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487B1 -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487B1
KR101816487B1 KR1020170084665A KR20170084665A KR101816487B1 KR 101816487 B1 KR101816487 B1 KR 101816487B1 KR 1020170084665 A KR1020170084665 A KR 1020170084665A KR 20170084665 A KR20170084665 A KR 20170084665A KR 101816487 B1 KR101816487 B1 KR 1018164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lasp
sliding guide
levallo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식
Original Assignee
이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식 filed Critical 이경식
Priority to KR1020170084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4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4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4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08Mouthpiece-type retainers or positioners, e.g. for both the lower and upper ar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12Brackets; Arch wires; Combinations thereof; Accessories therefor
    • A61C7/20Arch wires
    • A61C7/22Tension adjust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 교정을 위한 교정장치의 가변적 형태를 구현할 수 있고 후반부 치아 교정 치료에 있어서 교정장치의 형태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경부에 접촉하여 교정 유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궁(bow) 형태로 치아에 위치하여 치아의 이동을 막는 레비알 와이어(labial wire); 일단이 레비알 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교정 유지력을 강화시키는 클라스프(clasp); 및 클라스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클라스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REMOVABLE ORTHODONTIC DEVICE WITH SLIDING GUIDE}
본 발명은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변적인 형태의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또는 교정 후 유지를 위한 리테이너(Retainer)에 관한 것이다.
가철식 교정장치는 주로 유럽에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초기에는 레진(resin)이나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 없었기 때문에 경질고무와 귀금속, 니켈-실버 와이어(nickel-silver wire) 등으로 제작되었으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이 발견되면서 급속히 발달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7198호에서는 종래 기술로서 도면 1과 같은 가철식 교정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가철식 교정장치는 필요에 따라 쉽게 뺄 수 있으므로 환자들이 말을 하거나 음식을 먹을 때 불편감이 적다는 장점과, 기공소에서 제작되어 오므로 진료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과 함께 고정식 장치에 비해 여러 경우에서 성장을 유도하는 치료를 더 쉽게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꾸준히 쓰이고 있다. 그러나 환자가 장치를 끼고 안 끼고에 따라 교정치료 결과가 좌우되므로 일반적으로 고정식 교정장치로 교정이 끝난 후 후반부 교정치료 및 유지에 이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환자는 고정식 교정장치를 제거하면 교정치료가 끝난 것으로 오판하는 경우가 많아 가철식 교정장치를 탈착하는 일이 빈번하고, 이러한 부주의로 가철식 교정장치의 프레임을 벗어나 위치가 변형되는 치아가 발생하여 교정치료가 지연되는 사례가 많았다.
따라서 기존 가철식 교정장치를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교정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기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치아 교정을 위한 가변적 형태를 구현할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후반부 치아 교정치료에 있어서 탄력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레비알 와이어(labial wire)에 대한 클래스프(clasp)의 유지력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상악 또는 하악의 치경부에 접촉하여 교정 유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궁(bow) 형태로 치아에 위치하여 치아의 이동을 막는 레비알 와이어(labial wire); 일단이 레비알 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교정 유지력을 강화시키는 클라스프(clasp); 및 클라스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클라스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레비알 와이어는 일부에 오메가(Ω) 형태의 루프 또는 U 자 형태의 루프와 일 측면에 결합된 돌기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삽입되는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 또는 삽입되는 클라스프 일단은, 슬라이딩 가이드를 관통한 와이어 부분이 슬라이딩 가이드에 걸림되도록 휘어진 것일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 가이드는 클라스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클라스프 측 슬라이딩 가이드의 단부와 오메가 형태의 루프에 각 체결되고 복원력에 기반하여 레비알 와이어를 클라스프 측으로 당기는 복원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는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 또는 클라스프의 일단에 웰딩(wel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으로 부착되어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치아 교정을 위한 교정장치의 가변적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를 통해 후반부 치아 교정치료에 있어서 교정장치의 형태를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자신의 치아에 맞는 새로운 교정장치를 구입할 필요가 없다.
또한 교정장치에 있어서 레비알 와이어에 대한 클래스프의 유지력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슬라이딩 가이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레비알 와이어가 전방으로 밀려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레비알 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가 상악 치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복원수단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도 1은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및 슬라이딩 가이드의 부분 확대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10), 레비알 와이어(20), 클라스프(30) 및 슬라이딩 가이드(40, 4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슬라이딩 가이드(40, 42)에 삽입된 레비알 와이어(20)의 일단 또는 삽입된 클라스프(30)의 일단이 슬라이딩 될 수 있어 레비알 와이어(20)와 클라스프(30)가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작용한다.
이하 본 실시예인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각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상술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상악 또는 하악의 치경부에 접촉하여 교정 유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아크릴 레진 소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레비알 와이어(20)나 클라스프(30) 또는 다른 구성들을 수용하여 치아 이동에 대한 반작용의 고정원 역할을 한다. 다른 구성 요소들을 수용할 만큼 충분히 두꺼워야 하나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환자에게 이물감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보통 상악에서는 1~2 mm 정도의 두께가 적당하고 하악에서는 혀의 공간을 제외한 U 자 형태가 될 수 있으므로 좀 더 두껍도록 설계될 수 있다.
레비알 와이어(20)는 본 실시예 치아 교정장치를 유지하고 치아의 이동을 막기 위해 치아 전방에 궁(bow) 형태의 와이어로 형성된다. 레비알 와이어(20)는 구체적으로 치아의 설측 이동을 도모하고 공간을 폐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레비알 와이어(20)의 일 부분에 액티베이션(activation)을 위한 루프(LOOP)가 도면 부호 210, 220으로 구성될 수 있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오메가(Ω) 형태의 루프(210, 220)로 형성되었다. 이와 달리 U 자 형태의 루프 외주면에 레비알 와이어(20)의 수평부(치열과 나란한 부분)와 나란하게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서는 후술한다.
한편, 레비알 와이어(20)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된 것일 수 있으나 내구성이 우수한 플라스틱과 같은 합성수지로 형성된 와이어일 수도 있으며 변형에 강하고 내구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재질이면 그 재질은 무관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치아 앞 부분에 접촉하는 부분은 투명 소재의 플라스틱 스트랩으로 형성하였고, 치아의 양 측면으로는 스테인리스 스틸을 연결하여 제작되었다. 연결부는 플라스틱 스트랩 단부에 스테인리스 스틸로 된 와이어를 감아서 형성하였다.
클라스프(30)는 일단이 레비알 와이어(20)에 연결되고 타단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수용되어 교정 유지력을 강화시키도록 구성된다. 클라스프(30)는 다양한 형태로 만들 수 있으나 도 2 및 도 3의 평면도로 도시된 형태를 기본적인 형태로 갖도록 구성되고 적용되는 치아나 유지력의 필요성에 따라 조금씩 변형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클라스프(30)는 한 쌍으로 구비되거나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구성임에는 변함이 없다.
아울러 레비알 와이어(20)와 클라스프(30)는 상호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연결 매개체인 슬라이딩 가이드(40, 42)를 통해 연결된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음을 밝혀둔다.
슬라이딩 가이드(40, 42)는 본 실시예의 경우 클라스프(30)에 고정되고 레비알 와이어(20)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가이드(40, 42)는 클라스프(30)의 일단에 웰딩(wel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으로 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딩 가이드(40, 42)의 관통홀에 삽입된 레비알 와이어(20)의 일단이 슬라이딩되어 전후방 유동 가능하며 한 쌍으로 형성되므로 레비알 와이어(20)가 후방으로 당겨지거나 전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이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레비알 와이어가 전방으로 밀려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슬라이딩 가이드를 통해 슬라이드 되어 레비알 와이어가 후방으로 당겨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비알 와이어(20)는 전방으로 밀려날 수도 있고 후방으로 당겨질 수도 있는 데, 슬라이딩 가이드(40, 42)에 삽입된 레비알 와이어(20)의 양단이 관통된 와이어 길이가 길거나 짧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딩 가이드(40, 42)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달리 길이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으며, 레비알 와이어(20)를 개방된 부분을 통해 슬라이딩 가이드 내부에 안착시키고 전술한 바와 같은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레비알 와이어(20)의 일단은 휘어져 형성되어 있는데, 휨 구성은 레비알 와이어(20)가 슬라이딩 가이드(40, 42)를 이탈하지 않도록 슬라이딩 가이드(40, 42)의 단부에서 걸리도록 작용한다. 후술하는 복원수단(50)과 관련한 휨 구성의 다른 기능은 후술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변형예로 슬라이딩 가이드(40, 42)가 레비알 와이어(20)에 고정되고 클라스프(30)가 슬라이딩 가이드(40, 42)의 관통홀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데, 이는 본 실시예에 비춰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인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의 일 실시예가 모형인 상악 치아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일 실시예에 복원수단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베이스 플레이트(10)가 하악의 설측 하부에 장착되고 레비알 와이어(20)가 치아의 전방에 배치되며 클라스프(30)가 치아의 측방에 배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예인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는 환자의 치아 상태에 맞도록 본을 떠 도 4 및 도 5에서와 같은 모형 치아를 제작하고 이에 맞도록 제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원력을 발휘하는 복원수단(50)으로서의 고무링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수 있다. 복원수단(50)은 클라스프(30) 측 슬라이딩 가이드(40, 42)의 단부와 오메가 형태의 루프(210, 220)에 각 체결되어서 레비알 와이어(20)를 클라스프(30) 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무링은 일 측에 또는 양측 모두에 장착될 수 있다. 고무링과 같은 복원수단(50)의 재질 및 크기는 복원력의 정도와, 내구성 및 내화학성을 기준으로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오메가(Ω) 형태의 루프(210, 220)는 레비알 와이어(20)의 일부를 변형하여 형성한 부분으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액티베이션 역할과 함께 복원수단(50)의 걸림부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가이드(40, 42)의 클라스프(30) 측 단부에 휨 구성을 갖는 레비알 와이어(20)의 와이어 일단이 장착된 복원수단(50)의 이탈을 막는 역할도 수행한다. 탈장착 가능한 본 실시예의 치아 교정장치는 복원수단(50)의 복원력에 기반하여 장시간 탈착 시 초래될 수 있는 치아 변형을 미세 교정할 수 있으므로 환자로서는 쉽고 용이한 교정장치로 활용이 가능하다.
한편 오메가(Ω) 형태의 루프(210, 220)는 본 실시예와 다르게 U 자 형태의 루프와 외주면에 레비알 와이어(20)의 수평부와 나란하게 형성된 돌기로 변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는 실버 등의 금속으로 웰딩 또는 솔더링되어 부착될 수 있으며, 돌기에 복원수단(50)이 결착되어 복원력이 발휘되도록 구성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의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10: 베이스 플레이트
20: 레비알 와이어
210, 220: 오메가(Ω) 형태의 루프
30: 클라스프
40, 42: 슬라이딩 가이드
50: 복원수단

Claims (5)

  1. 상악 또는 하악의 치경부에 접촉하여 교정 유지력을 가지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궁(bow) 형태로 치아에 위치하여 상기 치아의 이동을 막는 레비알 와이어(labial wire);
    일단이 상기 레비알 와이어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수용되어 상기 교정 유지력을 강화시키는 클라스프(clasp); 및
    상기 클라스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클라스프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슬라이딩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레비알 와이어는 일부에 오메가(Ω) 형태의 루프가 형성되거나 U 자 형태의 루프와 상기 U 자 형태의 루프의 일 측면에 결합된 돌기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삽입되는 레비알 와이어 일단 또는 상기 삽입되는 클라스프의 일단은,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상기 관통홀을 관통한 와이어 부분이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에 걸림되도록 휘어진 것이고,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클라스프의 일단에 고정되고 상기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된 것이고,
    상기 고정된 클라스프의 일단과 상기 삽입된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클라스프 측에서 일부가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클라스프 측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의 단부와 함께 걸림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기 클라스프 측 상기 걸림부와 상기 오메가 형태의 루프에 각 체결되고 복원력에 기반하여 상기 레비알 와이어를 상기 클라스프 측으로 당기는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이드는, 상기 레비알 와이어의 일단 또는 상기 클라스프의 일단에 웰딩(welding) 또는 솔더링(soldering)으로 부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KR1020170084665A 2017-07-04 2017-07-04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KR1018164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5A KR101816487B1 (ko) 2017-07-04 2017-07-04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665A KR101816487B1 (ko) 2017-07-04 2017-07-04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487B1 true KR101816487B1 (ko) 2018-01-08

Family

ID=6100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665A KR101816487B1 (ko) 2017-07-04 2017-07-04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4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395B1 (ko) * 2019-11-06 2020-03-23 김정석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WO2020122566A1 (ko)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KR20210022346A (ko) * 2019-08-20 2021-03-03 정수창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KR20210152875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WO2021251759A1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52872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1937A1 (en) * 2008-08-06 2011-12-22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311937A1 (en) * 2008-08-06 2011-12-22 Ortho-Pro-Teknica Limited Orthodontic Space Closing Appliances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22566A1 (ko) * 2018-12-11 2020-06-18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KR20210022346A (ko) * 2019-08-20 2021-03-03 정수창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KR102257890B1 (ko) 2019-08-20 2021-05-28 정수창 치아 교합력 전달장치
KR102092395B1 (ko) * 2019-11-06 2020-03-23 김정석 탄성체인을 이용한 간단치아교정장치
KR20210152875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WO2021251759A1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52872A (ko) * 2020-06-09 2021-12-16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KR102350798B1 (ko) * 2020-06-09 2022-01-14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
KR102350802B1 (ko) * 2020-06-09 2022-01-14 주식회사 스마일캐드 가철식 리테이너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487B1 (ko) 슬라이딩 가이드가 형성된 가철식 치아 교정장치
US7578672B2 (en) Orthodontic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malocclusions
KR101804990B1 (ko) 치과 교정시술용 덴탈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아교정장치
CN105982743B (zh) 用于齿颚矫正治疗的牙用线材支持器以及矫正器
EP2777600B1 (en) Telescopic orthodontic appliance
EP2269543A1 (en) Device for mandibular advancement
US8257080B2 (en) Low profile orthodontic bite corrector
KR102183854B1 (ko) 치과교정용 그리핑 장치
CN211094852U (zh) 壳状牙科器械套组、壳状牙科器械组合及矫治系统
US4764112A (en) Molded distal stop and attachment to fix orthodontic appliance into mouth
JP3122381B2 (ja) 歯列矯正具
CN211156365U (zh) 一种壳状牙科器械及壳状牙科矫治系统
US11583368B2 (en) Orthodontic bracket
EP0521736A1 (en) Orthodontic appliance
JP2001161715A (ja) 歯列矯正用器具
KR101129136B1 (ko) 치열 교정용 와이어 및 이를 갖는 치열교정장치
KR20150019074A (ko) 치아교정장치
CN104684800B (zh) 用于戴水肺潜水员的可定制咬嘴
KR102101870B1 (ko) 치열 교정장치
CN215273460U (zh) 一种牙科用改良成形片
JP6703331B2 (ja) 歯科用誤飲防止具
CN115381568A (zh) 牙齿矫正用装置及牙齿矫正器
GB2164858A (en) Orthodontic appliance
JPH0326248A (ja) 舌側に延長ワイヤ部を持つプレ成型されたバ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