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51359A1 -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51359A1
WO2018151359A1 PCT/KR2017/001921 KR2017001921W WO2018151359A1 WO 2018151359 A1 WO2018151359 A1 WO 2018151359A1 KR 2017001921 W KR2017001921 W KR 2017001921W WO 2018151359 A1 WO2018151359 A1 WO 2018151359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hollow
tooth cleaning
main body
backflow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92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레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레오
Publication of WO2018151359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513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ri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 A61C17/2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28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otating continuously driven by electric motor with rins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02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 A61C17/024Rinsing or air-blowing devices, e.g. using fluid jets or comprising liquid medication with constant liquid flow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oth cleaning apparatus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 the most common device for cleaning teeth is a toothbrush, which is used to clean teeth with toothpaste for tooth health and hygiene cleanliness.
  • the toothbrush includes a main body in the form of a stick and a brush in which a thin hair member is densely planted on the washing body formed at one end of the main body.
  • the removal of sewage in the oral cavity may be inconvenient since the user's operation is necessary.
  • the brush operation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ectric toothbrush, but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sewage in the oral cavity. Was still inconvenient because the user's manual action is required.
  • a separate driving unit capable of providing a negative pressure is required, and the driving unit may be mounted inside or outside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 the driving unit is connected through a nozzle and a flow path formed in the toothbrush, and the tooth tooth sucked into the mouth may be moved along the flow path by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driving unit.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2-0088255 discloses a toothbrush having a suction function that improves the user's convenience when cleaning a tooth in the toothbrush having a suction func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could not be preven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too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to prevent the nutrient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according to the suction back flow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or lowering the suction efficiency To be.
  • Dental cleaning mechanism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e main body including an outer case, the inner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the At least one nozzle is opened at one end and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a washing body.
  • the main body and the washing body are coupled to each other.
  • a connecting flow path is formed therein, and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 a connection portion inserted into the portion and an elastic portion provided between the washing body and the connection portion and having a hollow formed therein, and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is formed to be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to cover the hollow portion o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over portion is formed to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low.
  • the hollow cov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directions from the center.
  • the hollow cover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formed by cutt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orthogonal in the center.
  •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flow path, the hollow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is connected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is opened when the flow in the main body direction is closed when flowing in the washing body direction.
  •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nge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connecting portion, the flange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 the elastic portion and the flan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with a protrusion and a depression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low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characterized in that the hollow cover portion is formed extending from the support protrusion.
  •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having a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flow path, the hollow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is connected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is the same.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cover the hollow at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ucked dentition flow back as the hollow cover portion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low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hollow cover portion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support protrusion,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can be formed the same, the fluid smooth May enable flow.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cleaning apparatus.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elastic portion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Figure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6a showing a different angle
  • Figure 6c is assembled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s 6a and 6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result.
  •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 FIG. 8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1 to 7
  • FIG. 8B is a bottom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1 to 7
  •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1 to 7.
  • FIG. 9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B is a bottom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is open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art is 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cleaning apparatus.
  •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has a structure including a main body 200 and a washing body 100.
  • the main body 200 includes an outer case 201 to form a lower skeleton and an outer shape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and corresponds to a handle portion which is substantially gripped when the user uses the dental cleaning apparatus, and the washing body 100. Is where the tooth is washed.
  • the washing body 100 may be coupled to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200, and a washing head 101 may be provided at an end thereof so that the brush 103 is formed in one direction.
  • Brush 103 is for brushing a plurality of brushes made of a bundle, i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washing head 101 or may be integrally formed.
  • Brush 103 may be coupled to the washing head 101 by a conventional coupling method, such as screwed to the washing head 101, or by a press-fit or assembly protrusion.
  • a nozzle 102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cleaning head 101, and the nozzle 102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unit 270 that provides a negative pressure through a flow path, and may suck in oral teeth.
  • the nozzle 102 may be formed radially to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leaning head 101, and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r more in order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or suctioning the oral tooth in the oral cavity.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200 may be provided with an operation unit 210, the operation unit 210 may be a kind of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e unit 270, b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by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240 Operation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can be performed, such as generating vibrations in the toothbrush.
  • the operation unit 210 may be a kind of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e unit 270, by operating the light emitting device or by operating the vibration motor 240 Operation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can be performed, such as generating vibrations in the toothbrush.
  • the operation unit 210 may be formed in a button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for implementing various operation methods such as a touch method or a sliding method.
  •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200 and the washing body 100, the drive unit 270, the main body 200 and the washing body for supplying a negative pressure for the tooth intake Connection portion 220 for coupling the 100, light emitting unit 250 for irradiating light to illuminate the oral cavity, vibration motor 240 for applying vibration to the washing body 100, power supply unit 260 for supplying power ), A control unit 300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270 or the light emitting unit 250, the first bracket 280 for fixing the components embedded in the main body 200, and the 2 bracket 290, the nozzle portion 310 coupled to the O-ring, the DC cover portion 320 coupled to the O-ring, the DC cover guide portion 330 for guiding the DC cover portion 320, the bottom of the main body It may include a detailed configuration, such as the bottom case 340 to be mounted, the screw unit 20 for assembling the bracket.
  •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270 or the power supply unit 260 is shown as being provided inside the washing body 100, but may be located outside the washing body 100 as necessary.
  • the basic function or structure of each configuration is well known,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washing body 100 may be formed in a long bar (bar) shape, one end is formed with a washing head 101 is coupled to the brush 103, the inside of the washing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 An inner flow passage 104 extending in the length direction of the 100 may be provided.
  • connection part 220 is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and the washing body 100, the connection flow path 221 is formed therein, one side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200 and the other side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05 Can be.
  • An elastic part 110 having a hollow 111 formed therein may be provided between the washing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and the elastic part 110 may have an internal flow path 104 of the washing body 100. ) And the sealing space may be improved by preventing a small space separation between the connection passage 221 of the connection part 220.
  • the elastic part 11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o maximize the sealing performance between the internal flow path 104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221 constituting the entire flow path, more specifically, such as silicone or rubber An elastic body may be appli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ploded view of some components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 connection part 220 penetrates the sealing part 230 in the outer case 201 to be coupled to the outer case 201 and partially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case 201.
  • the flange 120 has a structure that is sequentially coupled with the elastic portion 110 and the washing body (100).
  • Figure 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figuration including the elastic portion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 Figure 6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6a showing a different angle
  • Figure 6c is assembled the components shown in the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s 6a and 6b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to show the result.
  • the washing body 100 has an inner flow passage 104 formed therein, and the receiving portion 105 provides a space for mounting the elastic portion 110 and the flange 120 at the other end thereof. ) May be formed.
  • Receiving portion 105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are open, one end is formed to be opened to the outside,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inner flow path (104).
  • the elastic part 110 may be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art 105 such that the upper surface 112 of the elastic part is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106 of the receiving part, and the flange 120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elastic part 110. Can be combined.
  • the flange 120 may have a hollow hollow shape so that the connection part 220 can be inserted therein,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part 220.
  • the flange 120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iving portion 105 to press the elastic portion 110 in the direction of the internal flow path 104 of the washing body 100 to further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 a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at the end of the flange 120, and a depression 113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elastic part 110.
  • the elastic part 110 and the flange 120 may be coupled by inserting the protrusion 122 into the 113.
  • the hollow 111 is formed inside the elastic portion 110, the outer surface of the elastic portion 110 is bent downward to surround the outer diameter of the hollow 111, the depression 113 is formed
  • the protrusion 122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flange 120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depression 113 along the outer diameter of the flange 120. The protrusion 122 may be inserted.
  • the protrusion 122 is formed on the flange 120 and the recess 113 is formed on the elastic part 110, this is an example, and the recess 113 is formed on the flange 120. It is possible to form a protrusion 122 in the elastic portion 110 is formed.
  • the flange 120 may have a locking protrusion 121 protruding along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a locking jaw 107 protruding in a center direc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5. When the 12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05, the locking protrusion 121 of the flange 120 may be fixed to the locking jaw 107.
  • the locking step 107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flange 120,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in an orthogonal shape along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flange 120, the flange 120 is the receiving portion 105
  • the engaging protrusion 121 of the flange 120 can pass relatively easily, and after the flange 12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5, the flange The departure of the 120 can be prevented efficiently.
  •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mechanism provided with an elastic portion.
  • the elastic part 110 is provided between the washing body 100 and the connection part 220, an inner flow path 104 formed in the washing body 100, and the elastic part 110.
  • the hollow 111 formed in the interior of the connection portion and the connection flow path 221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such as a toothbrush can move.
  •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verse flow prevention function is implemented as the hollow cover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and will be described below by comparing the elastic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lastic portion shown in FIGS. .
  • FIG. 8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1 to 7
  • FIG. 8B is a bottom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1 to 7
  • FIG. 8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part shown in FIGS. 9A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B is a bottom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lastic portion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bent in the outward direction to cover the hollow 111 at one end and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that is opened and closed in accordance with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connection flow path 221 is Can be formed.
  • the hollow cover part 114 may be opened when the fluid flows in one direction, and may be closed when the fluid flows in the other direction.
  •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may include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formed by cutt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at the center.
  •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5 may be formed by being cut into various shapes, and may be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both directions from the center, or cut to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orthogonal to the center, and may include various shapes other than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5.
  • Figure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elastic por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losed.
  • the opening and closing unit 115 opens the flow path when inhaling the dents, and closes the flow path when the nutrients sucked in the flow path flow back, specifically,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15.
  • the opening is open when the fluid in the connecting flow flows in the main body direction and is closed when the fluid flows in the washing body direc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due to the hydraulic pressure of the fluid and the shape of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is preferably formed of an elastic body so as to be easily deformed by the hydraulic pressure.
  •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has a convex shape with respect to one direction of the fluid, and a concave shape with respect to the other direction, it is basically formed extending from one end of the elastic portion 110 to the outside direction, It has a shape to cover the hollow 114 while converging in the center direction.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opened, but when the fluid does not flow or flows in the washing body 100 direction,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opened. It is closed.
  •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opened, but when the tooth is not sucked or flows backwar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15 is closed to prevent backflow of the tooth.
  • FIG. 12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one end of the elastic part 1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116 protruding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low 111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the hollow cover part 114 has the support protrusion 116. It can be formed extending from.
  • FIG. 14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oth cleaning apparatus provided with an elastic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inner flow path 104 formed inside the washing body 100, a hollow 111 formed inside the elastic part 110, and a connection flow path 221 formed inside the connection part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continuous flow path through which fluid such as a toothbrush can move, and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is formed to be bent toward the connection flow path 2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220 is hollow 111 direction.
  • the diameter of the flow path may be the same as close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cover portion 114 is formed to extend to the support protrusion 116 protruding to the same, thereby enabling a smooth flow of the fluid ha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세척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세척몸체를 결합시키며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몸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세척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공을 커버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커버부가 형성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본 발명은 치아세정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치아 세정을 위한 가장 일반적인 기구는 칫솔이며, 이러한 칫솔은 치아의 건강관리와 위생 청결을 위해 치약을 묻혀 치아를 닦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칫솔은 스틱 형태의 메인몸체와 메인몸체의 일단에 형성된 세척몸체에 가느다란 모 부재가 촘촘하게 식모되는 브러시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치아 세정시에는 칫솔의 브러시를 치아에 대고 문지르면서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는 행동을 반복하게 되며, 브러시를 마치면 세정 수로 구강 내를 세척하고 오수를 제거하게 된다.
이때, 구강 내의 오수 제거에는 사용자의 동작이 필요하므로 불편함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에게 있어서, 브러시 동작은 전동 칫솔에 의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구강 내의 오수를 제거하는 동작은 여전히 사용자의 수동 행위가 요구되므로 불편함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양칫물을 흡입하기 위해서는 음압을 제공할 수 있는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하며, 이러한 구동부는 치아세정기구의 내부나 외부에 장착될 수 있다.
구동부는 칫솔에 형성된 노즐과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입안으로 흡입되는 양칫물은 구동부에 의해 형성된 음압에 의해 유로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관련 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8255호 '석션 기능을 갖는 칫솔'에서 치아 세정 시 사용자의 편이성이 향상되는 석션 기능을 갖춘 칫솔을 개시하고 있으나, 석션 이후의 양칫물이 내부에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석션에 따라 내부로 유입된 양칫물이 역류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거나 흡입 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는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세척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세척몸체를 결합시키며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몸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세척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공을 커버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중공 커버부는 중심에서 양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중공 커버부는 중심에서 직교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는 상기 내부유로, 상기 중공 및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어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유로 내 유체가 상기 메인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는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플랜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탄성부와 상기 플랜지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는 내주면에 상기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 커버부는 상기 지지돌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는 상기 내부유로, 상기 중공 및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어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탄성부의 일단에 중공을 커버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연결유로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커버부가 형성됨에 따라 흡입된 양칫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의 일단에는 내주면에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며, 중공 커버부는 상기 지지돌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됨에 따라, 유로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치아세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치아세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치아세정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치아세정기구 상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치아세정기구의 일부 구성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는 치아세정기구의 탄성부가 포함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난 구성들이 조립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7은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저면도이고, 도 8c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저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장식용 링
20: 나사부
30: 연결튜브
100: 세척몸체
101: 세척헤드
102: 노즐
103: 브러시
104: 내부유로
105: 수용부
106: 수용부의 타단
107: 걸림턱
110: 탄성부
111: 중공
112: 탄성부의 상면
113: 함몰부
114: 중공 커버부
115: 개폐부
116: 지지돌부
120: 플랜지
121: 걸림돌기
122: 돌출부
200: 메인몸체
201: 외부 케이스
210: 조작부
220: 연결부
221: 연결유로
230: 밀폐부
240: 진동모터
250: 발광부
260: 전원부
270: 구동부
280: 제1 브라켓
290: 제2 브라켓
300: 제어부
310: 노즐부
320: DC 커버부
330: DC 커버 가이드부
340: 바닥 케이스
310: 노즐부
320: DC 커버부
330: DC 커버 가이드부
340: 바닥 케이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치아세정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아세정기구는 크게 메인몸체(200)와 세척몸체(100)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진다.
메인몸체(200)는 외부 케이스(201)를 포함하여 치아세정기구의 하부골격 및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치아세정기구를 사용할 때 실질적으로 파지하는 손잡이 부분에 해당하고, 세척몸체(100)는 치아의 세척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세척몸체(100)는 메인몸체(200)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고, 끝단에는 브러시(103)가 일방향으로 형성되기 위한 세척헤드(101)가 구비될 수 있다. 브러시(103)는 양치를 위한 것으로 다수개의 솔이 다발을 만들어 구성되며, 세척헤드(10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브러시(103)는 세척헤드(101)에 나사체결방식으로 결합되거나, 압입이나 조립돌기에 의해 결합되는 등 통상의 결합 방법에 의해 세척헤드(101)에 결합될 수 있다.
세척헤드(101)의 외면에는 노즐(102)이 형성될 수 있는데, 노즐(102)은 유로를 통해 음압을 제공하는 구동부(27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강 내 양칫물을 흡입할 수 있다.
노즐(102)은 세척헤드(101)의 외주면을 향해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세척액 공급이나 구강 내 양칫물 흡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노즐(102)의 형상이나 개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몸체(200)의 외주면에는 조작부(210)가 구비될 수 있는데, 조작부(210)는 구동부(270)를 작동하기 위한 일종의 스위치일 수 있으며, 발광장치를 조작하거나 진동모터(240)를 가동시켜 칫솔에 진동을 발생시키는 등 치아세정기구의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210)는 버튼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터치 방식이나 슬라이딩 방식 등의 다양한 작동 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치아세정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치아세정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치아세정기구는 메인몸체(200)와 세척몸체(100)를 포함하며, 양칫물 흡입을 위한 음압을 공급하기 위한 구동부(270), 메인몸체(200)와 세척몸체(1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부(220), 구강 안을 밝히기 위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250), 세척몸체(100)에 진동을 가하기 위한 진동모터(240),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60), 조작부(210)와 연결되며 구동부(270)나 발광부(250)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00), 메인몸체(200)에 내장된 부품들을 고정시키기 위한 제1 브라켓(280)과 제2 브라켓(290), 오링이 결합된 노즐부(310), 오링이 결합된 DC 커버부(320), DC 커버부(320)를 가이드하기 위한 DC 커버 가이드부(330), 메인몸체의 바닥에 장착되는 바닥 케이스(340), 브라켓을 조립하기 위한 나사부(20) 등의 세부 구성들을 포함할 수 있다.
참고로, 위 도면에서는 구동부(270)나 전원부(260) 등의 세부 구성들이 세척몸체(10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세척몸체(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각 구성에 대한 기본적인 기능이나 구조는 널리 알려져 있는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치아세정기구 상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세척몸체(100)는 긴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단에는 브러시(103)가 결합되는 세척헤드(101)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소정 길이로 세척몸체(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내부유로(104)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부(220)는 메인몸체(200)와 세척몸체(100)를 결합시키며 연결유로(221)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메인몸체(200)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수용부(105)에 삽입될 수 있다.
세척몸체(100)와 연결부(220) 사이에는 내부에 중공(111)이 형성되는 탄성부(11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110)는 상기 세척몸체(100)의 내부유로(104)와 상기 연결부(220)의 연결유로(221) 사이에 미세한 공간상 이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밀폐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성부(110)는 전체 유로를 구성하는 내부유로(104)와 연결유로(221) 간의 밀폐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탄성을 지닌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콘이나 러버 계열 등의 탄성체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치아세정기구의 일부 구성들을 분해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연결부(220)가 외부 케이스(201) 내부에서 밀폐부(230)를 관통하여 외부 케이스(201)와 결합하며, 외부 케이스(201)의 외부로 일부 돌출된 연결부(220)가 플랜지(120)와 결합되고, 플랜지(120)가 탄성부(110) 및 세척몸체(100)와 순차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도 6a는 치아세정기구의 탄성부가 포함된 구성들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분해 사시도를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c는 도 6a 및 도 6b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난 구성들이 조립된 결과를 보여주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세척몸체(100)는 내부에 내부유로(104)가 형성되며, 타단에는 탄성부(110)와 플랜지(120)가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부(105)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05)는 양 끝단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는데, 일단은 외측으로 개구되어 형성되며, 타단은 내부유로(104)와 연결될 수 있다.
탄성부(110)는 수용부의 타단(106)에 상기 탄성부의 상면(112)이 접촉되도록 수용부(10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110)의 하면에는 플랜지(120)가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120)는 연결부(220)가 내부에 삽입 관통될 수 있도록 속이 빈 중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연결부(220)의 외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120)가 상기 수용부(105)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탄성부(110)를 세척몸체(100)의 내부유로(104)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플랜지(120)의 끝단에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탄성부(110)의 하면에는 상기 돌출부(122)와 대응되는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113)에 상기 돌출부(12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탄성부(110)와 상기 플랜지(12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부(110)의 내부에는 중공(111)이 형성되며, 중공(111)의 외경을 둘러싸도록 상기 탄성부(110)의 외측면이 하부로 만곡되어 함몰부(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120)의 끝단에는 상기 플랜지(120)의 외경을 따라 상기 함몰부(113)의 높이와 대응되도록 돌출부(12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함몰부(113)에 상기 돌출부(122)가 삽입될 수 있다.
도면상에서는 플랜지(120)에 돌출부(122)가 형성되고 탄성부(110)에 함몰부(113)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 예시에 해당되는 것이며, 플랜지(120)에 함몰부(113)가 형성되고 탄성부(110)에 돌출부(122)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플랜지(120)는 외측면을 따라 돌출된 걸림돌기(121)가 형성될 수 있고, 수용부(105)의 내측면에는 중심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107)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플랜지(120)가 상기 수용부(105)에 삽입되면 상기 플랜지(120)의 걸림돌기(121)가 상기 걸림턱(107)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이때, 걸림턱(107)은 플랜지(120)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곡면형상으로 형성되며, 플랜지(120)의 이탈 방향을 따라서 직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플랜지(120)가 수용부(105)의 내측면에 삽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플랜지(120)의 걸림돌기(121)가 비교적 용이하게 지나갈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120)가 상기 수용부(105)의 내측면에 삽입된 후에는 상기 플랜지(120)가 이탈하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탄성부(110)는 세척몸체(100)와 연결부(22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유로(104)와, 상기 탄성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1)과, 상기 연결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유로(221)는 서로 연결되어 양칫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연속된 유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탄성부(의 일단에 중공 커버부가 형성됨에 따라 역류 방지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를 비교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저면도이고, 도 8c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탄성부의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저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110)는 일단에 중공(111)을 커버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연결유로(221)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커버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중공 커버부(114)는 유체가 일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개방될 수 있고, 타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 폐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중공 커버부(114)는 중심에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폐부(11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15)는 다양한 형상으로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중심에서 양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거나, 중심에서 직교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될 수 있으며, 이외의 다양한 형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개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폐쇄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개폐부(115)는 양칫물을 흡입하는 경우에는 유로를 개방시키고, 상기 유로 내에서 흡입된 양칫물이 역류하는 경우에는 유로를 패쇄시키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115)는 연결유로 내 유체가 메인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세척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폐쇄된다.
이러한 개폐부(115)의 개방 및 폐쇄는 유체의 유압과 중공 커버부(114)의 형상에 의한 것으며, 상기 중공 커버부(114)는 유압에 의해 변형이 용이하도록 탄성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 커버부(114)는 유체의 일 방향에 대해서는 볼록한 형상을 가지며, 타 방향에 대해서는 오목한 형상을 가지는데, 기본적으로 탄성부(110)의 일단에서 외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유로의 중심 방향으로 수렴하면서 중공(114)을 커버하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유압에 의해 연결유로(221) 내 유체가 메인몸체(200)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개폐부(115)가 열리게 되나, 유체가 흐르지 않거나 세척몸체(100)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개폐부(115)가 닫히게 된다.
다시 말해, 구동부(270)에 의해 양칫물이 흡입되는 경우에는 개폐부(115)가 열리게 되나, 양칫물이 흡입되지 않거나 역류하는 경우에는 개폐부(115)가 닫혀 양칫물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세척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유로(104)와, 탄성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1)과, 연결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유로(221)는 연통되어 양칫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며, 중공 커버부(114)는 상기 연결유로(221)를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탄성부(110)의 일단에는 내주면에 중공(1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부(116)가 구비되며, 중공 커버부(114)는 상기 지지돌부(116)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탄성부가 구비된 치아세정기구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세척몸체(100)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유로(104)와, 탄성부(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1)과, 연결부(220)의 내부에 형성된 연결유로(221)는 서로 연결되어 양칫물과 같은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며, 중공 커버부(114)는 상기 연결유로(221)를 향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는데, 연결부(220)가 중공(111)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돌부(116)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 커버부(11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밀착됨에 따라 상기 유로의 직경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외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메인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결합되며 내부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내부유로의 일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노즐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세척몸체;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세척몸체를 결합시키며 연결유로가 내부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메인몸체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연결부; 및
    상기 세척몸체와 상기 연결부 사이에 구비되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는 탄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는 상기 중공을 커버하도록 외측 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유로 내 유체의 흐름에 따라 개폐되는 중공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커버부는 중심에서 양측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커버부는 중심에서 직교하도록 소정의 길이로 절개되어 형성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4.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로, 상기 중공 및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어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5. 제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연결유로 내 유체가 상기 메인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개방되고 상기 세척몸체 방향으로 흐르는 경우에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의 외측에 플랜지가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와 상기 플랜지에는 서로 대응되는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함몰부에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의 일단에는 내주면에 상기 중공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부가 구비되며,
    상기 중공 커버부는 상기 지지돌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유로, 상기 중공 및 상기 연결유로가 연결되어 연속된 유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로의 직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PCT/KR2017/001921 2017-02-17 2017-02-22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WO2018151359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85A KR101726718B1 (ko) 2017-02-17 2017-02-17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KR10-2017-0021485 2017-0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359A1 true WO2018151359A1 (ko) 2018-08-23

Family

ID=58579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921 WO2018151359A1 (ko) 2017-02-17 2017-02-22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26718B1 (ko)
WO (1) WO20181513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770Y1 (ko) * 2017-07-04 2019-03-19 정진혁 역류방지용 튜브용기 고무막 캡
KR101822645B1 (ko) 2017-07-28 2018-01-26 주식회사 블루레오 구강 세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938A (ja) * 1997-10-03 1999-04-20 Lion Corp 電動歯ブラシ式口腔洗浄装置
JPH11103937A (ja) * 1997-10-02 1999-04-20 Tokyo Giken:Kk 歯ブラシ
KR20070026739A (ko) * 2007-02-12 2007-03-08 박규진 구강 세정기
KR101541176B1 (ko) * 2014-08-14 2015-08-03 손정호 석션용 칫솔
KR101671273B1 (ko) * 2016-01-08 2016-11-03 주식회사 블루레오 밀폐형 치아세정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3937A (ja) * 1997-10-02 1999-04-20 Tokyo Giken:Kk 歯ブラシ
JPH11103938A (ja) * 1997-10-03 1999-04-20 Lion Corp 電動歯ブラシ式口腔洗浄装置
KR20070026739A (ko) * 2007-02-12 2007-03-08 박규진 구강 세정기
KR101541176B1 (ko) * 2014-08-14 2015-08-03 손정호 석션용 칫솔
KR101671273B1 (ko) * 2016-01-08 2016-11-03 주식회사 블루레오 밀폐형 치아세정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6718B1 (ko) 2017-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19554A1 (ko) 밀폐형 치아세정기구
WO2017122883A1 (ko) 전동칫솔
WO2016133265A1 (ko) 내부유로가 형성된 치아세정기구
WO2017146366A1 (ko) 이중막 구조의 구강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이용한 구강세정장치
WO2020045708A1 (ko) 구강 세정용 마우스피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세정 장치
WO2015126102A1 (ko) 구강 세정장치
WO2018151359A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갖는 치아세정기구
WO2015072676A1 (ko) 구강형 전동칫솔
WO2015126109A1 (ko) 외부브러시와 내부브러시가 함께 탈부착되는 브러시 구조를 갖는 세안장치
WO2015016595A1 (ko) 탈부착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쉬모 조립체를 갖는 세안장치
WO2022131579A1 (ko) 치간 칫솔질 잇솔
WO2019022275A1 (ko) 구강 세정기
WO2013137601A1 (ko) 휴대용 칫솔
EP3364845A1 (en) Cyclone dust collector and vacuum cleaner having the same
WO2019022276A1 (ko) 구강 세정기
WO2019190004A1 (ko) 칫솔
WO2021187761A1 (ko) 다용도 샤워헤드
WO2020189881A1 (ko) 평평한 하부면을 갖는 비데 본체
WO2015126108A1 (ko) 외부브러시 위에 내부브러시가 얹혀진 브러시 구조를 갖는 세안장치
WO2021177523A1 (ko) 청소용구
WO2020149550A1 (ko) 미러용 이중 공기 분사 시스템을 구비한 치경
WO2019103504A1 (ko) 구강 세정기
WO2019004500A1 (ko) 구강 관리 장치 및 구강 관리 방법
WO2023027379A1 (ko) 틀니 착탈 고정체 겸용 착탈가능한 임플란트 결합 보철물
WO2015156571A2 (ko) 포켓 수납형 치실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68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684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