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2131579A1 - 치간 칫솔질 잇솔 - Google Patents

치간 칫솔질 잇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2131579A1
WO2022131579A1 PCT/KR2021/016835 KR2021016835W WO2022131579A1 WO 2022131579 A1 WO2022131579 A1 WO 2022131579A1 KR 2021016835 W KR2021016835 W KR 2021016835W WO 2022131579 A1 WO2022131579 A1 WO 202213157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oothbrush
brushing
handle
fitting hole
toothbrush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683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유나
박일홍
Original Assignee
이유나
박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유나, 박일홍 filed Critical 이유나
Publication of WO202213157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213157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95Removable or interchangeable brush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specially shaped for holding by the hand
    • A46B5/026Grips or handles having a nonslip 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Definitions

  • the brushing stroke up and down with the teeth sandwiched between the second teeth should be natural and easy, and the teeth of the third dental plate should be at an angle of 40 to 140 degrees. It relates to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having a structure having a
  • this is an interdental toothbrush for brushing teeth with teeth at 40-80 degrees, and brushing with teeth at 90-140 degrees, brushing with bristles that fit in the interdental gap. It is structured to be separated from the handle of the toothbrush stem, and the attachment and separation of the toothbrush head from such a toothbrush head relates to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having a magnetic feature.
  • the conditions of a toothbrush for correct brushing are: first, it should be easy to insert teeth between the teeth, second, a functional structure that allows for natural and easy brushing strokes up and down with the teeth inserted in the interdental space, and third, brushing with an appropriate intensity according to age and tooth condition. It should be a toothbrush having another functional structure that can guide the
  • T-shaped toothbrush was disclosed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42592 to facilitate brushing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 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shaped toothbrush, the configur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1) and the brush body (4) in which the teeth are implanted are coupled in a T-shape.
  • the conventional T-shaped toothbrush can be easily brush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but when the teeth are internalized, the interdental brushing of the interdental space, especially the lateral gap of the second molar (major tooth) and the upper and lower incisors, is a T-shaped that is bent at 90 degrees. Interdental brushing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due to the structure of the teeth.
  • handle 1 and the brush body (head, 4) are integrally fixed, it may cause damage to the gums and damage to the gums due to excessive brushing, as shown in FIG. 6 .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movable toothbrush, the configuration of which is a brush portion having a handle portion 100 having an insertion hole 120 formed on one side and a fitting portion 310 fitted to the insertion hole 120 on the other side ( 300) is included.
  • the fitting portion 310 is fitted into the insertion hole 120 , so that the brush portion 300 provided with the bristles from the handle portion 100 can be separated or combined to be used.
  • the bristles formed on the brush unit 300 can be selectively utilized in a vertical or horizontal (T-shaped) shape.
  • the handle part 100 and the brush part 300 are detachable from each other so that the direction of the hair can be selectively used, but simply, the brush part 300 from the handle part 100. ), it is impossible to brush the left and right molar side interdental gaps due to the 90-degree right angle structure between the handle and the brush. There is no functional solution structure in place.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order to meet the above need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irst, the teeth of a 40-80 degree inclined coupling structure, which makes it easy and convenient to insert teeth into the interdental gap, and second, 90 A structure with a function to easily and naturally perform up and down brushing strokes with ridges inclined at an angle of ⁇ 140 degrees, a structure with a function of guiding brushing of 200 ⁇ 500gf strength depending on age and tooth condition, and a fourth structure with excessive strength of 500gf or more.
  • This is an interdental toothbrush with a structure in which the toothbrush head is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when brushing.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othbrush handle that functions as a handle; And one side is provided with teeth in the form of a slope from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other side is a toothbrush head that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handle of the toothbrush handle.
  •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easy brushing by inserting dental hairs in the interdental gap, which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with teeth at an angle of 40 to 80 degrees. can be done easily and naturally, thirdly, it can guide the brushing of 200 ⁇ 500gf according to the user's age and tooth condition, and fourthly, when brushing with excessive intensity of 500gf or more, the toothbrush head is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so that the tooth condition and interdental We provide customized brushing to suit the size, shape and shape of the crevice.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ustomized brushing structure suitable for teeth. It is a replaceable toothbrush structure in which a toothbrush head with an internal tooth surface of 40 to 80 degrees and a toothbrush head with an external tooth surface of 90 to 140 degrees are exchanged for brushing using a single toothbrush handle.
  •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es can perform customized brushing even for malocclusion teeth as shown in Fig. 7, including occlusion teeth and crooked teeth, and can be used to fill the interdental gap between the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of the second molars (major teeth) and the incisors, which was difficult with the conventional toothbrush structure. It is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with structural features of an angle that can be brushed.
  • a toothbrush to remove hundreds of millions of bacterial plugs and plaqu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cay and food debris remaining in the interdental space between teeth after ingestion of food must be equipped with a function to insert dental floss in the interdental space and brush.
  • the toothbrush is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of the present invention.
  •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T-shaped toothbrush.
  •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removable toothbrush.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brush head is separated from a toothbrush handle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rea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diagram of a malocclusion tooth (super tooth).
  • FIG. 8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magnetic strength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magnetic strength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brush handle and a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bonding for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cking protrusion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rea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brush handle and a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5 is a rear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brush handle and a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8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rst fitting hole 112 second fitting hole
  • one-way locking jaw 116 one-way locking groove
  • first coupling part 200 toothbrush head
  • skirt plate 211 skirt
  • fitting portion 221 locking projection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dental plaque 210 having bristles 211 on one side of the toothbrush head 200 is inclined, and the toothbrush head 200 is magnetic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toothbrush head 200 is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to protect the gums. it's about
  • Proper brushing refers to the cleaning of teeth by using a toothbrush to remove not only the outer surface of the teeth, but also the residues remaining between the teeth in the gaps between the teeth, and numerous bacterial plugs and plaqu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decay.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othbrush head 200 provided with the bristles 211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is magnetically attached and detached,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bristles 211 ) by making the angle of 40 degrees to 140 degrees, it is possible to customize brushing according to various dental conditions that are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itable angle for fitting the teeth 211 between teeth in the gap between the teeth so as to use the slanted bristles 211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dental conditions so that correct brushing is possible.
  • a suitable angle for fitting the teeth 211 between teeth in the gap between the teeth so as to use the slanted bristles 211 according to the user's individual dental conditions so that correct brushing is possible.
  •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ead is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ack side of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icture of cervical wear due to excessive brushing
  • FIG.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magnetic strength is configured differently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It is a back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mote correct brushing by allowing the toothbrush head 200 to be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according to the brushing intensity, including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is composed
  • the toothbrush head 200 is detachable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the toothbrush head 200 can be free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various dental conditions such as the user's age, tooth condition, tooth shape, and dental health. , to enable personalized toothbrushing.
  • the toothbrush handle 100 performs a handle function that a user can hold, and includes a fitting hole 110 , an arm coupling part 120 , and a direction maintaining groove 130 .
  • the toothbrush handle 100 has a fitting hole 110 for connection with a toothbrush head 200 to be described later on one side, and a long rod shape on the other side to perform a handle function.
  • the toothbrush handle 100 is preferably made of one or more selected from precious metals, metals, non-ferrous metals, wood or synthetic resins and plastics.
  • the toothbrush handle 100 may be formed the same as o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conventional toothbrush handles of various type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hape and configuration of the portion functioning as the handle of the toothbrush handle 100 .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 respect to
  • the long axis length of the toothbrush handle 100 may be made smaller than the left and right lengths of the user's palms.
  • fitting hole 110 is formed in a form that is dug inward at one end of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fitting hole 110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is coupled to the inner space, and the fitting part 220 of the toothbrush head 20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 the fitting hole 110 may be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jor axis.
  •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ace where the fitting hole 110 is formed, and is made of a magnet having a magnetism.
  •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When the fitting part 220 of the toothbrush head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hole 110,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includes a male coupling part 230 of a metallic material provided in the fitting part 220 and By being magnetically coupled,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maintained in a magnetically coupled state.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 ( 240) performs a function to be inserted.
  • the direction maintaining groove 130 and the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 240 are formed in pairs on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respectively,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toothbrush head 200 is prevented from being rot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ir 211 is directed is fixed for brushing. Convenience can be provided.
  • One side of the toothbrush head 200 is provided with a dental plate 210 having bristle 211 implanted therein, and the other side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toothbrush handle 100, the dental plate 210, the fitting part 220, and the male couplin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portion 230 and a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 240 .
  • Dental plate 210 is to perform a function for brushing the teeth 211 is implanted,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s made of a T-shape (horizontal type).
  • the toothbrush head 200 is detachable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only the toothbrush head 200 is replaced with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dental plaque 210, that is, the dental hairs implanted in the dental plate 210 ( 211) makes it possible to use a toothbrush with various angles.
  • the angle at which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dental plate 210, that is, the teeth 211, protrude can be selectively adjusted due to the use of different toothbrush heads 200. .
  • the angle formed by the bristles 211 from the toothbrush head 200 may be configured to be made within the range of 40° to 140°.
  • the angle of the teeth 211 for brushing the inner tooth surface is made of 40 ° to 80 °
  • the angle of the teeth 211 for brushing the external tooth surface can be configured to be made within the range of 100 ° to 140 °. .
  • the toothbrush head 200 is replaced and used in the toothbrush handle 100, by selectively using the dental plate 210 made of various angles, customized brush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size, shape, position, etc. of various teeth. do.
  • the angle formed by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teeth 211 for brushing the inner tooth surface may be made of 45°, and the toothbrush head 200 for brushing the outer tooth surface and the teeth 211 form The angle may be 135°.
  •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teeth 211 for brushing the inner tooth surface of Ogni may be made of 4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for brushing the outer tooth surface of Ogni and the teeth 211 form The angle may be made of 140°.
  • the angle formed by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teeth 211 for brushing the inner tooth surface of the denture may be made of 75°,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nd the bristle 211 for brushing the external tooth surface of the denture may be The formed angle may be 105°.
  • the fitting portion 22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on the other side so as to be fitted into the fitting hole 110 formed in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fitting portion 220 is formed to have a circular cross section in the long axis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tting hole 110 , and a male coupling portion 230 to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other end thereof.
  • the male coupling part 23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tting part 220 , and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having a magnetism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tting hole 110 .
  • the male coupling part 23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nd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tting part 220 .
  •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having a magnetism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itting hole 110 is magnetically coupled to the male coupling part 230 made of a metal material. Coupled to this,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maintained in a coupled state.
  • the male coupling part 230 may be configured by being fastened to the end of the fitting part 220 made of a screw-threaded bolt (piece).
  • the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 24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on the other side of the toothbrush head 200 and is inserted into the direction maintaining groove 130 of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 240 is preferably formed in a pair on each of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a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 the toothbrush head 200 is prevented from rotating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hair 211 is directed By fixing it, it is possible to provide convenience according to brushing.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magnetically coupled through a female coupling part 120 having a magnetic and a male coupling part 230 made of a metal material.
  • the coupled state is maintained, but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when a specific force, that is,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the binding force by magnetism is applied.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separated, thereby inducing the user to brush with the correct force and protecting the gums.
  • the specific force means a force for separating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in the process of brushing by the user.
  • it means the force that separates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that are magnetically coupled, and is greater than the magnetic force for maintain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is maintained, and conversely, a specific
  • the toothbrush head 200 By allowing the toothbrush head 200 to be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when an external force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force is applied, the purpose of this is to prevent damage to the gums due to brushing by strong force.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separated, and teeth from 6 years old to 13 years old
  • a specific force of about 300 gf or more is applied,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separated.
  • the separation force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age of the user or the condition of the teeth or gums, thereby enabling customized brushing.
  •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detachably attached to each other by magnetism, and a configuration having a different coupling force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 the user can selectively use toothbrushes having different bonding strengths in consideration of age or tooth condition, thereby enabling customized brushing.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coupled with a greater coupling force. is maintained so that it can be used by adolescents, adults, or healthy teeth, and as shown in FIG. By carrying it, it can be used in infants, the elderly, or weak teeth.
  • FIG. 10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 FIG. 12 is a side view showing the difference in bonding for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locking protrusion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tting hole 110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 the first fitting hole 111 formed on one side, the first fitting hole 111 formed on one side, and the first fitting hole formed on the other side by extending the first fitting hole 111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two fitting holes (112).
  • the inner diameter b 1 of the first fitting hole 111 may be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b 2 of the second fitting hole 112 .
  • the first fitting hole 111 is formed with a locking groove 113 at the other end.
  • the locking groove 113 is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fitting hole 111 and the second fitting hole 11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do.
  • first fitting hole 1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locking groove 113 has a ring-shaped locking jaw 114 that protrudes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first fitting hole 111 .
  • the locking jaw 114 and the locking groove 113 are to prevent the fitting part 220 from being easily separated by being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13,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to maintain the bonding force between each other.
  • the locking projection 221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and 11 , it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20 so as to be seated in the locking groove 113 .
  • the locking protrusions 221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20 , and may be formed in pluralit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tting part 220 .
  • the number of locking projections 221 or the depth at which the locking projections 221 engage with the locking groove 113 are configured differently so that the coupling force can be selectively configured differently, and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 200) can be set differently.
  • the coupled state with a smaller coupling force is maintai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infants, the elderly, or weak teeth. It can be used, and as the number of the locking projections 221 increases,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rong bonding force, so that it can be used in adolescents, adults, or healthy teeth.
  • the coupling force may be adjusted differently.
  • FIG. 13 is a rear cross-sectional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rear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5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n the back side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tting hole 110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fitting hole 111 and a second fitting hole 112, and the first fitting hole 111 is a one-way locking jaw 115 and a one-way locking hol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groove 116 , and the second fitting hole 112 may include a one-way locking protrusion 222 fitted in the one-way locking groove 116 .
  • the one-way locking jaw 115 is formed in an open shape on one side of the first fitting hole 111 , that is,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fitting hole ( b 1 )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 b 2 ) of the second fitting hole ( 112 ), and the one-way locking jaw 115 is the first fitting hole ( 115 ). It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half ring protruding toward the central axis of the hole 111 .
  • the one-way locking groove 116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one-way locking jaw 115 to provide a space in which the one-way locking protrusion 222 is fitted and seated.
  • the one-way locking projection 222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3 , and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ly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tting part 220 so as to be seated in the one-way locking groove 116 .
  • the one-way locking protrusion 222 is seated in the one-way locking groove 116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thbrush head 200 is coupled with respect to the toothbrush stem handle 100 so that it is caught in the one-way locking jaw 115 or It can be adjusted to be located in the first locking groove (113).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 the one-way locking protrusion 222 is one-way locking groove 116.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coupled so as to be seated on the In order to be used in adults or healthy teeth, as shown in FIG. 15, the toothbrush head 200 is rotated 180° again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so that the one-way locking protrusion 2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fitting hole 111.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coupled to maintain the state,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coupled only by magnetism to maintain a lower coupling force, so that in infants, the elderly or weak teeth. can make it usable.
  • FIG. 16 is an exploded side view of an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toothbrush handle and a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 brus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8 is a partial sid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toothbrush handle and the toothbrush head are coupled in the interdental brushing toothbrush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first coupling part 131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provided,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241 corresponding thereto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one of the pair of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s 240 selected from among the pair of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s 240 .
  •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41 may be both made of a magnet or made of a single magnet and a single metal to enable magnetic coupling.
  •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41 are made of one magnet and one metal
  • the first coupling part 131 provided in the toothbrush handle 100 is made of a magnet.
  • the second coupling part 241 provided in the toothbrush head 200 which is easily replaced and replaced may be made of metal.
  • the first coupling part 131 is provided only in one direction maintenance groove 130 selected from among the pair of direction maintenance grooves 130
  • the second coupling part 241 is a pair of direction maintenance protrusions 240 .
  • the fact that only one of the selected direction maintaining protrusions 240 is provided is to have different coupling forc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toothbrush head 200 is coupl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
  •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can be selectively adjusted.
  • the toothbrush head 200 is rotated 180°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to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 241) is magnetically attached to each other, so it can be used in adolescents, adults, or healthy teeth because stronger bonding force is maintained by adding to the magnetic coupling force of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and the male coupling part 230, 18, when the toothbrush head 200 is rotated again 180°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so that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4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toothbrush handle (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because only the magnetic coupling force of the female coupling part 120 and the male coupling part 230 is maintained, a relatively low coupling force is maintained so that it can be used in infants, the elderly, or weak teeth. have.
  • the dental plaque 210 provided with bristles 211 on one side of the toothbrush head 200 is formed in a T-shape to enable vertical brushing rather than conventional horizontal brushing, so that the brushing time is longer. Reduces the risk of tooth decay and allows for cleaner brushing.
  • the dental plaque 210 is formed in a shape inclined at 40° to 140°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internal tooth brushing, external tooth brushing, left and right tooth brushing, and upper tooth brushing are possible, and further, It enables customized brushing according to the shape of various teeth, such as overgrowth, overgrowth, and crooked tooth. That is, by making the dental hair 211 fit between the teeth in the gap between the teeth according to the various shapes of the teeth,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plaque that hardens by accumulating with the plug, which is a breeding ground for hundreds of millions of bacteria, as well as the decaying debris remaining in the gap. have.
  • the toothbrush handle 100 and the toothbrush head 200 ar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and attachable, and when excessive brushing of 200 to 500 gf or more, the toothbrush head 200 is separated from the toothbrush handle 100, so that due to excessive brushing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dental diseases such as enamel damage, gum damage and cervical abrasion, and protects the gum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칫솔대손잡이; 및 일측은 상기 칫솔대손잡이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치모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칫솔대손잡이에 탈부착되는 칫솔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는 자성에 의해 부착되어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치간 칫솔질 잇솔
본 발명은 개인마다 모양과 크기와 형태가 다른 치간 틈새에, 첫째 치간 틈새 치모 끼우기가 쉽고, 둘째 치간에 끼워진 치모로 위아래 칫솔질 행정이 자연스럽고 쉬워야 하고, 셋째 치모판의 치모는 40~140도 각도를 갖는 구조의 치간 칫솔질 잇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40~80도 치모로 치아 내치면 칫솔질을, 90~140도 치모로 치아 외치면 칫솔질을 치간 틈새에 끼워지는 치모로 칫솔질을 하기 위한 치간 칫솔로써, 사용자가 500gf 이상의 무리한 칫솔질 시 칫솔헤드가 칫솔대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이며, 이와 같은 칫솔대로부터 칫솔헤드의 부착과 분리는 자성으로 이루어지는 특징의 치간 칫솔질 잇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일자 모양의 가로형칫솔과 T형 칫솔에 의한 칫솔질은 치아 틈새 치간에 잔류하는 음식물 찌꺼기와 끈적끈적한 플러그와 단단한 치석을 칫솔질로 제거할 수 없는데 이유는 칫솔모가 치간 틈새에 끼워진 상태의 칫솔질을 연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치아의 내치면과 외치면의 틈새, 특히 좌, 우측 어금니가 되는 막니의 틈새에 치모를 끼운 상태로 칫솔질을 연속할 수 있어야 하는데 종래 칫솔의 치모 구조는 치아 틈새 치간에 치모를 끼울 수 있는 치모의 각도가 허용되지 않는 일자형 구조의 칫솔이다.
치과를 찾는 많은 환자 가운데 칫솔질을 하지 않는 사람은 단 한 사람도 없는데 종래 일자형 칫솔과 T형 칫솔로써는 내치면 좌우 어금니 틈새 또는 내치면 위아래 앞니 틈새에 치모를 끼워서 칫솔질하기가 어렵고 불편한 구조이다.
즉 올바른 칫솔질을 위한 칫솔의 조건은 첫째 치아 틈새 치간에 치모 끼우기가 쉬워야 하고 둘째 치간 틈새에 끼워진 치모로 위아래 칫솔질 행정을 자연스럽고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성 구조와 셋째 연령과 치아 상태에 따라 적합한 세기의 칫솔질을 안내할 수 있는 또 다른 기능성 구조를 갖는 칫솔이어야 한다.
이에 칫솔질을 상,하 방향으로 쉽게할 수 있도록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592호에 T자형 칫솔이 개시되었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을 나타낸 도면으로, 그 구성은 손잡이(1)와 치모가 식모되는 솔체(4)가 T자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 T자형 칫솔의 칫솔질은 상,하 방향의 칫솔질은 쉽게 할 수 있으나 치아 내치면 치간 특히 제 2대구치(막니)의 측면 틈새와 앞니 위 아래 내치면 틈새의 치간 칫솔질이 90도로 꺽여진 T형 구조의 치모로 인하여 틈새 치간 칫솔질이 어렵고 불편하다.
또한, 손잡이(1)와 솔체(헤드,4)가 일체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도6과 같이 과도한 세기의 무리한 칫솔질로 인한 잇몸 손상과 범랑질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접을 해소하고자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48056호에착탈식 칫솔이 개시되었다.
도 2는 종래 착탈식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로, 그 구성은 일측에 삽입공(120)이 형성된 손잡이부(100) 및 타측에 상기 삽입공(120)에 끼워지는 끼움부(310)가 형성된 브러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 착탈식 칫솔은 삽입공(120)에 끼움부(310)가 끼워짐으로써, 손잡이부(100)로부터 치모가 구비된 브러시부(300)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브러시부(300)에 형성된 치모가 세로형 또는 가로형(T자형)으로 선택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 착탈식 칫솔은 손잡이부(100)와 브러시부(300)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치모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점은 긍정적이나, 단순히, 손잡이부(100)로부터 브러시부(300)의 교체만 가능 할 뿐, 손잡이부와 브러시부의 직각 90도 구조로 인한 좌,우 어금니 측면 치간 틈새의 칫솔질이 불가한 구조이며 또한 무리한 세기의 칫솔질로 도6과 같이 잇몸 손상 및 범랑질 손상에 관한 기능적 해결 구조가 마련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칫솔은 사용자의 연령, 치아상태, 치아모양, 치아형태, 치아틈새의 크기에 따라 맞춤형 치간 칫솔질을 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 된 칫솔일 때 사용자는 짧은 시간 쉽고 간편하게 칫솔질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내치면 치간 틈새에 치모 끼우기가 쉽고 편리한 40~80도의 경사진 결합구조의 치모와 둘째 외치면 치간 틈새에 90~140도 각도의 경사진 치모로 위아래 칫솔질 행정을 쉽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기능과 셋째 연령과 치아 상태에 따라 200~500gf 세기의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구조와 넷째 500gf 이상의 무리한 세기의 칫솔질 시 칫솔헤드가 칫솔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기능이 구비 된 구조의 치간 칫솔 잇솔로 개인마다 다른 치아 상태와 치간 틈새 크기와 모양과 형태에 따라 적합한 맞춤형 칫솔질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손잡이 기능을 하는 칫솔대손잡이; 및 일측은 칫솔대손잡이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치모가 구비되며, 타측은 칫솔대손잡이에 탈부착되는 칫솔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는 자성에 의해 부착되어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첫째 40~80도 각도의 치모로 개인마다 다른 내치면 치간 틈새에 치모를 끼워서 하는 칫솔질을 쉽게 할 수 있고, 둘째 외치면 치간 틈새에 90~140도의 경사진 치모를 끼운 상태로 위아래 칫솔질 행정을 쉽고 자연스럽게 할 수 있고, 셋째 사용자의 연령과 치아 상태에 따라 200~500gf 세기의 칫솔질을 안내할 수 있으며, 넷째 500gf 이상의 무리한 세기의 칫솔질 시 칫솔헤드가 칫솔손잡이로부터 분리되는 구조로 치아 상태와 치간 틈새 크기와 모양과 형태에 적합한 맞춤형 칫솔질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치아에 적합한 맞춤형 칫솔질 구조로써, 한 칫솔대손잡이를 이용하여 40~80도의 내치면 칫솔헤드와 90~140도의 외치면 칫솔헤드를 교체하여 칫솔질 하는 교체형 칫솔 구조이다.
이러한 치간 칫솔질 잇솔은 옥니, 뻐드렁니를 비롯한 도7과 같은 부정교합 치아도 맞춤형 칫솔질을 할 수 있으며, 종래 칫솔 구조로써는 어려웠든 제 2대구치(막니) 좌, 우측면과 앞니 내치면 치간 틈새를 치모를 끼워서 칫솔질 할 수 있는 각도의 구조특징을 갖는 치간 칫솔질 잇솔이다.
음식 섭취 후, 치아 사이 치간 틈새에 잔류하는 음식찌거기와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억의 세균 플러그와 치태를 제거하기 위한 칫솔은 반드시 치아 치간 틈새에 치모를 끼우고 칫솔질을 할 수 있는 기능이 구비 된 칫솔이 본 발명의 치간 칫솔질 잇솔이다.
도 1은 종래 T자형 칫솔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착탈식 칫솔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칫솔헤드가 분리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과도한 세기의 칫솔질로 인한 치경부마모 치아 그림이다.
도 7은 부정교합 치아(덧니) 그림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자성의 세기를 다르게 구성한 예를 나타낸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자성의 세기를 다르게 구성한 다른 예를 나타낸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걸림돌기의 크기에 따른 결합력 차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분해 측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0 : 칫솔대손잡이 110 : 끼움홀
111 : 제1끼움홀 112 : 제2끼움홀
113 : 걸림홈 114 : 걸림턱
115 : 일방향걸림턱 116 : 일방향걸림홈
120 : 암결합부 130 : 방향유지홈
131 : 제1결합부 200 : 칫솔헤드
210 : 치모판 211 : 치모
220 : 끼움부 221 : 걸림돌기
222 : 일방향걸림돌기 230 : 수결합부
240 : 방향유지돌기 241 : 제2결합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방향(예를 들어 "전", "후", "좌", "우", "위", "아래", "상", "하", "횡", "종", "정면", "배면", "일측", "타측", "내측" 및 "외측")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으며, 이러한 방향의 기재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성간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헤드(200)의 일측에 치모(211)가 구비되는 치모판(210)이 경사진 구조로 이루어지되, 칫솔헤드(200)가 칫솔대손잡이(100)으로부터 자성에 의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분리되어 잇몸을 보호할 수 있는 치간 칫솔질 잇솔에 관한 것이다.
올바른 칫솔질이란 치아의 겉면 뿐만 아니라 치아 사이 틈새의 치간에 잔류하는 찌꺼기나, 부패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많은 세균 플러그 및 치태를 칫솔을 사용하여 제거하는 치아세정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올바른 칫솔질을 하기 위해서는 첫째, 칫솔의 선택이 중요하고, 둘째, 칫솔질 방법이 중요하며, 치아 사이 틈새 치간에 치모가 끼워진 상태의 칫솔질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개인마다 치아의 모양, 치아형태, 변형상태, 틈새크기, 틈새모양 및 틈새형태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치아 사이 틈새의 치간에 치모를 끼워 넣기가 쉽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치모(211)가 구비되는 칫솔헤드(200)가 자성에 의한 부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칫솔대손잡이(100)와 치모(211)의 각도가 40도 내지 140도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개인마다 서로 다른 다양한 치아 조건에 맞춘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경사진 형태의 치모(211)를 사용자 개인의 치아 조건에 맞추어 사용하도록 치아 사이 틈새 치간에 치모(211)가 끼워지기 위한 적합한 각도를 제공하여 올바른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로부터 칫솔헤드가 분리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과도한 세기의 칫솔질로 인한 치경부마모 치아 그림이며, 도 7은 부정교합 치아(덧니) 그림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자성의 세기를 다르게 구성한 예를 나타낸 배면측 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자성의 세기를 다르게 구성한 다른 예를 나타낸 배면측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질 세기에 따라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올바른 칫솔질을 도모하고자 하는 것으로, 칫솔대손잡이(100) 및 칫솔헤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나아가,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의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 치아 상태, 치아 모양, 치아 건강 등 다양한 치아상태를 고려하여 칫솔헤드(200)의 선택이 자유로우며, 이에, 개인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칫솔대손잡이(10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끼움홀(110), 암결합부(120) 및 방향유지홈(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칫솔대손잡이(10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후술되는 칫솔헤드(200)와의 연결을 위한 끼움홀(110)이 형성되고, 타측은 손잡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긴 막대 형태를 갖는다.
나아가, 칫솔대손잡이(100)는 귀금속, 금속, 비철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 및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칫솔대손잡이(100)는 종래 다양한 형태의 칫솔 손잡이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 칫솔대손잡이(100)의 손잡이 기능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그 형태 및 구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설계조건에 따라, 칫솔대손잡이(100)의 장축 길이는 사용자의 손바닥 좌,우측 길이보다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칫솔대손잡이(100)와의 파지하는 면적이 커지게 되면, 강한 힘으로 칫솔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칫솔대손잡이(100)의 길이가 짧게 이루어짐에 따라, 사용자가 칫솔질시 가하는 힘이 적게 소모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에, 작은 힘으로 칫솔질을 하게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칫솔질이 되도록 하고, 나아가, 잇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끼움홀(11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칫솔대손잡이(100)의 일측단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끼움홀(110)은 내측 공간에 암결합부(120)가 결합되고, 후술되는 칫솔헤드(200)의 끼움부(220)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때, 끼움홀(110)은 장축 길이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암결합부(120)는 끼움홀(110)이 형성되는 공간의 일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자성을 갖는 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암결합부(120)는 후술되는 칫솔헤드(200)의 끼움부(220)가 끼움홀(110)로 삽입되면, 상기 끼움부(220)에 구비된 금속 재질의 수결합부(230)와 자성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자성에 의해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특정한 힘, 즉 자성에 의한 결합력보다 강한 외력을 가하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상호 분리되도록 한다.
방향유지홈(130)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칫솔대손잡이(100)의 일측단에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후술되는 칫솔헤드(200)의 타측단에 형성된 방향유지돌기(240)가 삽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방향유지홈(130)과 방향유지돌기(24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방향유지홈(130)에 방향유지돌기(240)가 삽입되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치모(211)가 향하는 방향을 고정하여 칫솔질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칫솔헤드(200)는 일측은 치모(211)가 식모된 치모판(210)이 구비되고, 타측은 칫솔대손잡이(100)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치모판(210), 끼움부(220), 수결합부(230) 및 방향유지돌기(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치모판(210)은 치모(211)가 식모되어 칫솔질을 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T자형(가로형)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종래 세로형 칫솔보다 짧은 시간 내에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보다 깨끗한 칫솔질이 가능하여, 치아의 외치면 뿐만 아니라 내치면까지 쉽고 편하게 치간 틈새에 치모를 끼운 상태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칫솔헤드(200)는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칫솔헤드(200)의 교체만으로 칫솔헤드(200)와 치모판(210), 즉 치모판(210)에 식모된 치모(211)가 이루는 각도가 다양하게 이루어진 칫솔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부연하면,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칫솔헤드(200)와 치모판(210), 즉 치모(211)가 돌출된 각도를 서로 다른 칫솔헤드(200)의 사용으로 인하여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칫솔헤드(200)로부터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0° 내지 140°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내치면 칫솔질을 위한 치모(211)의 각도는 40° 내지 80°로 이루어지고, 외치면 칫솔질을 위한 치모(211)의 각도는 100° 내지 140°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칫솔대손잡이(100)에 칫솔헤드(200)를 교체하여 사용함에 따라, 다양한 각으로 이루어진 치모판(210)의 선택적 사용에 의해 다양한 치아의 크기, 형태, 위치 등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35°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옥니의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옥니의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 나아가, 뻐드렁니의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75°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뻐드렁니의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0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치아표면에 맞닿는 치모(211)와의 각이 45°로 유지하기 위함으로, 치모(211)가 치아 사이 틈새 치간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적합한 각도를 제공하며, 짧은시간 빠르고 청결하게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끼움부(220)는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칫솔대손잡이(100)에 형성된 끼움홀(110)에 끼워지도록 한다.
이러한 끼움부(220)는 끼움홀(110)에 대응하여 장축 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타측단에 후술되는 수결합부(230)가 결합된다.
수결합부(230)는 끼움부(220)의 타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끼움홀(11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된 자성을 띄는 암결합부(120)와 자성에 의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수결합부(23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끼움부(220)의 타측에 구비된다.
이에, 끼움부(220)가 끼움홀(110)에 삽입되면, 끼움홀(110)의 내측 공간에 구비된 자성을 띄는 암결합부(120)는 금속 재질의 수결합부(230)와 자성 의해 결합되고, 이에,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결합된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수결합부(23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피스)로 이루어져 끼움부(220)의 끝단에 체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방향유지돌기(240)는 칫솔헤드(200)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칫솔대손잡이(100)의 방향유지홈(130)에 삽입된다.
이때, 방향유지돌기(240)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측과 배면측 각각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한 쌍의 방향유지돌기(240)가 각각 방향유지홈(130)으로 삽입되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고, 치모(211)가 향하는 방향을 고정하여 칫솔질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자성을 갖는 암결합부(120)와 금속 재질의 수결합부(230)를 통해 자성에 의해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되, 특정한 힘, 즉 자성에 의한 결합력 보다 큰 외력이 가해지게되면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올바른 힘으로 칫솔질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잇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특정한 힘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기 위한 힘을 의미한다.
부연하면, 자성으로 결합되는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는 힘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을 유지하기 위한 자성의 힘보다 큰 힘을 의미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사용자가 칫솔질을 하는 과정에서 특정한 힘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칫솔질을 하는 경우,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은 유지되고, 반대로,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강한 힘에 의한 칫솔질에 의해 잇몸이 손상되는 문제점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예를 들어, 5세 미만의 치아에서 사용되는 잇솔의 경우, 약 200gf 이상의 특정한 힘이 가해지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하고, 6세 이상부터 13세까지의 치아에서 사용되는 잇솔의 경우, 약 300gf 이상의 특정한 힘이 가해지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하며, 14세 이상의 치아에서 사용되는 잇솔의 경우, 약 500gf 이상의 특정한 힘이 가해지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연령이나 치아 또는 잇몸의 상태에 맞추어 분리되는 힘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자성에 의해 상호간에 탈부착 되도록 구성되되, 자성의 세기에 따라 결합력이 서로 다른 구성을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하여 자성을 갖는 암결합부(120)의 자력(磁力)을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암결합부(120)의 크기를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8의 (a)에서와 같이, 암결합부(120)의 크기가 커지게되면 자력 또한 커지므로,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보다 큰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8의 (b)에서와 같이, 암결합부(120)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지게되면 자력 또한 작아지므로,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연령이나 치아 상태를 고려하여 서로 다른 결합력을 갖는 칫솔을 선택적으로 사용가능함으로써,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한 다른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을 갖는 암결합부(120)와 금속 재질의 수결합부(23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즉 도 9의 (a)에서와 같이, 암결합부(120)와 수결합부(230)가 접촉한 상태가 되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보다 큰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9의 (b)에서와 같이, 암결합부(120)와 수결합부(230)가 소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결합력이 작아지게 됨으로써,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측면측 부분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걸림돌기의 크기에 따른 결합력 차이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끼움홀(110)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1끼움홀(111), 상기 제1끼움홀(111)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타측에 형성되는 제2끼움홀(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끼움홀(111)의 내경(b1)은 제2끼움홀(112)의 내경(b2)보다 크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끼움홀(111)은 타측단에 걸림홈(113)이 형성된다.
걸림홈(113)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끼움홀(111)과 제2끼움홀(112)이 서로 접하는 부분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걸림돌기(221)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1끼움홀(111)은 걸림홈(113)의 일측에 제1끼움홀(11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링 형태의 걸림턱(114)이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턱(114)과 걸림홈(113)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움부(220)가 걸림홈(113)에 안착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 상호간에 결합력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때,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걸림홈(113)에 안착되어 있던 걸림돌기(221)가 분리되면서,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걸림돌기(221)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끼움부(2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걸림홈(113)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걸림돌기(221)는 끼움부(220)의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지되, 끼움부(220) 외주연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다르게 구성할 수 있도록 걸림돌기(221)의 개수 또는 걸림돌기(221)가 걸림홈(113)에 맞물리는 깊이를 다르게 구성하여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되기 위한 조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먼저, 걸림돌기(221)가 1개 구비되는 경우, 링 형태의 걸림턱(114)을 지나 걸림홈(113)에 안착되면, 보다 작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걸림돌기(221)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결합력을 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걸림돌기(221)가 끼움부(220) 외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결합력을 다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도 12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걸림돌기(221)의 돌출되는 길이가 길게 형성되면, 걸림돌기(221)가 걸림홈(113)에 맞물리는 깊이가 깊어지기 때문에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보다 큰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12의 (b)에서와 같이, 걸림돌기(221)의 돌출되는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면, 걸림돌기(221)가 걸림홈(113)에 맞물리는 깊이가 짧아지기 때문에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상대적으로 작은 결합력으로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어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배면측 단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배면측 부분 단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끼움홀(110)은 제1끼움홀(111)과 제2끼움홀(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끼움홀(111)은 일방향걸림턱(115) 및 일방향걸림홈(116)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끼움홀(112)은 일방향걸림홈(116)에 끼워지는 일방향걸림돌기(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를, 도 1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일방향걸림턱(115)은 제1끼움홀(111), 즉 칫솔대손잡이(100)의 일측에 개구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끼움홀(112)의 내경(b2) 보다 제1끼움홀(b1)의 내경이 크게 형성되며, 일방향걸림턱(115)은 상기 제1끼움홀(111)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된 반쪽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방향걸림홈(116)은 일방향걸림턱(115)의 타측에 형성되어 일방향걸림돌기(222)가 끼워져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일방향걸림돌기(222)는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끼움부(220)의 외주면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일방향걸림홈(116)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일방향걸림돌기(222)는 칫솔대손잡이(100)를 기준으로 칫솔헤드(200)가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일방향걸림홈(116)에 안착되어 일방향걸림턱(115)에 걸림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또는 제1걸림홈(113)에 위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즉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180° 회전시켜 정면측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배면측으로 결합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4에서와 같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180° 회전시켜 일방향걸림돌기(222)가 일방향걸림홈(116)에 안착되도록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를 결합시키면, 자성에 의한 결합력과 더불어 일방향걸림돌기(222)는 일방향걸림턱(115)에 걸림상태가 되어 보다 강한 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15에서와 같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다시 180° 회전시켜 일방향걸림돌기(222)가 제1끼움홀(111)에 끼워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를 결합시키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자성에 의해서만 결합되어 보다 낮은 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의 분해 측면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고, 도 1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에서 칫솔대손잡이와 칫솔헤드가 결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낸 부분 측면도이다.
설계조건에 따라,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칫솔대손잡이(100)에 형성되는 한 쌍의 방향유지홈(13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홈(130)에는 외주면에 제1결합부(131)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제2결합부(241)가 한 쌍의 방향유지돌기(24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돌기(240) 외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결합부(131) 및 제2결합부(241)는 자성에 의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모두 자석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하나의 자석과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241)가 하나의 자석과 하나의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칫솔대손잡이(100)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31)가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교체가 용이한 칫솔헤드(200)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241)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결합부(131)는 한 쌍의 방향유지홈(13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홈(130)에만 구비되고, 제2결합부(241)는 한 쌍의 방향유지돌기(24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돌기(240)에만 구비되는 것은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결합되는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결합력을 갖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180° 회전시켜 정면측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배면측으로 결합함으로써,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의 결합력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를,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17에서와 같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180° 회전시켜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241)가 서로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면, 암결합부(120)와 수결합부(230)의 자성에 의한 결합력과 더해져 보다 강한 결합력이 유지되기 때문에 청소년이나 성인 또는 건강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도 18에서와 같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를 다시 180° 회전시켜 제1결합부(131)와 제2결합부(241)가 서로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면,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암결합부(120)와 수결합부(230)의 자성에 의한 결합력만 유지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결합력이 유지되어 유아나 노인 또는 약한 치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치간 칫솔질 잇솔은 칫솔헤드(200)의 일측에 치모(211)가 구비되는 치모판(210)이 T자형으로 이루어져 종래 가로칫솔질 보다 세로칫솔질이 가능함으로써, 칫솔질 시간을 감소시키고, 보다 청결한 칫솔질이 가능하다.
또한, 치모판(210)이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40° 내지 140°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짐으로써, 치아의 내치면칫솔질, 외치면칫솔질, 좌우치면칫솔질, 상치면칫솔질을 가능하도록 하고, 나아가, 덧니, 옥니, 뻐드렁니 등 다양한 치아의 형태에 맞추어 맞춤형 칫솔질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치아의 다양한 형태에 맞추어 치아 사이 틈새의 치간에 치모(211)가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틈새에 잔류하는 부패중인 찌꺼기는 물론, 수억의 세균 온상인 플러그와 쌓여서 굳어져가는 치태의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가 분리와 결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되, 200 내지 500gf 이상의 과도한 칫솔질시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칫솔헤드(200)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무리한 칫솔질로 인하여 발생되는 범랑질 손상과 잇몸 손상 및 치경부마모 등의 치아질환 발생을 억제하고, 잇몸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0)

  1. 손잡이 기능을 하는 칫솔대손잡이(100); 및
    일측은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로부터 경사진 형태의 치모(211)가 구비되며, 타측은 상기 칫솔대손잡이(100)에 탈부착되는 칫솔헤드(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칫솔대손잡이(100)와 칫솔헤드(200)는 자성에 의해 부착되어 특정한 힘 이상의 외력이 가해지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는
    일측에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끼움홀(110); 및
    상기 끼움홀(110)의 타측에 구비되며, 자성을 갖는 암결합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칫솔헤드(200)는
    일측에 구비되며, 치모(211)가 식모된 치모판(210);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끼움홀(110)에 끼워지는 끼움부(220); 및
    상기 끼움부(220)의 타측에 구비되는 금속 재질의 수결합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끼움홀(110)은
    칫솔대손잡이(100)의 장축 길이방향으로 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끼움홀(111); 및
    상기 제1끼움홀(111)에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져 타측에 형성되는 제2끼움홀(112);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끼움홀(111)의 내경(b1)은 제2끼움홀(112)의 내경(b2)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홀(111)은
    타측단에 형성되는 걸림홈(113); 및
    상기 걸림홈(113)의 일측에 제1끼움홀(111)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돌출된 링 형태의 걸림턱(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220)는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걸림홈(113)에 안착되는 걸림돌기(2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끼움홀(111)은
    일측단에 형성되는 일방향걸림턱(115); 및
    상기 일방향걸림턱(115)의 타측에 형성되고, 내측으로 파여진 형태로 이루어진 일방향걸림홈(116);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끼움부(220)는
    외주면에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일방향걸림홈(116)에 끼워지는 일방향걸림돌기(2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는
    일측에 타측으로 파여진 형태의 방향유지홈(130)이 정면과 배면측 각각에 형성되며,
    상기 칫솔헤드(200)는
    타측에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 방향유지돌기(240)가 정면과 배면측 각각에 형성되되,
    상기 방향유지돌기(240)는 방향유지홈(130)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7.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방향유지홈(130)은
    한 쌍의 방향유지홈(13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홈(130)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1결합부(13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방향유지돌기(240)는
    한 쌍의 방향유지돌기(240) 중 선택된 하나의 방향유지돌기(240) 외주면에 구비되는 제2결합부(241);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결합부(131) 및 제2결합부(241)는 자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헤드(200)로부터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0° 내지 14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9. 청구항 8에 있어서,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5°이며,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35°이고, 옥니의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40°이며, 옥니의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40°이고, 뻐드렁니의 내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75°이며, 뻐드렁니의 외치면을 칫솔질하기 위한 칫솔헤드(200)와 치모(211)가 이루는 각은 1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칫솔대손잡이(100)는
    귀금속, 금속, 비철금속, 목재 또는 합성수지 플라스틱 중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간 칫솔질 잇솔.
PCT/KR2021/016835 2020-12-18 2021-11-17 치간 칫솔질 잇솔 WO202213157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987 2020-12-18
KR1020200177987A KR102286011B1 (ko) 2020-12-18 2020-12-18 치간 칫솔질 잇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31579A1 true WO2022131579A1 (ko) 2022-06-23

Family

ID=77314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6835 WO2022131579A1 (ko) 2020-12-18 2021-11-17 치간 칫솔질 잇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6011B1 (ko)
WO (1) WO202213157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5034A1 (en) * 2021-02-20 2022-08-25 Ukiwi (Shanghai) Health Products Co., Ltd. Toothbrush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11B1 (ko) * 2020-12-18 2021-08-04 이유나 치간 칫솔질 잇솔
KR102492829B1 (ko) * 2022-09-13 2023-01-27 이유나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KR102657617B1 (ko) * 2022-12-16 2024-04-16 이현화 대나무 칫솔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6585B1 (en) * 1999-07-06 2003-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with detachable/replaceable head
KR200377277Y1 (ko) * 2004-12-03 2005-03-11 김용환 칫솔
KR20090106182A (ko) * 2008-04-04 2009-10-08 장영근 칫솔
KR101555295B1 (ko) * 2013-11-19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칫솔
JP3206625U (ja) * 2016-03-11 2016-09-29 保彦 島崎 ひげも剃れる歯ブラシ
KR102286011B1 (ko) * 2020-12-18 2021-08-04 이유나 치간 칫솔질 잇솔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2592Y1 (ko) 2001-04-09 2001-10-11 윤흥여 T자형 칫솔
KR20200048056A (ko) 2018-10-29 2020-05-08 에이치엘에스 창대 주식회사 착탈식 칫솔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46585B1 (en) * 1999-07-06 2003-04-1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oothbrush with detachable/replaceable head
KR200377277Y1 (ko) * 2004-12-03 2005-03-11 김용환 칫솔
KR20090106182A (ko) * 2008-04-04 2009-10-08 장영근 칫솔
KR101555295B1 (ko) * 2013-11-19 2015-09-23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능성 칫솔
JP3206625U (ja) * 2016-03-11 2016-09-29 保彦 島崎 ひげも剃れる歯ブラシ
KR102286011B1 (ko) * 2020-12-18 2021-08-04 이유나 치간 칫솔질 잇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65034A1 (en) * 2021-02-20 2022-08-25 Ukiwi (Shanghai) Health Products Co., Ltd. Toothbrus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6011B1 (ko) 202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131579A1 (ko) 치간 칫솔질 잇솔
WO2017122883A1 (ko) 전동칫솔
WO2017146478A1 (ko) 착탈이 가능한 임플란트 결합보철물
WO2017069599A1 (ko)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7119554A1 (ko) 밀폐형 치아세정기구
WO2016028106A1 (ko) 투명 교정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WO2011118950A2 (ko) 회전 칫솔
GB2210552A (en) Toothbrush
WO2013055021A1 (ko) 교합기
WO2020116711A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WO2020153577A1 (ko) 구강 액체 흡입 장치
WO2013008962A1 (ko) 각진 마찰결합식 치과용 임플란트
WO2019190004A1 (ko) 칫솔
WO2024058466A1 (ko) 칫솔모의 방향 전환이 가능한 각도칫솔
KR20100043124A (ko) 쌍둥이 칫솔
WO2020218849A1 (ko) 마우스 피스 칫솔 및 이를 구비하는 애완 동물용 칫솔 장치
WO2023113569A1 (ko) 공기 구동식 자동칫솔
WO2016133297A1 (ko) 양손으로 사용하는 치간 세정기
WO2022244958A1 (ko) 착탈이 용이한 의료용 개구 석션 장치
WO2018230921A1 (ko) 칫솔
WO2022086281A1 (ko) 전도성 칫솔모를 구비한 전기 칫솔
US20050172436A1 (en) Toothbrush
WO2018151359A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WO2014115928A1 (ko) 원기둥형 칫솔모와 보호캡을 포함하는 전동 칫솔
WO2016148501A1 (ko) 치아 교정용 와이어 및 그를 구비한 치아 교정기 및 그의 치아 교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068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190688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