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2036441A2 -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2036441A2
WO2012036441A2 PCT/KR2011/006735 KR2011006735W WO2012036441A2 WO 2012036441 A2 WO2012036441 A2 WO 2012036441A2 KR 2011006735 W KR2011006735 W KR 2011006735W WO 2012036441 A2 WO2012036441 A2 WO 2012036441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merization
cup
light
heat
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1/0067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2036441A3 (ko
Inventor
박동성
Original Assignee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스코덴탈아시아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1800438701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3096832A/zh
Publication of WO201203644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36441A2/ko
Publication of WO201203644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2036441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3Apparatus for curing resins by radiation

Abstract

본 발명은 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체 형태가 형성하도록 하는 라이트중합과정, 기공물이 더욱 단단하도록 하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으로 하는 2단계의 중합과정으로 되고, 중합과정이 고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공물 내에 기포가 생기지 않아 양질의 기공물이 제조되도록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본 발명은 중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트중합과정을 통하여 기공물의 전체 형태를 우선 형성하도록 하고,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의하여 형태를 갖춘 기공물이 단단한 상태로 되도록 하는 2단계의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기공물 내에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하고, 중합 과정에서 기공물이 담겨지는 중합컵의 체결 및 분리, 그리고 기밀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과 치료에 있어서 손상된 치아 일부를 수복하기 위하여 수복물을 제작하거나 또는 의치를 제작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이용되고 있다. 특히 수복물 또는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중에 최종 수복물 또는 의치를 제작하는 방법으로 중합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다른 중합방법으로는 수복물 또는 의치로 되기 위한 기공물에 대하여, 공기중에서 할로겐램프의 광중합하는 방법으로 단지 산소억제젤을 이용하는 기술, 질소가스가 포함되어 할로겐램프의 광 및 열중합을 8시간 이상 진행하도록 하는 기술, 진공 중에서 단지 할로겐램프의 광만 비추도록 하는 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중합과정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하나의 기공물을 생산하는데 효율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할로겐램프를 대부분 이용하기 때문에 전력비용이 과다하게 소모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할로겐램프를 이용하게 되면 할로겐 램프 주위로 고열이 발생되어 별도의 냉각 구성을 마련해야 할 뿐만 아니라 할로겐 램프 주위 부재들도 과열로 인하여 파손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최적의 상태로 기공물을 제조하기 못하기 때문에 도 25에서와 같이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된 기공물 내부에 많은 양의 기포가 생기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포에 의하여 전체 기공물이 단단하지 못하여, 의치로 시술되어 환자가 사용하는 중에 단단한 것을 씹게 되면 바로 의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또한 이처럼 종래 기술에 의해 제조된 기공물에 많은 기포가 생기게 되면 색상이 불량하게 되고, 외관형상도 매끄럽지 못하게 되며, 특히 다수의 층으로 되는 기공물의 각 층의 불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라이트중합과정을 통하여 기공물의 전체 형태를 우선 형성하도록 하여 매끄럽고 원하는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하고, 이후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의하여 형태를 갖춘 기공물이 단단한 상태로 되도록 하는 2단계의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욱이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 및 라이트히트중합과정 중에 고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공물 내에 불필요한 기포나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기공물 및 의치가 제조되도록 하는 목적이 있다.
그리고 라이트중합과정이 5분 정도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30분 정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기공물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도록 하여 생산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중합과정을 수행되도록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에서는 라이트광이 비춰지도록 하기 위하여 엘이디램프를 이용하게 되므로, 해당 기공물 소재에 대한 중합에 알맞은 최적의 주파수 대의 엘이디램프를 적용할 수 있어 중합효율이 양호하도록 하고, 종래의 할로겐램프처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과열로 인한 냉각 구성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아울러 엘이디램프 주위 부재도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엘이디중합장치에서 중합반응이 이루어지도록 기공물이 담겨지는 중합컵이 라이트중합컵과 히트중합컵 및 이들에 대한 부재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라이트중합과정과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각각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고 품질의 기공물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트중합컵과 히트중합컵이 결합되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의 슬라이드장공의 형상 및 기타 에어밀폐튜브 등의 부재들에 의하여 중합작동이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작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각 부재들의 작동을 스스로 자가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하게 차이가 생길 수 있는 중합조건을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최고의 품질의 기공물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공물(11)이 담겨지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어 중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엘이디중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중합장치(10)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삽입되는 중합컵삽입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의 내부 상측으로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결합되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날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슬라이드결합되도록 구비된 레일가이드(2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슬라이드삽입되고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의 홈을 이루는 슬라이드장공(4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장공(41) 부분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상부 일측으로는 엘이디램프(42)가 결합되어 엘이디램프(42)에서 발광되는 엘이디광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중앙의 투광부(43)로 비춰져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에 위치된 기공물(11)에 비춰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투광부(43) 주변으로 에어밀폐튜브(45)가 구비되어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되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고압의 공기압이 가해지도록 하는 에어가압부(46)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22)(32)은 텅스텐이 포함되어 구비되며,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는 텅스텐이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23)(33)와 연결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전원단자(13)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은 기공물(11)이 담겨지는 시료중합컵(22)(32)을 감싸고 전방에 손잡이(241)(341)가 결합된 중합케이스(24)(34)가 구비되며, 상기 히트중합컵(30)의 저부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가열부(342)가 구비되어 기공물에 대한 가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 저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4)이 구비되며, 상기 라이트중합컵(2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고, 기공물(11)의 아래로 반사구슬(251)이 포함되도록 하는 라이트기공컵(25)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중합컵(3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는 히트기공채(35)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담겨지는 기공물(11)에 대한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엘이디중합장치(10)를 제어하고, 온도감지센서(62)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과열로 판별될 경우에는 냉각팬(14)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결합된 신호를 컵인식스위치(15)로부터 전송받도록 하는 중합기제어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엘이디램프(42)가 발광작동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는 엘이디작동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하도록 하고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작동부(63)가 구비되고,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커넥터전원단자(13)와 커넥터(33)를 통하여 히트중합컵(30)의 히터가열부(342)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가열부(342)가 가열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64)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엘이디중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워스위치(71)의 작동으로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중합작용을 준비하게 되는 중합작동준비단계(S01);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슬라이드장공(41)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어, 기공물이 담겨진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위치됨을 컵인식스위치(15)에서 감지하여 중합기제어부(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중합컵위치단계(S02);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 이후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아래의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형성된 중합공간(401)이 밀폐되도록 하는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의 중합공간(401)이 밀폐된 상태에서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축공기가압단계(S04); 상기 압축공기가압단계(S04)에 의하여 중합공간(401)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42)가 작동되어 중합공간(401) 내의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광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이팅중합단계(S05); 상기 라이팅중합단계(S05) 이후 기공물에 대한 엘이디광의 조광으로 광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라이팅종료단계(S06);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사이에서 팽창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에어밀폐튜브(45)가 수축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및 중합컵삽입공(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중합공간(401)의 기공물에 대한 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중합종료단계(S09)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에 상기 중합작동준비단계(S01)는 부저음 발생과정, 냉각팬 체크과정, 표시엘이디 점멸 점검과정, 표시창 점멸 점검과정이 포함된 작동준비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라이트중합컵(20)이 위치되도록 할 경우 중합기제어부(60)에서 라이트중합컵(2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히트중합컵(30)이 위치되도록 할 경우 중합기제어부(60)에서 히트중합컵(3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에 더하여, 상기 라이팅종료단계(S06) 이후 가열중합단계(S07)가 더 수행되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열중합단계(S07)는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공급부(64)에서 커넥터전원단자(13)와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33)를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히트중합컵(30) 저부의 히터가열부(342)가 가열작동되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이 가열되어 기공물(11)에 대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라이트중합과정을 통하여 기공물의 전체 형태를 우선 형성하도록 하여 매끄럽고 원하는 형태의 외관을 이루도록 하고, 이후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의하여 형태를 갖춘 기공물이 단단한 상태로 되도록 하는 2단계의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더욱이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 및 라이트히트중합과정 중에 고압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기공물 내에 불필요한 기포나 공극이 생기지 않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기공물 및 의치가 제조되도록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라이트중합과정이 5분 정도이루어지도록 하고,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30분 정도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하나의 기공물을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짧도록 하여 생산능력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이러한 중합과정을 수행되도록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에서는 라이트광이 비춰지도록 하기 위하여 엘이디램프를 이용하게 되므로, 해당 기공물 소재에 대한 중합에 알맞은 최적의 주파수 대의 엘이디램프를 적용할 수 있어 중합효율이 양호하도록 하고, 종래의 할로겐램프처럼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지 않도록 하면서, 또한 과열로 인한 냉각 구성이 최소화되도록 하고 아울러 엘이디램프 주위 부재도 과열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나아가 엘이디중합장치에서 중합반응이 이루어지도록 기공물이 담겨지는 중합컵이 라이트중합컵과 히트중합컵 및 이들에 대한 부재들이 서로 구분되도록 함으로써, 라이트중합과정과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각각 최적의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최고 품질의 기공물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트중합컵과 히트중합컵이 결합되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의 슬라이드장공의 형상 및 기타 에어밀폐튜브 등의 부재들에 의하여 중합작동이 원터치로 간단하게 조작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면서, 각 부재들의 작동을 스스로 자가진단하도록 함으로써, 미세하게 차이가 생길 수 있는 중합조건을 최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여 최고의 품질의 기공물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대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히트중합컵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대해서 라이트중합컵이 삽입되기 전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대해서 히트중합컵이 삽입되기 전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대해서 중합컵이 결합된 상태에 대한 작동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와 라이트중합컵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와 히트중합컵의 결합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있어서, 중합슬라이드체결부의 투광부에 대한 단면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중합컵삽입공 저부 베이스로 메인팬과 전원커넥터의 설치구가 형성된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에 대한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히트중합컵에 히터가열부가 설치된 상태의 저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반사경에 대한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반사경에 대한 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에어밀폐튜브에 대한 저면도.
도 18은 도 17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에어밀폐튜브에 대한 상세 절단면도.
도 19는 도 17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에어밀폐튜브와 주입구에 대한 상세 절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의 제어 구성에 대한 구성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서 라이트중합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대한 순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서 라이트중합과정에 따른 순서에 대한 예시 그래프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따른 순서에 대한 예시 그래프이다.
도 25는 종래 기술에 의하여 제조된 기공물에 대한 예시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의하여 제조된 기공물에 대한 예시 단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의하여 제조되는 기공물이 적용되어 이루어지는 치과치료과정에 대한 예시흐름 예시사진으로, 도 27은 시술 전 치료를 위채 세척된 상태의 치아 예시사진이고, 도 28은 치료 대상 치아에 맞게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의해 제조된 기공물에 대한 예시사진이며, 도 29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의해 제조된 기공물이 결합되기 위해 대상 치아에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의 예시시진이고,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 의해 제조된 기공물이 결합되어 시술된 상태의 치아에 대한 예시사진이다.
도 31은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에서 이용되는 엘이디광에 따른 광 특성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31 등에서와 같이, 내부에 기공물(11)이 담겨지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된 상태에서, 기공물(11)에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라이트광이 비춰져 광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아울러 압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히팅 가열되도록 하여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엘이디중합장치(10)에 관한 것이다.
특히 종래의 중합기에서는 광원이 대부분 전력소모가 많은 할로겐램프를 사용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램프를 이용함으로써 전력소모도 줄이면서 광특성도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즉 대부분의 할로겐램프의 경우 램프 전체적으로 비춰지면서 램프부재들을 비롯하여 주위를 뜨겁게 고온으로 달구기 때문에 방열을 위한 구조가 복잡해져서 제작의 곤란성이 있었으며, 아울러 램프 작동에 따른 전력소모뿐만 아니라 방열을 위한 에너지 소모도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엘이디광을 이용하기 때문에 발열이 적어 방열 구성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전력소모도 적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도 31에서와 같이 종래의 할로겐 램프를 적용하게 되면 파장영역이 넓어 실제로 중합에 필요하지 않은 영역도 커버하여 에너지 소모의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처럼 엘이디 광원을 이용할 경우에는 중합에 필요한 주파수 대역의 엘이디를 적용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에너지 소모를 줄이게 되면서도, 중합에 필요한 광원만 기공물(11)에 비춰지도록 하기 때문에 중합특성이 더욱 뛰어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라이트중합과정이 짧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26에서처럼 기공물의 단층 형성도 공극이 없이 깨끗하게 중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1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엘이디중합장치(10)에는, 전체적으로 전면에서 라이트중합컵(20),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도록 하면서, 함체 형상을 이루며, 상부로는 엘이디중합장치(10)의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패널(101)이 마련된다.
그리고 후방으로는 전원공급, 에어공급 그리고 엘이디 방열 팬 등이 마련될 것이다. 또한 내부에는 엘이디중합장치(10)가 작동되도록 하는 중합기제어부(60) 등의 전자 회로부분을 비롯하여 각종 작동부재들이 포함될 것이다.
이에 중합과정의 대상이 되는 기공물(11)이 내재되도록 하는 라이트중합컵(20)과 히트중합컵(30)이 구비되고, 이러한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삽입되는 중합컵삽입공(12)이 엘이디중합장치(10)에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의 내부 상측으로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결합되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 대한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날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슬라이드결합되도록 구비된 레일가이드(21)(31)가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레일가이드(21)(31)가 결합되는 상태부재로,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슬라이드삽입되고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의 홈을 이루는 슬라이드장공(41)이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슬라이드장공(41) 부분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가 지지되면서, 슬라이드 결합이 유도되기 때문에,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각각의 라이트중합컵(20) 및 히트중합컵(30)이 알맞게 결합된 상태를 갖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이후 진행되게 될,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 그리고 에어가압부(46)에 의한 가압작용에 의하더라도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그리고 히트중합컵(30) 사이부분이 안정적인 상태를 갖게 되어, 결국 가압작용 및 이에 따른 라이트중합과정 및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안정되게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상부 일측으로는 엘이디램프(42)가 결합되어 엘이디램프(42)에서 발광되는 엘이디광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중앙의 투광부(43)로 비춰져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에 위치된 기공물(11)에 비춰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엘이디램프(42) 및 관련 부재들을 보면 도 2, 도 5 내지 7 등에서와 같이, 후방으로 엘이디램프(42) 및 엘이디작동부(61)가 구비되고, 이러한 후방으로는 엘이디냉각팬(421)이 구비되는 것으로, 도 3에서와 같이, 엘이디램프(42), 엘이디작동부(61)를 비롯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 상측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기를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방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엘이디램프(42) 등의 부재에 대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의 작동 개시에 의해 중합기제어부(60)에서 라이트중합과정 또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대한 제어신호가 전송되면 엘이디작동부(61)가 작동하게 되어 엘이디램프(42)에서 엘이디 광이 발광되는 것이다. 이에 발광되는 과정 중에 엘이디램프(42), 엘이디작동부(42) 등에 대한 엘이디온도감지센서(미도시됨)가 감지된 온도감지신호에 의해 고온으로 판별되면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엘이디냉각팬(421)이 작동되도록 하여, 엘이디램프(42), 엘이디작동부(61)가 고온으로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엘이디램프(42)에서 발광된 엘이디공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의 기공물(11)에 조광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중앙 상부에 마련된 투광부(43)로 엘이디광이 지나게 된다.
이에 엘이디램프(42)의 설치위치가 첨부된 도면의 실시와는 다르게, 투광부(43) 상부에서 하향의 투광부(43) 바로 비출 수 있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또한 반사경(431)을 마련하여, 직각으로 엘이디광이 반사되어 비추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투광부(43)는 중합공간(401)이 가압된 상태를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투광부(43)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사이에 기밀된 상태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투광부(43)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상측 투광공간(432)에 설치되는 것으로, 엘이디광이 지나는 투명한 투광경(433)이 구비되고, 투광경(433)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투광고정부(434)가 결합되며, 아울러 투광경(433)과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사이에는 투광패킹(435)이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측의 엘이디램프(42) 및 반사경(431) 등에 의하여 비춰지는 엘이디광은 투광부(43)의 투광경(433)을 지나 아래 중합공간(401)에 위치되게 되는 기공물(11)에 비춰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투광부(43) 주변으로 에어밀폐튜브(45)가 구비되어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에어밀폐튜브(45)는 도 9, 도 10에서와 같이 링 형상으로 하여 형성되고, 상향되게 주입구(451)가 마련되는 것으로, 링 형상의 에어밀폐튜브(45)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 형성된 튜브삽입공(452)에 삽입되고, 주입구(451)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하부의 중합공간(401)으로부터 상측 외부와 관통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로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게 되면, 외부의 컴프레셔(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주입구(451)로 주입되며, 이처럼 주입구(451)로 주입되는 압축공기에 의하여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는 것이다. 이로써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으로 인하여, 슬라이드장공(41)으로 슬라이드결합되어 중합컵삽입공(12) 및 중합공간(401)에 위치된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상면과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사이가 기밀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등의 사이에 밀폐상태가 되면,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한 팽창력으로 인하여, 라이트중합컵(20) 및 히트중합컵(30) 등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처럼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 작동으로 인하여, 첫째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등에 의해 형성되는 중합공간(401)과 외부와의 기밀된 밀폐상태가 되고, 둘째로는 중합과정 중에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분리가 용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중합공간이 외부와 기밀된 밀폐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이후 진행되는 가압작용시에 주입되는 공기가 외부로 방출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으로, 그리하여 기공물(11)에 높은 압력이 가해져, 기공물(11) 내부에 작은 공극의 기포가 외부로 잘 빠질 수 있는 것이며, 따라서 도 26의 단면 예시 사진에서처럼 기포가 없는 양호한 상태의 기공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아울러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한 팽창되는 힘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과정 중에 엘이디중합장치(10)로부터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엘이디중합장치(10) 및 기공물(11)의 상태도 양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작동 중에 약간의 외부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중합공간(401)이 고압의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기공물의 형성도 양호하게 되고 기타 다른 부재들도 손상되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10)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고압의 공기압이 가해지도록 하는 에어가압부(46)가 구비되는 것으로,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하여 기밀된 상태가 된 후, 에어작동부(63) 및 에어가압부(46)에 의하여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고압의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22)(32)은 텅스텐으로 마련되도록 하고, 또한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도 텅스텐으로 마련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외에도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라이트중합컵(20) 그리고 히트중합컵(30) 등은 티타늄, 합금, 등 단단하면서 마모가 잘 되지 않으면서, 높은 압력과 고온에서도 변현되지 않고 물성이 변하지 않으며 내부의 담겨진 기공물에 화학적, 물리적 변형을 가져오지 않는 재질이라면 다양하게 선택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합컵삽입공(12)에 위치되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은 상측 가장자리에서 외향으로 날개처럼 둘러져 돌출된 레일가이드(21)(31)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슬라이드장공(41)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아래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하여 중합공간(401)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중합공간(401)에는 중합작용의 대상이 되는 기공물(11)이 위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기공물(11)은 치과 치료의 대상물로 치과치료 과정에 알맞은 상태, 형태 등으로 하여 자유롭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처럼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저부와 함께 중합공간(401)을 형성하게 되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은 기공물(11)이 담겨지는 시료중합컵(22)(32)을 감싸고 전방에 손잡이(241)(341)가 결합된 중합케이스(24)(34)가 구비되는 것이다.
즉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22)(32) 등의 내부에는 중합작용의 대상물인 기공물(11)이 위치되는 것으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같이 시료중합컵(22)(32)도 텅스텐과 같이 단단하면서 변형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등의 중합케이스(24)(34) 저부 내부에는 각각의 회로가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중합컵삽입공(12) 내측에 마련되는 커넥터전원단자(13)와 결합되어, 라이트중합컵(20)의 경우 라이트중합컵(20)과 관련된 신호를 송수신하거나 또는 히트중합컵(30)의 경우 히트중합컵(20)과 관련된신호를 송수힌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결국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작동 전에 단순히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체결만으로도 해당 중합컵의 종류를 판별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에 더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서 별도의 응답신호를 전송하지 않아도 커넥터전원단자(13)에 접속되는 접속신호를 중합기제어부(60)에서 판별함으로써, 결합된 해당 중합컵이 어떤 것인지 판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결합된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등 해당 중합컵에 알맞은 프로그램에 따라 중합과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상기 히트중합컵(30)의 저부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가열부(342)가 구비되어 기공물에 대한 가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작동 여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히트중합컵(30)의 히터가열부(342)의 히터코일과의 연결에 의한 신호판별로 히트중합컵(30)과 라이트중합컵(20)이 서로 다른 것으로 하여 판별할 수 있을 수도 있을 것이다.
즉 히터코일과 다른 접속신호가 검출되면 라이트중합컵으로 판별되도록 하고, 반면 이러한 라이트중합기와의 접속과 다른 히터코일과의 접속신호가 검출되면 히터중합컵으로 판별되도록 하여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라이트중합컵(2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고, 기공물(11)의 아래로 반사구슬(251)이 포함되도록 하는 라이트기공컵(25)이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 1, 도 5, 도 9 등의 예시에서와 같이, 상부로부터 엘이디광이 비춰질 경우, 기공물의 저부에는 엘이디광이 잘 비춰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반사구슬(251)이 담겨진 라이트기공컵(25) 내부에 기공물(11)이 위치되도록 하면, 상부로부터 비춰지는 엘이디광이 많은 수의 반사구슬(251)에 난반사되고, 이러한 난반사된 엘이디광은 다시 상향으로 비춰지기 때문에, 결국 기공물(11)의 아래부분에도 골고루 비춰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반사구슬(251)에 의하여 기공물(11)이 전체 면에 엘이디광이 비춰져 라이트중합과정이 잘 진행될 것이다.
이와 아울러 반사구슬(251)이 담겨지는 라이트기공컵(25)의 내면도 엘이디광이 반사면으로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엘이디광이 더욱 잘 반사되도록 하여 기공물(11)의 전체적으로 고루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트기공컵(25)은 변형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림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히트중합컵(3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는 히트기공채(35)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히트중합컵(30)은 히트기공채(35)에 기공물(11)이 담겨지게 되는 것으로, 히트중합컵(30)은 고압상태에서 엘이디광이 비춰지는 라이트중합과정과 함께 히터가열부(342)에 의한 히트중합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히트 중합과정 중에서도 히트기공채(35)가 손상되지 않도록 금속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 중에서는 기공물(11)이 담겨지도록 물이 채워지는 것으로, 중합과정이 종료된 후 기공물을 꺼낼때 물이 잘 빠지도록 히트기공채(35)에는 배수용 구멍이 다수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종료되어 꺼내는 중에, 히트중합컵(30) 내의 히트기공채(35)에 있는 손잡이를 잡아 꺼내며 이 과정 중에 배수용 구멍으로 물이 빠지게 되며, 기공물(11) 표면의 수분이 제거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트중합컵(20)과 히트중합컵(30)에서의 중합케이스(24)(34)는 기공물(11)이 담겨지는 시료중합컵(22)(32)을 받치면서 이동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시료중합컵(22)(32) 저부 내부에 마련되는 회로 중에는 센서 등 작동에 필요한 부재들이 마련될 수 있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해당 부재들이 부가되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함께 엘이디중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23)(33)와 연결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전원단자(13)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커넥터전원단자(13)를 통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등의 회로와 신호송수신이 가능하게 되고, 특히 히트중합컵(30)의 히터가열부(342)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커넥터전원단자(13) 옆으로 컵인식스위치(15)가 마련되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 저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4)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냉각팬(14)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비롯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가 필요 이상으로 고온으로 될 경우에는 냉각하기 위해 작동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엘이디중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담겨지는 기공물(11)에 대한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엘이디중합장치(10)를 제어하고, 온도감지센서(62)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과열로 판별될 경우에는 냉각팬(14)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결합된 신호를 컵인식스위치(15)로부터 전송받도록 하는 중합기제어부(60)가 구비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엘이디중합장치(10)가 작동될 수 있는 것으로, 각 위치에 있는 센서들로부터, 관련 부재들이 위치되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신호, 온도 또는 습도에 대한 신호, 전기신호와 관련된 신호, 기타 압력관련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감지하여 중합기제어부(60)로 전송되도록 하고,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해당 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한 후, 해당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들의 값이 해당 위치에 대한 설정데이터와 비교하여, 이상여부를 판별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판별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여 연속작동여부, 냉각, 가열, 또는 가압 또는 감압 등의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엘이디램프(42)가 발광작동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는 엘이디작동부(61)가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하도록 하고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작동부(63)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에어작동부(63)로 공급되는 가압공기는 외부의 컴프레셔(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것으로, 컴프레셔(미도시됨)와 연결된 에어호스는 도 3에서와 같이 엘이디중합장치(10) 배면에 마련된 에어레귤레이터(631)와 연결되어 에어작동부(63)로 가압공기가 공급되는 것이다. 이에 에어레귤레이터(631)에 의하여 일정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으로, 대체로 85 psi ~ 100 psi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압력의 압축공기가 중합공간(401)의 기공물(11)에 작용하게 되면 원활하게 기공물(11) 중에 포함된 기포가 제거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엘이디중합장치(10) 배면으로는 에어작동부(63)와 연결되는 배기호스(632)가 마련되는 것으로, 배기호스(632)로는 중합공간(401)으로 가압되었던 압축공기 및 에어밀폐튜브(45)에 공급되었던 가압공기가 배기되도록 마련될 것이다.
이와 함께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커넥터전원단자(13)와 커넥터(33)를 통하여 히트중합컵(30)의 히터가열부(342)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가열부(342)가 가열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64)가 구비되는 것이다.
이에 도 3에서와 같이 엘이디중합장치(10)의 배면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전원커넥터(641), 파워스위치(71), 퓨즈(643), 과부하 방지를 위한 회로차단기(644) 등이 마련되어 있으며, 비상이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를 빼내기 위한 릴리프스위치(633)도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엘이디중합장치(10)의 상부로는 엘이디중합장치(10)의 작동 상태를 살필 수 있는 표시패널(101)이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표시패널(101)에는 신호입력부분과 표시 부분이 마련되는 것이다. 그리고 신호입력부분에 의하여 입력되는 신호는 엘이디중합장치(10)의 중합기제어부(60)로 전송되어 해당 입력내용이 처리되고, 아울러 중합기제어부(60)로부터 전송된 알림 표시 내용은 표시부분에 해당 내용이 표시될 것이다.
즉 표시패널(101)에 대한 세부 실시예를 보면, 스타트버튼(102, START BUTTON), 캔슬버튼(103, CANCEL BUTTON), 리셋버튼(104, RESET BUTTON), 슬립버튼(105, SLEEP BUTTON) 등이 있으며, 작동표시부분에는 'RUN'표시부(106), 'FINISH'표시부(107), 'ERROR'표시부(108), 그리고 상태가 나타나는 상태표시창(109) 등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후의 작동의 실시예에서 좀더 상세히 살펴볼 수 있듯이, 스타트버튼(102), 캔슬버튼(103), 리셋버튼(104), 슬립버튼(105) 등에 의하여 사용자는 원하는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RUN'표시부(106), 'FINISH'표시부(107), 'ERROR'표시부(108), 그리고 상태표시창(109) 등을 통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의 작동상태가 표시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에 따른 엘이디중합장치(10)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살펴보면서, 각 단계별 중합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파워스위치(71)의 작동으로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중합작용을 준비하게 되는 중합작동준비단계(S01)가 수행될 것이다.
이러한 상기 중합작동준비단계(S01)는 부저음 발생과정, 냉각팬 체크과정, 표시엘이디 점멸 점검과정, 표시창 점멸 점검과정이 포함된 작동준비과정이 수행되도록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중합작동준비단계(S01)는 엘이디중합장치(10)에서 중합작동을 수행하기 전에 사전적으로 엘이디중합장치(10)를 점검하는 자가진단을 하게 되는 것으로, 좀더 상세히 준비단계 과정에 대한 일실시예를 살펴보면, 후면의 전원커넥터(641)에 전원선이 꽂혀 전기가 공급되는 상황에서 사용자가 파워스위치(71)를 스위치 온(ON)으로 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를 켜게 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으로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순차적으로 각 장치들의 작동전 상태를 점검하게 되는 것이다.
우선 표시패널(101, DISPLAY PANEL)의 상태표시창(109)이 점등되도록 하는 것으로, 중합기제어부(60)의 프로그램이 작동개시가 되었음을 보여주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함께 부져음이 들이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태표시창(109)은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1
'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러한 상태표시창(109)에 의하여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2
'으로 표시되어 정상적으로 소프트워에가 작동개시됨을 알리도록 마련될 것이다.
다음으로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냉각팬(14, MAIN FAN)이 일시 작동되도록 하여 메인 냉각팬의 작동여부를 점검하게 되고, 엘이디램프(42)가 점등 후 바로 소등되도록 하고 또한 엘이디냉각팬(421)도 일시 작동되도록 하여 엘이디램프(42) 및 엘이디냉각팬(421)의 작동을 점검하게 될 것이다.
이후 이러한 기타의 부재들의 작동상태 및 각 센서들로부터 입력값을 전송받아 정상적인 상태인지 여부를 판별한 후, 자가진단의 점검이 완료된 후에는 표시패널(101, DISPLAY PANEL)의 'RUN'표시부(106)가 깜박거리는 점멸상태로 하여 작동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엘이디중합장치(10)는 중합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준비상태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주게 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자가진단의 중합작동준비단계(S01)를 수행함에 있어 일부 부재들의 점검에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에러메시지가 표시패널(101) 또는 경보음으로 알리도록 하여 이후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마련될 것이다.
특히 각 작동부재들의 상태를 세밀하게 사전 점검함으로써 중합으로 제조되는 기공물(11)의 단면 상태가 양호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기공물(11)에 종래의 방식에 의해서와 같이 기포가 포함되거나 또는 제조된 상태가 단단하지 않고 불량하게 되면 이후 치과치료로 사용하는 중에 쉽게 손상되기 때문인 것이다. 즉 작은 크기의 기공물(11)이라 해도 단단하면서 공극이나 기포가 생기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전 자가진단의 소프트웨어를 통한 중합작동준비단계(S01)를 통하여 엘이디중합장치(10)의 상태를 상세히 점검하게 함으로써 기공물(11)의 양호한 상태로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중합작동준비단계(S01)가 수행되어 중합과정의 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치과치료방식 또는 기공물제조방식에 의하여 제조하게 될 중합전 기공물(11)을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중합전 기공물(11)을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넣게 되고,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중합컵삽입공(12)에 삽입시킴으로써 라이트중합과정 또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 또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대한 대체적인 과정을 살펴보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슬라이드장공(41)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어, 기공물이 담겨진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위치됨을 컵인식스위치(15)에서 감지하여 중합기제어부(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중합컵위치단계(S02)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도 1, 도 5, 도 6, 도 8 등에서와 같이, 엘이디중합장치(10)의 중합컵삽입공(12)의 내부 안쪽에는 커넥터전원단자(13)와 함께 컵인식스위치(15)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 7과 같이 중합컵삽입공(12) 내부로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넣어 결합시키게 되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선단이 컵인식스위치(15)를 누르면서 작동하게 되고, 작동된 신호는 중합기제어부(60)로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엘이디중합장치(10)에서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삽입되어 결합되었음을 판별하게 되고, 이후 라이트중합컵(20)인지 또는 히트중합컵(30)인지 여부에 대한 점검요청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러한 점검요청신호는 커넥터전원단자(13)를 통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으로 전송하게 되고, 이에 대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서는 응답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따라서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으로부터 전송된 응답신호를 중합기제어부(60)에서 판별하게 되면 표시패널(101)의 상태표시창(109)에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3
'으로 하여 라이트중합컵이 결합되었음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표시패널(101)의 스타트버튼(102)을 누름으로써 라이트중합과정이 수행될 것이다.
또한 히트중합컵(30)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표시패널(101)의 상태표시창(109)에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4
'으로 하여 히트중합컵이 결합되었음을 나타내고, 사용자가 표시패널(101)의 스타트버튼(102)을 누름으로써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어 작동될 것이다.
이처럼 중합컵위치단계(S02)가 수행된 후 중합과정이 수행되는 것으로, 본격적인 중합과정의 수행에 앞서 중합공간이 중합을 위한 상태로 되도록 하는 사전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이에 우선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 이후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아래의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형성된 중합공간(401)이 밀폐되도록 하는 중합공간밀폐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로써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사이의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하여 내부의 중합공간(401)과 외부가 차단되어 기밀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의 중합공간(401)이 기밀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축공기가압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때 중합공간(401) 내부로 가해지는 압력은 대체로 60psi ~ 100psi 정도로 되며 약 15초 동안 압축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이후 라이트중합과정에서는 대략 5분정도,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서는 대략 25 ~ 30분 정도 고압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중합공간(401) 내부가 고압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에 담겨진 기공물(11)은 아직 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압력에 의하여 수축되어 단단하게 되고, 반면 기공물(11) 내부에 포함된 공기 등의 기공은 수축의 압력에 의하여 기공물(1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 26의 단층 사진에서와 같이 기포가 없이 깨끗한 기공물이 제조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압축공기가압단계(S04)에 의하여 중합공간(401)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42)가 작동되어 중합공간(401) 내의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광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이팅중합단계(S05)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팅중합단계(S05)에 의하여 기공물(11)이 광(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의 형태가 성형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을 여러차례 수행할 수 있으며 다수 회 라이트중합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형태를 수정하거나 보다 정교한 모양으로 기공물(11)의 형태를 잡아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라이팅중합단계(S05)를 통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의 형태가 대체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처럼 라이트중하과정에 의해 어느 정도 형태를 갖춘 기공물에 대해 이후의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서 더욱 단단하게 성형되어 제조될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라이팅중합단계(S05) 이후 기공물에 대한 엘이디광의 조광으로 광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라이팅종료단계(S06)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이트중합컵(20)이 결합되어 라이트중합과정이 수행되는 경우에는 라이팅중합단계(S05) 및 라이팅종료단계(S06)로 하는 중합과정이 이루어질 것이고, 반면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어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될 경우에는 라이팅중합단계(S05)에 더하여 라이팅종료단계(S06) 이후 히팅 과정이 더 부가되어 기공물에 대한 중합과정이 수행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합과정이 수행된 후,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배출단계(S08)가 수행될 것이다.
즉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작동부(63)의 작동으로 중합공간(401) 내에 가압되었던 압축공기가 배기호스(63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될 것이다.
그리고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사이에서 팽창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에어밀폐튜브(45)가 수축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및 중합컵삽입공(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중합공간(401)의 기공물에 대한 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중합종료단계(S09)가 수행될 것이다.
이처럼 중합종료단계(S09)를 수행함으로써 1회의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중합과정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보다 알맞은 상태의 기공물(11)이 제조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라이트중합과정 및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대해 상세한 수행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라이트중합과정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라이트중합컵(20)이 위치되도록 할 경우 중합기제어부(60)에서 라이트중합컵(2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즉 중합작동준비단계(S01)로 중합 준비가 된 상태에서, 도 1, 도 5, 도 9 등에서와 같이 라이트중합컵(20)에 기공물(11)이 담겨지도록 하는 것으로, 그에 앞서 라이트기공컵(25) 내부에 반사구슬(251)을 알맞은 정도로 채우게 된다. 그리고 반사구슬(251) 위로 기공물(11)을 놓은 상태에서, 라이트기공컵(25)을 라이트중합컵(20)의 시료중합컵(22) 내부로 담게 된다.
이후 시료중합컵(22)의 전면에 있는 중합케이스(24)의 손잡이(241)를 잡아 들어 엘이디중합장치(10)의 중합컵삽입공(12)에 서서히 삽입하게 된다.
이때 라이트중합컵(20)의 상부 가장자리를 둘러 날개처럼 돌출된 레일가이드(21)가 중합컵삽입공(12) 상부에 설치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슬라이드장공(41)에 맞추어 서서히 슬라이드 시키면서 삽입하게 된다.
이렇게 삽입되는 중에 중합컵삽입공(12) 안쪽의 커넥터전원단자(13)와 라이트중합컵(20)의 커넥터(23)가 서로 결합되고, 아울러 라이트중합컵(20) 선단이 컵인식스위치(15)를 누르게 되어 라이트중합컵(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이에 컵인식스위치(15)에 의한 신호는 중합기제어부(60) 측으로 전송되어 중합컵이 중합컵삽입공(12)에 결합되었음을 판별하게 되고, 이후 어떤 중합컵이 삽입되었는지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응답요청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에 응답요청신호는 커넥터전원단자(13) 및 커넥터(23)를 거쳐 라이트중합컵(20) 저부의 회로에 전송되어 라이트중합컵(20)의 회로에서는 라이트중합컵(20)임에 대한 응답신호를 회신하게 된다. 따라서 중합기제어부(60) 측에서는 응답신호를 판별하여 라이트중합컵(20)이 결합되었음으로 하여 판별하게 되고, 이에 의하여 표시패널(101)의 상태표시창(109)에는 라이트중합컵(20)이 삽입된 것으로 하여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5
'가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점등 또는 점멸점등되도록 하여 라이트중합과정의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표시해줌으로써, 라이트중합컵(20)이 중합컵삽입공(12)에 결합되도록 하는 중합컵위치단계(S02)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에 사용자는 스타트버튼(102)을 누름으로써 라이트중합과정이 진행되게 된다.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에서는 우선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으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점등되고,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아래의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내부로 형성된 중합공간(401)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상부 사이에 위치된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하여 내부의 중합공간(401)과 외부가 차단되어 기밀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이트중합컵(20)이 위치된 상태의 중합공간(401)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압축공기가압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내부의 중합공간(401)이 기밀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로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여 에어가압부(46)를 통하여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중합공간(401) 내부 및 기공물(11)에 가해지는 압력은 대체로 60psi ~ 100psi 정도로 되며 약 15초 동안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이후 라이트중합과정에서는 대략 5분정도로 고압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고압상태를 유지하면서 엘이디램프에 의한 광조사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중합공간(401) 내부가 고압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라이트중합컵(20) 내에 담겨진 기공물(11)은 아직 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고압의 압력에 의하여 밀집되어 단단하게 되고, 반면 기공물(11) 내부에 포함된 공기 등의 기공은 압력에 의하여 기공물(1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는 것으로, 고압상태의 기공물(11)에서는 기포가 없이 깨끗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공기가압단계(S04)에 의하여 중합공간(401)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42)가 작동되어 중합공간(401) 내의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라이트광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이팅중합단계(S05)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팅중합단계(S05)에 의하여 기공물(11)이 광(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의 형태가 서서히 성형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을 여러 차례 수행할 수 있으며 다수 회에 걸쳐 라이트중합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형태를 수정하거나 보다 정교한 모양으로 기공물(11)의 형태를 잡아나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라이팅중합단계(S05)를 통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의 형태가 대체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이처럼 라이트중하과정에 의해 기공물(11)이 어느 정도 형태를 갖도록 하여 라이트중합과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따라서 엘이디램프(42)의 발광을 종료하는 라이팅종료단계(S06)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라이트중합과정이 수행된 후,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배출단계(S08)가 수행될 것이다. 즉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작동부(63)의 작동으로 중합공간(401) 내에 가압되었던 압축공기가 배기호스(63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사이에서 팽창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던 에어밀폐튜브(45)가 수축되도록 하여 라이트중합컵(20)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및 중합컵삽입공(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중합공간(401)의 기공물에 대한 라이트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중합종료단계(S09)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합종료단계(S09)에 의하여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꺼지도록 하고, 반면 'FINISH'표시부(107)가 점등되도록 하여 라이트중합과정이 종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은 아주 단단한 완성물은 아니더라도, 기공이 없이 깨끗한 상태의 형태를 갖추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라이트중합과정을 거친 기공물(11)을 라이트중합컵(20)으로부터 꺼내어 이후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즉 이러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은,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히트중합컵(30)이 위치되도록 하여 중합기제어부(60)에서 히트중합컵(3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에 더하여, 상기 라이팅종료단계(S06) 이후 가열중합단계(S07)가 더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을 좀더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앞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성형된 기공물(11)을 라이트중합컵(20)에서 꺼내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 내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에 앞서 히트중합컵(30)에는 기공물(11)이 위치되도록 하는 히트기공담체(35)에 담아 기공물(11)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히트기공담체(35)에는 많은 구멍이 뚫려 있어, 수분이 잘 빠지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기공물(11)을 히트중합컵(30) 내에 위치시키기 전에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 내부에 물을 채우게 된다. 그리고 수분 속의 산소와 기공물(11) 사이의 작용을 방지하기 위하여 물에 산소흡착제(Oxygen Scavenger)를 투여하게 된다. 이는 기공물에 대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 중에 물속에 있는 산소에 의해 기공물 표면 상태가 변화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물이 포함된 상태에서 고온고압의 상태로 하여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더욱 단단하고 양호한 상태의 기공물이 성형될 것이다.
이를 위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에 산호흡착제가 투여된 물 속으로, 기공물(11)이 담겨진 히트기공담채(35)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러한 히트중합컵(30)을 엘이디중합장치(10)의 중합컵삽입공(12)으로 슬라이드 결합하여 중합컵위치단계(S02)를 수행하게 된다.
이처럼 히트중합컵(30)에 대한 중합컵위치단계(S02) 중에 히트중합컵(30)의 선단이 중합컵삽입공(12) 내의 컵인식스위치(15)를 누르게 되어, 이에 대한 신호가 중합기제어부(60)로 전송되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중합컵위치단계(S02) 중에 커넥터전원단자(13)와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33)가 결합되는 것으로,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결합된 중합컵에 대한 응답요청신호를 발신하게 된다.
이러한 응답요청신호는 커넥터전원단자(13) 및 커넥터(33)를 통하여 히트중합컵(30) 저부의 회로에 전송되고, 히트중합컵(30) 저부의 회로에서는 히트중합컵(30)임에 대한 응답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중합컵삽입공(12)에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었음으로 하여 판별하게 된다.
이처럼 중합기제어부(60)에서 중합컵삽입공(12)에 삽입된 것이 히트중합컵(30)으로 판별될 경우에는, 표시패널(101)의 상태표시창(109)에 '
Figure PCTKR2011006735-appb-I000006
'으로 하여 히트중합컵이 결합되었음을 나타내게 되고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점등 또는 점멸점등되도록 하여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대한 준비를 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표시패널(101)의 스타트버튼(102)을 누름으로써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어 작동될 것이다.
이러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서는 앞선 라이트중합과정에서처럼 중합공간밀폐단계(S03)가 수행되는 것으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점등되고,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아래의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히트중합컵(30) 내부로 형성된 중합공간(401)이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써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히트중합컵(30) 상부 사이에 위치된 에어밀폐튜브(45)에 의하여 내부의 중합공간(401)과 외부가 차단되어 기밀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처럼 히트중합컵(30)이 위치된 상태의 중합공간(401)이 외부와 차단된 상태에서 압축공기가압단계(S04)가 수행되는 것이다.
즉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히트중합컵(30) 내부의 중합공간(401)이 기밀되어 밀폐된 상태에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로 에어작동부(63)가 작동하여 에어가압부(46)를 통하여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중합공간(401) 내부 및 기공물(11)에 가해지는 압력은 대체로 60psi ~ 100psi 정도로 되며 약 15초 동안 압축공기가 유입된다. 이후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서는 대략 25분 내지 30분 정도로 고압상태가 유지되는 것으로, 고압상태를 유지하면서 엘이디램프에 의한 광조사 과정, 그리고 이후 히터 작동에 의한 가열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이처럼 중합공간(401) 내부가 고압상태를 갖게 됨으로써, 히트중합컵(30) 내에 담겨진 기공물(11)은 고압의 압력에 의하여 밀집되어 단단하게 되고, 또한 기공물(11) 내에 포함된 공기 등의 기공은 압력에 의하여 기공물(11)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기포가 없는 깨끗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공기가압단계(S04)에 의하여 중합공간(401)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42)가 작동되어 중합공간(401) 내의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는 라이팅중합단계(S05)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라이팅중합단계(S05)에 의하여 기공물(11)이 광(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라이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의 형태가 어느 정도 성형되는 것이다.
이후 엘이디램프(42)의 발광을 종료하는 라이팅종료단계(S06)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엘이디램프(42)에 의한 광중합과정이 완료되고 고압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히트중합과정을 더 거치게 되는 가열중합단계가 수행하게 되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진행된다.
즉 가열중합단계(S07)는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공급부(64)에서 커넥터전원단자(13)와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33)를 통하여 히터가열부(342)에 전기가 공급되어 가열작동이 진행된다. 따라서 히트중합컵(30) 저부의 히터가열부(342)가 가열작동되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이 가열되어 기공물(11)에 대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가열작동으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히트중합컵(30)으로 하여 형성된 중합공간(401) 내에는 히터가열부(342)에 의한 가열작동으로 고온 상태가 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 내의 물은 가열되어 고온상태가 되는 것이다.
특히 중합공간(401) 내부는 고압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시료중합컵(32) 내의 물이 빠르게 고온으로 가열되며, 이에 대체로 80도씨 ~ 100도씨 정도의 고온상태를 갖게 된다.
이처럼 시료중합컵(32) 내의 물이 고온이면서 고압상태를 갖기 때문에, 그 내부에 포함된 기공물(11)도 고온고압의 물이 둘러싸여 있어 히트중합과정이 수행되어, 더욱 단단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리고 히트중합과정을 수행하는 중에 히트중합컵(30) 또는 히터가열부(342) 및 엘이디중합장치(10) 내부가 고온으로 과열된 것으로 판별하게 되면,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로 냉각팬(14)이 작동되도록 하여 과열된 것이 안정되도록 냉각작용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히트중합과정의 고온고압 상태가 대략 15분 정도 유지되도록 한 후 히트중합과정을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즉 우선 히터가열부(342)에 공급되던 전기의 공급을 차단하게 되어 더 이상 가열되는 것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너무 고온으로 된 상태일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위해가 없는 정도가 될 수 있도록 냉각팬(14)이 작동되도록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배출단계(S08)가 수행된다. 즉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작동부(63)의 작동으로 중합공간(401) 내에 가압되었던 압축공기가 배기호스(632)를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
또한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사이에서 팽창으로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던 에어밀폐튜브(45)가 수축되도록 하여 히트중합컵(30)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및 중합컵삽입공(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중합공간(401)의 기공물에 대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중합종료단계(S09)가 수행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중합종료단계(S09)에 의하여 중합기제어부(60)에서는 표시패널(101)의 'RUN'표시부(106)가 꺼지도록 하고, 반면 'FINISH'표시부(107)가 점등되도록 하여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종료되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라이트히트중합과정에 의하여 기공물(11)은 아주 단단한 상태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일실시예를 기재한 것이므로, 상기 실시예의 기재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6)

  1. 기공물(11)이 담겨지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결합되어 중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된 엘이디중합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엘이디중합장치(10)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삽입되는 중합컵삽입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의 내부 상측으로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슬라이딩되면서 삽입결합되는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날개 형상으로 돌출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슬라이드결합되도록 구비된 레일가이드(21)(31)가 형성되고,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는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슬라이드삽입되고 단면형상이 'ㄷ'자 형상의 홈을 이루는 슬라이드장공(41)이 형성되어, 슬라이드장공(41) 부분의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가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상부 일측으로는 엘이디램프(42)가 결합되어 엘이디램프(42)에서 발광되는 엘이디광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중앙의 투광부(43)로 비춰져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에 위치된 기공물(11)에 비춰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투광부(43) 주변으로 에어밀폐튜브(45)가 구비되어 에어밀폐튜브(45)의 팽창에 의하여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상부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구비되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고압의 공기압이 가해지도록 하는 에어가압부(46)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22)(32)은 텅스텐이 포함되어 구비되며,
    상기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는 텅스텐이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23)(33)와 연결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전기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커넥터전원단자(13)가 구비되고,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은 기공물(11)이 담겨지는 시료중합컵(22)(32)을 감싸고 전방에 손잡이(241)(341)가 결합된 중합케이스(24)(34)가 구비되며,
    상기 히트중합컵(30)의 저부에는 전기에 의해 가열되는 히터가열부(342)가 구비되어 기공물에 대한 가열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중합컵삽입공(12) 내부 저부에는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14)이 구비되며,
    상기 라이트중합컵(2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고, 기공물(11)의 아래로 반사구슬(251)이 포함되도록 하는 라이트기공컵(25)이 구비되고,
    상기 히트중합컵(30)의 내부에 담겨지는 기공물(11)이 담겨지는 히트기공채(3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에 담겨지는 기공물(11)에 대한 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엘이디중합장치(10)를 제어하고, 온도감지센서(62)로부터 수신된 감지신호가 과열로 판별될 경우에는 냉각팬(14)이 작동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결합된 신호를 컵인식스위치(15)로부터 전송받도록 하는 중합기제어부(60)가 구비되고,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엘이디램프(42)가 발광작동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는 엘이디작동부(61)가 구비되며,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하도록 하고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압축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에어작동부(63)가 구비되고,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기를 공급하고 상기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를 받아 커넥터전원단자(13)와 커넥터(33)를 통하여 히트중합컵(30)의 히터가열부(342)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가열부(342)가 가열되도록 하는 전원공급부(6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
  5. 엘이디중합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파워스위치(71)의 작동으로 엘이디중합장치(10)에 전원이 공급되어 중합작용을 준비하게 되는 중합작동준비단계(S01);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의 레일가이드(21)(31)가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의 슬라이드장공(41)을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어, 기공물이 담겨진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컵삽입공(12)에 위치됨을 컵인식스위치(15)에서 감지하여 중합기제어부(60)로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중합컵위치단계(S02);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 이후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아래의 에어밀폐튜브(45)가 팽창되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로 형성된 중합공간(401)이 밀폐되도록 하는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에 의하여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내부의 중합공간(401)이 밀폐된 상태에서 중합공간(401)으로 압축공기가 주입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압축공기가압단계(S04);
    상기 압축공기가압단계(S04)에 의하여 중합공간(401) 내부로 압축공기가 주입된 상태에서 엘이디램프(42)가 작동되어 중합공간(401) 내의 기공물(11)에 엘이디광이 비춰지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광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라이팅중합단계(S05);
    상기 라이팅중합단계(S05) 이후 기공물에 대한 엘이디광의 조광으로 광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라이팅종료단계(S06);
    중합공간(401)에 주입되었던 압축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기공물(11)에 대한 가압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와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 사이에서 팽창되어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에어밀폐튜브(45)가 수축되어 라이트중합컵(20) 또는 히트중합컵(30)이 중합슬라이드체결부(40) 및 중합컵삽입공(12)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중합공간(401)의 기공물에 대한 중합과정이 종료되도록 하는 중합종료단계(S09);
    가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의 제어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작동준비단계(S01)는 부저음 발생과정, 냉각팬 체크과정, 표시엘이디 점멸 점검과정, 표시창 점멸 점검과정이 포함된 작동준비과정이 수행되도록 하고,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라이트중합컵(20)이 위치되도록 할 경우 중합기제어부(60)에서 라이트중합컵(2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라이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상기 중합컵위치단계(S02)에서 중합컵삽입공간(12)에 히트중합컵(30)이 위치되도록 할 경우 중합기제어부(60)에서 히트중합컵(30)의 결합으로 판별하여, 상기 중합공간밀폐단계(S03), 압축공기가압단계(S04), 라이팅중합단계(S05), 라이팅종료단계(S06), 압축공기배출단계(S08), 중합종료단계(S09)가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함에 더하여, 상기 라이팅종료단계(S06) 이후 가열중합단계(S07)가 더 수행되는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가열중합단계(S07)는 중합기제어부(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전원공급부(64)에서 커넥터전원단자(13)와 히트중합컵(30)의 커넥터(33)를 통하여 전기가 공급되도록 하여, 히트중합컵(30) 저부의 히터가열부(342)가 가열작동되어 히트중합컵(30)의 시료중합컵(32)이 가열되어 기공물(11)에 대한 라이트히트중합과정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이디중합장치의 제어방법.
PCT/KR2011/006735 2010-09-13 2011-09-09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2036441A2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1800438701A CN103096832A (zh) 2010-09-13 2011-09-09 Led聚合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260 2010-09-13
KR20100089260A KR101170101B1 (ko) 2010-09-13 2010-09-13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441A2 true WO2012036441A2 (ko) 2012-03-22
WO2012036441A3 WO2012036441A3 (ko) 2012-06-28

Family

ID=4583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1/006735 WO2012036441A2 (ko) 2010-09-13 2011-09-09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170101B1 (ko)
CN (1) CN103096832A (ko)
WO (1) WO2012036441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0438A1 (it) * 2017-03-20 2018-09-20 Effegi Brega S R L Metodo e apparato per polimerizzare o reticolare una composizione dentale
WO2020040039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重合装置
JP2020033392A (ja) * 2018-08-27 2020-03-05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重合装置
RU2759656C1 (ru) * 2018-08-24 2021-11-16 Токуяма Дентал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меризаци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VI20130302A1 (it) * 2013-12-19 2015-06-20 Ettore Maurizio Costabeber Cartuccia perfezionata per macchina stereolitografica, macchina stereolitografica adatta ad accogliere tale cartuccia perfezionata e metodo di impiego di tale cartuccia perfezionata
EP3195828B1 (en) * 2014-09-10 2020-05-06 GC Corporation Polymerizing device for dental technical work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3A (ja) * 1993-03-26 1994-10-04 Molten Corp 歯科用光重合器
JPH08173459A (ja) * 1994-12-21 1996-07-09 Morita Tokyo Seisakusho:Kk 可視光重合性歯科修復部材硬化用の光重合装置
KR200330106Y1 (ko) * 2003-07-31 2003-10-11 윤창남 진공광중합장치
JP3144409U (ja) * 2008-06-17 2008-08-28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歯科技工用光重合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76917A (zh) * 1997-09-25 2000-12-13 布里斯托尔大学 光学辐照装置
KR200286884Y1 (ko) 2002-05-21 2002-08-24 (주) 베리콤 다중 광중합 장치
JP2005169034A (ja) 2003-12-08 2005-06-30 Shiyoufuu:Kk 歯科用近赤外線照射式重合装置
DE102005019386B4 (de) * 2005-04-26 2010-07-29 Ivoclar Vivadent Ag Gerät zum Polymerisieren von polymerisierbarem Dentalmaterial sowie Verfahren zur Bestimmung des Polymerisationsgrade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7233A (ja) * 1993-03-26 1994-10-04 Molten Corp 歯科用光重合器
JPH08173459A (ja) * 1994-12-21 1996-07-09 Morita Tokyo Seisakusho:Kk 可視光重合性歯科修復部材硬化用の光重合装置
KR200330106Y1 (ko) * 2003-07-31 2003-10-11 윤창남 진공광중합장치
JP3144409U (ja) * 2008-06-17 2008-08-28 株式会社モリタ東京製作所 歯科技工用光重合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700030438A1 (it) * 2017-03-20 2018-09-20 Effegi Brega S R L Metodo e apparato per polimerizzare o reticolare una composizione dentale
EP3378435A1 (en) * 2017-03-20 2018-09-26 Effegi Brega S.r.L. Method and apparatus for polymerizing or cross-linking a dental composition
WO2020040039A1 (ja) * 2018-08-24 2020-02-27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重合装置
RU2759656C1 (ru) * 2018-08-24 2021-11-16 Токуяма Дентал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имеризации
US11413597B2 (en) 2018-08-24 2022-08-16 Tokuyama Dental Corporation Polymerization apparatus
JP2020033392A (ja) * 2018-08-27 2020-03-05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重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36441A3 (ko) 2012-06-28
CN103096832A (zh) 2013-05-08
KR101170101B1 (ko) 2012-07-31
KR20120027601A (ko) 2012-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2036441A2 (ko) 엘이디중합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WO2014073913A1 (en) Lighting apparatus having communication module
WO2017065545A1 (en) Compact light emitting diode chip and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8135857A1 (en) Water purifier
WO2020153826A1 (ko) 전기 주전자
WO2021215741A1 (ko) Led칩 전사용 감광성 전사 수지, 그 감광성 전사 수지를 이용한 led칩 전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 방법
WO2013069924A1 (en) Light emitting device
WO2013036070A2 (en)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control method
WO2021100960A1 (ko) 레이저 리플로우 장치 및 레이저 리플로우 방법
WO2021101172A1 (ko) 의류 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18032681A1 (zh) 蓝牙配对方法及蓝牙设备
WO2016076650A1 (ko) 펠티어소자에 의해 치과용 매트리얼을 가열하는 치과용 매트리얼 가열주입기
WO2014126410A1 (ko) 식품용기포장장치 및 이의 사용방법
WO2013077706A1 (ko) 경화성 조성물
WO2017181503A1 (zh) 显示终端背光亮度调节方法、装置及电视机
WO2021006512A1 (ko) 온열감을 제공할 수 있는 마사지 유닛을 포함하는 마사지 장치
WO2016011967A1 (zh) 用于工业检测的led 光源
WO2020011056A1 (zh) 智能控制装置及其实现方法、智能电视
WO2015046850A1 (ko) 조명 장치
WO2022060133A1 (ko)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이미지 처리 방법
WO2016037387A1 (zh) 一种无基板led灯及其制备方法
WO2018016918A1 (ko) 튜브형 엘이디 조명 장치
WO2021177650A1 (ko)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필름
WO2018101542A1 (ko) 다결정 형광막 및 그 제조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차량 램프 장치
WO2011004966A2 (ko)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장치 및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80043870.1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1825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in: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182540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