향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절삭 공구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과 배면에 치아별 치면 형상, 치간 형상을 고려한 상하 방향 굴곡, 경사도를 가공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양단이 상기 모재(2)에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버를 이용하여 상기 몸체부(1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을 가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은 상기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각 치아별 치면 형상 및 치간 형상에 맞게 가공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에서 상기 굴곡 돌출부(120)에 대응하는 부분은 대응하는 치간 형상을 고려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에서 치면이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치아에 대응하는 부분은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에서 치면이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치아에 대응하는 부분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에서 전면에서 치면이 굴곡진 치아에 대응하는 부분은 굴곡지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배면을 형성하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배면은, 적어도 상기 결합부(140)에 대응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이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 가공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배면 가공은 상기 모재(2)를 뒤집은 후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치아와 접하는 상기 지지부(110), 굴곡 돌출부(120), 절곡부(130)의 전후 두께가 상하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가 균일하고 안정적인 치아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S520, 형상 가공 단계]
상기 형상 가공 단계가 실시된 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를 연마하는 연마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
상기 연마 단계는,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표면을 연마 가능한 다양한 연마 공구, 장치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연마 가공이 이루어질 수 있다.
형상 기억 합금의 판재를 연마 가공하는 방법은 종래기술에 다양하게 개시되는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연마 가공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0) 보다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되어 전체적으로 안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레이저 컷팅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에는 모재의 용융에 의한 플래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형상 가공시 가공부위에 쇠가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마 가공에 의해서 플래시, 쇠가시, 모서리 부분이 가공되어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표면이 보다 매끄럽게 형성될 수 있으며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될 수 있다.[S530, 연마 단계]
상기 추가 가공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모재(2)로부터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분리가 이루어져, 상기 몸체부(100)가 최종 형상으로 제조 완료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분리된 후,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에 추가적인 가공이 더 이루어진 후 상기 몸체부(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가 분리된 후 분리된 양단을 연마 가공 등을 통하여 모나지 않은 부드러운 형상으로 가공 한 후, 상기 몸체부100)의 제조가 완료될 수도 있을 것이다. [S600, 몸체부 분리 단계]
한편, 상기 몸체부(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상기 몸체부(100)의 결합부(140)를 상기 고정부(200)에 결합시키는 고정부 결합 단계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부(200)는 별도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된 후, 제조된 상기 몸체부(1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제조된 상기 몸체부(100)를 상기 고정부(200)이 사출 성형 공정에 투입하여, 상기 고정부(200)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몸체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와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고정부(200)의 제조와 동시에 상기 몸체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와 결합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200)는 아크릴 소재의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부(200)의 형상에 대응하는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에 아크릴 수지를 주입한 후 경화시킴으로써 상기 고정부(200)가 제조될 수 있다.
제조 완료된 상기 몸체부(100)를 상기 고정부(200)의 제조 금형에 투입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200)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상기 고정부(200)의 경화시 상기 몸체부(100)와 고정부(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결합부(140)이 단부 형상에 의해서 상기 몸체부(100)가 상기 고정부(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와 고정부(20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가철식 리테이너(1)의 제조가 완료될 수 있다. [S700, 고정부 결합 단계]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1)에 의하면, 치아 배열에 밀착되는 상기 몸체부(100)가 치면 형상, 치간 형상을 반영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부(100)가 각각의 치아와 빈틈없이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상기 몸체부(100)와 치아의 사이에 이물이 끼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몸체부(100)가 치아에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110)가 일정한 전후 두께 및 상하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치아 배열을 이루는 각 치아들을 균일하게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치아 배열 교정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그리고, 절곡된 형상의 상기 굴곡 돌출부(120)가 상기 지지부(110)의 전후 두께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굴곡 돌출부의 파단 발생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120)의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됨에 따라, 돌출된 단부의 파손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몸체부(100)가 보다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굴곡 돌출부(120)가 대응하는 치간 형상에 대응하여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거나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치간에 간섭없이 안정적으로 삽입 가능하며, 치간을 형성하는 치아들의 내측면에 빈틈없이 밀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40)가 레이터 컷팅에 의해서 상기 고정부(200)와 견고하게 결합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몸체부(100)와 고정부(200)의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상기 몸체부(100)가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1)의 제조 비용이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가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저 컷팅되어 제조됨에 따라, 리테이너의 제조에 소요되는 기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리테이너의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됨에 따라, 리테이너의 제조 기간 동안 치아 배열의 변형이 최소화되어, 제조된 리테이너와 치아가 안정적으로 일치되어 장착 시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치료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재(2)를 레이저 컷팅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를 형성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양단이 상기 모재(2)에 연결된 상태로 컷팅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레이저 컷팅 시, 추가 가공 단계 시에 외부의 힘이나 열에 의한 사익 몸체부 형성부(100')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게 되며, 상기 몸체부(100)의 형상 불량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레이저 가공의 특성상 절단면에 상하 방향 굴곡이나 경사도를 형성하기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에서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레이저 컷팅 형상을 정의한 가공선을 생성 후 상기 가공선에 따라 레이저 컷팅을 하여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를 형성한다. 그 후, 별도의 추가 가공을 통해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100')의 전면과 배면을 치아별 치면 형상, 치간 형상를 고려하여 가공한다. 따라서, 전면과 배면에 치아별 치면 형상, 치간 형상를 고려한 상하 방향 굴곡, 경사도가 반영된 상기 몸체부(100)를 제조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하나의 일체된 구성으로 형성되며, 치아 배열을 따라 전면이 각 치아의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양단과 결합되며,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가 구강 외측 치면과 밀착되도록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는,
    치간에 삽입되도록 치간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며, 치간을 형성하는 다수의 치아의 내측 치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굴곡 돌출부; 및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전면이 밀착되는 다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굴곡 돌출부와 지지부의 전면은 대응하는 치면의 상하 방향 굴곡 및 경사도가 반영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상기 지지부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의 전후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되며, 양단으로 갈수록 전후 두께가 상기 지지부의 전후 두께에 대응하도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의 전면과 배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삽입되는 치간 형상에 대응하여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폭이 변화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토대로, 형상 기억 합금 소재의 판재를 레이저 컷팅한 후 전면과 배면이 절삭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
  7. 치간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굴곡 돌출부와 치간 외측의 각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치아 배열을 이루는 다수의 치아의 치면에 밀착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과 결합되며 상기 몸체부를 치아 배열에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3차원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치아 배열의 3차원 스캐닝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스캐닝 데이터상에서 각 치아의 치면 및 치간을 따라 연장되는 제1 가공선 및, 상기 제1 가공선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는 제2 가공선을 생성하는 데이터 가공 단계;
    상기 제1 가공선 및 제2 가공선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가공선 데이터에 기초하여 형상 기억 합금 소재로 형성된 평판 형상의 모재를 레이저 컷팅하여, 모재에 상기 몸체부의 기초 형상을 가지는 몸체부 형성부를 형성하는 레이저 컷팅 단계;
    상기 몸체부 형성부에 각 치아의 치면 형상 및 치간 형상이 반영되도록, 상기 몸체부 형성부를 절삭 가공하는 형상 가공 단계;
    제조된 상기 몸체부와 상기 고정부를 결합하는 고정부 결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컷팅 단계에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는 양단이 상기 모재에 일체로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레이저 컷팅되며,
    상기 형상 가공 단계 후, 절삭 가공이 완료된 몸체부 형성부를 모재로부터 분리하는 몸체부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양단이 서로 이격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상기 굴곡 돌출부가 상기 지지부 보다 전후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상기 지지부에 대응하는 부분 보다 더 멀리 이격되도록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돌출부는 돌출된 단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며,
    상기 데이터 가공 단계에서, 상기 제1 가공선과 제2 가공선은 상기 굴곡 돌출부의 돌출된 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가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 형성부가 형성된 모재를 열처리하는 열처리 단계; 및
    상기 몸체부 형성부가 형성된 모재를 연마 가공하는 연마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치아 배열의 구강 내측 주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사출 성형되어 제조되며,
    상기 고정부 결합 단계에서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을 상기 고정부의 사출 성형을 위한 금형에 투입한 후, 합성수지를 상기 금형에 주입하여, 상기 몸체부의 양단이 고정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PCT/KR2021/007230 2020-06-09 2021-06-09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251759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8/009,330 US20230240805A1 (en) 2020-06-09 2021-06-09 Removable re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9882A KR102350798B1 (ko) 2020-06-09 2020-06-09 가철식 리테이너
KR10-2020-0069882 2020-06-09
KR10-2020-0069885 2020-06-09
KR1020200069885A KR102350802B1 (ko) 2020-06-09 2020-06-09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1759A1 true WO2021251759A1 (ko) 2021-12-16

Family

ID=78845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07230 WO2021251759A1 (ko) 2020-06-09 2021-06-09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230240805A1 (ko)
WO (1) WO2021251759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917A (ko) * 2013-03-13 2015-11-18 리타인테크놀로지 유쥐 (하프퉁스베슈랭크트)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7050B1 (ko) * 2016-04-27 2017-09-12 이재우 치아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유형 와이어
KR101816487B1 (ko) * 2017-07-04 2018-01-08 이경식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US20190152152A1 (en) * 2017-11-17 2019-05-23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retainers
KR20190111016A (ko) * 2016-11-21 2019-10-01 취르크 호스테틀러 3차원 치열 교정기 및 3차원 치열 교정기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28917A (ko) * 2013-03-13 2015-11-18 리타인테크놀로지 유쥐 (하프퉁스베슈랭크트) 리테이너 및 그 제조 방법
KR101777050B1 (ko) * 2016-04-27 2017-09-12 이재우 치아에 장착되는 리테이너 유형 와이어
KR20190111016A (ko) * 2016-11-21 2019-10-01 취르크 호스테틀러 3차원 치열 교정기 및 3차원 치열 교정기 제조 방법
KR101816487B1 (ko) * 2017-07-04 2018-01-08 이경식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US20190152152A1 (en) * 2017-11-17 2019-05-23 Align Technology, Inc. Orthodontic retain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40805A1 (en) 2023-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12228A1 (ko) 3차원 구강 모델 분석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보철물 디자인 방법
WO2022124509A1 (ko) 교정력을 높인 투명 치아 교정 장치
WO2016028106A1 (ko) 투명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7188593A1 (ko) 레퍼런스 마커에 기반하여 설계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처리장치 및 그 방법
WO2015020293A1 (ko) 치아에 피착되는 가철식 덴탈기구 및 그 제조방법
WO2020116711A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WO2017222098A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WO2020080643A1 (ko) 투명교정장치의 제조를 위한 3d 프린터용 광경화형 조성물
WO2013055021A1 (ko) 교합기
WO2021251759A1 (ko)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7069599A1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1118950A2 (ko) 회전 칫솔
WO2016122013A1 (ko) 높이 조절형 스프린트 및 그것의 제작 방법
WO2022131579A1 (ko) 치간 칫솔질 잇솔
WO2021107366A1 (ko) 3d 프린트 출력물의 후경화 공정 및 이의 장치
WO2021187803A1 (ko) 3d 프린팅을 이용한 환자 맞춤형 치아교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교정 방법
WO2021251762A1 (ko) 접착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2036441A2 (ko)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7080194A1 (zh) 空鼠的工作模式切换方法及装置
WO2023013981A1 (ko) 리테이너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0138615A1 (ko) 치아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의 제조 방법, 그 제조를 위한 예비가이드 및 가이드 트레이
WO2010140777A2 (ko) 싱글볼 가공장치
WO2022080997A1 (ko) 3d 프린터를 이용한 환자 맞춤형 부분 틀니
WO2022019647A1 (ko) 구강 이미지 처리 장치 및 구강 이미지 처리 방법
WO2019088343A1 (ko) 아크라인에 기초한 보철물 디자인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821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821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